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261A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Google Patents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4261A KR20210104261A KR1020200018760A KR20200018760A KR20210104261A KR 20210104261 A KR20210104261 A KR 20210104261A KR 1020200018760 A KR1020200018760 A KR 1020200018760A KR 20200018760 A KR20200018760 A KR 20200018760A KR 20210104261 A KR20210104261 A KR 202101042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silicon
- vertical
- coupler
- fram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4—L-shaped corner pieces having two articulated or flexible joined legs; Corner joints with variable angl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단부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맞대어 결합하고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를 구비하는 코너결합구로 이루어지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코너결합구의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 사이에는 연결대에 의한 이격거리만큼 실리콘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이 상기 실리콘충진공간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중의 어느 일측에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을 주입할 수 있는 실리콘주입공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실리콘충진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종래 불가능했던 창호의 코너부분, 즉 수평과 수직 프레임의 맞댄 부분의 틈 사이를 효과적으로 기밀할 수 있고, 창호의 코너부분, 즉 수평과 수직 프레임을 맞댐으로써 발생하는 틈 사이를 실리콘으로 효과적으로 기밀함으로써 비와 바람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오염 방지와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든 창호의 코너결합부를 밀봉시켜 코너결합부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과 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여닫이식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라 함은 창문과 도어, 창틀과 문틀을 모두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대개 과거의 창호는 주로 목재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압출이 가능한 알루미늄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최근의 창호는 모두 압출방식에 의해 중공의 사각 프레임형상으로 제조되므로 이들을 이용하여 창문 또는 도어, 창틀, 문틀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결국 이들을 일정크기로 자른 다음 모서리 부분을 맞대어서 결합하여야 한다.
즉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양단을 모두 45도 각도로 절단한 다음 이를 단부를 서로 맞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이들의 코너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너결합구(130)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상기 코너결합구(130)는 양측이 뻥 뚫려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모든 창호의 코너는 프레임의 맞댄 각 단부와 단부 사이에 결국 틈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이 틈을 통해 비와 바람이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거나 에너지를 낭비시키는 등, 방진 및 방수, 단열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와 같이 수평과 수직 프레임의 코너, 즉 맞댄 부분을 밀폐시켜 비와 바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는 개발된 바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창호의 코너, 즉 수평과 수직 프레임의 맞댄 부분은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이 코너결합구를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여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내부 틈 사이를 기밀할 수 있는 구조는 지금까지 어떠한 기술로도 해결된 바 없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112775호
2.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91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창호의 코너부분, 즉 수평과 수직 프레임의 맞댄 부분의 틈 사이를 효과적으로 기밀함으로써 비와 바람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오염 방지와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단부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맞대어 결합하고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를 구비하는 코너결합구로 이루어지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코너결합구의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 사이에는 연결대에 의한 이격거리만큼 실리콘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은 상기 실리콘충진공간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중의 어느 일측에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을 주입할 수 있는 실리콘주입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실리콘충진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충진공간은 연결대의 직경을 수평결합구나 수직결합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오목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수직프레임의 일단과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절개홈이 서로 맞닿아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유리창설치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종래 불가능했던 창호의 코너부분, 즉 수평과 수직 프레임의 맞댄 부분의 틈 사이를 효과적으로 기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창호의 코너부분, 즉 수평과 수직 프레임을 맞댐으로써 발생하는 틈 사이를 실리콘으로 효과적으로 기밀함으로써 비와 바람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오염 방지와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창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창호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주입공에 실리콘을 주입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코너결합구의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 충진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창호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주입공에 실리콘을 주입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코너결합구의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 충진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창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창호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주입공에 실리콘을 주입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코너결합구의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 충진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창호는,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한쌍의 수평프레임(110)과, 한쌍의 수직프레임(120)의 각 단부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맞대어 결합하고 수평결합구(131)와 수직결합구(132)를 구비하는 코너결합구(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너결합구(130)의 수평결합구(131)와 수직결합구(132)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대(13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결합구(131)와 수직결합구(132) 사이에는 연결대(133)에 의한 이격거리만큼 실리콘충진공간(130a)이 형성되도록 하되,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이 맞닿는 부분이 상기 실리콘충진공간(130a)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중의 어느 일측에 실리콘충진공간(130a)에 실리콘(A)을 주입할 수 있는 실리콘주입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된 절개홈(111)과 수직프레임(120)의 일단에 각각 절개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서로 맞닿았을 때 상기 절개홈(111,121)이 서로 포개지면서 하나의 통공, 즉 실리콘주입공(111a,121a)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실리콘주입공(111a,121a)이 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주입공(111a,121a)은 실리콘충진공간(130a)과 무조건 연통되는 구조여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충진공간(130a)은 연결대(133)가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결대(133)의 직경을 수평결합구(131)나 수직결합구(13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오목홈처럼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대(133)는 수평결합구(131)나 수직결합구(132) 높이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오목홈이 되는 구조이다.
