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07686A -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686A
KR20210007686A KR1020190084542A KR20190084542A KR20210007686A KR 20210007686 A KR20210007686 A KR 20210007686A KR 1020190084542 A KR1020190084542 A KR 1020190084542A KR 20190084542 A KR20190084542 A KR 20190084542A KR 20210007686 A KR20210007686 A KR 2021000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uscle
extract
nakai
related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911B1 (ko
Inventor
이선희
신유경
안혜신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9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면, 근육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근기능 및 근육량을 개선시켜,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related diseases,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 or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an extract of wild edible greens as an active ingredient}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유래 소재는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오랫동안 이용되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민간에서 이용되거나 혹은 한방에서 이용되는 식물 및 생약성분을 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참취 (Aster scaber Thunb.)는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살이해 풀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 원재료에 잎 부위가 식용 가능 부위로 명시되어 있다. 키는 약 1~1.5m 이며, 산간의 들판이나 보수력이 있는 양지 또는 반그늘진 곳에 자생한다. 예로부터, 해열, 해독, 명목(明目)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복통과 골절, 타박상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벌깨덩굴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은 꿀풀과(Lamiaceae) 의 여러해살이 풀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 원재료에 잎과 순 부위가 식용 가능 부위로 명시되어 있다.  화경의 높이가 약 15~30cm이며, 주로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생한다. 예로부터, 청열해독(淸熱解毒)과 소종지통(消腫止痛)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Edgew.)는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잎 부위가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다. 키는 약 50 ~ 100 cm 가량이고 음지이며 습한 지역에서 자라며, 외상치료와 기침을 멈추게 하고 지혈제 소염제등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Nakai)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국내 울릉도 특산종이다.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잎 부위가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다. 30 ~ 100cm까지 자라며, 흰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는 흰섬초롱꽃과 짙은 자줏빛의 자주섬초롱꽃이 있다. 예로부터, 해독, 인후염과 두통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Nakai)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식물로써, 숲속 계곡의 가장자리나 습기가 많은 숲속에서 자란다.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잎 부위가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다. 약 1m의 키를 갖고 국내에서 전국적으로 자생하며 단풍나무와 닮은 잎을 갖고 있다.
골격 근육은 체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근육세포인 근섬유(myoblast)로 구성된다. 이러한 근육은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노화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고, 근육의 감소가 일어나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J. Appl. Physiol. 2003, v.95, pp. 1717-1727.). 또한 근력은 노화 및 피로, 운동부족, 각종 질병, 스트레스의 가중, 영양불균형, 술, 담배 등으로 약화 될 수 있다. 이렇게 야기된 근력의 약화는 운동수행능력이 떨어지게 하여 체력저하 및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및 근육량은 근육의 기능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산나물들의 추출물 및 성분은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 기능 개선, 운동수행능력 개선에 대한 직접적인 기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추출물이 가지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 기능 개선,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직접적인 효능 연구를 수행하였다.
