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97317A -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317A
KR20210097317A KR1020200010850A KR20200010850A KR20210097317A KR 20210097317 A KR20210097317 A KR 20210097317A KR 1020200010850 A KR1020200010850 A KR 1020200010850A KR 20200010850 A KR20200010850 A KR 20200010850A KR 20210097317 A KR20210097317 A KR 2021009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age
management
vehicle
data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민
정태권
송영기
최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주)에이아이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주)에이아이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Priority to KR102020001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317A/ko
Publication of KR2021009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3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고지 및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 단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A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STATES OF A GARAGE}
본 발명은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고지 및 차고지에 주차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고, 감시된 관리 상태에 기반하여 차고지 및 차량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한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시티(smart city)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주요 도시의 공공 기능을 네트워크한 도시로서, 도시 구성원들간 네트워크가 완벽하게 갖춰지고, 교통망이 거미줄과 같이 효율적으로 짜인 것이 특징이다.
최근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자율 주행 차량 등 스마트 시티 구축의 기술적 여건이 조성되면서, 스마트 시티 산업이 본격화되고 있고, 스마트 시티 통합 플랫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스마트 시티 등에서 운영 중인 자율 주행 차량은 전기 배터리와 자율 주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실시간으로 전기 배터리의 상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상태 및 고장 유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율 주행 차량에 탑재된 전기 배터리와 같은 전기 장치들은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에 민감하므로 자율 주행 차량을 보관하는 차고지의 내부 환경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차고지는 단순히 차량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국한되어 있으므로 차량 및 차고지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취득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818(2017.09.0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고지 및 차고지에 주차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고, 감시된 관리 상태에 기반하여 차고지 및 차량을 관리할 수 있어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는 차고지 및 상기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 단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고지에 설치되어 상기 차고지의 온도, 습도, 상기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환경 센서; 및 상기 차고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진단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로 판단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요청 항목으로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차량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응하는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는 상기 관리 단말부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기 상태 진단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단말부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고지는 적어도 하나의 차고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차고지 영역을 식별하는 차고지 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차고지 식별자 별로 상기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관제 서버와 통신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은 센서부에서, 차고지 및 상기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관리 단말부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부에서, 상기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차고지에 설치된 환경 센서에서, 상기 차고지의 온도, 습도, 상기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센서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차고지에 입고된 상태로 검출된 경우 상기 차고지에 설치된 진단 센서에서,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고지는 적어도 하나의 차고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고지 영역을 식별하는 차고지 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에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응하는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서, 상기 관리 단말부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서.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기 상태 진단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서, 상기 상태 진단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관제 서버와 통신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차고지 및 차고지에 주차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고, 감시된 관리 상태에 기반하여 차고지 및 차량을 관리함으로써 운영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리 단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가 설치된 스마트 차고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 차량 관제 서버(120) 및 운영자 단말(130)을 포함한다.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차고지에 설치되고, 차량 관제 서버(120) 및 운영자 단말(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스마트 시티 등에서 운영되는 자율 주행 차량을 대상으로 관리하는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자율 주행 차량은 전기 배터리 및 자율 주행 알고리즘이 탑재된 차량으로서, 스마트 시티 등에서는 차량 관제 서버(120)의 통제 하에 주행할 수 있다.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차고지 및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데이터로부터 수리, 보수, 업그레이드 등이 필요한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정상 동작에 필요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로 판단된 데이터를 관리 요청 항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120)로 전송하고, 차량 관제 서버(120)로부터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130)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관제 서버(120) 및 운영자 단말(130)과 통신할 수 있고, 복수의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가 차량 관제 서버(120) 및 운영자 단말(130)과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차량 관제 서버(120)는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로부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태 진단 정보로 생성하여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차량 관제 서버(120)는 스마트 시티에서 운영되는 중앙 관리 서버의 일종으로서, 차고지 및 차량 관리에 필요한 종합 관리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차량 관제 서버(120)에는 차고지의 위치, 차량의 종류, 차고지 및 차량의 정상 운영에 필요한 백업 정보, 날씨, 기온 등의 외부 환경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백업 정보는 차고지의 최적 온도, 최적 습도, 차량에 탑재된 전기 배터리의 최저 및 최대 충전 전압, 충전 필요 기준 전압, 제어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최신 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제 서버(120)에는 차량의 고장 여부나 차고지의 수리/보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차량 관제 서버(120)는 미리 저장된 종합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130)은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로부터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을 생성하고,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여기에서, 운영자 단말(130)은 차고지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 단말(130)은 데스크톱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 노트북 PC, 스마트폰, 휴대폰, 네비게이션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임의의 전자장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는 센서부(112) 및 관리 단말부(114)를 포함한다. 센서부(112)는 차고지 내에 설치되어 차고지 및 차고지에 주차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센서부(112)는 차고지의 내부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환경 센서(1121) 및 차량의 운영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진단 센서(1123)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112)는 차고지의 온도, 습도,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환경 센서(1121)는 차고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경 센서(1121)가 차고지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 다른 센서를 포함하여 차고지의 내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진단 센서(1123)는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진단 센서(1123)는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통신하여 제어기로부터 설정 정보 및 충전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단 센서(1123)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센서(미도시)로부터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수신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진단 센서(1123)가 차고지 내부에 설치되고, 입고된 차량과 접촉하여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직접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진단 센서(1123)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관리 단말부(114)가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통신하여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어기의 설정 정보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진단 센서(1123)는 설정 정보 이외에 고장 알림 정보, 주행 정보, 주행 예정 정보 등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관리 단말부(114)는 센서부(112)로부터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120)로 전송한다. 관리 단말부(114)는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로 판단된 데이터를 관리 요청 항목으로 검출할 수 있다.
