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36137A -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137A
KR20210036137A KR1020190118214A KR20190118214A KR20210036137A KR 20210036137 A KR20210036137 A KR 20210036137A KR 1020190118214 A KR1020190118214 A KR 1020190118214A KR 20190118214 A KR20190118214 A KR 20190118214A KR 20210036137 A KR20210036137 A KR 2021003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wired
wireless
circuit unit
bridge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137A/ko
Publication of KR2021003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1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2Buck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는, 유선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교류전압을 전달받는 유선수신부, 무선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2 교류전압을 전달받는 무선수신부, 상기 제1 교류전압 또는 상기 제2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PFC 회로부, 및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1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LLC 컨버터 회로를 구현하고,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2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2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에 적합하게 변압하는 승강압 컨버터 회로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컨버터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WIRED/WIRELESS COMBINED ON BOARD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례로 친환경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차량은 HEV(Hybrid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및 EV(Electric vehicle)와 같이 엔진 및 모터를 동시에 탑재하고, 모터 및 내부 전기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한다. 종래 친환경 차량 중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또는 전기 자동차(EV)의 경우, 외부 전원을 통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한다.
종래 친환경 차량은 고전압 배터리를 유선 충전할 경우, 외부 교류(AC) 전원 충전 시스템을 차량 내부에 장착된 차량 탑재형 유선충전 시스템에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차량 탑재형 유선충전 시스템의 세부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상용전력계통에서 전달된 교류 전원에 대해 탑재형 충전기 내부의 PFC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직류 에너지 변환을 수행한다.
둘째, 배터리 전압의 레벨(Level)에 맞게 내부 직류-직류 전력변환장치(DC-DC Converter)를 이용하여 변환된 직류 에너지를 승압 또는 강압하여 배터리로 전달한다.
한편, 종래 친환경 차량은 고전압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경우, 외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코일에서 전달되는 에너지를 차량 내부에 장착된 차량 탑재형 무선충전 시스템을 통해 전달받아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외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세부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상용전력계통에서 전달된 교류 전원에 대해 외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PFC 시스템을 통해 교류-직류 에너지 변환을 수행한다.
둘째, 변환된 직류 에너지를 외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고주파 교류에너지로 변환한다.
셋째. 변환된 고주파 교류에너지를 외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송신 코일(TX Coil)을 통해 송신한다.
차량 내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세부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송신 코일(TX Coil)에서 송신한 송신 에너지를 차량 내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수신 코일(RX Coil)을 통해 수신한다.
둘째, 차량 내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수신 코일(RX Coil)을 통해 수신된 에너지를 차량 내부 무선충전 시스템의 정류 시스템을 통하여 직류 에너지로 변환한다.
셋째. 변환된 직류 에너지를 배터리 전압의 레벨(Level)에 맞게 내부 직류-직류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승압 또는 강압하여 배터리로 전달한다.
그런데, 친환경 차량에서 유선충전 방식과 무선충전 방식을 모두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내에 각각의 충전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탑재해야 하므로, 시스템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고, 재료비 상승 및 효율저감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024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친환경 차량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충전시스템(OBC)을 이용하여 친환경 차량 내부의 고전압 배터리를 유선충전방식과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는, 유선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교류전압을 전달받는 유선수신부; 무선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2 교류전압을 전달받는 무선수신부; 상기 제1 교류전압 또는 상기 제2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PFC 회로부; 및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1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LLC 컨버터 회로를 구현하고,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2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2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승강압 컨버터 회로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컨버터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버터 회로부는, 상기 PFC 회로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일차측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측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와,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제1 직류전압을 승강압하여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1 승강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압부는,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제1 직류전압을 변압하여 전달하는 제1 전달부와,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부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전달부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부는,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연결되는 LC 직렬 회로와, 상기 LC 직렬 회로에 연결되는 1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달부는, 상기 1차 코일의 전압을 인가받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과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LC 직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회로부는,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 동작하는 연결 스위치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 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회로부는,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제2 직류전압을 승강압하여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2 승강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압부는,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우측 폴 회로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우측 폴 회로를 연결하는 제1 인덕터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좌측 폴 회로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좌측 폴 회로를 연결하는 제2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우측 폴 회로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덕터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좌측 폴 회로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선 수신부는, 유선 연결된 외부 전원과 상기 PFC 회로부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PFC 회로부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은, 유선수신부, 무선수신부, PFC 회로부와, 컨버터 회로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선수신부 또는 상기 무선수신부와 외부 전원의 연결 여부에 따라 유선충전모드 또는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충전 모드 동작 단계;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PFC 회로부가 상기 유선수신부의 제1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PFC 회로부가 상기 무선수신부의 제2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 단계; 및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컨버터 회로부가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변압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컨버터 회로부가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변압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선수신부 또는 상기 무선수신부의 외부 전원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연결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컨버터 회로부의 제1 승강압부를 동작시키는 제1 변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컨버터 회로부의 제2 승강압부를 동작시키는 제2 변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탑재된 충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선충전방식과 무선충전방식을 겸용하여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 수 있고, 가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충전 효율 상승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3은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4는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3 도면이다.
