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652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7652A KR20200087652A KR1020190041621A KR20190041621A KR20200087652A KR 20200087652 A KR20200087652 A KR 20200087652A KR 1020190041621 A KR1020190041621 A KR 1020190041621A KR 20190041621 A KR20190041621 A KR 20190041621A KR 20200087652 A KR20200087652 A KR 202000876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heating unit
- disposed
- cooking appliance
- tr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0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94 Humulus lup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6 glass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10 structure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1/00—Heating by combined application of processe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H05B3/00 - H05B7/00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cooking chamber such as an oven.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is a household appliance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can be various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When categorizing the cook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food, it can be classified into an open type and a closed type cook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placed. Ovens, microwaves, etc., are included in the closed cooking equipment, and cooktops and hops are used in the open cooking equipment.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The seal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located and cooks food by heating the shielded space. The hermetic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that is shielded when food is placed while cooking the foo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where food and drink are actually cooked.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The sealed cooking appliance is classified into a gas oven and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The gas oven uses gas as fuel, and supplies gas to a number of burners to ignite and cooks food by a spark generated when the supplied gas is burned. With a plurality of heaters operating as a heat source, a method of cooking food is taken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s.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Among them, the electric oven has a faster cooking speed than a gas oven, has high thermal efficiency, and has good stability, so its use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electric oven is easier to be miniaturized than the gas oven, and accordingly, a mini oven-type electric ov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ni oven") has been launched.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The mini oven is suitable for cooking or warming a small amount of food, which is small but unsuitable for cooking a large sized food, but is burdensome to use a large capacity oven.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mini-ove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to bake toasts, but can also be used to cook small amounts of food in addition to toasts, and is increasingly used as a cooking appliance replacing conventional toasters.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In general, a mini-oven has an outer case for accommodating all components, a plurality of shelves for placing foods during cooking, and a cooking compartment in which a front surface is opened so that food can be put and cooked.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ini-oven includes an oven heater for heating food to a suitable temperature,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도어는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는 동안 조리실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is provided so that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food is put into the cooking compartment and cooked. The door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hand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and a glass window to allow a peek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without opening the door.
미니 오븐에서, 도어는 대부분 하부 개방형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미니 오븐에 적용되는 도어는, 그 하단부가 도어 힌지를 통해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폐쇄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In mini ovens, the doors are mostly equipped with a lower open type. That is, the door applied to the mini oven, the lower end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ase through the door hinge, and rotates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ase to open the cooking chamber and open the cooking chamber. In one state, it can be operated in a form of closing the cooking chamber by rotating upward.
도어는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이와 같이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oor is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from the closed state of the cooking compartment to open the cooking compartment, and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shelf can be made in such a state that the door is opened to the cooking compartment.
즉 도어는 미니 오븐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개방되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elf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ini-oven, and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shelf is made directly by the us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미니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ini oven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니 오븐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Firs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forced to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mini-oven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doo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pen the door and insert and withdraw the shelf properly when the mini-oven is installed in a narrow space. This happens.
둘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Second, when the door is opened,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tilted forward as the door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mini-oven.
크기만큼이나 무게도 가벼운 미니 오븐의 특성 상,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미니 오븐이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증가된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i-oven, which is as light as its size, when the door is opened forwar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forced to move forward, and in this case, the risk of the mini-oven being conducted forward increases.
특히 선반의 인출시, 조리 상태의 확인이나 선반의 임시 거치를 위해 선반이 도어의 상부에 얹혀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구조에서는 미니 오븐의 전도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shelf is pulled out, the shelf is frequently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for checking the cooking condition or temporarily mounting the shelf. In this structure, the mini-oven's center of gravity is inclined to the front, so the risk of conduction of the mini-oven falls. It has no choice but to grow.
더욱이 선반 또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음식물의 조리에 위험성이 더해질 뿐 아니라, 선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부담이 있게 된다. 즉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의 선반의 채용이 필요하더라도, 미니 오븐의 전도 발생 위험으로 인해 이러한 선반의 채용이 어렵게 된다.Moreover, if the weight of food on the shelf or on the shelf is heavy, this risk becomes even greater. This not only adds risk to the cooking of heavy food, but also puts a burden on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helf. That is, even if it is necessary to employ a thick and heavy-weight shelf to improve cooking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employ such a shelf due to the risk of conduction of the mini oven.
셋째,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된다.Third, a number of restrictions are generated because the passages of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shelf and the passage of checking the cooking condition are limited to the front of the mini oven.
즉 선반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이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조리 상태의 확인의 통로가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shelf is limited on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mini-oven is installed in a low place, inconvenience occurs in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shelf. In addition, since the passage for checking the cooking state is limited only to the glass window provided in the door, there i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checking the cooking state when the mini oven is installed in a low place.
통상적으로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 개방만으로는 부족하고, 트레이의 인출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properly check the cooking condition of the entire food, it is not enough to open the door, and the tray must be pulled out.
즉 사용자가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한 후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만 하는데,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며, 사용자가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wants to properly check the cooking condition of the entire food, the user must open the door directly and then take out and insert the shelf directly. When the mini oven is installed in a low place, this operation is very inconvenient, and the user In the process of directly withdrawing and inserting the shelf, the possibility of the user being exposed to injury such as burns also increases.
넷째,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부터 선반을 직접 당기거나 조리실 내부로 밀어 넣는 형태로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된다.Fourth, as the user directly inserts or withdraws the shelf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or pushes the shelf into the cooking chamber, the user's inconvenience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re increased.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반을 인출하여 전체적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후 직접 선반을 잡고 인출하여야 하고, 조리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잡고 조리실 내부로 선반을 밀어 넣어야 한다.During cooking, a user may wish to take out the shelf and directly check it as a whole. Even in this case, the user must hold the shelf and pull out the door after opening the door, and even if the user wishes to resume cooking, the user must hold the shelf and push the shelf into the cooking compartment.
즉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에 사용자가 노출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That is, even when the user simply wants to check the cooking state, the user is exposed to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the door directly and taking out and inserting the shelf directly, and in this process, the user is exposed to the risk of injury such as burns.
특히 이 과정에서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미니 오븐의 전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is proces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tilted forward, and thus the conduction of the mini-oven may occur, and in this case, the safety of the user may be seriously threatened.
특허문헌1(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에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조리실을 출입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6,960,602) discloses a heating cooker including a cooking plate that enters and exits a cooking chamber in connec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특허문헌1의 구성에 따르면, 조리실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1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고, 도어에도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2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어 조리실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The second slide rail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rail, and accordingly, the door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ompartment.
한 쌍의 제2슬라이드 레일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조리판이 상방에서 걸려 지지된다. 즉 조리판은 지지부재에 의해 제2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이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다.A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pair of second slide rails, and a cooking plate is suppor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hat is, the cooking plate is supported on the second slide rail by the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lide rail is supported on the first slide rail.
상기 구조에 의해,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을 출입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cooking plate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door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cooking plate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and moves in and out of the cooking chamber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특허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판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heating cooker of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However, the heating cooker of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특허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mini-oven by the height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isadvantag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pushed forward by the door protruding forward by the height of the door by the height of the door is patented. The same applies to the heating cooker of
또한 상기 특허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단순히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the heating cooker of
특허문헌2(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65호)에는,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조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1-0001565) disclos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oas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not only the front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toaster but als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toaster are opened together.
특허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토스터기의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토스터기의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토스터기의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뿐 아니라 상부 일부분도 함께 덮을 수 있게 마련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Patent Document 2, a do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oaster, and the door rotates to the front side of the toaster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toaster. At this time, since the door is provided to cover not only the front portion of the toaster but also the upper portion, when the door is opened, not only the front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toaster, but als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toaster can be opened together.