관리 단말부(114)는 차량 관리 서버(120)로부터 관리 요청 항목에 대응하는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부(114)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IoT 단말기로서, 차고지 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관리 단말부(114)는 임베디드 제어 보드와 3G/4G/5G 통신 모뎀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센서부(112)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은 IoT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리 단말부(114)는 모뎀을 통해 차량 관제 서버(120) 및 운영자 단말(13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 단말부(114)가 센서부(112)를 포함하는 일체형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리 단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단말부(114)는 통신부(1141), 데이터 처리부(1143), 데이터 선별부(1145), 메모리(1147) 및 제어부(1149)를 포함한다. 통신부(1141)는 센서부(112), 차량 관제 서버(120) 및 운영자 단말(130) 각각과 통신한다.
데이터 처리부(1143)는 센서부(112)로부터 수집된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부(1141)를 통해 수신하여 메모리(1147)에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1143)는 데이터 선별부(1145)로부터 관리 요청 항목을 전달받고,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부(1141)를 통해 차량 관제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143)는 통신부(1141)를 통해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147)에 저장하고, 운영자 단말(130)에 전송한다.
데이터 선별부(1145)는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 데이터 선별부(1145)는 이상 상태로 판단된 데이터를 관리 요청 항목으로 선별한다.
메모리(1147)에는 센서부(112)로부터 수신된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 기준 관리 데이터, 상태 진단 정보, 차고지 식별자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149)는 관리 단말부(114)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1141), 데이터 처리부(1143), 데이터 선별부(1145) 및 메모리(1147)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1143), 데이터 선별부(1145), 메모리(1147) 및 제어부(1149)는 임베디드 제어 보드로 구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가 설치된 스마트 차고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a는 조감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다.
도 4a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400)는 스마트 시티에서 운영하는 차고지로서, 제1 차고지 영역(410), 제2 차고지 영역(420), 사무실 영역(430) 및 정비실 영역(44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차고지 영역(410, 420)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차량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각각 포함한다.
제1 및 제2 차고지 영역(410, 420) 각각에는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차고지 영역(410, 420) 각각에 센서부(112) 및 관리 단말부(1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리 단말부(114)는 차고지 식별자를 기준으로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차고지 식별자와 함께 관리 요청 항목을 차량 관제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제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상태 진단 정보를 차고지 식별자와 함께 운영자 단말(1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차고지 영역(410, 420)에 입고되는 차량(412)은 전기 배터리(4121) 및 제어기(4123)가 탑재된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차고지 영역(410, 420) 각각에는 차량(412)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차고지 영역(410, 420) 각각에는 차고지의 내부 환경을 관리하고, 차량의 유지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기기들과 전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 컴퓨터, 220V 전원 콘센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무실 영역(430)은 차고지를 관리하는 운영자가 대기하는 장소이며, 운영자가 사용하는 운영자 단말(130), 책상 등과 같은 사무 기기, 컴퓨터, 220V 전원 콘센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정비실 영역(440)은 차고지에 주차된 차량을 수리하고, 정비하기 위해 필요한 공구/툴(tool)를 보관하는 장소이며, 컴퓨터, 220V 전원 콘센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먼저 센서부(112)는 차고지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한다(단계 S510). 예를 들어, 센서부(112)는 차고지의 온도, 습도,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12)는 차고지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관리 단말부(114)에 전송한다(단계 S520). 이때, 센서부(112)는 차량이 차고지에 입고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고(단계 S530), 차량이 입고된 상태인 경우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한다(단계 S540). 그 다음, 센서부(112)는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관리 단말부(114)에 전송한다(단계 S550).
