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26717A -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17A
KR20210026717A KR1020190107906A KR20190107906A KR20210026717A KR 20210026717 A KR20210026717 A KR 20210026717A KR 1020190107906 A KR1020190107906 A KR 1020190107906A KR 20190107906 A KR20190107906 A KR 20190107906A KR 20210026717 A KR20210026717 A KR 2021002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foreign matter
grating
support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훈
Original Assignee
김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훈 filed Critical 김장훈
Priority to KR102019010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717A/ko
Publication of KR2021002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 장치는 유입수의 배출 경로를 이분화하여 신속히 유수를 배출하고 이물질은 하부의 이물질 수거함에 모이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수거한다. 배수 장치와 이물질 수거함은 걸림 결합 방식으로 편리하게 조립되고 분리된다. 이물질 수거함의 하면에 가는 메쉬 구조의 철망 또는 미세공을 천공하거나 방충망을 설치하여 배수 구조를 설치하여 벌레의 유충이 서식할 수 없는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Hybrid type debris collecting device attached to Grating}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물질의 분리 배출이 효율적이며, 그레이팅으로의 장착과 그레이팅으로부터의 해제가 용이한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측구에는 도로 노면으로 떨어진 빗물을 배수하기 위해 도로 측구 빗물받이가 설치된다. 도로 측구 빗물받이는 쇠창살 구조로 이루어져서 뚜껑 기능을 하는 그레이팅과, 이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을 배수관을 통해 하수도를 경유하여 배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 도로 빗물받이는 그레이팅의 격자 간격이 크기 때문에 빗물과 함께 유하되는 도로의 각종 쓰레기, 낙엽 및 토사 등의 오염물을 거르지 못하고 통과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빗물받이 내에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어 빗물받이를 막히게 하여 도로침수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빗물받이를 통해 하수관거에 퇴적되어 하수관거 통수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오염원 제거를 위해 그레이팅과 집수정 사이에 필터 또는 정화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물질을 정화한 후 집수정으로 유입시키는 기술도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71050호는 우수를 수질적으로 정화한 후 우수계통으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가진 이온화 여과포와 이온화 여과포를 거치하는 빗물받이 내부의 조립식 상자형 유니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이물질의 정화에는 도움이 되지만, 배수구가 막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460호는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 박스 구조로서, 거름망의 두 측면은 와이어 메쉬 수조로 형성하고, 나머지 두 측면은 타공관으로 형성하며, 상부의 테두리에 플랜지를 두르고 플랜지의 위에 손잡이를 설치한 집수 박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와이머 메쉬와 타공관으로 벽을 달리 설치하는 효용이 높지 않으며, 손잡이가 상부 테두리 4면에 걸쳐 설치되므로, 전체적으로 제작과 조립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제1730160호는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맨홀 본체 안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 및 쓰레기를 걸러낼 수 있도록 그레이팅의 하부에 이물질 수거박스를 설치하고, 이물질 수거박스에 맨홀 본체의 만수(滿水)시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박스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 이탈방지 유닛을 설치한 이물질 이탈 방지용 맨홀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맨홀 본체의 만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이물질 이탈 방지 유닛이 기능하며, 이물질 이탈 방지 유닛이 부유체를 구비해야 하므로 고가이고 제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81280호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닥면(10a'); 바닥면에서 수직 연장하며, 한 측벽은 힌지부(13')에 연결되고 타 측벽은 고리(11c')와 결속하는 체결수단을 갖도록 된, 한 쌍의 수직 측벽(10b'); 측벽에서 외부로 절곡되어 콘크리트 지반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상면으로 이루어진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배수홀(10e')을 구비한 이물질 수거 장치(10')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이물질 제거장치(10')의 전체면과 상부 통로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우수를 통과시키므로 우수의 배출량이 작고 이물질 제거 장치(10')의 이동과 분리가 번잡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우수의 유출과 배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이물질을 확실히 걸러내며, 설치, 이동 및 분리 작업이 편리한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의 이물질 수거함과 상부의 배수 장치가 결합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로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은: 이물질 수거함의 양측면의 상부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물질 수거함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위로 입설된 제1지지부, 제1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부가 볼록한 연결부 및 연결부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채널(11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장치는: 배수 장치의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서 아래로 연장된 제1지지부, 제1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가 볼록한 연결부 및 연결부의 일단에서 수직 