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74A - 의료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스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1774A KR20210041774A KR1020190124424A KR20190124424A KR20210041774A KR 20210041774 A KR20210041774 A KR 20210041774A KR 1020190124424 A KR1020190124424 A KR 1020190124424A KR 20190124424 A KR20190124424 A KR 20190124424A KR 20210041774 A KR20210041774 A KR 20210041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nt
- groove
- cover
- state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4—Stents retaining their form, i.e. not being deformable, after placement in the predetermined pl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1—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directly machined on the prosthetic surface, e.g. holes,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의료용 스텐트를 개시한다.
이러한 의료용 스텐트는, 인체 내강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접촉 간섭에 의해 유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료용 스텐트로서,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본체부와,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측에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유동 억제를 위한 표면 접촉 간섭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동 억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료용 스텐트는, 인체 내강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접촉 간섭에 의해 유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료용 스텐트로서,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본체부와,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측에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유동 억제를 위한 표면 접촉 간섭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동 억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담도나 식도와 같은 내강(內腔) 계통의 질환은 대부분 내강 내부가 비(非)정상적으로 협착된 상태의 병변들에 의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인체 내강 중에서 담관(膽管) 내부에 협착 병변이 발생될 경우, 담즙의 흐름 장애를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체에 심각한 증세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협착 병변에 의한 인체 내강 질환을 치유하기 위한 의료적 시술 방법으로는, 내강의 병변 부위에 원통형의 스텐트를 삽입하여 이 스텐트에 의해 병변 부위의 통로가 확보되도록 하는 스텐트 삽입 시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
스텐트 삽입 시술은 주로 카테터라 불리우는 별도의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내강의 병변 부위 측에 스텐트를 삽입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와 같은 스텐트 삽입 시술에 의하면, 인체 내강의 병변 부위 측에 스텐트가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만 시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술 안정성 및 시술 신뢰도를 한층 더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강 내에서 스텐트의 비(非)정상적인 유동 현상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는 상태로 삽입 시술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내강(內腔) 측에 삽입 시술된 후, 비(非)정상적인 유동 현상(Migration)이 억제되도록 하여 한층 향상된 시술 안정성과 시술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의료용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체 내강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접촉 간섭에 의해 유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료용 스텐트로서,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본체부;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측에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유동 억제를 위한 표면 접촉 간섭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동 억제부;
를 포함하는 의료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갖는 스텐트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커버부가 형성되고, 이 커버부 측에는 표면 접촉 간섭으로 스텐트 본체부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 억제부가 형성된 커버드 타입의 스텐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인체 내강의 병변 부위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유동 억제부과 내강 내벽면 간의 표면 접촉 간섭 작용에 의해 비(非)정상적인 유동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한층 향상된 시술 안정성 및 시술 신뢰도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T)는, 스텐트 본체부(10), 커버부(20), 및 유동 억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텐트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스트럿(12)으로 이루어진다.
스텐트 본체부(10)의 스트럿(12) 재질은 스텐트 본연의 기능 및 용도와 부합하는 특성을 갖는 의료용 금속류 또는 비금속류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여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럿(12)의 재질은 니티놀(Nitinol),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steel), 코발트-크롬 합금(Cobalt-chromium alloy), 폴리디옥신(Polydioxanone) 및 폴리랙타이드(Polylactide)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텐트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통상의 레이져 가공 작업으로 튜브 형태의 스텐트 제조용 모재를 가공하여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트럿(12)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텐트 본체부(10)는 레이져 가공 작업에 의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스트럿(12)이 스텐트(T)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나선(螺線) 방향의 감김 상태로 연장되면서 코일 스프링 형태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 본체부(10)의 스트럿(12)이 코일 스프링 형태의 둘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면, 스텐트(T) 측에 탄력적이면서 플렉서블한 형태성이 부여될 수 있다.
