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449A - Substrate Connector - Google Patents
Substrat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4449A KR20210054449A KR1020200132438A KR20200132438A KR20210054449A KR 20210054449 A KR20210054449 A KR 20210054449A KR 1020200132438 A KR1020200132438 A KR 1020200132438A KR 20200132438 A KR20200132438 A KR 20200132438A KR 20210054449 A KR20210054449 A KR 202100544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receptacle
- coupled
- elastic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connector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oards.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In general, connectors are provid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the connector is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computer, a tablet computer, etc., so that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oard connector is a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board and the board.
기판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The board connector includes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1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된 복수개의 플러그컨택트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The plug connector i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substrate (not shown). The plug 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rough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coupled to the plug insulating member.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2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절연부재에 결합된 복수개의 리셉터클컨택트를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The receptacle connector i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substrate (not shown). The receptacle 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through a plurality of receptacle contacts coupled to a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기판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board connector may be implemented by coup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to each other. The board connector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by coup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to each other.
기판 커넥터는 플러그홀드다운(Plug Hold Down)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작업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Board connectors include Plug Hold Down. The plug hold-down serves to secure a supporting force of the plug connector during a mating operation of coup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to each other. The plug hold dow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plug hold down may be coupled to the plug insulating member.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에 대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1(a) and 1(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plug holddown in a conventional board connector, respectively.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100)은 지지부(110), 접속부(120), 및 실장부(130)를 포함한다.1(a) and 1(b), in a conventional board connector, the plug hold-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접속부(120)와 상기 실장부(130)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지지부(110)에는 상기 접속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접속부(120)는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120)는 리셉터클홀드다운(Receptacle Hold Down, 미도시)에 접속된다.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홀드다운(100)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지지부(110)와 상기 실장부(13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실장부(130)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실장부(13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홀드다운(100)과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130)가 상기 접속부(120)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전체 높이는 상기 접속부(120)의 높이(H1)와 상기 실장부(130)의 높이(H2)를 합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120)는 절연체와의 결합에 관련된 부분으로 높이(H1)를 줄이기 어렵다. 또한, 상기 실장부(130)는 벤딩 구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높이(H2)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높이(H2)를 줄이기 어렵다. 상기 실장부(130)의 높이(H2)를 더 줄이면 상기 접속부(12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실장부(130)의 부분에 직접 접촉되거나, 상기 실장부(130)의 강성 확보가 되지 않아 파손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장부(130)의 높이(H2)를 더 줄일 수 없으므로, 커넥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없다.Here,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so that the
또한, 종래 기술에 기판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130)를 상기 제1기판에 실장시키는 납땜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납땜물질이 상기 실장부(130)를 따라 상기 접속부(120)에 도달할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접속부(120)가 손상 내지 파손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홀드다운(100)에 대한 잦은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board connector has the possibility that a soldering material will reach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여 소형화를 달성하며, 실장부에 대한 납땜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접속부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board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nector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breakage of the connection par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oldering operation on the mounting part It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절연부재;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플러그컨택트;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홀드다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제1플러그접속부,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는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1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分岐)될 수 있다.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insulating member for coupling to a board; A plug contact coupled to the plug insulating member a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plug hold down for coupling to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plug holddown is coupled to a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first plug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the plug insulating member to support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It may include a plug support for.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and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plug support part, and branch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plug support part so that a first separa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plug insulation member is filled is formed.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1플러그실장부재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공간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plug support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plug support so that the first plug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substrate is positioned under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first separation space may separate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지지부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 각각을 지지하는 제1플러그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ug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to support each of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1플러그실장부재,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와 상기 플러그지지부 각각에 결합된 제1플러그분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는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된 제1일측분기부재;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에 결합된 제1중간분기부재; 및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와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 각각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 각각에 결합된 제1타측분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lug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first plug branch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plug mounting member and the plug support portion. have. The first plug branch member includes a first one side branch member coupled to the plug support portion; A first intermediate branch member coupled to the first one branch member so as to exten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one branch member; And a first other branch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intermediate branch member and the first plug mounting member so as to exten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each of the first branch member and the first intermediate branch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플러그접속부,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플러그실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는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플러그절연부재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2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hold-down includes a second plug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nd a first plug-mounting part for mounting on the boar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two-plug mounting portion. The second plug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plug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plug support part, and may be branched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plug support part so as to form a second separation space inside which a part of the plug insulation member is filled.