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10705A -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705A
KR20210010705A KR1020190086482A KR20190086482A KR20210010705A KR 20210010705 A KR20210010705 A KR 20210010705A KR 1020190086482 A KR1020190086482 A KR 1020190086482A KR 20190086482 A KR20190086482 A KR 20190086482A KR 20210010705 A KR20210010705 A KR 2021001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mission part
transmission
area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광
고민석
서갑종
양용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705A/ko
Priority to US16/894,548 priority patent/US11282901B2/en
Publication of KR2021001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0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2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제1 투과부 및 제1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층, 상기 제1 제어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2 투과부 및 제2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2 제어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3 투과부 및 제3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3 제어층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아래에 배치되며 생체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문을 센싱하는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등 사용자와 유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의 표시 장치들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지문 인식 방식으로는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광 센서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 방식, 압전체 등을 활용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들에 있어서, 지문 감지를 위한 감지 유닛은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문 인식률이 향상된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제1 투과부 및 제1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층, 상기 제1 제어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2 투과부 및 제2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2 제어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3 투과부 및 제3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3 제어층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아래에 배치되며 생체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2 투과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투과부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흡광부와 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투과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3 투과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2 투과부의 다른 일부부은 상기 제3 흡광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층, 상기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3 제어층의 두께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층의 제1 두께, 상기 제2 제어층의 제2 두께, 및 상기 제3 제어층의 제3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3 두께보다 클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제1 면적, 상기 제2 투과부의 제2 면적, 및 상기 제3 투과부의 제3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와 상기 제2 투과부가 중첩하는 영역의 제1 중첩 면적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가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중첩 면접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와 상기 제2 투과부가 중첩하는 영역의 제1 중첩 면적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가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중첩 면접보다 클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투과부와 상기 제2 투과부가 중첩하는 영역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감지층 및 상기 제어부 각각은 상기 액티브 영역의 전체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층 위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제어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보호층 위에 직접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층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유닛은 생체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층, 및 상기 감지층 위에 배치되며 적어도 3 개 이상의 제어층들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층들 각각은 투과부들 및 상기 투과부들을 에워싸는 흡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제어층, 상기 제1 제어층과 상기 감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2 제어층과 상기 감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층은 제1 투과부 및 제1 흡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층은 제2 투과부 및 제2 흡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층은 제3 투과부 및 제3 흡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2 흡광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제3 투과부 및 상기 제3 흡광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가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 각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첩 면적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 각각의 최대 폭들보다 작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제1 면적, 상기 제2 투과부의 제2 면적, 및 상기 제3 투과부의 제3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지문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이 모두 중첩하는 영역을 통해 입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쉬프트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이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은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 각각의 면적보다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감지층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감소되어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적층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적층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도 8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F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창 및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F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으며, 윈도우(WP)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는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표시 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지문(FPA)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FS)에는 지문 감지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문 감지 영역은 투과 영역(TA)의 모든 영역에 제공되거나, 투과 영역(TA)의 일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윈도우(WP), 반사 방지 패널(RPP), 표시 모듈(DM), 및 하우징(HU)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WP)와 하우징(HU)은 결합되어 표시 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한다.
윈도우(WP)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P)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P)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P)의 전면(FS)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정의한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약 90%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한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모듈(DM)의 주변 영역(NAA)을 커버하여 주변 영역(NA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P)에 있어서, 베젤 영역(BZA)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패널(RPP)은 윈도우(W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RPP)은 윈도우(WP)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 패널(RPP)의 생략될 수도 있으며, 표시 모듈(DM)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표시 모듈(DM)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을 감지하며, 사용자의 지문(FPA)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을 포함하는 전면(IS)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적어도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한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액티브 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과 외부 입력이 감지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NAA)에는 액티브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DC)는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회로(DC)는 메인 회로 기판(MB), 제1 회로 기판(CF1), 및 제2 회로 기판(CF2)을 포함한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표시 모듈(DM)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CF1)과 제2 회로 기판(CF2)은 메인 회로 기판(MB) 및 표시 모듈(DM)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메인 회로 기판(MB)을 통해 표시 모듈(DM)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회로 기판(MB)은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회로 기판(CF1) 및 제2 회로 기판(CF2) 각각은 연성 회로 필름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CF1) 및 제2 회로 기판(CF2) 각각에는 구동 칩(미도시)이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회로 기판(CF1) 및 제2 회로 기판(CF2)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모듈(DM)은 메인 회로 기판(MB)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구동 칩은 표시 모듈(DM)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하우징(HU)은 윈도우(WP)와 결합된다. 하우징(HU)은 윈도우(WP)와 결합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표시 모듈(DM)은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HU)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HU)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U)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표시 장치(DD)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U) 사이에는 표시 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적층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입력 감지층(ISL), 표시 패널(DP), 및 감지 유닛(SU)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유닛(SU)은 사용자의 지문(FPA, 도 1 참조)을 감지하는 층일 수 있다.
