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14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3147A KR20210073147A KR1020190163662A KR20190163662A KR20210073147A KR 20210073147 A KR20210073147 A KR 20210073147A KR 1020190163662 A KR1020190163662 A KR 1020190163662A KR 20190163662 A KR20190163662 A KR 20190163662A KR 20210073147 A KR20210073147 A KR 202100731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substrate
- holes
- disposed
- back plat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01L27/322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 H01L27/3244—
-
- H01L51/5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 H01L2251/5338—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고휘도,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전계 발광소자 및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컬러의 광을 발광하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1 컬러와 상이한 제 2 컬러의 광을 발광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2 발광부는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발광소자; 및 상기 제 1 발광부 및 상기 제 2 발광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컬러와 상이한 제 3 컬러의 광을 발광하는 제 3 발광부를 구비하는 제 2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상기 제 1 및 제 2 컬러의 광은 상기 제 2 발광소자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부피가 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얇고 가벼우며 대면적이 가능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 급속히 발전해 왔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EL),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D)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표시패널 및 구동부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 표시장치에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모듈 형태로 도입하고 있으며, 이들은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표시영역 외측에 카메라 등을 배치하는 것은 베젤부를 증가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는 베젤부의 증가없이 카메라 등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이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명세서의 제 1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모듈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듈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백 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명세서의 제 2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모듈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일면 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플렉서블 기판, 절연층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따르면,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카메라, 센서 등의 모듈이 수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베젤부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듈이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수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플렉서블 기판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층에 복수의 광 투과 영역들을 형성하며, 개구부와 복수의 홀 및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배치된 모듈에 입사되는 광의 색 변화를 줄여 모듈에 입사되는 광 감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일부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듈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이 홀을 갖는 경우와 이와 비교를 위한 비교예의 플렉서블 기판이 홀을 갖지 않는 경우의 색 특성 변화를 도시한 색도 그래프(chromaticity diagram),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 1-2와 비교예의 색좌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및 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일부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듈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이 홀을 갖는 경우와 이와 비교를 위한 비교예의 플렉서블 기판이 홀을 갖지 않는 경우의 색 특성 변화를 도시한 색도 그래프(chromaticity diagram),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 1-2와 비교예의 색좌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및 표.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일부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모듈영역이 확대된 도면을 포함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전원 공급부(PS) 및 타이밍 콘트롤러(T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은 정보를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베젤영역(B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들(P)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베젤영역(BA)은 게이트 구동회로의 쉬프트 레지스터(SRa, SRb) 및 각종 링크 신호배선들(예를 들면, DL1~DLm)과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DL1, VDL2, VSL1, VSL2) 및 전원 공급전극(VDLa, VDLb)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1~Dm)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들(G1~Gn)과, 이들 교차영역마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화소(P)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P)는 발광 다이오드(LED), 발광 다이오드(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구동 TFT라 함)(DT),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세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부(SC)를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의 화소(P)들은 전원 공급부(PS)로부터 제 1 전원라인들(VD1~VDm)을 통해 고전위 전압인 제 1 전원(Vdd)을 공급받고, 제 2 전원라인들(VSL1~VSL2)을 통해 저전위 전압인 제 2 전원(Vss)을 공급받는다.
제 1 전원라인들(VD1~VDm)은 칩온필름(30)이 부착된 측의 베젤영역(BA)에 배치된 하측 제 1 전원 공급전극(VDLa)과, 그 반대쪽 베젤영역에 배치된 상측 제 1 전원 공급전극(VDLb)을 통해 양측에서 전원 공급부(PS)로부터 제 1 전원(Vdd)를 공급받는다. 하측 제 1 전원 공급전극(VDLa)과 상측 제 1 전원 공급전극(VDLb)은 링크배선들(VDL1, VDL2)에 의해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화소들의 위치에 따른 RC(Resistance Capacitance)증가로 인한 표시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프로그래밍부(S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들(D1~Dm)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측 전극에 인가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발광 다이오드(OLED)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발광 다이오드(OLED)의 발광량은 구동 TFT(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화소를 구성하는 TFT들은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소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 구조물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은 구동 TFT(DT)에 접속된다. 발광 구조물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고,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그 일측에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이, 그 타측에는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IC(SD)가 실장되며, 일측은 소스 인쇄회로기판(20)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타측은 표시패널(10)의 베젤영역(BA)에 부착되는 칩온필름(30)을 포함한다.
