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360A - 일체형 층간 소음재 - Google Patents
일체형 층간 소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7360A KR20200057360A KR1020180141651A KR20180141651A KR20200057360A KR 20200057360 A KR20200057360 A KR 20200057360A KR 1020180141651 A KR1020180141651 A KR 1020180141651A KR 20180141651 A KR20180141651 A KR 20180141651A KR 20200057360 A KR20200057360 A KR 202000573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layer
- layer
- mixed material
- intermediate film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바닥에 시공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는 압축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재층, 혼합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간 필름층, 중간 필름층의 하부에 이격 거리를 갖고 구비되는 바닥 필름층 및 혼합재층, 중간 필름층 및 바닥 필름층의 측면을 지지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필름층과 상기 바닥 필름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경량 및 중량 충격음 규정을 준수하는 동시에, 부유, 침전, 쏠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다층 구조에 따른 바닥 시공의 번잡함을 해소하고, 현장으로의 운반 및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체형 층간 소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의 편리성 및 시공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비중이 높은 주거문화 특성상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아파트 입주민, 관리소, 관할 지구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층간 소음을 강제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있는데, 외국의 사례를 보면 미국에서는 경고 3회시 강제 퇴거를 명하는 제도가 있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주간과 야간 소음 수치를 각각 40dB, 30dB로 규제하는 등 주거자가 자발적으로 층간소음을 방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초기 내진 설계로 바닥 두께를 240~280mm로 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경량충격음 58dB, 중량 충격음 50dB 이하로 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 및 갈등은 지속되고 있고, 이는 자발적 노력, 규제, 제도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방증한다.
바닥 충격음은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으로 구분된다. 중량충격음은 인간의 보행, 아이들의 뜀 등에 의해 발생하는 무겁고, 지속시간이 긴 충격음으로서, 낮은 주파수 성분이 많아 층간 소음 분쟁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경량충격음은 실내에서 숟가락 등의 가벼운 물건을 떨어뜨릴 때나 의자나 책상 등의 가구를 끌 때에 발생하는 음으로서 중·고주파수 성분이 많은 음이다.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으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해소하기 위해 다층완충 구조, 뜬바닥 구조, 복합 구조 등 다양한 시공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벽이나 바닥을 타고 흐르는 충격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시공 방법과 함께 방음 및 차음 성능을 갖는 완충재, 방음재, 차음재 등이 개발되었고, EPS(Expandable Polystyrene, 스티로폼) 및 EPP(Expandable Polyethylene, 발포폴리에틸렌) 등의 완충재가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상기 완충재는 내구성이 낮아 바닥 침하나 균열 발생 등에 의해 차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완충재 등과 함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경우, 슬래브, 완충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마감몰탈층, 바닥 마감재로 이루어진 층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는 들뜸, 침습, 균열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차음 성능 저하, 열 손실 등의 문제점을 초래했다. 뿐만 아니라, 바닥 치핑에서 기포 양생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공 기간의 연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종래의 차음재는 대부분 슬러리형 조성물에 해당하여 중장비를 동원하여 고층으로 압송해야 하므로 재료의 운반이 어렵고 공사 비용이 많이 들었다.
따라서, 경량 및 중량 충격음 규정을 준수하는 동시에, 부유, 침전, 쏠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다층 구조에 따른 바닥 시공의 번잡함을 해소하고, 현장으로의 운반 및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층간 소음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 및 중량 충격음 규정을 준수하는 동시에, 부유, 침전, 쏠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다층 구조에 따른 바닥 시공의 번잡함을 해소하고, 현장으로의 운반 및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는 바닥에 시공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로, 압축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재층; 상기 혼합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간 필름층; 상기 중간 필름층의 하부에 이격 거리를 갖고 구비되는 바닥 필름층; 및 상기 혼합재층, 중간 필름층 및 바닥 필름층의 측면을 지지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필름층과 상기 바닥 필름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필름층 및 바닥 필름층은 수용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리어는 비수용성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 필름층의 하부에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재층의 상부를 커버하는 비수용성 평탄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혼합재층과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는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 및 상기 공기층과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어 물 또는 경화제를 공급받는 인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재층은 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된 물과 상기 비드가 반응한 뒤 상기 경화제에 의하여 경화됨에 따라 다공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필름층과 바닥 필름층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필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분말형 혼합재층은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폼 분말, 폴리스티렌 폼 분말, 폴리우레탄 폼 분말, 폴리에틸렌 폼 분말, 고무 발포 분말, 폐타이어 발포 분말 및 파지섬유 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 시멘트 및 바인더가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에 의하면 경량 및 중량 충격음 규정을 준수하는 동시에, 부유, 침전, 쏠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다층 구조에 따른 바닥 시공의 번잡함을 해소하고, 현장으로의 운반 및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층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포어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에 의한 플로어 시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평탄화 커버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형상 변경에 기초한 시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필러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포어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에 의한 플로어 시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평탄화 커버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형상 변경에 기초한 시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필러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 중인 도면과 그와 관련된 설명의 내용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층구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100)는 혼합재층(110), 중간 필름층(120), 바닥 필름층(130) 및 배리어(140)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도면을 기준으로 혼합재층(110)이 위치하는 방향을 상방, 상측, 상부로 표현하고, 바닥에 접촉하게 될 바닥 필름층(130)이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 하측, 하부로 표현하기로 한다.
