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150A -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7150A KR20210087150A KR1020200000073A KR20200000073A KR20210087150A KR 20210087150 A KR20210087150 A KR 20210087150A KR 1020200000073 A KR1020200000073 A KR 1020200000073A KR 20200000073 A KR20200000073 A KR 20200000073A KR 20210087150 A KR20210087150 A KR 202100871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refrigerator
- temperature
- entrance
- h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25D13/04—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the compartmen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wire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온장 모드에서 온되는 히터를 포함하며, 냉기 공급 모듈로서 압축기와 증발기 및 증발팬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이 제공되는 구조에서, 상기 히터는 증발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열전 소자와 콜드 싱크 및 흡열팬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이 제공되는 구조에서, 상기 히터는 상기 흡열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 및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거나 현관 복도를 경계짓는 벽에 매립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 제시된 현관용 냉장고의 경우 냉장 또는 냉동 모드로만 운전이 가능할 뿐, 온장 모드 운전의 선택적 전환은 불가능한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냉장 또는 냉동 운전 모드 뿐만 아니라, 저장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온장 모드 운전이 가능한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온장 모드에서 온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냉기 공급 모듈로서 압축기와 증발기 및 증발팬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이 제공되는 구조에서, 상기 히터는 증발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열전 소자와 콜드 싱크 및 흡열팬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이 제공되는 구조에서, 상기 히터는 상기 흡열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제상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온장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히터만 단독으로 켜지거나, 상기 히터와 제상 히터가 동시에 켜질 수 있다.
온장 모드가 종료하면, 상기 히터와 상기 제상 히터가 동시에 꺼지거나, 제상 히터가 먼저 꺼진 후 상기 히터가 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냉장 또는 냉동 보관 기능뿐만 아니라, 보온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배송물품을 위한 온장 보관 기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장착된 현관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기 공급 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11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후방에서 일어나는 공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장 히터가 장착된 증발팬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기 공급 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11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후방에서 일어나는 공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장 히터가 장착된 증발팬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장착된 현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옥내와 복도를 구획하는 외벽(1)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프레임(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내측에 현관 도어(3)와, 상기 현관 도어(3)의 측방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3)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 사이에는 구획부(7) 또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7)에는 상기 현관 도어(3)의 개폐 및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일측에는 접근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수납할 택배 물품의 암호화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리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면 인식 센서를 통해서 인식된 접근자의 얼굴 이미지가 상기 컨트롤 패널(4)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4)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안면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관 도어(3)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후술함)와 실내측 도어(후술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택배 물품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를 개방시키고, 실외측 도어가 닫힘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실외측 도어의 잠금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이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와 실내측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된 컨트롤 패널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본체 또는 실외측 도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상측에는 제 1 저장고(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제 2 저장고(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고(5)는 물품을 따뜻한 상태로 보관하는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고(6)는 상온으로 유지되어 단순히 택배 물품의 저장 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고내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되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저장고(5)가 냉장 또는 냉동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저장고(6)가 택배 물품의 보관 기능만 수행하도록 상온으로 유지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실내 현관 측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 3 저장고(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저장고(8)는 신발이나 우산 또는 세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전방 일부분이 외벽(1)을 관통하는 벽 매립형 냉장고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전단 일부가 외벽(1)에 매립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114)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12)와,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115)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13)와,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기 공급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개구부(114)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전면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내측 개구부(115)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측면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모듈(20)과,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의 일부 구성을 수용하는 하우징(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상기 하우징(28)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인너 씰러(31)와 아우터 씰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씰러(31)는 상기 외측 개구부(114)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아우터 씰러(32)는 상기 내측 개구부(115)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을 저장실(101)과 증발실(102)로 구획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7)(또는 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은, 외형을 이루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의 내측에 제공되는 인너 케이스(112),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인너 케이스(1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1)과 상기 증발실(102)은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기 공급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압축기(21), 응축기, 모세관(23), 증발기(24), 응축팬(25), 증발팬(26), 및 이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냉매 회로를 