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924A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Google Patents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9924A KR20210039924A KR1020200073879A KR20200073879A KR20210039924A KR 20210039924 A KR20210039924 A KR 20210039924A KR 1020200073879 A KR1020200073879 A KR 1020200073879A KR 20200073879 A KR20200073879 A KR 20200073879A KR 20210039924 A KR20210039924 A KR 202100399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pressing
- discharge
- container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leak preventio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leak prevention container that prevents the contents from leaking illegally.
최근들어 화장품, 안약 등과 같은 액체 상태를 포함하는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이 소분되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내용물 보관 용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that can be easily carried has been increasing rapidly because contents as a storage object including a liquid state such as cosmetics and eye drops are subdivided.
그러나 일반적으로 휴대성을 증대시킨 내용물 보관 용기는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콤팩트하게 마련되므로, 일정하게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못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중력에 의해 내용물을 자연 토출시키는 방식을 통해 사용된다.However, in general, since the contents storage container with increased portability is compactly provided to increase portability, a separate devic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s not provid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s directed downward by gravity. It is used through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contents naturally.
이와 같이, 휴대성을 증대시킨 내용물 보관 용기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토출구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자연 토출시키는 방식의 경우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내용물을 쉽게 토출 시키기 위하여 용기 외부를 가압하여 내용물에 외압을 전달하고, 내용물에 전달된 외압을 통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경우 내용물이 과다 토출되는 내용물 과토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case of a method of discharging the contents in a container with increased portability, with the discharge port facing downw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cannot be discharged constantly,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s removed in order to easily discharge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pressurized to deliver external pressure to the contents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external pressure delivered to the contents, the problem of the contents being discharged excessively may occur.
따라서 내용물을 일정하게 토출시킬 수 있으면서 내용물의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과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 보관용 용기의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that can discharge the contents uniformly,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over-discharge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내용물이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preventing liquid leakage, which is provided so as to discharge contents as a storage object constantly, and prevents the contents from leaking illegal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배출부를 갖는 용기몸체; 및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가압 시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 시 상기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상기 누름버튼 사이를 밀폐하는 누액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맞물리는 단턱과, 상기 인입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단에 걸림되는 지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at one side; And a push butt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discharge part when pressed, wherein the push button includes: a push part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when pressed; And a leakage preventing portion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and sealing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push button, wherein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lead-in portion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and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lead-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pe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upport w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let portion and hook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iner body.
구체적으로,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에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는 연결 돌기; 및 상기 인입부에서 연결 돌기가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a connection protrusion exten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And an inner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from a point at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extends from the inlet.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고정하는 누름측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외측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을 갖고,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 돌기의 외측에 상기 누름측 캡이 안착되는 결합 홈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further includes a push-side cap for fixing the push button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push part has a dome shape convex toward the outside, and the leakage preventing part,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art and the push part I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may form a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push-side cap is seated.