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68A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1768A KR20210041768A KR1020190124411A KR20190124411A KR20210041768A KR 20210041768 A KR20210041768 A KR 20210041768A KR 1020190124411 A KR1020190124411 A KR 1020190124411A KR 20190124411 A KR20190124411 A KR 20190124411A KR 20210041768 A KR20210041768 A KR 20210041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electronic device
- state
- image information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개의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on a single display.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와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ptop personal computers (laptop PCs), and wearable devices are being distributed. have.
최근, 대 화면을 구비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접을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ing a large screen have been spreading. For examp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foldable display capable of folding a display, and a device including a rollable display capable of storing the display by rolling are spreading.
폴딩 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서브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전자 장치를 폴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도 등장하고 있다. 이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펼치면, 펼쳐진 디스플레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foldable display that provide information to a user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folded by further including a sub-display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folding are also emerging.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executed on the sub-display may be executed on the expanded display when the foldable display is opened.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폴딩 동작에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브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되던 어플리케이션을 펼쳐진 디스플레이에서 동일하게 실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foldable display,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sub-display may be executed on the foldable display. The electronic device may execute and display an application that has been executed on the sub-display in the same manner on the open display.
따라서, 사용자가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의 폴딩 동작에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던 영상 정보와는 상이하지만 표시되던 영상 정보와 관련성 있는 영상 정보를 펼쳐진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a user us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ldable display, image inform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ub-display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ut is related to the display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unfolded display. There may be a request to confirm.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서브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a sub-display,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and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sub-display to display first image information, and , Displaying second image information to which at least one object generated by an external input is added 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identify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a first state to a second state, the display By controll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ay be divided to include at least one instruction set to display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서브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상황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외부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외부 입력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객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a sub-display,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and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processor displays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nge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the sub-display is controll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an external input, an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t least one sub-display is displayed. As an object is displayed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 instruction set to output information acquired using the object and the application may be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브 디스플레이에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된 제2 영상 정보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displaying first image information on a sub-display, and subscribing second image information to which at least one object generated by an external input is added 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and identify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is divided to display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include display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외부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니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객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on of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and controlling a sub-display to obtain an external input by identify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a second state to a first stat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to perform,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on the sub-display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changing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Upon identification, an operation of outputting information obtained using the object and the application may be include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되던 제1 영상 정보와 제2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에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that were sequentially provided through the sub-display on the display.
또한, 전자 장치는 제1 영상 정보에 추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may individually store at least one object added 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provide i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객체를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cquired by using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and an object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 개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영상 정보와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영상 정보와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양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generates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first image information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first image information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nputs a search word using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nputs a search word using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situation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uses a content by using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a device of various typ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above items unless clearly indicated otherwise in a related context.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Order) is not limited. Some (eg,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mentioned, it means that any of the abov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via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s, parts, or circuits. The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figur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f the componen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play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a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displaying.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의 일부가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이하, 디스플레이(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물(210)의 일단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일단은 힌지 구조물(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이 힌지 구조물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에 수용된 디스플레이(11)의 일 영역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1)의 일 영역이 접혀서 마주보는 상태를 제1 상태(또는, 접힘 상태)라고 정의하고, 디스플레이(11)가 펼쳐진 상태를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12)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이 디스플레이(11)를 수용한 영역의 반대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와 서브 디스플레이(1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와 서브 디스플레이(12)는 각각 외부의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터치 센서, 터치 센서 IC(integrated circu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와 서브 디스플레이(12)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110에서,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에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도 2의 식별기호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따라 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미지(230), 영상 편집 객체들(232)을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는 웹 서버와 통신을 수립하고, 웹 서버로부터 다운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230), 영상 편집 객체들(232)을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2-a of FIG. 2,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230)는 전자 장치(10)가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기 저장했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또는, 이미지(230)는, 전자 장치(10)가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영 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일 수 있다. 