Doherty TJ, Invited review: Aging and sarcopenia., J Appl Physiol, 2003, v.95, pp. 1717-1727
일 양상은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또는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또는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 또는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근육"은 중배엽의 줄기세포가 발현되는 조직을 의미할 수 있다. 근육은 골격근육, 심장근육, 내장근육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중 골격 근육은 체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근육세포인 근섬유(myoblas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근육은 심줄, 근육, 건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용어 "근기능 개선"은 특정 근육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근육생성 관련 인자를 단백질 또는 mRNA 수준으로 발현시켜 단백질 합성 및 근섬유의 형성을 유도해 골격 근육량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운동수행능력"은 근력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고, 심폐기능 개선, 에너지대사 촉진 또는 근력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근육관련 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경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syndrome),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폼페병(Pompe disease), 카나반병(Canavan disease), 근육긴장이상(dystonia), 근육퇴화증,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또는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은 전체, 뿌리, 줄기, 가지, 잎, 종자 또는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콜, 예를 들면, C1-C6 알콜, 예를 들면,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99.5 (v/v)%, 예를 들면,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v/v)%, 5 내지 25(v/v)%, 7 내지 20(v/v)%, 5 내지 25(v/v)%, 또는 10 내지 20(v/v)%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산나물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 (부피/중량)배, 3 내지 5 (부피/중량)배, 5 내지 10 (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나물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L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 시간 내지 15일, 1 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5 시간 내지 1개월, 5 시간 내지 15일, 5 시간 내지 10일, 5 시간 내지 5일, 5 시간 내지 3일, 5 시간 내지 2일, 5 시간 내지 1일, 10 시간 내지 1개월, 10 시간 내지 15일, 10 시간 내지 10일, 10 시간 내지 5일, 10 시간 내지 3일, 또는 10 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산나물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PGC1α, NRF-1, Tfam, SDH1b, CytC, Cox2, Cox4, ATG5g1, PPARα, PPARδ, UCP1, ERRα, MyoD, Myogenin 및 SIRT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추출물은 골격근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α(PPARα)의 mRNA 발현양을 증가시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PGC-1α)와 함께 peroxisomal β-oxidation을 증가시켜 근육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현이 증가된 sirtuin 1 (SIRT1)과 같이 PGC-1α 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δ (PPARδ)를 활성화 시켜, glucose의 흡수, 지방산의 산화 또는 미토콘드리아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추출물은 MyoD, 또는 Myogenin의 발현을 증가시켜, 근육 세포의 분화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MyoD는 근육 분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상기 Myogenin은 근육 세포에 특이적인 전사인자로 근육의 발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이 myogenic regulatory factor 단백질의 mRNA 발현 증가는 근육 세포의 분화 및 단백질 합성을 유도하여 근육량이 증대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추출물은 NRF-1, Tfam, CytC, Cox2, Cox4, 또는 ATG5g1의 발현을 증가시켜, 근육 세포 활성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Nuclear respiratory factor 1(NRF-1)은 세포 성장과 세포 호흡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 인자로, 이의 발현의 증가는 마이토콘드리아의 복제 등을 통한 세포의 활성화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Mitochondrial transcription factor A(Tfam)를 조절할 수 있다. Tfam은 마이토콘드리아의 전사인자로 마이토콘드리아 유전자 복제와 전사에 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itochondrial cytochrome C(CytC),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2(Cox2),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4(Cox4)의 증가는 전자 전달계의 활성화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itochondrial ATP synthase lipid-binding protein(ATG5g1)는 미토콘드리아의 ATP synthase의 한 부분으로 이들 유전자 발현의 증가로 에너지 전달체인 세포 내의 ATP함유량이 증가해 세포 내 ATP의 증가로 세포 활성이 증가함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추출물은 TSC1 또는 TSC2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TSC1 또는 TSC2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니 않는 것일 수 있다. Muscle Hypertrophy에 관여하는 인자인 Tuberous sclerosis 1 (TSC1) 과 Tuberous sclerosis 2 (TSC2)는 mTOR를 negative 하게 조절하는 GTPase-activating protein (GAP)이며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은 세포 성장과 세포 증식, 세포 생존률, 단백질 합성 및 전사를 조절하는 인산화 단백질일 수 있다. TSC1과 TSC2의 mRNA 발현양의 감소는 mTOR signaling의 활성을 의미하며 이는 세포내 단백질 합성의 증가 및 세포의 성장과 활성을 증가 시켜 근육 세포가 증가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추출물은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제형일 수 있다. 