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측 캡은, 상기 지지 날개를 커버하면서 상기 용기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홈에 인입되는 누액 방지벽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ush-side cap may have a leakage preventing wall that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while covering the support wing and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groove.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측 캡은, 상기 누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누름부의 외측에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가압을 제한하는 작동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ing-side cap may include an operation limiting portion provided in an open shape to expose the press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is provided to be removable outside the pressing portion to limit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연결 돌기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thermoplastic elastomer (TPE).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모음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배출측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collecting po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provided to be inclined so that a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a discharge side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측 캡은, 상기 용기몸체에 결합 시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삽입단 및 상기 토출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side cap may include an insertion en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whe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circumference end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을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보관하면서도,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내용물이 부정 누액되거나 과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contents uniformly while storing the contents as a storage object through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so as to be easily carri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or over-discharging illeg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leakage preven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leakage preven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only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ak-preven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leak-preven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ak-preventing container in a combined state. 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100)는, 용기몸체(110), 누름버튼(120), 누름측 캡(130), 배출측 캡(140)을 포함한다.1 to 4, the
용기몸체(110)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1)을 구비한다. 이때 내용물은 화장품, 액상약, 식용 액상물 등과 같이 보관의 대상이 되면서 액체 상태인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물론 내용물은 액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누름버튼(120)의 작동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배출될 수 있는 모든 조성,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a liquid, and may include all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that can be discharged under pressure by the operation of the
용기몸체(110)는 일측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며, 타측은 후술할 누름버튼(120)이 마련된다. 타측에 구비된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의 내용물은 일측으로 토출된다. 누름버튼(120)의 가압 등을 위해 용기몸체(110)는 중공의 형태를 갖는다.The contents of the
용기몸체(110)의 일측에는 배출부(112)가 마련된다. 배출부(112)는 용기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배출측 캡(140)이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배출부(112)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12a)와, 토출구(112a)에 연결되는 모음구(112b)를 구비한다.A
토출구(112a)는 내용물의 제형이나 조성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는 내용물을 점적 배출하기 위해 미세한 크기(약 1mm 내외)의 토출구(11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12a)는 배출부(112)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토출구(112a)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배출측 캡(140)에는 토출구(112a)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단(144) 및 토출구(112a)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145)이 마련되어, 토출구(112a) 부분을 2중으로 밀폐해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The
모음구(112b)는 토출구(112a)에 연결되되 토출구(112a)로 갈수록 횡단면이 잠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모음구(112b)는 단면의 반경 대비 높이가 낮은 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누름버튼(120)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경우 내용물이 토출구(112a)를 향해 집중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이러한 배출부(112)는 용기몸체(11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주둥이(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부(112)를 이루는 주둥이의 외면에는 배출측 캡(14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2c)이나 요철 구조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e
주둥이는 용기몸체(110)에서 수용공간(111)의 중심 대비 직경이 감소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주둥이에서 토출구(112a)로부터 먼 기단 측에는 환테(112d)가 마련되어 배출측 캡(140)의 결합 시 실링을 강화할 수 있다.The spout may have a shape with a diameter reduced compared to the center of the
또한 주둥이에 구비되는 나사산(112c) 또는 환테(112d)에는 쐐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후술할 배출측 캡(140)이 체결될 때 스토퍼(143)와 맞물려 배출측 캡(140)의 부정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a wedg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용기몸체(110)의 타측에는 조작부(113)가 구비된다. 즉 용기몸체(110)는 수용공간(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출부(112)가 구비되고 타측에 조작부(113)가 구비되며, 조작부(113)에 마련되는 누름버튼(120)의 작동에 의해 배출부(112)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된다.An