도 5는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4 도면이다.
도 6은 유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의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7은 유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의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8은 무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정류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9는 무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정류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10은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의 승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11은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의 승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12는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의 강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13은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의 강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유무선 충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는, 충전모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배터리(BATT)를 충전 가능한 것으로서, 유선수신부(110), 무선수신부(120), PFC(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부(130), 및 컨버터 회로부(140)를 포함한다.
유선수신부(110)는 차량 배터리(BATT)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유선수신부(110)는 상용전력계통의 교류전원부(AC)에 연결될 수 있다. 교류전원부(AC)의 교류전압은 60Hz 저주파 교류 전압일 수 있다. 유선수신부(110)는 PFC 회로부(130)와 교류전원부(AC)의 일단을 연결하는 인덕터(L1)를 구비할 수 있다. 유선수신부(110)는 PFC 회로부(130)와 교류전원부(AC)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7 연결 스위치(SW7)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7 연결 스위치(SW7)는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Turn On)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유선수신부(110)에서 수신한 교류전압을 제1 교류전압으로 정의한다.
무선수신부(120)는 차량 배터리(BATT)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무선수신부(12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압을 인가받는 수신 코일(Ls)을 구비할 수 있다. 무선수신부(120)는 PFC 회로부(130)와 수신 코일(Ls)의 일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인덕터(L2)와 커패시터(C1)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수신부(120)는 PFC 회로부(130)와 수신 코일(Ls)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8 연결 스위치(SW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연결 스위치(SW8)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Turn On)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무선수신부(120)에서 수신한 교류전압을 제2 교류전압으로 정의한다.
PFC 회로부(130)는 유선수신부(110)의 제1 교류전압 또는 무선수신부(120)의 제2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PFC 회로부(130)는 전압 변환을 위해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H-브릿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는 제1 스위칭 소자(Sp1), 제2 스위칭 소자(Sp2), 제3 스위칭 소자(Sp3), 및 제4 스위칭 소자(Sp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칭 소자(Sp1), 제2 스위칭 소자(Sp2), 제3 스위칭 소자(Sp3), 및 제4 스위칭 소자(Sp4)는 모스펫(MOSFET) 소자일 수 있다.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Sp1)와 제2 스위칭 소자(Sp2)의 사이에 제7 연결 스위치(SW7) 및 제8 연결 스위치(SW8)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Sp3)와 제4 스위칭 소자(Sp4)의 사이에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가 연결될 수 있다.
PFC 회로부(13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유선수신부(110)의 제1 교류전압 또는 무선수신부(120)의 제2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PFC 회로부(130)는 변환된 직류전압이 충전되는 커패시터(C2)를 구비할 수 있다. 커패시터(C2)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Sp1, Sp2, Sp3, Sp4)로 구성되는 H-브릿지 회로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C2)의 직류전압은 컨버터 회로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제1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제1 직류전압으로 정의하고, 제2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제2 직류전압으로 정의한다.
