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235A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5235A KR20200065235A KR1020180151509A KR20180151509A KR20200065235A KR 20200065235 A KR20200065235 A KR 20200065235A KR 1020180151509 A KR1020180151509 A KR 1020180151509A KR 20180151509 A KR20180151509 A KR 20180151509A KR 20200065235 A KR20200065235 A KR 20200065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animal
- capturing apparatus
- harmful
- pul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04N5/2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 등지에 설치되어 먹이에 의해 유인된 유해 동물을 선택적으로 포획하기 위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피 및 중량이 큰 구조물 형태의 포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산악지형에서 휴대나 이동이 매우 힘들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의 하부는 올렸다 내렸다 가능하도록 하단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당김끈이 연결되고, 상기 당김끈은 바닥에 설치된 하부 로울러와 상측에 설치된 상부 로울러로 감겨져 모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물의 주변에는 그물의 내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모아진 당김끈은 당김수단의 작동에 의해 그물의 하단을 하강시켜서 내부에 유인된 동물을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산악 지형으로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않고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 후에는 유입된 동물을 확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유해 동물만을 선택하여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편리하며 제조비가 저렴하게 된다.
종래에는 부피 및 중량이 큰 구조물 형태의 포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산악지형에서 휴대나 이동이 매우 힘들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의 하부는 올렸다 내렸다 가능하도록 하단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당김끈이 연결되고, 상기 당김끈은 바닥에 설치된 하부 로울러와 상측에 설치된 상부 로울러로 감겨져 모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물의 주변에는 그물의 내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모아진 당김끈은 당김수단의 작동에 의해 그물의 하단을 하강시켜서 내부에 유인된 동물을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산악 지형으로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않고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 후에는 유입된 동물을 확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유해 동물만을 선택하여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편리하며 제조비가 저렴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 지역에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유인된 유해 동물을 신속 정확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산이나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 등 동물의 서식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숲에서 서식하는 포유류 동물들이 먹이를 찾아 농가로 내려와 농가 근처에서 재배한 농산물에 피해를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심 주변의 산에서 주거지로 내려오는 멧돼지 등의 유해 동물에 의한 인명이나 시설물, 농작물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야생 유해 동물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포획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총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총기 사용은 소음은 물론이고 또 다른 인명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서 올가미나 덫을 이용해 동물의 포획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사람에게도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유해 동물은 물론 보호 대상 동물도 포획하여 상처를 입히거나 살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842060호에는 내부공간이 노출토록 적어도 3개의 다리를 구비하여 지면의 일정높이에서 지지되는 내부틀과, 상기 내부틀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틀을 중심으로 승,하강토록 설치되면서 하향시 내부공간을 차단하는 외부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틀에 가이드로울러가 외부틀에 슬롯이 구비되어 가이드 로울러의 경사방향의 이동시 외부틀이 내부틀을 따라 수직방향 이동토록 설치되도록 구성된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내부틀의 하부 내측으로 동물이 유입되면 외부틀이 내부틀의 외측에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동물을 포획하게 되는데, 경사진 산악으로 장치를 운반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 설치 장소의 제약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며,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가 저렴하며, 유해 동물 여부를 확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는,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의 하부는 올렸다 내렸다 가능하도록 하단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당김끈이 연결되고, 상기 당김끈은 바닥에 설치된 하부 로울러와 상측에 설치된 상부 로울러로 감겨져 모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물의 주변에는 그물의 내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모아진 당김끈은 당김수단의 작동에 의해 그물의 하단을 하강시켜서 내부에 유인된 동물을 포획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악 지형으로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않고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 후에는 유입된 동물을 확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유해 동물만을 선택하여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편리하며 제조비가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서 당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서 당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일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산에 심어진 나무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적정 거리를 두고 심어진 나무 기둥(10)의 적정 높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그물(20)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끈(21)이 고정끈(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그물(20)은 일정 높이로 사면을 폐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그물(20)의 하단에는 하부끈(23)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끈(23)은 상부끈(21)의 주변으로 상승된 상태나 또는 별도의 조작에 의해 하강하여 내부에 유입된 동물을 포획하게 된다.