조작부(113)는 누름버튼(120)에 의한 압력을 수용공간(111) 내부로 전달하기 위해 중공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누름측 캡(130)이 결합되며, 다만 누름측 캡(130)이 결합되더라도 조작부(113)는 완전히 커버되지 않고 일부가 노출되어 누름버튼(12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이때 누름버튼(12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누름버튼(120)은 수용공간(111)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수용공간(111) 내의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여 배출부(112)로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조작부(113)는 배출부(112)와 유사하게 누름측 캡(13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3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3)에는 쐐기(113b)가 구비되어, 누름측 캡(130)이 조작부(113)에 결합된 후 부정하게 풀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특히 조작부(113)에 대한 누름측 캡(130)의 결합은, 배출부(112)에 대한 배출측 캡(140)의 결합과 달리 내용물의 일반적인 토출 과정에서 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측 캡(130)의 결합을 위한 조작부(113)의 나사산(113a) 및 쐐기(113b)는, 배출부(112) 대비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조작부(113)의 나사산(113a)은 배출부(112) 대비 촘촘하게 마련될 수 있고, 조작부(113)의 쐐기(113b)는 배출부(112) 대비 돌출 높이 등이 높게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upling of the push-
용기몸체(110)는 배출부(112)의 단면이 조작부(113)의 단면 대비 축소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용기몸체(110)의 내부는 배출부(112)의 기단에서 단면이 축소되도록 단차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작부(113)에서의 압력이 배출부(112)에 위치한 내용물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용기몸체(110)는 제한되지 않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확인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의 타측에 구비된 조작부(113)에 마련된다. 누름버튼(120)은 가압 시 내용물을 배출부(112)의 토출구(112a)로 토출시킬 수 있다.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에 끼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본 실시예는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용기몸체(110)에 대한 누름버튼(120)의 탈착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용기몸체(110)에 대한 누름버튼(120)의 밀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즉 본 실시예의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에 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누름버튼(120)을 가압하는 경우 내용물을 일정하게 외부로 정상 토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이러한 누름버튼(120)은, 누름부(121)와 누액 방지부(122)를 포함한다. 누름부(121)는 가압 시 용기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여, 내용물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누름부(121)는 원활한 가압 등을 위해 외측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의 가압판(121a)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누름부(121)는, 후술할 누액 방지부(122)의 연결 돌기(122c) 등과 대비할 때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가압 시 내용물로 외압을 전달하여 내용물을 용기몸체(110)로부터 외부로 일정한 양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The
일례로 누름부(121)는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 T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누름부(121)의 재질은 위로 한정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한 모든 재질이 선택 가능하다.For example, the
누액 방지부(122)는, 누름부(121)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110)와 누름버튼(120) 사이를 밀폐한다. 누액 방지부(122)는 인입부(122a), 단턱(122b), 연결 돌기(122c), 내측 돌기(122d), 지지 날개(122e), 결합 홈(122f)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인입부(122a)는, 누름부(121)의 둘레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때 인입부(122a)는 용기몸체(110)의 내측에 삽입되나 용기몸체(110)의 내면과 실링을 구현할 정도로 밀착되진 않을 수 있으며, 용기몸체(110)의 내면과의 실링은 후술할 단턱(122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lead-in portion (122a) is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121)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At this time, the
인입부(122a)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 형상 등으로 마련되어 조작부(113)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인입부(122a)는 조작부(113)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조작부(113)에 인입 가능하게 다각형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ead-in portion (122a)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단턱(122b)은, 인입부(122a)의 외면에 돌출되어 용기몸체(110)의 내면과 맞물린다. 단턱(122b)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122a)의 일측 말단에 단턱(122b)지게 돌출 형성되어 누액을 방지한다.The stepped (122b)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122a) and mesh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Stepped (122b),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3, the stepped portion (122b)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let (122a) to prevent leakage.
이때 단턱(122b)은 후술할 지지 날개(122e) 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턱(122b)은 반원 등의 형상을 갖는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단턱(122b)은 인입부(122a)와 용기몸체(110) 사이에 위치하여 누름버튼(120)과 용기몸체(110) 간의 1차 실링을 구현한다.In this case, the stepped
연결 돌기(122c)는, 인입부(122a)의 내면에 연장되어 누름부(121)와 연결된다. 연결돌기가 인입부(122a)와 누름부(121)를 연결함에 따라, 누름부(121)는 둘레가 용기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이 경우 누름부(121)는 외압을 받더라도 누름버튼(120) 대비 강성 재질인 용기몸체(110)에 의해 눌리는 일 없이, 연결 돌기(122c)를 통하여 누액 방지부(122)에 의해 지지될 것이어서, 반복적인 탄성 변형에도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없다.In this case, the
누름부(121)의 외면은 인입부(122a)의 내면 대비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누름부(121)의 외측둘레와 인입부(122a)의 내측둘레는 연결 돌기(122c)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 돌기(122c)의 외측에는 누름측 캡(130)이 안착되는 결합 홈(122f)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내측 돌기(122d)는, 인입부(122a)에서 연결 돌기(122c) 대비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돌기(122d)는 인입부(122a)에서 연결 돌기(122c)가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 용기몸체(1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The
내측 돌기(122d)는 단턱(122b)과 달리, 인입부(122a)의 인입 시 용기몸체(110)의 내면에 밀착하진 않는 상태로 용기몸체(1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누름부(121)의 가압 시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용기몸체(110)의 내면에 밀착하게 될 수 있다.The
