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941A -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3941A KR20200113941A KR1020190034883A KR20190034883A KR20200113941A KR 20200113941 A KR20200113941 A KR 20200113941A KR 1020190034883 A KR1020190034883 A KR 1020190034883A KR 20190034883 A KR20190034883 A KR 20190034883A KR 20200113941 A KR20200113941 A KR 202001139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pile
- main body
- concrete
- lifting structure
- recove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물 또는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지반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을 용이하게 운반, 설치, 고정, 인양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고 콘크리트 파일을 설치한 후에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nd more specifically, when reinforcing the soft ground or constructing a building or road, the concrete pile inserted into the ground is easily transported, installed, and It relates to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at can be fixed and lifted, bu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recovered and reused after the concrete pile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 구조물의 기초공사를 하기 위해 지반에 여러 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시공하여 건축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In general, a building structure is supported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concrete piles on the ground in order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or perform the foundation work of a building structure.
이러한 건축 구조물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파일은 크게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복합 콘크리트 파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 파일은 선단지지력이 크고 자재비가 강관 파일에 비해 크게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평하중이 작용하면 매우 큰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수량이 필요하여 전체 공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강관 파일은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강도가 커서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 또는 절단이 용이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단가가 높아 전체 공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콘크리트 파일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파일로 구성하고 상부의 선단 일부는 강관 콘크리트 파일로 구성한 복합 콘크리트 파일이 현재 적용되고 있다.Concrete piles used for the foundation work of such a building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concrete piles, steel pipe piles, and composite concrete piles. Concrete piles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a high end bearing capacity and material cost compared to steel pipe piles, but horizontal loads act. In this case, a very large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are generated, so a very large quantity is requir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The steel pipe pile has excellent resistance to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nd its strength is large, so it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is easy to joint or cu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and has excellent field applicability,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due to high unit cos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concret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concrete piles, a composite concrete pile consisting of a concrete concrete pile at the lower part and a steel pipe concrete pile at the upper end is currently being applied.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을 기초공사에 사용하기 위해 여러 형태로 콘크리트 파일을 인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콘크리트 파일 운반시 차량에 상차시키거나 바지선에 선적시킬 때 또는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파일을 하차시킬 때 또는 콘크리트 파일을 시공위치에 항타할 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에 있어서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In order to use such a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ecessary to lift concrete piles in various forms.When transporting the concrete pile, when loading it onto a vehicle or loading it on a barge, or when unloading a concrete pile at a construction site, or In cases such as when driving a concrete pile to a construction location, the lifting work of the concrete pile is absolutely necessary, and in lifting such a concrete pile, constructability and safety are very important.
이처럼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을 위해서 여러가지 인양 방법이나 인양 장치 등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인양 방법으로 홀치기 방법이 있다.In this way, various lifting methods and lift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lifting concrete piles, and 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lifting method is the hole-pitch method.
홀치기 방법은 지면에 고정된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를 로프 또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로프 또는 와이어를 인양 장치의 후크와 같은 고리부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다.Tie method is a method of tying the upper part of a concrete pile fixed to the ground in a lasso using a rope or wire, and then connecting the rope or wire to a hook such as a hook of a lifting device to lift it.
그러나, 상기 홀치기 방법은 콘크리트 파일의 직경이 대형이거나 또는 콘크리트 파일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설치하기가 곤란하여 사용이 매우 어렵고, 와이어가 묶여 있는 콘크리트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콘크리트 파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방청제가 와이어에 의해 벗겨지면서 표면 산화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나 과실에 의해 와이어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 method is difficult to install when the diameter of the concrete pile is large or the length of the concrete pile is long, so it is very difficult to use, and the concrete pile area where the wire is bound is deformed, etc. As the rust inhibitor appli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concrete pile is peeled off by the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concrete pile is shortened due to surface oxidation, and in particular, the wire is knotted due to the carelessness or negligence of the work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very high because this is frequently resolved.
