KR20210125063A - 모터 차량의 강화된 후방 구조 부분 - Google Patents
모터 차량의 강화된 후방 구조 부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5063A KR20210125063A KR1020217028758A KR20217028758A KR20210125063A KR 20210125063 A KR20210125063 A KR 20210125063A KR 1020217028758 A KR1020217028758 A KR 1020217028758A KR 20217028758 A KR20217028758 A KR 20217028758A KR 20210125063 A KR20210125063 A KR 202101250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plate
- vehicle
- cross member
- fixing
- centr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00396 ir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방 구조 부분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2 개의 후방 길이 방향 부재(74,76) 및 상기 2 개의 길이 방향 부재(74, 76)를 서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부재(72); 상기 2 개의 길이 방향 부재(74, 76) 및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72)상에 지지되도록 장착된 후방 바닥부(70); 및, 상기 후방 바닥부(70)상에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된 적어도 2 개의 고정 레일로서, 병진되게 움직일 수 있는 벤치 시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 부재(74, 76)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2 개의 고정 레일;을 포함한다. 후방 부분은 추가적으로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72)상에 장착된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상기 고정 레일(98, 100)과 직선으로 상기 후방 바닥부(70) 아래에서 상기 2 개의 길이 방향 부재(74, 76)들 사이에 연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 차량의 강화된 후방 구조 부분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모터 차량은 구조체를 가지는데, 그것의 후방 부분은 구조체의 중간 평면의 양측에서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후방 측부 부재와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부재(cross member)를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 및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에 지지되어 맞춰진 후방 바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방 바닥부는 벤치 시트(bench seat) 및, 상기 벤치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을 수용하며, 상기 레일은 중간 평면의 양측에서 바닥부상에 설치되고 그에 평행하다.
구조체 후방 부분의 견고성(rigidity)은 사용된 재료의 양과 특히 바닥에 사용된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로부터 도출된다. 따라서, 특히 벤치 시트의 고정의 강도 및 그에 연결된 안전 벨트의 강도는 그러한 견고성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으로 향상되어야만 하는 차량 승객들의 안전과 연료 소비 성능 레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소되어야만 하는 차량의 중량 사이에 절충이 이루어졌다.
또한, 사용된 부품 및 요소들의 수준에서 그리고 차량의 조립 시간의 수준에서, 차량의 제조 비용들에 대한 지속적인 향상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시된 문제는 생산 비용이 개선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문제는 견고성이 증가된,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차량의 후방 구조 부분이 제안되는데, 이것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2 개의 후방 측부 부재 및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부재;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 및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상에 맞춰져서 지지되는 후방 바닥부; 및, 상기 후방 바닥부상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적어도 2 개의 고정 레일로서, 병진되게 움직일 수 있는 벤치 시트(bench seat)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측부 부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고정 레일;을 포함한다. 후방 부분은 또한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상에 맞춰진 중심 강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바닥부 아래에서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들 사이에 상기 고정 레일들과 직선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후방 크로스 부재와 일체화되고 바닥부 아래로 연장되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의 사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닥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히 스트레스를 받는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강화된다. 따라서 얇은 바닥부를 사용할 수 있어서, 후방 구조체 부분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측부 부재들과 크로스 부재에 의해 정의된 다른 평균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균 평면상에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고정 레일과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바닥부 아래에 적용되는 반면에, 고정 레일 자체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와 직선으로 바닥부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고정 레일은 예를 들어 강화 플레이트로부터 고정 레일까지 연장되고 바닥을 통과하는 나사식 유닛(screwable unit)에 의해 바닥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레일은 바닥부와 중심 강화 플레이트에 의해 교차 부재에 단단히 연결된다. 계속되는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심 강화 플레이트 덕분에, 고정 레일을 바닥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다른 중간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고정 레일은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2 개의 고정 레일을 상기 바닥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고정 스터드를 포함한다. 또한, 강화 플레이트에는 정해진 위치에 이전에 설치된 고정 스터드가 설치되는 반면에, 바닥부에는 상기 고정 스터드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오리피스들이 있다. 