인입부(122a) 및 내측 돌기(122d) 등의 외면에는, 단턱(122b)과 유사하게 용기몸체(110)의 내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둘레 돌기(122g)가 부가될 수 있다. 둘레 돌기(122g)는 용기몸체(110)에 누름버튼(120)의 안착 시 용기몸체(110)의 내면과 밀착되어 끼임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A
본 실시예에 따른 둘레 돌기(122g)는, 도 1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으로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링으로 마련되거나 복수 개의 분절된 원호 등으로 마련되어 부정 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지지 날개(122e)는, 인입부(122a)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몸체(110)의 타측단에 걸림된다. 지지 날개(122e)는 용기몸체(110)에서 조작부(113) 내주면의 직경보다 큰 외주면의 직경을 구비하여, 조작부(113)의 하방 측 말단에 걸림 지지되도록 단턱(122b)의 외측 말단에 연결된다.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날개(122e)가 용기몸체(110)에 걸림 지지되므로,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를 닫는 마개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누름버튼(120)이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에 끼워지더라도 지지 날개(122e)로 인해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적정한 위치에 걸릴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upport wing (122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pported by the
또한 지지 날개(122e)는, 일면이 조작부(113)의 끝단에 걸리며 타면은 누름측 캡(130)에 맞닿으며 조작부(113)에 대해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날개(122e)는 누름버튼(120)에서 2차적인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wing (122e), one surface is caught on the end of the
즉 누름버튼(120)은 단턱(122b)을 통해 누액을 1차로 방지하며, 지지 날개(122e)를 통해 누액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둘레 돌기(122g)가 단턱(122b)에 의한 실링을 보충할 수 있다That is, the
결합 홈(122f)은, 인입부(122a)의 내면과 누름부(121) 사이에서 연결 돌기(122c)의 외측에 마련되며, 누름측 캡(130)이 안착된다. 결합 홈(122f)은 누름부(121)의 외측 둘레와 인입부(122a)의 내측 둘레가 상호 다른 크기로 마련됨에 따라 누름부(121)와 인입부(122a) 사이의 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결합 홈(122f)의 내측은 연결 돌기(122c)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122f)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22c)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122a) and the pressing portion (121), the
결합 홈(122f)은 누름부(121) 주변에 마련되며 인입부(122a) 및 지지 날개(122e)의 주면에서 용기몸체(110) 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 홈(122f)은 누름부(121)보다 용기몸체(110) 측으로 인입되게 마련되며, 누름측 캡(130)과 밀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122f) is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121) and is formed in a form recessed from the main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22a) and the support wing (122e) toward the container body (110). 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122f) is provided to be introduced to the side of the
누름측 캡(130)은, 누름버튼(120)을 용기몸체(110)의 타측인 조작부(113)에 고정한다. 누름측 캡(130)은 누름버튼(120)의 누름부(121)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누름측 캡 본체(131)를 갖는다. The push-
누름측 캡 본체(131)는 지지 날개(122e)를 커버하면서 용기몸체(1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누름측 캡 본체(131)의 내면에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32)이 마련될 수 있다.The pressing
즉 누름측 캡(130)은 누름측 캡 본체(131)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132)을 통해, 용기몸체(110)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누름측 캡 본체(131)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누름버튼(120)과 용기몸체(110)의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sing-
또한 누름측 캡 본체(131)에는 나사산(132) 외에 스토퍼(133)가 부가될 수 있으며, 스토퍼(133)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의 쐐기(113b)와 대응되도록, 용기몸체(110) 측 말단에 나사산(132)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와의 결합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용 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In addition, a
누름측 캡(130)은, 결합 홈(122f)에 인입되면서 밀착하여 내용물의 부정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누액 방지벽(134)을 갖는다. 이때 누액 방지벽(134)은 결합 홈(122f)에 위치하면서 연결 돌기(122c)를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누름부(121)의 외측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The
누름측 캡 본체(131)에서 나사산(132)이 마련되는 외벽과, 누액 방지벽(134) 사이에는 지지 날개(122e) 및 인입부(122a)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외벽과 누액 방지벽(134) 사이는 저장공간(135)으로서 내용물이 누액될 때 누액된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
즉 본 실시예는 누름버튼(120)의 단턱(122b)을 통한 1차 실링, 지지 날개(122e)를 통한 2차 실링, 누액 방지벽(134)과 연결 돌기(122c)의 맞물림을 통한 3차 실링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위 저장공간(135)은 2차 실링과 3차 실링 사이에서 내용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rimary sealing through the stepped
누름측 캡(130)은, 누름측 캡 본체(131)에서 누름부(121)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된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제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제한부는 누름측 캡 본체(131)에서 누름부(121)의 외측에 구비되며,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누름측 캡 본체(131)로부터 분리되도록 임시 연결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The push-
작동 제한부는 누름부(121)를 임시로 가리도록 마련되면서, 누름부(121) 대비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변형하지 않고, 또한 누름부(121)에 불필요하게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ile the operation limiting part is provided to temporarily cover the