데이터 IC(SD)는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데이터 IC(SD)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링크들(DL1~DLn)을 통해 데이터라인들(D1~Dm)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IC가 실장된 칩온필름이 표시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는 타입이나, 표시패널에 게이트 IC가 형성된 GIP 타입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GIP 타입의 게이트 구동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GIP 타입의 게이트 구동부는 소스 인쇄회로기판(20) 상에 실장된 레벨 쉬프터(LSa, LSb)와, 표시패널(10)의 베젤영역(BA)에 형성되어, 레벨 쉬프터(LSa, LSb)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쉬프트 레지스터(SRa, SRb)를 포함한다.
레벨 쉬프터(LSa, LSb)는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스타트 펄스(ST),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GLCK), 및 플리커 신호(FLK) 등의 신호를 입력 받고, 또한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 등의 구동 전압을 공급 받는다. 스타트 펄스(ST),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GCLK) 및 플리커 신호(FLK)는 대략 0V와 3.3V 사이에서 스윙하는 신호들이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GLCK1~n)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n 상 클럭신호들이다. 게이트 하이 전압(VGH)은 표시패널(10)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서 대략 28V 정도의 전압이고, 게이트 로우 전압(VGL)은 표시패널(10)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서 대략 -5V 내외의 전압이다.
레벨 쉬프터(LS)는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입력되는 스타트 펄스(ST)와,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GLCK) 각각을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으로 레벨 쉬프트한 쉬프트 클럭신호들(CLK)을 출력한다. 따라서, 레벨 쉬프터(LS)로부터 출력되는 스타트 펄스(VST)와 쉬프트 클럭신호들(CLK) 각각은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 사이에서 스윙한다. 레벨 쉬프터(LS)는 플리커 신호(FLK)에 따라 게이트 하이 전압을 낮추어 액정 셀의 킥백 전압(ΔVp)을 낮추어 플리커를 줄일 수 있다.
레벨 쉬프터(LS)의 출력 신호들은 소스 드라이브 IC(SD)가 배치된 칩온필름(30)에 형성된 배선들과, 표시패널(10)의 기판에 형성된 LOG(Line On Glass) 배선들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SR)에 공급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SR)는 GIP 공정에 의해 표시패널(10)의 베젤영역(BA)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SR)는 레벨 쉬프터(LS)로부터 입력되는 스타트 펄스(VST)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들(CLK1~CLKn)에 따라 쉬프트함으로써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 사이에서 스윙하는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킨다. 쉬프트 레지스터(SR)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는 게이트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타이밍 콘트롤러(TC)는 호스트 시스템(도시 생략)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메인 클럭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 받아 데이터 IC(SD), 및 게이트 구동부(LSa, LSb; SRa, SRb)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데이터 IC(SD)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LSa, LSb; SRa, SRb)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쉬프트 레지스터(SRa, SRb)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양측에 배치되어 액티브 영역(AA)의 양단부에서 게이트 라인들(G1~Gn)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쉬프트 레지스터가 액티브 영역(AA)의 일측에만 배치되어 액티브 영역(AA)의 일측에서 게이트 라인들(G1~Gn)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SRa, SRb)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 화소 어레이의 동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에는 동일 위상, 동일 진폭의 게이트 펄스가 공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표시패널(10)은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베젤영역(B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문자, 도형, 그림, 사진, 영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소 어레이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액티브 영역(AA)은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영역(MA)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영역(MA)은 액티브 영역(AA)의 어느 곳에도 배치될 수 있다.
모듈영역(MA)은 카메라, 스피커, 센서 등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화소(P)와, 각 화소(P)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며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예를 들면, G1) 및 데이터 라인(예를 들면, D1)을 포함하는 신호배선과, 이들을 피해 배치되는 광 투과영역(T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영역(BA)은 액티브 영역(AA) 외측에서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싸는 영역으로서, 액티브 영역(AA)의 화소 어레이에 공급할 게이트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SRa, SRb)와, 각종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배선들과, 각종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배선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모듈영역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모듈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모듈영역(MA)은 복수의 화소(Pr, Pg, Pb)와 인접한 화소들(Pr과 Pg, Pg와 Pb, 또는 Pb와 Pr)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TA)을 포함한다. 광 투과영역들(TA) 각각에는 화소(Pr, Pg, Pb) 각각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이나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지 않는다.