혼합재층(110)은 압축 분말 및/또는 비드(10)를 포함하여 시멘트, 바인더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 분말은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폼 분말, 폴리스티렌 폼 분말, 폴리우레탄 폼 분말, 폴리에틸렌 폼 분말, 고무 발포 분말, 폐타이어 발포 분말 및 파지섬유 분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2 이상의 소재가 혼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혼합재층(110)에는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폼 칩, 폴리스티렌 폼 칩, 폴리우레탄 폼 칩, 폴리에틸렌 폼 칩, 고무 발포 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칩이 혼합될 수 있다.
바인더는 휘발성유기용제(벤젠, 톨루엔, 키실렌, 메틸에틸케톤 등)가 기본원료로 포함되어 사용되는 유기계 바인더 또는 실리카졸을 기초로 하는 무기계 바인더 등 다양한 바인더를 이용할 수 있다.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종 내지 5종 포틀랜드 시멘트 등 공지된 다양한 시멘트를 이용할 수 있고, 소재들의 결합재로서 기능한다.
혼합재층(110)은 상기 언급한 소재들 외의 각 소재의 경화시간을 짧게게 하기 위하여 석고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석고 분말은 천연 무수 석고, 탈황 석고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혼합재층(110)은 상기 언급한 소재들 외에 기포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비드(10)에 의하여 포어(pore)가 형성되기 때문에 기포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기포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식물 기름으로부터 제조된 식물성 기포제뿐만 아니라 케라틴 단백질을 산 또는 알칼리로 가수분해한 후 분해물을 중화시켜 제조한 동물성 기포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비드(10)는 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흡수성 물질이 코팅된 수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드(10)는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 비드에 고흡수성 수지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빠르게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며, 물이 증발되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성질이 있다. 다만, 고흡수성 수지 외에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가진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혼합재층(110)은 상술한 압축 분말, 비드(10), 시멘트, 바인더가 압착되어 형성되며, 시공 과정에서 물과 빠르게 반응한 뒤 경화됨으로써 주택이나 아파트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중간 필름층(120)은 혼합재층(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중간 필름층(120)은 분말 압축된 혼합재층(1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중간 필름층(120)은 후술할 바닥 필름층(130)과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며, 이에 의하여 공기층(150)을 형성시킨다.
중간 필름층(120)은 수분이 닿으면 녹는 수용성 소재, 용해성 소재,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필름층(120)은 공기층(150)과 혼합재층(110)을 격리하지만, 물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층(150)에 물이 유입되면 용해가 이루어진다. 중간 필름층(120)이 용해되면 공기층(150) 내의 물과 혼합재층(110)이 서로 반응하게 된다.
바닥 필름층(130)은 건축물의 플로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중간 필름층(120)과 마찬가지로 수분이 닿으면 녹는 수용성 소재, 흡수성 소재, 용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필름층(120)과 바닥 필름층(130)은 물이 공급되기 위한 공간인 공기층(150)을 형성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공기층(150)에 물이 유입되면 바닥 필름층(130)도 용해되고, 물과 혼합재층(110)의 반응물이 바닥에 적층된다. 시공 단계에서 바닥 필름층(130)은 건축물의 바닥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바닥 필름층(130)의 하부에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중간 필름층(120)을 이루는 소재가 바닥 필름층(130)을 이루는 소재에 비해 물에 녹는 속도가 빠르도록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중간 필름층(120)과 바닥 필름층(130)을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되, 바닥 필름층(130)의 두께를 중간 필름층(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리어(140)는 혼합재층(110), 중간 필름층(120) 및 바닥 필름층(130)의 측면에 결합 혹은 부착되어 혼합재층(110), 중간 필름층(120) 및 바닥 필름층(130)의 측면을 지지한다. 배리어(140)는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측면을 지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비수용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의 형상 변형을 위하여 배리어(14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나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층(150)은 중간 필름층(120), 바닥 필름층(130) 및 배리어(140)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시공 과정에서 물이 유입되는 공간이다. 공기층(150)은 혼합재층(110)을 구성하는 소재들과 온전히 배합될 수 있을 정도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체적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공기층(150)의 높이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의 전체 너비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혼합재층(110)에 포함된 소재들의 성분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포어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차음성 바닥에 형성되는 다수의 포어(pore)는 진동이나 충격의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의 (a)와 같이, 혼합재층(110)은 비드(10)를 포함하고, 이는 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흡수성 물질이 코팅된 수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층(150)물이 유입되고 중간 필름층(120)이 녹으면, 도 2의 (b)와 같이 비드(10)를 포함한 혼합재층(110)이 물과 반응한다. 이때, 혼합재층(110)에 포함된 기타 성분들보다 비드(10)의 흡수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도 2의 (c)와 같이 비드(10)가 급속하게 팽창한다.