컨버터 회로부(140)는 PFC 회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직류전압을 배터리 레벨에 맞춰 적절히 변압하여 배터리(BATT)를 충전할 수 있다. 컨버터 회로부(140)는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제1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1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 회로부(140)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제2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2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할 수 있다.
컨버터 회로부(140)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 제1 승강압부(145), 및 제2 승강압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는, PFC 회로부(130)에 연결되는 복수의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 Sb2, Sb3, Sb4)를 포함하여 H-브릿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를 포함하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와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H-브릿지 회로의 좌측 폴 회로를 구성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와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H-브릿지 회로의 우측 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는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 및 배터리(BATT)에 직접 연결되도록 제6 연결 스위치(SW6)를 구비할 수 있다. 제6 연결 스위치(SW6)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Turn on)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는, 배터리(BATT)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 Sa2, Sa3, Sa4)를 포함하여 H-브릿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와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를 포함하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와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와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H-브릿지 회로의 좌측 폴 회로를 구성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와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H-브릿지 회로의 우측 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는 인덕터(La)와 커패시터(C5)를 포함하여 필터링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는 제1 승강압부(145) 또는 제2 승강압부(147)에 의해 승강압되는 직류 전압을 필터링하여 배터리(BATT)를 충전할 수 있다.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는 배터리(BATT)에 직접 연결되도록 제2 연결 스위치(SW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 스위치(SW1)는 인덕터(La)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위치(SW1)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Turn On)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승강압부(145)는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직류전압을 승강압하여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승강압부(145)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제1 직류전압을 변압하여 전달하는 제1 전달부(145a)와, 제1 전달부(145a)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압하여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부(145a)는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인덕터(L3)와 커패시터(C3)를 포함하여 LC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전달부(145a)는 커패시터(C3)에 연결되는 1차 코일(CL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달부(145a)는 1차 코일(CL1)을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에 연결시키는 제3 연결 스위치(SW3)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연결 스위치(SW3)는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와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 스위치(SW3)는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Turn On)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3 연결 스위치(SW3)가 턴 온(Turn On) 동작하는 경우, 1차 코일(CL1)에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직류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전달부(145b)는 1차 코일(CL1)의 제1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2차 코일(CL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전달부(145b)는 2차 코일(CL2)에 직렬 연결되는 인덕터(L4)와 커패시터(C4)를 포함하여 LC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커패시터(C4)는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와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달부(145b)는 2차 코일(CL2)을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에 연결시키는 제2 연결 스위치(SW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 스위치(SW2)는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와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위치(SW2)는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Turn On)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위치(SW2)가 턴 온(Turn On) 동작하는 경우, 2차 코일(CL2)의 제1 직류 전압이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를 통해 배터리(BATT)에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승강압부(145)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가 유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 및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와 함께 제1 직류 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LLC 컨버터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승강압부(147)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2 직류전압을 승강압하여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승강압부(147)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우측 폴 회로와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우측 폴 회로를 연결하는 제1 인덕터 (L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덕터(Lb1)와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우측 폴 회로 사이에 제4 연결 스위치(SW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인덕터(Lb1)는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와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의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연결 스위치(SW4)는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와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승강압부(147)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좌측 폴 회로와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좌측 폴 회로를 연결하는 제2 인덕터(L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덕터(Lb2)와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좌측 폴 회로의 사이에 제5 연결 스위치(SW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인덕터(Lb2)는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와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의 사이에 연결되고, 제5 연결 스위치(SW5)는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 승강압부(147)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가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 및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와 함께 제2 직류 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승강압 컨버터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를 유선충전방식으로 충전할 경우, 기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유선충전시스템(OBC)을 이용하여 유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를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할 경우, 기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유선충전시스템(OBC)을 이용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는, 기존 차량에 탑재된 유선충전시스템(OBC)만으로 유선 및 무선충전을 수행 가능하므로, 시스템 부피 및 무게가 감소하고, 재료비 저감 및 효율 상승이라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유선충전모드 또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유선충전모드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의 신호 흐름을 보여준다.
