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99961A -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961A
KR20200099961A KR1020197035584A KR20197035584A KR20200099961A KR 20200099961 A KR20200099961 A KR 20200099961A KR 1020197035584 A KR1020197035584 A KR 1020197035584A KR 20197035584 A KR20197035584 A KR 20197035584A KR 20200099961 A KR20200099961 A KR 2020009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layer
mrad
wedg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토 요시모토
유우스케 오오타
고지 기도
히로미츠 니시노
스스무 하야세
준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02B2027/0121Parasitic image effect attenuation by suitable positioning of the parasit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a combiner of particular shape, e.g. curv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상기 일단부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타단부를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이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고,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크다.

Description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상기 접합 유리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가 알려져 있다. HUD에서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래스에,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인 속도 등의 계측 정보 등을 표시시킬 수 있어, 운전자는 프론트 글래스의 전방에 표시가 비추어지고 있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HUD에서는, 계측 정보 등이 이중으로 보인다는 문제가 있다.
이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쐐기상의 중간막이 사용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소정의 쐐기각을 갖는 쐐기상의 중간막이 끼워 넣어진 접합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 유리에서는, 중간막의 쐐기각의 조정에 의해, 하나의 유리판에서 반사되는 계측 정보의 표시와, 다른 유리판에서 반사되는 계측 정보의 표시를, 운전자의 시야에서 1점에 묶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계측 정보의 표시가 이중으로 보이기 어려워,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기 어렵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쐐기상의 유리판과, 직사각형의 유리판 사이에, 직사각형의 중간막이 끼워 넣어진 접합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쐐기상의 유리판과 쐐기상의 유리판 사이에, 직사각형의 중간막이 끼워 넣어진 접합 유리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평4-502525호 공보 WO2017/090561A1
HUD에서는, 계측 정보 등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중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 요망된다. 다중상이란, 예를 들어, 정보 표시 기기로부터의 정보 조사에 의해 다중상이 관찰되는 현상이다.
HUD의 다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접합 유리의 쐐기각의 엄격한 제어가 중요하다. 또한, 접합 유리는, 트랙이나 버스 등의 프론트 글래스에 사용되고 있다. 트랙이나 버스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는 크다. 설치 각도가 큰 경우에는, 다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접합 유리의 쐐기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종래, 다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접합 유리에 사용하는 쐐기상의 중간막의 쐐기각이 조정되거나, 접합 유리에 사용하는 쐐기상의 유리판의 쐐기각이 조정되거나 하고 있다.
그러나, 쐐기상의 중간막의 쐐기각이나, 쐐기상의 유리판의 쐐기각을 각각 단독으로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다중상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서는, 쐐기각이 큰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서, 중간막의 쐐기각을 크게 하면, 중간막의 표면 형상이 변동되기 쉬워, 중간막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단순히 중간막의 쐐기각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다중상이 억제된 접합 유리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상기 일단부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타단부를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이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고,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큰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0.10mrad 이상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상기 중간막의 적어도 2층이 각각,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1.5mrad를 초과하는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1.85mrad를 초과하는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가 2.0mrad를 초과하는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이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된 제3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상기 일단부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타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상기 일단부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타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크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접합 유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다.
상기 중간막은,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중간막의 일단부는, 상기 접합 유리의 일단부측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중간막의 타단부는, 상기 접합 유리의 타단부측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크므로,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유닛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접합 유리에 반사시켰을 때에, 다중상의 발생이 상당히 억제된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속도 등의 계측 정보 등을, 인스트루멘탈·패널의 표시 유닛으로부터, 프론트 글래스에 비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의 운전자가 시야를 낮출 일 없이, 전방의 시야와 계측 정보를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트랙이나 버스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는 크다. 설치 각도가 큰 경우에는, 쐐기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크므로, 해당 중간막 이외의 부재가 어느 정도의 쐐기각을 가져서, 중간막 단독으로 쐐기각을 크게 하는 경우보다도, 중간막의 쐐기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을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트랙이나 버스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가 큰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쐐기상의 접합 유리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에서는,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있어도 되고, 0.10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쐐기상의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되고, 직사각형의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에 있어서의 「쐐기각」은, 제1 접합 유리 부재 전체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전체에서의 쐐기각을 의미한다.