이러한 작동 제한부는 사용 전까지만 누름측 캡 본체(131)에 연결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작동 제한부를 강제로 누름측 캡 본체(131)로부터 떼어내면서 제거될 수 있다. 작동 제한부가 제거되면 누름측 캡 본체(131)는 누름부(121)를 충분하게 노출시키게 된다.Such an operation limi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배출측 캡(140)은, 용기몸체(110)에 결합 가능하게 용기몸체(110)를 사이에 두고 누름버튼(120)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측 캡(140)은 내용물이 토출구(112a) 상에서 과토출되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정 가압으로 인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러한 배출측 캡(140)은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에 마련되어 토출구(112a)를 개폐한다. 배출측 캡(140)은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에 결합되는 배출측 캡 본체(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측 캡 본체(141)의 내면에는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42)이 마련될 수 있다. 나사산(142)은 후술할 둘레단(145)과 이격되도록 배출측 캡 본체(141)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또한 배출측 캡(140)에는 누름측 캡(130)과 마찬가지로 나사산(142)에 이격되게 스토퍼(143)가 마련되어, 배출측 캡(140)의 부정 풀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배출 시 누름측 캡(130)은 체결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배출측 캡(140)은 분리되어야 하므로, 배출측 캡(140)의 스토퍼(143)는 누름측 캡(130)과 달리 생략되거나 또는 비교적 쉽게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배출측 캡(140)은 토출구(112a)에 삽입되는 삽입단(144)과, 토출구(112a)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145)을 포함하며, 삽입단(144)과 둘레단(145)을 통해 토출구(112a)에 대해 적어도 2중으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삽입단(144)은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에 배출측 캡(140)이 결합되면 토출구(112a)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토출구(112a)를 밀폐할 수 있다. The
또한 둘레단(145)은 용기몸체(110)에 배출측 캡(140)의 결합 시, 토출구(112a)의 둘레와 맞닿으면서 밀착하여 토출구(112a) 주변을 밀폐하여 내용물이 배출부(112)로부터 외부로 과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용기몸체(110)에 배출측 캡(140)의 결합 시 둘레단(145)은 토출구(112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내용물이 과토출되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정 가압으로 인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액 방지용 용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leak-preventing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100)는, 내용물을 용기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보관하되,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액체 상태 등의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을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누름부(121)의 돔형 가압판(121a)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ure 4, the leak-preventing
내용물은 사용자가 누름부(121)를 가압하면, 배출부(112)에 마련된 토출구(112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내용물은 모음구(112b)에 경사진 경사로를 따라 토출구(112a)를 향해 모이게 되므로, 본 실시예는 소량의 내용물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버튼(120)에는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누액 방지부(122)가 마련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특히 용기몸체(110)의 내면에 밀착되는 단턱(122b)/둘레 돌기(122g)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단턱(122b)은 지지 날개(122e) 측을 향하여 횡단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누액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용기몸체(110)에 착탈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누름버튼(120)에 의해 1차 누액방지 효과가 확보된다.In particular, through the stepped (122b) / circumferential protrusion (122g)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누름측 캡(130)은 누액 방지벽(134)과 저장공간(135)을 포함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누름측 캡(130)을 통하여 2차 누액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실시예는 용기몸체(110)와 누름측 캡(130) 사이에 누름버튼(120)을 두고 누름측 캡(130)을 용기몸체(110)에 나사 결합하여 누름버튼(120)을 용기몸체(110)에 밀착시켜서, 누름버튼(120)에 의한 1차 누액 방지 효과를 효율적으로 증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에 더하여, 배출측 캡(140)은 둘레단(145)이 토출구(112a)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배출측 캡(140)이 용기몸체(110)에 결합된 경우, 부정 가압을 통한 토출구(112a)로의 내용물 누액을 방지할 수 있고, 과토출에 의한 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ould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to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by the appended claims.
100: 누액 방지용 용기
110: 용기몸체
111: 수용공간
112: 배출부
112a: 토출구
112b: 모음구
112c: 나사산
112d: 환테
113: 조작부
113a: 나사산
113b: 쐐기
120: 누름버튼
121: 누름부
121a: 가압판
122: 누액 방지부
122a: 인입부
122b: 단턱
122c: 연결 돌기
122d: 내측 돌기
122e: 지지 날개
122f: 결합 홈
122g: 둘레 돌기
130: 누름측 캡
131: 누름측 캡 본체
132: 나사산
133: 스토퍼
134: 누액 방지벽
135: 저장공간
140: 배출측 캡
141: 배출측 캡 본체
142: 나사산
143: 스토퍼
144: 삽입단
145: 둘레단100: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110: container body
111: accommodation space 112: discharge unit
112a:
112c:
113:
113b: wedge 120: push button
121: pressing
122:
122b: stepped 122c: connecting protrusion
122d:
122f:
130: push-side cap 131: push-side cap body
132: thread 133: stopper
134: leakage prevention wall 135: storage space
140: discharge side cap 141: discharge side cap body
142: thread 143: stopper
144: insertion end 145: circumference end
Claims (8)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가압 시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 시 상기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상기 누름버튼 사이를 밀폐하는 누액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맞물리는 단턱과, 상기 인입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단에 걸림되는 지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A container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inside and having a discharge part on one side; And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push button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discharge portion when pressurized,
The push button,
A pressing part that elastically deforms towar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when pressed; And
It includes a leakage preventing portion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and sealing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push button,
The leakage preventing unit,
An inlet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and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a steppe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and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let and at the oth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wing that is caught.
