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711A -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IOT - Google Patents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I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1711A KR20210071711A KR1020190162175A KR20190162175A KR20210071711A KR 20210071711 A KR20210071711 A KR 20210071711A KR 1020190162175 A KR1020190162175 A KR 1020190162175A KR 20190162175 A KR20190162175 A KR 20190162175A KR 20210071711 A KR20210071711 A KR 202100717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switch control
- control device
- cam
- control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 주변에 부착된 구동장치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여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more particularly, the Internet of Things in which a user can remotely control a driving device attached around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through an application to operat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It relates to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는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공급이 ON 상태 및 OFF 상태로 변화되는 스위치 방식으로서, 일측을 누르면 ON 상태, 타측을 누르면 OFF 상태로 동작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벽면에 매립된 전등스위치와, 다수의 전기제품에 전원공급이 가능한 콘센트 멀티탭(outletMulti-tap)에 주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 전기제품의 전원스위치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is a switch method in which the power supply is changed to an ON state and an OFF state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When one side is pressed, the ON state and the other side are operated in the OFF state, and the lamp embedded in the wall. It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witch, a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main power to an outlet multi-tap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number of electrical products, and a power switch for electrical products.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 중에서 전등스위치 및 콘센트 멀티탭의 주전원 스위치는 사용자가 외출 및 복귀, 구역이동, 야간시에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스위치이면서 그만큼 온오프 상태로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고, 외출시 오프(OFF)시키는 것을 깜박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는 불필요한 전력소모 및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콘센트 멀티탭의 주전원 스위치의 경우 이와 연결된 전기제품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스위치를 리모컨 등으로 오프(OFF)시키더라도 통상적으로 전기제품은 수많은 전자 소자들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상용전원의 일부를 끊임없이 소비하는 대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콘센트 멀티탭에 접근하여 플러그를 뽑거나 주전원스위치를 OFF 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es, the main power switch of the light switch and the outlet multi-tap is the switch most frequently used by users when going out, returning, moving, and at night. In some cases, it may be forgotten to do so, which may caus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fire. In the case of the main power switch of a multi-tap outlet, even if the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ed electrical product is turned off with a remote control, etc., the electrical product is usually composed of numerous electronic elements, so it is a standby that constantly consumes some of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Electricity is generated, and since there is no function to cut off standby power,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directly approach the outlet multi-tap and unplug or turn off the main power switch in order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331호(전등스위치용 원격제어장치) 제안한 방법은 좌우 방향 스위치 등에 적용이 가능하나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스위치에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8-0088177호(원격제어에 의한 스위치 구동장치)의 경우는 상하 방향, 좌우방향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터치하여 온 오프 하는 방식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As a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the method proposed i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5-0003331 (remote control device for light switch) can be applied to left-right switches, etc.,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applying it to switches operating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case of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8177 (switch driving device by remote control), it can b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there is a limit in applying it to a touch-on/off method.
공개특허 제10-2018-0063340호(입력 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제안방법은 좌우방향 스위치의 경우 구동 액추에이터를 좌, 우에 하나씩 장착하여 온 스위치, 오프 스위치 각각의 역할을 함으로써 한계가 있다.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3340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input device) The proposed method has a limit by mounting drive actuators one on the left and one on the right in the case of a left-right switch to act as an on-switch and an off-switch, respectively.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 주변에 부착된 구동장치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여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remotely control a driving device attached around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through an application to operate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은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500)이 탑재되어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100); 및 스위치(400) 또는 스위치(400) 주변에 탈부착수단(30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quipped with a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비 모터(220); 상기 감속비 모터와 결합되는 회전축(230);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는 캠(24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감속비 모터(2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캠(240)을 기준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시키거나 회전 후 기준위치로 복귀시키는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캠(240)은, 상기 회전축(230)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되는 캠바디(242); 및 상기 캠바디(24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바디(242)가 회전할 경우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부(241)를 포함하되, 상기 캠바디(242) 및 조작부(241)는 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스위치(400)에 가해지는 캠 스트로크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감속비 모터(220)를 제어하여 상기 캠(240)을 기준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시키는 동안 과전류가 감지되면 회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스위치(400) 중 푸시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탈부착수단(310); 상기 스위치(400) 중 토글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탈부착수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means 300 is a first detachable means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400)는, 푸시 스위치(410), 토글 스위치(420), 도어락 스위치(430) 및 터치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500)은,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회전시켜 스위치(400)를 조작시키는 스위치조작 모듈(510); 및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할 경우 스위치(400)를 조작시키는 타이머 모듈(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 주변에 부착된 구동장치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여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user