중간막은,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중간막은, 통상, 쐐기상의 중간막이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바람직하게는 0.05mrad 이상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mrad 이상 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mrad 이상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mra 이상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mrad 이상 크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바람직하게는 0.05mrad 이상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mrad 이상 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mrad 이상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mra 이상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mrad 이상 크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단층의 중간막이어도 되고, 다층의 중간막이어도 된다.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에서는, 중간막의 적어도 1층이,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적어도 2층이 각각,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0.2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의 적어도 3층이 각각,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은, 0.3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의 경우에는, 상기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중간막의 전체층 중의 가장 쐐기각이 큰 층의 쐐기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는,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상기 표시 영역은 정보를 양호하게 표시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은, 정보를 양호하게 표시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중간막은 HUD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접합 유리와, 화상 표시용의 광을 접합 유리에 조사하기 위한 광원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에 있어서, 대시보드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표시 영역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바람직하게는 0.10mrad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mrad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mrad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2.0mrad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rad 이하이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0mrad 이상(0mrad일 때는 쐐기상이 아니다)이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은, 바람직하게는 0mrad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mrad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mrad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mrad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2.0mrad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rad 이하이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은,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이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은, 바람직하게는 0.1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0.20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0.2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rad 이상이다. 다중상을 더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1.5mad 초과, 바람직하게는 1.85mrad 이상, 바람직하게는 1.85mrad 초과이다. 또한,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이 클수록, 설치 각도가 큰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바람직하게는 0.10mrad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0.20mrad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0.25mrad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0.5mrad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1.0mrad를 초과한다. 다중상을 더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5mrad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1.85mrad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2.0mrad를 초과한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클수록, 설치 각도가 큰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경량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바람직하게는 5mrad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mrad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mrad 미만이다.
접합 유리의 쐐기각 θ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접합 유리의 제1 표면(한쪽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과,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접합 유리의 제2 표면(다른 쪽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과의 교점에 있어서의 내각이다. 또한, 최대 두께 부분이 복수 있거나, 최소 두께 부분이 복수 있거나, 최대 두께 부분이 일정한 영역에 있거나, 또는 최소 두께 부분이 일정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쐐기각 θ를 구하기 위한 최대 두께 부분 및 최소 두께 부분은, 구해지는 쐐기각 θ가 가장 커지도록 선택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 제2 접합 유리 부재, 및 중간막의 쐐기각은, 접합 유리의 쐐기각과 마찬가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 접합 유리의 쐐기각 θ는, 이하와 같이 근사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최대 두께 부분과 상기 최소 두께 부분의 각각에서 중간막, 제1 접합 유리 부재, 제2 접합 유리 부재, 접합 유리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 최대 두께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와, 상기 최소 두께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의 차의 절댓값(㎛)÷상기 최대 두께 부분부터 상기 최소 두께 부분까지의 거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쐐기각을 근사적으로 산출한다.
또한, 완전 직사각형의 접합 유리 부재에 있어서의 쐐기각은 0mrad이다. 쐐기상의 접합 유리 부재가 아닐 경우에 0mrad의 각도도 쐐기각이라고 칭한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 상기 중간막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로서는, 접촉식 두께 계측기 「TOF-4R」(야마분 덴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두께의 측정은, 상술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막 반송 속도 2.15 내지 2.25㎜/분으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최단 거리가 되도록 행한다.
