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328A -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싱글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싱글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7328A KR20200097328A KR1020207020254A KR20207020254A KR20200097328A KR 20200097328 A KR20200097328 A KR 20200097328A KR 1020207020254 A KR1020207020254 A KR 1020207020254A KR 20207020254 A KR20207020254 A KR 20207020254A KR 20200097328 A KR20200097328 A KR 202000973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plate
- score
- region
- plate assembly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34—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01M2/043—
-
- H01M2/0473—
-
- H01M2/22—
-
- H01M2/34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가 제공된다.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커버 플레이트(110), 내부 전극 단자(109) 및 외부 전극 단자(112)를 포함하고, 내부 전극 단자(109)와 외부 전극 단자(112)는 전류 차단 장치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며, 전류 차단 장치는 스코어 부재(101) 및 플립핑 부재(102)를 포함하고, 플립핑 부재(102)는 스코어 부재(101)에 전기적 연결되고, 기압의 작용 하에 동작하여 스코어 부재(101) 상의 스코어를 파단 가능하며, 플립핑 부재(102)는 커버 플레이트(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3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번호 201711330223.4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언급된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배터리 기술 분야, 특히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셀, 셀을 사용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사용하는 파워 배터리 및 파워 배터리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서, 배터리는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파워 배터리는 새로운 에너지 자동차 등과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팩은 충전 및 방전을 달성하기 위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가질 수 있다. 파워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하는 동안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일반적으로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전하 상태를 계산한다. 전압 샘플링에 에러가 생기면 배터리 과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삼원 시스템의 경우 특히 그렇다. 일정 정도로 과충전하면 배터리 폭발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전류 적분 방법 및 개방 회로 전압 방법을 이용하여 배터리 레벨을 계산하여 배터리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그러나 배터리 전압 샘플링 실효 또는 전류 샘플링 실효 또는 소프트웨어 실효와 같은 단점도 있다. 결과적으로, 장기간 배터리 충전을 제어할 수 없으며, 특히 충전 파일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동안, 충전 파일과 배터리 관리자 간의 통신이 실효되면 과충전을 제어할 수 없다. 일정 정도로 과충전하면 배터리가 팽창되거나 심지어 폭발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를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전류 차단 기술을 제공하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셀, 셀을 사용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사용하는 파워 배터리 및 파워 배터리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상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셀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파워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파워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 방면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전극 단자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극 단자와 상기 외부 전극 단자는 전류 차단 장치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스코어 부재 및 플립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스코어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며, 기압의 작용 하에 동작하여 상기 스코어 부재 상의 스코어를 파단 가능하며,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플립핑 부재가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가스와의 접촉 면적이 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립핑 부재를 포함하는 전류 차단 장치의 커버 플레이트를 노출하는 일부가 폭 방향을 따라 커버 플레이트 밖으로 연장될 가능성을 줄이고, 커버 플레이트의 범위 내에 완전히 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 이외의 다른 장치에 대한 간섭을 피하고, 동시에 플립핑 감도를 보장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형 구조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는 호형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형 구조는 웨이스트형 구조 또는 타원형 구조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립핑 부재에는 상기 스코어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1 연결 영역 및 배터리의 상기 외부 전극 단자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연결 영역이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2 연결 영역이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콘 형상인 시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콘 형상의 소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영역을 형성하며 장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로부터 떨어진 상기 콘 형상의 대단부는 상기 제2 연결 영역을 형성하며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두께는 모두 상기 제1 연결 영역과 상기 제2 연결 영역 사이의 동작 영역의 두께보다 크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두께는 모두 0.3 mm ~3 mm이고, 상기 동작 영역의 두께는 0.05 mm~0.3 mm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립핑 부재에는 변형 완충 영역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 완충 영역은 상기 제1 연결 영역과 상기 제2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형 완충 영역은 상기 제1 연결 영역을 둘러싸는 링형 홈 구조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형 홈 구조의 반경 방향 단면은 호형 또는 각진 형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스코어가 형성되는 스코어 영역, 상기 플립핑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내부 전극 단자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용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는 상기 제1 용접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제2 용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코어가 배치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는 상기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제2 용접 영역이 배치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스코어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 상에 상기 제1 용접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는 상기 스코어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접 영역은 상기 보스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 영역에 평행되고, 상기 상면의 외주연에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 영역의 외주연에는 상기 보스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용접 영역은 상기 링 벽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높이 방향으로 상기 보스의 상부 가장자리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접 영역, 상기 스코어 영역 및 상기 제1 용접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플립핑 부재에 점차적으로 접근하는 단차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제1 용접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기 스코어 영역, 상기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제2 용접 영역은 서로 평행되며 각각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코어 영역의 외주연에는 상기 보스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접 영역은 상기 링 벽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 영역에 평행되고, 상기 제2 용접 영역의 외주연에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스의 측벽 및 상기 링 벽은 각각 상기 스코어 영역에 수직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극 단자는 상기 플립핑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내부 전극 단자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플립핑 부재의 외주연의 하측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 링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극 단자의 외주연은 상기 플립핑 부재의 외주연의 상측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지지 링 및 상기 외부 전극 단자는 각각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링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밖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제2 방면은 셀을 제공한다. 상기 셀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코어 및 상기 하우징을 캡슐화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이고, 상기 내부 전극 단자는 상기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가스 연통된다.