따라서, 설명의 연속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스터드들은 예를 들어 중심 보강 플레이트상에 용접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은 또한 중심 보강 플레이트의 두께에서 크림핑(crimping)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스터드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너트를 사용하여 벤치 시트 발 부분(bench seat feet)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부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가이드 스터드(guide stud)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스터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이드 스터드(파일럿 스터드(pilot stud)라고도 함)는 바닥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제 위치에 놓일 때 벤치 시트(bench seat)의 안내(guiding) 및 도킹(docking)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크로스 부재상에 평평하게 적용되는 2 개의 고정 러그(securing lug)를 가진다. 고정 러그는 앵글 아이언(angle iron)을 형성하는 부분을 가지는데, 이것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인 크로스 부재의 2 개의 인접한 벽들에 맞춰진다. 따라서, 중심 강화 플레이트와 크로스 부재 사이에 더 강한 견고성(rigidity)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개의 고정 러그는 용접에 의해 상기 크로스 부재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러그들의 에지(edge)와 크로스 부재 사이에 용접 비드(welding bead)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러그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러그로 각각 연장되는 2 개의 돌출 만입부를 추가로 가진다. 따라서 만입부는 1 차적으로 바닥부에 대향하는 강화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수직 성분에 따라서 연장되고, 2 차적으로 크로스 부재상의 지지 면들에 대향하는 고정 러그들로 수평 성분에 따라서 연장된다. 만입부(indentations)들은 중심 강화 플레이트를 견고하게(rigidify)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2 쌍의 고정 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2 쌍 중 하나의 스터드들은 상기 만입부들 중 하나의 양측에 맞춰지는 반면에, 상기 2 쌍 중 다른 하나의 스터드들은 상기 만입부들중 다른 하나의 양측에 맞춰진다. 따라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벤치 시트(bench seat)와 바닥부 사이의 연결력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벨트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벤치 시트 발 부분(bench seat feet)은 중심 강화 플레이트의 만입부와 직선으로 바닥부와 일체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후방 바닥부 아래에 설치된 탱크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패스너(fastener)를 수용하기 위하여, 중심 돌출 만입부(central projecting indentation)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는 바닥부와 중심 보강 플레이트 아래로부터 부분적으로 덮는다. 또한 탱크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스트랩은 앞서 언급된 패스너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단일 프레스 금속 부분(single pressed metal part)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어 두께가 1mm 내지 2mm 사이인 스틸 플레이트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요소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제시된 본 발명의 요소를 위로부터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은 차량 구조의 후방 부분을 위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요소가 설치된 도 3 의 주제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인 도면이다.
도 5 는 도 3 의 주제를 동일한 시야각으로부터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주제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 도 5 의 주제를 위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시야각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시야각으로부터 도 6 의 주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은 도 3 에 도시된 주제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요소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제시된 본 발명의 요소를 위로부터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은 차량 구조의 후방 부분을 위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요소가 설치된 도 3 의 주제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인 도면이다.
도 5 는 도 3 의 주제를 동일한 시야각으로부터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주제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 도 5 의 주제를 위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시야각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시야각으로부터 도 6 의 주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은 도 3 에 도시된 주제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를 도시하며, 이 경우 아래로부터 도시된 것으로서, 이것은 외측면(12)을 가진다. 플레이트는 도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균 평면(Pm)을 따라 연장된다. 역으로, 도 2 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10)의 내측 면(14)을 도시한다.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예를 들어 1.6 mm 의 두께를 가진 강철로 만들어진 단일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싱하고 절단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1mm 내지 2mm 사이이다.
절단에 관한 한, 강화 플레이트(10)는 제 1 중간 평면(PM1)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날개(16, 18)를 가진다. 또한, 강화 플레이트(10)는 2 개의 대향하는 고정 러그(securing lug)를 한정하며, 즉 제 1 러그(20) 및 제 2 러그(22)를 한정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하게 가압된다.