모듈영역(MA)은 백 플레이트(BP),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SUB), 플렉서블 기판(SUB) 상에 배치되는 버퍼층(BUF), 버퍼층 상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T/WL),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T/WL) 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층(EL), 발광소자층(EL)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ENC), 및 봉지층(ENC) 상에 배치되는 편광필름(POL)을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BP)는 카메라, 센서와 같은 모듈(MO)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OP)를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는 백 플레이트(BP) 상부에 위치한 플렉서블 기판(SUB)을 완전히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BP)는 플렉서블 기판(SUB)이 너무 얇을 경우 표시장치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백 플레이트(BP)는 또한 플렉서블 기판(SUB)에 이물(異物)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백 플레이트(BP)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와 같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SUB)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oles, H)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SUB)에 형성된 복수의 홀(H)의 적어도 일부는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SUB)은 플렉서블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와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UF)은 플렉서블 기판(SUB)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발광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기물질 및 유기물질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단일층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버퍼층(BUF)은 서로 다른 무기물질로 형성된 다중층으로 형성되거나, 유기물질층과 무기물질층이 번갈아 배치된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질은 포토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물질과 유기물질이 상술한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T/WL)은 각 화소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들과, 이들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TA)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T/WL)의 복수의 광 투과영역(TA)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복수의 홀(H)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복수의 광 투과영역(TA)은 복수의 홀(H)과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표시장치에서 신호공급을 위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들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여기에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광소자층(EL)은 복수의 화소들(Pr, Pg, Pb)과 복수의 화소들(Pr, Pg, Pb)을 구획하며, 광 투과율이 높은 뱅크층(B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r, Pg, Pb)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T/WL)의 복수의 광 투과영역(TA) 및 플렉서블 기판(SUB)의 복수의 홀(H)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화소들(Pr, Pg, Pb) 각각은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ZnO(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과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이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은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지층(ENC)은 광 투과층으로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가 봉지층(ENC) 내부에 위치한 발광소자들에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기물층과 유기물층이 번갈아 배치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필름(POL)은 외부 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필름이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센서 등의 모듈(MO)이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에 수용된다.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는 플렉서블 기판(SUB)의 복수의 홀(H)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플렉서블 기판(SUB)의 복수의 홀(H)은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TA)과 중첩되므로, 외부로부터의 광이 편광필름(POL), 봉지층(ENC), 발광소자층(EL)의 뱅크(BN), 플렉서블 기판(SUB)의 복수의 홀(H), 및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를 통해 모듈(MO)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센서 등의 모듈(MO)이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에 수용되고,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므로, 카메라, 센서와 같은 모듈(MO)의 기능저하 없이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 기판과 버퍼층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기판을 단일층으로 형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SUB)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SUB)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버퍼층(BUF)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버퍼층(BUF)의 하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SUB)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SUB)을 관통하는 스루홀(through hole)로 형성된다. 이 스루홀은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도 5의 제 1 실시예에서, 도 5의 (A)와 (B)는 플렉서블 기판의 홀(H)을 오목부로 형성하고, 도 5(C)는 플렉서블 기판의 홀(H)을 스루홀로 형성한 것으로, 도 5의 (A)와 (B)의 실시예는 홀(H) 영역에 플렉서블 기판의 일부가 잔존하므로 색좌표의 시프트를 감축시키는 동시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을 얻을 수 있으며, 도 5의 (C)의 실시예는 홀(H) 영역에 플렉서블 기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광학적 특성(우수한 투과율, 색좌표 시프트의 감축)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기판을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2층 구조로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오목부로 구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홀(H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홀(H1) 각각은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제 1 오목부로 형성되며, 이 제 1 오목부는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홀(H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홀(H2)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제 2 오목부로 형성되고, 이 제 2 오목부는 절연층(IL)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절연층(IL)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절연층(IL)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절연층(IL)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6의 (D)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버퍼층(BUF)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버퍼층(BUF)의 하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6의 제 2 실시예에는 플렉서블 기판을 2층구조로 형성하고, 홀(H)을 오목부로 형성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이들 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6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홀(H)이 오목부로 형성되어 홀(H) 영역에 플렉서블 기판의 일부만이 잔존하므로 색좌표의 시프트를 감축시키는 동시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기판을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2층 구조로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모두 스루홀로 구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SUB)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된다. 이 스루홀은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홀(H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홀(H1) 각각은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을 관통하는 제 1 스루홀로 형성된다. 이 제 1 스루홀은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홀(H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홀(H2)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를 관통하는 제 2 스루홀로 형성된다. 이 제 2 스루홀은 절연층(IL)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절연층(IL)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H)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된다. 이 스루홀은는 버퍼층(BUF)과 절연층(IL)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버퍼층(BUF)의 하면과 절연층(IL)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홀(H1)을 포함하고, 절연층(IL)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홀(H2)을 포함하며,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3 홀(H3)을 2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홀(H1), 복수의 제 2 홀(H2) 및 복수의 제 3 홀(H3)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스루홀이다. 따라서, 복수의 제 1 홀(H1), 복수의 제 2 홀(H2) 및 복수의 제 3 홀(H3)은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에 연결된다.
