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64105A -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105A
KR20210064105A KR1020207031023A KR20207031023A KR20210064105A KR 20210064105 A KR20210064105 A KR 20210064105A KR 1020207031023 A KR1020207031023 A KR 1020207031023A KR 20207031023 A KR20207031023 A KR 20207031023A KR 20210064105 A KR20210064105 A KR 2021006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stat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dentifier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4479B1 (ko
Inventor
지후아 시
웬홍 첸
윈 팡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통신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은,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IGGER STATE, TERMINAL, AND NETWORK DEVICE)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R, New Radio) 시스템에서, 단말의 보고(reporting) 동작은 주기적(Periodic) 보고, 비주기적(AP, APeriodic) 보고, 반지속적(SP, Semi-Persistent) 보고 등 세 가지 타입을 지원한다. 여기서, AP 보고 및 SP 보고는 모두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트리거 및 보고되도록 지원되며, 보고된 내용은 물리적 업링크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DCI에 기반한 보고 트리거 메커니즘을 완료하기 위해, NR 시스템은, 두 가지 내용 즉,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트리거 상태 리스트(triggering state list); 및 DCI에 존재하는 CSI 요청 필드(CSI request field)로 지칭되는 하나의 특정 필드; 를 설계하였다. 보고 트리거를 완료하기 위해, 트리거 상태 및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codepoint) 간에 대응관계가 결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대응관계를 어떻게 결정할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은,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는,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칩은,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 방안을 통해, 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정의하였고, 단말은 DCI에서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트리거 상태 식별자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응한 트리거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보고 동작을 구현한다. 또는, 단말은 DCI에서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트리거 상태의 위치의 대응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트리거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보고 동작을 구현한다. 또한,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트리거 상태 식별자 또는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대응관계가 존재하므로, 네트워크측은 DCI를 사용하여 단말의 보고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도시된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의 도식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시스템 아키텍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1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2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설명하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은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120)(통신 단말, 단말)과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이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120)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단말"은 공중 전화 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연결과 같은 유선 연결을 통한 접속; 및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DVB-H 네트워크의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브로드캐스트 송신기와 같은 무선 근거리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및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단말의 장치;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 ”,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예는 위성 전화 또는 셀룰러폰; 셀룰러 무선 전화를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기능과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노트북, 캘린더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및 종래의 랩탑 및 핸드헬드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무선 전화 트랜시버를 포함한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은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가입자 유닛, 가입자 지국, 모바일 지국,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지국,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휴대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120) 사이는 단말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개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엔티티 등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출원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시스템은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를 포함하며 통신 기기로 지칭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120)은 전술한 특정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으며; 통신 기기는 또한 통신 시스템(100) 중의 다른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문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문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다만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문에서의 문자부호 “/”은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와 관련된 관련 기술을 설명한다.
1. CSI 트리거 상태 리스트에 있어서,
CSI 트리거 상태 리스트는 두 가지 즉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CSI 트리거 상태 리스트(CSI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 리스트(CSI-AperiodicTriggerStateList)라 지칭함),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CSI 트리거 상태 리스트(CSI 반지속적 물리적 업링크 채널 트리거 상태 리스트(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라 지칭함)으로 나눈다.
여기서, CSI-AperiodicTriggerStateList의 정의에서,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Aperiodic Trigger State)에 대한 구성 정보가 정의되며;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의 정의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Semi Persistent Trigger State)에 대한 구성 정보가 정의된다. 여기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정보, 보고할 정보, 정보 보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 CSI 요청 필드에 있어서,
CSI 요청 필드는 DCI 중의 하나의 특정 정보 필드를 의미하며,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CSI 요청 필드의 값이며, 예를 들어, CSI 요청 필드가 2 비트로 구성되면,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00, 또는 01, 또는 10, 또는 11일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AP 보고 및 SP 보고는 DCI를 통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DCI에서의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를 결정해야 하며, 즉 UE는 CSI 요청 필드의 코드포인드를 검출한 후, 이 코드 포인트가 어느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3. 트리거 상태와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관계에 있어서,
비주기적 보고의 경우, 전부 0인 코드 포인트는 비주기적 보고가 없는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코드 포인트 및 트리거 상태의 대응은 1부터 시작된다.
