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32114A -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 Google Patents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14A
KR20210032114A KR1020190113444A KR20190113444A KR20210032114A KR 20210032114 A KR20210032114 A KR 20210032114A KR 1020190113444 A KR1020190113444 A KR 1020190113444A KR 20190113444 A KR20190113444 A KR 20190113444A KR 20210032114 A KR20210032114 A KR 20210032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hole
protective clothing
worker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439B1 (ko
Inventor
윤학균
Original Assignee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4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중 방진이나 방호 목적을 위하여 덧입는 방호복에 차가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방호복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작업자가 겉에 추가로 입는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의 내측면에 덧대어지고,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내측면에 부착되어 냉기가 지나가는 냉기채널을 형성하는 가요성 띠 형상의 덧댐부재와, 상기 방호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냉기채널과 연결되는 냉기주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덧댐부재에는 토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채널로 들어온 냉기가 작업자에게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Protective suit with cooling channel}
본 발명은 작업 중 방진이나 방호 목적을 위하여 덧입는 방호복에 차가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방호복과 관련된다.
방호복은 유해한 주변 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거나, 작업자가 입고 있는 옷에서 떨어지는 먼지나 떨어진 머리카락 등이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덧입는 특수복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방호복이 개발되어 있다. 그 중 하나로 유독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복은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의에는 사용자의 뒷목, 귀, 머리를 덮어 가리는 후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해 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복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직물로 제작된다. 방호복이 체온의 발산을 차단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나아가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 등에서 작업장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도 있어, 방호복을 입는 작업자의 체력 저하가 매우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자에게 방호복 안에 입는 쿨링 조끼를 제시하고 있다. 쿨링 조끼에는 냉매공급장치에서 제공된 냉매를 순환시키는 배관이 내장되어 있어, 쿨링 조끼의 온도를 서늘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제작된다.
이러한 쿨링 조끼는 작업자의 체온을 낮추는 데에 효과를 발휘하지만, 지그재그로 배치된 배관 자재를 내장하는 것이어서 무게가 상당한 단점이 있다. 즉 무거운 쿨링 조끼는 서서 일하는 작업자의 허리와 무릎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작업자가 맡은 업무의 작업 방식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취할 때 쿨링 조끼가 신체 부위나 작업대에 걸림으로써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반응조에 걸쳐진 작업물을 꺼내기 위해 허리 숙여 손을 내밀 때, 쿨링 조끼가 반응조의 턱에 걸려 매번 쿨링 조끼를 추슬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쿨링 조끼는 내부에 배관이 구비됨에 따라 두껍고 뻣뻣하여 착용감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들로 인해 일부의 작업자는 쿨링 조끼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장에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1024호 (2018.10.1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0029호 (2009.07.23)
본 발명은 착용의 불편함이 없으면서 작업자에게 시원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한 방호복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작업자가 겉에 추가로 입는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의 내측면에 덧대어지고,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내측면에 부착되어 냉기가 지나가는 냉기채널을 형성하는 가요성 띠 형상의 덧댐부재와, 상기 방호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냉기채널과 연결되는 냉기주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덧댐부재에는 토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채널로 들어온 냉기가 작업자에게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을 제시한다.
제1 실시예로 상기 덧댐부재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는 작업자의 목덜미를 향하는 제1 홀, 작업자의 뒷덜미를 향하는 제2홀, 작업자의 등 중앙부를 향하는 제3 홀 및 작업자의 등 하부를 향하는 제4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발명의 특징이 드러나는 기본적인 형태로 냉기채널을 통해 작업자에게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여 체온을 낮출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로 상기 덧댐부재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제1 부재를 포함하면서, 작업자의 어깨 하부를 따라 상기 제1 부재의 상측 좌우에서 연장되며, 끝단부에는 작업자의 겨드랑이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5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상기 제1 부재의 하측 좌우에서 연장되며, 끝단부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제6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부재 그리고 작업자의 엉덩이 하부를 향하여 상기 제1 부재의 저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끝단부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제7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4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형태는 본 발명의 개념이 보다 확장된 형태 중 하나로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자에게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 상기 덧댐부재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제1 부재,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상기 제1 부재의 하측 좌우에서 연장되고,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8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5 부재 및 상기 제5 부재에서 작업자의 하체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고, 작업자의 엉덩이, 허벅지 또는 무릎을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9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6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로 상기 덧댐부재는 작업자의 허리 둘레를 따라 가로로 배치되는 제7 부재, 상기 제7 부재(117)의 상부로 연결되는 제8 부재 및 상기 제8 부재의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작업자의 목덜미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13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9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부재 내지 제9 부재를 상기 방호복에 부착하는 재봉 라인 중 일부 구간은, 상기 방호복을 구성하는 옷감패턴들의 재봉 라인과 겹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기 덧댐부재의 가장자리는 재봉질로 상기 방호복에 부착되며, 재봉질이 이루어진 부분에는 방호용 코팅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유해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기주입부재가 부착되는 상기 방호복의 결합홀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주입부재와 냉기채널이 연결되는 부위를 통해 냉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하여, 냉기가 방호복 안으로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게 돕는다.