본 개시의 제3 방면은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고, 상기 재터리 모듈의 내부에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셀이 배치된다.
본 개시의 제4 방면은 팩 바디 및 상기 팩 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배터리 모듈이다.
본 개시의 제5 방면은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고, 전기 자동차에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파워 배터리가 배치된다.
상술한 기술방안에 따르면, 플립핑 부재가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 즉 커버 플레이트를 따른 플립핑 부재의 크기는 기타 방향을 따른 플립핑 부재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내부 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립핑 부재를 포함하는 전류 차단 장치의 커버 플레이트가 노출되는 일부가 폭을 따라 커버 플레이트 밖으로 연장될 가능성을 줄이고, 커버 플레이트의 범위 내에 완전히 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 이외의 다른 장치에 대한 간섭을 피하고, 동시에 플립핑 감도를 보장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 구체적 실시방식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이는 이하의 구체적 실시방식과 조합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방식에 기초한 본 개시에 따른 스코어 부재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방식에 기초한 본 개시에 따른 플립핑 부재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플립핑 부재의 개략적 부분 사시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플립핑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셀의 개략적 사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방식에 기초한 본 개시에 따른 스코어 부재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방식에 기초한 본 개시에 따른 플립핑 부재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플립핑 부재의 개략적 부분 사시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플립핑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셀의 개략적 사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 실시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 이해해야 할 것은 서술된 구체적 실시방식들은 단지 본 개시를 설명 및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반대의 설명이 없이, "상, 하, 좌, 우"와 같은 방향성 용어는 일반적으로 해당 첨부 도면의 도면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내, 외"는 해당 구성 요소의 윤곽의 내, 외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0),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를 사용하는 셀(200), 셀(200)을 사용하는 배터리 모듈(300), 배터리 모듈(300)을 사용하는 파워 배터리(400) 및 파워 배터리(400)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차단 장치는 배터리 내부 및 외부의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외부 전극 단자(112) 및 대응하는 내부 전극 단자(109) 사이에 배치된다. 셀(200)에서, 복수 개의 셀(200)은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300)을 구성하고, 배터리 팩에 배치되어 파워 배터리(400)를 형성할 수 있다. 파워 배터리(400)의 분야 외에,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술방안은 기타 배터리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 3 개의 실시방식을 사용하여 전류 차단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방식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방식들은 각각 복수 개의 셀(2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300)을 제공한다. 셀(200)은 하우징(111), 하우징에 수용되는 코어, 코어에 전기적 연결되는 내부 전극 단자(109) 및 하우징을 캡슐화하는 커버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전극 단자(112)는 커버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다양한 전극 리드아웃 부재(119)에 의해 전류 입력 및 출력을 완성하도록 한다. 전류 차단 장치는 외부 전극 단자와 내부 전극 단자(109)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 단자들의 전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셀(200)에서 전류 차단 장치가 통상 상태일 때, 코어는 도통 상태이다. 이 경우, 전극 단자들은 정상적으로 전류 입력 및 출력할 수 있어, 셀(200)의 충전 및 방전을 완성하도록 한다. 