먼저, 고정 러그(20, 22) 각각은 앵글 아이언(angle iron, 24, 26)을 형성하는 부분을 가진다. 앵글 아이언(24, 26)을 형성하는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공통 모선(common generatrices)들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앵글 아이언(24, 26)들을 형성하는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고 강화 플레이트(10)에 의해 정의된 평균 평면(Pm)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자유 날개(free wing, 28, 30)들을 가진다. 또한, 앵글 아이언(24, 26)을 형성하는 부분들은 측방향 지지 경계부(32, 34;36, 38)를 가지며, 이들은 자유 날개(28, 30)에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측방향 지지 경계부(32, 34; 36, 38)는 도면의 평면 전방에서 연장된다. 또한, 측면 지지 경계부(32, 34; 36, 38)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또한,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2 개의 측방향 만입부들을 가지며, 즉, 제 1 만입부(40) 및 제 2 만입부(42)를 가지며, 이들은 도면(도2)에서 평균 평면(Pm)에 직각인 성분에 따라서 도면의 평면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도면(도 2)에서, 2 개의 만입부(40, 42)는 또한 평균 평면(Pm)의 성분들을 따라서 고정 러그(20, 22)들로, 그리고 2 개의 자유 날개(28, 30)까지 연장된다. 이들 만입부(40, 42)의 목적은 특히 고정 러그(20, 22)의 레벨에서 강화 플레이트(10)를 기계적으로 실질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강화 플레이트(10)는 실질적으로 2개의 측방향 만입부(48, 42) 사이에 있는 중심 만입부(44)를 가지며, 이것은 측방향 만입부(48, 42)와 마찬가지로 외측 표면(12)으로부터 돌출 연장된다. 중심 만입부(44)의 역할은 설명의 계속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 2 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10)가 2 쌍의 고정 스터드, 즉, 도면의 평면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제1 쌍(50, 52) 및 제 2 쌍(54, 56)의 고정 스터드를 가지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쌍의 고정 스터드(50, 52)는 제 1 고정 러그(20)와 직선으로 연장되며, 두 개의 스터드(50, 52)는 제 1 만입부(40)의 양측에 있는 반면에, 제 2 쌍의 고정 스터드(54, 56)는 그것의 부분에 대하여 제 2 고정 러그(22)와 직선으로 연장되며 2 개의 스터드(54, 56)는 제 2 만입부(42)의 양측상에 있다. 또한, 고정 러그(50, 52, 56, 54)는 제 1 평균 평면(PM1)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횡방향 평균 평면(Pmt)에 따라서 정렬된다.
도 1 은 고정 스터드(50, 52, 56, 54) 각각이 외측 면(12)에 용접된 평탄 헤드(flat head)를 가진 것을 도시한다. 고정 스터드(50, 52, 56, 54)의 스템(stem)들은, 반대쪽으로 연장하기 위해 강화 플레이트(10)의 벽을 통과하여, 내측 면(14)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2 는 강화 플레이트(10)가 또한 2 개의 가이드 스터드(guide stud), 즉, 제 1 스터드(58) 및 제 2 스터드(60)를 가진 것을 도시한다. 제 1 가이드 스터드(58)는 제 1 고정 러그(20)에 대향되게 최외측 고정 스터드(50)와 직선으로 연장되는 반면에, 제 2 가이드 스터드(60)는 제 2 고정 러그(22)에 대향되게 다른 최외측 고정 스터드(54)와 직선으로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2 개의 가이드 스터드(58, 60)는 조립 파일럿 스터드(assembly pilot stud)를 형성하고, 고정 스터드(50, 52, 54, 5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도 2 는 강화 플레이트(10)에 너트(62)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며, 상기 너트는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오리피스(63)와 직선으로 중심 만입부(44)의 베이스에 설치된다. 도 1 은 만입부(44)의 상부에 있는 오리피스(63)를 도시한다. 또한, 평탄한 헤드가 설치된 가이드 스터드(guide stud, 58, 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평탄한 헤드도 용접된다.
이제 도 3 을 참조하면, 이것은 부분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구조 부분을 위에서 도시한다. 이러한 후방 부분은, 승객 공간에서 연장되는 시트 부분(64)으로부터, 차량의 후방 단부에 있는 트렁크 부분(66)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트렁크 부분(66)은 스페어 휘일(spare wheel)을 수용하기 위해 가압된 플레이트에 형성된 콘테이너(68)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후방 부분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측방향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제 2 중간 평면(PM2)을 가진다. 시트 부분(64)은 제 2 중간 평면(PM2)에 대해 서로 대칭인 2 개의 전방 지지 에지(support edge, 65, 67)를 가진다.
시트 부분(64)은, 후방 크로스 부재(rear cross member, 72) 상에서, 그리고 2 개의 평행한 측부 부재(74, 76) 상의 양측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해 지지되는 바닥(floor, 70)을 가진다. 바닥(70)은 0.4 mm 내지 1 mm 사이, 예를 들어 0.6 mm의 두께를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만들어진다. 트렁크 부분(66)을 향하여, 바닥(70)은 2 개의 지지 영역을 가지며, 즉 제 2 중간 평면(PM2)에 대해 서로 대칭인 제 1 영역(78) 및 제2 영역(80)을 가진다. 제 1 지지 영역(78)은 오리피스들의 제 1 쌍을 가지며, 즉 제 1 외측 오리피스(82) 및 제 1 내측 오리피스(84)를 가지는 반면에, 대칭적으로, 제 2 지지 영역(80)은 오리피스들의 제 2 쌍을 가지며, 즉 제 2 외측 오리피스(86) 및 제 2 내측 오리피스(88)를 가진다.
