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71028A -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028A
KR20200071028A KR1020190162555A KR20190162555A KR20200071028A KR 20200071028 A KR20200071028 A KR 20200071028A KR 1020190162555 A KR1020190162555 A KR 1020190162555A KR 20190162555 A KR20190162555 A KR 20190162555A KR 20200071028 A KR20200071028 A KR 20200071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oligosaccharide
fermented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만
탄한
진주희
셉티아나 이스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7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028A/ko
Priority to KR102021011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9Solubiliser, Solubilis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수용성 물질인 강황가루, 프테로스틸벤,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퀘르세틴, 이데베논 및 올레오놀산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및 식의약품에 적용가능한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SOLUBILIZING COMPOSITION OF INSOLUBLE MATERIAL COMPRISING LIGOSACCHARIDES PREPAR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 및 식의약품 산업에서 생리활성소재의 발굴을 위해 그 활성뿐만 아니라 생체 적합성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성분을 개발하는 것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천연성분들은 그 특징이 전반적으로 상이하여 이들 모두를 충분히 안정화시킬 수 있는 제형이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높은 효능을 나타내고 있는 천연성분은 잠재적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들 중 약 40%가 낮은 용해도로 인해 개발단계에 조차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난수용성 물질을 조작하여 용해도를 증진시키는 과정을 가용화(solubilization)라고 하며, 난수용성 물질을 물에 가용화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용화 기술은 산업에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향후 난수용성 물질의 가용화 기술은 그 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수성의 난수용성 물질은 친수기가 없거나 매우 적을 경우, 또는 분자배열을 방해하는 위치에 있을 경우, 분자간 강한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물에 가용화되기 어려운 분자배열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소수성 물질의 분자배열에 변형을 줄 수 있으면, 난수용성 물질이 분산 또는 가용화될 수 있는데, 이렇게 분자배열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계면활성제이다.
화장품 및 식의약품 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매우 다양하다. 종래에는 합성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초고압유화장치(ultrahomogenizer) 등에 의한 물리적 조건에서 나노입자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고농도로 난수용성 물질을 가용화하는 것과 그 안정성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258호는 2종류의 친수성 천연고분자로부터 유래한 올리고머를 이용하여 소수성 동공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형성시키고, 난수용성 물질을 동공구조에 봉입시켜 가용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2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에 난수용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산균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올리고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수용성 물질인 강황가루, 프테로스틸벤,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퀘르세틴, 이데베논 및 올레오놀산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및 식의약품에 적용가능한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강황가루를 스테비올 올리고당(Ste-NGOS), 발효 올리고당(NGOS) 또는 물(water)에 각각 녹여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의 양을 정량하기 위해 에탄올에 녹인 강황가루를 이용하여 얻은 표준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의 양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을 TLC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면이다.
도 5는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의 양을 TLC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EGCG를 발효 올리고당(A)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B)에 각각 녹여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7은 수용액 가용화된 EGCG를 TLC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면이다.
도 8은 퀘르세틴을 발효 올리고당(A)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B)에 각각 녹여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9는 이데베논을 스테비올 올리고당에 녹여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TLC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가시광선(A) 또는 UV(B)하에서 확인한 결과 도면이다.
도 10은 이데베논을 스테비올 올리고당에 녹여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11은 올레오놀산을 스테비올 올리고당에 녹여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TLC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발효 올리고당"은 효소의 합성에 의해 당이 2 내지 8개 정도 결합한 것으로 감미를 가진 수용성의 결정성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생리적 기능 및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식의약품에 응용할 수 있고, 특히 설탕과 물리적인 특성이 유사하고 감미도 있어 설탕의 대체물질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글루코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수크로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오스, 타가토스, 알룰로오스,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stevia),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 모글로사이드(mogroside), 커컬비테인 배당체(cucurbitane glycoside), 필로둘신(phyllodulcin) 및 글리시리진(glycyrrhiz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변형된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올리고당일 수 있다.