상기 코너결합구(130)는 수평프레임(11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수평결합부(131)와, 수직프레임(12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수직결합부(1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너결합구(130)의 대각선 방향, 즉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코너결합구(130)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 실리콘충진공간(130a)이 빙둘러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서로 맞닿는 부분이 실리콘충진공간(130a)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함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이는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서로 맞닿을 때 필연적으로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틈을 실리콘충진공간(130a)에 채워지는 실리콘(A)이 막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충진공간(130a)에 실리콘(A)을 외부로 부터 주입할 수 있는 실리콘주입공(111a,121a)이 반드시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때 실리콘주입공(111a,121a)은 상기 실리콘충진공간(130a)과 연통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실리콘주입공(111a,121a)은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유리창설치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나의 실리콘주입공(111a,121a)을 통해 주입되는 실리콘(A)이 밀폐된 실리콘충진공간(130a)에 채워짐에 있어 다른 하나의 실리콘주입공(111a,121a)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쉽게 충진할 수 있게 된다.
또 대개 어느 하나의 실리콘주입공(111a,121a)으로 주입하게 되는 실리콘(A)은 실리콘충진공간(130a)을 가득 채우고 다른 하나의 실리콘주입공(111a,121a)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처럼 다른 하나의 실리콘주입공(111a,121a)을 통해 실리콘(A)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실리콘충진공간(130a) 안에 실리콘(A)이 충분이 충진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실리콘(A) 충진작업을 멈출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실리콘주입공(111a,121a)이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실리콘(A) 주입도 쉽기 않고, 또 얼마나 실리콘(A)이 충진되었는지 확인도 곤란하여 시공불량을 양산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실리콘주입공(111a,121a)은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유리창설치면에 천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리콘(A)이 주입되고 노출된 실리콘(A)들이 이후 설치된 유리창(미도시)에 의해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창호 미관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창설치면이라 함은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에 유리창(미도시)을 끼우게 되는 안쪽면을 의미한다.
상기 실리콘(A)은 우레탄은 물론 수많은 유동성 기밀소재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실리콘(A)은 실리콘주입공구(B)를 사용하여 충진하게 되는데 상기 실리콘주입공구(B)의 주입노즐을 실리콘주입공(111a,121a)에 대고 실리콘(A)을 충진하게 되면 실리콘(A)이 실리콘주입공구(B)을 가득 채운 상태로 충진이 완료되어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사이의 내부 틈을 기밀할 수 있게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수평프레임
111: 절개홈
111a: 실리콘주입공
120: 수직프레임 121: 절개홈
121a: 실리콘주입공
130: 코너결합구 130a: 실리콘 충진홈
131: 수평결합구 132: 수직결합구
140: 밀폐부재벌림수단 141: 가압부재
142: 푸쉬보드(push board)
150: 밀폐부재
160: 가압수단
A: 실리콘 B: 실리콘주입공구
111a: 실리콘주입공
120: 수직프레임 121: 절개홈
121a: 실리콘주입공
130: 코너결합구 130a: 실리콘 충진홈
131: 수평결합구 132: 수직결합구
140: 밀폐부재벌림수단 141: 가압부재
142: 푸쉬보드(push board)
150: 밀폐부재
160: 가압수단
A: 실리콘 B: 실리콘주입공구
Claims (4)
-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수평프레임과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단부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맞대어 결합하고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를 구비하는 코너결합구로 이루어지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코너결합구의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결합구와 수직결합구 사이에는 연결대에 의한 이격거리만큼 실리콘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은 상기 실리콘충진공간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중의 어느 일측에 실리콘충진공간에 실리콘을 주입할 수 있는 실리콘주입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실리콘충진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충진공간은 연결대의 직경을 수평결합구나 수직결합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오목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수직프레임의 일단과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절개홈이 서로 맞닿아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주입공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유리창설치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760A KR20210104261A (ko) | 2020-02-17 | 2020-02-17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760A KR20210104261A (ko) | 2020-02-17 | 2020-02-17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261A true KR20210104261A (ko) | 2021-08-25 |
Family
ID=7749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8760A KR20210104261A (ko) | 2020-02-17 | 2020-02-17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04261A (ko) |
-
2020
- 2020-02-17 KR KR1020200018760A patent/KR202101042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315157C (en) | Frame assembly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 |
WOOD | Content | |
US7779584B2 (en) | Curtain wall system | |
CA2709620C (en) | Insulated frame member | |
KR20210110957A (ko)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 | |
KR20210104261A (ko)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 | |
US20210324675A1 (en) | Inner frame for door or window, skyligh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212054305U (zh) | 一种整体填充式门窗框体 | |
KR102322293B1 (ko) | 유리지지대의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 |
KR102448911B1 (ko) | 코너결합부의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창호의 구조 | |
CN213775183U (zh) | 一种带防护栏的窗户 | |
CN210659760U (zh) | 一种弹开式耐火门窗玻璃压条 | |
CN209444172U (zh) | 隔热窗户系统 | |
CN219953074U (zh) | 一种转角旧窗改造结构 | |
CN213297636U (zh) | 一种多功能铝合金断桥内开内倒窗 | |
CN110792362A (zh) | 一种整体填充式门窗框体及其制作方法 | |
CN215169411U (zh) | 一种门窗中挺连接件及中挺连接结构 | |
CN220769306U (zh) | 一种外平开门窗的中梃拼接密封结构 | |
CN209838135U (zh) | 一种隐扇外开窗结构 | |
CN210768378U (zh) | 一种转角铝合金平开窗 | |
CN218150457U (zh) | 一种新型无中挺对开窗纱一体式结构 | |
CN204983285U (zh) | 一种节约泡沫棒和硅酮密封胶的幕墙收口结构 | |
KR20200022707A (ko) |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 | |
KR940006577Y1 (ko) |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 |
CN215804241U (zh) | 一种间隙密封结构及铝合金门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