상기 상부끈(21)과 하부끈(23)은 탄성부재(24)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끈(23)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그물(20)이 상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4)는 복수 개가 연결되며, 고무줄이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힘이 작용하면 단선되는 절단실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끈(23)의 하단 일측에는 복수 개의 하부 로울러(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하부 로울러(25)에는 상기 하부끈(23)에 일단이 고정된 당김끈(26)이 감겨져 나무(1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로울러(27)에 감겨져 일측에 모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상부 로울러(27)에서 모여진 각 당김끈(26)은 당김수단(30)에 연결되어 그물(20)의 내부에 동물(A)이 유인되면 일시에 그물(20)의 하단을 하강시켜 내부로 유입된 동물(A)을 포획하게 된다.
상기 당김수단(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31)의 상측에는 회동판(32)이 힌지핀(33)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31) 및 회동판(32)의 사이에는 스프링(34)이 개재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고정판(31) 및 회동판(32)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회전 로울러(35)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회전 로울러(35)에는 상기 그물(20)의 하단에 연결된 각 당김끈(26)이 감겨지고, 그 선단은 고정판(31)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수단(30)은 고정판(31) 및 회동판(32)에 의해 단김끈(26)이 당겨져 그물(20)의 하부끈(23)이 바닥에 닿음으로써 먹이(B)에 의해 내부로 유인된 동물(A)을 포획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당김수단(30)은 감시자가 모니터를 보면서 직접 손으로 당기거나 잭이나 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그물(2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40)가 설치되고, 이 감시 카메라(40)에서 촬영된 영상은 별도의 장소에서 모니터로 감시하며, 상기 당김수단(30)은 감시자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물(20)의 일측에는 내부에서 포획된 동물(A)을 한 방향으로 유인하여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4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는 산악지역에 설치하게 되는데, 유해 동물이 출몰되는 지역에 주위에 심어진 나무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먼저 적당한 간격으로 심어진 나무 기둥(10)의 적정 높이에 고정끈(22)을 고정하고, 이 고정끈(22)에 그물(20)의 상부끈(21)을 연결하고, 펼쳐진 상태의 그물(20)의 하부끈(23)은 바닥에 닿도록 그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끈(23)에는 당김끈(26)을 각각 연결하고, 이 각각의 당김끔(26)은 바닥에 고정된 하부 로울러(25)에 감아서 상기 나무 기둥(10)의 상측에 고정된 상부 로울러(27)에 감은 후, 이들의 각 당김끔(26)을 모아서 당김수단(30)에서 각 회전 로울러(35)로 감은 후 그 선단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당김수단(30)에서 각 당김끈(26)을 풀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20)의 하단이 상측으로 상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는 상부끈(21)과 하부끈(23)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24)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그물(20)의 하부가 상향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먹이(B)를 두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감시자는 별도의 장소에서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 카메라(40)로부터 부터 보내지는 영상을 보면서 그물(20)의 내측으로 동물(A)이 유인되는지를 감시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에서 먹이(B)에 의해 그물(20)의 내측으로 동물(A)이 유인되면 그 동물(A)이 유해동물인지를 확인하고, 감시자는 유인된 동물(A)이 적정의 위치에 위치하면 당김수단(30)을 작동시킨다.
즉, 도 3에서 회동판(32)의 선단을 밟거나 하여 힘을 가하면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판(32)이 회동하여 선단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 회전 로울러(35)에 감겨져 있던 당김끈(26)이 일정 거리만큼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당겨지는 각 당김끈(26)은 상부 및 하부 로울러(27)(25)를 통하여 당겨지면서 하부끈(23)이 하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그물(20)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펼쳐지게 된다
이렇게 그물(20)의 하단이 하측으로 펼져지면 그 내측으로 유인된 동물(A)은 그물(20)에 의해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고 그물(20)의 내측에 포획된 상태가 되며, 이어 포혹된 동물(A)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배출구(41)를 개방하여 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그물(20)은 하부가 하측으로 하강할 때 하부가 상부보다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내부로 유인되어 포획된 동물(A)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게 된다.