그리고 특허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고, 도어 개방시 토스터홀드가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며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Patent Document 2, a toaster hold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toaster hold rotates forward with the door and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특허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스터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toaster machine of Patent Document 2, which discloses such a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of making it easier to insert and withdraw the toaster by allow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toaster to be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또한 상기 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와 조리기기의 프레임 간의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aster of 2 has an advantage tha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inside the toaster is also opened,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toaster accommodated in the toaster hold and the fram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void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특허문헌2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However, the device of Patent Document 2 that discloses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irst and second dis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mini oven.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특허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mini-oven by the height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tilted forward as the door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mini-oven by the height of the door, shelf Since the passage of insertion and withdrawal and the passage of checking the cooking condition are limi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ini-oven, the disadvantages of various restrictions are applied to the heating cooker of
또한 상기 특허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단순히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the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simply has a configuration to make the entry and exit of the toaster hold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is still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requires the door to be opened to check the cooking state, so the cooking state is simply Even when you want to check,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n the door by yourself is still not solved.
또한 상기 특허문헌2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since a toaster hold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door,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aster is more forward when the door is opened.
즉 상기 특허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으로 펼쳐질 뿐 아니라, 전방으로 펼쳐진 도어의 무게에 토스터홀드의 무게,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의 무게가 더해지게 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토스터기의 전도 발생 위험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not only unfolds to the front of the toaster, but also the weight of the toaster hold and the weight of the toaster accommodated in the toaster hold is added to the weight of the door unfolded forward. At the tim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aster becomes more inclined toward the front, and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risk of conduction of the toaster is further increased.
특허문헌3(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에는,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를 구비하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U.S. Patent No. 66271502) discloses an oven having a front door and a top cover.
특허문헌3의 구성에 따르면, 오븐의 전방에는 프런트 도어가 설치되고, 오븐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설치된다.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는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독자적으로 동작하며, 오븐 내부 공간의 전방은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오븐 내부 공간의 상부는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Patent Document 3, a front door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oven, and a top cover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oven. The front door and the top cover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different positions to operate independently, and the fron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oven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ront door, and the top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oven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op cover.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특허문헌3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However, the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3 that discloses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irst and second dis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mini oven.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특허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mini-oven by the height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isadvantag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pushed forward by the door protruding forward by the height of the door by the height of the door is patented. The same applies to the heating cooker of
또한 특허문헌3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과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 공간이고 서로 연결된 공간이 아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the inner space opened and closed by the front door and the inner space opened and closed by the top cover are separate spaces from each other and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즉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가 함께 개방된다고 해서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의 개방 정도가 확장되는 것이 아니며,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는 단지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개방될 뿐이다.That is, when the front door and the top cover are opened together,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interior space opened by the front door is not expanded, and the interior space that can be opened only by opening the top cover is opened by opening the top cover. It just works.
특허문헌4(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에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오븐에 설치되어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 도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U.S. Patent No. 6029649) discloses an oven door structure installed in an oven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open and close the oven.
특허문헌4에 따르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방시 바디의 전방이나 후방 어디로도 돌출되지 않으며, 단지 바디 둘레를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the door is installed in a cylindrical body, and the door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to open and close the body. Such a door, when opened, does not protrude anywhere in the front or rear of the body, and can only open and close the body by rotating around the body.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특허문헌4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4 that discloses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째, 특허문헌4에 개시된 도어는, 조리기기의 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조리기기 본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First, the do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can be applied only to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of a cooking applianc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not applicable to a body of a generally used hexahedral shaped cooking appliance, and thus has a disadvantage of low compatibility.
둘째, 특허문헌4에 개시된 바디의 내부에는 선반과 같이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 선반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바디의 구조상 이러한 선반의 인출과 삽입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Seco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structure for mounting food such as a shelf inside the bod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In addition, even if a structure such as a shelf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aking out and inserting such a shelf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ody.
또한 도어가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도어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선반의 인출과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a configuration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so that the shelf is taken out and inserted.
아울러 상기 특허문헌4에 개시된 도어의 구조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기 어렵다. 이는 바디의 전면과 상부면 대부분이 도어에 의해 덮여있거나 도어의 회전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4에서는 타이머와 같은 조작스위치가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구성이 개시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o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operation switch on the front or top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body are covered by the door or within the rotational range of the door. Accordingly,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ration switch such as a tim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ody.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되지 못하고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4와 같은 조작스위치의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한 형태라고 보기 어렵다.However, if the operation switch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and plac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heck or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Therefore, the arrangement form of the operation switch as in Patent Document 4 is difficult to see as a preferable form in view of user convenience.
또한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4 어디에도,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된 형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4에는 조작스위치가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neither
특히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3에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에 배치되되, 도어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좌우방향 폭이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particular,
또한 특허문헌2에서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의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below the main body of the cooking appliance.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as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switch is lowered, it become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the length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must be longer as much as the space required for the operation switch to be arrang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while the width opened by the door becomes narrower than that. Problems arise.
마지막으로, 특허문헌4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Finally, in Patent Document 4, whe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heck or operate the state of the operation switch.
상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기가 어렵다.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투시창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투시창이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므로, 도어에 조작스위치가 설치될만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In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또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면,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기판이 설치될 공간이 도어 내에서 확보되기도 어렵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on the door, a control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witch must also be disposed inside the door,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panel is installed in the door.
따라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on the door, the design of the configura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기기의 크기 증가는 억제되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통로의 폭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width of the passage opened by the door can be increased while the size increase of the appliance is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operation switch can be installed on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상태 확인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is easy to check the cooking state and has high structural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is easy to open and insert and withdraw a do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개방 및 선반 인출시 전도될 위험성이 낮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low risk of falling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shelf is pulled out.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가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력부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door including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ront side of the door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inpu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on the front door.
또한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는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구체적으로, 제1가열부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heat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투시창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은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viewing window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Such a viewing window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window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이를 통해,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in a low position, an effec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cooking condition of the food without lowering the posture or bowing the wais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가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제1가열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는 입력부 및 제1제어기판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의 무게 중심도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ating unit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ccordingly, the first heat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nd the weight of the door The center may also be biased toward the rear s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고 입력부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viewing window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put unit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where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viewing window are not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글라스와 히터 등과 같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부품들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housing are open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relatively large in weight, such as glass and heat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biased from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going parts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할 때 조리기기의 무게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 및 선반 인출시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risk of the cooking appliance falling ov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shelf is pulled out, so that when the door opens the cooking chamb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biased toward the rear from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입력부와 제1제어기판이 도어전면부에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unit and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re disposed toge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the top of the housing are opened together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고, 이와 함께 도어 개방에 연동되어 트레이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ront and the top of the housing are opened together, and the tray is pulled forward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door open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전면부와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도어전면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도어상면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door front portion and the door top portion, an intake port is formed in the door front portion, and an exhaust port is formed in the door top portion.
이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도어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제1제어기판과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냉각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through the intake port, and the introduced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after cooling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nd the space inside the viewing window.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케이블장착부가 마련되고, 제1제어기판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a cable connecting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nd the first heating portion is install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view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from the top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formed on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cooking condition of the food without lowering the posture or bowing the waist.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의 동작 조절을 위해 조작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back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which are open; A door including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door front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 heating unit that generates heat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And an input uni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oper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and a housing with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 It includes a door upper surface part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ront door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and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Door to be; And a viewing window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back surface, and a housing in which the top and front surfaces are opened; It includes a door upper surface part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ront door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and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Door to be; And a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door.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door.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ting unit includes an electric heat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control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and the first control substrate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전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도어전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제어기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peration switch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portion, and the operation switch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substrate through the front door portion.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1제어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e first control substrate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ortion, the interior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interior of the door front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upper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ee-through window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상기 투시창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ewing window is preferably made of a pair of glass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전면부에는,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제어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투시창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하단에는,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단에는, 상기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control substrat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put unit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re form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 space part formed inside the part and a space part formed inside the viewing window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intake port for opening the space part inside the front door part to the outsid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oor front part, and at the rear end of the door upper part, the It is preferable that an exhaust port for opening the space inside the viewing window to the outsid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도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oling fan that generates an air flow in which external air enters the inside of the door through the intake port and air inside the doo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시창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door, and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is preferably disposed in an area not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hen viewed from the top. .
또한 상기 투시창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투시창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ewing window includes a pair of glass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heating unit is preferably disposed respectively on the front outside and the rear outside of the viewing window.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장착부에는,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기판과 상기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ble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each side outside of the viewing window, the cable mounting portion,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nd the first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door front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cable connecting the heating parts.