상향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채널(220)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110,220)이 걸림 결합하여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 장치를 이루도록 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물질 수거함의 측면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며, 전방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단부 사이 및 후방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이물질 수거함을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의 측면에는 회동 가능한 배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판은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물의 유입량이 클수록 외측으로 더 전개되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의 상부 코너로부터는, 위를 향하여 바깥으로 길게 연장된 로드와, 로드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걸이부로 이루어진 현가부가 설치되며, 상기 현가부의 상기 걸이부가 그레이팅과 지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상기 걸이부와 접하는 인접부위에는 평평한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그레이팅의 하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눌러짐으로써 배수 장치가 현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거함의 하면에 가는 메쉬 구조의 철망 또는 미세공을 천공하거나 방충망을 설치하여 배수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과 속도에 따라 물의 배출 경로를 이분화함으로써, 물에 부유하거나 섞인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과 별도로 이물질 수거 장치를 인양하고, 이물질 수거함과 배수 장치도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수거함에 배수 구조를 설치하여 벌레의 유충이 서식하는 것을 막아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설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수거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이물질 수거함과 배수 장치가 결합되어 그레이팅에 설치된 본 발명의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의 폭 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수거함의 다른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이물질 수거함과 배수 장치가 결합되어 그레이팅에 설치된 본 발명의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의 폭 방향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연결', '설치' 또는 '부착'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간의 직접적인 연결 또는 직접적인 설치나 부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것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한 연결, 설치 또는 부착을 포함하는 것으로 최대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10)는 이물질 수거함(100)과 배수 장치(2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수거함(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물질 수거함(100)은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02)에 의하여 규정된다. 프레임(102)은 사각형의 전면(106a) 및 후면(106b)과, 전면 및 후면(106a,106b)을 연결하는 길게 연장된 양 측면(108)을 제공한다. 전면 및 후면(106a,106b)과 각각의 측면(108)을 연결하는 4개의 수직 프레임(110a)으로부터는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4개의 지지 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전방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의 단부 사이 및 후방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의 단부 사이에는 이물질 수거함(100)을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30)가 설치된다. 이물질 수거함(100)의 상면은 그레이팅을 통과한 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물질 수거함(100)은 이물질을 모으면서도 물을 배수로로 유도하도록 전면, 후면 및 양 측면은 개방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는 메쉬 구조의 철망을 사용하거나 미세공을 천공할 수 있다. 메쉬나 미세공의 크기는, 작은 이물질도 되도록 외부로 새지 않고 물만 배수하도록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수거함(100)의 양측면(106)의 상부 외면을 따라서는 역"U"자형의 채널(110)이 형성된다. 채널(110)은 수직 프레임(110a)의 상단에서 위로 입설된 제1지지부(112), 제1지지부(1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의 연결부(116) 및 연결부(116)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하는 제2지지부(114)로 이루어진다. 채널(110)은 후술하는 배수 장치(200)의 대응하는 채널(220; 도 3 참조)과 걸림 결합된다.
이상 이물질 수거함(100)은 일례를 제시한 것이며, 크기와 형상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20)은 고정되는 것은 물론,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작해도 좋다. 또한, 채널(110)은 "┏┓"의 직선형으로 제작해도 좋다. 이물질 수거함(100)의 재질은 철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이나 두 재료의 복합형도 가능하며,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이물질 수거함(100)과 결합되는 배수 장치(20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배수 장치(200)는 긴 직사각형의 프레임(202)에 의하여 규정된다. 프레임(200)은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므로 좌측 프레임(200a)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좌측 프레임(200a)은 길게 연장된 상부 프레임(204)과, 상부 프레임(204)의 양단에서 수직 하향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206)을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프레임(206)의 하단을 따라서는"U"자형의 채널(220)이 형성된다. 채널(220)은 측면 프레임(206)의 하단에서 아래로 연장된 제1지지부(222), 제1지지부(22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가 볼록한 아치형의 연결부(224) 및 연결부(224)의 일단에서 수직 상향하는 제2지지부(226)로 이루어진다. 채널(220)은 "┗┛"의 직선형으로 제작해도 좋다.