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3플러그실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는 내측에 플러그절연부재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3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hold-down includes a second plug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plug mounting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lug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portions. The third plug mounting portion, the second plug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may be branched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plug support portion so as to form a third separation space inside which a part of the plug insulating member is filled. .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플러그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탄성부재, 및 상기 플러그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부재와 상기 플러그지지부를 연결하는 플러그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hold-down may further include a plug elastic portion coupled to elastically move to the plug support portion. The plug elastic part may include a plug elastic member to be connected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elastic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plug elastic member and the plug support so that the plug elastic member moves elastically.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holddown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elastic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plug elastic connection member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탄성부재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elastic member can elastically press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plug hold down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elastic connection member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plug holddown can be induc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절연부재;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리셉터클컨택트; 및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홀드다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리셉터클지지본체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1리셉터클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리셉터클탄성부재, 및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와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를 연결하는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for coupling to a board; A receptacle contact coupled to the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a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receptacle hold down for being coupled to the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The receptacle holddown may include a first receptacle elastic portion coupled to the receptacle support body to move elastically.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part is a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to be connected to a plug connector, and a first receptacle elastic connection connecting the receptacle support body and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moves elastically. It may include a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리셉터클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에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탄성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hold-dow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ceptacle connect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A first elastic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ceptacl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홀드다운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는 상기 홀드다운삽입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hold-down may include a hold-dow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connection member so as to protrude into the hold-down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it can elastically press the plug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2리셉터클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리셉터클탄성부재, 및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와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를 연결하는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ubstrat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hold-dow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ptacle elastic portion coupled to elastically move to the receptacle support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portion. The second receptacle elastic portion is a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and a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that connects the receptacle support body and the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so that the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moves elastically. It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제1플러그실장부에 대한 납땜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1플러그접속부에 대한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전기적 신호 전송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breakage to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oldering operation on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본 발명은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이 플러그지지부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플러그홀드다운에 대한 사용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erse the concentration of external forces such as vibration and shaking on the plug support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use cycle for plug holddown.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절연부재, 플러그홀드다운, 및 플러그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절연부재, 플러그홀드다운, 및 플러그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홀드다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도 3의 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홀드다운 및 리셉터클홀드다운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는 도 3의 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홀드다운 및 리셉터클홀드다운이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절연부재, 리셉터클홀드다운, 및 리셉터클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절연부재, 리셉터클홀드다운, 및 리셉터클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홀드다운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18은 도 3의 II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홀드다운 및 리셉터클홀드다운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9는 도 3의 II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홀드다운 및 리셉터클홀드다운이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컨택트 및 리셉터클컨택트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컨택트 및 리셉터클컨택트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1(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lug hold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lug holddown in a conventional board connector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line II of FIG. 3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lug insulating member, a plug hold-down, and a plug contac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ug insulating member, a plug hold down, and a plug contac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lug hold 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of a plug hold 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plug hold down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lug hold 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lug hold 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lug hold down and the receptacle hold down are combined based on line II-II of FIG. 3
FIG. 1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a plug hold down and a receptacle hold down are combined based on line II-II of FIG. 3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a receptacle hold down, and a receptacle contac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a receptacle hold down, and a receptacle contac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hold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holddown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plug hold down and a receptacle hold down are combined based on line III-III of FIG. 3
FIG. 19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a plug hold down and a receptacle hold down are combined based on line III-III of FIG. 3