상기 인입부의 내면에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는 연결 돌기; 및
상기 인입부에서 연결 돌기가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kage prevention unit,
A connection protrusion extending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let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And
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further comprising an inner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from a point at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extends from the inlet.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고정하는 누름측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외측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을 갖고,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 돌기의 외측에 상기 누름측 캡이 안착되는 결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ush-side cap for fixing the push button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The pressing portion has a dome shape convex toward the outside,
The liquid leakage preven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coupling groov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and the pressing part o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in which the push-side cap is seated.
상기 지지 날개를 커버하면서 상기 용기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홈에 인입되는 누액 방지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ssing side cap,
A liquid leakage preven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akage prevention wall that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while covering the support wing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누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누름부의 외측에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가압을 제한하는 작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ssing side cap,
It is provided in an open form to expose the pressing part to the outside,
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limiting unit provided to be removable on the outside of the pressing unit to limit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unit.
상기 연결 돌기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part,
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is made of at least one of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thermoplastic elastomer (TPE).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모음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배출측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unit,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includes a collection port which is provid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ischarge port,
Liquid leakage preven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side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상기 용기몸체에 결합 시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삽입단 및 상기 토출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charge side cap,
A container for preven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en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whe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circumferential end surrounding a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2600050U JP3239092U (en) | 2019-10-02 | 2020-07-14 | Leak-proof container |
PCT/KR2020/009274 WO2021066301A1 (en) | 2019-10-02 | 2020-07-14 | Leakage prevention container |
CN202010816434.4A CN112591296B (en) | 2019-10-02 | 2020-08-14 | Container for preventing liquid leakage |
TW112200314U TWM639074U (en) | 2019-10-02 | 2020-09-01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TW109129965A TW202114913A (en) | 2019-10-02 | 2020-09-01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KR1020220183462A KR102587213B1 (en) | 2019-10-02 | 2022-12-23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22509 | 2019-10-02 | ||
KR1020190122509 | 2019-10-02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3462A Division KR102587213B1 (en) | 2019-10-02 | 2022-12-23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9924A true KR20210039924A (en) | 2021-04-12 |
Family
ID=7544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3879A KR20210039924A (en) | 2019-10-02 | 2020-06-17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39924A (en) |
TW (1) | TW202114913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73070A (en) * | 2022-05-12 | 2022-08-09 | 声海电子(深圳)有限公司 | Liquid releas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3537B1 (en) | 2019-06-10 | 2019-07-25 | (주)하진 | Cosmetic container |
-
2020
- 2020-06-17 KR KR1020200073879A patent/KR2021003992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0-09-01 TW TW109129965A patent/TW202114913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3537B1 (en) | 2019-06-10 | 2019-07-25 | (주)하진 | Cosmetic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114913A (en) | 2021-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19635B1 (en) | Dispensing container | |
JP5810154B2 (en) | 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s | |
US9532634B2 (en) | Nail polish bottle | |
US20090318883A1 (en) | Liquid delivery container and eyedrop container | |
WO2014042338A1 (en) | Spuit-type container cap for automatic filling and fixed-amount dispensing | |
CZ301127B6 (en) | Dispensing system | |
KR102000014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210039924A (en)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
KR20120136446A (en) | Spuit type vessel cap capable of discharging standard capacity and automatic filling up | |
KR20070019291A (en) | A make up case easy to discharge of powder | |
KR102587213B1 (en) | 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 |
SG195034A1 (en) | Application container | |
KR102094635B1 (en) |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cap and cosmetic container easy to airtight | |
KR20210132846A (en) | Airtight container | |
KR102382964B1 (en) | container with dropper | |
KR102531283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240099818A (en) | Rotating Retractable Cosmetic Container with Cap | |
KR102152962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structure to prevent liquid leakage | |
JP5294722B2 (en) | container | |
KR20140011901A (en) | Airtight container and cover for the same | |
KR102281825B1 (en) | Mixing container for mixing of two contents | |
KR200493356Y1 (en) | Dropper-type ampoule container | |
KR200265447Y1 (en) | storage container | |
KR102116203B1 (en) |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cap and cosmetic container easy to airtight | |
CZ9801713A3 (en) | Container for storing tabl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