상기 중간막을 접합 유리로 한 후의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 제1 접합 유리 부재, 제2 접합 유리 부재, 접합 유리의 쐐기각 θ, 상기 중간막의 두께,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 접합 유리의 두께의 측정에, 적당한 측정기가 사용된다. 해당 측정기로서는, 비접촉 다층 막 두께 측정기 「OPTIGAUGE」(루메트릭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인채로, 중간막, 제1 접합 유리 부재,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투명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2.5% 이상이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접합 유리의 타단부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20㎝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 및 내관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접합 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다. 경량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접합 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이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의 (a)는 도 1의 (b) 중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a), 도 1의 (b), 도 2 및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의 크기 및 치수는, 도시의 편의상, 실제의 크기 및 형상으로부터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도 1의 (a), 도 1의 (b), 도 2 및 후술하는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두께, 그리고 쐐기각(θ)은 실제의 두께 및 쐐기각과는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a), 도 1의 (b), 도 2 및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 상이한 개소는 서로 치환 가능하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는, 접합 유리(1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접합 유리(11A)가 도시되어 있다.
접합 유리(11, 11A)는,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접합 유리(11, 11A)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도 크다. 따라서, 접합 유리(11, 11A)는,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접합 유리(11, 11A)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접합 유리(11, 11A)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R1)을 갖는다.
접합 유리(11, 11A)는, 표시 영역(R1)의 옆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접합 유리(11, 11A)는, 표시 영역(R1)과 이격되고,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접합 유리(11, 11A)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와, 중간막(1)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를 구비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와, 중간막(1)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는, 이 순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막(1)은 3층의 구조를 갖는다. 중간막(1)은 제2 층(22)과, 제1 층(21)과, 제3 층(23)을 구비한다. 제2 층(22)과, 제1 층(21)과, 제3 층(23)은, 이 순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층(21)은 제2 층(22)과 제3 층(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층(22)은 제1 층(21)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층(23)은 제1 층(21)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는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2 접합 유리 부재(3)는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중간막(1)은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고, 구체적으로는 0.2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1 층(21)은 직사각형이며, 0.10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2 층(22) 및 제3 층(23)은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A)와, 중간막(1A)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A)를 구비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A)와, 중간막(1A)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A)는, 이 순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A)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A)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A)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막(1A)은 3층의 구조를 갖는다. 중간막(1A)은 제2 층(22A)과, 제1 층(21A)과, 제3 층(23A)을 구비한다. 제2 층(22A)과, 제1 층(21A)과, 제3 층(23A)은, 이 순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층(21A)은 제2 층(22A)과 제3 층(23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층(22A)은 제1 층(21A)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층(23A)은 제1 층(21A)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A)는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2 접합 유리 부재(3A)는 직사각형이며, 0.10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다. 중간막(1A)은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중간막(1A)은 웨지형이다. 제1 층(21A)은 직사각형이며, 0.10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2 층(22A) 및 제3 층(23A)은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3의 (b) 중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는, 접합 유리(11B)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접합 유리(11C)가 도시되어 있다.
접합 유리(11B, 11C)는,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접합 유리(11B, 11C)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도 크다. 따라서, 접합 유리(11B, 11C)는,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접합 유리(11B, 11C)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접합 유리(11B, 11C)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R1)을 갖는다.
접합 유리(11B, 11C)는, 표시 영역(R1)의 옆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접합 유리(11B, 11C)는, 표시 영역(R1)과 이격되고,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접합 유리(11B, 11C)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B)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B)와, 중간막(1B)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B)를 구비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B)와, 중간막(1B)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B)는, 이 순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B)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B)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B)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B)는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2 접합 유리 부재(3B)는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중간막(1B)은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고, 구체적으로는 0.2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도 4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C)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C)와, 중간막(1C)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C)를 구비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C)와, 중간막(1C)과, 제2 접합 유리 부재(3C)는, 이 순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C)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C)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C)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제1 접합 유리 부재(2C)는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제2 접합 유리 부재(3C)는 직사각형이며, 0.10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다. 중간막(1C)은 쐐기상이며,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는다.