도 2는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2에서,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가 유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용전력계통(교류전원부(AC))이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일 때의 제1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유선수신부(110)의 제7 연결 스위치(SW7)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무선수신부(120)의 제8 스위치(SW8)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PFC 회로부(130)의 제1 스위칭 소자(Sp1)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고, 제3 스위칭 소자(Sp3)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p2)는 턴 온(Turn On) 상태이고, 제4 스위칭 소자(Sp4)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도 3은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3에서, 상용전력계통(교류전원부(AC))이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일 때의 제2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PFC 회로부(130)의 제1 스위칭 소자(Sp1)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고, 제3 스위칭 소자(Sp3)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p2)는 턴 온(Turn On) 상태이고, 제4 스위칭 소자(Sp4)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도 4는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3 도면이다.
도 4에서, 상용전력계통(교류전원부(AC))이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일 때의 제1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PFC 회로부(130)의 제1 스위칭 소자(Sp1)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고, 제3 스위칭 소자(Sp3)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p2)는 턴 온(Turn On) 상태이고, 제4 스위칭 소자(Sp4)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도 5는 유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4 도면이다.
도 5에서, 상용전력계통(교류전원부(AC))이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일 때의 제2 PFC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PFC 회로부(130)의 제1 스위칭 소자(Sp1)는 턴 온(Turn On) 상태이고, 제3 스위칭 소자(Sp3)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p2)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고, 제4 스위칭 소자(Sp4)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한 PFC 회로부(130)의 PFC 동작 모드에 따라 유선수신부(110)의 제1 교류 전압의 역률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역률 보정이 이루어진 제1 교류 전압이 커패시터(C1)에 제1 직류 전압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6은 유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6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1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제2 연결 스위치(SW2)와 제3 연결 스위치(SW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제1 연결 스위치(SW1), 제4 연결 스위치(SW4), 제5 연결 스위치(SW5), 및 제6 연결 스위치(SW6)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그런 다음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1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를 통해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직류 전압은 1차 코일(CL1)에 인가되고 나서 2차 코일(CL2)로 자기 유도된다.
그런 다음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를 통해 적절히 승강압된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직류 전압이 배터리(BATT)에 충전된다.
도 7은 유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7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2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2 컨버팅 동작 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를 통해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직류 전압은 1차 코일(CL1)에 인가되고 나서 2차 코일(CL2)로 자기 유도된다.
그런 다음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를 통해 적절히 승강압된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직류 전압이 배터리(BATT)에 충전된다.
도 8 내지 도 13은 무선충전모드에 따른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의 신호 흐름을 보여준다.
도 8은 무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정류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8에서,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100)가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PFC 회로부(130)의 제1 정류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유선수신부(110)의 제7 연결 스위치(SW7)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무선수신부(120)의 제8 스위치(SW8)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PFC 회로부(130)의 제1 스위칭 소자(Sp1)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고, 제3 스위칭 소자(Sp3)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p2)는 턴 온(Turn On) 상태이고, 제4 스위칭 소자(Sp4)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이를 통해 무선수신부(120)의 제2 교류전압이 정류되어 커패시터(C2)에 제2 직류전압으로 충전된다.
도 9는 무선충전모드에서 PFC 회로부의 정류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9에서, PFC 회로부(130)의 제2 정류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PFC 회로부(130)의 제1 스위칭 소자(Sp1)는 턴 온(Turn On) 상태이고, 제3 스위칭 소자(Sp3)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p2)는 턴 오프(Turn Off) 상태이고, 제4 스위칭 소자(Sp4)는 턴 온(Turn On) 상태이다. 이를 통해 무선수신부(120)의 제2 교류전압이 정류되어 커패시터(C2)에 제2 직류전압으로 충전된다.
