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064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9064A KR20200099064A KR1020190123696A KR20190123696A KR20200099064A KR 20200099064 A KR20200099064 A KR 20200099064A KR 1020190123696 A KR1020190123696 A KR 1020190123696A KR 20190123696 A KR20190123696 A KR 20190123696A KR 20200099064 A KR20200099064 A KR 202000990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plate
- front cover
- reel body
- right direction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파밍하였을 때에, 릴 본체가 전방(前方)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릴 본체를 지탱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와 핸들(4)을 구비한다. 릴 본체(2)는, 제1 측판(6a)과, 제1 측판(6a)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6b)과,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의 사이에 배치된 장대 장착부(6d)와,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의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前) 커버(9)를 가진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위치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와 핸들(4)을 구비한다. 릴 본체(2)는, 제1 측판(6a)과, 제1 측판(6a)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6b)과,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의 사이에 배치된 장대 장착부(6d)와,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의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前) 커버(9)를 가진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의 핸들을 조작하는 손과 반대 측의 손으로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파지(把持)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파밍(palming)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파밍할 때에,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을 릴 본체의 하방(下方)으로부터 핸들 측으로 펴도록 하여 릴 본체가 낚싯대와 함께 파지된다.
근년(近年)에는, 양 베어링 릴의 콤팩트화가 진행되고 있다. 콤팩트화된 양 베어링 릴에서는, 종래와 같이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을 릴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핸들 측으로 펴도록 하여 파밍하였을 경우,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이 남는다고 하는 경향이 있고, 파밍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파밍하였을 때에 릴 본체가 전방(前方)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릴 본체를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의 장대 장착부에 큰 부담이 걸려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파밍하였을 때에, 릴 본체가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릴 본체를 지탱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하고, 릴 본체와 핸들을 구비한다. 릴 본체는, 제1 측판과, 제1 측판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과,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사이에 배치된 장대 장착부와,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前) 커버를 가진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의 선단부의 중심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의 중심보다도 제1 측판 측에 위치한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의 선단부의 중심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의 중심보다도 제1 측판 측에 위치한다. 즉,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의 선단부의 중심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의 중심보다도 핸들 측으로 치우쳐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을 전 커버에 대어 파밍하였을 때에,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의 제1 관절 부근을 전 커버의 선단부에 걸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파밍하였을 때에, 릴 본체가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릴 본체를 확실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파밍하였을 때에,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이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릴 본체는, 전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상방(上方)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배치된 섬 레스트(thumb rest)를 더 가진다. 섬 레스트는, 제2 측판 측으로부터 릴 본체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놓는 손가락 놓음부를 가진다. 손가락 놓음부는, 전 커버의 선단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파밍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손가락 놓음부에 놓았을 때에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보다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놓음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의 중심보다도 제1 측판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손가락 놓음부가 전 커버의 선단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파밍하였을 때의 릴 본체의 파지성이 향상한다.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놓음부는, 상방으로부터 전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는,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로 릴 본체를 파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릴 본체는, 제2 측판의 측방(側方)을 덮는 제2 측 커버를 더 가진다. 전 커버는, 선단부로부터 제1 측판을 향하여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제1 만곡부와, 선단부로부터 제2 측판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연장되고 제2 측 커버에 매끄럽게 접속되는 제2 만곡부를 가진다. 이 경우는,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을 전 커버에 대어 파밍하였을 때의 릴 본체의 파지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밍하였을 때에, 릴 본체가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릴 본체를 지탱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3은 양 베어링 릴의 부분 저면도.
도 4는 섬 레스트의 사시도.
도 5는 파밍하였을 때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3은 양 베어링 릴의 부분 저면도.
도 4는 섬 레스트의 사시도.
도 5는 파밍하였을 때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양 베어링 릴(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양 베어링 릴(100)의 부분 저면도이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前), 그 반대 방향을 후(後)라고 한다. 또한, 좌우란, 양 베어링 릴(100)을 후방(後方)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우를 말한다. 또한, 양 베어링 릴(100)의 낚싯대(20)(도 2 참조)가 장착되는 측을 하(下), 그 반대 측을 상(上)이라고 한다.