감지 유닛(SU)은 베이스층(FBL), 감지층(FSL), 제어부(CP), 및 보호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FBL)은 폴리이미드층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 든 것일 뿐 베이스층(FBL)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층(FSL)은 베이스층(FB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층(FSL)은 생체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 인증 정보는 지문일 수 있다. 감지층(FSL)은 사용자의 지문으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 소자는 포토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어부(CP)는 감지층(FS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CP)는 감지층(FSL)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P)는 적어도 3 개 이상의 제어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보호층(PL)은 제어부(CP)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L)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L)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일 수 있다. 보호층(PL)은 제어부(CP)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PL)은 감지 유닛(SU)의 상면에 평탄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감지 유닛(SU)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제공하는 층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액티브 영역(AA, 도 2 참조)은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 도 2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 유닛(SU)은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 도 2 참조)의 전체와 중첩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문 감지 영역은 투과 영역(TA, 도 1 참조)의 모든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감지 유닛(SU)은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 도 2 참조)의 일부와 중첩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회로층(ML), 발광층(EML), 봉지층(ECL)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ML)은 트랜지스터들, 커패시터들, 및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로층(ML)은 보호층(PL)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유닛(SU)과 표시 패널(DP)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회로층(M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광을 발생하는 층일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키거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인 경우, 발광층(EML)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발광층(EML)은 퀀텀닷 또는 퀀텀 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CL)은 발광층(EM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E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ECL)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은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발광층(EML)을 보호하고, 상기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층(EML)을 보호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L)은 표시 패널(DP)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L)은 외부 입력을 감지하여 외부 입력의 위치나 세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부 입력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 감지층(ISL)은 윈도우(WP, 도 2 참조)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윈도우(WP)에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입력 감지층(ISL)은 표시 패널(DP)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층(ISL)과 표시 패널(DP)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감지층(ISL)은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 감지층(ISL)과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적층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에서는 도 3a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중복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a)은 입력 감지층(ISL), 표시 패널(DPa), 및 감지 유닛(SU)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a)은 베이스층(DBL), 회로층(ML), 발광층(EML), 봉지층(ECL)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ML)은 베이스층(DB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a)은 감지 유닛(SU)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a)과 감지 유닛(SU)은 접착층(AL)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유닛(SU)의 보호층(PL)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CP)는 적어도 3 개 이상의 제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CP)는 제1 제어층(CL1), 제2 제어층(CL2), 및 제3 제어층(C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제어층들(CL1, CL2, CL3) 각각은 콜리메이터일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CP)를 구성하는 제어층들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CP)는 4 개 이상의 제어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제어층(CL1)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어층(CL1)은 표시 패널(DP)과 감지층(FS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어층(CL2)은 제1 제어층(CL1) 아래에 배치되며, 제1 제어층(CL1)과 감지층(FS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제어층(CL3)은 제2 제어층(CL2) 아래에 배치되며, 제2 제어층(CL2)과 감지층(FS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어층(CL1)의 제1 두께(TK1), 제2 제어층(CL2)의 제2 두께(TK2), 및 제3 제어층(CL3)의 제3 두께(TK3)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상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제어층(CL1)은 제1 투과부(TP1) 및 제1 흡광부(A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층(CL2)은 제2 투과부(TP2) 및 제2 흡광부(A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층(CL3)은 제3 투과부(TP3) 및 제3 흡광부(A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은 광학적 투명성을 가질 수 있고, 제1 내지 제3 흡광부들(AP1, AP2, AP3)은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1 투과부(TP1), 제2 투과부(TP2), 및 제3 투과부(TP3) 각각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로 제공된 제1 투과부들(TP1), 제2 투과부들(TP2), 및 제3 투과부들(TP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투과부(TP1)의 일부분은 제2 투과부(TP2)와 중첩하고, 제1 투과부(TP1)의 다른 일부분은 제2 흡광부(AP2)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2 투과부(TP2)의 일부분은 제3 투과부(TP3)와 중첩하고, 제2 투과부(TP2)의 다른 일부분은 제3 흡광부(AP3)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투과부(TP1)는 제2 투과부(TP2)에 대해 쉬프트되고, 제2 투과부(TP2)는 제3 투과부(TP3)에 대해 쉬프트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의 면적들은 평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의 면적들이 작아질수록, 제어부(CP)를 통과하는 광의 입사각(AG)이 작아질 수 있다. 입사각(AG)은 제어부(CP)를 통과할 수 있는 광의 최대 입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입사각(AG)이 작아질수록 지문(FPA, 도 1 참조)의 인접한 골들에서 반사된 광이 간섭될 확률이 감소되어,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의 면적을 줄이는 데는 공정상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의 면적들의 축소 없이,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여 입사각(AG)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표 1은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이 중첩하는 영역의 폭(WT)에 따라 측정된 입사각(AG)을 도시한 표이다.