또는, 이미지(230)는 전자 장치(10)가 웹 서버와 통신을 수립하여 획득 된 영상 데이터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120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도 2의 식별 기호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미지(230)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40)을 이용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다양한 터치 입력(예: 터치 입력, 터치 앤 드래그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추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 된 제1 영상 정보(30)를 제2 영상 정보(50)로 갱신(또는,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2-b of FIG. 2, the user may edit the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터치 입력이 감지 된 서브 디스플레이(12)의 일 영역에 기 설정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식별 기호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24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240)이 이미지(230)에 중첩 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130에서,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도 2의 식별 기호 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제1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가 펼쳐진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2-c of FIG. 2,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홀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220)과 체결되어 제1 하우징 구조물(2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는 힌지 구조물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의 상태 변화(예: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변화,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에 따라, 비 활성화되어 있던 디스플레이(11)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활성화 된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가 접히는 축(A)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우측을 제1 영역(11a)으로 식별하고, 좌측을 제2 영역(11b)으로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11a)에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b)에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하는 경우에 이미지(230) 및 사용자 입력의 의하여 입력된 객체(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240))만 표시할 수 있다.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12)의 표시 영역과 디스플레이(11)의 제1 영역(11a) 또는 제2 영역(11b)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의 표시 영역의 가로/세로 비율과 제1 영역(11a) 또는 제2 영역(11b)의 가로/세로 비율을 이용하여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가 제1 영역(11a) 또는 제2 영역(11b)에 표시되는 크기를 보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 area of the sub-display 12 and the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서브 디스플레이(12)를 이용하여 입력 한 결과에 따라 획득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11)가 활성화 되면,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던 상태의 영상 정보(예: 제1 영상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이 반영 된 영상 정보(예: 제2 영상 정보)를 별개의 영상 정보로 식별하고, 필요 시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도 2의 식별 기호 2-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에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는 표시 전환 객체(250)를 디스플레이(11)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표시 전환 객체(25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 중 하나의 영상 정보 만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영상 정보(50)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2-d of FIG. 2,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 중 하나의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 전환 객체(25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도 2의 식별 기호 2-c와 같이,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11a)에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b)에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표시 되는 영상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프로세서(310), 디스플레이(320), 서브 디스플레이(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는 일부 구성 요소들을 생략하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센서 모듈(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2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330)는 다양한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도1 의 디스플레이(11)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 디스플레이(330)는 도 1의 서브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330)는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터치 센서, 터치 센서 IC 등을 포함하여, 외부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2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330)는 적어도 일부가 접히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320)는 표시 영역(예: 도 2의 제1 영역(11a) 및 제2 영역(11b))은 서로 마주 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전자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전자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1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21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10)가, 서브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장치(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20)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의 상술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들을 이용하여 영상의 특징을 획득하거나, 또는 영상을 변경(또는, 보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서(310)가 하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로, 프로세서(3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서브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장치(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32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2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50)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50)은 전자 장치(10)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350)은 제1 하우징 구조물과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가 복수 개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도 4의 식별 기호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따라 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미지(430), 영상 편집 객체들(432)을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4-a of FIG. 4, in the first state, the
도 4의 식별 기호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예: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 등)을 이용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제1 영상 정보(30)를 갱신하여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4-b of FIG. 4, the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스타일러스 펜(40)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0)이 이미지(430)에 중첩 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response to an input by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표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0)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표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0)을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0)을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스타일러스 펜(40)을 이용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를 터치 앤 드래그 하는 외부 입력에 따라 선을 생성하고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굵기를 갖는 선이 표시되도록 전자 장치(10)를 설정하고, 디스플레이(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는 표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0)을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0)을 제1 객체(440)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1 객체(440)를 제1 레이어(layer)로 식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또한, 사용자는 제2 굵기를 갖는 선이 표시되도록 전자 장치(10)를 설정하고, 디스플레이(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는 표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2)을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442)을 제2 객체(442)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2 객체(442)를 제2 레이어로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브 디스플레이(12)(또는,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굵기와 색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입력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제1 객체(440)로 저장하고 하나의 제1 레이어로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객체(440)를 저장한 후, 제1 객체(440)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양한 굵기와 색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기 저장된 제1 객체(440)와 별개로 추가로 입력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제2 객체(442)로 저장하고 제2 레이어로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user may input at least one line having various thicknesses and colors on the sub-display 12 (or display) and then store it. In this case,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의해 서브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다양한 컨텐츠(예를 들면, 아이콘, 스티커, 텍스트 등)을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로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즉,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또는,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 되어 표시되는 객체를 저장하는 동작에 의해 하나의 레이어를 획득하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복수 개의 레이어들을 획득할 수 있다.