20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lug contact and the receptacle contact are coupled with reference to the line II of FIG. 3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plug contact and the receptacle contact are coupled with reference to the line II of FIG. 3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기판(10, 도 4에 도시됨)(이하, '제1기판(10)'이라 함) 및 기판(20, 도 4에 도시됨)(이하, '제2기판(20)'이라 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1기판(10) 및 상기 제2기판(20) 각각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2 and 3,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bile phone, a computer, and a tablet computer.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 10 (shown in FIG. 4) (hereinafter referred to as'first board 10') and a board 20 (shown in FIG. 4) in the electronic device ( Hereinafter, it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second substrate 20'). Each of the first and
도 2 내지 도 6,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1A), 및 리셉터클 커넥터(1B)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6, 14, and 15,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상기 플러그 커넥터(1A)는 상기 제1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A)는 상기 제1기판(10)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절연부재(2),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기 위한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홀드다운(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는 상기 제2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는 상기 제2기판(20)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절연부재(5),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되기 위한 리셉터클컨택트(7), 및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1A)는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과 상기 제2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1A)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1A)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기판(10)에 결합된 제1외부기기(미도시) 및 상기 제2기판(20)에 결합된 제2외부기기(미도시)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 이라는 용어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1A)의 용도 및 기능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As the
도 5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1A)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작업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1A)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을 통해 상기 결합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 커넥터(1A)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양단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양단에 배치된 두개의 플러그홀드다운(3)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플러그홀드다운(3)을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1A)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5 to 13,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hold down 3 is coupled to the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제1플러그접속부(32),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기 위한 제1플러그실장부(33),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를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지지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및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되되, 내측에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1이격공간(S1, 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分岐)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7 to 13, the plug hold down 3 includes a first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이격공간(S1)을 통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를 공간적으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를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시키는 납땜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대시킴으로써 납땜물질에 의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를 이용한 전기적 신호 전송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절연성(絶緣性)을 가진 플러그절연부재(2)를 통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사이에 물리적인 장벽(Barrier)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납땜작업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patially separate the first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가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됨으로써, 상기 플러그지지부(31)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를 지지하는 부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으로 인한 외력이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의 사용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Second,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이하에서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을 지지한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4)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컨택트(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4 to 6, the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제1결합홈(2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에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홈(21)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제1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플러그컨택트(4)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상기 제1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1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제1안착홈(22,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홈(22)에는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가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가 상기 제1안착홈(22)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홈(22)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1결합홈(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 5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되어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지지된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형성된 제1삽입홈(2A, 도 6에 도시됨)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2A)은 상기 제1결합홈(21)과 상기 제1안착홈(22) 각각에 대해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전체적으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양단을 감싸도록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5 to 13, the plug hold down 3 is coupled to the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갖는 홀드다운삽입홈(60,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됨)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과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이동하여서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만이 이동하거나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함께 이동하여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plug hold down 3 may be coupled to the receptacle hold down 6. The plug hold-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상기 플러그지지부(31),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1, the plug hold down 3 may include the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을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제2축방향(Y축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갖는 판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축 방향일 수 있다.The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각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되어서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1),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first
도 7, 도 8,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7, 8, and 11, the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 도 7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의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간에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신호 등이 전송될 수 있다.7 to 11, 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된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전체적으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지지부(3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에 해당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The first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제1플러그접속부재(321), 및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1, 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와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와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 및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결합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가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과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7 to 11, 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된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를 지지하는 부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으로 인한 외력이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의 하나의 지점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전체적으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이격공간(S1)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를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사이에 물리적인 장벽(Barrier)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제1플러그실장부재(331), 및 제1플러그분기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1, 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하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는 상기 제1기판(10)과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와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와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 