경구 제형은 정제, 과립제, 환제, 캡슐제, 액상형, 젤리, 및 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고, 비경구 제형은 피부 외용제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피부 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약제학적, 화장용, 또는 식품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화장용, 또는 식품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근 기능 강화 및 운동수행능력 증대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또는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1일 1 mg/kg/일 내지 1,OOO mg/kg/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젤, 로션 및 연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면, 근육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근기능 및 근육량을 개선시켜,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및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을 처리시 변화되는 근육 관련 유전자 발현을 qRT-PCR 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은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및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존재하에서 배양된 근육세포 파쇄물에 대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나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나물 추출물 (참취, 벌깨덩굴, 멸가치, 섬초롱꽃, 및 터리풀)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우선, 국내에서 자생하는 산나물 (참취잎, 벌깨덩굴 순 및 잎, 멸가치잎, 섬초롱꽃잎, 및 터리풀잎)을 구입하여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켰다. 그 후, 완전히 건조된 건조물을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얻은 각 분쇄물을 얻은 다음 에탄올 : 증류수를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 용매 400g 씩을 준비 한 후, 상기 분쇄물을 50g 첨가하였다. 이때, 분쇄물과 추출용매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1 : 8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물과 혼합한 추출 용매를 진탕 항온 수조에 넣어서 50 ℃, 2시간 동안 100~150rpm으로 교반하면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와트만(No 2.) 추출 용매 여과지를 사용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Heidolph, Hei-VAP) 에서 90~98℃로 감압농축 하면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각 산나물 즉, 참취, 벌깨덩굴, 멸가치, 섬초롱꽃, 및 터리풀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산나물 추출물 처리 시 근육 관련 유전자 발현의 변화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근육량 증대 및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전자전달계 관련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불멸화된 마우스 근원세포 세포주인 C2C12 세포(ATCC, USA)를 10% FBS가 첨가된 DMEM배지 (Hyclone SH30243.01)를 함유한 6-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을 각 웰에 분주하여 키웠으며, 세포가 가득차게 되면 2% horse serum이 첨가된 DMEM배지를 이용해 37℃에서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분화시켰다. 그 후, 혈청기아 상태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실시예 1에서 얻은 각 추출물 50 ug/m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얻어진 세포로부터 Trizol시약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고, cDNA synthesis kit(Bio-Rad)를 사용하여 얻어진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고,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하여 정량적 실시간-PCR (quantitative real time-PCR, qRT-PCR)을 실시하였다 (Viia7, Agilent bisystems). RT-PCR 반응은 95℃ 20초, 95℃ 3초, 72℃ 30초 조건에서 40 사이클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유전자의 발현량은 GAPDH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Gene Direction 서열번호
PGC-1α Forward 1
Reverse 2
ERRα Forward 3
Reverse 4
NRF-1 Forward 5
Reverse 6
Tfam Forward 7
Reverse 8
MyoD Forward 9
Reverse 10
Myogenin Forward 11
Reverse 12
SDH1b Forward 13
Reverse 14
CytC Forward 15
Reverse 16
COX2 Forward 17
Reverse 18
COX4 Forward 19
Reverse 20
ATP5g1 Forward 21
Reverse 22
TSC2 Forward 23
Reverse 24
PPARα Forward 25
Reverse 26
PPARδ Forward 27
Reverse 28
UCP1 Forward 29
Reverse 30
SIRT1 Forward 31
Reverse 32
GAPDH Forward 33
Reverse 34
qRT-PCR은 상기 표1에 나타낸 올리고머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PGC-1α, ERRα, NRF-1, Tfam, MyoD, Myogenin, SDH1b, CytC, COX2, COX4, ATP5g1, PPArα, PPARδ, UCP1, 및 SIRT1 유전자에 특이적인 것으로서, 이들은 근육 관련 유전자이다. 실험예에서, 참취(Aster scaber Thunb.) 추출물,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추출물,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추출물,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추출물, 및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은 각각 A, B, C, D 및 E로 표기하였다. 0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의미한다.
도 1은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및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각각의 존재하에서 근육 세포를 배양하고, 근육 관련 유전자 발현을 qRT-PCR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및 표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및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모두는 PGC1α유전자 발현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시켰다. 또한, 추출물들은 ERRα, NRF-1, Tfam, MyoD, Myogenin, SDH1b, CytC, COX2, COX4, ATP5g1, PPARα, PPARδ, UCP1, 및 SIRT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증가시켰다.
