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113941A -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941A
KR20200113941A KR1020190034883A KR20190034883A KR20200113941A KR 20200113941 A KR20200113941 A KR 20200113941A KR 1020190034883 A KR1020190034883 A KR 1020190034883A KR 20190034883 A KR20190034883 A KR 20190034883A KR 20200113941 A KR20200113941 A KR 2020011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le
main body
concrete
lifting structure
re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은수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전은수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수, 조정호 filed Critical 전은수
Priority to KR102019003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941A/en
Publication of KR2020011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9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More specifically,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the concrete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transport, install, fix, and lift the concrete pile inserted into the grou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ground when reinforcing the soft ground or constructing a building or a roa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the concrete pile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recovered and reused after installation of the concrete pile.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the concrete pile includes the concrete pile (P), a main fixing structure (100), and a coupling structure (200).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물 또는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지반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을 용이하게 운반, 설치, 고정, 인양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고 콘크리트 파일을 설치한 후에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nd more specifically, when reinforcing the soft ground or constructing a building or road, the concrete pile inserted into the ground is easily transported, installed, and It relates to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at can be fixed and lifted, bu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recovered and reused after the concrete pile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 구조물의 기초공사를 하기 위해 지반에 여러 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시공하여 건축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In general, a building structure is supported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concrete piles on the ground in order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or perform the foundation work of a building structure.

이러한 건축 구조물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파일은 크게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복합 콘크리트 파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 파일은 선단지지력이 크고 자재비가 강관 파일에 비해 크게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평하중이 작용하면 매우 큰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수량이 필요하여 전체 공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강관 파일은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강도가 커서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 또는 절단이 용이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단가가 높아 전체 공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콘크리트 파일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파일로 구성하고 상부의 선단 일부는 강관 콘크리트 파일로 구성한 복합 콘크리트 파일이 현재 적용되고 있다.Concrete piles used for the foundation work of such a building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concrete piles, steel pipe piles, and composite concrete piles. Concrete piles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a high end bearing capacity and material cost compared to steel pipe piles, but horizontal loads act. In this case, a very large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are generated, so a very large quantity is requir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The steel pipe pile has excellent resistance to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nd its strength is large, so it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is easy to joint or cu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and has excellent field applicability,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due to high unit cos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concret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concrete piles, a composite concrete pile consisting of a concrete concrete pile at the lower part and a steel pipe concrete pile at the upper end is currently being applied.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을 기초공사에 사용하기 위해 여러 형태로 콘크리트 파일을 인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콘크리트 파일 운반시 차량에 상차시키거나 바지선에 선적시킬 때 또는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파일을 하차시킬 때 또는 콘크리트 파일을 시공위치에 항타할 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에 있어서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In order to use such a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ecessary to lift concrete piles in various forms.When transporting the concrete pile, when loading it onto a vehicle or loading it on a barge, or when unloading a concrete pile at a construction site, or In cases such as when driving a concrete pile to a construction location, the lifting work of the concrete pile is absolutely necessary, and in lifting such a concrete pile, constructability and safety are very important.

이처럼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을 위해서 여러가지 인양 방법이나 인양 장치 등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인양 방법으로 홀치기 방법이 있다.In this way, various lifting methods and lift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lifting concrete piles, and 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lifting method is the hole-pitch method.

홀치기 방법은 지면에 고정된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를 로프 또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로프 또는 와이어를 인양 장치의 후크와 같은 고리부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다.Tie method is a method of tying the upper part of a concrete pile fixed to the ground in a lasso using a rope or wire, and then connecting the rope or wire to a hook such as a hook of a lifting device to lift it.