그러나, 배터리 과충전과 같은 위험한 상태에서, 전류 차단 장치는 전극 단자들의 전류 입력을 차단할 수 있음으로, 배터리 과충전 등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한 안전 수단으로서 전류 차단 장치의 신뢰성은 매우 중요하며, 즉, 전류 차단 장치가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다양한 실시방식에서 모든 전류 차단 장치는 기압을 감지하는 기계적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전류 차단 장치는 셀(200)의 하우징 내부와 가스 연통되며 기압의 작용 하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내부 구성 요소들의 연결을 끊음으로써 전류 전송이 중단될 수 있고, 따라서 배터리 충전 및 방전을 제때에 차단하도록 한다. 사용되는 기압의 소스는 다음과 같다: 배터리가 과충전 등 위험한 상태일 때 배터리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하우징 내부의 기압이 증가되거나, 배터리 사용과정에서 비정상으로 인해 배터리 온도가 상승하여 배터리 내부의 기압이 증가됨으로써, 전류 차단 장치를 구동하는 기압 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실시방식에서, 전류 차단 장치는 스코어 부재(101) 및 스코어 부재(101)에 전기적 연결되는 플립핑 부재(102)를 구비하며, 플립핑 부재(102)와 스코어 부재(1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기압의 작용 하에 차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 및 스코어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파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 미약한 스코어를 만듦으로써 구조를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코어 부재(101) 상에 스코어(104)를 형성한다. 즉, 내부 기압의 작용 하에서, 스코어(104)는 플립핑 부재(102)의 플립핑 동작에 의해 파단되어, 플립핑 부재와 스코어 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짐으로써 전류 전송이 중단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채택하는 이유는, 예로 파워 배터리(400) 분야에서 비교적 큰 흐름의 전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코어 부재(101)와 플립핑 부재(102) 사이의 용접 구조는 큰 전류가 용접 구조를 융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스코어 부재(101) 상에 스코어(104)를 배치, 즉 해당 부분에 다른 영역보다 강도가 약한 위크 부분을 만듦으로써, 스코어 부재(101)와 플립핑 부재(102)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스코어는 일반적으로 스코어 부재와 플립핑 부재 사이의 용접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되어, 스코어 부재와 플립핑 부재 사이의 완전한 분리를 보장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2 개의 실시방식에서의 스코어 부재(101) 및 플립핑 부재(10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전류 차단 장치의 스코어 부재를 제공한다. 스코어 부재(101)는 스코어(104)가 형성되는 스코어 영역(105), 플립핑 부재(102)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1 용접 영역(103) 및 내부 전극 단자(109)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용접 영역(107)을 포함한다. 플립핑 부재(102)는 기압의 작용 하에 동작하여 스코어(104)를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스코어 부재(101)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플립핑 부재(102)는 스코어(104)를 파단한 후, 플립핑 부재(102)와 제2 용접 영역(107)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됨으로써, 내부 전극 단자(109)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본 개시에서, 스코어(104)는 제1 용접 영역(103)을 둘러싸게 배치되며, 스코어(104)는 제1 용접 영역(103)을 둘러싸는 링 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용접 영역(103) 및 제2 용접 영역(107) 중 적어도 하나는 스코어(104)가 배치된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스코어(104)가 위치한 평면은 제1 용접 영역(103) 및/또는 제2 용접 영역(107)이 위치한 평면과 상이하므로, 플립핑 부재(102)로부터 전달 받은 외력이 스코어 부재(101)상의 스코어(104)에 대한 기계적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용접 영역(103) 및 제2 용접 영역(107)에서의 용접 응력이 스코어(104)가 위치된 영역에 대한 열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전류 차단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용접 영역(103)을 둘러싸는 스코어(104)는 배터리 내부의 기압의 작용 하에 파단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립핑 부재(102)와 스코어 부재(1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완전히 차단되어 전류를 차단시킨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어(104)는 제1 용접 영역(103) 및 제2 용접 영역(107)이 위치한 평면과 상이한 평면, 즉 스코어(104)가 위치한 평면이 제1 용접 영역(103)이 위치한 평면 및 제2 용접 영역(107)이 위치한 평면과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코어 부재(101)는 스코어 영역(105) 및 스코어 영역(105)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106)를 포함하고, 제1 용접 영역(103)이 보스(106) 상에 형성되고, 스코어(104)가 스코어 영역(105)에 형성되며 보스(106)를 둘러싸게 배치됨으로써, 스코어가 위치된 평면이 제1 용접 영역이 위치한 평면 및 제2 용접 영역이 위치한 평면과 상이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용접 영역(103)은 보스(106)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고 스코어 영역에 평행되고, 상기 상면의 외주연에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방식에서, 제2 용접 영역(107), 스코어 영역(105) 및 제1 용접 영역(103)은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외부에서 내부로 플립핑 부재(102)에 점차적으로 접근하는 단차 구조로 형성된다. 