특히, 스텐트 본체부(10)가 탄력적이면서 플렉서블한 형태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인체 내강(P)의 병변 부위에 삽입 시술될 때 이와 부합하는 형태 순응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 본체부(10)는 레이져 가공 작업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필라멘트 타입의 스텐트 제조용 모재를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감는 작업 방식에 의해 형성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부(20)는 커버드(Covered) 타입의 스텐트(T) 구조와 부합하도록 스텐트 본체부(10) 측에 형성된다.
커버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스텐트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커버막(22)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커버부(20)의 재질은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버부(20)는 예를 들어, 상기한 재질 성분의 코팅액을 사용한 통상의 코팅 처리 작업 방식에 의해 스텐트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에 커버막(22)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막(22)은 스텐트 본체부(10)의 둘레부 측에 형성되되, 도 4에서와 같이 스트럿(12) 표면 중에서 스텐트 본체부(10)의 내주면을 이루는 안쪽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부 및 외부면 그리고, 스트럿(12)의 마디 사이사이에 막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커버부(20)가 스텐트 본체부(10) 측에 형성되더라도, 스텐트 본체부(10)의 내주면 측이 균일한 표면 상태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주면 면적 내에서 커버막(22)의 노출 면적을 줄여서 내주면 측에 슬러지가 끼이거나, 부착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유동 억제부(30)는 스텐트 본체부(10)가 인체의 내강(P) 내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비(非)정상적으로 유동(Migration)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유동 억제부(30)는 스텐트(T)가 인체 내강(P)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에 의해 병변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커버부(20) 측의 표면 접촉 간섭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동 억제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간섭홈(32)을 구비하고, 이 간섭홈(32)은 스텐트 본체부(10)의 커버부(20)의 외부면 상에 표면 접촉 간섭의 유발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간섭홈(32)은 스텐트 본체부(10)의 스트럿(12) 연장 방향을 따라 나선(螺線) 모양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커버부(20)의 외부면 측에 형성된다.
즉, 간섭홈(32)은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커버부(20)의 외부면 측에서 커버막(22) 표면 내측으로 파여진 홈부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억제부(30)는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스텐트(T)가 인체 내강(P)에 삽입 시술된 상태일 때, 스텐트 본체부(10)의 커버부(20) 둘레부 측에서 내강(P) 내벽면 측과 간섭홈(32) 간에 표면 접촉 간섭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 억제부(30)는 내강(P) 측에 삽입 시술된 스텐트(T)가 내강(P)의 연장 구간을 따라 비(非)정상적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텐트(T)의 삽입 시술 안정성 및 시술 신뢰도가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동 억제부(30)의 나선형의 간섭홈(32)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T"자 형의 분지 구조를 갖는 내강(P)의 병변 측에 스텐트(T)가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스텐트(T) 둘레부에 의해 분지 측의 통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섭홈(32)은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스텐트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커버부(20)의 커버막(22) 측에 파여진 상태로 형성되어 홈부 연장 구간을 따라 내강(P)의 분지 측이 연통될 수 있는 일종의 통로 역할도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스텐트(T)의 시술 호환성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유동 억제부(30)는 보조 간섭홈(34)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간섭홈(34)은 도 7에서와 같이 커버부(20)의 둘레부 측에서 커버막(22) 표면 측에 슬릿(Slit) 타입으로 형성되되, 스텐트 본체부(10)의 길이 방향과 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조 간섭홈(34)은 커버부(20)의 둘레부 측에서 커버막(22) 표면 측에 슬릿(Slit) 타입으로 형성되되, 홈의 개구부 측이 탄력적으로 닫혀진 상태의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조 간섭홈(34)은 커버부(20)의 둘레부 측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간섭홈(34)은 도 8에서와 같이 스텐트 본체부(10)의 밴딩 상태에 따라 일부 홈들의 개구부 측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절개형의 홈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조 간섭홈(34)은 특히 스텐트(T)가 인체 내강(P)의 곡선 구간 내에서 이와 부합하도록 밴딩된 상태로 삽입 배치될 때, 커버부(20)의 둘레부 측에서 일부 홈들의 개구부 측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간섭홈(32)들과 연계하여 스텐트(T)의 유동 억제를 위한 표면 접촉 간섭이 더욱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유동 억제부(30)는 감응 스팟(36)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감응 스팟(36)은 스텐트(T)의 비(非)정상적인 유동 억제를 위한 표면 접촉 간섭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감응 스팟(36)은 수분 감응 방식에 의해 커버부(20)의 둘레부 측에서 부피가 팽창되는 상태로 돌출 작용되도록 형성된다.