도 10은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승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10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1 승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제2 연결 스위치(SW2)와 제3 연결 스위치(SW3)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때 제1 연결 스위치(SW1), 제4 연결 스위치(SW4), 제5 연결 스위치(SW5), 및 제6 연결 스위치(SW6)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그런 다음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1 승압 동작 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또한,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도 11은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승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11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2 승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2 승압 동작 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또한,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승압 동작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C2)의 제2 직류전압은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 제2 승강압부(147), 및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를 통해 적절히 승압되어 배터리(BATT)에 충전된다.
도 12는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강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 12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1 강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1 강압 동작 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또한,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도 13은 무선충전모드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강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 13에서,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2 강압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컨버터 회로부(140)의 제2 강압 동작 모드에 따라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일차측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3 일차측 스위칭 소자(Sb3)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일차측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4 일차측 스위칭 소자(Sb4)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또한,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의 제1 이차측 스위칭 소자(Sa1)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제3 이차측 스위칭 소자(Sa3)는 턴 온(Turn On) 동작한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 소자는 반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이차측 스위칭 소자(Sa2)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고, 제4 이차측 스위칭 소자(Sa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강압 동작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C2)의 제2 직류전압은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 제2 승강압부(147), 및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를 통해 적절히 강압되어 배터리(BATT)에 충전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유무선 충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유무선 충전 방법은 연결 판단 단계(S1410), 충전 모드 동작 단계(S1420), 전압 변환 단계(S1430), 및 배터리 충전 단계(S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판단 단계(S1410)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유선수신부(110) 또는 무선수신부(120)의 외부 전원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 모드 동작 단계(S1420)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유선수신부(110) 또는 무선수신부(120)와 외부 전원의 연결 여부에 따라 유선충전모드 또는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한다. 제어부는 유선수신부(110)에 외부 전원(AC)이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7 연결 스위치(SW7)의 턴 온(Turn On)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무선수신부(120)에 외부 전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8 연결 스위치(SW8)의 턴 온(Turn On) 동작을 제어한다.
전압 변환 단계(S1430)에서, 제어부는 유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유선수신부(110)의 제1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PFC 회로부(13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수신부(120)의 제2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PFC 회로부(13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배터리 충전 단계(S1440)에서, 제어부는 유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직류 전압을 변압하여 배터리(BATT)를 충전하도록 컨버터 회로부(14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제2 연결 스위치(SW2)와 제3 연결 스위치(SW3)의 턴 온(Turn On)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1 승강압부(145)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1 직류 전압을 승강압하여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로 전달하는 제1 변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직류 전압을 변압하여 배터리(BATT)를 충전하도록 컨버터 회로부(14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제4 연결 스위치(SW4)와 제5 연결 스위치(SW5)의 턴 온(Turn On)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2 승강압부(147)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141)의 제2 직류 전압을 승강압하여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143)로 전달하는 제2 변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 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110: 유선수신부
120: 무선수신부
130: PFC 회로부
140: 컨버터 회로부
141: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
143: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
145: 제1 승강압부
147: 제2 승강압부

Claims (14)

  1. 유선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교류전압을 전달받는 유선수신부;
    무선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2 교류전압을 전달받는 무선수신부;
    상기 제1 교류전압 또는 상기 제2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PFC 회로부; 및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1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LLC 컨버터 회로를 구현하고,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2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제2 직류전압을 배터리 충전 전압으로 변압하는 승강압 컨버터 회로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컨버터 회로부;
    를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회로부는,
    상기 PFC 회로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일차측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측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와,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제1 직류전압을 승강압하여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1 승강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압부는,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제1 직류전압을 변압하여 전달하는 제1 전달부와,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부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전달부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는,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연결되는 LC 직렬 회로와, 상기 LC 직렬 회로에 연결되는 1차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부는,