제2 용접 영역(107)과 스코어 영역(105)은 또한 상이한 평면에 위치한다. 상기 형성된 단차 구조는 완충 효과를 가지므로, 스코어(104)에 대한 2 개의 용접 영역의 용접 응력의 열 영향을 피할 수 있고, 내부 전극 단자(109)로부터 전달 받은 외력도 완충시킬 수 있어, 전류 차단 장치를 보다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2 개의 실시방식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어 부재(101)는 스코어 영역(105) 및 스코어 영역(105)으로부터 돌출된 보스(106)를 포함한다. 제1 용접 영역(103)은 보스(106) 상에 형성되고, 스코어(104)는 스코어 영역(105)에 형성되며 보스(106)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코어 및 제1 용접 영역은 상이한 평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용접 영역(103)은 보스(106)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며 스코어 영역(105)에 평행되고, 상기 상면의 외주연에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배치된다. 대응되게, 플립핑 부재(102) 상의 제1 연결 영역(115)은 보스(106)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스의 외주연과 연결 홀의 내벽은 링형 용접 조인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용접된다. 보스는 원통형 구조 일 수 있고, 또는 원통형 구조의 축 방향으로 관통 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이 원통형 구조의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스코어 및 제1 용접 영역은 다양한 돌출 구조 또는 오목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방식에서, 배터리의 내부 전극 단자(109)에 전기적 연결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부 전극 단자(109)의 상단부에는 수용 홈이 배치된다. 따라서, 스코어 영역(105)의 외주연에는 보스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벽(108)이 형성되며, 링 벽(108)의 상부 가장자리는 높이 방향으로 보스(106)의 상부 가장자리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또한, 링 벽의 외벽은 배터리의 내부 전극 단자(109)에 전기적 연결되어 제2 용접 영역을 형성한다. 외벽은 내부 전극 단자(109)의 수용 홈의 홈 벽의 형상과 맞물리며 링형 용접 조인트에 의해 용접된다. 이러한 실시방식에서, 스코어 부재(101)는 내부 전극 단자(109)의 수용 홈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으며, 구조는 안정적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방식에서, 내부 전극 단자(109) 상에 여전히 수용 홈이 배치되고, 스코어 부재(101)의 보스(106)는 수용 홈 밖으로 연장된다. 스코어 부재(101)가 상기 단차 구조로 형성되도록, 스코어 영역(105)의 외주연에는 보스(106)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링 벽(108)이 형성되고, 제2 용접 영역(107)이 링 벽(108)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스코어 영역(105)에 평행된다. 제2 용접 영역(107)의 외주연에는 배터리의 내부 전극 단자(109)에 전기적 연결되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형성된다. 제2 용접 영역(107)은 하면이 수용 홈의 하부 벽에 배치될 수 있고, 외주연은 링형 용접 조인트에 의해 수용 홈의 측벽에 용접되고, 마찬가지로 구조 또한 안정적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방식에서, 보스의 측벽 및 링 벽(108)은 각각 스코어 영역(105)에 수직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Z자 형 단차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용접 영역(103), 스코어 영역(105) 및 제2 용접 영역(107)은 각각 링 구조 일 수 있으며, 즉 제1 용접 영역(103)은 중심 홀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용접 영역(103)은 중심 홀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2 개의 실시방식의 스코어 부재(101)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 2 개의 실시방식의 플립핑 부재(10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핑 부재(102)에는 스코어 부재(101)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1 연결 영역(115) 및 배터리의 외부 전극 단자(112)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연결 