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79526A -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 Google Patents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526A
KR20210079526A KR1020190171415A KR20190171415A KR20210079526A KR 20210079526 A KR20210079526 A KR 20210079526A KR 1020190171415 A KR1020190171415 A KR 1020190171415A KR 20190171415 A KR20190171415 A KR 20190171415A KR 20210079526 A KR20210079526 A KR 20210079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iffener
diaphragm
joine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1259B1 (en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259B1/en
Publication of KR2021007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8Profile filled with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column part in which a pair of column units having a divided cross-section are joined; a diaphragm part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iffener part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joined to the diaphragm part; and an end plate part joined to the diaphragm part and disposed in an opposite end reg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The composit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continuity of stress transmission.

Description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member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본 발명은 시공성이 향상된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lumn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a joint structure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membe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은 강관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가 강관의 국부좌굴변형을 억제하기 때문에 좌굴에 의한 강관의 내력저하를 방지한다.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prevents the reduction of the strength of the steel pipe due to buckling because the concrete filled inside the steel pipe suppresses the local buckl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또한, 충전된 콘크리트는 강관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기둥이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나타나는 균열에 의한 콘크리트 탈락없이 강도가 상승한다. In addition, since the filled concrete is constrained by the steel pipe, the strength increases without the concrete falling off due to cracks appearing in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or the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column.

따라서,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은 높은 내력특성 및 변형능력을 발휘하여 최대내력 이후에 대변형 영역까지 내력을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exhibits high bearing capacity and deformability, so that it can maintain the bearing strength up to the large deformation region after the maximum bearing strength.

기둥(폐단면 기둥)과 보 접합부에 있어서 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보 플랜지의 응력으로 인해 기둥 플랜지에 면외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Out-of-plane deformation occurs in the column flange due to the stress of the beam flange caused by the moment in the column (closed section column) and the beam joint.

따라서, 접합부의 응력집중이나 휨변형에 대한 보강 및 기둥의 좌굴방지를 위해 다이어프램이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Therefore, the diaphragm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inforce the stress concentration or bending deformation of the joint and to prevent the buckling of the column.

기둥과 보 접합부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은 외다이어프램, 내다이어프램, 관통형 다이어프램으로 구분된다. The diaphragm constituting the column-beam joint is divided into an outer diaphragm, an inner diaphragm, and a through-type diaphragm.

외부다이어프램은 기둥 외부에 수평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써 용접이 쉬운 반면에 다이어프램의 크기가 커서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타 부재와 간섭이 생길수 있다. The external diaphragm is installed by welding a horizontal plate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so it is easy to weld, but since the diaphragm is large in size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interference with other members may occur.

그리고, 기둥면에 설치되는 거더의 단차가 발생할 때에는 각 레벨에 맞는 외다이어프램이 설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합부가 상당히 복잡해지고 시공오차가 발생할 경우 현장시공이 난해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ep difference of the girder installed on the column surface occurs, since the external diaphragm suitable for each level must be installed, the junction becomes quite complicated, and when a construction error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on-site construction becomes difficult.

관통형 다이어프램은 기둥을 절단한 후 다이어프램을 관통시켜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용접량이 많아 잘 사용이 되고 있지 않다. The through-type diaphragm is a method of welding through a diaphragm after cutting a column, and it is not used well because of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elding.

반면에 내부다이어프램은 강관내부에 용접으로 다이어프램을 설치하는 형식으로써 기둥의 특성상 한쪽면은 용접하기가 어렵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phragm is a type in which the diaphragm is installed inside the steel pipe by welding, and it is difficult to weld one side of the colum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W 라는 용접방식을 사용해야만 나머지 한쪽면을 용접할 수 있는데, 기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데다가 국내에서는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다이어프램을 적용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 the other side can be welded only by using a welding method called ESW, but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pply the internal diaphragm because the machine is relatively expensive and there is no equipment in Korea.

따라서, 건설현장에서는 공장에서 제작해 오고 현장에서는 설치만 할 수 있는 상세를 선호한다.Therefore, in construction sites, we prefer details that are manufactured in factories and that can only be installed on site.

이와 같이, 기둥에 내부다이어프램을 사용할 수 있는 상세가 개발이 된다면 폐단면 합성기둥의 활용처가 증가할 수 있는바, 시공성이 향상된 내다이어프램부의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As such, if details that can use the inner diaphragm for the column are developed,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the closed cross-section composite column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inner diaphragm part with improved workability is urgently needed.

