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460A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2460A KR20200112460A KR1020190032976A KR20190032976A KR20200112460A KR 20200112460 A KR20200112460 A KR 20200112460A KR 1020190032976 A KR1020190032976 A KR 1020190032976A KR 20190032976 A KR20190032976 A KR 20190032976A KR 20200112460 A KR20200112460 A KR 20200112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vertical
- horizontal member
- installation structure
- tru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용접하지 않고도 각 부재의 내구성 저하 없이 결합할 수 있고, 결합을 위한 작업시 협착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높이를 같게 하여 직각방향으로도 패널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된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로서,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의 배면에 돌출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일측에 스톱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면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로서,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의 배면에 돌출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일측에 스톱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면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직접 용접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알루미늄시트 패널 또는 복합단열 패널 등의 건축용 외장재 패널은 사각형 평판으로 가공되어 외벽에 부착된다.
이 때 패널을 외벽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외벽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하지 트러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지트러스는 서로 수직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로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슬라브나 외벽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통상의 하지 트러스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하여 결합하는데, 이 때 용접 불똥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시 용접이 필요 없는 하지 트러스가 개발되었다.
무용접 하지 트러스의 일예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5-0072143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 1에 개시된 무용접 하지 트러스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용접 하지 트러스는 중앙에 슬롯(11, 21)이 형성되는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가 구비되고, 이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는 수평부재(10)의 슬롯(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직부재(20)의 결합공(22)에 끼워져 П자 와셔(50)와 너트(40)에 의해 결합되는 볼트(30)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하지 트러스는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의 중간에 슬롯(11, 21)이 절개되므로 굽힙(Bending)이나 좌굴(Buckling)에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하지 트러스는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30)를 수평부재(10)의 슬롯(11)을 따라 이동시킨 후 수직부재(20)의 관통공에 끼우기 위하여 수직부재(20)를 수평부재(10) 방향으로 밀착시킬 때 작업자의 손이 끼이는 협착재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하지 트러스는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30)의 높이가 달라서 패널을 부착할 수 있는 방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용접하지 않고도 각 부재의 내구성 저하 없이 결합할 수 있고, 결합을 위한 작업시 협착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높이를 같게 하여 직각방향으로도 패널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된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로서,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의 배면에 돌출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일측에 스톱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면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된 홈은 단면이 폐곡선이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결합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는 수직부재의 형성된 홈에 브라켓 수직면의 돌출부가 고정되고 고정된 브라켓의 하부면에 수평부재를 안착시킨 후 결합나사로 수평부재를 고정하므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을 위하여 용접할 필요가 없고 아울러 슬롯에 볼트를 끼울 필요가 없으므로 이 때 발생하는 협착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는 단면이 폐곡선이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이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브라켓과 수평부재의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는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결합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므로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진 등으로 인해 건축물이 변형되어도 고정을 위한 결합나사가 절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은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날개가 형성되어 브라켓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된 결합나사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규격대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 1에 개시된 무용접 하지 트러스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 및 상기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재(110)는 사각파이프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재(110)는 내구성이 우수한 철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패널이 부착될 때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수직부재(120)는 상기 수평부재(110)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사각파이프로서 후술하는 상기 브라켓(100)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관통구(120a)로서 상기 돌출부(102a)와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100)은 수직면(102)과, 상기 수직면(102)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면(104)과, 상기 수직면(102)의 상단에 형성된 하부면(106)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면(104)과 상부면(106)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필요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면(102)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배면에 