형성하는 냉매 배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24)에는 제상 히터(24a)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상 히터(24a)는 상기 증발기(24)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24a)는 상기 증발기(24)의 하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의 전면과 배면에 걸쳐서 고르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는, 메인 응축기(22)와 보조 응축기(27)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설계 냉력(cooling capacity)에 따라 단일의 응축기가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압축기(21)의 출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응축기(22)와 상기 보조 응축기(27)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메인 응축기(22)와 상기 보조 응축기(27)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메인 응축기(22)와 보조 응축기(27) 쪽으로 냉배 배관이 분지되는 지점에 절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요구되는 냉력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절환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메인 응축기(22)만 사용되거나, 상기 메인 응축기(22) 및 보조 응축기(27) 모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응축기(22)와 보조 응축기(27)가 모두 사용되되, 상기 보조 응축기(27) 쪽으로 가는 냉매의 양이 상기 절환 밸브의 개도에 따라 가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응축기의 출구에는 상기 모세관(23)이 연결되고, 상기 모세관(23)의 출구에는 상기 증발기(2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4)의 출구에서 연장되는 냉매 배관(200)은 상기 압축기(21)의 입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메인 응축기(22) 및 상기 응축팬(25)은 상기 하우징(28)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25)은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메인 응축기(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응축기(27)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구체적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의 후면에 고정되어, 외부 공기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세관(23)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서 온도와 압력을 낮추는 수단으로서, 상기 모세관(23) 대신 팽창 밸브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모세관(23)은 팽창 부재의 일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23)과 상기 증발기(24)는 상기 증발실(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증발팬(26)은 상기 증발기(2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캐비닛(11)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111)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1)는, 전면과 측면 일부가 개구된 케이스 바디(111a)와,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전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플랜지(111b)와,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일 측면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슬리브(111f)와,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후면에 정의되는 하우징 안착부(111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1b)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개구부(111d)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111f)에 의하여 내측 개구부(111e)가 정의된다. 상기 슬리브(111f)는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고, 사각형 띠 형상으로 둘러져서, 내측에 상기 내측 개구부(111e)를 형성한다. 즉, 상기 슬리브(111f)는, 좌측 슬리브, 우측 슬리브, 상측 슬리브, 및 하측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측 슬리브는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리브와, 상기 하측 슬리브는 모두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측면과 직교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111b)의 전면에는 씰러 홈(111c)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씰러 홈(111c)에는 상기 인너 씰러(31)의 체결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11b)는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부재가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111f)도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측면 일부가 절곡 연장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플랜지 형태로 상기 내측 개구부(111e)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내측 바닥면에는 드레인 홀(111h)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내측 바닥면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에 의하여 저장실 바닥면과 증발실 바닥면으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드레인홀(111h)은 상기 증발실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홀(111h)은 상기 증발실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증발실 바닥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홀(111h)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증발기(24)로부터 상기 증발실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드레인 홀(111h) 쪽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인너 케이스(111)의 후면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 안착부(111g)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안착부(111g)는, 상기 케이스 바디(111a)의 상면 후단이 소정 깊이 단차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안착부(111g)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28)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안착부(111g)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하우징(28) 바닥부의 전후 방향 폭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을 저장실(101)과 증발실(102)로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는 구획 플레이트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는 토출 그릴(171)이 형성될 수 있고, 하단에는 흡입 그릴(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171)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배면에는 상기 증발팬(26)이 결합되어, 상기 증발실(102) 내부의 냉기가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그릴(172)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 내부의 냉기가 상기 증발실(102)로 되돌아간다. 상기 토출 그릴(171)이 상기 흡입 그릴(172)보다 상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증발팬(26)이 구동하면, 상기 증발실(102)의 냉기가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된 후 상기 저장실(101) 바닥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 바닥(101)에 존재하는 냉기는 상기 흡입 그릴(172)을 통하여 상기 증발실(102)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실(102)로 되돌아간 냉기는 증발실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증발기(24)와 열교환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8)은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에 형성된 하우징 안착부(110: 도 14 참조)에 놓인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 상단이 소정 깊이로 단차지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하우징(28)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28)의 전후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상기 하우징(28)은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28)의 배면이 상기 캐비닛(11)의 배면보다 더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8)은 전면부와, 좌측면부(283), 우측면부(282), 상면부(281), 배면부(284), 및 저면부(285)를 포함하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는 개방될 수도 있고 폐쇄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8)의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의 수직면에 밀착될 것이다. 만대로, 상기 전면부가 밀폐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8)의 전면부는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의 수직면에 밀착될 것이다.