영역(116)이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핑 부재(102)에는 변형 완충 영역(117)이 추가로 형성되며, 변형 완충 영역(117)은 제1 연결 영역(115)과 제2 연결 영역(116)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연결 영역(115)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변형 완충 영역은 외력의 작용 하에 플립핑 부재(102), 제1 연결 영역(115), 제2 연결 영역(116) 및 스코어 부재(101)보다 먼저 변형되어 상기 외력을 완충시키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연결 영역(115) 및 스코어 부재(101) 상의 스코어(104)에 대한 외력의 충격을 감소시켜, 전류 차단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2 개의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102)는 콘 형상인 시트 구조이며, 상기 콘 형상의 소단부(small end)는 제1 연결 영역(115)을 형성하고, 스코어 부재(101)로부터 떨어진 콘 형상의 대단부(large end)는 제2 연결 영역(116)을 형성한다. 콘 형상 구조는 2 개의 연결 영역을 상이한 평면에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코어(104)를 파단시키도록, 플립핑 부재(102)가 힘을 받아 상향으로 플립핑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는 탄성 평탄 부재 등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변형 완충 영역(117)은 제1 연결 영역(115)을 둘러싸는 링형 홈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력 작용 하에 링형 홈의 홈 벽 사이의 상대 이동을 통해 변형 완충 효과에 달할 수 있다. 기타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변형 완충 영역(117)은 또한 변형 챔버 등 구조 또는 탄성 재료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방식에서, 링형 홈 구조의 반경 방향 단면은 호형, 예를 들어 외부 전극 단자(112)를 향해 돌출된 반원형이다. 따라서, 제2 연결 영역(116)으로부터 전달 받은 외력이 호형의 홈 벽의 변형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제1 연결 영역(115) 및 스코어 부재(101)에 대한 충격을 감소시킨다. 기타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링형 홈의 단면은 또한 각진 형일 수 있고. 즉, 단면은 2 개의 각진 측면을 가지며, 이는 또한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방식에서, 스코어 부재(101)의 보스(106)는 내부 전극 단자(109)의 수용 홈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2 개의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가 배터리 내부의 가스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립핑 부재(102)의 외주연의 하측과 커버 플레이트(110) 사이에 지지 링(113)이 밀봉방식으로 연결되고, 외부 전극 단자(112)의 외주연이 프립핑 부재(102)의 외주연의 상측에 전기적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누출되지 않고 플립핑 부재(102)에 작용할 수 있다. 플립핑 부재(102)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외부 전극 단자(112)는 캡 구조로 형성되고, 플립핑 부재(102)의 동작 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관통 홀(118)이 형성될 수 있어, 기압의 작용 하에 플립핑 부재의 동작이 회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0)가 대전 및 절연한 2 개의 실시방식에서, 지지를 위한 지지 링(113)으로서 절연 재료 또는 도전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 링(113)은 커버 플레이트(110)가 절연되도록 세라믹 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링(113)의 내벽에는 지지 플랜지(114)가 형성되고, 플립핑 부재(102) 및 외부 전극 단자(112)의 외주연은 지지 플랜지(114)의 상면에 지지되어 전류 차단 장치의 안정적인 작업을 보장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스코어 부재(101) 및 전술한 플립핑 부재(102)를 포함하고, 스코어 부재(101)는 제1 용접 영역(103)에 의해 플립핑 부재(102)에 전기적 연결된다.
본 개시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를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커버 플레이트(110), 커버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전극 단자(109) 및 커버 플레이트(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 단자(112)를 포함한다. 내부 전극 단자(109)와 외부 전극 단자(112)는 전술한 전류 차단 장치에 의해 전기적 연결된다. 전류 차단 장치는 스코어 부재(101) 및 플립핑 부재(102)를 포함한다. 플립핑 부재(102)는 스코어 부재(101)에 전기적 연결된다. 플립핑 부재(102)는 기압의 작용 하에 동작하여 스코어 부재(101) 상의 스코어(104)를 파단시킬 수 있다. 플립핑 부재(102)는 스코어(104)를 파단한 후, 내부 전극 단자(109)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코어 부재(101)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전극 단자(112)는 플립 부재(102)에 연결되고, 스코어 부재(101)는 내부 전극 단자(109)에 전기적 연결된다.