즉, 감응 스팟(36)은 도 9에서와 같이 커버부(20)의 둘레부 외부면 측에서 커버막(22) 표면 내측을 향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파여진 수용공간 형태의 홈부를 가지며, 이 홈부 내측에 감응재(38)가 각각 채워진 상태로 복수 개의 지점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감응 스팟(36)은 홈 개방부 측이 홈 둘레부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홈부 구조는 내측에 채워지는 감응재(38)의 탈리 현상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감응재(38)는 스텐트(T)가 인체 내강(P)에 삽입 시술된 상태일 때, 수분 접촉(흡수)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상태로 감응 반응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물질이 사용된다.
이와 부합하는 감응 특성을 갖는 물질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산화재생 셀룰로오스(Regenerated cellulose), 실크피브로인(Silk fibroin),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감응 물질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감응재(38)로 사용할 수 있다.
감응재(38)는 감응 스팟(36)들의 내측에 각각 채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감응 스팟(36)의 홈부 개구부에 의해 상부 측이 노출된 상태로 커버부(20)의 둘레부 외부면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감응 스팟(36)은 도 10에서와 같이 인체 내강(P)에 스텐트(T)가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감응재(38)가 수분과 접촉(흡수)하게 되면, 커버부(20)의 표면 상에 돌출되는 상태로 감응재(38)의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커버부(20) 측에 더욱 증대된 표면 접촉 간섭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 억제부(30)가 감응 스팟(36)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면, 스텐트(T)의 비(非)정상적인 유동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수분 접촉(흡수)에 의한 감응 방식으로 감응 스팟(36) 측이 돌출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온도 변화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특성을 갖는 감응 물질을 감응재로 사용하여 감응 스팟 측이 온도 감응 방식으로 돌출 작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 내강(P)의 협착된 병변 부위 측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유동 억제부(30)에 의한 표면 접촉 간섭 작용으로 스텐트(T)의 비(非)정상적인 유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텐트 삽입 시술시 만족할 만한 시술 안정성 및 시술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스텐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0: 스텐트 본체부 20: 커버부
30: 유동 억제부 T: 스텐트
P: 내강
30: 유동 억제부 T: 스텐트
P: 내강
Claims (8)
- 인체 내강에 삽입 시술된 상태에서 접촉 간섭에 의해 유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료용 스텐트로서,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본체부;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측에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유동 억제를 위한 표면 접촉 간섭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동 억제부;
를 포함하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스트럿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스트럿 표면 중에서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내주면 측을 이루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커버막을 형성하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간섭홈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홈은,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스트럿 연장 방향을 따라 나선(螺線) 모양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커버부의 외부면 측에 형성되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보조 간섭홈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간섭홈은,
상기 커버부의 외부면 측에서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Slit) 타입의 홈부 형태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간섭홈은,
상기 스텐트 본체부의 밴딩 상태에 따라 홈부의 개구부 측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커버부 측에 형성되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감응 스팟을 구비하고,
상기 감응 스팟은,
상기 커버부의 외부면 측에서 표면 내측을 향하여 수용공간을 갖는 상태로 파여진 홈부 형태를 가지며, 홈부 내측에 감응재가 채워진 상태로 형성되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응재는,
수분 접촉 또는 흡수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상기 감응 스팟의 홈부 개방부 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의료용 스텐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응재는,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산화재생 셀룰로오스(Regenerated cellulose), 실크피브로인(Silk fibroin),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중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스텐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424A KR102363192B1 (ko) | 2019-10-08 | 2019-10-08 | 의료용 스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424A KR102363192B1 (ko) | 2019-10-08 | 2019-10-08 | 의료용 스텐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1774A true KR20210041774A (ko) | 2021-04-16 |