That is, the
도 4의 식별 기호 4-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제1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가 펼쳐진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4-c of FIG. 4,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에 따라, 비 활성화되어 있던 디스플레이(11)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활성화 된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가 접히는 축(A)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우측을 제1 영역(11a)으로 식별하고, 좌측을 제2 영역(11b)으로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11A)에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b)에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11a)에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 되지 않은 이미지(430)를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b)에는 이미지(230), 제1 레이어로 식별 된 제1 객체(440), 및 제2 레이어로 식별 된 제2 객체(442)가 중첩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레이어, 제2 레이어 및 이미지를 선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레이어 표시 객체(401)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전자 장치(10)는 레이어 표시 객체(40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230), 각 레이어들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405)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도 4의 식별 기호 4-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상기 팝업창(405)에서 이미지(407)와 제2 레이어(420)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레이어를 제외하고, 이미지(430)와 제2 레이어로 식별된 제2 객체(442)를 포함하는 제2 영상 정보(50)를 디스플레이(11)의 제2 영역(11b)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4-d of FIG. 4, th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영상 정보와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first image information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11a)에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한 상태에서, 제2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된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5의 식별 기호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된 객체와 이미지를 반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좌우 방향이 반전 된 이미지(510)와 좌우 방향이 반전 되고, 외부 입력에 의해 추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520)을 포함하는 제2 영상 정보(50)를 디스플레이(11)의 제2 영역(11b)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5-a of FIG. 5, the
도 5의 식별 기호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된 객체를 색상을 반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좌우 방향 및 색상이 반전 된 이미지(530), 외부 입력에 의해 추가되고, 색상 및 방향이 반전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540)만을 포함하는 제2 영상 정보(50)를 디스플레이(11)의 제2 영역(11b)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5-b of FIG. 5, 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의 식별 기호 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에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텍스트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텍스트(610), 텍스트 편집 객체들(612)을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는 웹 서버와 통신을 수립하고, 웹 서버로부터 다운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610), 텍스트 편집 객체들(612)을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6-a of FIG. 6, the
도 6의 식별 기호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텍스트(610)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40)을 이용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다양한 터치 입력을 추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제1 영상 정보(30)를 제2 영상 정보(50)로 갱신(또는,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6-b of FIG. 6, the user may edit the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6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620)이 텍스트(610)에 중첩 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6의 식별 기호 6-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제1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가 펼쳐진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6-c of FIG. 6,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11a)에는 텍스트(610)를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b)에는 텍스트(610) 및 외부 입력에 의해 추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620)를 포함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도 6의 식별 기호 6-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에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표시 전환 객체(630)를 디스플레이(11)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표시 전환 객체(63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 중 하나의 영상 정보 만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영상 정보(50)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6-d of FIG. 6,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영상 정보(30) 및 제2 영상 정보(50) 중 하나의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 전환 객체(63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도 6의 식별 기호 6-c와 같이,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11a)에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b)에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영상 정보와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first image information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의 식별 기호 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7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720)이 텍스트(710)에 중첩 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7-a of FIG. 7, the
도 7의 식별 기호 7-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제1 하우징 구조물(2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220)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제1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가 펼쳐진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7-b of FIG. 7, the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11a)에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좌우 방향이 반전 된 텍스트(710') 및 좌우 방향이 반전 되고, 외부 입력에 의해 추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720')을 포함하는 제2 영상 정보(50)를 디스플레이(11)의 제2 영역(11b)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좌우 방향이 반전 된 텍스트(710') 및 좌우 방향이 반전 되고, 외부 입력에 의해 추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720')의 투명도가 낮아 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The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는 책장을 넘겼을 때 책장의 앞면에 표시된 텍스트가 뒷면에 비추어 보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nputs a search word using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arch word input by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inputting.