내부 전극 단자(109)는 코어에 전기적 연결된 내부 리드아웃 부재(120)에 용접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리드아웃 부재(120)에는 용접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전극 단자(109)는 주상 구조를 형성하고 용접 홀 내에 매립되어 내부 리드아웃 부재(120)에 용접된다. 커버 플레이트(110)가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110)와 내부 리드아웃 부재(120) 사이에는 커버 플레이트 절연 부재(122)가 배치되고, 내부 전극 단자(109)는 플레이트 절연 부재를 틈새 있게 통과하여 스코어 부재에 용접될 수 있다. 밀봉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 링(113)은 하단이 커버 플레이트에 용접되고, 전류 차단 장치와 커버 플레이트(110)의 절연을 보장하기 위해 세라믹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전류 차단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110) 에는 덕트가 형성된다. 또한, 배터리 내부의 가스가 플립핑 부재(102)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 리드아웃 부재(120)에 에어 홀(121)이 형성되어, 가스가 에어 홀(121)을 통해 플립핑 부재(102)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서 제공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는 플립핑 부재(102)를 포함한다. 플립핑 부재(102)는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커버 플레이트(110)를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장형 구조는 커버 플레이트(110)에 평행되는 장형 구조의 단면에서 커버 플레이트를 따른 크기가 기타 방향을 따른 크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핑 부재(102)는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가스와의 접촉 면적이 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로 도 1에서 플립핑 부재(102)를 포함하는 전류 차단 장치의 커버 플레이트(110)를 노출하는 일부가 폭 방향을 따라 커버 플레이트(110) 밖으로 연장될 가능성을 줄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의 범위 내에 완전히 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110) 이외의 다른 장치에 대한 간섭을 피하고, 동시에 플립핑 감도를 보장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3 실시방식에서, 장형 구조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는 호형, 즉 커버 플레이트에 평행된 단면은 중간에 사각형이고 양단에 호형 구조를 가지며, 즉 구조가 코너를 갖지 않으므로, 커버 플레이트(110)의 구조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링형의 플립핑 부재(102) 및 플립핑 부재와 결합하는 스코어(101), 지지 링(113) 및 외부 전극 단자(112)와 같은 다른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형 구조는 또한 웨이스트형 구조 또는 타원형 구조일 수 있고, 웨이스트형 구조 또는 타원형 구조의 타원형 단면의 장축은 커버 플레이트의 방향을 따른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에 평행된 장형 구조의 단면은 또한 사각형 단면과 같은 기타 형상일 수 있다.
제3 실시방식에서, 외부 전극 단자(112)와 지지 링(113)은 커버 플레이트(110)의 외부에서 플립핑 부재(102)에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 전극 단자와 지지 링은 서로 결합되는 장형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외부 전극 단자(112) 및 지지 링(113)에 연결된 플립핑 부재(102)의 적어도 제2 연결 영역(116)은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지지 링(113)이 커버 플레이트(110)에 연결되기 때문에, 지지 링이 형성된 장형 구조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0)의 폭 가장자리 밖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지지 링(113)의 폭 가장자리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플립핑 부재(102)에 대해 비교적 큰 설계 공간 및 응력 공간을 획득한다.
제1 연결 영역(115) 및 이에 연결된 스코어 부재(101)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영역(115) 및 스코어 부재(101)는 또한 대응하게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스코어 부재(101)는 제2 실시방식에서 단차 구조로 형성되는 스코어 부재일 수 있다. 장형 구조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는 호형이고, 장형 구조는 또한 타원형 구조 또는 웨이스트형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102)를 이어서 설명하면, 제1 및 제2 실시방식과 유사하게, 플립핑 부재(102)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콘 형상인 시트 구조로 형성되며, 콘 형상의 소단부는 장형 구조를 가지는 제1 연결 영역(115)을 형성하고, 스코어 부재(101)로부터 떨어진 대단부는 제1 연결 영역(115)에 평행되며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연결 영역(116)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연결 영역(116)은 지지 링(113) 및 외부 전극 단자(112) 모두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레이즈드 에지(raised edge) 구조이다.
