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61A -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4661A KR20210074661A KR1020190165612A KR20190165612A KR20210074661A KR 20210074661 A KR20210074661 A KR 20210074661A KR 1020190165612 A KR1020190165612 A KR 1020190165612A KR 20190165612 A KR20190165612 A KR 20190165612A KR 20210074661 A KR20210074661 A KR 202100746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tamin
- additive composition
- feed additive
- perilla
- f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2—Compounds of alkali meta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육계의 생산성 뿐만 아니라 육계육 내 오메가 3 지방산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육계의 생산성 뿐만 아니라 육계육 내 오메가 3 지방산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최근 소비패턴의 변화로 포화지방산이 적은 육계육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더 적고 유익한 지방산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오메가 지방산은 섭취시 혈중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고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등 순환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양계산물 내의 지방산 조성은 급여하는 사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어유 및 어분 등을 사료에 첨가하여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국내에서도 오메가 지방산을 함유하는 육계육 생산이 다양하게 시도되었지만 가격이 비싼 원료로 제조된 사료를 급여함으로서 사료 생산비가 큰 폭으로 상승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들깨는 주로 들기름을 생산에 활용되고 기름을 짜고 남은 부산물 들깨박 이 발생하게 된다. 들깨박은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작물로 사료적 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들깨 부산물은 일반적으로 폐기되거나 비료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가축 사료로 활용하게 되면 들깨 생산 농가 및 축산 농가 수익 측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0752958호
2. 한국 등록특허 제0466609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음성들깨농촌융복합산업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여 오메가 3의 함량이 풍부한 육계육을 사육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들깨 부산물을 사료에 포함하여 공급하는 경우 육계의 생산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육계육 내의 오메가 3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들개 부산물의 함량은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기초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소맥, 옥수수 글루텐박, L-라이신, DL-메치오닌, 염화콜린, 비타민 혼합제, 미네랄 혼합제, 석회석, 제2인산칼슘 및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타민 혼합제는 비타민 A, 비타민 D3, 비타민 E, 비타민 K3,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니아신, 판토텐산, 바이오틴, 엽산 및 에톡시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혼합제는 철,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및 셀레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오메가 3는 리놀레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따르면, 육계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계육 내 리놀레인산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우수한 육계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생산자에게 고부가 가치의 들깨를 생산토록 하여 농가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들깨박을 첨가한 사료를 이용한 사양 실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들깨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및 닭의 사양
시판중인 사료에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배합비에 따라 들깨박을 첨가하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일령의 Ross 308 육계를 무작위로 60마리씩 선별되어 농장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배당하였다. 실험군에는 상기에서 제조된 들깨박이 첨가된 사료를 먹였고 대조군 집단에는 시판되는 사료를 급여하였다. 그리고 물과 사료는 수시로 제공되었으며 사료의 소비량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하루에 약 100~120g을 섭취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원료, % | CON | T1 | T2 | T3 |
옥수수 | 57.75 | 57.65 | 57.55 | 57.445 |
대두박, 조단백질 48% | 28.00 | 27.50 | 27.00 | 26.00 |
소맥 | 10.00 | 10.00 | 10.00 | 10.00 |
들깨박 | 0 | 0.5 | 1.00 | 2.0 |
옥수수 글루텐박, 단백질 60% | 0.80 | 0.90 | 1.00 | 1.1 |
L-라이신, 78% | 0.140 | 0.145 | 0.150 | 0.155 |
DL-메치오닌, 50% | 0.21 | 0.205 | 0.20 | 0.20 |
염화콜린, 25% | 0.20 | 0.20 | 0.20 | 0.20 |
비타민 혼합제a | 0.10 | 0.10 | 0.10 | 0.10 |
미네랄 혼합제b | 0.10 | 0.10 | 0.10 | 0.10 |
석회석 | 1.00 | 1.00 | 1.00 | 1.00 |
제2인산칼슘 | 1.50 | 1.50 | 1.50 | 1.50 |
소금 | 0.20 | 0.20 | 0.20 | 0.20 |
총합 | 잘못된 계산식 | 잘못된 계산식 | 잘못된 계산식 | 잘못된 계산식 |
배합비 내 영양소, % | ||||
대사에너지, kcal/kg | 3,283 | 3,280 | 3,278 | 3,273 |
조단백질 | 20.04 | 20.05 | 20.05 | 20.03 |
라이신 | 1.151 | 1.153 | 1.154 | 1.152 |
메치오닌 | 0.527 | 0.526 | 0.524 | 0.525 |
칼슘 | 0.80 | 0.80 | 0.80 | 0.80 |
인 | 0.64 | 0.64 | 0.64 | 0.64 |