및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도 7,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는 제1일측분기부재(3321), 제1중간분기부재(3322), 및 제1타측분기부재(3323)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10, the first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와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와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one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결합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one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는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는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와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와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와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는 일부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는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와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 각각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 및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제2플러그접속부(34), 및 제2플러그실장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 및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각각 배치된 위치를 제외하고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7 to 11, the plug hold down 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된다.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지지부(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제2플러그접속부재(341), 및 제2플러그접속연결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재(341) 및 상기 제2플러그접속연결부재(342) 각각은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재(341) 및 상기 제1플러그접속연결부재(322)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7 to 11, the second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지지부(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결합된다.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와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내측에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2이격공간(S2)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second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이격공간(S2)을 통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를 공간적으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를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시키는 납땜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대시킴으로써 납땜물질에 의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를 이용한 전기적 신호 전송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절연성(絶緣性)을 가진 플러그절연부재(2)를 통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사이에 물리적인 장벽(Barrier)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납땜작업시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patially separate the second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가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됨으로써, 상기 플러그지지부(31)가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를 지지하는 부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으로 인한 외력이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사용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이격공간(S2)에 채워지는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 및 상기 제1이격공간(S1)에 채워지는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 부분들일 수 있다.Second,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 및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제2플러그지지부재(31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는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에 결합된다.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러그지지부재(31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 및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plug hold down 3 includes the second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전체적으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는 전체적으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플러그지지부재(3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이격공간(S2)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와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를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사이에 물리적인 장벽(Barrier)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는 제2플러그실장부재(351), 및 제2플러그분기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분기부재(352)는 제2일측분기부재(3521), 제2중간분기부재(3522), 및 제2타측분기부재(3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재(351), 제2일측분기부재(3521), 제2중간분기부재(3522), 및 제2타측분기부재(3523)는 각각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3321),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3322), 및 상기 제1타측분기부재(3323)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7 to 11, the second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제3플러그실장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o 10, the plug hold down 3 may further include a third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는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의 양측면에서만 실장부가 구비된 비교예와 대비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의 서로 다른 세 부분에서 실장부들(33, 35, 36)이 분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실장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실장부들(33, 35, 36)의 높이를 줄여서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강성 확보와 소형화 모두가 구현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내측에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3이격공간(S3, 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3이격공간(S3)을 통해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실장부들(33, 35, 36)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장부에 대한 납땜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머지 다른 플러그실장부들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3이격공간(S3)을 감싸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31)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3이격공간(S3)에 채워지는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이격공간(S2)에 채워지는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 및 상기 제1이격공간(S1)에 채워지는 플러그절연부재(2)의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36)는 제3플러그실장부재(361), 및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0, the third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는 상기 제1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하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되도록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재(351),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331)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될 수 있다.The third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와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지지부(31)와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재(361), 및 상기 플러그지지부(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third
상기 제3플러그분기부재(362)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결합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은 플러그탄성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o 13, the plug hold down 3 may further include a plug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상기 플러그지지부(31)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33)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3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lug
도 7,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탄성부(37)는 플러그탄성부재(371), 및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를 포함할 수 있다.7, 12, and 13, the plug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는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가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의 접속부에 접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를 통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사이의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33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에 결합될 수 있다.The plug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plug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g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는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와 상기 플러그지지부(3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는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와 상기 플러그지지부(3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는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와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와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 상기 플러그탄성부재(371), 및 상기 플러그지지본체(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lug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372)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을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g
도 4 내지 도 6,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복수개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플러그컨택트(4)를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4 to 6, 20, and 21, the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된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된 리셉터클컨택트(7)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 및 상기 제2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20 and 21, the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안착홈(22, 도 5에 도시됨)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The plug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 및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20 and 21, the