관리 단말부(114)는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로 판단된 데이터를 관리 요청 항목으로 검출한다(단계 S560).
그 다음, 관리 단말부(114)는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120)로 전송한다(단계 S570). 차량 관제 서버(120)는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 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태 진단 정보로 생성한다(단계 S580).
차량 관제 서버(120)는 상태 진단 정보를 관리 단말부(114)에 전송하고(단계 S590), 관리 단말부(114)는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130)에 전송한다(단계 S600). 운영자 단말(130)은 상태 진단 정보를 알림 및 표시한다. 따라서, 운영자에 의해 차고지 및 차량의 수리/보수, 업데이트 등이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은 차고지에 설치된 센서부(112)를 통해 차고지 및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 단말부(114)를 통해 모니터링된 관리 상태 데이터 중 이상 상태로 판단되어 관리가 필요한 항목을 선별하고, 선별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의 차량 관제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차고지 및 차량의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 시티 등 중앙 관제 센터의 통제가 필요한 지역에서 자율 주행 차량의 전기 배터리 상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상태 및 고장 유무 뿐만 아니라 자율 주행 차량을 보관하는 차고지의 온도, 습도, 수리/보수 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함으로써 운영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시스템
110: 스마트 차고지 관리 장치
120: 차량 관제 서버
130: 운영자 단말

Claims (14)

  1. 차고지 및 상기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 단말부를 포함하여,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고지에 설치되어 상기 차고지의 온도, 습도, 상기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환경 센서; 및
    상기 차고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진단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로 판단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요청 항목으로 검출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차량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응하는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는
    상기 관리 단말부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기 상태 진단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단말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고지는 적어도 하나의 차고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단말부는 상기 차고지 영역을 식별하는 차고지 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차고지 식별자 별로 상기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관제 서버와 통신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장치.
  8. 센서부에서, 차고지 및 상기 차고지에 입고된 차량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관리 단말부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부에서, 상기 검출된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차고지에 설치된 환경 센서에서, 상기 차고지의 온도, 습도, 상기 차량의 입고 및 출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센서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차고지에 입고된 상태로 검출된 경우 상기 차고지에 설치된 진단 센서에서,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의 설정 정보 및 전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고지는 적어도 하나의 차고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요청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고지 영역을 식별하는 차고지 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차고지 및 상기 차량의 관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에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응하는 상태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서, 상기 관리 단말부로부터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서. 상기 관리 요청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기 상태 진단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제 서버에서, 상기 상태 진단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부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관제 서버와 통신하는 스마트 차고지의 관리 방법.
KR1020200010850A 2020-01-30 2020-01-30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Ceased KR20210097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50A KR20210097317A (ko) 2020-01-30 2020-01-30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50A KR20210097317A (ko) 2020-01-30 2020-01-30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317A true KR20210097317A (ko) 2021-08-09

Family

ID=7731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850A Ceased KR20210097317A (ko) 2020-01-30 2020-01-30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73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1730A (zh) * 2021-10-21 2022-02-25 上海聚均科技有限公司 车辆状态监测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818A (ko) 2017-08-14 2017-09-01 옥은호 자율주행 자동차 전용 고속도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818A (ko) 2017-08-14 2017-09-01 옥은호 자율주행 자동차 전용 고속도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1730A (zh) * 2021-10-21 2022-02-25 上海聚均科技有限公司 车辆状态监测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3949B (zh) 空调机的诊断系统、空调机以及移动通信终端
KR100652876B1 (ko) 건설기계의 무선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메인터넌스 시스템
US9898921B2 (en) Security system installation
KR10240318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659131A1 (e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integrated device to monitor and control events in an environment
KR101834776B1 (ko) 서버에서 재가공된 정보를 통해 스카다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
KR101488357B1 (ko) 스마트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0003124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US9801001B2 (en)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combined beacon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EP3070883A1 (en)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ting home appliance
KR20190102885A (ko)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2010B1 (ko)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23487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3791571A (zh) 一种智能建筑楼宇设备自控报警装置
US2021015545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 out-of-operation state of an elevator system based on control bus traffic
KR101259803B1 (ko) 멀티에어컨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에러관리방법
KR20210097317A (ko) 차고지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방법
CN118795792B (zh) 用于家电的远程控制方法
WO2018216115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10107675B2 (en) Motor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8129663A (ja) 遠隔表示可能な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4550253B2 (ja) 空調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室内機の監視方法
US20200326677A1 (en) Plug-in sensory communication device
KR102252533B1 (ko) 로라 통신망을 이용한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장치
KR102074342B1 (ko) 디스플레이 터치 방식의 시설물관리 및 원방관제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