양 베어링 릴(10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하다. 양 베어링 릴(100)은, 예를 들어, 베이트 캐스트(bait cast)용의 소형의 양 베어링 릴이다.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와, 스풀(3)과, 핸들(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프레임(6)과, 제1 측 커버(7)와, 제2 측 커버(8)와, 전 커버(9)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릴 본체(2)는, 섬 레스트(10)를 더 가지고 있다. 덧붙여, 릴 본체(2)는,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이 전 커버(9)의 전면에 댈 수 있는 것 같은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6)은,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과, 복수의 연결부(6c)와, 장대 장착부(6d)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6a)은, 프레임(6)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판(6b)은, 제1 측판(6a)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6)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부(6c)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을 연결하고 있다. 복수의 연결부(6c)는, 제1 측판(6a) 및 제2 측판(6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대 장착부(6d)는,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의 사이에 배치되고, 프레임(6)의 하측(下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대 장착부(6d)는, 복수의 연결부(6c)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대 장착부(6d)에는, 낚싯대(20)가 장착된다.
제1 측 커버(7)는, 프레임(6)의 우측방(右側方)에 배치되고, 프레임(6)의 제1 측판(6a)의 우측방을 덮는다. 제2 측 커버(8)는, 프레임(6)의 좌측방(左側方)에 배치되고, 프레임(6)의 제2 측판(6b)의 좌측방을 덮는다.
전 커버(9)는, 프레임(6)의 앞쪽에 배치되고,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의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다. 전 커버(9)는, 프레임(6)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전 커버(9)는,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이 전 커버(9)의 전면에 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 커버(9)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6)의 앞쪽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원호상(圓弧狀)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 커버(9)는, 선단부(9a)와, 제1 만곡부(9b)와, 제2 만곡부(9c)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단부(9a)는, 전 커버(9)에 있어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제1 측판(6a) 및 제2 측판(6b)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단부(9a)는, 제1 만곡부(9b)와 제2 만곡부(9c)가 교차하는 부분이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전 커버(9)를 보았을 때의 전 커버(9)의 정점(頂點)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선단부(9a)는,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이 접촉 가능하다. 선단부(9a)의 전면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만곡부(9b) 및 제2 만곡부(9c)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선단부(9a)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전 커버(9)를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1 만곡부(9b)는, 선단부(9a)로부터 제1 측판(6a)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만곡부(9c)는, 선단부(9a)로부터 제2 측판(6b)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만곡부(9c)는, 제2 측 커버(8)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만곡부(9c)의 곡률은, 제1 만곡부(9b)의 곡률과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만곡부(9c)의 곡률은, 제1 만곡부(9b)의 곡률보다도 작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위치한다. 즉,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핸들(4) 측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선(CL1)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이란,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전 커버(9)의 정점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덧붙여, 중심선(CL1)은, 낚싯대(20)의 축심(Ax)과 평행으로 또한 상하 방향으로 겹친다. 따라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낚싯대(20)의 축심(Ax)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위치한다.