또한, 제 1 외부 오리피스(82)와 일치하여, 제 1 지지 영역(78)은 제 1 구멍(90)을 가지는 반면에, 제 2 지지 영역(80)은 제 2 외부 오리피스(86)와 일치하는 제 2 구멍(92)을 가진다.
도 4 는 후방 크로스 부재(72)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평행한 측부 부재(74, 76)를 아래로부터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후방 크로스 부재(72)는 후방 구조 부분의 평균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지지면(94) 및, 상기 지지면(94)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인접면(96)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10)가 후방 크로스 부재(72) 및 바닥(70)의 후방 면에 지지 영역(78, 80)과 직선을 이루어 함께 협동하는 형태로 걸쳐짐으로써 2 개의 중간 평면(PM1, PM2)이 일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2 개의 측부 부재(74, 76)로부터, 그리고 2 개의 측부 부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연장된다.
중심 강화 플레이트(10), 후방 크로스 부재(72)와 바닥(70) 사이의 형태의 상호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고정 스터드(50, 52; 56, 54)들의 2 쌍은 오리피스(82,84; 86,88)를 통해 맞물리는데 반하여, 2 개의 가이드 스터드(58, 60)는 2 개의 외측 보어(90, 92)에 각각 맞물린다. 따라서, 고정 스터드(50, 52; 56, 54)들의 2 쌍 및 2개의 가이드 스터드(58, 60)는 바닥(70)으로부터 돌출 연장된다.
2개의 고정 스터드(20, 22)는 후방 크로스 부재(72)와 직접적으로 함께 작용하여 2 개의 자유 날개(28, 30)는 지지면(94)에 적용되는 반면에, 측방향 지지 경계부(32, 34; 36, 38)들은 인접한 면(96)에 각각 지지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닥(70)의 하면에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10)가 적용된다.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용접된 고정 러그(20, 22)에 의해 후방 크로스 부재(72)와 일체로 맞춰진다.
이제 도 4 의 주제를 도시하는 도 5 를 역으로 위에서 참조하면, 이것은 2 개의 슬라이드(98, 100)를 예시하는데, 슬라이드들은 제 2 중간 평면(PM2)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슬라이드(98, 100) 각각은 시트 부분(64)의 전방 지지 에지(65, 67)에 설치된 전방 발 부분(front foot, 102)을 포함한다. 슬라이드(98, 100)는 바닥(70)의 지지 영역(78, 80)과 직선이 될 때까지 전방 지지 에지(65, 67)의 중간 평면(PM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도면은 고정 스터드(50, 52; 54, 56)들의 2 쌍 및 2 개의 가이드 스터드(58, 60)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슬라이드(98, 100)는 최종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목적으로 지지 영역(78, 80) 및 고정 스터드(54, 56, 52, 50)에 대해 자유롭다.
또한, 도 7 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벤치 시트(sliding bench seat)의 프레임 워크(frame work, 104)와 바닥(70)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slide, 98)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7 은 전방 지지 에지(65) 상의 고정 위치에 슬라이드(98)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 발 부분(front foot, 102)을 도시한다. 슬라이드(98)는 후방 단부(106)를 가지는데, 이것에는 슬라이드(98)에 대해 서로 대칭인 2개의 귀 부분(ear, 110, 112)을 가진 후방 발 부분(108)이 설치된다. 또한, 벤치 시트의 프레임 워크(104)에는 슬라이드(98)에서 병진되게 맞춰진 슬라이더(114)가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 벤치 시트(sliding bench seat)가 맞춰질 때, 이것은 슬라이드(98,100)에 설치된 슬라이더(114)가 구비된, 승객 공간의 내부로 구동되는데, 상기 슬라이더(98, 100)에는 그들의 전방 발 부분(102) 및 후방 발 부분(108)이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벤치 시트가 바닥(70)에 도킹될 때, 그리고 부분적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부분(108)의 2개의 귀 부분(110, 112)은 1 차적으로 안내를 허용하고, 2 차적으로 고정을 허용한다. 사실상, 후방 발 부분(108) 및 대칭적으로 다른 슬라이드(100) 중 하나는, 귀 부분(110,112)들 각각에 하나씩 있는 2개의 고정 보어(116, 118)와, 최외측 귀 부분(110)에 있는 가이드 보어(guide bore, 120)를 가진다. 따라서, 도킹(docking)하는 동안, 가이드 스터드(60, 58)는 가이드 보어(120)의 내부에 맞물리는 반면에, 슬라이딩 벤치 시트는 바닥(70)을 향해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고정 스터드(54, 56) 및 다른 후방 발 부분(52, 50)에 대해, 2 개의 고정 보어(116, 118)를 통해 각각 맞물리도록 귀 부분(110, 112)들이 맞춰진다. 후방 발 부분(108)은 고정 스터드(54, 56, 52, 50)상으로 나사 결합된 너트에 의해 바닥부(70)상의 고정 위치에 유지되는 반면에, 전방 발 부분(102)은 전방 지지 에지(65, 67)상의 고정 위치에 고정 나사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벤치 시트의 후방 발 부분(108)은 중심 강화 플레이트(10) 덕분에 바닥(70)에 더 단단하게 연결된다. 사실, 이러한 플레이트는 바닥(70)의 지지 영역(78, 80)의 견고성(rigidity)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벤치 시트의 벨트 고정은 차량 구조의 후방 부분에 비해 더 단단하다.