도 7의 제 3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을 2층구조로 형성하고, 홀(H)을 스루홀로 형성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이들 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7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홀(H)이 스루홀로 형성되어 홀(H) 영역에 플렉서블 기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광학적 특성(우수한 투과율, 색좌표 시프트의 감축)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기판과 버퍼층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기판을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2층 구조로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오목부와 스루홀이 혼합되도록 구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홀(H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홀(H1)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SUB)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된다. 이 스루홀은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홀(H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홀(H2)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절연층(IL)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절연층(IL)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홀(H1)을 포함하고, 절연층(IL)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홀(H2)을 포함하며,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3 홀(H3)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홀(H1) 및 복수의 제 2 홀(H2)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스루홀이다. 복수의 제 3 홀(H3)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오목부이며, 복수의 제 1 홀(H1) 및 복수의 제 2 홀(H2)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홀(H1), 복수의 제 2 홀(H2) 및 복수의 제 3 홀(H3)은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에 연결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BP)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은 절연층(IL)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포함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백 플레이트(BP)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버퍼층(BUF)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홀(H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홀(H1) 각각은 제 1 플렉서블 기판(SUB1)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백 플레이트(BP)의 개구부(OP)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홀(H)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홀(H2) 각각은 제 2 플렉서블 기판(SUB2)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된다. 이 스루홀은 절연층(IL)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절연층(IL)의 상면과 버퍼층(BUF)의 하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8의 제 4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을 2층구조로 형성하고, 홀(H)을 오목부와 스후롤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이들 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중첩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 중 어느 한 층에 위치하는 홀은 플렉서블 기판이 잔존하는 오목부로 형성하고, 다른 층에 위치하는 홀은 플렉서블 기판이 없는 스루홀로 형성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광학적 특성(우수한 투과율, 색좌표 시프트의 감축)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에 따른 색 특성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기판이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홀을 갖는 경우와, 홀을 갖지 않는 경우의 색 특성 변화를 도시한 색도 그래프(chromaticity diagram)이고, 도 10은 플렉서블 기판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을 갖는 경우와 홀을 갖지 않는 경우의 색좌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및 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SUB)의 홀(H)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루홀(through hole)로 형성될 경우(본 명세서의 실시예 1)의 색 특성은 적색, 청색, 녹색의 경계선 부근에 위치하게 되어 색좌표 시프트(shift)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도 9의 부호 참고).
플렉서블 기판(SUB)의 홀(H)이 도 5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SUB)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될 경우(본 명세서의 실시예 2)의 색 특성은 x축 방향으로 Δx1만큼 시프트되고, y축 방향으로 Δy1만큼 시프트되는 것을 보여준다(도 9의 부호 참고).