상기 발효는 25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50℃, 25 내지 47℃, 30 내지 47℃ 또는 40 내지 47℃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는 3 내지 20시간, 3 내지 17시간, 3 내지 13시간, 6 내지 20시간, 6 내지 17시간, 6 내지 13시간, 8 내지 20시간, 8 내지 17시간 또는 8 내지 1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올리고당의 발효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속 균주일 수 있고, 일례로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tic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B-1355C/KM 균주(KCCM 11730P)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B-512F/KM 균주(KCCM 11728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B-1355C/KM 균주 및 류코노스톡 메센토로이데스 B-512F/KM 균주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수용성 물질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난수용성 물질이라고 알려진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난수용성 물질은 강황가루, 프테로스틸벤,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퀘르세틴, 이데베논 및 올레오놀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에 난수용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에 사용되는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은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유산균으로 발효된 올리고당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속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에 의해 수용성이 증가할 수 있는 난수용성 물질은 강황가루, 프테로스틸벤,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퀘르세틴, 이데베논 및 올레오놀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산균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올리고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올리고당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올리고당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글루코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수크로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오스, 타가토스, 알룰로오스,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올 배당체, 모글로사이드, 커컬비테인 배당체, 필로둘신 및 글리시리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올리고당은 수크로스 또는 스테비오사이드를 말토오즈 및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과 혼합하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균주는 류코노스톡 속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발효는 통상적인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는 25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50℃, 25 내지 47℃, 30 내지 47℃ 또는 40 내지 47℃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는 3 내지 20시간, 3 내지 17시간, 3 내지 13시간, 6 내지 20시간, 6 내지 17시간, 6 내지 13시간, 8 내지 20시간, 8 내지 17시간 또는 8 내지 1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발효 올리고당의 제조
발효 올리고당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B-1355C/KM 균주(KCCM 11730P)(이하, 'B-1355C 균주')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B-512F/KM 균주(KCCM 11728P)(이하, 'B-512F 균주')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1 unit/㎖의 B-1335C 균주 배양액, 7 unit/㎖의 B-512F 균주 배양액, 2 M의 수크로오스, 0.25 M의 말토오즈 및 20 mM의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pH 5.2)을 혼합하여, 45℃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발효 올리고당(NGOS)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스테비올 올리고당의 제조
수크로오스 대신, 3%(w/v)의 스테비오사이드(대평, 한국)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스테비올 올리고당(Ste-NGOS)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강황가루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 확인
1-1.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가 포함된 용액의 제조
상기 제조된 발효 올리고당 및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강황가루를 수용액 가용화시켰다.
구체적으로, 10%(w/v)의 강황가루에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첨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물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30%(v/v)의 최종 농도가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고,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물을 12,000 rpm, 4℃의 조건하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상등액 내에 존재하는 에탄올을 증발시켜 최종적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가 포함된 용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용액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올리고당 및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이용하여 제조된 용액에서 강황가루의 수용성이 높았다. 반면, 대조군인 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액에서는 강황가루가 거의 녹지 않았다.
1-2. 강황가루 수용성의 정량적 확인
실험예 1-1에서 제조된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가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수행함으로써,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의 양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수용액 가용화시킬 때, 30%(v/v) 에탄올을 첨가하지 않은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TLC는 고정상 실리카 겔 60을, 전개용매로서 아세토니트릴 및 물을 85:15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TLC를 통해 수득된 각 분획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상기 값을 에탄올에 녹인 강황가루 용액으로 수득된 표준곡선(도 2)에 적용하여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의 양을 정량적으로 얻은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황가루를 수용액 가용화시킬 때, 30%(v/v)의 에탄올을 첨가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용액 가용화된 강황가루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실험예 2. 프테로스틸벤(pterostilbene)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 확인
2-1.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이 포함된 용액의 제조
강황가루 대신 프테로스틸벤을 첨가하고, 대조군으로서 물 및 DMSO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이 포함된 용액을 얻었다.
2-2. 프테로스틸벤 수용성의 정량적 확인
실험예 2-1에서 제조된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이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TLC를 수행하고, TLC 분석 결과를 도 4에, AlphaEaseFC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의 양을 정량적으로 얻은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DMSO에 스테로스틸벤을 녹인 시료의 값을 기준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프테로스틸벤의 양을 계산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테로스틸벤은 발효 올리고당 및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이용하여 수용액 가용화시킨 용액에서 녹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이용하여 수용액 가용화시킨 용액에 2.21 ㎎/㎖의 프테로스틸벤이 녹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의 수용액 가용화 확인
3-1. 수용액 가용화된 EGCG가 포함된 용액의 제조
강황가루 대신 100 ㎎/㎖의 EGCG를 첨가하고,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0, 10, 30, 50, 70 또는 100%(v/v)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EGCG가 포함된 용액을 얻었다. 제조된 용액에서 EGCG의 수용액 가용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촬영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된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EGCG의 수용액 가용화가 증가하였다.