도 1 내지 4에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균일한 중간막, 접합 유리 부재 및 접합 유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상이한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여도 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여도 되고,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여도 된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이거나, 또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상이한 부분을 갖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중간막이어도 되고,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짝이 되는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중간막이거나, 또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일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상이한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일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되고,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일 경우에,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이거나, 또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일 경우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상이한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된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일 경우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되고,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여도 된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일 경우에,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이거나, 또는 일단부측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접합 유리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일단부(얇은 측)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6㎝의 위치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에, 상기 표시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6㎝의 위치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의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접합 유리는,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영역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쐐기상 및 직사각형인지의 여부는,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층 또한 쐐기상의 중간막에 있어서는, 어느 층이 쐐기상이어도 된다. 다층 또한 쐐기상의 중간막에 있어서는, 1층만이 쐐기상이어도 되고, 복수의 층이 쐐기상이어도 된다.
다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6㎝의 위치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접합 유리는,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의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셰이드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상기 표시 대응 영역과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예를 들어, 태양광선 또는 옥외 조명 등에 의해, 운전중의 드라이버가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마련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차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중간막 또는 접합 유리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는, 색 및 가시광선 투과율을 바꾸거나 하기 위해서, 착색제 또는 충전제를 사용해도 된다. 착색제 또는 충전제는,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일부 영역에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중간막 또는 접합 유리의 두께 방향의 전체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를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여, 시야를 보다 한층 확장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도 낮아도 된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도,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높다.
또한, 예를 들어, 표시 대응 영역, 표시 영역 및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 대응 영역의 중심 위치, 표시 영역의 중간 위치 및 셰이드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측정된다.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211: 1998에 준거하여, 380 내지 780㎚에 있어서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범용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폭 방향이,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은, 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예를 들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MD 방향은, 중간막의 제조 시의 중간막의 흐름 방향이다. TD 방향은, 중간막의 제조 시의 중간막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중간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TD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의 일단부와 타단부 간의 거리를 X로 한다. 접합 유리는,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0X 내지 0.2X의 거리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0X 내지 0.2X의 거리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는,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0X 내지 0.1X의 거리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0X 내지 0.1X의 거리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는 일단부에 최소 두께를 갖고, 접합 유리는 타단부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는, 두께 균일 부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란,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하지 않은 부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두께가 전혀 변화하지 않았거나, 또는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 이하로 변화해 있는 부위를 말한다.
접합 유리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 X는, 바람직하게는 3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m 이상이다.
접합 유리의 제조 전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은, 롤상으로 감겨서, 중간막의 롤체로 되어도 된다. 롤체는, 권취 코어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은, 권취 코어의 외주에 감겨도 된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사이에 상기 중간막을 끼우고,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어서 감압 흡인하거나 한다. 이에 의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해서,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건축물용 또는 차량용의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래스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다른 상세를 설명한다.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며, 또한 상기 접합 유리가,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이 유리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및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를 대신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각각, 클리어 유리 또는 열선 흡수 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선 흡수 판유리는, 그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 흡수 판유리는, JIS R3208에 준거한 열선 흡수 판유리이다.
(중간막)
중간막의 평균 두께를 T로 한다. 상기 제1 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 바람직하게는 0.4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T 이하이다. 상기 제1 층의 평균 두께가 0.4T 이하이면, 굴곡 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0.3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는 각각, 0.46875T 이하여도 되고, 0.45T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 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열가소성 수지: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 (0)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2)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해, 접합 유리 부재 또는 다른 층에 대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기계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28몰%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1.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3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더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차음성을 더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한다.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구한다. 얻어진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구한다. 이의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 아세탈화도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중간막의 접착력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중간막(각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 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0)의 함유량을 함유량 (0)으로 한다. 상기 함유량 (0)는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을 함유량 (1)로 한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을 함유량 (2)로 한다. 상기 제3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을 함유량 (3)으로 한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차열성 물질: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차열성 물질은,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물질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에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물질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육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AT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더욱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가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차열 입자는, ITO 입자와 산화텅스텐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시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경」은, 체적 평균 입자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및 마그네슘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유리판 등의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마그네슘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중간막, 또는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대해서,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 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 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 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 1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르산 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금속염 이외의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설치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이하와 같이 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합 유리의 설치 방법은, 상기 접합 유리를, 건축물 또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 공간과 해당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 사이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한쪽이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다른 쪽이,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접합 유리를 개구부에 설치한다. 즉, 내부 공간/제1 접합 유리 부재(또는 제2 접합 유리 부재)/중간막/제2 접합 유리 부재(또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외부 공간의 순서로 배치되도록 접합 유리를 설치한다. 상기 배치 형태에는, 내부 공간과 제1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포함되고, 외부 공간과 제1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는, 아세탈화에, 탄소수 4의 n-부틸알데히드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해서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다.