그러나, 상기 홀치기 방법은 콘크리트 파일의 직경이 대형이거나 또는 콘크리트 파일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설치하기가 곤란하여 사용이 매우 어렵고, 와이어가 묶여 있는 콘크리트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콘크리트 파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방청제가 와이어에 의해 벗겨지면서 표면 산화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나 과실에 의해 와이어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 method is difficult to install when the diameter of the concrete pile is large or the length of the concrete pile is long, so it is very difficult to use, and the concrete pile area where the wire is bound is deformed, etc. As the rust inhibitor appli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concrete pile is peeled off by the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concrete pile is shortened due to surface oxidation, and in particular, the wire is knotted due to the carelessness or negligence of the work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very high because this is frequently resolved.

또한, 와이어는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 와이어와 직물을 5:5로 섞은 혼용 로프를 사용하여 혼용 로프를 콘크리트 파일에 묶는 홀치기 방법 역시 혼용 로프가 쉽게 절단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으며, 혼용 로프를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형성한 고정홈에 걸어 사용하는 홀치기 방법도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홀치기 방법 역시 혼용 로프가 홈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혼용 로프가 이탈되면서 콘크리트 파일이 넘어지거나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아, 홀치기 방법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건설 현장의 안전한 환경이 위협받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is not easily bent, the tie-in method of tying the mixed rope to the concrete pile using a mixed rope mixed with wire and fabric at 5:5 also has a lot of risk of safety accidents as the mixed rope is easily cut. There was also an attempt to hang the hole in the fixing groove formed at the tip of the concrete pile.However, as the mixed rope is not firmly fixed to the groove, this hole cutting method also causes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mixed rope falls off or falls off the concrete pile. There is a lot of concern, and this problem of the pinch method threatens the safe environ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이러한 홀치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방안으로, 등록특허 제10-1415986호 발명의 명칭으로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이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복합말뚝에 재사용할 수 있는 인양구는 걸림축이 축결합되는 관(11)과, 상기 관과 일체로 결합되고 일지점에 와이어가 감기는 고리 체결용 홀(121)이 형성된 인양판(12)으로 이루어진 인양구 본체(1)와; 상기 인양구 본체의 관(11)에 축결합되고, 관 양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복합 말뚝의 내경부 양측에 설치된 걸림턱(4)에 걸리는 걸림축(2)과; 상기 관의 양측단 쪽에 위치하여 관의 빠짐과 유격을 단속하도록 걸림축과 축결합되어 고정된 스톱퍼(3);로 복합말뚝용 인용구를 구성하여, 연약 지반 보강 또는 건축 구조물의 기초공사시 사용되는 복합말뚝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인양하여 지반에 매립된 케이싱에 삽입하여 하강시킨 후 손쉽게 회수하여 다른 복합말뚝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 a proposed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pinch method, as the name of the invention of Patent No. 10-1415986, a'recoverable lifting device for composite piles and a composite pile burial method using the same'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above proposal, As shown in Fig. 1, the reusable lifting tool for the composite pile includes a pipe 11 to which a locking shaft is axially coupled, and a hole 121 for fastening a ring through which a wire is wound integrally with the pipe. A lifting mouth body 1 made of a formed lifting plate 12; A locking shaft (2)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pipe (11) of the lifting port body, and has a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ipe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s (4)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composite pile; A stopper (3) that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ipe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locking shaft to intercept the gap and the gap of the pipe, and is fixed to the stopper (3); It is used for reinforcing the soft ground or for the foundation construction of a building structure. The composite pile was safely and conveniently lifted, inserted into the casing buried in the ground, lowered, and then easily recovered and reused in other composite piles.