반면, 비교예의 플렉서블 기판(SUB)이 홀을 갖지 않는 경우의 색 특성은 x축 방향으로 Δx2만큼 시프트되고, y축 방향으로 Δy2만큼 시프트되는 것을 보여준다(도 9의 부호 참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 1, 실시예 2에 따르는 색 특성과 비교예에 따르는 색 특성이 변화를 알 수 있다. 도 10에서 그래프의 가로 축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를 나타내는 축이고, 세로 축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르는 도 9의 x 좌표값(도 10의 부호 참고)과 y 좌표값(도 10의 참고)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의 표를 보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 1에서는 x축의 색 좌표와 y축의 색 좌표에 시프트가 없으므로 광이 플렉서블 기판을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의 색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2에서는 x축의 색 좌표가 0.059 시프트되고, y축의 색 좌표가 0.065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에서는 x축의 색 좌표가 0.071 변화하고, y축의 색 좌표가 0.093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르는 플렉서블 기판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해 x축의 색 좌표의 시프트 양과, y축의 색 좌표의 시프트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기판을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의 광의 색 변화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카메라, 센서 등의 모듈이 수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베젤부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듈이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수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플렉서블 기판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층에 복수의 광 투과 영역들을 형성하며, 개구부와 복수의 홀 및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배치된 모듈에 입사되는 광의 색 변화를 줄여 모듈에 입사되는 광 감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모듈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듈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백 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through hole)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모듈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일면 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플렉서블 기판, 절연층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제 1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제 2 오목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버퍼층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버퍼층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제 1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제 2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스루홀은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절연층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3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상기 복수의 제 2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3 홀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스루홀로 구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고,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제 3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2 홀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스루홀이고, 상기 복수의 제 3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오목부이며, 상기 복수의 제 1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2 홀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상기 복수의 제 2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3 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는 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또는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일면 측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타면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구획하는 뱅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뱅크는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A: 액티브 영역
MA: 모듈영역
BP: 백 플레이트 OP: 개구부
SUB, SUB1, SUB2: 플렉서블 기판 H, H1, H3: 홀
T/WL: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 BUF: 버퍼층
EL: 발광소자층 ENC: 봉지층
MO: 모듈
BP: 백 플레이트 OP: 개구부
SUB, SUB1, SUB2: 플렉서블 기판 H, H1, H3: 홀
T/WL: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형성층 BUF: 버퍼층
EL: 발광소자층 ENC: 봉지층
MO: 모듈
Claims (17)
- 복수의 홀을 갖는 모듈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듈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백 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을 공급받는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된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을 향해 개방되는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through hole)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BP)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는 표시장치. - 개구부를 갖는 모듈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일면 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플렉서블 기판, 절연층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을 공급받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제 1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제 2 오목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버퍼층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버퍼층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을 향해 개방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제 1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제 2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스루홀은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절연층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3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상기 복수의 제 2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3 홀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스루홀로 구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고, 상기 스루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제 3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2 홀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스루홀이고, 상기 복수의 제 3 홀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오목부이며, 상기 복수의 제 1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2 홀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상기 복수의 제 2 홀 및 상기 복수의 제 3 홀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각각은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홀 각각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스루홀로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절연층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표시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 또는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일면 측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형성층의 타면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구획하는 뱅크를 구비하는 발광소자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뱅크는 상기 복수의 광 투과영역들, 상기 복수의 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3662A KR20210073147A (ko) | 2019-12-10 | 2019-12-10 | 표시장치 |