배수장치(200)의 좌측 프레임(200a)의 측면은 회동 가능한 배수판(208)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배수판(28)의 상부와 상부프레임(204)에 걸쳐 소정 간격으로 힌지(210)가 설치되어 배수판(208)은 힌지(210)를 기준으로 도시한 폐쇄 위치에서 바깥으로 회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배수판(208)의 안쪽으로 물이 들어와 부딪힐 때 그 압력으로 인하여 회동되며, 회동량은 유입수의 양과 유입 속도에 비례한다. 물의 유입량이 작은 경우, 배수판(208)은 회전하지 않고 대부분의 물이 아래로 낙하하여 이물질 수거함(10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남은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또, 물의 유입량이 큰 경우, 비중이 큰 이물질은 아래로 가라 앉으려 하므로, 물과 같이 배수판(208)을 통해 측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이물질 수거함(100)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레이팅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과 속도에 따라 물의 배출 경로를 이분화함으로써, 물에 부유하거나 섞인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또, 상부 프레임(204)과 측면 프레임(206)이 교차하는 코너로부터는, 위를 향하여 바깥으로 길게 연장된 로드(230)와, 로드(23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걸이부(232)로 이루어진 현가부가 설치된다. 현가부는 4곳의 코너에 설치되고 각각의 걸이부(232)가 그레이팅과 걸림 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로드(230)가 걸이부(232)와 접하는 인접부위는 평평한 지지면(2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그레이팅의 자중을 수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배수장치(200)를 안정적으로 현가하기 위한 것이다.
우측 프레임(200b)은 상부에 설치된 가로대(240)에 의하여 좌측 프레임(200a)에 연결된다.
도 4는 이물질 수거함(100)과 배수 장치(200)가 결합되어 그레이팅(G)에 설치된 본 발명의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10)의 폭 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다.
두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이물질 수거함(100)의 채널(110)의 제2지지부(114)가 채널(220)의 연결부(224)에 수용되고, 배수 장치(200)의 채널(220)의 제2지지부(226)가 채널(110)의 연결부(116)에 수용됨으로써, 이물질 수거함(100)과 배수 장치(200)가 연결된다. 그레이팅(G)으로의 설치 전, 지상에서 연결 및 조립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긴 길이를 가지는 채널(110,220)이 상호 걸림 결합되어 지하에 매설되므로 부재들이 분리될 우려가 없고, 지상으로 인양한 후에는 채널(110,220)을 분리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배수 장치(200)의 4곳의 현가부가 그레이팅(G)과 지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이물질 수거 장치(10)의 조립이 완성된다. 구체적으로, 현가부의 걸이부(232)는 그레이팅(G)이 지중과 면하는 양측면 사이의 수직 공간으로 삽입되고, 수평한 지지면(230a)이 그레이팅(G)의 하부와 도시하지 않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눌러진다. 이와 같이 육중한 그레이팅(G)이 누르는 힘으로 이물질 수거 장치(10)가 현가되어 지지되므로, 안정적으로 이물질 수거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배수 장치(200)의 상부 프레임(204)보다 높게 돌출되므로 이물질 수거 장치(10)의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하다.
우천시 유입되는 물이 소량인 경우는 그레이팅(G)과, 이물질 수거함(100)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이물질은 이물질 수거함(100)에 모인다. 물이 불어나고 유입량이 많아질수록 전술한 것과 같이 배수판(208)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증가하지만, 이물질은 낙하하여 이물질 수거함(100)에 모인다.