이렇게 그물(20)에 의해 동물(A)의 포획이 완료되면 다시 당김수단(30)을 원위치로 위치시켜 그물(20)의 하부끈(23)을 상측으로 위치시키면 이후 새로운 동물(A)을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 나무 기둥
20: 그물
21: 상부끈 22: 고정끈
23: 하부끈 24: 탄성부재
25: 하부 로울러 26: 당김끈
27: 상부 로울러 30: 당김수단
31: 고정판 32: 회동판
33: 힌지핀 34: 스프링
35: 회전 로울러 40: 감시 카메라
41: 배출구
21: 상부끈 22: 고정끈
23: 하부끈 24: 탄성부재
25: 하부 로울러 26: 당김끈
27: 상부 로울러 30: 당김수단
31: 고정판 32: 회동판
33: 힌지핀 34: 스프링
35: 회전 로울러 40: 감시 카메라
41: 배출구
Claims (3)
-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의 하부는 올렸다 내렸다 가능하도록 하단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당김끈이 연결되고,
상기 당김끈은 바닥에 설치된 하부 로울러와 상측에 설치된 상부 로울러로 감겨져 모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물의 주변에는 그물의 내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모아진 당김끈은 당김수단의 작동에 의해 그물의 하단을 하강시켜서 내부에 유인된 동물을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고정판 및 회동판이 서로 스프링을 개재하여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복수 개의 회전 로울러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 로울러에는 상기 모아진 당김끈이 감겨져 작동에 의해 당김끈을 당겨 그물의 하단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의 일측에는 포획된 동물을 외측으로 유입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1509A KR20200065235A (ko) | 2018-11-30 | 2018-11-30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1509A KR20200065235A (ko) | 2018-11-30 | 2018-11-30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5235A true KR20200065235A (ko) | 2020-06-09 |
Family
ID=7108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1509A KR20200065235A (ko) | 2018-11-30 | 2018-11-30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6523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7072B1 (ko) * | 2022-11-24 | 2023-05-30 | 주식회사 광진기업 |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
KR20230083757A (ko) | 2021-12-03 | 2023-06-12 | 최진호 | 유해동물 포획장치 |
-
2018
- 2018-11-30 KR KR1020180151509A patent/KR202000652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757A (ko) | 2021-12-03 | 2023-06-12 | 최진호 | 유해동물 포획장치 |
KR102537072B1 (ko) * | 2022-11-24 | 2023-05-30 | 주식회사 광진기업 |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1726B2 (en) | Humane animal trap | |
KR101071875B1 (ko) |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 |
US1007610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 |
US8887435B2 (en) |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 |
KR20200065235A (ko)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
KR20130069909A (ko) |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 |
JP6427148B2 (ja) | 動物捕獲装置及び動物捕獲方法 | |
KR200446750Y1 (ko) |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 |
KR102073151B1 (ko) | 해충 포획장치 | |
US20190364874A1 (en) | Drop-Style Trap Door for Trapping Animals | |
KR102132159B1 (ko)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
KR20100115337A (ko) | 동물의 포획장치 | |
KR20200052703A (ko) | 유해충 포집장치 | |
KR101939909B1 (ko) | 유해동물 포획기구 | |
JP2005168488A (ja) | 捕虫装置 | |
KR101842060B1 (ko) |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 | |
KR102429274B1 (ko) |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 |
KR20220126952A (ko) | 멧돼지 포획장치 | |
KR20220010149A (ko) | 야생동물 포획장치 | |
CN220630752U (zh) | 一种虫害物联网实时监控装置 | |
JP3050966U (ja) | 野生動物捕獲器 | |
KR20200074604A (ko) |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 |
JP2007049904A (ja) | 動物捕獲檻 | |
JPH0711589Y2 (ja) | 野生動物捕獲柵 | |
KR20210035428A (ko)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