KR 20-0394341 Y1KR 20-0394341 Y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응력전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column capable of ensuring continuity of stress transmission, and a joint structure between the composite column and the beam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분할된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이 접합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유닛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부;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부와 접합되는 스티프너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접합되고, 상기 기둥부의 내면의 반대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단부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합성기둥을 제공한다.As an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ar portion to which a pair of pillar units having a divided cross-section are joined; a diaphragm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iffener part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joined to the diaphragm part; and an end plate portion joined to the diaphragm portion and disposed in an end reg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타설되어 경화되는 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ncrete portion poured into the pillar portion and hardened.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을 연결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par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합되는 중앙스티프너;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unit may include a central stiffener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djacent diaphragm unit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종방향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종방향으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스티프너;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part may include an end stiffener extending upward from the diaphragm unit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iaphragm unit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플레이트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 및, 상기 기둥유닛의 내면에 함께 접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d plate portion may be bond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unit and the column unit.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플레이트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의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d plate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and downwardly of the diaphragm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1 스티프너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unit may be formed of a first stiffener member that is vertic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unit and has a '--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스티프너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un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stiffener member that is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unit and has a '--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스티프너부재; 및, 상기 제2 스티프너부재가 접합되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이웃하는 양측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3 스티프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part includes: a second stiffener member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third stiffener member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to which the second stiffener member is joined, and having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T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4 스티프너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ffener unit may include a fourth stiffener member that is vertic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unit and has a 'T-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성기둥; 및, 상기 합성기둥에 연결되고, H형 또는 I형 단면부분을 구비하는 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재의 플랜지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부의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의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프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부재의 웨브부재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As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nthetic pill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a beam member connected to the composite column and having an H-shaped or I-shaped cross-section, wherein the flange member of the beam member is installed in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of the diaphragm part, and the stiffen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 provides a joint structure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eb member of the beam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응력전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stress transfer.

도 1은 내다이어프램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의 ESW 용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내다이어프램 방식의 다이어프램부의 응력분포의 해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합성기둥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합성기둥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합성기둥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합성기둥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응력분포의 해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응력분포의 해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응력분포의 해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응력분포의 해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SW welding method for forming an inner diaphragm.
2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diaphragm part of the conventional inner diaphragm method.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mposite pillar cut away and a plan view of the entir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mposite pillar cut away and a plan view of the entir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mposite pillar cut away and a plan view of the entir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mposite pillar cut away and a plan view of the entire composit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3A and 3B.
7B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4A and 4B.
FIG. 7C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5A and 5B.
FIG. 7D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6A and 6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내다이어프램 방식의 다이어프램부의 응력분포의 해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diaphragm part of the conventional inner diaphragm method.

도 2와 같이, 다이어프램부의 성능 발현을 위해 기둥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phragm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continuou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olumn part for performance expression.

다만, 도 2와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다이어프램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앞서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관내부에 용접으로 다이어프램을 설치하는 형식으로써 기둥의 특성상 한쪽면은 용접하기가 어렵고, ESW 라는 용접방식을 사용해야만 나머지 한쪽면을 용접할 수 있는데, 기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데다가 국내에서는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다이어프램을 적용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and shown in Fig. 2, in order to continuously install the diaphrag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column,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section, the diaphragm is installed inside the steel pipe by welding. It is difficult to weld, and the other side can be welded only by using a welding method called ESW,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pply the inner diaphragm because the machine is relatively expensive and there is no equipment in Korea.

따라서, 이러한 다이어프램부가 기둥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와 동등한 성능 발현이 가능하면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할 필요없어 시공성이 향상된 합성기둥의 상세를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opose the details of a composite column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without the need to use expensive equipment while achieving the same performance as when the diaphragm part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side the column part.

이하, 도 1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e pilla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10)은 기둥부(100),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e pilla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llar portion 100 , a diaphragm portion 200 , a stiffener portion 300 , and an end plate portion 400 .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합성기둥(10)은 분할된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접합되는 기둥부(100)와, 상기 기둥유닛(110)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부(200)와,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부(200)와 접합되는 스티프너부(300) 및, 상기 다이어프램부(200)에 접합되고,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의 반대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단부플레이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to 3B , the composite column 10 includes a column portion 100 to which a pair of column units 110 having a divided cross section are join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diaphragm part 200 having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that are joined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and joined with the diaphragm part 200 It may include a stiffener part 300 to be used, and an end plate part 400 bonded to the diaphragm part 200 and disposed in an end reg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기둥부(100)는 분할된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접합되어 내부가 중공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to 3B , the pillar part 100 may form a closed cross-section with a hollow inside by bonding a pair of pillar units 110 having a divided cross-section.

기둥부(100)는 분할된 횡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용접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illar part 100 may be formed by welding a pair of pillar units 110 having a divided cross section.

일례로, 기둥유닛(110)은 사각형의 단면에서 어느 일측에 개방부분이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lumn unit 110 may be configured in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ortion on either side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즉, 기둥유닛(110)은 ㄷ자형 단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illar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haped cross section.

기둥부(100)는 한 쌍의 기둥유닛(110)은 서로 용접 접합되면서 기둥유닛(110)의 개방부분은 서로 막힐 수 있고, 기둥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pillar unit 100 is a pair of pillar units 110 are welded to each other while the open portions of the pillar unit 110 may be blocked from each other, and the pillar unit 100 may form a closed cross-section with a hollow interior. .

기둥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기둥부(10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The pillar part 100 may form a closed cross-section with a hollow inside, and concrete may be poured into the inside of the pillar part 100 .