상기 하우징(28)의 전후 방향 폭이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의 전후 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저면부(285)의 일부분만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의 수평부(또는 바닥부)에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284)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28)의 각 면에는 다수의 방열홀들(28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면부(281)와 저면부(285)에는, 상기 하우징(28)의 전단부로부터 후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285)에서 상기 방열홀들(286)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상기 하우징(28)이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의 바닥부와 밀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상면부(281)에 형성되는 방열홀(286)도 저면부(285)와 동일하게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부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8)의 상면부(281)와 저면부(285)를 구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상면부(281) 전체에 방열홀들(286)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8)의 저면부(285)가 지정되므로, 상기 하우징(28)을 상기 하우징 안착부(110)에 결합할 때 주의를 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홀들(286)은 상기 측면부들(282,283)과 상기 배면부(284)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후방에서 일어나는 공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8)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응축기, 구체적으로 메인 응축기(22)가 수용되고, 상기 보조 응축기(27)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면, 상기 압축기(21)가 구동한다. 상기 압축기(21)는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킨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21)의 내부 온도는 상기 하우징(27)의 외부 온도보다 높다.
또한, 상기 압축기(21)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응축기(22,27)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면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응축기(22,27)로부터 많은 열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응축기(22,27)와 상기 하우징(28)의 외부에 있는 공기가 신속하게 열교환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가 모두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상변화하여야 상기 냉동 사이클의 효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팬(25)이 구동하면, 상기 하우징(28)의 외부에 있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되어야 하고, 유입 과정에서 유동 저항이 적을수록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하우징(28)의 표면에는 다수의 방열홀들(286)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응축팬(25)이 구동하면, 상기 하우징(28)의 저면부(285)와 우측면부(284)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28)의 외부에 있는 실내 공기가 상기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압축기(21)를 통과하면서 상기 압축기(21)를 냉각시킨다.
상기 압축기(21)를 냉각시킨 실내 공기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28)의 상면부(281)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응축팬(25)을 거쳐 상기 메인 응축기(22) 쪽으로 흐른다.
상기 메인 응축기(22) 쪽으로 흐르는 실내 공기는 상기 메인 응축기(22)를 냉각시킨 후 온도가 증가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28)의 상면부(281)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메인 응축기(22)가 놓인 상기 하우징(28)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8)의 저면부(285)를 통해서 실내 공기가 상기 메인 응축기(22) 쪽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응축기(2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밀도가 낮아진 공기가 상기 하우징(28)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하우징(28) 내부의 압력이 상기 하우징(28)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하우징(28)의 외부에 있는 실내 공기는 상기 저면부(285)에 형성된 방열홀들(286)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응축기(27)는, 실내 공기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응축팬(22)의 구동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실내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응축팬(22)이 구동하면 상기 캐비닛(11)의 후방 영역에서 공기의 강제 유동이 일어나므로, 실내 공기와 상기 보조 응축기(27)와의 열교환 양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장 히터가 장착된 증발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온장 모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온장 히터(18)가 필요하며, 상기 온장 히터(18)는 증발팬 모듈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증발팬 모듈은, 상기 증발팬(26)과, 상기 증발팬(26)을 수용하는 팬 커버(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커버(261)는, 내부에 상기 증발팬(26)을 수용하는 팬 수용부(261a)와, 상기 팬 수용부(261a)의 전단에서 연장되는 냉기 확산부(261b), 및 상기 팬 수용부(261a)의 전단에 혀성되는 커버 그릴(26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확산부(261b)는, 전단부로 갈수록 좌우 폭 및 또는 상하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온장 히터(18)는 상기 팬 커버(261)의 전단부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장 히터(18)는 상기 냉기 확산부(261b)의 전단부와 상기 커버 그릴(261c) 사이에 해당하는 어느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증발팬(26)이 작동하고, 상기 온장 히터(18)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온장 히터(18)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증발팬(26)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냉장 모드로 운전되고 있는 동안(S11), 현관용 냉장고(10)의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입력부(입력 버튼 또는 터치 버튼)를 통해서 온장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지한다(S12).
입력부를 통하여 온장 모드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여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킨다. 즉, 냉매의 순환을 정지시켜, 상기 저장실(101)로 냉기 공급을 중단시킨다.