냉기주입부재의 다른 예시로, 상기 방호복을 관통하는 결합홀의 전후로 결합되는 파지구와, 상기 파지구와 연결되며 냉기를 제공하는 튜브를 파지하는 원터치 피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복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 밸브가 구비되어 방호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가운 공기가 지속적으로 방호복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호복 내부에 덧댐부재를 통하여 냉기채널을 형성함에 따라 방호복 내부로 냉기 이동하는 통로를 확보하여, 작업자가 시원함을 느끼는 특정 신체 부위에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더운 작업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청량감을 주어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기술에 따른 쿨링 조끼를 대체하여 종래의 기술이 가진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은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 생산 가능하여 유해 물질이 존재하는 작업장에서 1회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덧댐부재가 구비된 방호복의 무게는, 원래의 방호복 무게와 비교하여 작업자가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게 증가하는 것에 불과하고, 방호복의 접힘이나 구겨짐 등에 큰 제약이 없는 것이어서 작업자가 편하게 입을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을 일부 전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된 덧댐부재의 전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된 덧댐부재의 전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적용된 덧댐부재의 전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방호복 소재의 부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사용에 따른 온도 저감을 나타낸 그래프 이미지.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주입부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100)은 부직포나 방수 가능한 천 재질을 이용하여 홑겹으로 제작된 것으로, 평상복을 입는 작업자가 추가로 입는 것이다. 상의 부분(104)과 하의 부분(105)은 일체로 제작되며, 상의 부분(104)에는 작업자의 머리를 덮는 후드(106)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후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 한하여 하의 부분이 생략될 수도 있다.
방호복(100)의 내측에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채널(S)을 형성하는 것으로 덧댐부재(10)가 사용된다. 덧댐부재(10)는 가요성을 갖는 직물이나 얇은 합성수지 시트가 될 수 있다. 통상 방호복의 천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덧댐부재(10)의 형상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긴 띠 형상이다. 덧댐부재(10)는 방호복(100)의 내측면에 면대면으로 덧대어지고, 가장자리 둘레(11)가 방호복(100)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덧댐부재(10)의 부착은 재봉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방호복을 재봉질로 만드는 과정 중에 덧댐부재를 부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덧댐부재의 부착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냉기채널(S)은 방호복 소재(101)와 덧댐부재(10) 사이에 형성된다. 냉기채널의 단면을 적절한 크기로 확보하기 위하여, 덧댐부재의 가운데를 봉긋하게 오므린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방호복 내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덧댐부재(10)나 방호복 소재(101)가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므로, 덧댐부재(10)과 방호복 소재(101)를 면대면으로 겹쳐지게 하더라도, 주입한 차가운 공기에 의해 냉기채널이 부풀어 올라 냉기가 유동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덧댐부재(10)가 재봉질로 방호복에 부착된 경우, 실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을 통해 유해 물질이 방호복 내부로 침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재봉질이 이루어진 부분에는 방호용 코팅(12)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방호용 코팅(12)은 공지된 폴리머계 코팅제로, 재봉질된 부분에 덧칠하거나 분사하는 방식으로 방진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냉기주입부재(30)는 원통 형상으로 방호복(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냉기주입부재(30) 역시 방호복 소재와 같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냉기주입부재(30)는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공급수단(31)의 튜브 플러그(32)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냉기공급수단(31)과 튜브 플러그(32)의 구조나 작동 방식은 공지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냉기공급수단이 반드시 차가운 공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방호복이 사용되는 작업 환경에 맞춰 상온의 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작업 환경이 추위를 느낄 정도라면 따뜻한 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냉기주입부재(30)는 냉기채널(S)의 가운데에 맞춰 방호복(100)을 관통하는 결합홀(102)을 통해 부착된다. 이때 결합홀(102)을 형성함에 있어서 방호복 소재를 주름잡아 결합홀(102)의 가장자리 둘레에 주름(103)을 형성하게 된다. 주름(103)이 형성된 결합홀(102)에 냉기주입부재(30)를 재봉질이나 접착하는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결합홀(102)의 주름(103)이 유지된다.