또한, 와이어는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 와이어와 직물을 5:5로 섞은 혼용 로프를 사용하여 혼용 로프를 콘크리트 파일에 묶는 홀치기 방법 역시 혼용 로프가 쉽게 절단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으며, 혼용 로프를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형성한 고정홈에 걸어 사용하는 홀치기 방법도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홀치기 방법 역시 혼용 로프가 홈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혼용 로프가 이탈되면서 콘크리트 파일이 넘어지거나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아, 홀치기 방법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건설 현장의 안전한 환경이 위협받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is not easily bent, the tie-in method of tying the mixed rope to the concrete pile using a mixed rope mixed with wire and fabric at 5:5 also has a lot of risk of safety accidents as the mixed rope is easily cut. There was also an attempt to hang the hole in the fixing groove formed at the tip of the concrete pile.However, as the mixed rope is not firmly fixed to the groove, this hole cutting method also causes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mixed rope falls off or falls off the concrete pile. There is a lot of concern, and this problem of the pinch method threatens the safe environ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이러한 홀치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방안으로, 등록특허 제10-1415986호 발명의 명칭으로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이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복합말뚝에 재사용할 수 있는 인양구는 걸림축이 축결합되는 관(11)과, 상기 관과 일체로 결합되고 일지점에 와이어가 감기는 고리 체결용 홀(121)이 형성된 인양판(12)으로 이루어진 인양구 본체(1)와; 상기 인양구 본체의 관(11)에 축결합되고, 관 양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복합 말뚝의 내경부 양측에 설치된 걸림턱(4)에 걸리는 걸림축(2)과; 상기 관의 양측단 쪽에 위치하여 관의 빠짐과 유격을 단속하도록 걸림축과 축결합되어 고정된 스톱퍼(3);로 복합말뚝용 인용구를 구성하여, 연약 지반 보강 또는 건축 구조물의 기초공사시 사용되는 복합말뚝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인양하여 지반에 매립된 케이싱에 삽입하여 하강시킨 후 손쉽게 회수하여 다른 복합말뚝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 a proposed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pinch method, as the name of the invention of Patent No. 10-1415986, a'recoverable lifting device for composite piles and a composite pile burial method using the same'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above proposal, As shown in Fig. 1, the reusable lifting tool for the composite pile includes a
상기 제안은 상술한 홀치기 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안이나, 복합말뚝용 인양구는, 걸림축이 축결합되는 관(11)과, 상기 관과 일체로 결합되고 일지점에 와이어가 감기는 고리 체결용 홀(121)이 형성된 인양판(12)으로 이루어진 인양구 본체(1)와; 상기 인양구 본체의 관(11)에 축결합되고, 관 양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복합 말뚝의 내경부 양측에 설치된 걸림턱(4)에 걸리는 걸림축(2)과; 상기 관의 양측단 쪽에 위치하여 관의 빠짐과 유격을 단속하도록 걸림축과 축결합되어 고정된 스톱퍼(3);로 복합말뚝용 인용구를 구성하고, 복합 말뚝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걸림턱(4)의 형상은 복합말뚝 기립시를 기준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막히고 내경부쪽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은 용접에 의해 복합말뚝 내경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턱의 하부 양측면에는 핀홀(41)이 각각 형성되어 걸림축(2)이 걸쳐졌을 경우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핀홀(41)간을 안전핀(42)이 관통되게 끼우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 구성 및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인양구가 고정되는 걸림턱을 강관에 용접 고정하여야 하고, 인양구를 걸림턱에 설치하는 방법 역시 복잡하여 인양구의 조립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많이 있는 방안이었다.The proposal is a proposal that can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inch method, but the lifting tool for a composite pile has a
본 발명의 목적은 홀치기 방법 및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을 단단히 고정하여 인양할 수 있고 구조 및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가가 저렴하고 또 콘크리트 파일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신속하게 콘크리트 파일의 이동, 인양이 가능하게 되고 콘크리트 파일 인양 후 다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을 위해 손쉽게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hole-pitching method and the prior art, and the concrete pile can be securely fixed and lifted, and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re simple,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inexpensiv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s that can be easily moved and lifted,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used for lifting of other concrete piles after lifting the concrete pile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일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중간부는 상기 머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축부로 이루어지는 주고정체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는 결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부는 콘크리트 파일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콘크리트 파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중간축부는 콘크리트 파일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comprising a head portion at one end, a fixing portion at the other end, and an intermediate shaf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and a combination bod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The head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the fixing portion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and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is achieved by a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hrough the concrete pi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축부는 콘크리트 파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crete pile.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콘크리트 파일을 단단히 고정하여 인양할 수 있고, 그 구조 및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가가 저렴하고, 콘크리트 파일을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여 신속하게 콘크리트 파일의 이동하거나 인양할 수 있고, 콘크리트 파일에 인양구조체를 용이하게 조립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고, 고정 해제 후 다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시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fted by firmly fixing the concrete pile, and its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re very simple,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inexpensive, and the concrete pile is fixed in a solid state to quickly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it can be moved or lifted, and the lifting structure can be easily assembled or fixed to a concrete pile, and can be reused when lifting another concrete pile after the fixation is releas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가 콘크리트 파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가 콘크리트 파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oncrete pi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oncrete pil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설명에 있어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능 및 구성은 간략하게 설명되거나 또는 요지를 흐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하며, 또한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은 최초 설명에는 상세히 설명하고 차후 설명에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r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from the scope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and the same configurations that are redundant in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initial description and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pile in which a through hole (PH) is drill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s shown in FIGS. 2 to 3 ( P), and a