다만, 냉장 운전(또는 냉동 운전) 과정에서 구동하고 있던 증발팬(26)은 계속해서 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압축기(21)의 정지와 함께 상기 온장 히터(18)를 온시킨다. 즉, 상기 온장 히터(18)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온장 히터(18)가 발열되도록 한다(S13).
냉장 모드에서는, 상기 증발팬(26)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증발실(102)에 있는 냉기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에 형성된 상기 토출 그릴(171)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1)에 있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냉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흡입 그릴(172)을 통하여 상기 증발실(102)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증발실(102)로 되돌아간 냉기는 상기 증발기(24)와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하강하고, 다시 상기 토출 그릴(171)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된다.
한편, 온장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증발팬(26)은 계속해서 구동하므로, 증발실(102)과 저장실(101) 간의 냉기 순환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21)의 구동이 정지하였기 때문에 냉매의 순환은 일어나지 않으며, 그 결과, 증발실(102) 공기가 증발기(24)와 열교환량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 상기 온장 히터(18)가 온되면, 상기 증발기(24)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가 상기 온장 히터(17)로부터 열을 공급 받아 온도가 상승한 다음, 상기 토출 그릴(171)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온장 히터(18)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실(101) 내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미도시)로부터 저장실 온도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그리고,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장 히터를 오프시킨다(S15).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냉장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6), 냉장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온장 히터(18)를 온오프시켜서 상기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온장 모드 운전 중에 냉장 모드로의 재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전원을 끄는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그리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냉장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S11)로 되돌아간다.
한편, 본 플로차트에서는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한 경우에 온장 히터를 오프시키고 냉장 모드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저장실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S14)에서,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냉장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냉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장 히터를 오프시키고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장 모드가 재수행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을 위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온장 히터와 제상 히터를 동시에 온오프 시켜서 저장실 온도(T)가 신속하게 설정 온도(Ts)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온장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S21), 현관용 냉장고(10)의 운전 조건이 냉장 모드에서 온장 모드로 전환되거나, 상온 보관 모드에서 온장 모드로 전환된다. 상온 보관 모드라 함은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지 않는 운전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온장 모드 진입 명령에 따라 온장 모드 운전이 시작되면,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축기 구동은 정지하고 증발팬만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현재 저장실의 온도(T)가 온장 하한 온도(Tk) 이하로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만일, 현재의 저장실 온도(T)가 온장 하한 온도(Tk)보다 높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온장 히터(18)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서 냉장 모드 전환 명령 또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반면, 현재의 저장실 온도(T)가 온장 하한 온도(Tk)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장 히터(18)와 상기 제상 히터(24a)를 온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저장실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저장시 온도값을 수신하여, 저장시 온도(T)가 설정 온도(Ts)까지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상기 설정 온도(Ts)는 저장실 상한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상기 온장 히터(18)와 제상 히터(24a)는 온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장 히터(18)와 상기 제상 히터(24a)를 동시에 오프시킨다(S25).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서 냉장 모드 전환 명령 또는 현관용 냉장고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만일, 냉장 모드 전환 명령 또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장실 온도가 하한 온도와 상한 온도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장 히터(18)와 제상 히터(24a)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 모드에서 온장 모드로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상 히터(24a)를 작동시키므로, 증발기(24) 표면에 형성된 성에 또는 얼음을 제거하는 제상 운전이 함께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온장 히터의 발열 온도와 상기 제상 히터의 발열 온도는 서로 다르게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상 히터의 발열 온도는 상기 온장 히터의 발열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상 히터는 증발기(24)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에 매우 인접하게 설치되므로, 증발기(24)의 냉매 배관에 존재하는 냉매의 폭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상 히터의 발열 온도는 상기 온장 히터(18)의 발열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상기 온장 히터(18) 또는 상기 제상 히터(24a)가 설정된 발열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과열된 히터를 강제로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온장 모드의 구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온장 히터와 제상 이터를 동시에 온시킨 후, 저장실 온도에 따라 두 개의 히터를 우선 순위에 따라 시간 차를 두고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온장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어 온장 모드로 진입하면(S31), 상기 제어부는 저장실 온도(T)가 온장 하한 온도(Tk) 이하로 하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2), 저장실 온도(T)가 온장 하한 온도(Tk) 이하로 하강한 경우 온장 히터(18)와 제상 히터(24a)를 동시에 온시키는 것(S33)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온장 히터(18)와 제상 히터(24a)가 동시에 온되고 소정의 시간이 흘러서 저장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 온도(T)가 중간 온도(Tm)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 상기 중간 온도(Tm)는 상기 설정 온도(Ts)(온장 상한 온도)보다 낮고 상기 온장 하한 온도(Tk)보다 높은 어느 온도값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중간 온도(Tm)는 상기 온장 상한 온도와 온장 하한 온도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온도 이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온도(T)가 중간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 히터(24a)를 우선 오프시킬 수 있다(S35).