또한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제어기판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장착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제어기판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가열부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신호케이블은, 상기 투시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board is installed at any one of the cable mounting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respectively,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A signal cab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ontrol board to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at the other of the cable mounting parts, and the power cable and the signal cable are interposed between the viewing windows. It is preferred to be spaced apart.
또한 상기 투시창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글라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글라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ewing window is made of a pair of glass which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therein, further comprising a door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e pair of the glass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glasses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door, and the first heating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door frame.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상기 글라스가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door frame, a through hole in which the glass is disposed is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ting units are respectively disposed outside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oor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nd disposed under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oor is preferably rotat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또한 “ㄱ”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가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door portion connected so as to form a “a” shape rotate integrally around the rear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입력부가 도어에 설치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is installed on the door, so that the size of the housing can be reduced while providing an entrance of a size sufficient for the tray and food to enter,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while having a compact appearance.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투시창이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입력부가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보며 쉽고 편리하게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iewing window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and the input un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so that even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at a low position, the user can maintain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without lowering the posture or bowing the wai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o make it easy and convenient to check, and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operate an operation switch while fac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not extended forward, but is rotated upward and is provided to open both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 so that the door can be easily and smoothly opened in a narrow space, and food or trays can be withdrawn. It can be made easier and mor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door can be opened by the door, the tray portion is more exposed by the opening of the door, so that even if only a portion of the tray is pulled out, food can be easily put in or taken out, resulting in improved convenience and stability.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without being extended forward, there is little fear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will be forward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risk of falling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ignificantly lower. It has the effect of lo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회동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도어의 무게 중심이 도어전면부보다 도어상면부에 치우치게 형성되며, 도어의 개방시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is form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ince it is biased toward the rear side, the risk of falling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ignificantly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and ease of use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은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은 안정적인 구조의 조리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조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 및 중량이 증가되는 트레이나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를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oking device of a stable structure with a significantly lower risk of conduc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employ a tray that can be used in an environment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unit or a tray having an increased thickness and weight to improve cooking performanc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를 조리실에 삽입하거나 조리실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또는 폐쇄시 트레이가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 및 삽입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nded passag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insert food or trays into or ou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tray is automatically withdrawn or inserted, so that food or trays can be taken out. And a function to make insertion easier and more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ⅩⅨ-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1의 "ⅩⅩⅤ-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에서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9는 도어프레임에 제1가열부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nd the hinge assembly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door shown in FIG.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door shown in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Ⅷ-Ⅷ” in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Ⅸ-Ⅸ” in FIG. 6.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ir flow inside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2.
1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2.
1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5.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close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ⅩⅧ-ⅩⅧ” in FIG. 17.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ⅩⅨ-ⅩⅨ” in FIG. 17.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7 is opened.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FIG. 20.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FIG. 20.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hange of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ope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the tray shown in FIG. 11.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in FIG. 11.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and a second heating part separat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cond heating unit illustrated in FIG. 26.
FIG.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heating unit, the receiving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shown in FIG. 26 separated.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second heating unit and the temperature sensor shown in FIG. 26, the receiving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FIG. 30 is a rear view showing the second control substrate shown in FIG. 26.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frame and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frame and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shown in FIG. 31 in an exploded view.
FIG. 3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door frame and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shown in FIG. 31.
FIG. 3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protective grill are removed from the door frame shown in FIG. 33.
35 to 39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cook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1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1 to 3,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105)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후술할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The door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And the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The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In sum,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s and other configurations not yet mentioned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below.
[하우징의 구조][Structure of the housing]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nd the hinge assembly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3 and 4, the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례로서, 하우징(100)은 금속판이 "└┘" 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처럼 절곡된 금속판이 하우징(100)의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the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not only the aesthetics inside the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금속판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the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top, the seams inside the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eramic glass may be disposed in a cut-out central portion of the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In addition, behind the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ulating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어의 구조][Door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door shown in FIG. 5. Also,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door structure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Ⅷ-Ⅷ” in FIG. 7.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ir flow inside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5 to 9, in the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 이하, "제1글라스"라 한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 이하, "제2글라스"라 한다)에 설치될 수 있다.The viewing window W may include a pair of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의 평면방향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W)은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로 덮인 관통공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user can view the inside of the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air of glass (330,335) forming the viewing window (W), each of a different configuration, that is, one is coupled to the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air layer formed in the separation space formed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block heat from heating the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As a result, the viewing window W provided in the double-window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function capable of significant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ue to overheating of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occurrence of fogging due to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viewing window W. .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If the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e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The door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oor
도어전면부(350)에는,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입력부(36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An
입력부(36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60)는 제1가열부(400)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6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36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The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The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입력부(36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36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입력부(36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ble mounting portion (340,345). The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3)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connecting members 343 are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343 connects between the pair of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The combin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of the door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A power cable (C2)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at any one of the cable mounting units (340,345)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W). Can be. And the other of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345)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utside of the viewing window (W), the signal cable (C1)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That is, in the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2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of the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30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as well as the components arranged on the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In order to pass through such a power cable (C2) and a signal cable (C1) so as not to be exposed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housing (100), the hinge assembly (800) is the only connection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housing (100). It will be said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pass through the arranged portion.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heating elements of the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This is a result of the design to avoid the influence of the heat generated i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viewing window (W) therebetween, and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cable mounting portions (340,345).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cable (C2) is installed in the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cabl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cabl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are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wiring work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made more easily and quickly, and related maintenance work It can also be easily made.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inside the doo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ir flow inside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된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는, 서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0,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door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흡기구(301)가 형성된다. 흡기구(301)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At the lower end of the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형성된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An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7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70)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어 도어상면부(310)에 여유 공간이 부족함을 고려한 설계이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oling fan 370 disposed inside th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70)은,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The first cooling fan 37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an air flow in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이처럼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고, 이처럼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도어상면부(310) 내부로 유입되어 투시창(W) 내부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배기구(303)를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irst cooling fan 370,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door
조리기기의 동작시, 제1제어기판(500)의 온도는 제1가열부(400)에 의해 가열된 투시창(W)의 온도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투시창(W)을 냉각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온도로 투시창(W)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에 대한 냉각과 투시창(W)에 대한 냉각이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ring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temperature of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어(300) 내부의 냉각 구조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과열, 열화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조리기기의 고장,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Due to the cooling structure inside the
또한 도어(300)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가 투시창(W)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투시창(W)의 과열 발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투시창(W)과 접촉하여 화상 등과 같은 부상을 입는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cooling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트레이의 인출 구조][Tray withdrawal structur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tray shown in FIG. 11 and a mounting protrusion.