상기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형성되는 관통공(PH)은 널리 사용되는 천공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도구로 천공되게 되는 것이다.The through hole (PH) form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is to be drilled with a tool such as a widely used perforator (not shown).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10)와, 타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20)와,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중간부를 이루는 중간축부(13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머리부(110)는 통상적인 주고정체의 머리부와 동일하게 상기 주고정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머리부(110)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P)의 외면에 배치되도록 그 직경이 콘크리트 파일(P)에 형성되는 관통공(PH)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10)는 콘크리트 파일(P)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주고정체(100)가 콘크리트 파일(P)에 고정되게 된다.The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의 상기 고정부(120)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고, 고정핀과 같은 다른 고정수단이 고정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고정부(120)는 역시 콘크리트 파일(P)의 외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20)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상기 중간축부(130)는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파일(P)에 형성된 관통공(PH)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파일(P)의 내부 중공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중간축부(130)가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중간축부(130)의 직경은 상기 관통공(PH)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파일(P) 내부 중공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상기 중간축부(130)로 콘크리트 파일 인양장치의 고리부(H)가 중간축부(130)를 걸도록 하여 콘크리트 파일 인양장치가 콘크리트 파일(P)을 인양하게 된다.The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주고정체(100) 일단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고정부(120)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너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핀과 같은 다른 고정수단이 실시될 수가 있을 것이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상기 주고정체(100) 및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여,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크게 주고정체(100)와 결합체(200)으로 이루어진다.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10)와,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중간부를 이루는 중간축부(130)와 타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2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제2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의 타단부에 구비된 고정부(120)는 나사산이 없고 주고정체(100)을 관통되게 연통하는 핀홀이 서로 마주보게 천공되어 형성된 점만이 상이한 구성이다.The
상기 머리부(1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고정체(100)의 외면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은 역시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배치되는 위치로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로서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상기 중간축부(130)는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파일(P)에 형성된 관통공(PH)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파일(P)의 내부 중공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The
상기 중간축부(1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주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체(200)은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에 삽입한 후 결합체(200)인 고정핀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며, 상기 고정핀의 절곡 구성은 건축 및 토목 시공에 관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역시 상기 주고정체(100) 및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of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crete pile (P) having a through hole (PH)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s shown in FIG. , It consists of a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주고정체(100)는 원형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一)자 형태의 축봉으로서,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120)로서 핀홀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2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와 제3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과의 상이한 점은 제2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단부에 머리부(10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고정부(120)로서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제3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는 제2실시예의 상기 머리부(100)가 없는 일(一)자 형태의 축봉이며 그 양단부에 고정부(120)로서 핀홀이 형성된 점만이 상이한 구성이다.The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은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핀홀은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의 위치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로서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pinholes of the fixing
상기 고정핀은 상기 주고정체(100)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핀과는 동일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xing pi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inhol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ld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역시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ile (P) in which a through hole (PH) is drill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nd the Consisting of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crete pile (P) having a through hole (PH)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s shown in FIG. , It consists of a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주고정체(10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파이프 형태의 축봉으로서,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120)로서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고정부(120)의 구멍은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구멍은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의 위치에 관통되게 천공되며, 상기 고정부(120)의 구멍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로서 고정볼트가 삽입되고 하부에서 너트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The holes of the fixing
상기 결합체(200)인 고정볼트와 너트는 상기 주고정체(100)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bolt and nut, which a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역시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형태의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고 경량이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어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ile (P) in which a through hole (PH) is drill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nd the Consisting of a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 구조물 또는 도로 건설을 위해 지반을 견고하게 하는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파일을 운반, 설치, 고정, 인양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제조 분야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큰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at transports, installs, fixes, and lifts concrete piles used at construction sites that reinforce soft ground or strengthen the ground for building structures or road construc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manufacture the same product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nvention with great industrial applicability.