can remotely control a driving device attached to the vicinity of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through an application to operat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와 제1탈부착수단 결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와 제2탈부착수단 결합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실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실시예시도2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실시예시도3 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switch control device and a first detachable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witch control device and a second detachable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diagram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mbodiment diagram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part. When "included",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은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500)이 탑재되어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100) 및 스위치(400) 또는 스위치(400) 주변에 탈부착수단(30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in the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단말기 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와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통신은 바람직하게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또한, 상기 스위치(400)는 바람직하게 푸시 스위치(410), 토글 스위치(420), 도어락 스위치(430) 및 터치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데, 상기한 스위치 외에 다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위치라 함은 바람직하게 PC(Personal Computer), 공기청정기, TV 등에 구비되는 전원 스위치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witch 400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비 모터(220)와 상기 감속비 모터와 결합되는 회전축(230)과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는 캠(24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감속비 모터(2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캠(240)을 기준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시키거나 회전 후 기준위치로 복귀시키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상기 캠(240)은 상기 회전축(230)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되는 캠바디(242)와 상기 캠바디(24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바디(241)가 회전할 경우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부(241)로 구성되는데, 상기 캠바디(242) 및 조작부(241)는 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스위치(400)에 가해지는 캠 스트로크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킨다.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와 제1탈부착수단 결합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와 제2탈부착수단 결합예시도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200)는 스위치(400) 또는 스위치(400) 주변에 탈부착수단(300)에 의해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스위치를 조작하는데,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스위치(400) 중 푸시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탈부착수단(310)과 도 4에 도시된 상기 스위치(400) 중 토글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탈부착수단(320)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에는 상기 제1탈부착수단(310) 및 제2탈부착수단(320)과의 결합뿐만 아니라 바닥면과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detachable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detachable means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는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500)이 탑재되는데, 상기 어플리케이션(500)은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회전시켜 스위치(400)를 조작시키는 스위치조작 모듈(510)과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할 경우 스위치(400)를 조작시키는 타이머 모듈(520)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500)은 상기한 모듈 외에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소지한 채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일정범위 근처에 다가가면, 자동적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스위치를 조작하게 하도록 하는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는 오토모드(Auto mode) 모듈(미부호)을 더 포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an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8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스위치 제어시스템을 통한 스위치의 조작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switch through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제1탈부착수단(310)과 결합한 후, 푸시 스위치(410)의 상단에 부착한 후 사용자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서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 푸시 스위치(410)를 조작할 수 있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user combines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실시예시도2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제2탈부착수단(320)과 결합하고 토글 스위치(420)의 주변에 부착한 후, 사용자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서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 토글 스위치(420)를 조작할 수 있다.7 is a second embodiment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user combines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장치의 실시예시도3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제2탈부착수단(320)과 결합한 후, 도어락 스위치(430)의 상단에 부착한 후 사용자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서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 도어락 스위치(430)를 조작할 수 있다.8 is a third embodiment of a swi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user combines the
또한 아울러, 상기 도어락 스위치(43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제2탈부착수단(320)과 결합하지 않고,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250)를 도어락 스위치(430)의 상단에 부착한 후 사용자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서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 도어락 스위치(430)를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the
또한, 상기한 방법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250)를 터치 스위치의 주변에 부착한 후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원격에서 제어하여 터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above method, the user attaches the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는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400)에 스위치 제어장치(200)를 부착한 후 사용자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 원격으로 다양한 스위치(400)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ttaches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part of )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configure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스위치 제어장치
210 : 제어부
220 : 감속비 모터
230 : 회전축
240 : 캠
241 : 조작부
242 : 캠바디
250 : 결합부
300 : 탈부착수단
310 : 제1탈부착수단
320 : 제2탈부착수단
400 : 스위치
410 : 푸시 스위치
420 : 토글 스위치
430 : 도어락 스위치
500 : 어플리케이션
510 : 스위치조작 모듈
520 : 타이머 모듈100: user terminal
200: switch control device
210: control unit
220: reduction ratio motor
230: rotation shaft
240 : cam
241: control panel
242 : cam body
250: coupling part
300: detachable means
310: first detachable means
320: second detachable means
400 : switch
410: push switch
420: toggle switch
430: door lock switch
500 : application
510: switch operation module
520: timer module
Claims (7)
스위치(400) 또는 스위치(400) 주변에 탈부착수단(30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제어장치(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a user terminal 100 on which an application 500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unit 210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is mounted to control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 and