상기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는 상기 제1기판(10, 도 4에 도시됨)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가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The plug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를 연결한다.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 상기 플러그컨택트실장부재(42),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 사이에는 탄성홈(44, 도 20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plug
도 4,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지지한다.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의 양단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4, 14, and 15, the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제2결합홈(51,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51)에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가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홈(51)은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상기 제2결합홈(5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상기 제2결합홈(5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5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결합홈(5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제2안착홈(52, 도 15에 도시됨), 및 안착돌기(53,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안착홈(52)에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삽입된다.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결합된 플러그절연부재(2)가 상기 제2안착홈(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홈(52)은 내측에 상기 안착돌기(53)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홈(52)은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연통될 수 있다.The
상기 안착돌기(53)는 상기 제2안착홈(5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53)는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2결합홈(5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53)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의 제1안착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플러그절연부재(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53)는 상기 제2결합홈(51)에 결합된 리셉터클컨택트(7)를 지지할 수 있다.The
도 14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상기 결합작업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통해 상기 결합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 커넥터(1A)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B)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14 to 19, the receptacle hold-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되어서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지지된다.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형성된 제2삽입홈(5A, 도 15에 도시됨)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5A)은 상기 제2결합홈(51)과 상기 제2안착홈(52) 각각에 대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및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ptacle hold-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리셉터클지지본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의 본체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는 상측에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이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갖는 판재로 구현될 수 있다.16 to 19, the receptacle hold down 6 may include a
도 16,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제1리셉터클탄성부(62)를 포함할 수 있다.16, 18, and 19, the receptacle hold down 6 may include a first receptacle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는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는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는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receptacle
상기 리셉터클탄성부는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 및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elastic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eceptacle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에 접속될 수 있도록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가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에 접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를 통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사이의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후술할 제1리셉터클접속부(64)로부터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eceptacle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receptacle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receptacle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22),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621), 및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receptacle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제2리셉터클탄성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17 to 19, the receptacle hold down 6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와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가 각각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제2플러그접속부(34)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리셉터클탄성부들(62, 63)을 이용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는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 및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재(321)에 접속될 수 있도록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가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된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에 접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를 통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사이의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후술할 제2리셉터클접속부(66)로부터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이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플러그홀드다운(3) 및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는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와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632),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631), 및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receptacle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제1리셉터클접속부(64), 및 제1리셉터클실장부(65)를 포함할 수 있다.16 to 19, the receptacle hold down 6 may include a first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32)가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는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에는 제1탄성수용홈(64A, 도 1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수용홈(64A)은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62)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수용홈(64A)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A first elastic receiving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는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는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와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 사이에는 제1리셉터클연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연결부는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와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와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연결부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연결부,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 및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 first receptacle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제2리셉터클접속부(66), 및 제2리셉터클실장부(6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receptacle hold down 6 may include a second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는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34)가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는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에는 제2탄성수용홈(66A, 도 17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수용홈(66A)은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63)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2탄성수용홈(66A)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elastic receiving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는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는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 및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The second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와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사이에는 제2리셉터클연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연결부는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와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와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연결부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연결부,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 및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 second receptacle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제3리셉터클접속부(68), 및 제3리셉터클실장부(6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receptacle hold down 6 may include a third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는 상기 플러그탄성부(37)가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는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 및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 