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도 9의 식별 기호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1)에 지도(910)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9-a of FIG. 9, the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10)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에 외부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태는 디스플레이(12)가 펼쳐진 상태를 의미하고, 제1 상태는 디스플레이(12)의 일 영역이 접혀서 마주보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도 9의 식별 기호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제2 상태(예: 열림 상태)에서 제1 상태(예: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면,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반투명한 검은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4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9-b of FIG. 9,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디스플레이(11)에서 표시하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한 후,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반투명한 검은색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40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된 객체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도 9의 식별 기호 9-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필기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를"cafι nearby"(920)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인식된 텍스트에 기반하여 지도 어플리케이션(910)에서 "cafι(카페)"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9-c of FIG. 9, when a user inputs text on the sub-display 12, the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1)에 획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3개로 분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제1 영역(931)에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로 인식한 결과(940)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1)에서 표시하던 지도의 적어도 일부(942)를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의 적어도 일부(942)에 "카페"와 관련되어 검색된 위치를 알리는 객체(944)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카페"가 위치한 곳에 검색된 위치를 알리는 객체(944)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제2 영역(932)에 "카페"와 관련되어 검색된 이미지 정보(950)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웹 검색을 통해 검색 된 "카페"와 관련된 정보(950)를 디스플레이(11)의 제2 영역(932)에 표시할 수 있다.
A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3 영역(933)에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던 지도(9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3 영역(933)의 크기에 맞추어 지도(910)가 표시하는 영역을 조정하거나, 또는 표시하는 지도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 상술한 검색 결과를 획득한 후, 전자 장치(10)가 제2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1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를 활성화하는 것과 활성화 된 디스플레이(11)에 실행 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것의 시간 차이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fter obtaining the above-described search result in the first state, the
도 9의 식별 기호 9-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표시 전환 객체(960)를 디스플레이(11)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표시 전환 객체(96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2개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의 표시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디스플레이(11)의 상측에 도 9의 식별 기호 9-c에서 설명한 제1 영역(931)에 표시되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의 하측에 도 9의 식별 기호 9-c에서 설명한 제2 영역(932)에 표시되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에서 표시하던 지도(942)의 크기를 변경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9-d of FIG. 9, the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양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situation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uses a content by using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의 식별 기호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The identification symbol 10-a of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content is generated using the
도 10의 식별 기호 1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제2 상태에서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영어 단어 "TODAY"(1010)와 영어 단어에 대응되는 한국어 단어 "오늘"(1012)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10-a of FIG. 10,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가 되면,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할 수 있는 화면을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40)을 이용하여 "오늘"(1012)이 보이지 않도록 객체(1020)(예를 들면, 짙은 색을 가지는 사각형의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오늘"(1012)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고 "TODAY"(1010)만 표시되는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와 같이 일부 정보가 가려진 상태로 제공되는 영상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12)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에서는 일부 정보가 가려진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상태에서는 일부 정보가 가려지지 않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10의 식별 기호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활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n identification symbol 10-b of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content is utilized by using the
도 10의 식별 기호 10-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제2 상태에서 숫자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1+1=□"와 같은 제1 수식(1030)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식(1030)은 "□"를 포함하는 미완성 상태 일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10-b of FIG. 10,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수식(1030)의 "□"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재한 "1+1=2"와 같은 제2 수식(1032)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제2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1 수식(1030)을 제공하고, 제1 상태에서 제1 수식(1030)을 완성한 제2 수식(1032)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1)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21), 제2 하우징 구조물(1122), 및 디스플레이(1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도 11의 식별 기호 11-a와 같이, 디스플레이(1130)의 중심부가 접혀서, 제1 하우징 구조물(1121)의 일면과 제2 하우징 구조물(1122)의 일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태가 전자 장치(1101)의 제1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식별 기호 11-b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1121)과 제2 하우징 구조물(1122)이 연속되도록 배치되는 상태가 전자 장치(1101)의 제2 상태일 수 있다.