이물질 수거장치(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그레이팅 철거기를 이용하여 그레이팅(G)을 지면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로드(230) 또는 손잡이(130)를 파지하여 장치 전체를 지상으로 견인한 후 필요하면 이물질 수거함(100)과 배수 장치(200)를 분리하면 된다.
종래에는 그레이팅(G)의 격자 사이에 이물질 수거 장치가 삽입되어 그레이팅(G)의 인양 시, 이물질 수거 장치도 같이 인양되어 지상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고, 해체 작업도 번거로웠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그레이팅(G)과 별도로 이물질 수거 장치(10)를 인양하고, 이물질 수거함(100)과 배수 장치(200)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해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거함(1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이물질 수거함과 배수 장치가 결합되어 그레이팅에 설치된 본 발명의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의 폭 방향 단면도 이다.
제 2의 실시예가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이물질 수거함(100)의 하면(108a)을 가는 메쉬 구조의 철망을 사용하거나 또는 미세공을 천공하여 개방형으로 제작한 점이다. 이와 달리 천이나 합성 섬유 재질의 방충망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변경하는 이유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면이 폐쇄되면 물고임 현상으로 벌레의 유충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하면을 개방형으로 제작하여 화분의 배수구처럼 자연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최소한의 모래가 개방된 틈새를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이물질 수거함(100)에 쌓이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를 든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수정, 변형 및 추가가 가능하며 이들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10): 복합형 이물질 수거장치 (100): 이물질 수거함 (200): 배수 장치 (102, 202): 프레임 (110a): 수직 프레임 (130): 손잡이 (204): 상부 프레임 (110,220): 채널 (208): 배수판 (G): 그레이팅

Claims (6)

  1. 하부의 이물질 수거함과 상부의 배수 장치가 결합된,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로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은:
    이물질 수거함의 양측면의 상부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물질 수거함의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위로 입설된 제1지지부, 제1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부가 볼록한 연결부 및 연결부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채널(11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장치는:
    배수 장치의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서 아래로 연장된 제1지지부, 제1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가 볼록한 연결부 및 연결부의 일단에서 수직 상향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채널(220)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110,220)이 걸림 결합하여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 장치를 이루도록 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의 측면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며, 전방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단부 사이 및 후방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이물질 수거함을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의 측면에는 회동 가능한 배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판은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물의 유입량이 클수록 외측으로 더 전개되어 개방되는,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의 상부 코너로부터는, 위를 향하여 바깥으로 길게 연장된 로드와, 로드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걸이부로 이루어진 현가부가 설치되며, 상기 현가부의 상기 걸이부가 그레이팅과 지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기 걸이부와 접하는 인접부위에는 평평한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그레이팅의 하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눌러짐으로써 배수 장치가 현가되도록 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의 하면에 가는 메쉬 구조의 철망 또는 미세공을 천공하거나 방충망을 설치하여 배수 구조를 설치한, 복합형의 이물질 수거장치.
KR1020190107906A 2019-09-02 2019-09-02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20210026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06A KR20210026717A (ko) 2019-09-02 2019-09-02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06A KR20210026717A (ko) 2019-09-02 2019-09-02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17A true KR20210026717A (ko) 2021-03-10

Family

ID=7514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06A KR20210026717A (ko) 2019-09-02 2019-09-02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472A (zh) * 2021-07-29 2021-11-12 宝鸡市第二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海绵城市用排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472A (zh) * 2021-07-29 2021-11-12 宝鸡市第二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海绵城市用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420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4689145A (en) Dry well filtration system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US6666974B2 (en) Subgrate drain basin filter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US20040040901A1 (en) Continuous roll basin insert
KR200490374Y1 (ko) 교량용 집수구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US20050247612A1 (en) Silt and debris filtering system for storm drains
US20120074048A1 (en) Silt and debris filtering system for storm drains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130049310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1907012B1 (ko)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JP7001830B2 (ja) 雨水ます
KR101948479B1 (ko) 도로용 빗물 배수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