도 2 내지 도 3,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2 to 3 and 11 to 12, a
트레이(200)는, 트레이본체(205)와 거치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트레이본체(205)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본체(205)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본체(205)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트레이본체(205)의 네 측면 중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면과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거치부(210)가 각각 마련된다. 거치부(210)는, 트레이본체(205)의 측면 상단부에서 트레이본체(205)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1)와, 제1돌출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210)는, 제1돌출부(211)와 제2돌출부(213)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개방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폐쇄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힌지 결합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The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힌지부(810)의 연결부재 중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거치돌기(820)에는, 트레이(200)가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의 측부에 형성된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짐에 의해 거치돌기(820)에 거치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20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거치부(210)에는 거치홈(215)이 각각 형성된다. 거치홈(215)은,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가 하단으로부터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5)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의 절개된 하부를 통해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아울러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면(21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면(214)은,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접촉되는 거치돌기(8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면(21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215)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ding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로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조리된 음식물을 꺼내거나 트레이(200)를 세척하기 위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수도 있다.The user may perform cooking using a cooking appliance while the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트레이(200)를 상부로 살짝 들어준 뒤 꺼내면 된다.When the
그리고 꺼냈던 트레이(200)를 다시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And when you want to install the removed
그러나 거치홈(215)이 트레이(200)의 하부에 위치해 있고 거치돌기(820)가 트레이(20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거치홈(215) 및 거치돌기(8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However, since the mounting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슬라이딩면(214)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면(214)은 거치홈(215)과 연결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따라서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처음부터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일단 슬라이딩면(214)이 거치돌기(820)에 얹혀지도록 트레이(200)를 밀어 넣은 후, 전후방향으로 트레이(200)를 이동시켜주면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shes the
이 과정에서 거치돌기(8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200)로 인해 슬라이딩면(820) 상을 슬라이딩하다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mounting
즉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단순히 트레이(200)를 거치돌기(820) 위에 얹어놓은 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거치돌기(820)와 거치홈(215) 간의 끼움 결합 및 이를 통한 거치돌기(820)와 트레이(200) 간의 끼움 결합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fit the mounting
상기와 같은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여러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The fitting structure between the mounting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2,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2,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ray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5.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하나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는 경사면(215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5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214)과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삽입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거치돌기(8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As one of other modified embodiments of the fitting structure between the mounting
이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좀 더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 경사면(215a)은,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는 트레이(200)를 덜 깊숙하게 넣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The
이와 같이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 트레이(200)가 덜 깊숙하게 넣어진 상태에서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 상에 거치되었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3)에는 끼움홈(215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홈(215b)은, 제2돌출부(213)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과 연결되게 형성되되, 거치홈(215)의 상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tting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mounting
상기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를 향해 후방측으로 더 밀어 넣으면, 거치홈(215)에 끼워져 있던 거치돌기(820)는 거치홈(215)의 전방으로 연장된 끼움홈(215b)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The fitting groove 215b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이와 같이 거치돌기(820)와 끼움홈(215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트레이(20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Thus, when the fitting engagement between the mounting
한편 거치돌기(820)는, 힌지부(810)의 상태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돌기(820)는,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ⅩⅨ-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close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ⅩⅧ-ⅩⅧ” of FIG. 17, and FIG. 19 is “ⅩⅨ-ⅩⅨ” of FIG. 17. It is a section along the line. In addition,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7,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FIG. It is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트레이(20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레이(200)가 거치된 거치돌기(820)는 조리실(105)의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7 and 18, when the
트레이(200)의 후방측은 한 쌍의 거치돌기(8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전방측은 한 쌍의 지지롤러(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즉 트레이(200)는, 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치돌기(820)와 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롤러(2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리실(105)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지지롤러(115)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20,130)에 각각 배치되되, 도어(300)와 인접한 하우징(100)의 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에는, 트레이(200)의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면(214; 도 11 참조)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115)는, 트레이(200) 이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트레이(200)가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게 트레이(2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그리고 도어(3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105)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That is, the rear left corner and the right corner portion of the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케이스(830)와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7 to 19, the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의 일부분, 그리고 변환출력부(840)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에는,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The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궤도를 따라 회동될 수 있게 힌지케이스(8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810)의 상단은 도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와 결합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그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300)는, 힌지부(810)에 의해 그 회동 궤도 및 범위가 안내될 수 있다.The
일례로서, 힌지부(810)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되,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따라 휘어진 형태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그리고 힌지케이스(830)에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831)은, 힌지케이스(830) 상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은, 힌지부(830)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힌지케이스(830) 상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례로서, 가이드홀(831)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힌지부(810)에는, 스토퍼(8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811)는, 힌지부(810) 상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에 삽입되어 가이드홀(831)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부(810)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The
또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의 전방 및 상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고, 가이드홀(831)의 후방 및 하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힌지부(810)의 이동 범위를 가이드홀(831)의 형성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를 이루는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변환출력부(84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의해 입력되는 힘을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환출력부(840)는, 이동부재와 변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동부재는,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변환부재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 즉 힌지부(8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The moving member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mounting
일례로서, 변환출력부(840)는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및 랙기어(8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는 변환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랙기어(846)는 이동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As an example, the
벨트(841)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기어가 형성된 오픈형 타이밍벨트(Timing belt) 형태로 마련된다. 벨트(841)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1가이드리브(832)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The
벨트(841)의 후방측 단부는, 힌지부(8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841)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상기 벨트(841)에 형성된 기어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와 맞물릴 수 있다.The gear formed on the
제1회전기어(842)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중 벨트(841)와 가장 인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기어(842)는 타이밍 기어(Timing ge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회전기어(841)는, 벨트(842)와 맞물려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제2회전기어(843) 및 제3회전기어(844)는, 제1회전기어(842)와 제4회전기어(845)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기어(842)의 회전을 제4회전기어(845)로 전달한다.The second
즉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벨트(841)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결국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가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을 유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hat is, the movement of the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제4회전기어(845)는, 그 하부에 배치된 랙기어(846)와 맞물릴 수 있다. 랙기어(846)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이드리브(833)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The fourth
랙기어(846)는,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2 참조).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1 참조).The
상기 랙기어(846)에는, 거치돌기(82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는 랙기어(846)의 이동에 연동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기어(846)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랙기어(84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종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이루는 구성들, 즉 힌지부(810) 및 변환출력부(840)의 상태가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변화되고 이처럼 상태가 변화된 구성들이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In summary, the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방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이러한 도어(300)의 회동에 의한 회전력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치돌기(8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20 to 22, when the
즉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고 안전하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트레이(200)에 놓거나 조리가 완료되어 트레이(200)에 놓여진 음식물을 트레이(200)에서 꺼낼 수도 있고, 전방으로 인출된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에서 손쉽게 꺼내어 옮길 수도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더욱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만을 개방하거나 상면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확장된 통로를 통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n extended passagew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insert food or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기만 하면 도어(300) 폐쇄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조리실(105) 내부로 삽입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도중 트레이(200)를 꺼냈다가 다시 조리실(105)에 넣고자 할 때, 열기가 가득한 조리실(105) 내부에 손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provides a function in which the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300)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방되므로, 도어(300)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다. 오히려, 도어(300) 개방시에는 도어(300) 폐쇄시보다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이와 같이 도어(300) 개방시에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에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한데,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는 구조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moves when the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고온 조리 성능이 향상되고 오랫동안 온기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므로,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거워질수록 그만큼 향상된 조리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The thicker and thicker the
또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200)는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제2가열부(600)가 유도가열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트레이(200)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억제 구조][Structure generation suppression structure of cook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고온 조리 성능 및 온기 유지 성능의 향상을 위해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가 인출된 만큼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In view of thi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en the
이하,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en the
도 23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hange of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ope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30) 측에 배치되되,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인접한 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20 to 23, the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와 결합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The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이하, "개방상태"라 한다)일 때,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폐쇄한 상태(이하, "폐쇄상태"라 한다)일 때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When the
이처럼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는,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When the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첫 번째 구성은, 도어(300)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며, 이로써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한편 도어(300) 자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300)는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어(300)가 폐쇄상태일 때,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는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따라서 도어(300)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Therefore, the specific gravity occupied by the volume of the door
도어(300)가 개방되기 위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0) 상에서, 도어전면부(350)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10)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When the
따라서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Therefore, the greater the weight of the weight of the door
다시 말해,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weight of the door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두 번째 구성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도어(30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second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en the
한편 도어(300)에는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마련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도 10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라스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글라스로 형성된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viewing window W may include a pair of
더욱이 본 실시예의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즉 두 겹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더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Furthermore, the viewing window W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이와 같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투시창(W)을 형성하는 글라스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As such, as 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on the door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중 하나의 제1가열부(400)는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a pair of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1가열부(400)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더욱이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에 의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Moreov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세 번째 구성은,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in the third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falling forward when the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300)는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고,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In summary, the
이러한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도어(300) 자체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도어(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The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 전도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도어(300)는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힌지부(810)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힌지부(810)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Since the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다시 말해,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자체의 위치 변화와 도어(300) 자체의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하여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네 번째 구성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도어(300)와 힌지부(810) 간의 결합점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ourth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en the
또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조리기기에 모멘트(Moment)가 가해지는데, 이 모멘트는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모멘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커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아울러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처럼 인출된 트레이(200)로 인해 발생되는 모멘트가 조리기기에 더해지게 되는데, 이 모멘트 또한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와 트레이(2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를 합한 힘이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을 더욱 높이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rce of the moment acting on the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도어(300)에 작용하는 힘, 그리고 이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회전축(도어와 힌지부의 결합 부분)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3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할 것인데, 중력은 도어(300)의 전체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300)의 무게 중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멘트는,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고 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moment acting on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조리실(105) 개방을 위해 후방으로 회동할수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즉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의 전방 인출로 인해 트레이(200) 측에서의 모멘트가 증가되지만, 도어(300) 측에서의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되는 트레이(200)로 인한 조리기기의 전도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Thus,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when the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섯 번째 구성은,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fth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en the
한편, 거치돌기(8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와 연결된 거치돌기(820)가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거치돌기(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되, 거치돌기(820)의 두께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폭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바람직하게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일 수 있다.Preferably, the length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길이는,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와 관련된다. 즉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한 만큼 인출될 수 있고, 거치돌기(820)의 전방 이동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제한되므로, 결국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따라서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가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이면, 트레이(200)의 이동 가능 거리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으로 제한된다.Therefore, if the length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후방 단부에 위치할 때 트레이(200)가 조리실(105)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고 하면,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전방 단부에 위치할 경우, 트레이(200)는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이는,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트레이(200)가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면 그만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짐을 고려하여,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 그만큼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 자체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도 증가하게 된다. This is a result of the design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트레이(200) 및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은 낮추는 효과를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is embodiment, the
도어가 조리실의 전방만을 개방하는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면,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door only opens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즉 트레이(200)가 조리실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가 어렵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실(105)의 전면뿐 아니라 상면도 함께 개방되므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w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 전체의 조리 상태를 확인하기가 용이하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 것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여섯 번째 구성은,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sixth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conducted forward when the
[트레이의 스팀 발생 구조][Tray's Steam Generation Structure]
도 24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11의 "ⅩⅩⅤ-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the tray shown in FIG. 11, and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in FIG. 11.