반지속적 보고의 경우, 코드 포인트 및 트리거 상태의 대응은 0부터 시작된다.
코드 포인트 및 트리거 상태의 대응(맵핑이라고도 함)을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인 맵핑 방안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차량 장착형 단말, 노트북 등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 예를 들어, 5G에서의 gNB 및 4G에서의 eNB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고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며, 여기서, 고레벨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CSI-AperiodicTriggerStateList를 구성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 또는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를 구성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복수 개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정보, 보고할 정보, 정보 보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02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DCI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 정보 중의 제1 정보 필드는 CSI 요청 필드로 지칭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3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일 수 있다.
단계 203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중의 하나의 트리거 상태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아래의 몇 가지 방식으로 이러한 대응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방식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에 하나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약칭은 state ID임) 필드(즉 제2 정보 필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하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state ID 필드의 구현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표 1을 참조하면, 표 1은 CSI-AperiodicTriggerStateList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정보에서, 밑줄로 표시된 state ID 필드를 추가하였고, 명확히 해야 할 것은, 각 CSI-AperiodicTriggerState의 구성 정보에는 대응하는 state ID 필드가 모두 추가되며, 상기 state ID 필드를 통해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를 지시한다. state ID의 코드 포인트는 숫자 유형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2를 참조하면, 표 2는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
List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정보에서, 밑줄로 표시된 state ID 필드를 추가하였고, 유의해야 할 것은, 각 CSI-AperiodicTriggerState의 구성 정보에는 대응하는 state ID 필드가 모두 추가되며, 상기 state ID 필드를 통해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를 지시한다. state ID의 코드 포인트는 숫자 유형이다.
Figure pct00003
상기 방식 1을 통해,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방식 2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RRC 시그널링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암시적으로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며, 이하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어떻게 암시적으로 결정할지를 각각 설명한다.
비주기적 보고의 제1 구성 정보에서, CSI-AperiodicTriggerStateLists는 하나의 리스트(list)이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즉 RRC 시그널링에서의 위치)에 따라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state ID를 배열하며, 예를 들어, 마지막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마지막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마찬가지로,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서,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는 하나의 리스트이고, 제1 구성 정보에서의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즉 RRC 시그널링에서의 위치)에 따라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state ID를 배열하며, 예를 들어, 마지막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마지막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반지속적 보고의 경우, 또 다른 암시적인 방식, 즉 CSI-ReportConfigId에 따라 state ID를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하나의 보고 구성 식별자(즉 CSI-ReportConfigId)를 포함하므로, 상기 CSI-ReportConfigId를 직접 state ID로 사용하여 상이한 트리거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방식 2를 통해,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방식 3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RRC 시그널링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암시적으로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며, 이하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어떻게 암시적으로 결정할지를 각각 설명한다.
비주기적 보고의 제1 구성 정보에서,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는 하나의 list이고, 0이 아닌 codepoint(non-zero codepoint)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는 list에서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 순서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첫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며, 이와 같이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정의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마지막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마지막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서,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는 하나의 list이고, codepoint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는 list에서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 순서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첫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며, 이와 같이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정의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마지막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마지막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한다.
상기 방식 3을 통해,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한다. 여기서, 목표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대응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방식 4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변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며,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보고 구성 식별자(즉 CSI-ReportConfigId)를 통해 트리거 상태를 암시적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반지속적 보고의 경우, 각 트리거 상태에는 하나의 CSI-ReportConfigId(즉 CSI 보고 구성에 대응하는 ID)만 구성하고, CSI-ReportConfigId를 직접 사용하여 CSI request field의 codepoint에 대응시킨다. codepoint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는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CSI-ReportConfigId의 순서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0'은 가장 작은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1'은 두 번째로 작은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정의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0'은 가장 큰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1'은 두 번째로 큰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한다.