기둥부(100)는 2개로 분할된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용접 접합되면서 횡단면 상에서 내부가 중공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lumn part 100 may form a closed cross-section with a hollow interior on the cross-section while a pair of column units 110 having a cross-section divided into two are welded together.

도 3a를 참조하면, 기둥부(100)의 기둥유닛(110)에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diaphragm part 200 , the stiffener part 300 , and 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column unit 110 of the column part 100 , respectively.

도 3b를 참조하면, 기둥부(100)의 기둥유닛(110)에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가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용접 접합되어 용접부(115)를 형성하면서 기둥부(100)는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 in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part 200 , the stiffener part 300 , and the end plate part 400 are installed in the column unit 110 of the column part 100 , a pair of column units 110 are The column part 100 may form a closed cross-section while being welded to form the weld part 115 .

본 발명의 합성기둥(10)은 기둥부(100)는 2개로 분할된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110)으로 구성되면서, 기둥유닛(110)의 연결되지 않은 한 면을 통해 기둥유닛(110)의 내부에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mposite pill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pillar units 110, in which the pillar portion 100 has a cross section divided into two, and the pillar unit (110) through a non-connected side of the pillar unit (110). The diaphragm part 200 , the stiffener part 300 , the end plate part 400 , etc. can be easily installed inside the 110 ,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합성기둥(10)은 공장 등에서 기둥유닛(110)에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를 미리 용접 접합한 상태로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고, 한 쌍의 기둥유닛(110)을 용접하고, 기둥부(10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500)를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작업량을 저감시켜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colum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phragm part 200, a stiffener part 300, and an end plate part 400 in a pre-welded state to the column unit 110 in a factory, etc.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By welding a pair of pillar units 110 and pouring concrete into the interior of the pillar unit 100 to form a concrete unit 500, it can be construct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in the field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This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costs.

기둥부(100)에는 보부재(20)가 접합될 수 있고, 보부재(20)는 다이어프램부(200)의 고정단부분(211)이 접합되는 부분의 외면에 접합될 수 있다.A beam member 20 may be bonded to the pillar portion 100 , and the beam member 20 may be bonded to an outer surface of a portion to which the fixed end portion 211 of the diaphragm portion 200 is bonded.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기둥부(100)는, 적어도 세 개의 절곡된 모서리를 갖고 한 면이 연결되지 않은 사각 기둥 형상의 기둥유닛(110) 한 쌍이 상호 용접 접합되고, 상기 기둥유닛(110)은, 상기 연결되지 않은 한 면을 형성하도록 일부 돌출된 형상의 보조절곡부(111)에는 보강부재(113)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pillar part 100 has at least three bent corners and a pair of rectangular pillar-shaped pillar units 110 that are not connected on one side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pillar unit A reinforcing member 113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auxiliary bent portion 111 having a partially protruding shape to form the unconnected surface 110 .

그리고, 기둥유닛(110)은 합성기둥(10)의 강성 보강 및 콘크리트와의 결합강도 향상을 의해 기둥부(100)의 내부로 돌출되는 보조절곡부(111)를 구비하고, 보조절곡부(111)에는 추가 강성 보완을 위해 보강부재(113)가 결합될 수 있다.And, the pillar unit 1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ending portion 111 that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pillar portion 100 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composite pillar 10 and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with concrete, and the auxiliary bending portion 111 ) may be coupled to a reinforcing member 113 for additional rigidity supplementation.

기둥유닛(110)은 적어도 세 개의 절곡된 모서리를 갖고 한 면이 연결되지 않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pillar unit 110 may have at least three bent corners and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illar shape with one side not connected.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유닛(110)은 같은 사이즈의 세 면을 갖도록 강판을 접철하여 구비되며, 세 면 중 가운데 면을 제외한 양쪽의 마지막 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다른 면보다 사이즈가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절곡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보조절곡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That is, the pillar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y folding a steel plate to have three surfaces of the same size, and any one or both of the last surfaces except the middle surface among the three surfaces is smaller in size than the other surface. At least one auxiliary bending part 111 that is bent and extended to have a size may be provided.

즉, 사각 형상을 갖는 기둥유닛(110)은, 네 면 중 한면은 열린 형상, 즉, 인접하는 면까지 연결되지 못하고 면의 일부만 채우는 보조절곡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column unit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may include an open shape, that is, an auxiliary bending part 111 that fills only a part of the surface without being connected to an adjacent surface on one of the four surfaces.

도 3a를 참조하면, 한 쌍의 기둥유닛(110)의 상호 용접 접합에 의해 기둥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pillar part 100 may be formed by mutual welding bonding of the pair of pillar units 110 .

