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90A -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4190A KR20210004190A KR1020190080205A KR20190080205A KR20210004190A KR 20210004190 A KR20210004190 A KR 20210004190A KR 1020190080205 A KR1020190080205 A KR 1020190080205A KR 20190080205 A KR20190080205 A KR 20190080205A KR 20210004190 A KR20210004190 A KR 20210004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ine dust
- unit
- air inlet
- coll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5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유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 공기유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공기유입부와 제1 공기유입부의 결합 및 공기, 바람의 유입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2 공기유도부의 구성 및 공기, 바람의 유도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필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미세먼지제거부 및 전원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세먼지제거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생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설치장소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 바람,
3: 공기,
4: 미세먼지,
5: 지면,
6: 지지부,
6a, 6b, 6c, 6d: 지지대,
7: 정화공기,
8: 태양광,
10: 공기유입부,
10: 제1 공기유입기,
13: 제2 공기유입기,
15: 제3 공기유입기,
17: 플레이트,
20: 제1 공기유도부,
21: 공기유도익,
21a: 제1 관통공,
23: 덮개,
23a: 제2 관통공,
30: 제2 공기유도부,
31: 상부 공기유도기,
33: 하부 공기유도기,
40: 필터링부,
41: 에어포일,
50: 미세먼지제거부,
51: 필터,
53: 공기흡입기,
60: 전원부,
70: 전기생산부,
71: 태양광패널,
73: 발전기,
75: 회전익.
Claims (10)
- 미세먼지(4)가 포함된 공기(3)가 유입되는 상부의 폭이 상기 공기(3)가 유동되는 하부의 폭보다 넓은 공기유입부(10);
상기 공기유입부(10)가 관통되며, 상기 공기(3)를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유도익(21)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 공기유도부(20);
상기 제1 공기유도부(20)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3)를 상기 제1 공기유도부(20)로 유도하기 위한 상, 하부 공기유도기(31, 33)가 구비되는 제2 공기유도부(30);
상기 공기유입부(10)에 유입되기 전의 공기(3)가 통과되되, 상기 미세먼지(4)보다 큰 입자의 이물질은 차단하고, 상기 통과되는 공기(3)를 가속시키는 필터링부(40);
상기 공기유입부(10)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3)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3)가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3)로부터 상기 미세먼지(4)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부(50);
상기 미세먼지제거부(50)와 연결되며, 상기 미세먼지제거부(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60); 및
상기 미세먼지제거부(50)에 공급될 상기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10)는,
상기 깔때기형의 공기유입기(11, 13, 15)가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공기유입기(11, 13, 15)가 사이클로이드 곡선(cycloid curve)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되는 공기(3)를 증폭 및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유도부(20)는,
상기 공기유입부(1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3)를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 유도하는 상기 공기유도익(21); 및
상기 공기유도익(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제2 관통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도익(21)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공기유도익(21)과 함께 상기 공기(3)를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 유도하는 덮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익(21)은,
상기 공기(3)를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유도경로는, 상기 공기(3)의 유도가 시작되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이클로이드 곡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3)를 증폭 및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공기유도기(31, 33)는,
상기 공기(3)의 유도가 시작되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공기유도부(20)와 결합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이클로이드 곡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3)를 증폭 및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40)는,
상기 공기유입부(10), 제1 공기유도부(20), 제2 공기유도부(30)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입부(10)에 유입되기 전의 공기(3)를 통과시키되, 상기 이물질은 차단하고, 상기 통과되는 공기(3)를 가속시키는 에어포일(airfoil)(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제거부(50)는,
상기 공기유입부(10)에 유입되기 전의 공기(3)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에 작동되어 상기 공기(3)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기(53); 및
상기 공기유입부(10)의 하부로 유동되는 상기 공기(3)로부터 상기 미세먼지(4)를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습식필터, 백(bag)필터, 사이클론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필터(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기(53)는,
상기 기설정된 속도가 1.5~3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산부(70)는,
상기 상부 공기유도기(31)의 상부 또는 상기 하부 공기유도기(33)에 결합되며, 태양광(8)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패널(71); 및