및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및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는 내측에 홀드다운삽입홈(60)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및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 각각은 상기 홀드다운삽입홈(60)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는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는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 상기 제2리셉터클실장부(67), 및 상기 제1리셉터클실장부(65)는 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The third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와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 사이에는 제3리셉터클연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연결부는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와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와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연결부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리셉터클연결부, 상기 제3리셉터클실장부(69), 및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 third receptacle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은 고정부재(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A)는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6)을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6A)는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A)는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64), 상기 제2리셉터클접속부(66), 및 상기 제3리셉터클접속부(68)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A)는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16 and 17, the receptacle hold-
도 4, 도 14, 도 15,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복수개가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리셉터클컨택트(7)를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4, 14, 15, 20, and 21, th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상기 제2기판(20, 도 4에 도시됨)에 실장된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상기 제1기판(10)에 실장된 플러그컨택트(4)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 및 상기 제1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1)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1)가 상기 제2안착홈(52,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ceptacl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1)는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됨),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됨), 및 컨택트삽입홈(713,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됨)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0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오정렬된 경우,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가 이루는 곡면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 및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됨)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에 대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0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오정렬된 경우, 상기 플러그컨택트(4)는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가 이루는 곡면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상기 컨택트삽입홈(713)은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 및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 간의 접속은, 상기 플러그컨택트(4)가 상기 컨택트삽입홈(713)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 및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각각 곡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가 상기 컨택트삽입홈(713)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1)는 리셉터클컨택트연결부재(714,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연결부재(714)는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 및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를 연결한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연결부재(714),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 및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의 내측에는 상기 컨택트삽입홈(713)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가 상기 컨택트삽입홈(7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에 밀림에 따라,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접속부재(41) 및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가 상기 컨택트삽입홈(713)에 삽입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에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는 상기 플러그컨택트연결부재(43)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컨택트(4)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연결부재(714),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 및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ceptacl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는 상기 제2기판(20, 도 4에 도시됨)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가 상기 제2기판(2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7)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가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ceptacle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는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에 연결된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는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1)는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 및 상기 제2리셉터클분기접속부재(7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2) 및 상기 리셉터클컨택트접속부재(7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ceptac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기판 커넥터
1A : 플러그 커넥터
1B : 리셉터클 커넥터
2 : 플러그절연부재
3 : 플러그홀드다운
4 : 플러그컨택트
5 : 리셉터클절연부재
6 : 리셉터클홀드다운
7 : 리셉터클컨택트
31 : 플러그지지부
32 : 제1플러그접속부
33 : 제1플러그실장부
34 : 제2플러그접속부
35 : 제2플러그실장부
36 : 제3플러그실장부
37 : 플러그탄성부1:
1B: receptacle connector 2: plug insulating member
3: Plug hold down 4: Plug contact
5: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6: receptacle hold down
7: receptacle contact 31: plug support
32: first plug connection part 33: first plug mounting part
34: second plug connection portion 35: second plug mounting portion
36: third plug mounting portion 37: plug elastic portion
Claims (15)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플러그컨택트;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홀드다운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제1플러그접속부,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는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1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分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A plug insulat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substrate;
A plug contact coupled to the plug insulating member a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es a plug hold down for coupling to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plug holddown is coupled to a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first plug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the plug insulating member to support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It includes a plug support for,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and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plug support part, and branch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plug support part so that a first separa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plug insulation member is filled is formed.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는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1플러그실장부재가 상기 플러그절연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이격공간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plug support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is coupled to the plug support so that the first plug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substrate is located under the plug insulating member,
The first separation space is a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상기 플러그지지부는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 각각을 지지하는 제1플러그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plug support part comprises a first plug support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to support each of the first plug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art. .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1플러그실장부재,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와 상기 플러그지지부 각각에 결합된 제1플러그분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러그분기부재는,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된 제1일측분기부재;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에 결합된 제1중간분기부재; 및
상기 제1일측분기부재와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 각각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중간분기부재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재 각각에 결합된 제1타측분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lug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first plug branch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plug mounting member and the plug support portion,
The first plug branch member,
A first one side branch member coupled to the plug support;
A first intermediate branch member coupled to the first one branch member so as to exten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one branch member; And