(실시예 1, 2, 5 내지 8 및 비교예 1)
(중간막의 제작 방법)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이하의 성분을,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3000, 수산기의 함유율 22몰%, 아세틸화도 13몰%, 아세탈화도 6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60중량부
얻어지는 제1 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얻어지는 제1 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이하의 성분을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6몰%, 아세틸화도 0.9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38중량부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중간막의 제작: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표 1에 기재된 형상, 두께(최대 두께) 및 쐐기각이 되도록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층/제1 층/제3 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쐐기상의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제2 층/제1 층/제3 층의 평균 두께비는, 3.5:1.0:3.5였다. 제1, 제2, 제3 층은 모두 쐐기상이며, 제1, 제2, 제3 층의 각 쐐기각은, 각각 동일하였다.
(접합 유리의 제작 방법)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접합 유리에 대해서,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형상, 두께(최대 두께) 및 쐐기각을 갖는 클리어 유리(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를 준비한다.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유리판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는다. 얻어진 적층체를, EPDM제 고무 튜브(프레임 부재)에 끼워 넣는다. 고무 튜브의 폭은 15㎜이다. 이어서, EPDM제 고무 튜브에 끼워 넣어진 적층체를 진공백법에 의해 예비 압착한다.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50℃ 및 1.2MPa의 압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얻는다.
(실시예 3, 4, 9, 10 및 비교예 2)
(중간막의 제작 방법)
중간막(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이하의 성분을,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중간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6몰%, 아세틸화도 0.9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중간막의 제작:
중간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표 2에 기재된 형상, 두께(최대 두께) 및 쐐기각이 되도록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1층의 구조를 갖는 쐐기상의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접합 유리의 제작 방법)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접합 유리에 대해서,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의 표 2에 나타내는 형상, 두께(최대 두께) 및 쐐기각을 갖는 클리어 유리(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를 준비한다.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유리판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EPDM제 고무 튜브(프레임 부재)에 끼워 넣었다. 고무 튜브의 폭은 15㎜이다. 이어서, EPDM제 고무 튜브에 끼워 넣어진 적층체를 진공백법에 의해 예비 압착하였다.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50℃ 및 1.2MPa의 압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얻는다.
(평가)
(1) 다중상
얻어진 접합 유리를 프론트 글래스의 위치에 설치하였다. 설치 각도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60도로 하였다. 접합 유리의 하방에 설치한 표시 유닛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접합 유리에 반사시키고, 소정의 위치(표시 영역의 중앙)에서 다중상의 유무를 눈으로 봐서 확인하였다. 다중상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다중상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합 유리의 표시 영역의 중심을 포함하는 세로 750㎜, 가로 750㎜ 접합 유리 부분 영역에 대응하는 접합 유리(세로 750㎜, 가로 750㎜)를 제작하고, 해당 접합 유리를 프론트 글래스의 표시 영역에 설치하여 평가하였다.