결합홀(102) 주변부의 주름(103)은 냉기주입부재(30)와의 연결 부위에 어느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냉기채널(S) 안으로 원활하게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냉기주입부재와 이어진 튜브 플러그의 무게로 인해, 결합홀과 냉기주입부재 연결부위가 접혀지면서 차가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는 특히 냉기주입부재가 방호복 소재와 같이 가요성이 큰 천 재질일 때 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결합홀(102) 주변부에 주름(103)을 형성한 경우에는 차가운 공기가 주름들 사이의 골을 타고 냉기채널(S)로 들어오면서 점차 유량이 늘어남에 따라 꺾여 있던 냉기주입부재가 곧게 펴지게 되어 점차 원활한 냉기 유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냉기주입부재(30)와 결합홀의 연결 부위에도 방호용 코팅(12)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에는 냉기주입부재(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냉기주입부재(30)는, 파지구(33)와 원터치 피팅부재(34)를 포함한다.
파지구(33)는 결합홀의 전후에 대어지면서 서로 결합되는 부재로, 원터치 피팅부재(34)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파지구(33)는 결합홀의 전면과 배면에 각기 대어지면서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중앙에는 냉기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원터치 피팅부재(34)는 냉기를 제공하는 튜브(T)를 물어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하는 것으로, 원통형 케이싱(341), 케이싱(341)의 내경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파지암(342), 파지암(342)의 변형을 지지하는 로크링(343), 케이싱(34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싱(341) 내부로 삽입된 끝단부가 파지암(342)에 접촉하는 작동림부(344), 로크링(343)과 파지암(342)을 구속하며 작동림부(344)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터치 피팅부재(34)는, 삽입된 튜브(T)의 외주면을 파지암(342)으로 물어 고정함으로써 작업 도중 튜브가 빠지지 않게 하면서, 작업 종료 후에는 작동림부(344)를 누르는 것만으로 파지암(342)을 넓게 벌려 튜브(T)를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터치 피팅부재(34)는 냉기주입부재(30)가 방호복의 허리춤 뒤에 위치함에 따라 작업자 스스로 쉽게 튜브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원터치 피팅부재는 튜브를 고정하거나 이탈시키는 공지된 다양한 클램프 수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
덧댐부재(10)에는 냉기채널(S)로 들어온 냉기가 작업자에게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토출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 도시되어 있으나, 홀의 형상은 원형 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홀 등에 망사, 방향 가림용 천조각 등이 덧대어질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덧댐부재에서, 토출부(20)는 제1 홀(21) 내지 제4 홀(2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홀(21) 내지 제4 홀(24)은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한 조합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21)만 단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홀(21)과 제2 홀(22)이 형성되고 제3, 4 홀은 생략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홀 내지 제4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은 작업자의 목덜미를 향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상의를 입은 작업자를 고려할 때에 상의로 가려지지 아니하는 목덜미로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반복된 실험을 거친 결과, 작업자가 냉기를 가장 크게 느끼는 부위는 목덜미인 것으로 확인된다. 평상복을 입은 상태에서 방호복을 걸치므로, 피부가 냉기에 직접 노출되는 부위는 목덜미 부근이며, 더위를 느낄 때 적은 유량으로도 냉기를 크게 느끼는 부위도 목덜미 부근이다.
나아가 제1 홀(21)로 토출된 공기는 방호복을 채운 후 안면 피부와 후드 사이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외부의 유해 물질이 얼굴과 후드 사이의 틈으로 방호복(10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를 유해 물질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제2 홀(22)은 어깻죽지 사이인 뒷덜미를 향하도록 제1 홀(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뒷덜미는 작업자의 목뼈 부근에 냉기를 토출하여 작업자가 두번째로 시원함을 잘 느끼는 부위에 냉기가 닿을 수 있게 한다. 제1 홀(21)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뒷목과 그 주변부에 냉기를 적극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체감 온도를 크게 낮추는데 기여하게 된다.