상기 제안은 상술한 홀치기 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안이나, 복합말뚝용 인양구는, 걸림축이 축결합되는 관(11)과, 상기 관과 일체로 결합되고 일지점에 와이어가 감기는 고리 체결용 홀(121)이 형성된 인양판(12)으로 이루어진 인양구 본체(1)와; 상기 인양구 본체의 관(11)에 축결합되고, 관 양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복합 말뚝의 내경부 양측에 설치된 걸림턱(4)에 걸리는 걸림축(2)과; 상기 관의 양측단 쪽에 위치하여 관의 빠짐과 유격을 단속하도록 걸림축과 축결합되어 고정된 스톱퍼(3);로 복합말뚝용 인용구를 구성하고, 복합 말뚝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걸림턱(4)의 형상은 복합말뚝 기립시를 기준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막히고 내경부쪽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은 용접에 의해 복합말뚝 내경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턱의 하부 양측면에는 핀홀(41)이 각각 형성되어 걸림축(2)이 걸쳐졌을 경우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핀홀(41)간을 안전핀(42)이 관통되게 끼우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 구성 및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인양구가 고정되는 걸림턱을 강관에 용접 고정하여야 하고, 인양구를 걸림턱에 설치하는 방법 역시 복잡하여 인양구의 조립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많이 있는 방안이었다.The proposal is a proposal that can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inch method, but the lifting tool for a composite pile has a pipe 11 to which a locking shaft is axially coupled,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pipe and a wire is wound at one point. A lifting port body 1 made of a lifting plate 12 having a ring fastening hole 121 formed thereon; A locking shaft (2)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pipe (11) of the lifting port body, and has a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ipe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s (4)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composite pile; A stopper (3) which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ipe and is axially coupled and fixed to a locking shaft to regulate the separation and clearance of the pipe; constitutes a quote for a compound pile, and a locking jaw (4)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mpound pile The shape of)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the upper part is closed, and the inner diameter side is open, and the locking projection 4 is fixed to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compound pile by welding, and the locking projection Since the pinhole 4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pin hole 41 so that the safety pin 42 penetrates between the pinholes 41 to prevent falling down when the locking shaft 2 is over,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and the locking jaw on which the lifting hole is fixed must be welded to the steel pipe, and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lifting hole on the locking jaw is also complicated, so it was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assemble and release the lifting hole.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986호(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5986

본 발명의 목적은 홀치기 방법 및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을 단단히 고정하여 인양할 수 있고 구조 및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가가 저렴하고 또 콘크리트 파일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신속하게 콘크리트 파일의 이동, 인양이 가능하게 되고 콘크리트 파일 인양 후 다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을 위해 손쉽게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hole-pitching method and the prior art, and the concrete pile can be securely fixed and lifted, and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re simple,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inexpensiv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s that can be easily moved and lifted,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used for lifting of other concrete piles after lifting the concrete pile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일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중간부는 상기 머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축부로 이루어지는 주고정체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는 결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부는 콘크리트 파일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콘크리트 파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중간축부는 콘크리트 파일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comprising a head portion at one end, a fixing portion at the other end, and an intermediate shaf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and a combination bod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The head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the fixing portion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and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is achieved by a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hrough the concrete pi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축부는 콘크리트 파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crete pile.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콘크리트 파일을 단단히 고정하여 인양할 수 있고, 그 구조 및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가가 저렴하고, 콘크리트 파일을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여 신속하게 콘크리트 파일의 이동하거나 인양할 수 있고, 콘크리트 파일에 인양구조체를 용이하게 조립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고, 고정 해제 후 다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인양시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fted by firmly fixing the concrete pile, and its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re very simple,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inexpensive, and the concrete pile is fixed in a solid state to quickly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it can be moved or lifted, and the lifting structure can be easily assembled or fixed to a concrete pile, and can be reused when lifting another concrete pile after the fixation is releas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가 콘크리트 파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가 콘크리트 파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oncrete pi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oncrete pil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설명에 있어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능 및 구성은 간략하게 설명되거나 또는 요지를 흐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하며, 또한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은 최초 설명에는 상세히 설명하고 차후 설명에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r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from the scope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and the same configurations that are redundant in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initial description and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pile in which a through hole (PH) is drill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s shown in FIGS. 2 to 3 ( P), and a 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a combination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상기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형성되는 관통공(PH)은 널리 사용되는 천공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도구로 천공되게 되는 것이다.The through hole (PH) form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is to be drilled with a tool such as a widely used perforator (not shown).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10)와, 타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20)와,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중간부를 이루는 중간축부(130)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ead part 110 formed at one end, a fixing part 120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intermediate shaft part 1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art 110 to form an intermediate part. Consists of