도 3과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에는 물받이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홈(220)은, 트레이(2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홈(220)이 트레이본체(205)의 전방에 위치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물받이홈(220)은, 트레이(200)의 측면 상단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24 and 25, a
물받이홈(220)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물받이홈(220)에 담긴 물은, 조리실(105) 내부 또는 트레이(200)가 가열되었을 때 증발되어 조리실(105) 내에 작용하는 스팀으로 제공될 수 있다.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아울러 트레이(200)에는 스팀커버(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커버(230)는 물받이홈(220)을 상부에서 덮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커버본체부(231) 및 입수안내면(2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커버본체부(231)는, 물받이홈(220)을 상부에서 덮으며 트레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본체부(231)에는, 복수개의 스팀홀(233)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스팀홀(233)은, 커버본체부(23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각각의 스팀홀(233)에 의해, 스팀커버(230)에 의해 덮인 물받이홈(220)의 내부와 조리실(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스팀커버(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홈(220) 및 스팀커버(230)는 트레이(200)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스팀홀(233)은, 스팀커버(230)의 커버본체부(231)에 배치되되,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된다. 즉 스팀홀(233)은, 좌우방향을 따라 조리실(105) 내부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게 마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입수안내면(233)은, 커버본체부(231) 상에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입수안내면(233)에는, 입수홀(237)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And the
입수홀(237)은, 스팀커버(230)의 상부면과 물받이홈(22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스팀커버(230) 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입수안내면(233)은, 스팀커버(230)의 상부면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입수홀(237) 측으로 유도되도록 물의 흐름을 안내한다.The
바람직하게는, 입수홀(233)은 입수안내면(233)의 좌우방향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고, 입수안내면(233)은 커버본체부(231)와 입수홀(237)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수안내면(2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입수안내면(233)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입수홀(237) 측으로 흐른 후, 입수홀(237)을 통해 물받이홈(2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상기와 같이 물받이홈(220) 내부로 공급된 물은, 조리기기 내에 공급되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로 이용될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into the
예를 들어, 물받이홈(220)에 물이 수용되고 트레이(2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20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For example, when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이처럼 트레이(200)가 가열되면, 물받이홈(22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된다. 물받이홈(220)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홀(233)을 통해 스팀커버(230)를 통과하여 조리실(1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물받이홈(220)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스팀홀(233)도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조리실(105) 내부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게 마련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에 스팀이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다. 또한 스팀커버(230)의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된 입수홀(237)을 통해서도 스팀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스팀이 조리실(105)의 어느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조리실(105) 내부에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 전체에 스팀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105) 내부에 스팀을 고르게 공급하여 음식물 내부의 촉촉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steam is not concentrated in any part of the
또한 스팀커버(230)가 트레이(200)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물받이홈(220)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필요시 스팀커버(230)만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위생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Structure of the second heating section, receiving coil and second control board]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and the second heating part separat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cond heating part shown in FIG. 26.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heating unit, the receiving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shown in FIG. 26, and FIG. 29 is a second heating unit, the temperature sensor, the receiving coil,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own in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ate between the plates, and FIG. 30 is a rear view showing the second control substrate illustrated in FIG. 26.
도 3과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26 and 27, the
워킹코일(610)은, 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The working
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613)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28 and 29, the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코일설치베이스(621)와 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The receiv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while being placed on the cooktop, and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receiv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of the cooktop.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is placed on the cooktop and the working coil of the cooktop and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are operated together, power supplied through the cooktop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current is induced to the receiving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n
상기와 같은 수신코일(62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receiving
수신코일(620)은, 도 26과 도 27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26 and 27 and 30, the receiv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연결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ner space under the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7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노이즈필터 PCB(710)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720)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72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725)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The
IGBT(725)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Th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3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In view of this, a
제3냉각팬(730)은, IGBT(725)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The
제3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725)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726)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710)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behind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700)는,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Meanwhile, the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e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입력부,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Hinge assembly, second heating unit, second control substrate, see-through window, first heating unit, input unit, arrangement of first control substrate]
도 3과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26 to 30, a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A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인출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 힌지 어셈블리(800)가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트레이(2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The
즉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200)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야 한다.That is, the
게다가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The receiving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iving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Since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입력부(36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5, a viewing window W, a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In genera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provided in the form of a mini oven u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ser's gaze, the viewing window W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rather than be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The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e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입력부(36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입력부(36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입력부(36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입력부(36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입력부(36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Considering a state in which most of the area of the door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입력부(36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입력부(36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입력부(36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입력부(36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입력부(36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도어전면부(350)에는, 입력부(36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입력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In addition to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입력부(36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36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도어프레임의 구조][Structure of the door frame]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에서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eparately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n exploded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frame illustrated in FIG. 31.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lso, FIG. 3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door frame and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shown in FIG. 31, and FIG. 34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protective grill are removed from the door frame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showing.
도 31과 도 33 및 도 34에서는 글라스 및 리플렉터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다.In FIGS. 31 and 33 and 34, the illustration of the glass and reflector is excluded.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덮으며 도어(300)와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를 지지하며 도어(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31 to 34, the
상기 도어프레임(320)은, 결합부(321)와 히터장착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히터장착부(325)에는 제1가열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결합부(321)는,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되어 히터장착부(325)를 도어상면부(3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21)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관통공과 인접한 결합부(321)의 내측면에는, 안착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며, 이 안착면(322)에는 글라스(335)의 각 테두리 주변이 안착될 수 있다.A
이와 같이 안착면(322)에 안착되는 글라스(335)는,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히터장착부(325) 및 히터장착부(325)에 설치된 제1가열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평면을 형성하되, 대략 글라스(335)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결합부(321)보다 낮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글라스(335)는,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면(322)이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과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는, 세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안착면(322)을 둘러싸는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좌우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음은 물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억제되며 글라스(335)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constra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아울러 도어프레임(320)에는 구속리브(323)와 스토퍼(3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속리브(323)는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스토퍼(324)는 관통공의 전후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속리브(323)가 관통공의 후방에 배치되고, 스토퍼(324)가 관통공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addition, a restraining
구속리브(323)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결합부(32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이로부터 관통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ㄱ"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속리브(321)는, 글라스(335)의 후방에서 글라스(335)의 후방 테두리 및 상부면과 간섭됨으로써, 글라스(335)의 후방 및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The restraining
스토퍼(324)는, 결합부(32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24)는, 글라스(335)의 전방에서 글라스(335)의 전방 테두리와 간섭됨으로써, 글라스(335)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The
즉 글라스(335)가 안착면(322)에 안착되어 글라스(335)의 세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양측이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스토퍼(324)에 의해 글라스(335)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구속리브(323)에 의해 글라스의 전방 및 상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됨으로써,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제1가열부(400)는, 발열체(410)와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발열체(410)는, 전기히터 형태로 마련된 제1가열부(400)에서 열을 방출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발열체(4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420)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인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접속단(430)이 배치된다.A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가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At least one of the
원통형상부(421)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통형상부(421)는, 원형의 밑면이 제1가열부(410)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키형상부(425)는, 발열체(410)와 원통형상부(421)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발열체(410)를 중심으로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키형상부(425)가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최외측에 원통형상부(421)가 배치된다.The key-shaped
키형상부(425)는, 그 두께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얇고 그 폭이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한 쌍의 사각형 면(426; 이하, "제1면"이라 한다)이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상면과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두 쌍의 사각형 면(427; 이하, "제2면"이라 한다)이 한 쌍의 제1면(426) 사이에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네 측면을 이룰 수 있다.The key-shaped
이때 제1면(426)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427)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제1가열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접속단(420) 또는 제2접속단(430)을 봤을 때에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부 영역에서만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샹부(a)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viewing the first connecting
히터장착부(325)는,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히터장착부(325)는, 제1접속단(420)을 고정시키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모두가 동일하게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커버(a)는, 접속단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a)는, 접속단의 하부와 일측부를 감싸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접속단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조금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a)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end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ver (a)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urrounding the lower part and one side of the connecting end, and may be form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each connecting end, or a slightly longer length.