기둥유닛(110)은 네 면 중 한 면은 열린 형상, 즉, 한 면이 연결되지 않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기둥유닛(110)은 열린 형상을 갖는 면끼리 상호 맞댄 형상으로 배치되어 접촉하는 부분이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용접되어 용접부(115)를 형성하면서 상호 결합된다.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pillar unit 110 is provided in an open shape, that is, a rectangular pillar shape in which one side is not connected, and the pair of pillar units 110 are disposed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with the open shape. The contacting portions are we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to form a weld 115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용접부(115)는 공수를 줄이기 위해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의 기둥유닛(110)이 상호 맞댄 상태에서 용접을 진행하므로, 용접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welding part 115 is preferably minimized to reduce the number of labor, an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eld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quare-shaped column unit 110 is opposed to each other, the welding part 115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 3 . A total of two may be formed, one each on the back side and the rear side.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기둥부(100)의 단면은 장변이 단변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 of the pillar part 100 formed by coupling the pair of pillar units 110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long side is longer than the short side.

일례로, 한 쌍의 기둥유닛(110)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기둥부(100)의 단면은 장변이 단변보다 2배이상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ross-section of the pillar part 100 formed by coupling the pair of pillar units 110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long side is twice as long as the short side.

기둥유닛(110)은 1개의 상기 보조절곡부(111)를 구비하도록 세 개의 절곡된 모서리를 갖고, 기둥부(10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되도록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pillar unit 110 has three bent corners so as to include one auxiliary bent portion 111 , and the pillar portion 100 may be welded to be point-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기둥부(100)는, 상기 보조절곡부(111)의 외측면에는 보강부재(113)가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기둥유닛(110)이 결합될 때, 각각의 상기 기둥유닛(110)의 끝단부가 상기 보강부재(113)의 단부에 올려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용접 접합될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pillar part 10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11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bent part 111 , and when the pair of pillar units 110 are coupled. , an end of each of the pillar units 110 may be disposed in a shape mounted on th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113 and welded.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다이어프램부(200)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diaphragm part 200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to reinforce rigidity.

다이어프램부(200)는 기둥부(100)의 기둥유닛(110)의 내부에 접합되어 보가 접합되는 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e diaphragm part 200 is joined to the inside of the column unit 110 of the column part 10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part to which the beam is joined.

다이어프램부(200)는, 상기 기둥유닛(110)의 내면에 수평하게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2개의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이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diaphragm part 200 may be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110 , and the two diaphragm units 21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다이어프램유닛(210)은 기둥부(100)의 내면에 용접 접합되는 고정단부분(211)과, 고정단부분(211)의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콘크리트부(500)와 접하는 자유단부분(213)을 포함할 수 있다.3a and 3b, the diaphragm unit 210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xed end portion 211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00, and the fixed end portion 211, the concrete portion ( 500) and may include a free end portion 213 in contact.

다이어프램유닛(210)은 3면이 기둥유닛(110)과 접합되고, 기둥유닛(110)의 모서리부분에 모서리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aphragm unit 210 may have three sides joined to the column unit 110 , and a corner hole 217 may be formed in a corner portion of the column unit 110 .

모서리홀(217)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시의 공기가 유출입되면서 기둥유닛(110)의 모서리부분에 공기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고, 모서리홀(217)을 통해 콘크리트가 유출입될 수 있다.Air flows in and out when concrete is poured through the corner hole 217 to prevent air from remaining in the corner of the column unit 110 , and concrete can flow in and out through the corner hole 217 .

다이어프램유닛(210)은 기둥유닛(110)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방향에 콘크리트가 유출입되는 유동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diaphragm unit 210 , a flow hole 215 through which concrete flows in and ou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joined to the column unit 110 .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다이어프램부(200)와 접합되어 기둥부(100)와 다이어프램부(200)의 사이에서 응력전달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stiffener part 300 is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 and is joined to the diaphragm part 200 to form the column part 100 and the diaphragm part 200 . It plays a role in ensuring the continuity of the stress transfer between them.

스티프너부(300)는 기둥부(100)의 내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 일면이 기둥부(100)의 내면과 용접 접합방식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stiffener part 30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 and one longitudinal surface may b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by a welding bonding method or the lik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stiffener part 300 may be longitudinally joined while being disposed to cross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stiffener part 300 may be longitudinally joined while being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

도 3a, 도 4a, 도 5a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을 연결하여 응력전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4A, and 5A , the stiffener unit 300 may secure continuity of stress transmiss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that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6a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는 기둥부(100)의 내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사이의 일부구간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6A , the stiffener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 and may be installed in a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다이어프램부(200)에 접합되고,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의 반대측 단부영역에 접합되어 다어이프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응력집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end plate part 400 is bonded to the diaphragm part 200 , and is bonded to an end reg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to distribute the stress transferred to the diaphragm part. It serves to prevent stress concentration.

단부플레이트부(400)는 기둥부(100)의 측면의 내면과 접합되어 다어이프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기둥부(100)로 분산시키거나, 기둥부(10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부(500)가 형성되는 경우 콘크리트부(500)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to disperse the stress transferred to the diaphragm part to the column part 100, or concrete is poured inside the column part 100 to make concrete. When the part 500 is formed, the stress may be distributed to the concrete part 500 .