상기 머리부(110)는 통상적인 주고정체의 머리부와 동일하게 상기 주고정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머리부(110)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P)의 외면에 배치되도록 그 직경이 콘크리트 파일(P)에 형성되는 관통공(PH)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10)는 콘크리트 파일(P)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주고정체(100)가 콘크리트 파일(P)에 고정되게 된다.The head part 11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in the same manner as the head part of a conventional main body, and the head part 11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P. The diame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PH) formed in the concrete pile (P). Accordingly, while the head portion 11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P), the main body 100 is fixed to the concrete pile (P).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의 상기 고정부(120)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고, 고정핀과 같은 다른 고정수단이 고정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xing part 120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xing par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hre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fixing such as a fixing pin The means could be fixed.

상기 고정부(120)는 역시 콘크리트 파일(P)의 외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20)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fixing part 120 is also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P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fixing part 12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중간축부(130)는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파일(P)에 형성된 관통공(PH)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파일(P)의 내부 중공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중간축부(130)가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중간축부(130)의 직경은 상기 관통공(PH)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파일(P) 내부 중공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상기 중간축부(130)로 콘크리트 파일 인양장치의 고리부(H)가 중간축부(130)를 걸도록 하여 콘크리트 파일 인양장치가 콘크리트 파일(P)을 인양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1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formed in the concrete pile P and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inner hollow of the concrete pile P.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mediate shaft part 130 must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the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shaft part 13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PH. In addition, the hook portion (H) of the concrete pile lifting device hangs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130 with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130 disposed through the hollow inside the concrete pile (P), so that the concrete pile lifting device is used as the concrete pile (P). Will be lifted.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주고정체(100) 일단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고정부(120)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너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핀과 같은 다른 고정수단이 실시될 수가 있을 것이다.The combination body 2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ding body 100 and combined with the thread of the fixing part 120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P) to attach the holding body 100 to the concrete pile.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nut formed with a female screw to securely fix it to (P),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fixing means such as a fixing pin may be implem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상기 주고정체(100) 및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여,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mbination body 200 coupled thereto, and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is also very simple. Thus,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low, and the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concrete pile (P) or lifted the concrete pile (P). Later, the fixing from the concrete pile (P) can be made very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크게 주고정체(100)와 결합체(200)으로 이루어진다.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nd an assembly 200.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10)와,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중간부를 이루는 중간축부(130)와 타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2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제2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의 타단부에 구비된 고정부(120)는 나사산이 없고 주고정체(100)을 관통되게 연통하는 핀홀이 서로 마주보게 천공되어 형성된 점만이 상이한 구성이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ead portion 110 formed at one end, an intermediate shaft portion 1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110 to form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120 formed at the other end. As a configuration made, the fixing portion 12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no thread, and the pinholes communicating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100 are perforated to face each other. Configuration.

상기 머리부(1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head portion 1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고정체(100)의 외면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은 역시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배치되는 위치로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로서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fixing part 120 is a configura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holding body 100, and is perforat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body 100, and the pinhole of the fixing part 120 is also a concrete pile (P ) It is perforated to be penetrated to the location of the outer surface.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fixing part 120 as an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fixed.

상기 중간축부(130)는 상기 머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파일(P)에 형성된 관통공(PH)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파일(P)의 내부 중공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The intermediate shaft portion 1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formed in the concrete pile P and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inner hollow of the concrete pile P.