[다중상의 판정 기준]
○○: 다중상이 확인되지 않는다
○: 다중상이 극히 조금 확인되지만, 실사용상 영향이 없는 레벨
×: ○○ 및 ○의 판정 기준에 상당하지 않는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접합 유리에서는, 제1 접합 유리 부재, 중간막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표 1, 2 중의 형상, 두께 및 쐐기각을 갖고 있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또한, 실시예 1, 2, 5 내지 8에서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대해서, 음향 투과 손실에 의해 차음성을 평가한 결과, 차음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1, 1A, 1B, 1C: 중간막
2, 2A, 2B, 2C: 제1 접합 유리 부재
3, 3A, 3B, 3C: 제2 접합 유리 부재
11, 11A, 11B, 11C: 접합 유리
11a: 일단부
11b: 타단부
21, 21A: 제1 층
22, 22A: 제2 층
23, 23A: 제3 층

Claims (14)

  1.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상기 일단부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타단부를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이 0.10mrad 이상 2.0mrad 이하의 쐐기각을 갖고,
    접합 유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큰, 접합 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큰, 접합 유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쐐기각이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보다도 0.10mrad 이상 큰, 접합 유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상기 중간막의 적어도 2층이 각각,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1.5mrad를 초과하는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1.85mrad를 초과하는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 유리가 2.0mrad를 초과하는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0.10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이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 접합 유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된 제3 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
KR1020197035584A 2017-12-19 2018-12-18 접합 유리 KR20200099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3267 2017-12-19
JP2017243267 2017-12-19
PCT/JP2018/046569 WO2019124374A1 (ja) 2017-12-19 2018-12-18 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961A true KR20200099961A (ko) 2020-08-25

Family

ID=6699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584A KR20200099961A (ko) 2017-12-19 2018-12-18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00316918A1 (ko)
EP (1) EP3730464A4 (ko)
JP (1) JP7201583B2 (ko)
KR (1) KR20200099961A (ko)
CN (1) CN111372904A (ko)
TW (1) TW201930078A (ko)
WO (1) WO2019124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208304A1 (en) * 2020-03-23 2024-06-27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Windshield
JP7436254B2 (ja) * 2020-03-23 2024-02-2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及びウインドシールド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525A (ja) 1989-10-16 1992-05-07 リビー―オーウェンズ―フォード・カンパニー 車輌のウィンドシールド用表示パネル
WO2017090561A1 (ja) 2015-11-24 2017-06-01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BRPI0711462B1 (pt) * 2006-05-12 2022-05-17 Sekisui Chemical Co., Ltd Filme para camada intermediária de um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4938913B2 (ja) * 2010-09-01 2012-05-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1594A (ja) * 2011-06-15 2013-01-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1613A (ja) * 2011-06-17 2013-01-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L3079901T3 (pl) * 2013-12-12 2021-02-08 Saint-Gobain Glass France Folia termoplastyczna dla szyby ze szkła wielowarstwowego z nieliniowo-ciągłą wkładką klinową w kierunku pionowym i poziomym
US10596785B2 (en) * 2014-09-29 2020-03-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6121559A1 (ja) * 2015-01-26 2016-08-04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EP3381880B1 (en) * 2015-11-24 2022-01-26 AGC Inc. Laminated glass
JP6402706B2 (ja) * 2015-12-08 2018-10-10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525A (ja) 1989-10-16 1992-05-07 リビー―オーウェンズ―フォード・カンパニー 車輌のウィンドシールド用表示パネル
WO2017090561A1 (ja) 2015-11-24 2017-06-01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0464A4 (en) 2021-09-15
US20200316918A1 (en) 2020-10-08
TW201930078A (zh) 2019-08-01
US20230166482A1 (en) 2023-06-01
EP3730464A1 (en) 2020-10-28
JPWO2019124374A1 (ja) 2020-10-22
JP7201583B2 (ja) 2023-01-10
CN111372904A (zh) 2020-07-03
WO2019124374A1 (ja)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0784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卷体及夹层玻璃
KR10260989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7039004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0013819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341992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818141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ロール体及び合わせガラス
JP6449524B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0013872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WO201717072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35018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747797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00099961A (ko) 접합 유리
KR102717613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7412173B2 (ja) 合わせガラス
WO2018070461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332271B2 (ja) 合わせガラス
JP7100975B2 (ja) 合わせガラス
JP6484351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ロール体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718446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10003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