폭(WT) [μm] 2 1.9 1.8 1.7 1.6 1.5 1.4 1.3 1.2 1.05 1
입사각(AG) [º] 15 14.2 13.5 12.8 12.0 11.3 10.6 9.8 9.1 8.0 7.6
표 1은 제어부(CP)의 두께가 7.5 μm일 때 폭(WT)에 따른 입사각(AG)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두께는 제1 두께(TK1), 제2 두께(TK2), 및 제3 두께(TK3)의 합일 수 있다. 폭(WT)이 감소할수록 입사각(AG)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사각(AG)은 폭(WT)이 측정된 방향과 나란한 평면에서의 최대 입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WT)이 1 μm인 경우, 입사각(AG)은 7.6도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CP)가 단일의 제어층을 포함하는 경우, 투과 영역의 폭을 감소시키는 데 공정상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P)가 2 개의 제어층들만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층(FSL, 도 3a 참조)의 일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은 감소할 수 있지만, 상기 일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은 증가하여 지문 인식률이 저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CP)가 3 개 이상의 제어층들을 포함한다. 또한, 서로 다른 제어층들에 포함된 투과부들이 일부 중첩 및 일부 비중첩하도록, 투과부들의 위치 관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어부(CP)는 감지층(FSL)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 개의 제1 투과부(TP1), 2 개의 제2 투과부(TP2), 및 2 개의 제3 투과부(TP3)가 도시되었다. 제1 투과부(TP1)와 제3 투과부(TP3)는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투과부(TP2)는 제1 투과부(TP1) 및 제3 투과부(TP3)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제1 투과부(TP1)와 제2 투과부(TP2)가 중첩하는 영역(OLA)은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이 모두 중첩하는 영역(OLA)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투과부(TP1), 제2 투과부(TP2), 및 제3 투과부(TP3) 각각의 최대 폭(WTa)은 제1 투과부(TP1), 제2 투과부(TP2), 및 제3 투과부(TP3)가 중첩하는 영역(OLA)의 최대 폭(WTb)보다 클 수 있다.
지문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이 모두 중첩하는 영역(OLA)을 통해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투과부(TP2)를 쉬프트하여, 중첩하는 영역(OLA)의 면적을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 각각의 면적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지층(FSL, 도 3a 참조)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감소되어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2 개의 제1 투과부(TP1a), 2 개의 제2 투과부(TP2a), 및 2 개의 제3 투과부(TP3a)가 도시되었다.
제1 투과부(TP1a)는 제2 투과부(TP2a) 및 제 3 투과부(TP3a)에 대해 쉬프트되고, 제2 투과부(TP2a)는 제1 투과부(TP1a) 및 제3 투과부(TP3a)에 대해 쉬프트되고, 제3 투과부(TP3a)는 제1 투과부(TP1a) 및 제2 투과부(TP2a)에 대해 쉬프트될 수 있다.
제1 투과부(TP1a)와 제2 투과부(TP2a)가 중첩하는 제1 중첩 영역(OLAa)은 제1 투과부(TP1a), 제2 투과부(TP2a), 및 제3 투과부(TP3a)가 모두 중첩하는 제2 중첩 영역(OLAb)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중첩 영역(OLAb)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제1 방향(DR1)뿐만 아니라, 제2 방향(DR2)에서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률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CP-1)는 제1 제어층(CL1-1), 제2 제어층(CL2-1), 및 제3 제어층(CL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층(CL1-1)은 제1 투과부(TP1-1) 및 제1 흡광부(AP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층(CL2-1)은 제2 투과부(TP2-1) 및 제2 흡광부(AP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층(CL3-1)은 제3 투과부(TP3-1) 및 제3 흡광부(AP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층(CL1-1)의 제1 두께(TK1-1), 제2 제어층(CL2-1)의 제2 두께(TK2-1), 및 제3 제어층(CL3-1)의 제3 두께(TK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두께(TK2-1)는 제1 두께(TK1-1) 및 제3 두께(TK3-1)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두께(TK2-1)는 제1 두께(TK1-1) 및 제3 두께(TK3-1)보다 클 수 있다.