단부플레이트부(400)는 콘크리트부(500)에 매립될 수 있고, 다이어프램유닛(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을 콘크리트부(500)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500 , and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diaphragm unit 210 may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concrete part 500 .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자유단부분(213)에 설치될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installed on the free end part 213 of the diaphragm unit 210 .

단부플레이트부(400)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configured as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유동홀(215)을 사이에 두고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the flow hole 215 of the diaphragm unit 210 interposed therebetween.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유닛(410)으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플레이트유닛(410)은, 다이어프램유닛(210)의 횡방향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접합될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 units 410 , and the plurality of plate units 410 are paired at positions symmetrica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center of the diaphragm unit 210 . can be joined.

플레이트유닛(410)은 다이어프램유닛(210)의 횡방향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가 배치되면서 횡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plate unit 410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two on the left side and two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unit 2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 합성기둥(10)을 구성하는 기둥부(100),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의 구성요소는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column part 100, the diaphragm part 200, the stiffener part 300, and the end plate part 400 constituting the composite colum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이때, 각각의 구성요소인 기둥부(100),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는 용접 접합 방식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llar part 100 , the diaphragm part 200 , the stiffener part 300 , and the end plate part 400 which are each component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a welding bonding method.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합성기둥(10)은 기둥부(100)의 내부에 타설되어 경화되는 콘크리트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composite pillar 10 may further include a concrete unit 500 that is poured and hardened in the pillar unit 100 .

콘크리트부(500)는 기둥부(10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충전된 콘크리트가 양생 및 경화될 수 있다.The concrete part 500 may be filled with concrete inside the column part 100 , and the filled concrete may be cured and hardened.

콘크리트부(500)는 기둥부(100),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와 합성되면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The concrete part 500 may act integrally while being synthesized with the column part 100 , the diaphragm part 200 , the stiffener part 300 , and the end plate part 400 .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을 연결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3A and 3B , the stiffener unit 3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스티프너부(300)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을 연결하여 응력전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stiffener unit 300 may secure continuity of stress transmiss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that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스티프너부(300)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종방향인 높이방향 일측면이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stiffener unit 300 may be composed of a rectangular plat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 height directions ar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 It may be welded to the diaphragm unit 210 .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합되는 중앙스티프너(31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stiffener unit 300 is longitudinally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 and is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djacent diaphragm units 210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entral stiffener 310 may be provided.

중앙스티프너(310)는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인접한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The central stiffener 310 may be respectively bonded to the adjacent diaphragm unit 210 to which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are connected.

중앙스티프너(310)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central stiffener 310 may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

중앙스티프너(310)는 상단부분의 상측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의 하면과 용접 접합되고 하단부분은 하측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면에 용접 접합되며, 중앙스티프너(310)의 일측면은 기둥부(100)의 기둥유닛(110)의 내면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central stiffener 310 is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unit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unit 210 on the lower side. It may be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110 of (100).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종방향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종방향으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스티프너(330);를 구비할 수 있다.3A and 3B, the stiffener part 300 extends upward from the diaphragm unit 210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diaphragm unit 210, An end stiffener 330 extending downwardly; may be provided.

단부스티프너(330)는 종방향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end stiffener 330 may extend upwardly of the diaphragm unit 210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단부스티프너(330)는 종방향으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end stiffener 330 may extend downwardly of the diaphragm unit 210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단부스티프너(330)는 종방향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d stiffener 330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unit 210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unit 210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단부플레이트부(400)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 및, 상기 기둥유닛(110)의 내면에 함께 접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to 3B , 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bond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diaphragm unit 210 and the pillar unit 110 .

본 발명의 합성기둥(10)은 단부플레이트부(400)를 다이어프램유닛(210) 및, 상기 기둥유닛(110)의 내면에 함께 접합시킴으로써, 보부재(20) 등으로부터 기둥부(100)를 거쳐 다이어프램부(200)로 전달되는 하중을 기둥부(100)의 내면과 콘크리트부(500)로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다이어프램부(200)의 자유단부분(213)에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Composite colum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onding the end plate portion 400 to the diaphragm unit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110 together, from the beam member 20, etc. through the column portion 100 By stably distributing the load transferred to the diaphragm part 20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and the concrete part 500 , the stress concentration in the free end part 213 of the diaphragm part 200 may be relieved.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단부플레이트부(400)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3A to 3B , 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of the diaphragm unit 210 .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자유단부분(213) 주변에서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d plate portion 40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around the free end portion 213 of the diaphragm unit 210 .

단부플레이트부(400)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면과 하면 각각 접합될 수 있다.The end plate part 400 may be respectively join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unit 210 .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자유단부분(213)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end plate portion 400 may be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ee end portion 213 of the diaphragm unit 210 , respectively.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부플레이트부(400)는,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자유단 부분의 측면에 용접 접합되어,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nd plate portion 400 may be we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ee end portion of the diaphragm unit 210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of the diaphragm unit 210 , respectively.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1 스티프너부재(301)로 구성될 수 있다.3A and 3B, the stiffener part 300 is vertic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stiffener member having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301) can be configured.