Gene 대조군 A B C D E
PGC-1α 1 15.02 ± 1.27 10.16 ± 2.58 19.96 ± 2.35 11.35 ± 1.42 14.76 ± 6.04
ERRα 1 0.76 ± 0.19 0.74 ± 0.09 0.77 ± 0.14 3.13 ± 0.22 5.03 ± 1.78
NRF-1 1 1.18 ± 0.11 0.80 ± 0.13 1.31 ± 0.18 1.03 ± 0.16 1.31 ± 0.20
Tfam 1 1.06 ± 0.12 0.71 ± 0.07 1.32 ± 0.12 1.08 ± 0.14 1.10 ± 0.20
MyoD 1 0.71 ± 0.23 1.58 ± 0.29 0.42 ± 0.14 0.41 ± 0.12 0.36 ± 0.20
Myogenin 1 0.94 ± 0.06 1.17 ± 0.15 0.71 ± 0.08 0.70 ± 0.08 0.67 ± 0.09
SDH1b 1 1.11 ± 0.12 0.53 ± 0.06 1.69 ± 0.23 0.88 ± 0.10 1.21 ± 0.13
CytC 1 1.23 ± 0.05 0.60 ± 0.04 1.93 ± 0.10 1.55 ± 0.13 1.71 ± 0.13
COX2 1 1.44 ± 0.08 0.59 ± 0.03 2.11 ± 0.21 0.98 ± 0.03 1.42 ± 0.04
COX4 1 1.19 ± 0.05 0.64 ± 0.11 1.50 ± 0.06 0.94 ± 0.02 1.07 ± 0.02
ATP5g1 1 1.81 ± 0.20 0.71 ± 0.05 2.17 ± 0.63 1.31 ± 0.21 0.83 ± 0.22
TSC2 1 1.07 ± 0.01 0.88 ± 0.12 1.09 ± 0.08 1.14 ± 0.04 1.10 ± 0.03
PPARα 1 2.25 ± 0.22 0.92 ± 0.26 2.25 ± 0.32 1.22 ± 0.15 1.17 ± 0.08
PPARδ 1 1.32 ± 0.09 1.09 ± 0.20 1.18 ± 0.07 1.32 ± 0.10 1.36 ± 0.07
UCP1 1 2.06 ± 0.26 0.85 ± 0.15 2.27 ± 0.05 1.12 ± 0.13 0.86 ± 0.13
SIRT1 1 0.16 ± 0.20 0.71 ± 0.19 1.51 ± 0.06 1.04 ± 0.09 1.03 ± 0.12
따라서, 모든 추출물이 PGC1α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는데, 이는 실시예 1의 모든 추출물이 근위축에 의한 골격근의 악화를 방지하는 데 탁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근육량 및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참취(Aster scaber Thunb.) 추출물A와,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추출물 C는 PGC1α 뿐만 아니라, NRF-1, Tfam, SDH1b, CytC, Cox2, Cox4, ATG5g1, PPARα, PPARδ, UCP1 그리고 SIRT1 등의 거의 모든 유전자의 발현을 증폭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글루코스 및 fatty acid의 흡수와 미토콘드리아 합성을 통해 ATP 함유량까지 증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상기 추출물이 운동수행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SDH1b, CyctC, COX2, COX4, ATP5g1, UCP1, NRF-1 및 PPARδ 등 발현이 증가된 것과 TSC2의 발현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그 결과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추출물 D와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E는 PGC1α와 함께 ERRα, CytC의 발현을 증가시켜 마이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의 활성화를 통해 근육량 및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산나물 추출물 처리시 근육 관련 단백질 발현의 변화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시료에 대하여 근육 질환 예방과 근 기능 개선, 운동수행능력 향상 관련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2C12 세포를 5일 동안 분화 시킨 후, 각각 실시예 1(50 ug/ml)를 1시간 또는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파쇄버퍼인 RIPA 버퍼(150 mM NaCl, 1% Nonidet P-40, 0.5% Sodium deoxycholate, 0.1% SDS, 25 mM Tris(pH 7.4)) 중에서 파쇄한 다음, 세포 파쇄물 각 20 ug에 대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 항-p-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ab109268, Abcam),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ab54481, Abcam), p-p70S6K(9234, Cell signaling), p-FoxO1(Forkhead box protein O1; ab70382, Abcam), p-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4186, Cell signaling), p-p38(9211, Cell signaling). FGF21(Fibroblast growth factor 21; ab64857, Abcam), 및 β-actin(A5316, Sigma)항체를 1차 항체로 사용하였다. 2차항체는 goat anti-rabbit IgG-HRP (sc-2004, Santa Cruz) 혹은 goat anti-mouse IgG-HRP(sc-2005, Santa Cruz)를 사용하였다.