상기 방식 4를 통해,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결정하고, 보고 구성 식별자에 따라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 예를 들어, 5G에서의 gNB 및 4G에서의 eNB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차량 장착형 단말, 노트북 등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고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며, 여기서, 고레벨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CSI-AperiodicTriggerStateList를 구성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일 수 있고, 또는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를 구성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복수 개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정보, 보고할 정보, 정보 보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30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DCI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 정보 중의 제1 정보 필드는 CSI 요청 필드로 지칭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3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중의 하나의 트리거 상태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아래의 몇 가지 방식으로 이러한 대응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방식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에 하나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약칭은 state ID임) 필드(즉 제2 정보 필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하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state ID 필드의 구현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방식 2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RRC 시그널링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암시적으로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며, 이하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어떻게 암시적으로 결정할지를 각각 설명한다.
비주기적 보고의 제1 구성 정보에서, CSI-AperiodicTriggerStateLists는 하나의 리스트(list)이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즉 RRC 시그널링에서의 위치)에 따라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state ID를 배열하며, 예를 들어, 마지막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마지막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마찬가지로,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서,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는 하나의 list이고, 제1 구성 정보에서의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즉 RRC 시그널링에서의 위치)에 따라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state ID를 배열하며, 예를 들어, 마지막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0이고, 마지막 두 번째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state ID는 1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한다.
반지속적 보고의 경우, 또 다른 암시적인 방식, 즉 CSI-ReportConfigId에 따라 state ID를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하나의 보고 구성 식별자(즉 CSI-ReportConfigId)를 포함하므로, 상기 CSI-ReportConfigId를 직접 state ID로 사용하여 상이한 트리거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방식 3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오름차순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RRC 시그널링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암시적으로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며, 이하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 및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어떻게 암시적으로 결정할지를 각각 설명한다.
비주기적 보고의 제1 구성 정보에서,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는 하나의 list이고, 0이 아닌 코드 포인트(non-zero codepoint)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는 리스트에서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 순서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첫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며, 이와 같이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정의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마지막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마지막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서,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는 하나의 리스트이고, codepoint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는 리스트에서의 트리거 상태의 위치 순서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첫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며, 이와 같이 유추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정의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1'은 마지막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2'는 마지막 두 번째 위치에서의 트리거 상태에 대응한다.
방식 4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제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변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며,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보고 구성 식별자(즉 CSI-ReportConfigId)를 통해 트리거 상태를 암시적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반지속적 보고의 경우, 각 트리거 상태에는 하나의 CSI-ReportConfigId(즉 CSI 보고 구성에 대응하는 ID)만 구성하고, CSI-ReportConfigId를 직접 사용하여 CSI 요청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대응시킨다. 코드 포인트와 트리거 상태의 대응관계는 트리거 상태에 대응하는 CSI-ReportConfigId의 순서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0'은 가장 작은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1'은 두 번째로 작은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한다. 또는, 역순에 따라 정의하며, 예를 들어, 코드 포인트 '0'은 가장 큰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하고, 코드 포인트 '1'은 두 번째로 큰 CSI-ReportConfigId에 대응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1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401)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402)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403)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의 관련 설명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2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501)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502)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의 관련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기기(6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상기 통신 기기는 단말,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통신 기기(600)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61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600)는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6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600)는 트랜시버(6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10)는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트랜시버(6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6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6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6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칩(700)은 프로세서(7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71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은 메모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한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7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700)은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단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시스템(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900)은 단말(910) 및 네트워크 기기(9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910)은 상기 방법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9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문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메모리는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인 설명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이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인원은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개략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실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방안의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54)

  1.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으로서,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단계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2.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단계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23.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4.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로서,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대응하는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제1 트리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가 상기 트리거 상태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트리거 상태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비주기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비주기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며;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의 각 트리거 상태의 위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 또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트리거 상태까지의 대응하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가 오름차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반지속적 보고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서, 각 반지속적 트리거 상태의 구성 정보는 보고 구성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은,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오름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보고 구성 식별자가 내림차순으로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코드 포인트의 오름차순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상태의 결정 장치.
  45. 단말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6.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7. 칩으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칩.