제3 홀(23)과 제4 홀(24)은 제2 홀(22)의 아래로 차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3 홀(23)은 작업자의 등 중앙부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시키며, 제4 홀(24)은 작업자의 등 하부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제3 홀(23)과 제4 홀(24)은 작업자의 등과 그 주변부에 찬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전체적인 체감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방호복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체크 밸브(50)가 구비된다. 이러한 체크 밸브(50)는 지속적인 냉기의 공급에 따라 방호복 내부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개방되어 방호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분출하되, 외부의 공기가 방호복 내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50)가 구비됨에 따라 방호복 내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냉기가 원활하게 방호복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체크 밸브(50)는 방호복에 설치되며, 개방된 통로(511)를 형성하는 케이스부(51), 평상시에는 통로(511)를 막고 있다가 내부에서 불어나오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통로(511)를 개방하는 연질의 탄성시트(52)를 포함한다. 나아가 체크 밸브(50)를 덮어 가리면서 아래로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가림부재(53)가 구비되어, 체크 밸브(50)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되는 차가운 공기의 압력이 다소 작은 경우를 고려하여, 체크 밸브(50)는 방호복의 팔뚝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만일 체크 밸브가 등이나 옆구리 등 몸통 부위에 장착되고, 냉기의 주입 압력이 작다면, 몸통 부위 내부의 공기압이 체크 밸브의 탄성시트를 변형시킬 정도로 크게 형성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방호복 내부 압력으로 인해 차가운 냉기가 더 이상 유입하지 못하여 내부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기의 주입 압력이 낮더라도, 팔뚝 부위에 체크 밸브(50)가 설치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팔을 오무려 안는 동작이나 팔을 구부리는 동작 등에서 팔 부위의 체적 변화가 크고 신속하게 일어나 순간 압력이 크게 증가하여 체크 밸브가 개방되면서 방호복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과 관련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100)에는 덧댐부재(10)와 냉기주입부재(30)가 구비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100)에 채용된 덧댐부재(10)는 제1 부재(111), 제2 부재(112), 제3 부재(113) 및 제4 부재(114)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부재(112), 제3 부재(113) 또는 제4 부재(114)는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재(111)를 기본으로 하여, 이에 제2 부재(112), 제3 부재(113) 및 제4 부재(114) 중 하나 이상이 부가될 수 있다. 제2 부재(112) 내지 제4 부재(114) 중 일부의 생략 여부는 공급되는 냉기의 압력 조건과 작업 환경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부재(111) 내지 제4 부재(114)가 모두 구비된 도면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부재(111)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덧댐부재의 형상과 사실상 동일하다.
제1 부재(111)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위에서부터 제1 홀(21), 제2 홀(22), 제4 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홀(21)은 작업자의 목덜미의 위치에 대응하고, 제2 홀(22)과 제4 홀(24)은 작업자의 뒷덜미, 등 하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1 홀(21), 제2 홀(22) 및 제4 홀(24)의 위치에 따른 냉각 효과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홀, 제2 홀 및 제4 홀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1)의 제2 홀(22) 또는 제4 홀(24)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부재(112) 내지 제4 부재(114)는 제1 부재(111)에서 연장된 가지 형상을 취한다. 제2 부재(112) 내지 제4 부재(114) 역시 가장자리를 따라 방호복 내측면에 부착되므로 내부채널이 형성되고, 제1 부재(111) 내부의 냉기채널은 제2 부재(112) 내지 제4 부재(114)의 내부의 각 내부채널과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1 부재(111)의 가운데에 위치한 냉기주입부재(30)를 통해 들어온 냉기는 제1 부재(111)를 거쳐 제2 부재(112) 내지 제4 부재(114)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부재(112) 내지 제4 부재(114)는 제1 부재(11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제2 부재(112)는 제1 부재(111)의 상측 좌측과 우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부분으로, 끝단부에는 제5 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112)는 방호복을 입은 작업자의 어깨라인 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며, 제5 홀(25)은 작업자의 겨드랑이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통상 방호복은 누구나 입을 수 있도록 넉넉한 크기의 프리 사이즈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체격의 작업자가 입었을 때에 겨드랑이 아래에 빈공간이 크게 형성된다. 제5 홀(25)은 이 빈공간에 차가운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작업자가 냉기를 쉽게 느낄 수 있게 한다.