The switch 400 or the switch 400 is detachably coupled by a detachable means 300 around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operate the switch;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비 모터(220);
상기 감속비 모터와 결합되는 회전축(230);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는 캠(24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감속비 모터(2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캠(240)을 기준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시키거나 회전 후 기준위치로 복귀시키는 제어부(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a reduction ratio motor 220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a rotating shaft 230 coupled to the reduction ratio motor;
a cam 24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30; an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controlling the reduction ratio motor 220 to rotat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cam 240 is rotated 90 degrees left or righ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r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fter rotation Control unit 210 to return;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캠(240)은,
상기 회전축(230)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되는 캠바디(242); 및
상기 캠바디(24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바디(242)가 회전할 경우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부(241);
를 포함하되,
상기 캠바디(242) 및 조작부(241)는 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스위치(400)에 가해지는 캠 스트로크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m 240 is
a cam body 242 in which one side is detachably screwed or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230; and
a manipulation unit 24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m body 242 to operate a switch when the cam body 242 rotates;
including,
The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body (242) and the manipulation unit (241)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alleviate the shock caused by the cam stroke applied to the switch (400).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감속비 모터(220)를 제어하여 상기 캠(240)을 기준위치에서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시키는 동안 과전류가 감지되면 회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210,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stopped when an overcurrent is detected while the cam (240) is rotated 90 degrees left or righ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by controlling the reduction ratio motor (220).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스위치(400) 중 푸시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탈부착수단(310); 및
상기 스위치(400) 중 토글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하단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탈부착수단(3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tachable means 300,
a first detachable means 310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for operation of a push switch among the switches 400; and
a second detachable means 320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for the operation of the toggle switch among the switches 400;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스위치(400)는,
푸시 스위치(410), 토글 스위치(420), 도어락 스위치(430) 및 터치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400 is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push switch 410, a toggle switch 420, a door lock switch 430, and a touch switch.
상기 어플리케이션(500)은,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캠(240)을 회전시켜 스위치(400)를 조작시키는 스위치조작 모듈(510); 및
상기 스위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할 경우 스위치(400)를 조작시키는 타이머 모듈(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스위치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500 is,
a switch operation module 51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10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to rotate the cam 240 to operate the switch 400; and
a timer module 52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10 of the switch control device 200 to operate the switch 400 when a prese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175A KR20210071711A (en) | 2019-12-07 | 2019-12-07 |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I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175A KR20210071711A (en) | 2019-12-07 | 2019-12-07 |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I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1711A true KR20210071711A (en) | 2021-06-16 |
Family
ID=7660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2175A KR20210071711A (en) | 2019-12-07 | 2019-12-07 |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I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71711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3340A (en) | 2015-10-30 | 2018-06-11 | (주)나란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n input device |
KR20180088177A (en) | 2017-01-26 | 2018-08-03 | (주)에스알테크날러지 | Remote controller for lamp switch |
-
2019
- 2019-12-07 KR KR1020190162175A patent/KR2021007171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3340A (en) | 2015-10-30 | 2018-06-11 | (주)나란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n input device |
KR20180088177A (en) | 2017-01-26 | 2018-08-03 | (주)에스알테크날러지 | Remote controller for lamp swit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23357B2 (en) | Pluggable mechanism for wireless remote control | |
US6044473A (en) | Portable computer having a switch for changing a power-controlling mode | |
WO2003073755A8 (en) | Power standby mode circuitry for audiovisual device | |
WO2007046897A2 (en) | Wireless transmitter enabling/disabling system | |
KR20050116984A (en) | Portable computer with camera module | |
EP2149836A3 (en) | Optimization of power consumption in an auxiliary multimedia processor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device | |
CN104767850B (en) | Intelligent terminal | |
CN108235531B (en) | Wireless lamp driving device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and lamp system thereof | |
KR20210071711A (en) | Remote switch control system using IOT | |
CN205335103U (en) | WiFi wane wall switch | |
KR20210048367A (en) | Vehicle door remote control system | |
CN205582800U (en) | Additional formula remote switch device | |
TW200702973A (en) | Electrical device with a rotary knob | |
ATE260695T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PANEL OF THIS DEVIC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 |
US20120161548A1 (en) | Wall outle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CN204559664U (en) | Intelligent terminal | |
CN210466706U (en) | Control device of remote controller power supply and remote controller | |
CN210377201U (en) | Operating handle with vibration function | |
JP5588321B2 (en) | Load control switch and load control switch system | |
CN207302328U (en) | A kind of Medical Devices IR remote controller with rotary coding switch | |
CN213213428U (en) | Two-in-one switch with wireless and solid keys | |
CN208488840U (en) | A kind of radio remote control switch | |
CN201936278U (en) | Multifunctional touch controller | |
CN209787194U (en) | Intelligent control system with intelligent panel meter | |
CN210598460U (en) | Intelligent lock clutch capable of freely reversing left and r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