상기 중간축부(1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intermediate shaft part 1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주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체(200)은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에 삽입한 후 결합체(200)인 고정핀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며, 상기 고정핀의 절곡 구성은 건축 및 토목 시공에 관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ssembly 200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securely fix the main body 100 to the concrete pile (P). The assembly 200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fixing part 120 and then bent at one or both ends of the fixing pin, which is the assembly 200, to fix the fixing pin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pinhole. The bending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in is a configuration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역시 상기 주고정체(100) 및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assembly 200 coupled thereto, and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is also very simple. Thus,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e manufacturing cost thereof is very low, and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is attached to the concrete pile (P). After assembling and fixing or lifting the concrete pile (P), the fixation from the concrete pile (P)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crete pile (P) having a through hole (PH)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s shown in FIG. , It consists of a 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a combination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주고정체(100)는 원형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一)자 형태의 축봉으로서,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120)로서 핀홀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2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와 제3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과의 상이한 점은 제2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단부에 머리부(10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고정부(120)로서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제3실시예의 상기 주고정체(100)는 제2실시예의 상기 머리부(100)가 없는 일(一)자 형태의 축봉이며 그 양단부에 고정부(120)로서 핀홀이 형성된 점만이 상이한 구성이다.The main body 100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one-shape shaft rod formed in a circular shaft shape, and is formed by drilling pinholes as fixing portions 120 at both e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iving body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giving body 100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the head part 1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iving body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Whereas a pinhole is formed as a fixing part 120 at the other end, the main body 100 of the third embodiment is a one-shape shaft bar without the head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both ends thereof The configuration is different only in that the pinhole is formed as the fixing part 120 in the.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은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핀홀은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의 위치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120)의 핀홀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로서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pinholes of the fixing part 120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nd are perforated to pass through the end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inhol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The concrete pile (P) is perforated to penetrate into the position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rfac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fixing part 120 as an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fixed.

상기 고정핀은 상기 주고정체(100)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핀과는 동일한 구성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xing pi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inhol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lding body 100 to securely fix the holding body 100 to the concrete pile P, the fixing p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역시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ile (P) in which a through hole (PH) is drill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nd the Consisting of the 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the assembly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is also very simpl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e manufacturing cost thereof is very inexpensive, and 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is placed in a concrete pile (P). After assembling and fixing or lifting the concrete pile (P), the fixation from the concrete pile (P)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crete pile (P) having a through hole (PH)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s shown in FIG. , It consists of a 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a combination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주고정체(10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파이프 형태의 축봉으로서,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120)로서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10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ipe-shaped shaft bar whose inside is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by perforating holes at both ends into which fixing bolts are inserted as fixing portions 120, respectively.

상기 고정부(120)의 구멍은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관통되게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구멍은 콘크리트 파일(P) 외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의 위치에 관통되게 천공되며, 상기 고정부(120)의 구멍에는 후술하는 결합체(200)로서 고정볼트가 삽입되고 하부에서 너트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The holes of the fixing part 1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nd are perforated to penetrate the end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The concrete pile (P) is perforated to penetrate into the positions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that are arrang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P), and a fix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ixing part 120 as the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ixed by screwing the nut at the bottom.

상기 결합체(200)인 고정볼트와 너트는 상기 주고정체(100)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주고정체(100)를 콘크리트 파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bolt and nut, which are the assembly 200, are inserted into the hol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to securely fix the main body 100 to the concrete pile 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역시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형태의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구조 역시 매우 단순하고 경량이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어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구성 및 구조에 대비하여 그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를 콘크리트 파일(P)에 조립 고정하거나 콘크리트 파일(P) 인양 후에 콘크리트 파일(P)로부터의 고정 해제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ile (P) in which a through hole (PH) is drill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nd the Consisting of a main body 100 in the form of a pip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ssembly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is also very simple and lightweight, and can maintain a strong support, so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low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lifting structure for collecting concrete piles. The lifting structure for collecting the concrete pile can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concrete pile (P) or the fixation from the concrete pile (P) can be released very quickly and easily after lifting the concrete pile (P).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는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 구조물 또는 도로 건설을 위해 지반을 견고하게 하는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파일을 운반, 설치, 고정, 인양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의 제조 분야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큰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The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at transports, installs, fixes, and lifts concrete piles used at construction sites that reinforce soft ground or strengthen the ground for building structures or road construc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manufacture the same product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nvention with great industrial applicability.