제1 스티프너부재(301)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되면서 보부재(20)가 접합되는 기둥부(100) 부분을 다이어프램부(200)와 함께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As the first stiffener member 301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00 , the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100 to which the beam member 20 is bonded can be stably reinforced together with the diaphragm portion 200 .

제1 스티프너부재(301)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다이어프램부(200)에 함께 접합될 수 있다.The first stiffener member 301 may be bond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and the diaphragm part 200 .

스티프너부(300)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종방향(높이방향) 일측면이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stiffener unit 300 may be configured as a rectangular plat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ight direction)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100 . It may be welded to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

여기서, 수직이라 함은 완벽한 수직방향만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고, 설치상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 등을 고려하여 수직방향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Here, the vertical is not a concept that means only a perfect vertical direction, but a concept including installation at an angl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스티프너부재(301)가 설치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응력분포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tiffener member 301 is installed,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is similar to the case shown in FIG. 2 .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다이어프램부(200)가 기둥부(10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와 동등한 성능 발현이 가능하면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할 필요없어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performance equivalent to that when the diaphragm part 200 shown in FIG. 2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olumn part 100 is possible, and there is no need to use expensive equipment. can have an effect.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스티프너부재(302)로 구성될 수 있다.4A and 4B, the stiffener part 300 is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and a second stiffener member having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302) may be configured.

제2 스티프너부재(302)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되면서 보부재(20)가 접합되는 기둥부(100) 부분을 다이어프램부(200)와 함께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As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00 , the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100 to which the beam member 20 is bonded can be stably reinforced together with the diaphragm portion 200 .

제2 스티프너부재(302)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다이어프램부(200)에 함께 접합될 수 있다.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may be bond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and the diaphragm part 200 .

제2 스티프너부재(302)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기둥부(100)의 내면과 용접 접합방식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and may b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by a welding bonding method or the like.

여기서, 수평이라 함은 완벽한 수평방향만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고, 설치상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 등을 고려하여 수평방향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Here, the term "horizontal" is not a concept that means only a perfect horizontal direction, but a concept including installation at an angle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스티프너부재(302)가 설치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응력분포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installed,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is similar to the case shown in FIG. 2 .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스티프너부재(302) 및, 상기 제2 스티프너부재(302)가 접합되는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이웃하는 양측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3 스티프너부재(303)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stiffener part 300 is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and a second stiffener member having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302) and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joined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to both inner surfaces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to which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joined, and a third having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tiffener member 303 may be provided.

제2 스티프너부재(302)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되면서 보부재(20)가 접합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고,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이웃하는 양측 내면을 보강할 수 있다.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to reinforce the portion to which the beam member 20 is joined, and 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is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can be reinforced.

제2 스티프너부재(302)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다이어프램부(200)에 함께 접합될 수 있다.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may be bond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and the diaphragm part 200 .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기둥부(100)의내면에 이웃하는 내면과 다이어프램부(200)에 함께 접합될 수 있다.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may be join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and the diaphragm part 200 .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함께 설치되면서 보부재(20)가 접합되는 기둥부(100) 부분을 다이어프램부(200)와 함께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As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are installed together, the column part 100 to which the beam member 20 is joined can be stably reinforced together with the diaphragm part 200 .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제2 스티프너부재(302)가 접합된 기둥부(100)의 내면에 이웃하는 양측 내변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다.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may be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inner sides of both sides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to which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is joined.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각각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may have a '--shape'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2 스티프너부재(302)는 기둥부(100)의 좌우방향 내면에 접합되도록 설치되고,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기둥부(100)의 전후방향 내면에 접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may be installed to be joined to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column part 100 , and 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may be installed to be joined to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of the column part 100 .

평면상에서 1개의 기둥유닛(110)에는 1개의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2개의 제3 스티프너부재(303)가 설치될 수 있고, 1개의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2개의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모서리가 제거된 'ㄷ자형'의 단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On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wo third stiffener members 303 may be installed on one pillar unit 110 on a plane, and on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wo third stiffeners The member 303 may be disposed in a 'C-shaped' cross-section from which the corners are removed.

즉,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제3 스티프너부재(303)는 유동홀(21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may be disposed with the flow hole 215 interposed therebetween.

평면상에서 1개의 기둥유닛(110)에는 1개의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2개의 제3 스티프너부재(303)가 설치되어 3면을 기둥유닛(110)의 내부를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wo third stiffener members 303 are installed in one pillar unit 110 on a plane, so that the inside of the pillar unit 110 can be stably reinforced on three sides. there is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스티프너부재(302)와 제3 스티프너부재(303)가 함께 설치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응력분포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stiffener member 302 and the third stiffener member 303 are installed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shown in FIG. 2 .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스티프너부(300)는, 상기 기둥부(100)의 내면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T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4 스티프너부재(304)로 구성될 수 있다.6A and 6B, the stiffener part 300 is vertic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a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urth stiffener member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304) may be configured.