KR102363192B1 KR102363192B1 (ko) | 2022-02-15 |
Family
ID=7574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4424A KR102363192B1 (ko) | 2019-10-08 | 2019-10-08 | 의료용 스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31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2072B1 (ko) * | 2022-08-12 | 2023-08-28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용 스텐트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51165A1 (en) * | 1998-04-02 | 1999-10-14 | Salviac Limited | An implant comprising a support structure and a transition material made of porous plastics material |
EP2167152A2 (en) * | 2007-06-13 | 2010-03-31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Anti-migration features and geometry for a shape memory polymer stent |
JP2011509758A (ja) * | 2008-01-17 | 2011-03-31 |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移動防止特徴部を備えたステント |
US20120035715A1 (en) * | 2010-08-09 | 2012-02-09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Tracheal Stent With Longitudinal Ribs to Minimize Stent Movement, Coughing and Halitosis |
KR101498584B1 (ko) | 2013-05-15 | 2015-03-04 |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 이동방지용 스텐트 |
JP2015529153A (ja) * | 2013-03-15 | 2015-10-05 |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 移動抵抗性マイクロパターン化ステントコーティング |
-
2019
- 2019-10-08 KR KR1020190124424A patent/KR1023631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51165A1 (en) * | 1998-04-02 | 1999-10-14 | Salviac Limited | An implant comprising a support structure and a transition material made of porous plastics material |
EP2167152A2 (en) * | 2007-06-13 | 2010-03-31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Anti-migration features and geometry for a shape memory polymer stent |
JP2011509758A (ja) * | 2008-01-17 | 2011-03-31 |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移動防止特徴部を備えたステント |
US20120035715A1 (en) * | 2010-08-09 | 2012-02-09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Tracheal Stent With Longitudinal Ribs to Minimize Stent Movement, Coughing and Halitosis |
JP2015529153A (ja) * | 2013-03-15 | 2015-10-05 |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 移動抵抗性マイクロパターン化ステントコーティング |
KR101498584B1 (ko) | 2013-05-15 | 2015-03-04 |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 이동방지용 스텐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2072B1 (ko) * | 2022-08-12 | 2023-08-28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용 스텐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3192B1 (ko) | 2022-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1989B1 (ko) | 스텐트 및 카테터 스텐트 시스템 | |
JP6568925B2 (ja) | 管腔内装置 | |
US5851232A (en) | Venous stent | |
JP4901733B2 (ja) | 拡張可能な移植片部分を有する内腔内補綴具 | |
JP5901651B2 (ja) | ステントグラフト | |
KR101498584B1 (ko) | 이동방지용 스텐트 | |
JP4097897B2 (ja) | 伸長性ステント装置 | |
UA59435C2 (uk) | Стент, що розгортається (варіанти) | |
US20100274276A1 (en) | Aneurysm treat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 |
CN111067664B (zh) | 覆膜支架 | |
JP2006513009A (ja) | 自己拡張式ステント | |
JP2008100050A (ja) | 複数のインビボ・インプラント送達装置 | |
Schwein et al. | Endovascular treatment for venous diseases: where are the venous stents? | |
KR101382524B1 (ko) | 돌출형 부분이중구조 스텐트 | |
JP2005312896A (ja) | 腎部カール付きステント | |
US20090005857A1 (en) | Lesion Specific Stents, Also for Ostial Lesions, and Methods of Application | |
WO2010027450A1 (en) | Stent having less invasive ends and improved radial force | |
KR20210041774A (ko) | 의료용 스텐트 | |
RU2714460C2 (ru) | Стент-графт | |
JP4634452B2 (ja) | 人造血管ステント | |
KR101772482B1 (ko) |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 |
BR112017022496B1 (pt) | Enxerto de stent | |
KR20200074974A (ko) |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 |
US10863997B2 (en) | Medical device | |
JPS6282975A (ja) | 管腔臓器内留置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