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저장실 온도(T)가 중간 온도 이상이 되면, 설정 온도(Ts)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상기 온장 히터(18)만 작동하여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둘째, 상기 제상 히터(24a)를 상대적으로 일찍 오프시켜, 상기 제상 히터(24a)의 온도가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 온도(상온)에 최대한 가깝게 냉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온장 모드에서 냉장 모드로 운전 조건이 전환되었을 때, 상기 제상 히터(24a)에 남은 잔열이 상기 증발기의 표면 온도를 높여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상 히터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고(S36),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온장 히터(18)도 오프시킨다(S37).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냉장 모드 전환 명령 또는 현관용 냉장고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S38).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모드 전환 명령 또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단계S32 이하의 과정이 반복하여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상 히터를 보조 히터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온장 모드에서 냉장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상 히터가 증발기의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냉기 공급 모듈의 예로서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이 제시되었으나, 열전 소자를 구성 요소로 하는 열전 모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열전 모듈이 적용되는 경우, 열전 소자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와, 상기 콜드 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흡열팬이 상기 증발기와 증발팬의 기능을 대신하고, 열전 소자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의 후방에 배치되는 방열팬이 상기 응축기의 응축팬의 기능을 대신한다.
이때, 상기 온장 히터는 상기 흡열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상 히터는 상기 콜드 싱크의 표면 또는 상기 콜드 싱크의 하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온장 모드 구현을 위한 제어 방법은 상기 도 16 내지 도 18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내용은 열전 소자로의 전원 인가를 중단하는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증발팬 또는 상기 콜드 싱크와 흡열팬은 흡열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응축기와 응축팬 또는 상기 히트 싱크와 방열팬은 방열부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기 공급 모듈은, 크게 흡열부와 방열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히터를 온시키는 것은, 히터를 켜는 것을 의미하고,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은 히터를 끄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매립되고,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하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하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2 면, 및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전방의 저장실과 후방의 증발실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제 1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2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모듈은,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증발실에 배치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로 흡수된 열을 전달받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에 인접하는 상기 증발실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상기 저장실 냉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근처에 배치되는 증발팬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근처에 배치되는 응축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기 공급 모듈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로 토출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증발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모듈은, 흡열면과 발열면이 서로 반대되는 면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는,
상기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와,
상기 콜드 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흡열팬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의 후방에 배치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흡열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콜드 싱크의 표면에 부착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콜드 싱크의 표면 또는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콜드 싱크에 인접한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상 히터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
온장 모드에서 상기 히터만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
온장 모드에서 상기 히터와 상기 제상 히터가 동시에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
온장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히터와 상기 제상 히터가 동시에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
온장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제상 히터가 먼저 꺼진 후 상기 히터가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매립되고,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하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하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2 면, 및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전방의 저장실과 후방의 증발실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제 1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2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증발실에 배치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로 흡수된 열을 전달받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냉기 공급 모듈; 상기 흡열부에 인접하는 상기 증발실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히터;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냉기 공급 모듈과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온장 모드가 입력되고, 상기 냉기 공급 모듈의 작동이 정지하는 단계;