도 2는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및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존재하에서 배양된 근육세포 파쇄물에 대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이 p-AMPK 활성 증가 및 PGC1α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험예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이는 상기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글루코스 및 지방산의 흡수와 미토콘드리아 합성을 통해 ATP 함유량까지 증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이 운동수행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인 p38의 인산화를 통해 mTOR의 인산화 및 하위 단백질인 p70S6K의 인산화를 통해 mTOR signaling을 활성화하여 근육 세포의 증식 및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주어 근육량 증대를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근육 세포 성장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oxO1의 인산화를 조절하고, 근원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와 MyoD의 유도에 역할을 하는 FGF21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근육 세포 증식을 통해 근육량 증가를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근육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골격근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근육 세포 증식을 통해 근육량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3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mg)
실시예 1 5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2
제형예 2: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4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연질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mg)
실시예 1 5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2
제형예 3: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기호에 적합한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5의 성분을 혼합하고 과병 또는 파우치에 충전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실시예 1 2.5050
산탄검 0.0075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쌍화농축액 1.5000
홍삼향 0.0450
정제수 9.1425
제형예 4: 젤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기호에 적합한 젤리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6의 성분을 혼합하고 삼면포에 충전하여 젤리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실시예 1 2.0000
푸드겔 0.3600
카라기난 0.0600
젖산칼슘 0.1000
구연산나트륨 0.06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정제수 13.9560
제형예 5 :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원 료 함 량 (%)
실시예 1 1.0
시토 스테롤 4.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3.0
세테아레스-4 2.0
콜레스테롤 3.0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선플라우어오일 2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조성비는 일반적으로 적합한 성분을 혼합하여 제형예로 조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배합비 및 원료를 임의로 변경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므로 제형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었다.
<110> COSMAX BIO CO., LTD.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related diseases,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 or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an extract of wild edible greens as an active ingredient <130> PN127832 <160> 3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PGC-1 alpha <400> 1 gtccttcctc catgcctga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PGC-1 alpha <400> 2 gactgcggtt gtgtatggg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ERR alpha <400> 3 gaggtggacc ctttgcctt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ERR alpha <400> 4 ggctaacacc ctatgctgg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NRF-1 <400> 5 cttcatggag gagcacgga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NRF-1 <400> 6 atgaggccgt ttccgtttct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Tfam <400> 7 gagcgtgcta aaagcactg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Tfam <400> 8 ccacagggct gcaattttc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MyoD <400> 9 ccgtgtttcg actcaccaga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MyoD <400> 10 gtagtaggcg gtgtcgtag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Myogenin <400> 11 gaggaagtct gtgtcggtgg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Myogenin <400> 12 ccacgatgga cgtaagggag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SDH1b <400> 13 actggtggaa cggagacaag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SDH1b <400> 14 gttaagccaa tgctcgcttc 20 <210> 1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CytC <400> 15 gggcctcgtt agtgcagcag g 21 <210> 1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CytC <400> 16 gggctcccag aaaaggttgc ct 22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COX2 <400> 17 acgaaatcaa caaccccgta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COX2 <400> 18 ggcacaacga ctcggttatc 20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COX4 <400> 19 actacccctt gcctgatgtg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COX4 <400> 20 gcccacaact gtcttccatt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ATP5g1 <400> 21 tggggaccag ggcagccatt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ATP5g1 <400> 22 gttaagccaa tgctcgcttc 20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TSC2 <400> 23 cacacccacc acttcaacag 20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TSC2 <400> 24 aggtcccttt cttccagctc 20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PPAR alpha <400> 25 atccagggtt cagtccagtg 20 <210> 2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PPAR alpha <400> 26 gcttagggac agtgacaggt 20 <210> 2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PPAR delta <400> 27 gttcctctga ccctgtcctc 20 <210> 2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PPAR delta <400> 28 ccagcaagtt tcaagccact 20 <210> 2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UCP1 <400> 29 cggaaacaag atctcagccg 20 <210> 3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UCP1 <400> 30 ctgaccttca cgacctctgt 20 <210> 3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SIRT1 <400> 31 tgccatcatg aagccagaga 20 <210> 3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SIRT1 <400> 32 aacatcgcag tctccaagga 20 <210> 3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GAPDH <400> 33 aactttggca ttgtggaagg 20 <210> 3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GAPDH <400> 34 ggatgcaggg atgatgttct 20