제어부(CP-1)의 중간에 배치된 제2 제어층(CL2-1)의 두께를 조절하여 입사각(AG-1)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층(CL2-1)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입사각(AG-1)은 감소될 수 있다. 입사각(AG-1)이 감소됨에 따라 지문 인식률은 향상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도 8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캐리어 기판(GP)을 준비한다. 캐리어 기판(GP)은 글라스 기판일 수 있다.
캐리어 기판(GP) 위에 베이스층(FBL)을 형성한다. 캐리어 기판(GP) 위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코팅한 후 경화시켜 베이스층(FBL)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층(FBL) 위에 감지층(FSL)을 형성한다. 감지층(FSL)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수광 소자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층(FSL)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마스크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감지층(FSL) 위에 제1 층(OC)을 형성한다. 제1 층(OC)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OC)은 감광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OC) 위에 마스크층(HML)을 형성한다. 마스크층(HML)은 하드마스크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층(OC) 위에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PRP)을 형성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PRP)을 이용하여, 마스크층(HML)을 패터닝하여 제1 마스크 패턴(HM)을 형성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 마스크 패턴(HM)을 이용하여, 제1 층(OC)을 패터닝하여 제1 투과부(TPa)를 형성한다. 제1 층(OC)을 패터닝하기 위해 건식 식각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제1 투과부(TPa) 위에 제1 흡광층(APa)을 형성한다. 제1 흡광층(APa)은 유색의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광층(APa)은 광을 흡수하는 입자가 분산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광층(APa)은 카본 계열의 피그먼트가 혼합된 층일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제1 흡광층(APa)과 제1 투과부(TPa)를 연마하여 평탄화 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 제1 흡광층(APa)과 제1 투과부(TPa)를 평탄화시키기 위해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흡광층(APa)과 제1 투과부(TPa)를 평탄화하여 제3 투과부(TP3) 및 제3 흡광부(AP3)를 포함하는 제3 제어층(CL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제3 제어층(CL3) 위에 제2 층(OCa)을 형성하고, 제2 층(OCa) 위에 제2 마스크 패턴(HMa)을 형성한다.
평면 상에서 제2 마스크 패턴(HMa)이 형성된 위치는 평면 상에서 제1 마스크 패턴(HM)이 형성된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2 마스크 패턴(HMa)은 평면 상에서 제3 투과부(TP3)에 대해 쉬프트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마스크 패턴(HMa)의 일부분은 제3 투과부(TP3)와 중첩하고, 다른 일부분은 제3 흡광부(AP3)와 중첩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제2 마스크 패턴(HMa)을 이용하여 제2 층(OCa)을 패터닝한다. 패터닝된 제2 층 위에 흡광층을 형성한 후,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제2 투과부(TP2) 및 제2 흡광부(AP2)를 포함하는 제2 제어층(CL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h를 참조하면, 제2 제어층(CL2) 위에 제3 층(OCb)을 형성하고, 제3 층(OCb) 위에 제3 마스크 패턴(HMb)을 형성한다.
평면 상에서 제3 마스크 패턴(HMb)이 형성된 위치는 평면 상에서 제2 마스크 패턴(HMa)이 형성된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3 마스크 패턴(HMb)은 평면 상에서 제2 투과부(TP2)에 대해 쉬프트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마스크 패턴(HMb)의 일부분은 제2 투과부(TP2)와 중첩하고, 다른 일부분은 제2 흡광부(AP2)와 중첩할 수 있다.