3-2. EGCG 수용성 증가 확인
실험예 3-1에서 제조된 수용액 가용화된 EGCG가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TLC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10, 20, 30, 50, 70 또는 100 ㎎/㎖의 EGCG를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사용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된 발효 올리고당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EGCG의 수용액 가용화가 증가하였다.
실험예 4. 퀘르세틴(quercetin)의 수용액 가용화 확인
4-1. 수용액 가용화된 퀘르세틴이 포함된 용액의 제조
강황가루 대신 500 ㎎/㎖의 퀘르세틴을 첨가하고,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을 0, 10, 30, 50, 70 또는 100%(v/v)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퀘르세틴을 포함된 용액을 얻었다. 제조된 용액에서 퀘르세틴의 수용액 가용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촬영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된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퀘르세틴의 수용액 가용화가 증가하였고, 특히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서 퀘르세틴의 수용액 가용화가 더 증가하였다.
4-2. 퀘르세틴 수용성의 정량적 확인
실험예 4-1에서 제조된 수용액 가용화된 퀘르세틴이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TLC를 수행하였다. 한편, 퀘르세틴을 DMSO에 녹인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표준곡선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퀘르세틴의 양을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0%(v/v) 10%(v/v) 30%(v/v) 50%(v/v) 70%(v/v) 100%(v/v)
발효 올리고당에의 수용화 정도(㎎/㎖) ND ND 0.02 0.03 0.05 0.14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의 수용화 정도
(㎎/㎖)
ND 0.02 0.07 0.25 0.41 3.1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퀘르세틴의 수용화 정도도 증가하였다.
실험예 5. 이데베논(idebenone)의 수용액 가용화 확인
5-1. 이데베논의 수용성 증가 확인
1%(w/v)의 이데베논을 0, 10, 30, 50 또는 70%(v/v)의 스테비올 올리고당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혼합물을 12,000 rpm, 4℃의 조건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취하였다. 상기 상층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TLC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데베논이 사용된 스테비올 올리고당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수용액 가용화가 증가하였다.
5-2. 이데베논 수용성의 정량적 확인
실험예 5-1에서 수행한 TLC 결과로부터 AlphaEaseFC 4.0 프로그램(Alpha Inotech, 미국)을 사용하여 스테비올 올리고당에 수용화된 이데베논의 양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이데베논을 DMSO에 녹인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표준곡선으로 수용액 가용화된 이데베논의 양을 확인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용액에서 이데베논의 수용액 가용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촬영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0%(v/v) 10%(v/v) 30%(v/v) 50%(v/v) 70%(v/v)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의 수용화 정도(㎎/㎖) ND ND ND ND 10.3
표 2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데베논은 70%(v/v)의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서 10.3 ㎎/㎖의 농도로 용해되었다.