도 4는, 섬 레스트(1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 레스트(10)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U자상(狀)인 형상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6)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섬 레스트(10)는, 프레임(6)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섬 레스트(10)는, 프레임(6)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섬 레스트(10)는, 제1 측 섬 레스트부(10a)와, 제2 측 섬 레스트부(10b)와, 전 섬 레스트부(10c)를 가지고 있다. 제1 측 섬 레스트부(10a)는, 제1 측판(6a)의 상부를 덮는다. 제2 측 섬 레스트부(10b)는, 제2 측판(6b)의 상부를 덮는다. 전 섬 레스트부(10c)는, 전 커버(9)의 적어도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배치되고, 제1 측 섬 레스트부(10a)와 제2 측 섬 레스트부(10b)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 섬 레스트부(10c)는, 전 커버(9)의 선단부(9a)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전 커버(9)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다. 전 섬 레스트부(10c)는, 전 커버(9)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섬 레스트(10)는,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놓음부(10d)를 더 가지고 있다. 손가락 놓음부(10d)는, 제2 측판(6b) 측으로부터 릴 본체(2)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도 5 참조)을 놓는 장소이고, 전 커버(9)의 선단부(9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놓음부(10d)는,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의 제1 관절 부근을 전 커버(9)의 선단부(9a)에 걸었을 때에, 릴 본체(2)를 파지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손가락 놓음부(10d)는, 전 섬 레스트부(10c)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전 커버(9)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손가락 놓음부(10d)는, 전 섬 레스트부(10c)의 상면에 있어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전 커버(9)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놓음부(10d)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제1 측판(6a)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3)은,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과의 사이에서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3)은, 줄 감기 몸통부(3a)와, 한 쌍의 플랜지부(3b)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3a)는,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긴다. 한 쌍의 플랜지부(3b)는, 줄 감기 몸통부(3a)의 양단(兩端)에 있어서, 줄 감기 몸통부(3a)의 외경(外徑)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줄 감기 몸통부(3a)의 중심선(CL2)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손가락 놓음부(10d)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줄 감기 몸통부(3a)의 중심선(CL2)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줄 감기 몸통부(3a)의 중심선(CL2)은, 낚싯대(20)의 축심(Ax)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선(CL1)과 겹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양 베어링 릴(10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의 줄 감기 몸통부(3a)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는 왕복 이동 기구(15)를 구비하고 있다. 왕복 이동 기구(15)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 구멍(15a)을 가지고 있다. 안내 구멍(15a)은, 양 베어링 릴(100)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 커버(9)와 섬 레스트(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4)은, 제1 측판(6a) 측에 있어서,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4)의 회전은, 주지(周知)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스풀(3)에 전달된다.
도 5는, 파밍하였을 때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4)이 제1 측판(6a) 측(우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왼손에 의하여 파밍된다.
상기 구성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을 전 커버(9)의 전면에 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0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핸들(4) 측에 치우쳐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밍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을 전 커버(9)의 전면에 대어 파밍하였을 때에,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의 제1 관절 부근을 전 커버(9)의 선단부(9a)에 걸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가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릴 본체(2)를 확실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이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릴 본체(2)를 낚싯대(20)와 함께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100)은, 손가락 놓음부(10d)가 전 커버(9)의 선단부(9a)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 놓음부(10d)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제1 측판(6a) 측에 치우쳐 있다. 이 때문에, 파밍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손가락 놓음부(10d)에 놓았을 때에 릴 본체(2)를 낚싯대(20)와 함께 보다 강고하게, 또한 안정된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전 커버(9)의 제2 만곡부(9c)가 제2 측 커버(8)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파밍한 손의 집게손가락을 전 커버(9) 및 제2 측 커버(8)에 대기 쉬워지고, 릴 본체(2)의 파지성이 높아진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 형태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6)의 우측에 배치된 측판을 제1 측판(6a), 프레임(6)의 좌측에 배치된 측판을 제2 측판(6b)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프레임(6)의 좌측에 배치된 측판이 제1 측판(6a), 프레임(6)의 우측에 배치된 측판이 제2 측판(6b)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핸들(4)은 프레임(6)의 좌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9)의 선단부(9a)의 중심(C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장대 장착부(6d)의 중심(C2)보다도 제1 측판(6a) 측(좌측)에 위치하는 구성이 된다.