  48. 칩으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칩.
  49.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50.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5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3.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4.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31023A 2018-09-27 2018-09-27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 KR102684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8003 WO2020061916A1 (zh) 2018-09-27 2018-09-27 一种触发状态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105A true KR20210064105A (ko) 2021-06-02
KR102684479B1 KR102684479B1 (ko) 2024-07-11

Family

ID=6994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023A KR102684479B1 (ko) 2018-09-27 2018-09-27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082875B2 (ko)
EP (1) EP3758406B1 (ko)
JP (1) JP7254834B2 (ko)
KR (1) KR102684479B1 (ko)
CN (2) CN111226456A (ko)
AU (1) AU2018442717B2 (ko)
BR (1) BR112020023097A2 (ko)
CA (1) CA3098506C (ko)
ES (1) ES2971351T3 (ko)
MX (1) MX2020012988A (ko)
SG (1) SG11202010517PA (ko)
TW (1) TW202025697A (ko)
WO (1) WO2020061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3667B (zh) * 2021-09-30 2024-07-0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62938A1 (en) * 2012-03-16 2018-09-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erence Signals and CSI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7259B (zh) * 2010-08-16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周期信道状态信息报告的触发方法及基站
CN101908951B (zh) 2010-08-16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报告方法及基站
CN102404085B (zh) * 2010-09-17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上报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10080218B2 (en) 2014-03-04 2018-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receiving discovery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US10433200B2 (en) * 2014-12-09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for report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 for the method
CN106549734A (zh) * 2015-09-18 2017-03-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的传输方法、终端和基站
CN107733595B (zh) * 2016-08-11 2021-01-0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传输和报告的方法和设备
KR102681602B1 (ko) * 2016-11-01 2024-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기반의 향상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715275B2 (en) * 2018-05-11 2020-07-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communication service categor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62938A1 (en) * 2012-03-16 2018-09-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erence Signals and CSI Feedbac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8.214 v15.2.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Release 15), 2018.06.29. *
3GPP TS38.214 v15.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8406B1 (en) 2023-12-27
KR102684479B1 (ko) 2024-07-11
US11082875B2 (en) 2021-08-03
JP2022511171A (ja) 2022-01-31
BR112020023097A2 (pt) 2021-04-13
SG11202010517PA (en) 2020-11-27
ES2971351T3 (es) 2024-06-04
CN111226456A (zh) 2020-06-02
EP3758406A1 (en) 2020-12-30
AU2018442717B2 (en) 2024-08-08
EP3758406A4 (en) 2021-05-12
WO2020061916A1 (zh) 2020-04-02
US20210314803A1 (en) 2021-10-07
CA3098506A1 (en) 2020-04-02
TW202025697A (zh) 2020-07-01
CA3098506C (en) 2024-01-02
CN111641967B (zh) 2021-11-16
CN111641967A (zh) 2020-09-08
US11576071B2 (en) 2023-02-07
US20200404528A1 (en) 2020-12-24
MX2020012988A (es) 2021-02-16
AU2018442717A1 (en) 2020-11-19
JP7254834B2 (ja)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26563B2 (en) Method for activating or updating path loss RS of SRS and device
CN113273240A (zh) 跨载波调度的dci的确定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2703779A (zh) 一种上行传输的功率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19242419A1 (zh) 一种bwp切换方法及装置、终端设备
KR20210068081A (ko)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저장 매체
US12107648B2 (en) Method for feeding back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device
KR102683100B1 (ko) 상향 제어 정보의 결정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US120963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or updating PUSCH pathloss RS
US202200534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KR20220006502A (ko) 단말 능력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US12016029B2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number of times of blind inspections
CN110720241A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终端
KR102684479B1 (ko) 트리거 상태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네트워크 기기
US2022010424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873134B1 (en) Improvement of data scheduling for a ue doing en-dc or ne-dc switching
CN113068225B (zh)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终端
KR20210127071A (ko)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
CN112567843A (zh) 一种链路恢复过程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
CN112889257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726454B1 (ko)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CN113632562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