Claims (14)

  1.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또는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PGC1α, NRF-1, Tfam, SDH1b, CytC, Cox2, Cox4, ATG5g1, PPARα, PPARδ, UCP1, ERRα, MyoD, Myogenin 및 SIRT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참취(Aster scaber Thunb.),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멸가치(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또는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Nakai)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제형인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구 제형은 정제, 과립제, 환제, 캡슐제, 액상형, 젤리, 및 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경구 제형은 피부 외용제인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육관련 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경직증, 경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syndrome),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폼페병(Pompe disease), 카나반병(Canavan disease), 근육긴장이상(dystonia), 근육퇴화증,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화장용, 또는 식품인 것인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근 기능 강화 및 운동수행능력 증대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인 것인 조성물.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또는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인 조성물.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젤, 로션 및 연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용 조성물.
KR1020190084542A 2019-07-12 2019-07-12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44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42A KR102444911B1 (ko) 2019-07-12 2019-07-12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42A KR102444911B1 (ko) 2019-07-12 2019-07-12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686A true KR20210007686A (ko) 2021-01-20
KR102444911B1 KR102444911B1 (ko) 2022-09-21

Family

ID=7430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542A KR102444911B1 (ko) 2019-07-12 2019-07-12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116A (ko) * 2021-07-08 2023-01-18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멸가치 추출물 또는 네오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1638737B2 (en) * 2019-10-10 2023-05-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Filipendula glaberrima extract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for ameliorating atherosclerosis
WO2023177234A1 (ko) * 2022-03-18 2023-09-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05B1 (ko) * 2007-02-28 2008-07-01 김명선 참취 통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077094A (ko) * 2009-12-30 2011-07-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롱꽃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KR20110087363A (ko) * 2010-01-26 2011-08-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7018A (ko) * 2011-10-28 2014-07-08 닥터 빌마르 쉬바베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만성통증 상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터리풀속(Filipendula) 추출물의 용도
KR20160138927A (ko) * 2015-05-26 2016-12-06 (주)뉴트리 길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4862A (ko) * 2017-10-23 2019-05-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8430B1 (ko) * 2018-05-28 2019-11-27 (주)뉴트리 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3652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부채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05B1 (ko) * 2007-02-28 2008-07-01 김명선 참취 통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077094A (ko) * 2009-12-30 2011-07-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롱꽃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KR20110087363A (ko) * 2010-01-26 2011-08-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7018A (ko) * 2011-10-28 2014-07-08 닥터 빌마르 쉬바베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만성통증 상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터리풀속(Filipendula) 추출물의 용도
KR20160138927A (ko) * 2015-05-26 2016-12-06 (주)뉴트리 길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4862A (ko) * 2017-10-23 2019-05-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8430B1 (ko) * 2018-05-28 2019-11-27 (주)뉴트리 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3652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부채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herty TJ, Invited review: Aging and sarcopenia., J Appl Physiol, 2003, v.95, pp. 1717-172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8737B2 (en) * 2019-10-10 2023-05-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Filipendula glaberrima extract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for ameliorating atherosclerosis
KR20230010116A (ko) * 2021-07-08 2023-01-18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멸가치 추출물 또는 네오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3177234A1 (ko) * 2022-03-18 2023-09-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911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3345B (zh) 含有天然提取物的组合物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44911B1 (ko)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309947B1 (ko) 굼벵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010250A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70072359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질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61297B1 (ko) 새싹보리 및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230048642A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KR20070072023A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2507569B1 (ko)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2380295B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3040B1 (ko) 황백나무 껍질, 삼백초, 굴피나무 열매 및 감잎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KR102296933B1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