도 8i를 참조하면, 제3 마스크 패턴(HMb)을 이용하여 제3 층(OCb)을 패터닝한다. 패터닝된 제3 층 위에 흡광층을 형성한 후,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제1 투과부(TP1) 및 제1 흡광부(AP1)를 포함하는 제1 제어층(CL1)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CP)에 제공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과 영역의 폭이 감소될 수록,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CP)가 단일층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투과 영역의 폭을 줄이는 데는 공정 상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CP)가 적어도 3 개 이상의 복수의 제어층들(CL1, CL2, C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제어층들(CL1, CL2, CL3)의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의 중첩 면적을 조절하여 제어부(CP)의 상기 투과 영역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 각각의 폭(WTx)이 2 μm이더라도, 상기 중첩 면적을 조절하여 제어부(CP)의 상기 투과 영역의 폭(WTy)을 2 μm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과부들(TP1, TP2, TP3) 각각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정 상의 한계 이상으로 상기 투과 영역의 폭(WTy)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지문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SU: 감지 유닛 FSL: 감지층
CP: 제어부 CL1: 제1 제어층
CL2: 제2 제어층 CL3: 제3 제어층
TP1: 제1 투과부 AP1: 제1 흡광부
TP2: 제2 투과부 AP2: 제2 흡광부
TP3: 제3 투과부 AP3: 제3 흡광부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며 제1 투과부 및 제1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층, 상기 제1 제어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2 투과부 및 제2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2 제어층 아래에 배치되며 제3 투과부 및 제3 흡광부를 포함하는 제3 제어층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아래에 배치되며 생체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2 투과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투과부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흡광부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투과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3 투과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2 투과부의 다른 일부부은 상기 제3 흡광부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층, 상기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3 제어층의 두께들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층의 제1 두께, 상기 제2 제어층의 제2 두께, 및 상기 제3 제어층의 제3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3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제1 면적, 상기 제2 투과부의 제2 면적, 및 상기 제3 투과부의 제3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와 상기 제2 투과부가 중첩하는 영역의 제1 중첩 면적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가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중첩 면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와 상기 제2 투과부가 중첩하는 영역의 제1 중첩 면적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가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중첩 면접보다 큰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투과부와 상기 제2 투과부가 중첩하는 영역의 최대 폭보다 큰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감지층 및 상기 제어부 각각은 상기 액티브 영역의 전체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층 위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제어층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보호층 위에 직접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층에 결합된 표시 장치.
  15. 생체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층; 및
    상기 감지층 위에 배치되며 적어도 3 개 이상의 제어층들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층들 각각은 투과부들 및 상기 투과부들을 에워싸는 흡광부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제어층, 상기 제1 제어층과 상기 감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제어층, 및 상기 제2 제어층과 상기 감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층은 제1 투과부 및 제1 흡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층은 제2 투과부 및 제2 흡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층은 제3 투과부 및 제3 흡광부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2 흡광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제3 투과부 및 상기 제3 흡광부와 중첩하는 감지 유닛.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가 모두 중첩하는 영역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 각각의 면적보다 작은 감지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면적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투과부, 상기 제2 투과부, 및 상기 제3 투과부 각각의 최대 폭들보다 작은 감지 유닛.
  20. 제16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투과부의 제1 면적, 상기 제2 투과부의 제2 면적, 및 상기 제3 투과부의 제3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감지 유닛.
KR1020190086482A 2019-07-17 2019-07-17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ending KR20210010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82A KR20210010705A (ko) 2019-07-17 2019-07-17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894,548 US11282901B2 (en) 2019-07-17 2020-06-05 Sensor including control layer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82A KR20210010705A (ko) 2019-07-17 2019-07-17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05A true KR20210010705A (ko) 2021-01-28

Family

ID=7423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82A Pending KR20210010705A (ko) 2019-07-17 2019-07-17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82901B2 (ko)
KR (1) KR202100107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18773A1 (en) * 2022-09-23 2024-04-11 Apple Inc. Photo-sensing enabled display for stylus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60B1 (ko) 2003-03-17 2009-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3539A (ko) * 2013-12-23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입력 감지장치 및 방법
US10460188B2 (en) * 2014-08-26 2019-10-29 Gingy Technology Inc. Bio-sensing apparatus
US10360431B2 (en) 2015-03-25 2019-07-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in hole array mask above optical image sensor and related methods
US10198650B2 (en) * 2015-12-11 2019-02-05 Gingy Technology Inc. Image capture apparatus
US10268884B2 (en) * 2016-01-29 2019-04-23 Synaptics Incorporated Optical fingerprint sensor under a display
US10388689B2 (en) * 2017-02-13 2019-08-20 Egis Technology Inc.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sens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EP3731133B8 (en) * 2019-03-12 2022-04-20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0708A1 (en) 2021-01-21
US11282901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996A (ko) 표시 장치
KR102745435B1 (ko) 표시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840464B (zh) 电子面板和包括电子面板的电子装置
US202100134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09325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2018151B (zh) 显示设备和制造显示设备的方法
US11282901B2 (en) Sensor including control layer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08238A (ko) 전자 장치
US20210368621A1 (en) Electronic device
KR20210145025A (ko) 전자 장치
KR20240015811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83915A (ko)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감지 센서 제조 방법
KR20220158162A (ko) 표시 장치
EP4492947A1 (en) Display device
US1124414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US2023040390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49366A (ko) 표시 장치
US20230289005A1 (en) Input-sensing unit,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therewith
US20230144766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control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828383B1 (ko) 표시 장치
EP4518633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50031124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40073205A (ko) 표시 장치
KR20240071433A (ko) 전자장치
KR20240170631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