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927A - Seatbelt release device - Google Patents
Seatbelt releas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8927A KR20210028927A KR1020190110082A KR20190110082A KR20210028927A KR 20210028927 A KR20210028927 A KR 20210028927A KR 1020190110082 A KR1020190110082 A KR 1020190110082A KR 20190110082 A KR20190110082 A KR 20190110082A KR 20210028927 A KR20210028927 A KR 20210028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mpact
- main board
- vehicle
- seat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automatic actu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특정 충격 이상 감지 시 자동으로 해제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unwinding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unwinding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a specific shock abnormality is detected on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벨트는 운행 중에 탑승자의 상체를 시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착용되며,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튕겨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이다.In general, a seat belt installed in a vehicle is worn to fix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to the seat during operation, and the occupant prevents the occupant from being bounc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y inertia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y wearing the seat belt. It is a device for your safety.
그러나, 차량 충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는 부상을 당하거나, 의식을 잃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여 탑승자 스스로 안전벨트를 풀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 2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a vehicle crash accident occurs, the occupant is injured or lost consciousness, and the occupant is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unfasten the seat belt by himself, and a secondary safety accident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충돌 등에 따른 충격이 발생한 경우 충격 신호를 감지하여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belt loosening device in which the seat 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detecting an impact signal when an impact due to a collision or the like occurs in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는: 차량좌석에 장착되는 안전벨트 케이스;상기 안전벨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버클부; 차량내부에 장착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버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텅부; 상기 버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텅부와 상기 버클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해제버튼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및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텅부와 상기 버클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해제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A seat belt relea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case mounted on a vehicle seat; a buckle portion coupled to the seat belt case; A belt unit mounted inside the vehicle; A tongue portion coupled to the belt portion, adjustable length,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le portion; A release button portion installed on the buckle portion and releas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ongue portion and the buckle portion; 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the impact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release button unit so that the coupling of the tongue unit and the buckle unit is released when an impac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mpact sensor.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해제버튼부를 해제작동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release button unit through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와이어;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권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a motor; A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And a wire;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o be wound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를 전송받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릴레이스위치; 및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충격 발생 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main board receiving an impact signal from the impact sensor; A relay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And a buzzer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an impact occurs.
본 발명에서, 상기 릴레이스위치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설정시간 후,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switch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and, after a set time, in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차량의 에어백 작동신호를 감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sensor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or an airbag operation signal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벨트 풀림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의식을 잃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여 탑승자 스스로 안전벨트를 풀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 2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경우,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탑승자로부터 해제되어,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을 도울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unwinding device is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occupant to unfasten the seat belt by himself due to the occurrence of injuries or loss of consciousness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a secondary safety accident may occur. , The seat belt is automatically released from the occupant, which can help the occupant to escape saf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벨트 풀림장치는 충돌 사고를 감지했을 때, 즉시 해제 되지 않는다. 