도 4 의 주제를 나타내는 도 8 을 참조하면, 이것에는 횡단 탱크(transverse tank, 120)가 더해지는데, 상기 탱크는 바닥(70)의 하부면을 덮고 부분적으로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를 덮는다. 특히, 횡단 탱크(120)는 또한 스트랩(122)에 의해 바닥(70)에 대해 유지된다. 스트랩(122)은 전방 고정 단부(124) 및 후방 고정 단부(126)를 가지며, 상기 전방 고정 단부는 시트 부분(64)의 전방 지지 에지(65)에 대향하는 고정 위치에 맞춰지고, 상기 후방 고정 단부는 너트(62)에 있는 오리피스(63)를 통해 맞물린 스크류 때문에 중심 만입부(44)의 상부에 맞춰진다.
따라서, 중심 보강 플레이트(10) 덕분에, 슬라이딩 벤치 시트를 위한 레일을 형성하는 슬라이드(98, 100)들은 바닥(7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파일럿 스터드(pilot stud)를 형성하는 가이드 스터드(guide stud)가 설치된 중심 강화 플레이트(10) 때문에, 슬라이딩 벤치 시트의 도킹은 용이하다. 또한, 슬라이딩 벤치 시트와 바닥(70) 사이의 향상된 연결 및 보다 견고한 연결 덕분에, 후방 안전 벨트의 고정은 반발(rebound)에 있어서 더 큰 강도를 가진다. 더욱이, 중심 보강 플레이트(10)는 차량의 탱크를 더 잘 보유할 수 있게 한다.
10. 중심 강화 플레이트 16.18. 날개
70. 후방 바닥부 72. 후방 크로스 부재
74, 76. 후방 측부 부재 98, 100. 고정 레일
70. 후방 바닥부 72. 후방 크로스 부재
74, 76. 후방 측부 부재 98, 100. 고정 레일
Claims (10)
-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2 개의 후방 측부 부재(74,76) 및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74,76)를 서로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부재(72);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74,76) 및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72)상에 맞춰져서 지지되는 후방 바닥부(70); 및,
상기 후방 바닥부(70)상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적어도 2 개의 고정 레일(98,100)로서, 병진되게 움직일 수 있는 벤치 시트(bench seat)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측부 부재(74, 7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고정 레일(98, 100);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으로서,
상기 후방 크로스 부재(72)상에 맞춰지는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레일(98,100)과 직선으로 상기 후방 바닥부(70) 아래에서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74,76) 사이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98, 100) 및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상기 바닥부(7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상기 2 개의 고정 레일(98, 100)을 상기 바닥부(7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70)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복수개의 고정 스터드(50, 52, 54, 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상기 바닥부(70)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복수개의 가이드 스터드(guide stud, 58, 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상기 크로스 부재(72)상에 평탄하게 적용되는 2 개의 고정 러그(securing lug,20, 2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러그(20,22)들은 상기 크로스 부재(72)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 러그들의 견고성(rigidity)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러그(20,22)로 각각 연장되는 2 개의 돌출 만입부(40, 4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체 구조 부분.