A :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100 : 주고정체
110 : 머리부 120 : 나사부
130 : 중간축부 140 : 핀홀
200 : 결합체 H : 인양장치의 고리부
P : 콘크리트 파일 PH : 관통공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100: Jogo stationary
110: head 120: screw
130: intermediate shaft portion 140: pinhole
200: assembly H: hook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P: Concrete pile PH: Through hole
Claims (5)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주고정체(100)는 콘크리트 파일(P)의 상기 관통공(PH)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결합체(200)가 결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In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the concrete pile,
A concrete pile (P) with a through hole (PH)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nd the 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including a combination body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PH) of the concrete pile (P)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PH) and the coupling body (200) is coupled to the end.
상기 주고정체(100)의 일단부에는 머리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에는 결합체(200)가 결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A head portion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 fixing portion 1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assembly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20.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상기 주고정체(100)의 타단부의 고정부(120)에 고정된 결합체(200)는 결합너트,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assembly 20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20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nut, a fixing pin, or a fixing bolt.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一)자 형태의 축봉이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결합체(200)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체(200)는 결합너트,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is a one-shape shaft rod,
Fixing portions 1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The assembly 2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The assembly 2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nut, a fixing pin or a fixing bolt.
상기 주고정체(10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collecting concrete p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in the form of a pipe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4883A KR20200113941A (en) | 2019-03-27 | 2019-03-27 |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4883A KR20200113941A (en) | 2019-03-27 | 2019-03-27 |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3941A true KR20200113941A (en) | 2020-10-07 |
Family
ID=7288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4883A KR20200113941A (en) | 2019-03-27 | 2019-03-27 |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394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6941A (en) *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
KR20230126940A (en) *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
KR102686907B1 (en) | 2023-10-16 | 2024-07-19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A lifting device for a PHC pile and the PHC pile comprising the lift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986B1 (en) | 2013-05-28 | 2014-07-08 | (주)파일테크 | Retrievable sling device for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eclamation of file using thereof |
-
2019
- 2019-03-27 KR KR1020190034883A patent/KR2020011394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986B1 (en) | 2013-05-28 | 2014-07-08 | (주)파일테크 | Retrievable sling device for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eclamation of file using thereof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6941A (en) *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
KR20230126940A (en) *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
KR102686907B1 (en) | 2023-10-16 | 2024-07-19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A lifting device for a PHC pile and the PHC pile comprising the lif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03361B (en) |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 |
KR20200113941A (en) |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 |
US8096086B2 (en) | Cast-in lifting anchor | |
US20080279620A1 (en) | Joining System and Use of this System | |
KR101215356B1 (en) | Device for sling pile | |
KR101038453B1 (en) | Device for sling pile | |
KR100838484B1 (en) | Means for solidarity reinforcement bar of head part in steel pipe pile | |
KR101415986B1 (en) | Retrievable sling device for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eclamation of file using thereof | |
AU2021236554B2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lifting of building units | |
US7850399B2 (en) | Method of splicing pile cages, set of components therefor, and assembled pile cages | |
US20130020819A1 (en) | Lift stub | |
CN113860190B (en) | Cantilever crane turnover-free beam rest bracket and installation method | |
KR20100092290A (en) | Guider for concrete file | |
KR200201561Y1 (en) |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 |
JP2009287357A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s | |
CN218970681U (en) | Prestressed concrete laminated slab with carbon fiber hanging ring and lifting appliance structure thereof | |
NZ535296A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1834962B1 (en) |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newly installed pile | |
KR20100041991A (en) | Fixed structure of stud-bolt in steel sturcture as shear conncetor | |
KR20140102078A (en) | Lifting loop set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 |
JPH0413322Y2 (en) | ||
KR20150004135A (en)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
KR100956811B1 (en) | Reclamation type guardrail post fix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increasing shearing force | |
US7162843B2 (en) | Bolts with connected anchor | |
JP2005213947A (en) |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