안전벨트 풀림장치의 릴레이스위치는 충격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시간 이후, 안전벨트 풀림장치가 작동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차량 충돌사고 동안의 충격을 안전벨트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뒤에 안전벨트가 해제되어,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을 돕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release device is not released immediately when a collision accident is detected. The relay switch of the seat belt release device receives an impact detection signal and sets the seat belt release device to operate after a set time. Therefore, the seat belt is released after allowing the seat belt to absorb the impact during a vehicle collision accident, thereby preventing a secondary safety accident and helping the occupant to escape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작동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안전벨트 풀림장치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eat belt loosening device,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작동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part according to an exampl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ck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eat belt loos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풀림장치(1)는 버클부(3), 충격감지센서(10), 제어부(20) 및 구동부(3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eat
안전벨트 케이스(2)는 차량좌석의 측면 하부에 장착된다. 안전벨트 케이스(2)의 상부에는 벨트부(5)의 텅부(4)와 결합되는 버클부(3)가 결합된다. 차량좌석의 측면 하부에 안전벨트 케이스(2)와 버클부(3)가 설치됨으로써, 차량내부의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벨트부(5)의 텅부(4)와 안전벨트 케이스(2)의 버클부(3)가 결합할 수 있다.The
안전벨트 케이스(2)는 와이어(34)를 보호한다. 와이어(34)가 안전벨트 케이스(2)로 보호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이 되어있을 경우, 와이어(34)가 꼬이거나, 외부와 접촉 또는 간섭이 되어 와이어(34)가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 케이스(2)로 와이어(34)를 보호하여 와이어(34)의 손상 및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t belt case (2) protects the wire (34). When the
안전벨트 케이스(2)는 제어부(20)를 보호한다. 제어부(20)는 충격감지신호를 전송받는 메인보드(21), 메인보드로(21)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부저(22), 메인보드(21)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릴레이스위치(23)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안전벨트 풀림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0)를 안전벨트 케이스(2)로 보호할 수 있다.The
충격감지센서(10)는 안전벨트 풀림장치(1)의 제어부(20)에 설치되는 메인보드(21)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충격감지센서(10)는 차량의 충격, 기울기, 진동, 에어백 작동 등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10)는 차량의 좌석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 등의 사고 시 차량 좌석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감지센서(10)는 차량의 에어백의 작동부와 연결되어 에어백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10)가 약한 충격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면, 안전벨트 풀림장치(1)가 차량 충돌사고가 아닐 때에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충돌감지센서(10)의 민감도(Sensitivity)를 조정하여 차량 충돌 사고와 같은 큰 충격을 받을 때에만 작동되도록 한다.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버클부(3)는 벨트부(5)의 텅부(4)와 결합된다. 벨트부(5)의 텅부(4)를 버클부(3)로부터 해제를 하려면, 버클부(3)의 해제버튼부(6)를 눌러서 벨트부(5)의 텅부(4)를 버클부(3)로부터 해제작동을 할 수 있다. 3 and 4, the
버클부(3)는 내부에 해제버튼부(6), 해제버튼부 노브(knob)(7), 스프링(8) 등을 포함한다. 해제버튼부 노브(7)의 내측에 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3)는 벨트부(5)의 텅부(4)에 형성된 텅부(4)의 텅부홀(9)과 결합하는 후크체결구(미도시)를 포함한다. 후크체결구(미도시)는 스프링(8)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벨트부(5)의 텅부(4)를 버클부(3)에 삽입한다. The
벨트부(5)의 텅부(4)와 후크체결구(미도시)의 결합은 텅부(4)가 버클부(3)내로 삽입이 되고 후크체결구(미도시)가 벨트부(5)의 텅부(4)에 형성된 텅부홀(9)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해제버튼부(6)의 누름방향으로 스프링(8)이 압축되었을 경우, 누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8)은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The
해제버튼부(6)의 하단부에는 노브(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제버튼부 노브(7)와 구동부(30)의 회전축(33)은 와이어(34)로 연결되어 있다. 해제버튼부 노브(7)에 연결된 와이어(34)가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30)의 회전축(33)이 회전작동하면, 구동부(30)측으로 감겨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해제버튼부 노브(7)는 해제버튼부(6)의 누름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해제버튼부 노브(7)가 해제버튼(6)의 누름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후크체결구(미도시)를 당기게 되어 후크체결구(미도시)가 텅부홀(9)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버클부(3)와 벨트부(5)의 텅부(4)간 결합이 해제된다.A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의 내부에는 충격감지센서(10)의 신호를 전달받는 메인보드(21)와 메인보드(21)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22), 메인보드(21)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설정시간 이후에 작동신호를 구동부(30)에 전송하는 릴레이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nside of the
메인보드(21)는 충격감지센서(10)와 부저(22) 및 릴레이스위치(23)를 연결하는 허브(Hub)의 역할을 한다. 메인보드(21)에 충격감지센서(10)로부터 충격, 기울기, 진동, 에어백 작동 등의 충격신호가 전송되면, 부저(21) 또는 릴레이스위치(23)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The