제3 부재(113)는 작업자의 옆구리 높이에서 제1 부재(111)로부터 좌우로 연장된다. 제3 부재(113)의 끝단부에는 제6 홀(26)이 위치하여, 작업자의 옆구리에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이때 제3 부재(113)의 가로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함으로써, 방호복의 허리 둘레를 따라 제3 부재(113)도 휘어져, 제3 부재(113)의 끝단부가 작업자의 측부까지 이르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부재(113)의 끝단부에 형성된 제6 홀(26)은 작업자의 허리 좌우에 위치하여, 허리 양측에서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이로써 등 부분을 벗어나 작업자의 허리 양측에서 차가운 느낌을 줄 수 있다.
한편 제4 부재(114)는 제1 부재(111)의 저부에서 좌우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엉덩이 하부까지 이어진다. 제4 부재(114)의 끝단부에 구비된 제7 홀(27)은 엉덩이와 허벅지가 만나는 엉덩이 하부로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서서 일하는 작업자를 고려할 때에, 땀이 쉽게 차는 부위인 엉덩이 아래에 냉기를 공급하여 열기를 식힐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과 관련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100)에는 덧댐부재(10)와 냉기주입부재(30)가 구비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100)에 채용된 덧댐부재(10)는 제1 부재(111), 제5 부재(115) 및 제6 부재(116)를 포함한다.
제1 부재(111)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100)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덧댐부재와 사실상 동일한 형상이다. 제1 부재(111)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목덜미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1 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제5 부재(115)는 제1 부재(111)의 하단부에서 좌우로 길게 연장된 것으로, 그 형상은 제2 실시예의 제3 부재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5 부재에는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8 홀(28)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8 홀(28)은 각기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구분하여 제1 부재(111)와 먼 위치의 홀을 제8-1 홀(28a)이라 하고, 나머지 홀을 제8-2 홀(28b)로 부르기로 한다.
제8-1 홀(28a)은 작업자 옆구리의 전면을 향하고, 제8-2 홀(28b)은 옆구리의 후면을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옆구리의 전후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홀에서 냉기가 토출됨에 따라, 토출된 공기는 작업자의 전면과 허리 뒤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옆구리에서 시작된 시원한 느낌이 복부와 허리 뒤로 이어져 허리 둘레 전체에 시원함을 느끼게 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8-1 홀(28a) 또는 제8-2 홀(28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6 부재(116)는 작업자의 옆구리 위치에서 제5 부재(115)의 아래로 연장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하체 측면을 따라 놓여진다. 제6 부재(116)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제9 홀(29)이 형성되는데, 제9 홀(29)은 작업자의 엉덩이, 허벅지 또는 무릎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제9 홀(29)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둘의 홀이 생략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각 제9 홀(29)로 토출된 냉기는 작업자의 다리를 따라 뒤로 흘러 엉덩이, 허벅지 뒤 또는 무릎 뒤로 이동하게 된다.
제6 부재(116)는 작업자의 측면 라인을 따라 아래로 연장됨으로써, 작업자가 수시로 다리를 구부리더라도 냉기가 막힘없이 제9 홀(29)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과 관련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100)에는 덧댐부재(10)와 냉기주입부재(30)가 구비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덧댐부재(10)는 제7 부재(117), 제8 부재(118) 및 제9 부재(119)를 포함한다.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제7 부재(117)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10 부재(12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7 부재(117)는 작업자의 허리 둘레를 따라 가로로 배치되며, 작업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양 옆구리를 지나 하복부까지 연장된다.
제8 부재(118)는 제7 부재(117)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냉각채널을 연장하며, 제9 부재(119)는 작업자 제8 부재(118)의 상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목덜미 부근을 지나는 냉각채널을 형성한다. 제9 부재(119)가 형성하는 냉각채널은 제8 부재(118)의 냉각채널과 이어짐에 따라 제7 부재(117) 내지 제9 부재(119)의 냉각채널이 하나로 이어지게 된다.
나아가 제7 부재(117)의 하부로 한 쌍의 제10 부재(120)가 연결된다. 제10 부재(120)는 제8 부재(118)와 상하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제10 부재(120)가 형성하는 냉기채널 역시 제7 부재(117)의 냉기채널과 이어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7 부재(117), 한 쌍의 제8 부재(118) 및 제9 부재(119)는 사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 좌우의 제8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10 부재도 생략될 수 있다.