A :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100 : 주고정체
110 : 머리부 120 : 나사부
130 : 중간축부 140 : 핀홀
200 : 결합체 H : 인양장치의 고리부
P : 콘크리트 파일 PH : 관통공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100: Jogo stationary
110: head 120: screw
130: intermediate shaft portion 140: pinhole
200: assembly H: hook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P: Concrete pile PH: Through hole

Claims (5)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A)는,
콘크리트 파일(P)의 상단에 관통공(PH)을 천공시킨 콘크리트 파일(P)과,
상기 관통공(PH)에 삽입되는 주고정체(100)와,
상기 주고정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주고정체(100)는 콘크리트 파일(P)의 상기 관통공(PH)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결합체(200)가 결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In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The lifting structure (A) for recovering the concrete pile,
A concrete pile (P) with a through hole (PH)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pile (P),
And the 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H),
And including a combination body 200 coupl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PH) of the concrete pile (P)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PH) and the coupling body (200) is coupled to th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정체(100)의 일단부에는 머리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에는 결합체(200)가 결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A head portion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 fixing portion 1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assembly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20. Lift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e recove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정체(100)의 타단부의 고정부(120)에 고정된 결합체(200)는 결합너트,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assembly 20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20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concrete pile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nut, a fixing pin, or a fixi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정체(100)는 일(一)자 형태의 축봉이고,
상기 주고정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결합체(200)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체(200)는 결합너트,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is a one-shape shaft rod,
Fixing portions 1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The assembly 2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The assembly 2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recovering a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nut, a fixing pin or a fixi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정체(10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회수용 인양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is a lifting structure for collecting concrete p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in the form of a pipe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90034883A 2019-03-27 2019-03-27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KR202001139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83A KR20200113941A (en) 2019-03-27 2019-03-27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83A KR20200113941A (en) 2019-03-27 2019-03-27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41A true KR20200113941A (en) 2020-10-07

Family

ID=7288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83A KR20200113941A (en) 2019-03-27 2019-03-27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94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41A (en)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KR20230126940A (en)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KR102686907B1 (en) 2023-10-16 2024-07-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A lifting device for a PHC pile and the PHC pile comprising the lif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86B1 (en) 2013-05-28 2014-07-08 (주)파일테크 Retrievable sling device for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eclamation of fil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86B1 (en) 2013-05-28 2014-07-08 (주)파일테크 Retrievable sling device for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eclamation of file using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41A (en)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KR20230126940A (en)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Joint for connecting parts of slurry wall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urry wall using the joint
KR102686907B1 (en) 2023-10-16 2024-07-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A lifting device for a PHC pile and the PHC pile comprising the lif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3361B (en)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KR20200113941A (en) Concrete pile lifting structure
US8096086B2 (en) Cast-in lifting anchor
US20080279620A1 (en) Joining System and Use of this System
KR101215356B1 (en) Device for sling pile
KR101038453B1 (en) Device for sling pile
KR100838484B1 (en) Means for solidarity reinforcement bar of head part in steel pipe pile
KR101415986B1 (en) Retrievable sling device for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eclamation of file using thereof
AU2021236554B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lifting of building units
US7850399B2 (en) Method of splicing pile cages, set of components therefor, and assembled pile cages
US20130020819A1 (en) Lift stub
CN113860190B (en) Cantilever crane turnover-free beam rest bracket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00092290A (en) Guider for concrete file
KR200201561Y1 (en)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JP2009287357A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s
CN218970681U (en) Prestressed concrete laminated slab with carbon fiber hanging ring and lifting appliance structure thereof
NZ535296A (en) Connector assembly
KR101834962B1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newly installed pile
KR20100041991A (en) Fixed structure of stud-bolt in steel sturcture as shear conncetor
KR20140102078A (en) Lifting loop set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JPH0413322Y2 (en)
KR20150004135A (en)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KR100956811B1 (en) Reclamation type guardrail post fix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increasing shearing force
US7162843B2 (en) Bolts with connected anchor
JP2005213947A (en)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