상기 히터가 켜지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저장실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여 상기 히터가 꺼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모듈은 압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는,
증발기와 증발팬을 포함하며,
상기 온장 모드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정지하고, 상기 증발팬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모듈은 흡열면과 발열면을 가지는 열전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는,
상기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와, 상기 콜드 싱크 부근에 배치되는 흡열팬을 포함하며,
상기 온장 모드에서 상기 열전 소자로의 전원 공급은 차단되고, 상기 흡열팬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에 형성되는 성에 또는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상 히터를 더 포함하고,
온장 모드에서 상기 제상 히터는 상기 히터와 동시에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및 상기 제상 히터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T)가 온장 하한 온도(Tk) 이하로 떨어지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면, 상기 히터와 상기 제상 히터가 동시에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T)가, 설정 온도(Ts)보다 낮고 상기 온장 하한 온도(Tk)보다 높은 중간 온도(Tm)에 도달하면, 상기 제상 히터가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ㅎ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T)가 설정 온도(Ts)에 도달하면, 상기 히터가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발열 제어 온도는 상기 제상 히터의 발열 제어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T)가 설정 온도(Ts)보다 낮은 상태에서, 발열 제어 온도를 초과한 히터는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0073A KR20210087150A (ko) | 2020-01-02 | 2020-01-02 |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US16/886,264 US20210207870A1 (en) | 2020-01-02 | 2020-05-28 | Entranc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2010484614.7A CN113063253B (zh) | 2020-01-02 | 2020-06-01 | 玄关用冰箱及其控制方法 |
EP20183332.4A EP3845846B1 (en) | 2020-01-02 | 2020-07-01 | Entranc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0073A KR20210087150A (ko) | 2020-01-02 | 2020-01-02 |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7150A true KR20210087150A (ko) | 2021-07-12 |
Family
ID=7140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0073A KR20210087150A (ko) | 2020-01-02 | 2020-01-02 |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207870A1 (ko) |
EP (1) | EP3845846B1 (ko) |
KR (1) | KR20210087150A (ko) |
CN (1) | CN113063253B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7547Y1 (ko) | 2004-04-30 | 2004-07-27 | 김종만 | 식품 수취용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51539B2 (en) * | 2002-12-30 | 2006-05-30 | Whirlpool Corporation | Convertible refrigerator-freezer |
KR100828045B1 (ko) * | 2006-12-13 | 2008-05-0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
KR20130017001A (ko) * | 2011-08-09 | 2013-02-1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온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
JP5664741B2 (ja) * | 2012-11-22 | 2015-02-0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コンテナ用冷凍装置 |
KR102604833B1 (ko) * | 2016-09-29 | 2023-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WO2018073990A1 (ja) * | 2016-10-20 | 2018-04-26 | Fsx株式会社 | 冷蔵庫 |
JP6744830B2 (ja) * | 2017-02-21 | 2020-08-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冷蔵庫 |
KR102473040B1 (ko) * | 2018-01-10 | 2022-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474913B1 (ko) | 2018-06-22 | 2022-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
-
2020
- 2020-01-02 KR KR1020200000073A patent/KR20210087150A/ko unknown
- 2020-05-28 US US16/886,264 patent/US2021020787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06-01 CN CN202010484614.7A patent/CN113063253B/zh active Active
- 2020-07-01 EP EP20183332.4A patent/EP38458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7547Y1 (ko) | 2004-04-30 | 2004-07-27 | 김종만 | 식품 수취용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063253B (zh) | 2023-06-13 |
EP3845846B1 (en) | 2022-12-14 |
EP3845846A1 (en) | 2021-07-07 |
CN113063253A (zh) | 2021-07-02 |
US20210207870A1 (en)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37395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 |
KR101821289B1 (ko) | 냉장고 | |
JP4833337B2 (ja) |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 |
KR101869165B1 (ko) | 냉장고 | |
WO2020175825A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20180120975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80120976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KR100725495B1 (ko) | 보조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 |
US20080032019A1 (en) | Refrigerator cabinet with a compartment for thawing frozen foods | |
KR20210026864A (ko) |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
CA2548647A1 (en) | Cooling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a refrigeration device | |
EP3845842B1 (en) | Entrance refrigerator and storage system for house entrance having the same | |
KR20210087150A (ko) | 현관용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35646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AU2004282442B2 (en) | Cooling storage chamber and cooling equipment | |
KR101872608B1 (ko) | 냉장고 | |
KR20210087154A (ko) | 현관용 물품 보관 시스템 | |
KR100719246B1 (ko) |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각 장치 및 도어의 냉각 제어 방법 | |
WO2020175824A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20160032455A (ko) | 냉장고 | |
KR0120666Y1 (ko) | 냉장고 | |
JP7475869B2 (ja) | 冷蔵庫 | |
KR100498385B1 (ko) |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 |
KR101424560B1 (ko) |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 |
KR20070059546A (ko) | 냉장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