And a first other branch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intermediate branch member and the first plug mounting member so as to exten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each of the first one branch member and the first intermediate branch member. connector.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제1플러그접속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플러그접속부,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플러그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2플러그접속부는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플러그절연부재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2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성가 플러그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plug hold down further includes a second plug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plug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The second plug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plug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plug support part, and branched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annoying plug support part so as to form a second separa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plug insulating member is filled inside. Board connector.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3플러그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플러그실장부, 상기 제2플러그실장부, 및 상기 제1플러그실장부는 내측에 플러그절연부재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3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plug hold-down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mounting unit and a second plug mounting unit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ug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plug moun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third plug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third plug mounting portion, the second plug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plug mounting portion are branched from different positions of the plug support portion such that a third space is formed inside the plug insulating member. Board connector.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플러그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탄성부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탄성부재, 및 상기 플러그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부재와 상기 플러그지지부를 연결하는 플러그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plug hold down further includes a plug elastic portion coupled to elastically move to the plug support portion,
And a plug elastic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g elastic member and the plug supporting unit so that the plug elastic member moves elastically, and the plug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탄성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7,
The plug hold down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plug elastic connecting member so as to protrude outwar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상기 플러그탄성부재는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plug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es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plug holddown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상기 플러그탄성연결부재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플러그홀드다운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7,
The plug elastic connection member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to induce the plug hold-down to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리셉터클컨택트; 및
상기 리셉터클절연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홀드다운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리셉터클지지본체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1리셉터클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리셉터클탄성부재, 및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와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를 연결하는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A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substrate;
A receptacle contact coupled to the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a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receptacle hold down for being coupled to the receptacle insulating member,
The receptacle holddown includes a first receptacle elastic portion coupled to elastically move to the receptacle support body,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part is a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to be connected to a plug connector, and a first receptacle elastic connection connecting the receptacle support body and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moves elastically. A board connector comprising a member.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리셉터클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접속부에는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탄성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eptacle hold-down further includes a first receptacle connection part to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A board connector, wherein the first receptacle connection portion has a first elastic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portion.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홀드다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는 상기 홀드다운삽입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eptacle hold-down includes a hold-dow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connection member so as to protrude into the hold-down insertion groove.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es the plug connector.
상기 리셉터클홀드다운은 상기 제1리셉터클탄성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2리셉터클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리셉터클탄성부재, 및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셉터클지지본체와 상기 제2리셉터클탄성부재를 연결하는 제2리셉터클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eptacle holddown further includes a second receptacle elastic portion coupled to elastically move to the receptacle support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eptacle elastic portion,
The second receptacle elastic portion is a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and a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that connects the receptacle support body and the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so that the second receptacle elastic member moves elastically. A board connector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262 | 2019-11-05 | ||
KR20190140262 | 2019-11-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449A true KR20210054449A (en) | 2021-05-13 |
Family
ID=7591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438A Pending KR20210054449A (en) | 2019-11-05 | 2020-10-14 | Substrat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444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80504A1 (en) * | 2022-10-14 | 2024-04-18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ame |
WO2024090731A1 (en) * | 2022-10-28 | 2024-05-02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Connector guide member and connector comprising same |
-
2020
- 2020-10-14 KR KR1020200132438A patent/KR20210054449A/en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80504A1 (en) * | 2022-10-14 | 2024-04-18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ame |
WO2024090731A1 (en) * | 2022-10-28 | 2024-05-02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Connector guide member and connector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7942B2 (en) | Connector having metal shell with anti-displacement structure | |
EP2876737B1 (en) | Connector | |
US7722387B2 (en) | Board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062041B2 (en) | Connector | |
SG191437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JP2020532834A (en) | Vertical direct PCB connector | |
TW201421820A (en) |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 |
EP3316406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 |
CN110718790B (en) | Electrical connector | |
TW201324969A (en) | Staggered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 |
KR20210054449A (en) | Substrate Connector | |
KR20120086734A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CN114447680A (en) |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 |
US20110244734A1 (en) | Component-to-board electrical connector | |
CN209298392U (en) | Flexible soft 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2665150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723264B1 (en) | Plug Connector | |
KR102283488B1 (en) |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 |
CN201303072Y (en) | Electric connector | |
KR102695676B1 (en) | Substrate Connector | |
US20250079740A1 (en) |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20240022024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20240072500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groups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
US20250079736A1 (en) |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KR20230153930A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