    상기 1차 코일의 전압을 인가받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과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LC 직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회로부는,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턴 온 동작하는 연결 스위치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 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회로부는,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제2 직류전압을 승강압하여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2 승강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압부는,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우측 폴 회로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우측 폴 회로를 연결하는 제1 인덕터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좌측 폴 회로와 상기 이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좌측 폴 회로를 연결하는 제2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우측 폴 회로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덕터와 상기 일차측 H-브릿지 회로부의 좌측 폴 회로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수신부는,
    유선 연결된 외부 전원과 상기 PFC 회로부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PFC 회로부 사이에 연결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11. 유선수신부, 무선수신부, PFC 회로부와, 컨버터 회로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선수신부 또는 상기 무선수신부와 외부 전원의 연결 여부에 따라 유선충전모드 또는 무선충전모드로 동작하는 충전 모드 동작 단계;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PFC 회로부가 상기 유선수신부의 제1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PFC 회로부가 상기 무선수신부의 제2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 단계; 및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컨버터 회로부가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변압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컨버터 회로부가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변압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수신부 또는 상기 무선수신부의 외부 전원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연결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컨버터 회로부의 제1 승강압부를 동작시키는 제1 변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컨버터 회로부의 제2 승강압부를 동작시키는 제2 변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190118214A 2019-09-25 2019-09-25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Ceased KR20210036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14A KR20210036137A (ko) 2019-09-25 2019-09-25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14A KR20210036137A (ko) 2019-09-25 2019-09-25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137A true KR20210036137A (ko) 2021-04-02

Family

ID=7546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214A Ceased KR20210036137A (ko) 2019-09-25 2019-09-25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13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093A (zh) * 2021-06-26 2021-09-03 深圳欣锐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充电系统、充电控制方法以及车辆
CN114312382A (zh) * 2022-01-14 2022-04-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苏州供电分公司 一种适用于电动汽车有线无线一体化充电桩的系统拓扑
KR20230135701A (ko) * 2022-03-16 2023-09-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탈부착형 보조배터리
WO2023249466A1 (ko) * 2022-06-24 2023-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CN117325679A (zh) * 2023-10-18 2024-01-02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KR20240105159A (ko) * 2022-12-28 2024-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V2l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250027427A (ko) * 2023-08-18 2025-02-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V2l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246A (ko) 2017-05-29 2018-12-07 디아이케이(주)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246A (ko) 2017-05-29 2018-12-07 디아이케이(주)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093A (zh) * 2021-06-26 2021-09-03 深圳欣锐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充电系统、充电控制方法以及车辆
CN114312382A (zh) * 2022-01-14 2022-04-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苏州供电分公司 一种适用于电动汽车有线无线一体化充电桩的系统拓扑
CN114312382B (zh) * 2022-01-14 2023-10-2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苏州供电分公司 一种适用于电动汽车有线无线一体化充电桩的系统拓扑
KR20230135701A (ko) * 2022-03-16 2023-09-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모빌리티의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탈부착형 보조배터리
WO2023249466A1 (ko) * 2022-06-24 2023-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KR20240105159A (ko) * 2022-12-28 2024-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V2l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250027427A (ko) * 2023-08-18 2025-02-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V2l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N117325679A (zh) * 2023-10-18 2024-01-02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17325679B (zh) * 2023-10-18 2024-06-04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6137A (ko) 유무선 겸용 차량 탑재형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959922B1 (ko) 완속충전기(On board charger, OBC)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134029B (zh) 车辆用充电装置
US11427095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EP3623200B1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CN107487210B (zh) 用于车辆的无线电力传输
US9793719B2 (en)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EP2434604A1 (en) Power source device
EP2899847A1 (en) Power receiv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15182274A1 (ja) 送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hoi et al. 4kW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JP2014207794A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80029713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제어장치
JP2015223042A (ja) 非接触給電装置
CN109314405B (zh) 用于无接触地传输能量的传输系统
US9789778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oviding a DC voltage in a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a circuit arrangement
JP6032002B2 (ja) 充電器
JP5412515B2 (ja) 電源装置
KR102324028B1 (ko) 배터리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 모터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0228367A (zh) 用于机动车的充电装置
KR102691474B1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148B1 (ko) 친환경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및 방법
JP2015061493A (ja) 充電器
KR20190070784A (ko) 차량용 전력 제어 장치
KR102336554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