메인보드(21)에 차량 충돌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여 입력한다. 알고리즘은 충격감지센서(10)에 측정되는 차량의 충격값이 설정 값 이상일 경우에만 메인보드(21)가 부저(22) 및 릴레이스위치(23)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도록 프로그래밍한다. 또한 릴레이스위치(23)가 설정시간 이후에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한다. 또한 부저(22)는 차량 충돌신호를 기어박스(20)의 메인보드(2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고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탑승자와 차량 주변에 차량 충돌사고를 알리는 기능을 한다. 탑승자가 정신을 잃는 등의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 경보음이 발생됨으로써, 탑승자가 사고차량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정신을 차리게하는 효과가 있다.An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collision has occurred is programmed and input to the
릴레이스위치(23)는 전기회로에서 회로를 두 개로 나누어 한쪽에서 신호를 만들고 그 신호에 따라 다른쪽 회로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을 필요가 있을 경우 릴레이스위치(23)를 설치하여 회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릴레이스위치(23)는 제어부(20)의 메인보드(21)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설정시간 이후에 작동신호를 구동부(30)에 전송한다.The
릴레이스위치(23)는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메인보드(21)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메인보드(21)에 입력된 설정시간 후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사고 이후, 릴레이스위치(23)는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즉시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부(30)가 작동되지 않고 메인보드(21)의 설정시간 후에 안전벨트 풀림장치(1)가 작동된다. 안전벨트 풀림장치(1)가 바로 작동될 경우, 벨트부(5)가 차량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시간이 부족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탑승자는 부상을 입을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전벨트 풀림장치(1)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벨트부(5)가 설정시간동안 흡수한 뒤에 해제작동되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벨트부(5)는 탄성(Elastic)력이 큰 재질로 제작되어야한다.The
제어부(20)의 메인보드(21)와 연결된 릴레이스위치(23)는 설정시간 이후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전달한다.The
도6을 참조하면, 구동부(30)는 모터(31)와 모터의 주축(32) 및 모터의 회전축(33)으로 구성된다. 구동부(30)의 주축(32)에는 톱니기어가 있고, 이 톱니기어를 웜 휠(Worm wheel)이라고 한다. 모터(31)는 모터의 주축(32)과 직교 결합하여 작동하는 회전축(33)이 포함되어 있다. 구동부(30)의 회전축(33)은 웜 휠(Worm wheel)과 맞물려지는 톱니인 웜(Worm)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 주축(32)의 웜 휠(Worm wheel)과 회전축(33)의 웜(Worm)이 맞물려 작동됨으로써, 모터 주축(32)의 동력이 모터 주축(32)과 직교 결합하는 회전축(33)에 전달되어 회전축(33)이 작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riving unit 30 is composed of a
구동부(30)의 회전축(33)에는 와이어(3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34)의 타측은 해제버튼부의 노브(7)와 연결 되어 있다. 구동부(30)에 릴레이스위치(23)로부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모터(31)의 주축(32)이 회전 작동한다. 모터 주축(32)의 동력은 모터 주축(32)과 직교 결합한 회전축(33)에 전달된다. 회전축(32)이 회전운동함으로써, 회전축(33)에 연결된 와이어(34)를 구동부(30)측으로 감아서 당긴다. 와이어(34)가 구동부(30)측으로 권취되면서 버클부(3)의 해제버튼부(6)를 누름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따라서, 벨트부(5)의 텅부(4)가 버클부(3)로부터 결합해제된다.One side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안전벨트 풀림장치(1)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작동순서도이다. 먼저 차량에 충격 또는 에어백 작동신호 등이 안전벨트 풀림장치(1)의 충격감지센서(10)에 감지 또는 전달된다(S110). 충격감지센서(10)는 제어부(20)의 메인보드(21)에 충격신호를 전송한다(S120). 충격감지센서(10)가 설정 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때, 부저(22) 및 릴레이스위치(23)가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메인보드(21)에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한다. 충격감지센서(10)가 설정 값 미만의 충격을 감지하면, 메인보드에(21)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S210). 메인보드(21)에 충격감지센서(10)의 설정 값 이상의 충격신호가 전달되면(S130), 메인보드(21)는 부저(22)에 작동신호를 입력한다(S140). 부저(22)는 즉시 차량 충돌 상황을 탑승자와 주변에 알리기 위하여 경보음을 발생한다(S150). 또한, 메인보드(21)는 릴레이스위치(23)에 작동신호를 입력한다(S140). 메인보드(21)에는 릴레이스위치(23)가 설정시간 경과 후 작동되도록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S160). 릴레이스위치(23)는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된 메인보드(21)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메인보드(21)에 입력된 설정시간 경과 후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한다(S170). 릴레이스위치(23)는 설정시간 경과 전에는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즉시 전송하지 않는다(S220). Referring to FIG. 7, it is an operation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seat
제어부(20)의 메인보드(21)와 연결된 릴레이스위치(23)는 설정시간 경과 후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전달한다(S170). 구동부(30)의 회전축(33)은 와이어(3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34)의 타측은 해제버튼부 노브(7)와 연결되어 있다. 릴레이스위치(23)의 작동신호가 구동부(30)에 입력되면 구동부(30)의 모터(31)가 작동하고(S180) 회전축(33)이 감겨서 구동부(30)측으로 와이어(34)를 권취한다(S190). 따라서, 해제버튼부 노브(7)가 해제버튼부(6)의 누름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버클부(3)와 텅부(4)의 결합이 해제되어 안전벨트 풀림장치(1)의 해제작동이 완료된다(S200). The
안전벨트 풀림장치(1)가 작동함으로써, 충돌 등의 차량 사고 시 차량 탑승자는 부저(22)의 경보음을 듣고, 정신을 차릴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경황이 없어 안전벨트를 풀기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 탑승자가 안전하게 사고차량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By operating the seat belt release device (1),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the vehicle occupant can listen to the alarm sound of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 안전벨트 풀림장치
2: 안전벨트 케이스
3: 버클부
4: 텅부
5: 벨트부
6: 해제버튼부
7: 해제버튼부 노브
8: 스프링
9: 텅부홀
10: 충격감지센서
20: 제어부
21: 메인보드
22: 부저
23: 릴레이스위치
30: 구동부
31: 모터
32: 모터 주축
33: 회전축
34: 와이어
1: Seat belt release device 2: Seat belt case
3: Buckle part 4: Tongue part
5: Belt part 6: Release button part
7: release button knob 8: spring
9: tongue hole 10: shock sensor
20: control unit 21: main board
22: buzzer 23: relay switch
30: drive unit 31: motor
32: motor main shaft 33: rotating shaft
34: wire
Claims (7)
상기 안전벨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버클부;
차량내부에 장착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버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텅부;