제4 스티프너부재(304)는 기둥부(100)의 내면에 접합되면서 보부재(20)가 접합되는 기둥부(100) 부분을 다이어프램부(200)와 함께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As the fourth stiffener member 304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00 , the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100 to which the beam member 20 is bonded can be stably reinforced together with the diaphragm portion 200 .

제4 스티프너부재(304)는 'T자형'의 단면에서 웨브는 기둥부(100)의 내면과 수직하게 접합되고, 'T자형'의 단면에서 플랜지는 웨브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고 기둥부(100)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stiffener member 304 has a 'T-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web is vertic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100, and in a 'T-shaped' cross section, the flang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web and the column part ( 10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d apart state.

제4 스티프너부재(304)는 다이어프램유닛(210)의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stiffener member 304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and downwardly of the diaphragm unit 210 , respectively.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다이이프램유닛의 사이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adjacent diaphragm unit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may not be connected.

도 7d를 참조하면, 제4 스티프너부재(304)가 설치된 실시예의 경우, 제4 스티프너부재(304)는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다이어프램유닛(210)을 연결하도록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응력분포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ourth stiffener member 304 is installed, the fourth stiffener member 304 is shown in FIG. 2 even if it is not installed to connect the adjacent diaphragm units 210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접합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bon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는 합성기둥(10), 보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D , th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osite column 10 and a beam.

접합구조는 합성기둥(10) 및, 상기 합성기둥(10)에 연결되고, H형 또는 I형 단면부분을 구비하는 보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재(20)의 플랜지부재(21)는 상기 다이어프램부(200)의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의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프너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부재(20)의 웨브부재(22)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The joint structure includes a composite column 10 and a beam member 20 connected to the composite column 10 and having an H- or I-shaped cross-section, and a flange member 21 of the beam member 20 . ) is installed in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210 of the diaphragm portion 20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iffener portion 300 corresponds to the web member 22 of the beam member 20. can be installed on

보부재(20)는 H형 또는 I형 단면부분을 구비하는 형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am member 20 may be composed of a steel member having an H-shaped or I-shaped cross-section.

보부재(20)는 한 쌍의 플랜지부재(21)와, 한 쌍의 플랜지부재(21)를 연결하는 웨브부재(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am member 2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flange members 21 and a web member 22 connecting the pair of flange members 21 .

이때, 보부재(20)와 기둥부(100) 사이의 응력전달의 관점에서, 보부재(20)의 플랜지부재(21)에 대응되는 부분에 다이어프램부(200)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from the viewpoint of stress transmission between the beam member 20 and the column part 100 , the diaphragm unit 210 of the diaphragm part 200 is dispo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member 21 of the beam member 20 . It may be desirable to be

물론, 현장에서의 시공오차가 발생하면서 보부재(20)의 플랜지부재(21)와 다이어프램부(200)의 다이어프램유닛(210)이 대응되는 위치를 미세하게 벗어나게 설치될 수 있다.Of course, while construction errors occur in the field, the flange member 21 of the beam member 20 and the diaphragm unit 210 of the diaphragm part 200 may be installed to slightly deviate from corresponding positions.

본 발명의 접합구조에 적용되는 보부재(20)는 H형 또는 I형 단면부분 이외에 폭방향으로 보강리브 등의 추가적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n the beam member 20 applied to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reinforcing ribs may b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ther than the H- or I-shaped cross-section.

보부재(20)와 기둥부(100) 사이의 응력전달의 관점에서, 스티프너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부재(20)의 웨브부재(22)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stress transmission between the beam member 20 and the column part 100 , at least a part of the stiffener part 3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eb member 22 of the beam member 20 . can

또한, 본 발명의 접합구조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합성기둥(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column 10 having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joi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합성기둥(10)의 기둥부(100), 다이어프램부(200), 스티프너부(300), 단부플레이트부(400) 등의 세부구성은 이미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Therefo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lumn part 100, the diaphragm part 200, the stiffener part 300, the end plate part 400 of the composite column 10 has already been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to avoid duplication. omitted fo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합성기둥 20: 보부재
21: 플랜지부재 22: 웨브부재
100: 기둥부 110: 기둥유닛
111: 보조절곡부 113: 보강부재
115: 용접부 200: 다이어프램부
210: 다이어프램유닛 211: 고정단부분
213: 자유단부분 215: 유동홀
217: 모서리홀 300: 스티프너부
301: 제1 스티프너부재 302: 제2 스티프너부재
303: 제3 스티프너부재 304: 제4 스티프너부재
310: 중앙스티프너 330: 단부스티프너
400: 단부플레이트부 410: 플레이트유닛
500: 콘크리트부
10: composite column 20: beam member
21: flange member 22: web member
100: column 110: column unit
111: auxiliary bent part 113: reinforcing member
115: welding part 200: diaphragm part
210: diaphragm unit 211: fixed end portion
213: free end portion 215: flow hole
217: corner hole 300: stiffener part
301: first stiffener member 302: second stiffener member
303: third stiffener member 304: fourth stiffener member
310: central stiffener 330: end stiffener
400: end plate portion 410: plate unit
500: concrete unit