실험예 6. 올레오놀산(oleanolic acid)의 수용액 가용화 확인
이데베논 대신 올레오놀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올레오놀산의 수용액 가용화를 확인하였다. TLC 분석 결과를 도 10에, 올레오놀산의 수용액 가용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촬영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으며, 수용액 가용화된 올레오놀산의 양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v/v) 10%(v/v) 30%(v/v) 50%(v/v) 70%(v/v)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의 수용화 정도(㎎/㎖) ND 1.0 1.6 2.8 2.3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TLC 결과 올레오놀산이 사용된 스테비올 올리고당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수용액 가용화가 증가하였다. 이는, 표 3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액 가용화된 올레오놀산의 양을 정량한 결과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되었으며, 50%(v/v)의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서 가장 높은 수용화 정도를 보여, 그 이상의 농도를 갖는 스테비올 올리고당에서는 수용화 정도가 포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발효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올리고당은 글루코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수크로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락토오스, 타가토스, 알룰로오스,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stevia),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 모글로사이드(mogroside), 커컬비테인 배당체(cucurbitane glycoside), 필로둘신(phyllodulcin) 및 글리시리진(glycyrrhiz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발효된 것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속 균주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tic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용성 물질은 강황가루, 프테로스틸벤,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퀘르세틴, 이데베논 및 올레오놀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7. 제1항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에 난수용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
  8. 유산균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균주는 류코노스톡 속 균주인, 발효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KR1020190162555A 2018-12-10 2019-12-09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KR20200071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69A KR102306453B1 (ko) 2018-12-10 2021-09-07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8101 2018-12-10
KR1020180158101 2018-12-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869A Division KR102306453B1 (ko) 2018-12-10 2021-09-07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028A true KR20200071028A (ko) 2020-06-18

Family

ID=711431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55A KR20200071028A (ko) 2018-12-10 2019-12-09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KR1020210118869A KR102306453B1 (ko) 2018-12-10 2021-09-07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869A KR102306453B1 (ko) 2018-12-10 2021-09-07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710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58B1 (ko) 2009-12-09 2012-04-24 (주)바이오제닉스 올리고머 복합체의 형성을 통한 난/불용성 활성물질의 가용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7568B2 (ja) * 1991-12-19 1998-12-1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オリゴ糖含有飲食品用素材、該飲食品用素材含有飲食品および該飲食品用素材の製造方法
WO2013019049A1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및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KR20130014227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α-글루코실 스테비오사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58B1 (ko) 2009-12-09 2012-04-24 (주)바이오제닉스 올리고머 복합체의 형성을 통한 난/불용성 활성물질의 가용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453B1 (ko) 2021-09-30
KR20210114359A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Comprehensive comparison of polysaccharides from Ganoderma lucidum and G. sinense: chemical, antitumor, immunomodulating and gut-microbiota modulatory properties
Cho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hesperetin, hesperidin and hesperidin glucosid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in vitro
López-Molina et al. Molecular properties and prebiotic effect of inulin obtained from artichoke (Cynara scolymus L.)
US10676496B2 (en) Method for producing flavonoid inclusion compound
Kim et al.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extract isolated from Curcuma xanthorrhiza Roxb.
Montella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water and alkali soluble oligosaccharides from hazelnut skin (Corylus avellana L.)
Xu et al. Mechanochemical preparation of kaempferol intermolecular complexes for enhancing the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Jung et al. Enrichment of polyglucosylated isoflavones from soybean isoflavone aglycones using optimized amylosucrase transglycosylation
Mena et al. Gastrointestinal stability of urolithins: an in vitro approach
CN104507485B (zh) 蔓越莓木葡聚糖低聚糖组合物
JP6839494B2 (ja) αモノグルコシルロイフォリン、αモノグルコシルロイフォリンの製造方法、αモノグルコシルロイフォリンを含む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抗糖化剤
JP6655246B2 (ja) ダブル及びシングルアンカー型イソマルトメガロ糖、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
KR102306453B1 (ko)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Gao et al. In vivo absorption, in vitro simulated digestion and fecal fermentation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from Pinelliae Rhizoma Praeparatum Cum Alumine and their effects on human gut microbiota
Nguyen et al.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epigallocatechin gallate complex with different steviol glucosides
Jeong et al. Improved low water solubility of fisetin by enzymatic encapsulation reaction using cycloamylose produced by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Li et al. Structure, conforma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 polysaccharide from Morchella sextelata
İspirl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fidogenic raffinose-derived oligosaccharides via acceptor reactions of glucansucrase E81
Li et al. Characterizations of food-derived ellagic acid-Undaria pinnatifida polysaccharides solid dispersion and its benefits on solubility, dispersity and biotransformation of ellagic acid
Frański et al. Differentiation of interglycosidic linkages in permethylated flavonoid glycosides from linked-scan mass spectra (B/E)
KR102613981B1 (ko)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
JP2003171328A (ja) 有効物質の抽出方法および精製方法
İspirl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ellobiose-derived oligosaccharides with Bifidogenic activity by glucansucrase E81
JP7057939B2 (ja) ローヤルゼリー素材の製造方法、ローヤルゼリー素材、ローヤルゼリー含有飲食品、及びローヤルゼリー含有化粧料
CA3041417C (en) Chitooligosaccharide of specific structur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