상기 버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텅부와 상기 버클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해제버튼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및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텅부와 상기 버클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해제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
A seat belt case mounted on a vehicle seat;
A buckle part coupled to the seat belt case;
A belt unit mounted inside the vehicle;
A tongue portion coupled to the belt portion, adjustable in length,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le portion;
A release button part installed on the buckle part and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tongue part and the buckle part;
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the impact of the vehicle; And
And a control unit operating the release button unit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tongue unit and the buckle unit when an impac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mpact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해제버튼부를 해제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release button unit through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해제버튼부가 눌러지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권취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motor;
A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And
And a wir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wound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so that the release button portion is pres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를 전송받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릴레이스위치; 및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충격 발생 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 main board receiving an impact signal from the impact sensor;
A relay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And
And a buzzer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an impact occurs.
상기 릴레이스위치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설정시간 후,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elay switch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and, after a set time, in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driving unit.
상기 릴레이스위치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고, 설정시간 후,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elay switch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board and, after a set time, in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driving unit.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차량의 에어백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풀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hock sensor is a seat belt relea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or an airbag operation signal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082A KR20210028927A (en) | 2019-09-05 | 2019-09-05 | Seatbelt releas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082A KR20210028927A (en) | 2019-09-05 | 2019-09-05 | Seatbelt releas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8927A true KR20210028927A (en) | 2021-03-15 |
Family
ID=7513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082A KR20210028927A (en) | 2019-09-05 | 2019-09-05 | Seatbelt releas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2892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9717A (en) | 2022-03-02 | 2023-09-11 | 주식회사 마바산업 | Seat belt |
-
2019
- 2019-09-05 KR KR1020190110082A patent/KR20210028927A/en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9717A (en) | 2022-03-02 | 2023-09-11 | 주식회사 마바산업 | Seat bel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177830B (en) | Child safety seat with alarm system | |
EP0718159A1 (en) | Air bag apparatus for a passenger seat | |
US3845836A (en) | Safety device for vehicles | |
US9009932B2 (en) | Buckle for preventing inertial de-buckling | |
GB2236419A (en) | Vehicle safety arrangement | |
WO2007115301A3 (en) | Harness tension sensor and crash occurrence sensor | |
KR20210028927A (en) | Seatbelt release device | |
US10239486B2 (en) | Intelligent retractor having noise removal unit | |
US5123498A (en) | Apparatus for the automatic release of a motor-vehicle safety belt after a collision | |
US20170341624A1 (en) | Intelligent retractor having mode changing lever | |
CN109177917A (en) | A kind of automobile three-point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 |
US5072968A (en) | Seat belt system with tensionless function and acceleration sensor | |
JP5613406B2 (en) | Seat belt control device and seat belt system | |
KR101264107B1 (en) | Retractor and seat belt therewith | |
KR101200779B1 (en) | Retractor and seat belt therewith | |
KR101211107B1 (en) | A seat belt for controlling a webbing winding motor by an occupant's volume | |
JP2002211352A (en) | Pretensioner device | |
JPH06156185A (en) | Occupant restricting device for vehicle | |
JPS601054A (en) | Winder for seat belt | |
KR102322384B1 (en) | Electronic Retractor System and Electronic Retractor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KR0177427B1 (en) | Seat belt shock absorber of vehicle | |
WO2016136587A1 (en) | Webbing rewinding device | |
KR101298470B1 (en) | Retractor and seat belt therewith | |
KR101200777B1 (en) | Retractor and seat belt therewith | |
JP3163599B2 (en) | Car seat belt stru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