아울러 히터장착부(325)는, 차폐판(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의 전방측과 후방측 중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는 차폐판(328)이 배치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그리고 제1가열부(400)의 전방측과 후방측 중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에는 커버(a)가 배치된다. 커버(a)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과 제1가열부(400)의 하부에서 접속단을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a) is disposed on a sid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ooking chamber than the
커버(a)의 하부측은 차폐판(328)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접속단의 주변에는 "U" 형상으로 연결된 커버(a)와 차폐판(3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The lower side of the cover (a) is connected to the
지지벽(b)은, 상기와 같이 커버(a)와 차폐판(3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벽(b)은, 커버(a) 및 차폐판(328)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벽(b)은, 커버(a)와 차폐판(3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벽(b)에는, 접속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wall (b) is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a) and the
상기 지지벽(b)에는, 결합홀(c) 및 통과홀(d)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upport wall (b), a coupling hole (c) and a through hole (d) may be formed.
결합홀(c)은,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원통형상부(a)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원형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c)에 원통형상부(a)가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이 지지벽(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hole c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wall b,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 for example, a circular shape. By inserting the cylindrical portion (a) into the coupling hole (c), the connection end can be fitted into the support wall (b).
통과홀(d)은,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지지벽(b)의 상측 단부로부터 결합홀(c)까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d)은, 키형상부(425)의 단변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벽(b)의 외부와 결합홀(c)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d)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upport wall (b), it may be formed in a form cut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wall (b) to the coupling hole (c). The through hole (d)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wall (b)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key-shaped portion (425), thereby connecting between the outside of the support wall (b) and the coupling hole (c) A passage can be formed.
상기 통과홀(d)은, 키형상부(425)의 단변 길이, 바꾸어 말하면 키형상부(425)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d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side length of the key-shaped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어느 하나는, 제1가열부(400)가 제1자세인 상태에서 통과홀(d)을 통과하여 결합홀(c)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세는,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2면(427)이 통과홀(d)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의 자세인 것으로 정의된다(도 36 참조).Either of the
아울러 지지벽(b)에는 연장홀(e)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홀(e)은, 통과홀(d)과 마찬가지로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결합홀(c)의 상부에 형성된 통과홀(d)이 결합홀(c)을 통과하여 결합홀(c)의 하부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xtension hole (e)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upport wall (b). The extension hole (e)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upport wall (b) like the through hole (d), but the through hole (d) formed on the top of the coupling hole (c)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c) and the coupling hole (c) may be formed in an extended shape.
접속단이 제1자세일 때에는,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상부(421)보다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접속단이 제1자세일 때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원통형상부(421)와 결합홀(c)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원통형상부(421)와 결합홀(c)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기 위해서는, 키형상부(425)의 하부 돌출 부분이 결합홀(c)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When the connection end is in the first posture, the key-shaped
이를 위해, 결합홀(c)의 하부에는 연장홀(e)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홀(e)에는 키형상부(425)의 하부 돌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연장홀(e)은, 제1자세로 결합홀(c)에 삽입된 키형상부(425) 중 하부 돌출 부분이 결합홀(c)을 하부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o this end, an extension hole 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c, and a lower protruding portion of the key-shaped
또한 접속단은, 연장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22)는,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422)는,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1면(426)과의 사이에 단턱(423)이 형성되도록,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에서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장부(422)에 의해, 원통형상부(421)와 인접한 키형상부(425)의 일부분에는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가 중첩된 영역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end may further include an
이 영역에서는, 연장부(422)가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보다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키형상부(425)의 제2면(427)이 연장부(422)보다 키형상부(425)의 폭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In this region, the
상기와 같이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연장부(422)가 없다면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키형상부(425)의 측면 단부로만 한정될 것이다. 그러나 접속단에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의 중첩 지점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forming the
또한 상기 연장부(422)로 인해 형성되는 단덕(423)은, 접속단과 지지벽(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때, 키형상부(425)가 통과홀(d)에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각각 외벽(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지지벽(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결합부(321)의 내측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최외측 벽을 형성한다.Meanwhile, the first connection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 그리고 차폐판(328)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해당 공간은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 차폐판(328)에 의해 측부가 둘러싸이고 커버(a)에 의해 하부가 둘러싸인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고정단의 원통형상부(4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A space surrounded by a cover (a), a support wall (b), an outer wall (f), and a
상기 공간 내에서, 원통형상부(421)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원통형상부(421)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 도 7 참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일 수도 있고, 전원을 제1가열부(4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 둘 다일 수도 있다.Within the space, the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마련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로 이루어진다.The signal cable and the power cable are installed in the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복수개의 체결보스(341,346)가 배치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체결보스(341,346)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이 형성된 부분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주면,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은 결합부(321)에 의해 덮이게 된다.A plurality of
글라스(330,335)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덮지는 않지만, 제1가열부(400) 및 히터장착부(325)는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 케이블이 접속단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35)에 의해 덮이지 않은 결합부(321) 영역과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히터장착부(325) 영역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오목홈(g)이 마련된다. 오목홈(g)은,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결합부(321)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의 안착면(322)보다 오목한 면을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오목홈(g)은, 안착면(322)에 안착된 글라스(335)의 하부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원통형상부(a)가 수용된 공간과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is embodiment, a concave groove (g)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uter wall (f) and the engaging portion (321). Concave groove (g), the outer wall (f)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미설명된 부호 320b는, 힌지부(810; 도 2 참조)가 도어프레임(320)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형성하기 위해 도어프레임(320)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이다.On the other hand,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320b is a hole formed through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440 and a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도 2 참조)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플렉터(440)는 차폐판(328)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반사면과 글라스(335)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반사면이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리플렉터(440)는, 차폐판(328)과 결합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flector 44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reflects the heat of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된 리플렉터(400)는, 제1가열부(400)와 차폐판(328)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집중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1가열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을 사이에 두고 차폐판(328)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The
보호그릴(450)은, 복수개의 강선(451) 및 복수개의 고정부재(4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되, 대략 제1가열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마련된다.The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주변을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주변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로 둘러싸인다.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일측과 가열부(400)의 상부는 리플렉터(44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나머지 방향,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는 보호그릴(4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eriphery of the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를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53)는, 이러한 강선(451)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고정부재(453)는, 강선(4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상기 보호그릴(450)은,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는, 그릴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릴고정부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을 히터장착부(325)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고정리브(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a grille fixing par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h)는, 커버(a)에서 제1가열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h)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리브(h)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고정홈이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fixed ribs 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 형성되는 그릴고정부에 보호그릴(450)의 양측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도어프레임(320)에 보호그릴(450)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us, by fitting the
아울러 상기와 같이 커버(a)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커버(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h) formed to protrude on the cover (a) as described above, may also serve a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cover (a).