나아가 제7 부재(117) 내지 제9 부재(119)를 방호복에 부착하는 재봉 라인 중 일부 구간은, 방호복을 구성하는 옷감패턴들의 재봉 라인과 겹치게 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방호복은 상의 부분을 형성하는 담당하는 제1,2 옷감패턴(107a, 107b)과, 하의 부분을 이루는 제3,4 옷감패턴(107c, 107d)을 재봉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제1,2 옷감패턴(107a, 107b)과 제3,4 옷감패턴(107c, 107d)은 각기 좌우 대칭을 이루게 배치된다. 제1,2 옷감패턴(107a, 107b)은 목둘레부터 어깨를 지나 상완까지 형성하면서 등과 가슴 부분을 형성하고, 제3,4 옷감패턴(107c, 107d)은 복부둘레부터 엉덩이, 허벅지를 지나 무릎부위까지 형성한다.
이러한 옷감패턴들(107a, 107b, 107c, 107d)을 재봉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제7 부재(117)의 상부 가장자리의 재봉 라인(L1), 제8 부재(118)의 가장자리 중 일부의 재봉 라인(L2) 및 제9 부재(119)의 상부 가장자리 중 일부의 재봉 라인(L3)이 옷감패턴들의 재봉 라인과 겹쳐지게 덧댐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불투성 방호복 소재에 재봉 작업에 의한 바늘 구멍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 재봉 라인의 따라 이루어지는 방호용 코팅 처리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방호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유해 물질이 들어갈 바늘 구멍 자체도 줄어들어 작업자의 안전도 더욱 향상된다.
제7 부재(117)의 중간에는 냉기주입부재(30)가 연결되며, 주입된 냉기는 형성된 냉기채널을 따라 제7 부재(117)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제7 부재(117)의 양 끝단부에는 작업자의 하복부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10 홀(40)이 형성된다. 나아가 제7 부재(117)에는 작업자의 옆구리 뒷쪽을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11 홀(41)이 더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1 홀(41)은 생략될 수 있다.
제10 홀(40)과 제11 홀(41)은 작업자의 허리 둘레에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작업자의 전면과 배면 모두를 차갑게 할 수 있다.
제8 부재(118)에는 작업자의 겨드랑이 바로 아래의 높이에 대응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12 홀(4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9 부재(119)에는 작업자의 목덜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냉기를 토출하는 제13 홀(43)이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3 홀(43)이 형성되어 있어 다량의 냉기를 작업자에게 보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13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0 부재(120)에는 한 쌍의 제14 홀(44)이 형성된다. 이 제14 홀(44)은 제3 실시예의 제 9홀과 같이 작업자의 하체 부위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0 홀(40) 내지 제14 홀(44)은 다른 실시예에서 개수를 달리하거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실험예>
제-- 실시예에 따른 덧댐부재를 구비한 방호복의 냉각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내 온도가 29℃부터 26℃까지 서서히 변하는 실내 공간에서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을 입고 냉기를 주입하였을 때의 방호복의 온도 변화와, 기존 방호복을 입은 상태에서의 방호복 온도 변화를 4분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주입된 냉기는 24±3℃이다. 방호복에 냉기를 주입하기 시작한 시점은 실험 시작 후 4분이 지난 시점이다. 동일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방호복당 3회씩 번갈아 입으며 측정하였다.
아래 표 1은 4분 간격으로 측정한 방호복의 온도 평균이다. 방호복의 온도 측정은 열화상 카메라로 작업자의 뒷모습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시간(분)

기존 방호복 온도(℃)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온도(℃)
0 29.0 28.5
4 29.7 23.8
8 31.0 25.0
12 31.2 25.2
16 31.5 24.4
20 31.8 25.0
기존 방호복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체온으로 인해 점차 온도가 상승함이 확인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은 냉기가 주입한 4분 이후부터는 대략 25℃ 수준으로 낮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도 11을 참고하면, 냉각채널이 형성된 부위를 비롯하여 주변부까지 확산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토출구에서 분사된 냉기가 방호복(덧댐부재)과 작업자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은 덧댐부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냉기가 이동하는 냉기채널을 형성하고, 작업자의 목덜미를 포함한 특정 부위에 냉기를 토출시킴으로써 더운 작업 환경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체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쿨링 조끼를 입지 않아도 작업자에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덧댐부재는 방호복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그에 버금가는 가벼운 시트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방호복은 여전히 매우 가볍고, 휘어짐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방호복을 입고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며, 방호복이 여기저기 걸리는 불편함이 없다.