As shown in the identification symbol 11-a of FIG. 11,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상태에서, 전자 장치(1101)는 디스플레이(1130)의 일 영역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지상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1130)의 일 영역(1132)만을 활성화하거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향하는 디스플레이(1130)의 일 영역(1132)만을 활성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the first state, the
도 11의 식별 기호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1)는 디스플레이(1130)의 활성화 된 영역(1132)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114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1140)이 이미지(1150)에 중첩 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11-a of FIG. 11, the
도 11의 식별 기호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1)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21)과 제2 하우징 구조물(1122)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30)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제1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30)가 펼쳐진 제2 상태(또는, 펼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identification symbol 11-b of FIG. 11, the
전자 장치(1101)는 활성화 된 디스플레이(113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는 디스플레이(1130)가 접히는 축(A)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우측을 제1 영역(1130a)으로 식별하고, 좌측을 제2 영역(1130b)으로 식별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1)는 제1 영역(1130a)에는 외부 입력에 의해 객체가 추가되기 전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영상 정보(30)를 표시하고, 제2 영역(1130b)에는 제2 영상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200) 내의 전자 장치(1201)의 블럭도이다. 도 12의 전자 장치(1201)는 도 2의 전자 장치(10), 도 11의 전자 장치(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200)에서 전자 장치(1201)는 제 1 네트워크(12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서버(1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프로세서(1220), 메모리(1230), 입력 장치(1250), 음향 출력 장치(1255), 표시 장치(1260), 오디오 모듈(1270), 센서 모듈(1276), 인터페이스(1277), 햅틱 모듈(1279), 카메라 모듈(1280), 전력 관리 모듈(1288), 배터리(1289), 통신 모듈(1290), 가입자 식별 모듈(1296), 또는 안테나 모듈(12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260) 또는 카메라 모듈(12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2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2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12 is a block diagram of an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2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메인 프로세서(1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23)은 메인 프로세서(1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23)는 메인 프로세서(12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보조 프로세서(1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와 함께,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260),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280) 또는 통신 모듈(12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coprocessor 1223 is, for example, on behalf of the
메모리(1230)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 또는 센서모듈(1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휘발성 메모리(12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2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프로그램(1240)은 메모리(12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242), 미들 웨어(1244) 또는 어플리케이션(12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입력 장치(1250)는,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음향 출력 장치(12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2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표시 장치(1260)는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2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오디오 모듈(12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270)은, 입력 장치(12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255), 또는 전자 장치(12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The
센서 모듈(1276)은 전자 장치(12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인터페이스(1277)는 전자 장치(12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2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연결 단자(12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2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햅틱 모듈(1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카메라 모듈(1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전자 장치(1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배터리(1289)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2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통신 모듈(1290)은 전자 장치(1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프로세서(1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90)은 무선 통신 모듈(1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2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2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2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298)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2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The
안테나 모듈(1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2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298)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2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2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2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e.g., a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between peripheral devices and a signal ( E.g. commands or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299)에 연결된 서버(1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202, 1204) 각각은 전자 장치(1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202, 1204, or 12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and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260)의 블록도(1300)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260)는 디스플레이(13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13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1330)는 인터페이스 모듈(1331), 메모리(13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1335), 또는 맵핑 모듈(13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13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1331)을 통해 전자 장치 12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20)(예: 메인 프로세서(12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1330)는 터치 회로(1350) 또는 센서 모듈(12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또한, DDI(13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13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13 is a block diagram 1300 of a
이미지 처리 모듈(13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13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13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2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13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335 may pre-process or post-proc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data based on at least a characteristic of the image data or a characteristic of the display 1310 (eg, resolution, brightness, or size adjustment). You can do i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260)는 터치 회로(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1350)는 터치 센서(13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13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13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13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1353)는 디스플레이(13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13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13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13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1330), 또는 디스플레이(13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2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260)는 센서 모듈(12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2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1310) 또는 DDI(1330)) 또는 터치 회로(1350)의 일부에 임베디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2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2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3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2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2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13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1351) 또는 센서 모듈(1276)은 디스플레이(13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복수 개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는 표시 장치(1260)외에 도 2의 서브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201)는 표시 장치(1260)에 디스플레이(1310)외에 도 2의 서브 디스플레이(12)와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대응되는 터치 회로 IC,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대응되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한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가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도록 서브 디스플레이(12)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전자 장치(120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31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133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the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폴더블 하우징(1500), 상기 폴더블 하우징의 접힘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1530), 및 상기 폴더블 하우징(15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1400)(이하, 줄여서, “디스플레이”(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1400)가 배치된 면을 제1 면 또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전면의 반대 면을 제2 면 또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을 제3 면 또는 전자 장치(10)의 측면으로 정의한다.