도 35 내지 도 39는 도어프레임에 제1가열부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5 to 39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이하, 도 35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도어프레임(320)에 제1가열부(400)가 설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도 35를 참조하면,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기 전에, 보호그릴(450)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그릴(450)의 설치는, 보호그릴(45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그릴(450)의 각 단부의 고정은,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이 끼워져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5, before the
보호그릴(45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열부(400)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가열부(400)가 제1자세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는, 한 쌍의 제1면(426)이 각각 전방과 후방을 향하고, 두 쌍의 제2면(427)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면(427)이 상부와 하부를 향하는 상태가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어느 하나를 지지벽(b)에 끼워 넣어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마련된 지지벽(b)에 끼워지는 예가 예시되어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6, one of the
제1접속단(420)이 지지벽(b)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지지벽(b)에 형성된 통과홀(d)에 제1접속단(420)이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420)은 키형상부(425)의 위치가 통과홀(d)의 위치와 일치된 상태에서 통과홀(d)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키형상부(425)는, 절개된 지지벽(b)의 상단을 통해 통과홀(d)로 삽입되며, 통과홀(d)을 통과하여 결합홀(c)에 삽입된다.In order for the
이때 제2접속단(430)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가 결합홀(c)에 삽입되는 상태로 제1가열부(400)가 하부로 이동하여도, 제2접속단(430)은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고 지지벽(b)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지지벽(b)에 끼워지기 위한 제1접속단(420)의 길이방향 위치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장부(422) 사이의 영역(이하, "함몰영역"이라 한다)이 통과홀(d)과 중첩될 수 있는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제1접속단(420) 중 통과홀(d)을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은 함몰영역으로만 한정되는데, 이 함몰영역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장부(422) 사이에서 함몰된 형상 특징으로 인해 명확히 구분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이 함몰영역의 길이가 지지벽(b)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그보다 약간 긴 정도가 되도록 한다면, 제1접속단(420)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에 끼워지면서도 제2접속단(430)은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제1가열부(400)의 위치가 쉽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If the length of the recessed region is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wall b, the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420)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430)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To this end,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LH=LH1+2LH2+2LH3 L H =L H1 +2L H2 +2L H3
L1=LH-LH2-LH3 L 1 =L H -L H2 -L H3
여기서, LH는 제1가열부 전체의 길이이고, LH1은 발열체의 길이이며, LH2는 발열체의 일측 단부와 단턱 간의 거리이고, LH3는 단턱과 원통형상부의 최외측 단부 간의 거리이다. 아울러 LH2는 발열체의 일측 단부와 단턱 간의 거리인 동시에, 함몰영역의 길이라고도 할 수 있다.Here, L H is the length of the entire first heating unit, L H1 is the length of the heating element, L H2 is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step, and L H3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tepped and the outermost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In addition, L H2 is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step, and may be referred to as the length of the depression region.
즉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제1가열부(4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발열체(410)와 한 쌍의 접속단(420,430) 중에서 하나의 접속단을 제외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된다.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제1접속단(420)의 함몰영역이 통과홀(d)에 삽입되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에 끼워질 때, 제2접속단(430)은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한편,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형상부(425)의 함몰영역이 통과홀(d)을 통과하여 결합홀(c)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과 같은 높이에 위치된 상태가 되면, 키형상부(425)의 하부 돌출 부분이 연장홀(e)에 삽입되고, 제1접속단(420)은 더 이상 하부를 향해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7, the recessed region of the key-shaped
이러한 상태에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 전체를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주되, 발열체(410)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에 따라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는, 지지벽(b)과 분리된다. 즉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는 결합홀(c)과 통과홀(d) 및 연장홀(e)로부터 이탈되고, 그 대신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에 삽입되면서 제1접속단(420)의 원통형상부(421)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8, the entire
이와 함께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제2접속단(420)의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2접속단(430)의 원통형상부(421)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접속단고정부(327)에서도, 제2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가 지지벽(b)과 분리된 상태, 즉 제2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가 결합홀(c)과 통과홀(d) 및 연장홀(e)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Along with this, the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420)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430)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To this end,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L1=LH1+2LH4 L 1 =L H1 +2L H4
여기서, LH4는 키형상부(425)의 길이이다.Here, L H4 is the length of the key-shaped
즉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발열체(410)와 한 쌍의 키형상부(425)를 포함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된다.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제1접속단(420)의 원통형상부(421)와 제2접속단(430)의 원통형상부(421) 모두가 지지벽(b)에 끼워진 상태일 때,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와 제2접속단(430)의 키형상부(425) 모두가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이러한 상태에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자세를 제2자세로 변화시켜 주면,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제2자세는,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이 통과홀(d)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의 자세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의 제2자세는, 제1가열부(400)가 제1자세인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90°만큼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9, if the posture of the
상기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자세가 변화됨에 따라,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 각각의 키형상부(425)는 지지벽(b)과 각각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400)는 그 길이방향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히터장착부(325)에 고정될 수 있다.As the posture of the
이는, 제1접속단고정부(420)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430)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가 L1=LH1+2LH4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1가열부(400)와 히터장착부(325)의 형상이 설계됨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This i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L 1 ) between the support wall b of the first connection
아울러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L 2 )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ship.
L2≥LH3 L 2 ≥L H3
즉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는, 단턱(423)과 원통형상부(421)의 최외측 단부 간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설정된다.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L 2 )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is set to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stepped 423 and the outermost end of the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지지벽(b)과 외벽(f) 사이에 상기 이격 거리((L2)에 대응되는 길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지지벽(b)과 외벽(f)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연장부(422)와 원통형상부(421)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공간에서는, 케이블과 접속단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연장부(422)와 원통형상부(421)의 삽입 및 케이블과 접속단의 연결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If the separation distance (L 2 )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is set as above, the length of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L 2 )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an extension portion (422) and a cylindrical portion (421) are inserted, and in this space, a connection between the cabl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made. That is, if the separation distance (L 2 )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리플렉터(44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플렉터(440)의 설치는, 리플렉터(440)를 차폐판(328)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그런 다음, 글라스(335; 도 31 참조)를 도어프레임(330)의 안착면(332)에 안착시키고, 구속리브(323)와 스토퍼(324)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면, 글라스(335)의 설치가 완료된다.Then, when the glass 335 (see FIG. 31)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32 of the
글라스(335) 설치 과정 이전 또는 이후에는, 접속단과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이 모두 완료되면, 도어프레임(320)과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 및 글라스(335)가 하나로 조립된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 및 글라스(335)와 하나로 조립된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 도 1 참조)에 결합시키면,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 및 글라스(335) 등이 도어(300)에 단번에 조립될 수 있게 된다.Before or after th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열부(400)의 설치 및 접속단과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도 31 참조)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이 각각 덮여 접속단을 보호할 수 있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캡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커버(a)의 상부에는 결합돌기(i)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프레임(32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첫째,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First, the
도어프레임(320)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장착부(340,345) 등에 체결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시 도어(3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조리기기의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둘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와 그 관련 부품들, 그리고 글라스(335)가 하나의 단위체로 조립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관리 및 제조 관리가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Second, the
도어프레임(320)에는,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 외에도,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이 함께 제공된다.In the
이에 따라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하나의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가 단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one unit body in which the
셋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들을 제공함으로써,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ird,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끼우고, 제1가열부(40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제1자열부(400)를 회전시키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ne end of the
이때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방향성 있게 마련된 것이 아니므로,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것에 먼저 끼우더라도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문제없이 가능하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connection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 작업은 물론 제1가열부(400)의 교체를 위해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작업 또한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from thi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하우징
105 : 조리실
110 : 저면
120,130 : 측면
125 : 제2슬롯
140 : 배면
150 : 배면케이스
160 : 절연판
170 : 캐비닛
180 : 베이스
200 : 트레이
205 : 트레이본체
210 : 거치부
211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14 : 슬라이딩면
215 : 거치홈
220 : 물받이홈
230 : 스팀커버
231 : 커버본체부
233 : 스팀홀
235 : 입수안내면
237 : 입수홀
300 : 도어
301 : 흡기구
303 : 배기구
305 : 손잡이
310 : 도어상면부
320 : 도어프레임
330,335 : 글라스
340,345 : 케이블장착부
341 : 연결부재
350 : 도어전면부
360 : 입력부
370 : 제1냉각팬
400 : 제1가열부
500 : 제1제어기판
600 : 제2가열부
610 : 워킹코일
611 : 코일설치베이스
613 : 코일
615 : 코일연결배선
620 : 수신코일
621 : 코일설치베이스
623 : 코일
630 : 전자기차폐판
640 : 온도측정부
700 : 제2제어기판
710 : 노이즈필터 PCB
720 : 코일제어 PCB
725 : IGBT
726 : 히트싱크
730 : 제2냉각팬
800 : 힌지 어셈블리
810 : 힌지부
820 : 거치돌기
830 : 힌지케이스
831 : 가이드홀
832 : 제1가이드리브
833 : 재2가이드리브
835 : 제1슬롯
W : 투시창100: housing
105: cooking room
110: bottom
120,130: side
125: second slot
140: back
150: back case
160: insulating plate
170: cabinet
180: base
200: tray
205: tray body
210: mounting part
211: first protrusion
213: second protrusion
214: sliding surface
215: Mounting groove
220: drip tray groove
230: steam cover
231: cover body
233: Steam Hall
235: Information page
237: Intake Hall
300: door
301: intake vent
303: exhaust