상기 공기유입부(10)의 하부로 유동되는 공기(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익(75)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익(75)의 회전력을 상기 전력으로 변환하는 발전기(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 미세먼지(4)를 포함하는 공기(3)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판단 단계(S10)의 결과에 따라, 미세먼지제거부(50)가 전원부(6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3)를 흡입하거나(S20), 상기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공기(3)가 외력없이 공기유입부(10)에 유입되는 단계(S30);
제2 공기유도부(30)가 상기 공기(3)를 제1 공기유도부(20)로 유도하는 단계(S40);
상기 제1 공기유도부(20)가 상기 공기(3)를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 유도하는 단계(S50);
상기 공기(3)가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에 유입되며,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유동되는 단계(S60);
상기 미세먼지제거부(50)가 상기 공기유입부(10)의 하부로 유동되는 공기(3)로부터 상기 미세먼지(4)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단계(S70); 및
전력생산부(70)가 상기 유도 단계(S40) 또는 공기 유입 및 유동 단계(S60)에서 상기 미세먼지제거부(50)에 공급될 상기 전력을 생산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205A KR102256815B1 (ko) | 2019-07-03 | 2019-07-03 |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205A KR102256815B1 (ko) | 2019-07-03 | 2019-07-03 |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190A true KR20210004190A (ko) | 2021-01-13 |
KR102256815B1 KR102256815B1 (ko) | 2021-05-26 |
Family
ID=7414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0205A Active KR102256815B1 (ko) | 2019-07-03 | 2019-07-03 |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6815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8312B1 (ko) * | 2004-03-02 | 2005-08-17 |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 공기정화기 |
KR100971279B1 (ko) * | 2009-03-04 | 2010-07-20 | 장일도 | 옥외설치용 집진장치 |
KR101102616B1 (ko) | 2009-02-23 | 2012-01-06 | 민승기 |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
KR101753385B1 (ko) | 2016-08-12 | 2017-07-04 | 주식회사 씨앤오 | 차량 매연 및 미세먼지 포집 장치 |
KR101768009B1 (ko) | 2016-08-18 | 2017-08-14 | 박성종 |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
KR101863026B1 (ko) * | 2018-01-04 | 2018-05-30 | 주식회사 포스코휴먼스 |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
KR101989069B1 (ko) * | 2018-07-20 | 2019-06-14 | 대성중공업 | 타워형 자가발전 및 미세먼지 처리장치 |
-
2019
- 2019-07-03 KR KR1020190080205A patent/KR10225681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8312B1 (ko) * | 2004-03-02 | 2005-08-17 |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 공기정화기 |
KR101102616B1 (ko) | 2009-02-23 | 2012-01-06 | 민승기 |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
KR100971279B1 (ko) * | 2009-03-04 | 2010-07-20 | 장일도 | 옥외설치용 집진장치 |
KR101753385B1 (ko) | 2016-08-12 | 2017-07-04 | 주식회사 씨앤오 | 차량 매연 및 미세먼지 포집 장치 |
KR101768009B1 (ko) | 2016-08-18 | 2017-08-14 | 박성종 |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
KR101863026B1 (ko) * | 2018-01-04 | 2018-05-30 | 주식회사 포스코휴먼스 |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
KR101989069B1 (ko) * | 2018-07-20 | 2019-06-14 | 대성중공업 | 타워형 자가발전 및 미세먼지 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6815B1 (ko) | 2021-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61715B2 (en) | Apparatus for wind collection | |
US7683501B2 (en) | Energy recovery system including a flow guide apparatus | |
CN107213739B (zh) | 一种新型煤矿高效复合式湿式除尘器 | |
CN204220314U (zh) | 一种旋风除尘器 | |
US20190242359A1 (en) | Wind-tunnel turbine vacuum air flow generator | |
CN102852733B (zh) | 直立管束烟囱式风力发电装置 | |
JP2011136285A (ja) | サイクロン集塵装置 | |
KR101003361B1 (ko) | 집풍타워식 풍력발전시스템 | |
CN206587502U (zh) | 一种脱硫吸收塔内折旋流板复合式除雾装置 | |
KR102517186B1 (ko) | 소형 굴뚝용 가스 및 미세먼지 복합 측정기 | |
KR101653393B1 (ko) |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 |
KR102256815B1 (ko) | 대량의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 |
US20240318627A1 (en) | Vertical wind speed acceleration type wind turbine | |
CN105999889B (zh) | 袋式除尘器的导流装置 | |
RU96401U1 (ru) |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 |
CN103643984B (zh) | 铀矿排风井尾气多级分离复合除尘净化装置 | |
CN114392610B (zh) | 具有微针单向输运表面的气液旋叶分离器 | |
CN110237637A (zh) | 一种流化干燥机用复合式除尘器及其控制系统 | |
CN204280611U (zh) | 一种回流自降式微动力除尘装置 | |
ITRM20080420A1 (it) | Silos eolico perfezionato. | |
CN207004734U (zh) | 发电机及风力发电装置 | |
KR20130011442A (ko) | 환풍구에 설치된 풍력발전장치 | |
CN104436949A (zh) | 一种用于金属粉尘蒸汽收集与过滤装置 | |
CN206661463U (zh) | 用于微小颗粒的环流旋风除尘器 | |
CN206613320U (zh) | 旋风静电组合式除尘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