14 and 15, 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더블 하우징(1500)은,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센서 영역(1524)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제1 후면 커버(1580), 및 제2 후면 커버(15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폴더블 하우징(1500)은 도 14 및 15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제1 후면 커버(15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1520)과 제2 후면 커버(159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 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전자 장치(10)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상기 센서 영역(1524)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디스플레이(1400)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영역(1524)으로 인해, 상기 리세스는 폴딩 축 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14, the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는 (1)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중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1 부분(1510a)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중 센서 영역(152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부분(1520a) 사이의 제1 폭(w1), 및 (2)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의 제2 부분(1510b)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중 센서 영역(1524)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2 부분(152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의 제1 부분(1510a)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제1 부분(1520a)은 상기 리세스의 제1 폭(w1)을 형성하고,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의 제2 부분(1510b)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제2 부분(1520b)은 상기 리세스의 제2 폭(w2)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제1 부분(1520a) 및 제2 부분(1520b)은 상기 폴딩 축 A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리세스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524)의 형태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는 복수 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cess is (1) formed at the edg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40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영역(15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1524)의 배치, 형상, 및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5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센서 영역(1524)을 통해, 또는 센서 영역(15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들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리시버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상기 제1 후면 커버(158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에 상기 폴딩 축의 일편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후면 커버(159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의 상기 폴딩 축의 다른편에 배치되고,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The first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1580) 및 제2 후면 커버(1590)는 상기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후면 커버(1580) 및 제2 후면 커버(1590)가 반드시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형상의 제1 후면 커버(1580) 및 제2 후면 커버(15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158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1590)는 제2 하우징 구조물(15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1580), 제2 후면 커버(1590),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전자 장치(1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기판,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1580)의 제1 후면 영역(1582)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490)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1590)의 제2 후면 영역(1592)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커버(1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힌지 구조)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530)는, 상기 전자 장치(10)의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일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ful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53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4, when the
상기 디스플레이(1400)는, 상기 폴더블 하우징(15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0)는 폴더블 하우징(150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 상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10)의 전면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전자 장치(1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400) 및 디스플레이(140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의 일부 영역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1580), 제1 후면 커버(158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의 일부 영역, 제2 후면 커버(1590) 및 제2 후면 커버(1590)에 인접한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디스플레이(14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400)는 폴딩 영역(1403), 폴딩 영역(1403)을 기준으로 일측(도 14에 도시된 폴딩 영역(1403)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1401) 및 타측(도 14에 도시된 폴딩 영역(1403)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14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40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40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 (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1403)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40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40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The division of the area of the
제1 영역(1401)과 제2 영역(1402)은 폴딩 영역(1403)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영역(1402)은, 제1 영역(1401)과 달리, 센서 영역(1524)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01)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영역(1401)과 제2 영역(1402)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하, 전자 장치(10)의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40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4)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0)의 제1 영역(1401)의 표면과 제2 영역(1402)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폴딩 영역(1403)은 제1 영역(1401) 및 제2 영역(140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15)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0)의 제1 영역(1401)의 표면과 제2 영역(140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 영역(14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중간 상태(folded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0)의 제1 영역(1401)의 표면과 제2 영역(1402)의 표면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14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2000), 브라켓 어셈블리(3000), 기판부(6000),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제1 후면 커버(1580) 및 제2 후면 커버(15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200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in an embodiment,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디스플레이(1400)와, 디스플레이(1400)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또는 층(1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440)는 디스플레이(1400)와 브라켓 어셈블리(30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440)의 일면(예: 도 16을 