305: handle
310: upper door part
320: door frame
330,335: Glass
340,345: Cable mounting part
341: connecting member
350: front door
360: input
370: first cooling fan
400: first heating unit
500: first control board
600: second heating unit
610: Working coil
611: coil mounting base
613: coil
615: coil connection wiring
620: receiving coil
621: coil mounting base
623: coil
630: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640: temperature measuring unit
700: 2nd control board
710: noise filter PCB
720: coil control PCB
725: IGBT
726: Heat sink
730: second cooling fan
800: hinge assembly
810: hinge part
820: overhang
830: hinge case
831: guide hole
832: 1st guide drive
833: Jae 2 Guy Drib
835:
W: Viewing window
Claims (22)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의 동작 조절을 위해 조작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back surface is formed inside, and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are opened;
A door including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door front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 heating unit that generates heat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oper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es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on the door.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heating unit, the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electric heat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trol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The first control substrate is a cooking applianc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전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도어전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제어기판과 연결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4,
The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peration switch installed out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The operation switch, the cooking applian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substrate through the front door.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1제어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4,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e first control substrate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door part and the front door part.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viewing window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투시창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viewing window,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pair of glass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therein.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제1제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전면부에는,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제어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투시창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전면부의 하단에는,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단에는, 상기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trol substrat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and the first control substrate therein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The space portion formed inside the door front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formed inside the viewing window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front door portion, an intake port is formed to open the space inside the front door part to the outside,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n exhaust port for opening a space inside the viewing window to the outside is formed.
외부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도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includes a cooling fan that generates an air flow in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through the intake port and air inside the doo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시창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door,
The first heating unit,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disposed in an area not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hen viewed from the top.
상기 투시창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투시창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viewing window includes a pair of glasses which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heating unit, the cooking appliance disposed on the front outside and rear outside of the viewing window, respectively.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장착부에는,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기판과 상기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cable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The cable mounting portion,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a cable connecting the first control substrate and the first heating unit through the interior of the upper door portion and the front door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제어기판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장착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제어기판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가열부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신호케이블은, 상기 투시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Power cabl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board are installed at any one of the cable mounting uni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respectively,
A signal cab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ontrol substrate to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at the other of the cable mounting uni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respectively.
The power cable and the signal cable, the cooking appliance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viewing window therebetween.
상기 투시창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글라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상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글라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viewing window is made up of a pair of glasses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therein,
Further comprising a door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y one of the pair of glass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e other of the pair of glass,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door,
The first heating unit,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상기 글라스가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door frame, a through hole in which the glass is disposed is formed,
The first heating unit, the cooking applianc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respectively.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door fram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A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nd disposed under the door upper surface.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is a cooking appliance that rotates around a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ㄱ"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된 상기 도어상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가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oking appliance which rotates integrally around the rear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nnected to form a "a" shape.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back surface is formed inside, and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are opened;
It includes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ront door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Door to be;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viewing window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back surface is formed inside, and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are opened;
It includes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ront door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Door to be;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heating unit disposed on the door.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151102.9A EP3680558B1 (en) | 2019-01-11 | 2020-01-10 | Cooking appliance |
US17/421,590 US20220160172A1 (en) | 2019-01-11 | 2020-01-10 | Cooking appliance |
EP23190173.7A EP4246045B1 (en) | 2019-01-11 | 2020-01-10 | Cooking appliance |
PCT/KR2020/000544 WO2020145766A1 (en) | 2019-01-11 | 2020-01-10 | Cooking appliance |
EP21190789.4A EP3973828B1 (en) | 2019-01-11 | 2020-01-10 | Cooking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4169 | 2019-01-11 | ||
KR1020190004169 | 2019-01-11 | ||
KR20190038037 | 2019-04-01 | ||
KR1020190038037 | 2019-04-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7652A true KR20200087652A (en) | 2020-07-21 |
KR102691057B1 KR102691057B1 (en) | 2024-08-01 |
Family
ID=7183251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378A KR102678070B1 (en) | 2019-01-11 | 2019-04-05 | Cooking appliance |
KR1020190041621A KR102691057B1 (en) | 2019-01-11 | 2019-04-09 | Cooking appliance |
KR1020190121098A KR20200087662A (en) | 2019-01-11 | 2019-09-30 | Operation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
KR1020190177048A KR20200087685A (en) | 2019-01-11 | 2019-12-27 | Cooking applian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378A KR102678070B1 (en) | 2019-01-11 | 2019-04-05 | Cooking applian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1098A KR20200087662A (en) | 2019-01-11 | 2019-09-30 | Operation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
KR1020190177048A KR20200087685A (en) | 2019-01-11 | 2019-12-27 | Cooking appli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67807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89602U (en) | 1985-11-27 | 1987-06-08 | ||
US20100178407A1 (en) * | 2008-12-31 | 2010-07-15 | Rizzuto Leandro P | Oven and method for cooking with dry heat and steam heat |
KR20110001565U (en) | 2009-08-07 | 2011-02-15 | 이종석 | The door openning and closeing device of toast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35999A (en) * | 1968-07-01 | 1970-10-27 | Scovill Manufacturing Co | Convertible cooking device with sloping spit |
GB1556053A (en) | 1976-06-10 | 1979-11-21 | Pilkington Brothers Ltd | Thermal treatment of glass |
KR940025187U (en) * | 1993-04-19 | 1994-11-17 |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cavity body | |
KR960005773B1 (en) * | 1993-12-28 | 1996-05-01 | 대우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automatically-opening door or tray of microwave oven |
JP3363239B2 (en) * | 1994-03-23 | 2003-01-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device |
US6289602B1 (en) | 1999-01-28 | 2001-09-18 | Cts Corporation | Strain gage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sensor |
US6271502B1 (en) | 2000-02-18 | 2001-08-07 | Wen-Ching Lee |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
ITTO20120460A1 (en) | 2012-05-25 | 2013-11-26 | Eltek Spa | CONTROL DEVICE FOR GAS TAPS |
-
2019
- 2019-04-05 KR KR1020190040378A patent/KR10267807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4-09 KR KR1020190041621A patent/KR10269105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9-30 KR KR1020190121098A patent/KR20200087662A/en unknown
- 2019-12-27 KR KR1020190177048A patent/KR2020008768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89602U (en) | 1985-11-27 | 1987-06-08 | ||
US20100178407A1 (en) * | 2008-12-31 | 2010-07-15 | Rizzuto Leandro P | Oven and method for cooking with dry heat and steam heat |
KR20110001565U (en) | 2009-08-07 | 2011-02-15 | 이종석 | The door openning and closeing device of toa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8070B1 (en) | 2024-06-25 |
KR20200087662A (en) | 2020-07-21 |
KR20200087650A (en) | 2020-07-21 |
KR102691057B1 (en) | 2024-08-01 |
KR20200087685A (en) | 2020-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80555B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00087688A (en) | Cooking appliance | |
US12082329B2 (en) | Cooking appliance | |
EP3680557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572684B1 (en) | Cooking appliance | |
EP3680558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213630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691060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522669B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00087652A (en) | Cooking appliance | |
AU2020206084A1 (en) | Coo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