2: 릴 본체
4: 핸들
6a: 제1 측판
6b: 제2 측판
8: 제2 측 커버
6d: 장대 장착부
9: 전 커버
9a: 선단부
9b: 제1 만곡부
9c: 제2 만곡부
10: 섬 레스트
10d: 손가락 놓음부
100: 양 베어링 릴
4: 핸들
6a: 제1 측판
6b: 제2 측판
8: 제2 측 커버
6d: 장대 장착부
9: 전 커버
9a: 선단부
9b: 제1 만곡부
9c: 제2 만곡부
10: 섬 레스트
10d: 손가락 놓음부
100: 양 베어링 릴
Claims (5)
-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사이에 배치된 장대 장착부와,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前) 커버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제1 측판 측에 배치된 핸들
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전 커버의 선단부의 중심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대 장착부의 중심보다도 상기 제1 측판 측에 위치하는,
양 베어링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전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상방(上方)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배치된 섬 레스트(thumb rest)를 더 가지고,
상기 섬 레스트는, 상기 제2 측판 측으로부터 상기 릴 본체를 파지(把持)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놓는 손가락 놓음부를 가지고,
상기 손가락 놓음부는, 상기 전 커버의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놓음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대 장착부의 중심보다도 상기 제1 측판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놓음부는, 상방으로부터 상기 전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형상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제2 측판의 측방(側方)을 덮는 제2 측 커버를 더 가지고,
상기 전 커버는,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1 측판을 향하여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제1 만곡부와,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2 측판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측 커버에 매끄럽게 접속되는 제2 만곡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23668A JP7186633B2 (ja) | 2019-02-13 | 2019-02-13 | 両軸受リール |
JPJP-P-2019-023668 | 2019-02-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9064A true KR20200099064A (ko) | 2020-08-21 |
Family
ID=7223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3696A KR20200099064A (ko) | 2019-02-13 | 2019-10-07 | 양 베어링 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7186633B2 (ko) |
KR (1) | KR2020009906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92170A1 (en) * | 2020-12-21 | 2022-06-23 | Globeride, Inc. | Dual-bearing ree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25714B2 (ja) | 1994-02-21 | 2002-09-17 | 株式会社リコー |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25174B2 (ja) * | 1995-12-13 | 2002-09-17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
JP3031518U (ja) * | 1996-03-21 | 1996-11-29 |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 釣用リールのサムレスト |
JPH11113461A (ja) * | 1997-10-09 | 1999-04-27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 |
JP2000245316A (ja) * | 1999-02-25 | 2000-09-12 | Shimano Inc | 電動リール及びそれに接続されるコード |
JP4514051B2 (ja) * | 2005-10-13 | 2010-07-28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 |
KR101185103B1 (ko) * | 2009-06-08 | 2012-09-26 |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
JP2011024527A (ja) * | 2009-07-28 | 2011-02-10 | Globeride Inc | 魚釣用リール |
JP5427166B2 (ja) * | 2010-12-28 | 2014-02-26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 |
-
2019
- 2019-02-13 JP JP2019023668A patent/JP7186633B2/ja active Active
- 2019-10-07 KR KR1020190123696A patent/KR202000990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25714B2 (ja) | 1994-02-21 | 2002-09-17 | 株式会社リコー |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92170A1 (en) * | 2020-12-21 | 2022-06-23 | Globeride, Inc. | Dual-bearing reel |
US11785929B2 (en) * | 2020-12-21 | 2023-10-17 | Globeride, Inc. | Dual-bearing r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129977A (ja) | 2020-08-31 |
JP7186633B2 (ja) | 2022-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26823B2 (ja) | 魚釣用リール | |
JP2010273629A (ja)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
KR20200099064A (ko) | 양 베어링 릴 | |
KR100737883B1 (ko) | 양 베어링 릴 | |
KR20200109240A (ko) |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 | |
CN112931440B (zh) | 旋压绕线轮的线引导机构 | |
US11102966B2 (en) | Dual-bearing reel | |
CN111418564B (zh) | 双轴承渔线轮 | |
CN101755717A (zh) | 纺车型渔线轮的线卡止件 | |
KR20130110006A (ko) |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 |
CN111937825B (zh) | 双轴承渔线轮 | |
JP2008092809A (ja) | 浮き止めとそれを用いた釣り用浮き | |
KR102299617B1 (ko) | 낚시용 걸이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 |
JP2021185802A (ja) | 釣竿 | |
US7222809B1 (en) | Bail assembly for spinning reel | |
US20240315222A1 (en) | Fishing spinning reel | |
JP2024039797A (ja) | 釣糸ガイド及び釣竿 | |
JP3314132B2 (ja) |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 |
JP4400826B2 (ja) | 振出式の中通し竿 | |
JP3963815B2 (ja) | 釣竿及び釣竿用尻栓 | |
JP3154238U (ja) | 釣り竿受け | |
JP5363672B1 (ja) | 釣用天秤 | |
JP2005130707A (ja) | 糸ふけ防止部材 | |
JP2021108628A (ja) | 振出式の釣竿及び釣竿セット | |
JPH10327728A (ja) | フライフィッシング用のティペット巻取り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