TW109141009A TWI777309B (zh) | 2019-12-10 | 2020-11-23 | 顯示裝置 |
EP23207570.5A EP4311210A3 (en) | 2019-12-10 | 2020-11-30 | Display device |
EP20210649.8A EP3883222B1 (en) | 2019-12-10 | 2020-11-30 | Display device |
US17/109,818 US11556150B2 (en) | 2019-12-10 | 2020-12-02 | Display device |
CN202011429540.3A CN112951886B (zh) | 2019-12-10 | 2020-12-09 | 显示装置 |
US18/080,397 US11822392B2 (en) | 2019-12-10 | 2022-12-13 | Display device |
US18/488,774 US20240045474A1 (en) | 2019-12-10 | 2023-10-17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3662A KR20210073147A (ko) | 2019-12-10 | 2019-12-10 |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3147A true KR20210073147A (ko) | 2021-06-18 |
Family
ID=7364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3662A KR20210073147A (ko) | 2019-12-10 | 2019-12-10 |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11556150B2 (ko) |
EP (2) | EP3883222B1 (ko) |
KR (1) | KR20210073147A (ko) |
CN (1) | CN112951886B (ko) |
TW (1) | TWI77730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83384B (zh) * | 2019-10-12 | 2021-01-22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4743484A (zh) * | 2020-05-15 | 2022-07-1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CN113764488B (zh) * | 2021-08-31 | 2023-02-21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09732B (zh) * | 2010-02-23 | 2013-09-21 | Anica Corp | 可撓式顯示器 |
US8947627B2 (en) * | 2011-10-14 | 2015-02-03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openings |
KR102050434B1 (ko) * | 2012-10-31 | 2019-11-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JP6361994B2 (ja) * | 2013-12-04 | 2018-07-25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有機電子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 |
KR102717104B1 (ko) * | 2016-09-27 | 2024-10-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
JP2018084764A (ja) * | 2016-11-25 | 2018-05-31 |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の封止方法 |
ES2942305T3 (es) * | 2017-04-25 | 2023-05-31 | Huawei Tech Co Ltd | Dispositivo electrónico con pantalla LCD |
CN111240526B (zh) * | 2017-04-27 | 2023-11-2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屏、显示装置及移动终端 |
TWI621050B (zh) * | 2017-06-16 | 2018-04-1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
KR101938879B1 (ko) * | 2017-10-27 | 2019-01-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2540010B1 (ko) * | 2017-12-29 | 2023-06-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 인식이 가능한 표시 장치 |
US10727570B2 (en) * | 2018-01-30 | 2020-07-28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having antennas that radiate through a display |
TWI646637B (zh) | 2018-02-13 | 2019-01-01 | 頎邦科技股份有限公司 | 薄膜覆晶封裝結構及其可撓性基板 |
KR102570864B1 (ko) * | 2018-11-29 | 2023-08-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KR20200085403A (ko) * | 2019-01-04 | 2020-07-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N110061014B (zh) * | 2019-04-30 | 2021-06-08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0164937A (zh) * | 2019-05-30 | 2019-08-23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面板 |
CN110491912A (zh) * | 2019-07-31 | 2019-11-22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US11508922B2 (en) * | 2019-08-27 | 2022-11-2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including elastic member |
KR20210104218A (ko) * | 2020-02-14 | 2021-08-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US11659653B2 (en) * | 2020-02-14 | 2023-05-23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window and electronic module disposed under and spaced apart from window |
-
2019
- 2019-12-10 KR KR1020190163662A patent/KR2021007314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0
- 2020-11-23 TW TW109141009A patent/TWI777309B/zh active
- 2020-11-30 EP EP20210649.8A patent/EP3883222B1/en active Active
- 2020-11-30 EP EP23207570.5A patent/EP4311210A3/en active Pending
- 2020-12-02 US US17/109,818 patent/US11556150B2/en active Active
- 2020-12-09 CN CN202011429540.3A patent/CN112951886B/zh active Active
-
2022
- 2022-12-13 US US18/080,397 patent/US11822392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10-17 US US18/488,774 patent/US20240045474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11210A2 (en) | 2024-01-24 |
EP4311210A3 (en) | 2024-03-06 |
EP3883222B1 (en) | 2024-08-07 |
US11822392B2 (en) | 2023-11-21 |
US11556150B2 (en) | 2023-01-17 |
US20210173446A1 (en) | 2021-06-10 |
CN112951886B (zh) | 2024-05-21 |
US20240045474A1 (en) | 2024-02-08 |
US20230113484A1 (en) | 2023-04-13 |
TW202129956A (zh) | 2021-08-01 |
EP3883222A1 (en) | 2021-09-22 |
TWI777309B (zh) | 2022-09-11 |
CN112951886A (zh) | 2021-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75222B2 (en) | Display apparatus | |
US9373299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display device | |
US11822392B2 (en) | Display device | |
KR102511525B1 (ko) | 표시장치 | |
US12118928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568932B1 (ko) | 전계 발광 표시장치 | |
KR20220162223A (ko) | 표시 장치 | |
CN113053950A (zh) | 显示装置及其像素阵列基板 | |
KR102132864B1 (ko) | 유기발광표시장치 | |
US20240206261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11694631B2 (en) | Gate driving circuit having a repair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4411714A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US20240221686A1 (en) | Display Device | |
US20240284733A1 (en) | Display Device | |
KR20240119710A (ko) | 발광표시장치 | |
KR20240119711A (ko) | 발광표시장치 | |
KR20240117204A (ko) | 표시 장치 | |
CN118366404A (zh) | 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