a 사료 1 kg 당 제공되는 비타민 함량: 비타민 A, 12000IU; 비타민 D3, 2500 IU; 비타민 E, 25mg; 비타민 K3, 0.7 mg; 비타민 B1, 1 mg; 비타민 B2, 12mg; 비타민 B6, 2 mg; 비타민 B12, 0.03 mg; 니아신, 35 mg; 판토텐산, 10 mg; 바이오틴, 0.05 mg; 엽산, 0.5 mg; 에톡시퀸, 1700 mg. b 사료 1 kg 당 제공되는 미네랄 함량: 철, 35 mg; 아연, 60 mg; 망간, 85 mg; 구리, 70 mg; 요오드, 1.6mg; 셀레늄, 0.1mg. |
<실험예>
실험예 1. 들깨박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에 따라 들깨박이 첨가된 사료 조성물의 섭취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육계의 체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1CON: 기본사료; T1: 기본사료+0.5% 들깨부산물; T2: 기본사료+1.0% 들깨부산물; T3: 기본사료 +2.0% 들깨부산물 첨가
2표준오차
a,b,c,d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그 결과, 사료 조성물 내 들깨박의 함량이 1 내지 2 중량%인 경우 육계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들깨박의 첨가가 육계육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에 따라 들깨박이 첨가된 사료 조성물의 섭취가 육계육 내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육계육 내 지방산의 조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1CON: 기본사료; T1: 기본사료+0.5% 들깨부산물; T2: 기본사료+1.0% 들깨부산물; T3: 기본사료 +2.0% 들깨부산물 첨가
2표준오차
a,b,c,d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그 결과, 사료 조성물 내 들깨박의 함량이 1 내지 2 중량%인 경우 육계육 내 오메가 3, 예를 들면 리노레인산(Linolenic acid)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개 부산물의 함량은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기초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소맥, 옥수수 글루텐박, L-라이신, DL-메치오닌, 염화콜린, 비타민 혼합제, 미네랄 혼합제, 석회석, 제2인산칼슘 및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혼합제는 비타민 A, 비타민 D3, 비타민 E, 비타민 K3,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니아신, 판토텐산, 바이오틴, 엽산 및 에톡시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혼합제는 철,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및 셀레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3는 리놀레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612A KR20210074661A (ko) | 2019-12-12 | 2019-12-12 |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612A KR20210074661A (ko) | 2019-12-12 | 2019-12-12 |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4661A true KR20210074661A (ko) | 2021-06-22 |
Family
ID=7660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5612A KR20210074661A (ko) | 2019-12-12 | 2019-12-12 |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74661A (ko) |
-
2019
- 2019-12-12 KR KR1020190165612A patent/KR20210074661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14172B1 (en) | Livestock feed additive and livestock feed composition | |
CN102599358A (zh) | 一种可提高家禽产蛋率的营养饲料及其制备方法 | |
EP2371226B1 (en) | Bile salt adjuvant for animals for improving fat utilization efficiency in the bodies of animals | |
EP2852293B9 (en) | Treatment of poultry, pigs or fish for reducing the feed conversion ratio or increasing their bodyweight gain | |
JP5782647B2 (ja) | 飼料添加物として使用するセスキテルペンおよびそれらの誘導体 | |
CN107259186B (zh) | 一种生产高钙高锌营养鸡蛋的蛋鸡饲料及其制备方法 | |
Sauveur | Dietary factors as causes of leg abnormalities in poultry—a review | |
KR101657750B1 (ko) | 산란계 산란율 증가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 |
KR101644774B1 (ko) |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 |
JP2013048559A (ja) | ビタミンe濃度が高められた豚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ための飼料 | |
RU2514642C1 (ru) | Премикс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птиц | |
KR20170027650A (ko) |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 |
CN106615949B (zh) | 一种含青绿菊苣的鹅饲料 | |
KR20210074661A (ko) | 들깨 부산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육계육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 |
RU2374899C2 (ru) | Премикс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 |
KR101273276B1 (ko) |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 |
CN1205876C (zh) | 全阶段猪用浓缩饲料 | |
CN106804968A (zh) | 一种雏鸡饲料 | |
CN111264719A (zh) | 一种种鸭用饲料 | |
CN111011601A (zh) | 一种动物饲料用天然复合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 | |
Vasquez-Anon et al. | The use of methionine hydroxy analog in aquaculture feeds | |
Živković et al. | Possibilities for the production of meat and meat products with improved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 |
KR101632477B1 (ko) |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 |
Ndams | GROWTH RESPONSE OF BROILER STARTER CHICKENS FED BLOOD MEAL BASED DIETS SUPPLEMENTED WITH ALLZYME SSF® AS REPLACEMENT FOR FISHMEAL | |
Opoola et al. | EFFECTS OF DIETARY SILICON OXIDE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T WELFARE OF BROILER CHI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