본 실시방식에서, 연결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제1 연결 영역(115) 및 제2 연결 영역(116)의 두께는 모두 제1 연결 영역과 제2 연결 영역 사이의 동작 영역(123)의 두께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영역 및 제2 연결 영역의 두께는 모두 0.3 mm ~3 mm일 수 있고, 동작 영역(123)의 두께는 0.05 mm~0.3 mm일 수 있다. 상기 설계는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플립핑 부재(102)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방식에서, 스코어 부재(101)는 커버 플레이트(110)를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는 제2 실시방식에서의 스코어 부재(101)일 수 있다. 스코어 영역(105), 제1 용접 영역(103) 및 제2 용접 영역(107)은 서로 평행되고 각각 장형 구조, 예를 들어 타원 구조로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하우징(111), 하우징에 수용된 코어 및 하우징(111)을 캡슐화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셀(200)을 제공한다. 내부 전극 단자(109)는 코어에 전기적 연결되고, 플립핑 부재(102)는 하우징 내부와 가스 연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상기 셀(200)이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300)을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팩 바디 및 팩 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 모듈(300)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400)를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상기 파워 배터리(400)가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500)를 제공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3 개의 실시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방식의 구체적인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개시의 기술방안에 대해 다양한 단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구체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체적 기술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가능한 조합은 본 개시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들은 또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Claims (25)
-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전극 단자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극 단자와 상기 외부 전극 단자는 전류 차단 장치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스코어 부재 및 플립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스코어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며, 기압의 작용 하에 동작하여 상기 스코어 부재 상의 스코어를 파단 가능하며,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長形)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구조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는 호형(arc-shape)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구조는 웨이스트형(waist-shape) 구조 또는 타원형 구조인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핑 부재에는 상기 스코어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1 연결 영역 및 배터리의 상기 외부 전극 단자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연결 영역이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2 연결 영역이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콘 형상인 시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콘 형상의 소단부(small end)는 상기 제1 연결 영역을 형성하며 장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로부터 떨어진 상기 콘 형상의 대단부(large end)는 상기 제2 연결 영역을 형성하며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두께는 모두 상기 제1 연결 영역과 상기 제2 연결 영역 사이의 동작 영역의 두께보다 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두께는 모두 0.3 mm ~3 mm이고, 상기 동작 영역의 두께는 0.05 mm~0.3 mm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핑 부재에는 변형 완충 영역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 완충 영역은 상기 제1 연결 영역과 상기 제2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 영역은 상기 제1 연결 영역을 둘러싸는 링형 홈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홈 구조의 반경 방향 단면은 호형 또는 각진 형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스코어가 형성되는 스코어 영역, 상기 플립핑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내부 전극 단자에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용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는 상기 제1 용접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제2 용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코어가 배치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는 상기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제2 용접 영역이 배치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스코어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 상에 상기 제1 용접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는 상기 스코어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영역은 상기 보스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 영역에 평행되고, 상기 상면의 외주연에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영역의 외주연에는 상기 보스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용접 영역은 상기 링 벽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높이 방향으로 상기 보스의 상부 가장자리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영역, 상기 스코어 영역 및 상기 제1 용접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플립핑 부재에 점차적으로 접근하는 단차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제1 용접 영역을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기 스코어 영역, 상기 제1 용접 영역 및 상기 제2 용접 영역은 서로 평행되며 각각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영역의 외주연에는 상기 보스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 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접 영역은 상기 링 벽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 영역에 평행되고, 상기 제2 용접 영역의 외주연에는 링형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측벽 및 상기 링 벽은 각각 상기 스코어 영역에 수직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 단자는 상기 플립핑 부재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내부 전극 단자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플립핑 부재의 외주연의 하측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지지 링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극 단자의 외주연은 상기 플립핑 부재의 외주연의 상측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지지 링 및 상기 외부 전극 단자는 각각 장형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밖으로 연장되지 않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코어 및 상기 하우징을 캡슐화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셀로서, 상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이고, 상기 내부 전극 단자는 상기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가스 연통되는 셀.
- 배터리 모듈로서, 내부에 제22항에 따른 셀이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
- 팩 바디 및 상기 팩 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제23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인 파워 배터리.