덧댐부재가 구비된 방호복은 원가 상승이 크지 않아 저렴한 가격에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1회용도로 사용되는 방호복에 적합하다.
100 : 방호복
101 : 방호복 소재 102 : 결합홀 103 : 주름
104 : 상의 부분 105 : 하의 부분 106 : 후드
107a : 제1 원감패턴 107b : 제2 원감패턴
107c : 제3 원감패턴 107d : 제4 원감패턴
L1, L2, L3 : 재봉 라인
10 : 덧댐부재 S : 냉기채널
11 : 가장자리 둘레 12 : 방호용 코팅
20 : 토출부
21 : 제1 홀 22 : 제2 홀 23 : 제3 홀 24 : 제4 홀
111 : 제1 부재
112 : 제2 부재 25 : 제5 홀
113 : 제3 부재 26 : 제6 홀
114 : 제4 부재 27 : 제7 홀
115 : 제5 부재 28 : 제8 홀 28a : 제8-1 홀 28b : 제8-2 홀
116 : 제6 부재 29 : 제9 홀
117 : 제7 부재 40 : 제10 홀 41 : 제11 홀
118 : 제8 부재 42 : 제12 홀
119 : 제9 부재 43 : 제13 홀
120 : 제10 부재 44 : 제14 홀
30 : 냉기주입부재 31 : 냉기공급수단 32 : 튜브 플런저
33 : 파지구 331 : 냉기홀
34 : 원터치 피팅부재 341 : 케이싱 342 : 파지암 343 : 로크링
344 : 작동림부 345 : 가이드부 T : 튜브
50 : 체크밸브 51 : 케이스부 511 : 통로 52 : 탄성시트 53 : 가림부재

Claims (9)

  1. 작업자가 겉에 추가로 입는 방호복(100)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100)의 내측면에 덧대어지고,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내측면에 부착되어 냉기가 지나가는 냉기채널(S)을 형성하는 가요성 띠 형상의 덧댐부재(10)와,
    상기 방호복(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냉기채널(S)과 연결되는 냉기주입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덧댐부재(10)에는 토출부(20)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채널(S)로 들어온 냉기가 작업자에게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2. 제1항에서,
    상기 덧댐부재(10)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20)는
    작업자의 목덜미를 향하는 제1 홀(21), 작업자의 뒷덜미를 향하는 제2 홀(22), 작업자의 등 중앙부를 향하는 제3 홀(23) 및 작업자의 등 하부를 향하는 제4 홀(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3. 제1항에서,
    상기 덧댐부재(10)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제1 부재(111)를 포함하면서,
    작업자의 어깨 하부를 따라 상기 제1 부재(111)의 상측 좌우에서 연장되며, 끝단부에는 작업자의 겨드랑이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5 홀(25)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112),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상기 제1 부재(111)의 하측 좌우에서 연장되며, 끝단부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제6 홀(26)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부재(113) 그리고
    작업자의 엉덩이 하부를 향하여 상기 제1 부재(111)의 저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끝단부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제7 홀(27)이 형성되어 있는 제4 부재(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4. 제1항에서,
    상기 덧댐부재(10)는
    작업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상기 방호복의 등 부분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제1 부재(111),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상기 제1 부재(111)의 하측 좌우에서 연장되고, 작업자의 옆구리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8 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제5 부재(115) 및
    상기 제5 부재(115)에서 작업자의 하체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고, 작업자의 엉덩이, 허벅지 또는 무릎을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9 홀(29)이 형성되어 있는 제6 부재(116)를 포함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5. 제1항에서,
    상기 덧댐부재(10)는
    작업자의 허리 둘레를 따라 가로로 배치되는 제7 부재(117),
    상기 제7 부재(117)의 상부로 연결되는 제8 부재(118) 및
    상기 제8 부재(118)의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작업자의 목덜미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13 홀(43)이 형성되어 있는 제9 부재(119)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부재(117) 내지 제9 부재(119)를 상기 방호복에 부착하는 재봉 라인 중 일부 구간(L1, L2, L3)은, 상기 방호복을 구성하는 옷감패턴들의 재봉 라인과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6. 제1항에서,
    상기 덧댐부재(10)의 가장자리는 재봉질로 상기 방호복(100)에 부착되며,
    재봉질이 이루어진 부분에는 방호용 코팅(12)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7. 제1항에서,