상기 수직부재(120)의 관통구(120a)에 삽입되는 돌출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02a)는 브라켓(100)이 수직부재(120)에 일시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의 관통구(120a)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02a)는 제조가 용이하도록 일부를 커팅하고 절곡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02a)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02a)의 양측에 상기 브라켓(100)을 상기 수직부재(12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나사(130)를 삽입하기 위한 결합나사공(102b)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면(102)은 양측에 내측으로 날개(10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108)는 상기 수평부재(120)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수평부재(120) 선단의 위치가 명확해짐으로 작업을 규격대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면(104)은 상기 수직면(102)의 하단에 상기 수직면(10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면(104)은 상기 수직면(102)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직면(102)과 30°, 45° 60°등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면(104)은 상기 수평부재(102)를 상기 하부면(104)에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나사(132)를 삽입하기 위한 장공(104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면(104)에 형성된 장공(104a)은 지진이 발생하여도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나사(130)가 이동하므로 구조물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면(104)은 일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톱파(104b)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파(104b)는 상기 수평부재(120)가 고정된 후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106)은 상기 수직면(102)의 상단에 상기 수직면(10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106)은 상기 수직면(102)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직면(102)과 30°, 45° 60°등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면(106)은 상기 수평부재(120)를 상기 상부면(106)에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나사(134)를 삽입하기 위한 장공(106a)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면(106a)에 형성된 장공(106a)은 지진이 발생하여도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나사(132)가 이동하므로 구조물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106)은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톱파(106b)가 형성된다. 이 스톱파(106b)는 상기 수평부재(120)가 브라켓(100)에 고정된 후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톱파(104b, 106b)는 하부면(104)과 상부면(106)에 모두 분리되어 설치되었지만 필요에 따랑 하부면(104) 또는 상부면(106)에 하나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톱파(104b, 106b)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면(104)과 상부면(106) 사이에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를 작업자가 일측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직부재(120)의 관통구(120a) 상부로 이동시킨 후 관통구(120a)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가 수직부재(120)의 관통구(120a)에 억지끼움되어 있으므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수직부재(120)에 브라켓(100)이 고정되면 결합나사(130)를 결합나사공(102b)에 삽입한 후 나사를 죄어서 브라켓(100)을 수직부재(110)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10)를 하부면(104)에 안착시킨 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부재(110)의 선단이 날개(108)와 밀착되도록 한다. 수평부재(110)의 선단이날개(108)와 밀착되면 결합나사(132)를 상부면(106)의 장공(106a)에 삽입한 후 결합나사(132)를 죄어서 수평부재(120)가 브라켓(100)의 상부면(106)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20)가 상부면(106)에 고정되면 결합나사(134)를 하부면(104)의 장공(104a)에 삽입한 후 결합나사(134)를 죄어서 수평부재(110)가 브라켓(100)의 하부면(104)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가 교차되는 개소에 각각 브라켓(100)을 개재시킨 후 결합나사(130, 132, 134)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하지트러스를 완성한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20) 및 상기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20)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0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재와 브라켓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른 수직부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부재(220)는 상기 수평부재(110)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사각파이프로서 후술하는 상기 브라켓(100)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트렌치(220a)로서 단면이 폐곡선으로 이루어져 전단하중이나 좌굴하중에도 내구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렌치이 폭은 상기 브라켓(100)이 수직부재(220)에 일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100)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가 억지끼워맞춤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를 작업자가 일측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직부재(220)의 트렌치(220a)로 이동시킨 후 트렌치(220a)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수직면(102)의 돌출부(102a)가 수직부재(220)의 트렌치(220a)에 억지끼움 되어 있으므로 브라켓(100)이 수직부재(220)에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수직부재(200)에 브라켓(100)이 고정되면 결합나사(130)를 결합나사공(102b)에 삽입한 후 나사를 죄어서 브라켓(100)을 수직부재(220)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10)를 하부면(104)에 안착시킨 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부재(110)의 선단이 날개(108)와 밀착되도록 한다. 수평부재(110)의 선단이날개(108)와 밀착되면 결합나사(132)를 상부면(106)의 장공(106a)에 삽입한 후 결합나사(132)를 죄어서 수평부재(120)가 브라켓(100)의 상부면(106)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10)가 상부면(106)에 고정되면 결합나사(134)를 하부면(104)의 장공(104a)에 삽입한 후 결합나사(134)를 죄어서 수평부재(110)가 브라켓(100)의 하부면(104)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20)가 교차되는 개소에 각각 브라켓(100)을 개재시킨 후 결합나사(130, 132, 134)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하지트러스를 완성한다.