- 제24항에 따른 파워 배터리가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711330223.4 | 2017-12-13 | ||
CN201711330223.4A CN109920963B (zh) | 2017-12-13 | 2017-12-13 |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PCT/CN2018/120766 WO2019114775A1 (zh) | 2017-12-13 | 2018-12-13 |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328A true KR20200097328A (ko) | 2020-08-18 |
Family
ID=6681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0254A KR20200097328A (ko) | 2017-12-13 | 2018-12-13 |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싱글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28399A1 (ko) |
EP (1) | EP3726618A4 (ko) |
JP (1) | JP2021507457A (ko) |
KR (1) | KR20200097328A (ko) |
CN (1) | CN109920963B (ko) |
WO (1) | WO20191147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94092B1 (en) | 2021-05-13 | 2022-07-19 | Beta Air, Llc | Crash safe battery pack for mediating risks of electrical short circuits during impact |
CN113540666B (zh) * | 2021-06-01 | 2023-01-13 | 安徽五行动力新能源有限公司 | 可调节尺寸的锂电池拆卸防护结构及使用方法 |
CN113725532B (zh) * | 2021-08-25 | 2023-09-05 |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 电池盖板、电池及电池的加工方法 |
CN116438702A (zh) * | 2021-08-31 | 2023-07-14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泄压装置、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
WO2024055177A1 (en) * | 2022-09-14 | 2024-03-21 | Techtronic Cordless Gp | Battery cell with integrated overcurrent protection member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3178A (en) * | 1992-12-14 | 1996-06-04 | Nippondenso Co., Ltd. | Chemical cell |
KR100858414B1 (ko) * | 2004-12-10 | 2008-09-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율 충방전 리튬 이차전지 |
JP5556629B2 (ja) * | 2010-12-01 | 2014-07-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密閉型電池 |
CN103999262B (zh) * | 2011-12-19 | 2016-12-21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电池 |
US9741994B2 (en) * | 2012-09-28 | 2017-08-22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Secondary battery with current breaking mechanism |
JP6208258B2 (ja) * | 2013-12-25 | 2017-10-04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角形二次電池 |
JP6235435B2 (ja) * | 2014-08-25 | 2017-11-22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二次電池 |
JP6423250B2 (ja) * | 2014-11-14 | 2018-11-14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二次電池 |
CN105470418A (zh) * | 2015-12-30 | 2016-04-06 | 泰兴市振兴电子有限公司 | 一种圆柱形锂电池盖帽 |
CN107123756B (zh) * | 2016-02-25 | 2020-10-20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流中断装置、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EP3422434A4 (en) * | 2016-02-25 | 2019-03-27 | BYD Company Limited | SINGLE CELL BATTERY, BATTERY MODULE, POWER BATTERY, AND ELECTRIC VEHICLE |
CN206040781U (zh) * | 2016-07-29 | 2017-03-2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防爆阀、盖板组件及电池 |
CN106450475B (zh) * | 2016-11-15 | 2019-08-02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二次电池及电池模组 |
CN106784566B (zh) * | 2017-01-16 | 2019-10-22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二次电池及电池模组 |
CN108666457B (zh) * | 2017-03-31 | 2020-11-06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电动汽车 |
CN207818746U (zh) * | 2017-12-13 | 2018-09-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流中断装置及其刻痕件、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CN207818748U (zh) * | 2017-12-13 | 2018-09-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CN207818724U (zh) * | 2017-12-13 | 2018-09-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流中断装置及其翻转件、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
2017
- 2017-12-13 US US16/772,715 patent/US202003283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2-13 CN CN201711330223.4A patent/CN109920963B/zh active Active
-
2018
- 2018-12-13 EP EP18887235.2A patent/EP372661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12-13 JP JP2020532771A patent/JP2021507457A/ja active Pending
- 2018-12-13 KR KR1020207020254A patent/KR202000973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12-13 WO PCT/CN2018/120766 patent/WO2019114775A1/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920963B (zh) | 2024-10-15 |
EP3726618A4 (en) | 2020-12-23 |
CN109920963A (zh) | 2019-06-21 |
WO2019114775A1 (zh) | 2019-06-20 |
JP2021507457A (ja) | 2021-02-22 |
US20200328399A1 (en) | 2020-10-15 |
EP3726618A1 (en) | 2020-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28505B2 (en) | Battery cover plate assembly comprising a current interrupt apparatus | |
KR20200097328A (ko) |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싱글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 |
JP5952418B2 (ja) |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 |
EP2597705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JP2019506716A (ja) | 単セルバッテリー、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電気自動車 | |
KR20150028632A (ko) |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 |
CN103779531A (zh) | 密封型电池的电流中断装置 | |
KR102447727B1 (ko) | 전류 차단 장치 및 그 플립핑 부재,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 |
KR102477392B1 (ko) | 배터리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 |
CN109962204B (zh) |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
JP5152098B2 (ja) | 密閉型二次電池 | |
KR20120056812A (ko) |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 |
WO2019114772A1 (zh) | 电流中断装置及其刻痕件、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 |
KR20200097329A (ko) | 배터리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