    상기 냉기주입부재(30)가 부착되는 상기 방호복(100)의 결합홀(102)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주름(1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8. 제1항에서,
    상기 냉기주입부재(30)는
    상기 방호복을 관통하는 결합홀(102)의 전후로 결합되는 파지구(33)와,
    상기 파지구와 연결되며 냉기를 제공하는 튜브를 파지하는 원터치 피팅부재(34)를 포함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9. 제1항에서,
    상기 방호복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 밸브(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1020190113444A 2019-09-16 2019-09-16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10237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44A KR102378439B1 (ko) 2019-09-16 2019-09-16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44A KR102378439B1 (ko) 2019-09-16 2019-09-16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14A true KR20210032114A (ko) 2021-03-24
KR102378439B1 KR102378439B1 (ko) 2022-03-24

Family

ID=7525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44A KR102378439B1 (ko) 2019-09-16 2019-09-16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928B1 (ko) * 2021-01-14 2022-01-21 주식회사 트윈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CN114738875A (zh) * 2022-05-13 2022-07-12 浙江理工大学 一种太阳能冷暖空调防护衣
KR102504281B1 (ko) * 2022-09-17 2023-02-28 오동석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17Y1 (ko) * 2005-04-01 2005-08-24 이봉혜 에어 조끼
KR20090080029A (ko) 2009-07-01 2009-07-23 배봉욱 쿨 조끼 의복의 쿨링방법.
KR20130005757U (ko) * 2012-03-26 2013-10-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형 냉풍 조끼
KR20170105906A (ko)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쿨링 재킷
KR101911024B1 (ko) 2018-05-03 2018-10-24 정춘식 쿨링 조끼
KR101981941B1 (ko) * 2019-01-23 2019-05-24 박태욱 냉풍벨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17Y1 (ko) * 2005-04-01 2005-08-24 이봉혜 에어 조끼
KR20090080029A (ko) 2009-07-01 2009-07-23 배봉욱 쿨 조끼 의복의 쿨링방법.
KR20130005757U (ko) * 2012-03-26 2013-10-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형 냉풍 조끼
KR20170105906A (ko)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쿨링 재킷
KR101911024B1 (ko) 2018-05-03 2018-10-24 정춘식 쿨링 조끼
KR101981941B1 (ko) * 2019-01-23 2019-05-24 박태욱 냉풍벨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928B1 (ko) * 2021-01-14 2022-01-21 주식회사 트윈 전기 제어 기반의 에어 순환 방진복
CN114738875A (zh) * 2022-05-13 2022-07-12 浙江理工大学 一种太阳能冷暖空调防护衣
CN114738875B (zh) * 2022-05-13 2023-11-24 浙江理工大学 一种太阳能冷暖空调防护衣
KR102504281B1 (ko) * 2022-09-17 2023-02-28 오동석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439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569B1 (en) Face mask
US4194247A (en) Wearable ventilation system
US10195468B2 (en) Garment
KR102378439B1 (ko)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WO2006098429A1 (ja) 空調衣服
JPWO2002067708A1 (ja) 冷却衣服
WO1998025486A2 (en) Sleeve, gown assembly, gown cuff assembly, and gown and air shower assembly
JP2006307354A (ja) 空調衣服
US20190313715A1 (en) Protective Garment and Garment System
JP2024028932A (ja) ハーネスアクセスを有する改良された防護服
JP2017014644A (ja) 空調服
JP2024096336A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US9510630B2 (en) Disposable underarm perspiration pad
JP7448980B2 (ja) 空調服
CN210929761U (zh) 一种疾控防护专用服
JP4024391B2 (ja) 耐熱防護服
JP5572312B2 (ja) 上着及びフード
JP7429028B2 (ja) 電動ファン付き衣服
GB2078491A (en) Protective garments
KR20210000682U (ko)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
KR200292264Y1 (ko) 등부에 환기부가 형성된 방염 작업복
JP3125433U (ja) 使い捨て作業着
RU47631U1 (ru) Морской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KR200455486Y1 (ko) 방제복
CN215273724U (zh) 一种新型的儿童洗胃约束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