기준으로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140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440)는 디스플레이(14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440)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1400)의 노치(140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3000)는 제1 브라켓(1610), 제2 브라켓(1620), 제1 브라켓(1610) 및 제2 브라켓(16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힌지 구조물을 외부에서 볼 때 커버하는 힌지 커버(1530), 및 제1 브라켓(1610)과 제2 브라켓(1620)을 가로지르는 배선 부재(1630)(예: 연성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1440)와 상기 기판부(6000) 사이에,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30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브라켓(1610)은, 디스플레이(1400)의 제1 영역(1401) 및 제1 기판(6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620)은, 디스플레이(1400)의 제2 영역(1402) 및 제2 기판(6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0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1630)와 힌지 구조물(30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0)는 제1 브라켓(1610)과 제2 브라켓(1620)을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0)는 전자 장치(10)의 폴딩 영역(1403)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4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상기 기판부(6000)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610) 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6100)과 제2 브라켓(1620) 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6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100)과 제2 기판(6200)은, 브라켓 어셈블리(3000),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제2 하우징 구조물(1520), 제1 후면 커버(1580) 및 제2 후면 커버(15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6100)과 제2 기판(6200)에는 전자 장치(1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00)에 디스플레이부(2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0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1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00)의 양 측에서 슬라이딩 되어 브라켓 어셈블리(300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1510)은 제1 회전 지지면(15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1520)은 제1 회전 지지면(1512)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1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1512)과 제2 회전 지지면(1522)은 힌지 커버(1530)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 지지면(1512)과 제2 회전 지지면(1522)은,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예: 도 14의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힌지 커버(1530)를 덮어 힌지 커버(1530)가 전자 장치(10)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 지지면(1512)과 제2 회전 지지면(1522)은,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15의 전자 장치)인 경우, 힌지 커버(1530)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530)가 전자 장치(1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2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236) 또는 외장 메모리(12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2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memory of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numbe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to that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sequentially,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executed,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actions may be added.
10: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
12: 서브 디스플레이10: electronic device
11: display
12: sub display
Claims (20)
디스플레이;
서브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In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
Sub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Including,
The memory,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sub-display to display first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second image information to which at least one object generated by an external input is added 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s it identifi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change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display is controlled to divide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to display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nd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nstructions set to display second image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상기 인스트럭션은, 상기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영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중첩하여 제2 영상 정보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struction, the processor,
Set to display at least one image as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o display the at least one object as second image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at least one image,
Electronic device.
상기 외부 입력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마련된 물리 키를 이용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inpu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to the sub-display, a hovering input, or an input using a physical key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인,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is bent, and the secon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s unfolded,
Electronic device.
상기 인스트럭션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된 객체를 제1 객체로 저장하고 제1 레이어로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struction,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an external input requesting to store an object displayed on the sub-display, set to store the displayed object as a first object and identify it as a first layer,
Electronic device.
상기 인스트럭션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객체가 저장된 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서 외부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객체를 함께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instruction, the processor,
After the first object is stored, when the sub-display detects an external input, the first object and the object creat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input are set to be displayed together,
Electronic device.
상기 인스트럭션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가 저장된 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제2 객체로 저장하고 제2 레이어로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instruction,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an external input requesting to store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ub-display, after the first object is stored,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ub-display is stored as a second object and is set to identify it as a second layer,
Electronic device.
상기 인스트럭션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 중 표시하고 싶은 대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instruction, the process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object to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Electronic device.