Claims (12)

분할된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기둥유닛이 접합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유닛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부;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부와 접합되는 스티프너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접합되고, 상기 기둥부의 내면의 반대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단부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합성기둥.
a pillar unit to which a pair of pillar units having a divided cross section are joined;
a diaphragm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uni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iffener part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joined to the diaphragm part; and;
and an end plate portion joined to the diaphragm portion and disposed in an end reg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타설되어 경화되는 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Synthetic column further comprising a; concrete part that is poured into the column part and hard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을 연결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a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that are installe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합되는 중앙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nd a central stiffener join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djacent diaphragm unit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종방향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종방향으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 composite pillar having a; end stiffener extending upward from the diaphragm unit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iaphragm unit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플레이트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 및, 상기 기둥유닛의 내면에 함께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plate portion,
The diaphragm unit and the composit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joined togeth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플레이트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유닛의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plate portion,
Synthetic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diaphragm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1 스티프너부재로 구성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first stiffener member jo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and having a '--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스티프너부재로 구성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second stiffener member that is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and has a '--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스티프너부재; 및,
상기 제2 스티프너부재가 접합되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이웃하는 양측 내면에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3 스티프너부재;를 구비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 second stiffener member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d a third stiffener member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joined to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to which the second stiffener member is joined, and having a '--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부는,
상기 기둥부의 내면에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접합되고, 횡방향으로 'T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4 스티프너부재로 구성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portion,
A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fourth stiffener member vertic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and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성기둥; 및,
상기 합성기둥에 연결되고, H형 또는 I형 단면부분을 구비하는 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재의 플랜지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부의 복수 개의 다이어프램유닛의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프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부재의 웨브부재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
The synthetic pill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A beam member connected to the composite column and having an H-shaped or I-shaped cross-section portion; includes,
The flange member of the beam member is installed at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 units of the diaphragm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tiffener part is a joint structure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eb member of the beam member.
KR1020190171415A 2019-12-20 2019-12-20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2321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15A KR102321259B1 (en) 2019-12-20 2019-12-20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15A KR102321259B1 (en) 2019-12-20 2019-12-20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26A true KR20210079526A (en) 2021-06-30
KR102321259B1 KR102321259B1 (en) 2021-11-02

Family

ID=7660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415A KR102321259B1 (en) 2019-12-20 2019-12-20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2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58A (en)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Composite colum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697A (en) * 1991-10-14 1993-04-20 Asahi Chem Ind Co Ltd Pillar/beam connecting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JP2589379B2 (en) * 1989-07-07 1997-03-12 掛貝 安雄 Column / beam joint structure
JPH11124907A (en) * 1997-10-21 1999-05-11 Sumitomo Metal Ind Ltd Square steel pipe having column-beam joining part excellent in joint efficiency
KR200394341Y1 (en) 2005-06-09 2005-08-3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olygonal diaphragm enabling installation of H-shaped cross beam in any direction of steel pipe pole
KR20190063645A (en)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포스코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H-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379B2 (en) * 1989-07-07 1997-03-12 掛貝 安雄 Column / beam joint structure
JPH0598697A (en) * 1991-10-14 1993-04-20 Asahi Chem Ind Co Ltd Pillar/beam connecting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JPH11124907A (en) * 1997-10-21 1999-05-11 Sumitomo Metal Ind Ltd Square steel pipe having column-beam joining part excellent in joint efficiency
KR200394341Y1 (en) 2005-06-09 2005-08-3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olygonal diaphragm enabling installation of H-shaped cross beam in any direction of steel pipe pole
KR20190063645A (en)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포스코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H-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58A (en)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Composite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259B1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0890B2 (en) Joint structure
KR200455723Y1 (en) Hybrid steel ball
KR102321259B1 (en)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2131488B1 (en) Hollow Structure, and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n and Beam
JP2012057419A (en) Steel beam joint structure
JP6763653B2 (en) Unit building
JP2011247077A (en) Column beam joint structure, column end joint structure and column base joint structure
KR101483362B1 (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JP2016211164A (en) Joint structure
KR20150006717A (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cap plate and structure system thereof
CN104018521A (en) Metro double-column elevated station steel reinforced concrete transformation structure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5068005A (en) Welding joining continuous beam structure
KR102142304B1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wide beam and floor structure
JP7055978B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KR20210077197A (en) Colunm-beam connetion structure
KR102487782B1 (en) Steel structure with improved moment responsiveness
JP6966208B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KR102373168B1 (en) Composite column
JP6174984B2 (en) Steel beam
CN203867059U (en) Ribbed H-section steel and ribbed H-section steel concrete structure
KR101268135B1 (en) Hybrid reinforcement h-beam
KR20210014974A (en) Composite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CN113136950A (en) Novel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beam colum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749265B2 (en) Lateral stiffening structure of steel beam and beam slab connection method of building
JP3994873B2 (en)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steel main girder and p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