- 제 3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고정 스터드(50, 52;54, 56)들의 2 쌍을 포함하고, 상기 2 쌍의 고정 스터드들중 한 쌍의 스터드(50,52)는 상기 만입부들중 하나(40)의 양측에 맞춰지는 반면에, 상기 2 쌍의 고정 스터드들중 다른 한 쌍의 스터드(54, 56)는 상기 만입부들중 다른 하나(42)의 양쪽 측부들상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측부 부재(74,76)들 사이에서 상기 후방 바닥부(70) 아래에 설치된 탱크(120)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패스너(fastener, 62)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 강화 플레이트(10)는 중심 돌출 만입부(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보강 플레이트(10)는 단일의 프레스 금속 부분(single pressed metal part)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구조체 부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901289A FR3092556B1 (fr) | 2019-02-08 | 2019-02-08 | Partie arrière de structure de véhicule automobile renforcée |
FR1901289 | 2019-02-08 | ||
PCT/EP2020/052747 WO2020161133A1 (fr) | 2019-02-08 | 2020-02-04 | Partie arrière de structure de véhicule automobile renforcé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5063A true KR20210125063A (ko) | 2021-10-15 |
Family
ID=6738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8758A KR20210125063A (ko) | 2019-02-08 | 2020-02-04 | 모터 차량의 강화된 후방 구조 부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921217A1 (ko) |
KR (1) | KR20210125063A (ko) |
CN (1) | CN113329932B (ko) |
FR (1) | FR3092556B1 (ko) |
WO (1) | WO2020161133A1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02092A1 (de) * | 1998-01-22 | 1999-07-29 | Man Nutzfahrzeuge Ag | Boden-Konstruktion am kippbaren Fahrerhaus eines Lastkraftwagen |
JP4144340B2 (ja) * | 2002-12-05 | 2008-09-0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体前部構造 |
JP4485858B2 (ja) * | 2004-06-30 | 2010-06-2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構造 |
JP4858048B2 (ja) * | 2006-09-28 | 2012-01-18 | マツダ株式会社 |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
JP5115393B2 (ja) * | 2008-08-11 | 2013-01-09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シート取付け部構造 |
FR2962967B1 (fr) * | 2010-07-23 | 2013-02-22 | Renault Sa | Chassis automobile avec renfort lateral de soutien d'assise |
DE102011015541A1 (de) * | 2011-03-30 | 2012-10-04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
-
2019
- 2019-02-08 FR FR1901289A patent/FR3092556B1/fr active Active
-
2020
- 2020-02-04 EP EP20702320.1A patent/EP3921217A1/fr active Pending
- 2020-02-04 KR KR1020217028758A patent/KR202101250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2-04 CN CN202080010538.4A patent/CN113329932B/zh active Active
- 2020-02-04 WO PCT/EP2020/052747 patent/WO2020161133A1/fr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21217A1 (fr) | 2021-12-15 |
CN113329932B (zh) | 2023-11-21 |
FR3092556B1 (fr) | 2022-12-09 |
FR3092556A1 (fr) | 2020-08-14 |
CN113329932A (zh) | 2021-08-31 |
WO2020161133A1 (fr) | 2020-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54767B2 (en) | Shoulder belt anchor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thereof | |
US8007028B2 (en) | Vehicle sliding door structure | |
US8408638B2 (en) |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 |
US9751431B2 (en) | Seat track assembly having load absorption features | |
US10633029B1 (en) | Vehicle rocker beam | |
GB2545955A (en) | Load path control mechanism | |
US20170233009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US20140224955A1 (en) | Vehicle seat sliding device | |
US20120126576A1 (en) |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 |
US6371545B1 (en) | Seat-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 |
CN112140970B (zh) | 车厢结构 | |
CN108082299B (zh) | 用于车辆的车身底部结构 | |
US8449022B2 (en) |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 |
KR101437525B1 (ko) | 구조부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 |
KR20210125063A (ko) | 모터 차량의 강화된 후방 구조 부분 | |
KR20140059113A (ko) | 모터 비히클용 시트 조정 장치의 드라이브 | |
US8840183B2 (en) | Motor vehicle rear seat | |
US11214175B2 (en) | System comprising a vehicle seat track and a support | |
CN110667628B (zh) | 车体底架及具有其的有轨电车 | |
RU159655U1 (ru) | Консольная опора сиденья | |
JPH05139303A (ja) | 鉄道車両 | |
EP4052987B1 (en) | Floor structure of a rail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floor structure | |
US10967760B2 (en) | Lightweight c-ring crossmember and bracket assembly for a vehicle | |
JP6824831B2 (ja) | 乗物用シートの支持構造 | |
JPH0646752Y2 (ja) | 車両用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