100 : 브라켓
102 : 수직면 102a : 돌출부 102b : 결합나사공
104 : 하부면 104a : 장공 104b : 스톱파
106 : 상부면 106a : 장공 106b : 스톱파
108 : 날개
110 : 수평부재
120, 220 : 수직부재 120a : 관통구
130, 132, 134 : 결합나사
220a : 트렌치
102 : 수직면 102a : 돌출부 102b : 결합나사공
104 : 하부면 104a : 장공 104b : 스톱파
106 : 상부면 106a : 장공 106b : 스톱파
108 : 날개
110 : 수평부재
120, 220 : 수직부재 120a : 관통구
130, 132, 134 : 결합나사
220a : 트렌치
Claims (4)
-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 형성된 하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수직면의 배면에 돌출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일측에 스톱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면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된 홈은 단면이 폐곡선이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결합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설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976A KR20200112460A (ko) | 2019-03-22 | 2019-03-22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976A KR20200112460A (ko) | 2019-03-22 | 2019-03-22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460A true KR20200112460A (ko) | 2020-10-05 |
Family
ID=7280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2976A KR20200112460A (ko) | 2019-03-22 | 2019-03-22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246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0674B1 (ko) * | 2021-02-02 | 2022-03-08 | 신성호 | 무용접 각관 연결용 브라켓 |
KR102471118B1 (ko) * | 2021-07-26 | 2022-11-25 | 신성호 | 무용접 각관 연결용 멀티브라켓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2143A (ko) | 2013-12-19 | 2015-06-2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
-
2019
- 2019-03-22 KR KR1020190032976A patent/KR202001124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2143A (ko) | 2013-12-19 | 2015-06-2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0674B1 (ko) * | 2021-02-02 | 2022-03-08 | 신성호 | 무용접 각관 연결용 브라켓 |
KR102471118B1 (ko) * | 2021-07-26 | 2022-11-25 | 신성호 | 무용접 각관 연결용 멀티브라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4075B1 (ko) |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 |
US7703244B2 (en) | Joint structure using a gusset plate, a building using the joint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or reinforcing a building | |
KR101921006B1 (ko) |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 |
KR20150072142A (ko) |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 |
KR20200112460A (ko)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 |
KR101963347B1 (ko)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 |
JP2824045B2 (ja) | 外壁パネル取付構造 | |
KR100910163B1 (ko) |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 |
KR20200112459A (ko) |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 | |
JP3686701B2 (ja) | Alcパネル縦壁の取付構造 | |
JP4260736B2 (ja) | スチールハウスの耐力壁構造 | |
KR101960197B1 (ko) | 변위추종 바탕틀을 갖는 태양전지판 모듈 | |
JP7146427B2 (ja) | ボード取付金物および建物の室内構造 | |
JP6727090B2 (ja) |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 |
KR101273087B1 (ko) |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 |
JP2024041598A (ja) | 壁パネルの取付部材、壁パネルの取付構造体、建物および壁パネルの取付工法 | |
KR102543329B1 (ko) | 양방향 무용접 고정브라켓 | |
JP2004076479A (ja) | 鋼管柱と鋼管梁の接合構造 | |
KR102693275B1 (ko) | 내진 외벽 패널 조립체 | |
KR200373813Y1 (ko) | 조립식 벽체 | |
JPH11166305A (ja) | 手すり壁構造 | |
JP7164080B2 (ja) | トップライト構造及びトップライト施工方法 | |
JP6564278B2 (ja) | 小屋裏界壁パネルの接続構造 | |
JP2829257B2 (ja) | 建築用コーナーパネル | |
JP3295913B2 (ja) | 建物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