디스플레이;
서브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상황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외부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외부 입력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객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In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
Sub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Including,
The memory, the processo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s it is identifi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the sub-display is controll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an external input,
Display at least one object on the sub-display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input to the user interface,
Storing an instruction set to output information obtained using the object and the application as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that the first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Electronic device.
상기 인스트럭션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객체가 텍스트로 인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텍스트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instruction, the processor,
When the object is recognized as text, set to obtain and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gnized text for the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서브 디스플레이에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된 제2 영상 정보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In the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first image information on the sub-display;
Displaying second image information to which at least one object generated by an external input is added 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n the sub-display; And
As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the chang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is divided to display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area,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area. Displaying operation;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영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중첩하여 제2 영상 정보로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as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at least one object as second image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at least one image;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외부 입력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마련된 물리 키를 이용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The external inpu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to the sub-display, a hovering input, or an input using a physical key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is bent, and the secon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s unfolde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제1 영상 정보에 외부 입력에 의해 생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추가 된 제2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외부 입력에 대응함에 따라, 상기 표시된 객체를 제1 객체로 저장하고 제1 레이어로 식별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Displaying second image information to which at least one object generated by an external input is added 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Storing the displayed object as a first object and identifying the displayed object as a first layer in response to an external input requesting to store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ub-display;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객체가 저장된 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서 외부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객체를 함께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the first object and an object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input together as the sub-display detects an external input after the first object is stored;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객체를 함께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가 저장된 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제2 객체로 저장하고 제2 레이어로 식별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first object and the object creat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input together,
Storing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ub-display as a second object after the first object is stor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input requesting to store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ub-display as a second layer;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이미지,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 중 표시하고 싶은 대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object to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외부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니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객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In the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an external input by controlling a sub-display when identify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a second state to a first state;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on the sub-display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Outputting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object and the application as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객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객체가 텍스트로 인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텍스트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operation of outputting the information acquired using the object and the application,
When the object is recognized as text, obtain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gnized text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411A KR20210041768A (en) | 2019-10-08 | 2019-10-08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PCT/KR2020/013776 WO2021071301A1 (en) | 2019-10-08 | 2020-10-08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411A KR20210041768A (en) | 2019-10-08 | 2019-10-08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1768A true KR20210041768A (en) | 2021-04-16 |
Family
ID=7543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4411A Withdrawn KR20210041768A (en) | 2019-10-08 | 2019-10-08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1768A (en) |
WO (1) | WO2021071301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44975A1 (en) * | 2021-05-20 | 2022-11-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fingerprint sensor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5959B1 (en) * | 2013-07-22 | 2020-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oldable display device providing image la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50135038A (en) * | 2014-05-23 | 2015-1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60057225A (en) * | 2014-11-13 | 2016-05-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0175726B2 (en) * | 2014-11-17 | 2019-01-08 | Lg Electronics Inc. | Fold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fixing screen by means of fol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oldable display device |
US11676518B2 (en) * | 2015-04-29 | 2023-06-13 | Intel Corporation | Imaging for foldable displays |
-
2019
- 2019-10-08 KR KR1020190124411A patent/KR20210041768A/en not_active Withdrawn
-
2020
- 2020-10-08 WO PCT/KR2020/013776 patent/WO202107130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44975A1 (en) * | 2021-05-20 | 2022-11-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fingerprint sens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71301A1 (en) | 2021-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38784B2 (en) |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US12340236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20230044526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foldable display | |
US11989484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thereof | |
KR102780906B1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US1173514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11449169B2 (en) | Method for processing a touch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capable of executing the method | |
KR102731971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 |
KR102518362B1 (en) |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11202034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US11651750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ndow operation method using same | |
KR102542398B1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KR102740157B1 (en) |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210056878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display and method of generating content thereof | |
KR20200101258A (en) |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l method therof | |
US1115711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KR102819627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20210041768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4117261A1 (en) | Method for performing call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US11755171B2 (en)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shot op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EP4376396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
EP4538840A1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screens on basis of state and method therefor | |
KR20250027177A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screens based on state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