이후, 모든 성분들이 물과 반응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혹은 경화제와의 반응에 따라 혼합재층(110)의 성분들의 경화가 이루어지고, 탈수속도가 비교적 느린 비드(10)는 가장 늦게 경화된다. 이때, 도 2의 (d)와 같이, 비드(10)가 머금고 있던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부피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포어(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는 흡수성 비드를 이용하여 포어를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기포제 없이도 차음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포제와 흡수성 비드를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에 의한 플로어 시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100)의 바닥부에 해당하는 바닥 필름층(130)은 중간 필름층(120)과 마찬가지로 수분이 닿으면 녹는 수용성 소재, 흡수성 소재, 용해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닥 필름층(130)이 접촉하는 건축물의 바닥면은 편평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바닥 필름층(130)이 바닥에 닿았을 때 비평탄면에서도 바닥 필름층(130)이 전체적으로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필름층(130)은 비평탄 바닥의 볼록 튀어나온 부분에서도 어느정도 휘거나 굴곡질 수 있기 때문에 층간 소음재(100)가 전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 바닥 필름층(130)의 이동이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 필름층(130)의 하부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과정에서는 바닥면의 형상에 맞게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를 바닥에 붙인 상태에서 물을 주입하여 혼합재를 반응시킬 수 있다. 바닥면에는 하나의 대면적 층간 소음재가 부착될 수도 있지만, 소면적 층간 소음재가 다수 연결되는 방식으로 정렬되어 바닥 시공을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평탄 바닥면에 부착된 바닥 필름층(130)은 물이 유입된 뒤 중간 필름층(120)이 녹으면서 혼합재층(110)과 물이 반응하고, 이후 바닥 필름층(130)이 물에 녹아 사라지면서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물이 비평탄 바닥면에 고르게 침투하여 균일한 바닥 시공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파이프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고르게 도포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해진다.
이때, 배리어(140)는 비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과 반응하지 않고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물이 경화될 때까지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뒤 경화가 이루어지면 내부에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재 패널로써 기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평탄화 커버층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를 도시한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100)의 상면, 즉, 혼합재층(110)의 상면에는 판 형상, 필름 형상의 평탄화 커버층(160)이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평탄면에서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물의 상면이 편평하지 않게 경화되는 경우가 있다. 평탄화 커버층(160)은 비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져,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물의 경화 과정에서 하방 압력을 가하여 상면을 편평하게 만드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평탄화 커버층(160)이 일차적으로 상면을 편평하게 하기 때문에 바닥 평탄화 시공이 수월해진다. 이때, 평탄화 커버층(160)은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차음 패널로 구성되거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배리어(140)는 공기층(150)이 존재하는 영역에 인렛(141)이 구비된다. 혼합재층(110)과 반응하게 될 물이나 경화제는 인렛(141)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고, 또한,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물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인렛(141)을 통하여 밖으로 일부 배출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140)에는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142)가 구비된다.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142)는 위에서 설명한 평탄화 커버층(160)의 높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바닥면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평탄화 커버층(160)을 위에서 눌러 반응물을 인렛(141) 밖으로 내보냄으로써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142)는 규정된 바닥면 두께를 맞추기 위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화 커버층(160)은 판 형상의 소재이므로 위에서 누르면 휘어져 상부에 위치한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로부터 하부에 위치한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로 끝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기설정된 위치에 구비된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142)에 의하여 시공자는 바닥면의 두께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면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형상 변경에 기초한 시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는 기본적으로 상면과 측면이 모두 직사각형인 직육면체의 형상을 취한다. 직육면체의 하부에서 상부까지의 층구조를 설명하면, 바닥 필름층(130), 공기층(150), 중간 필름층(120), 혼합재층(110), 평탄화 커버층(160)이 적층된 형태이며, 각 층의 측면을 배리어(140)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리어(140)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면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와 같이 직사각형인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곡선형 바닥면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140)를 잡아당겨 겹친 뒤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일부 영역을 곡선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혼합재층(110)이 분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혼합재층(110)이 압착 고형화된 경우에는 일부를 곡선형으로 절단한 뒤 배리어를 잡아당겨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곡선형 층간 소음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재의 필러부를 도시한다. 필러부(155)는 중간 필름층(120)과 바닥 필름층(1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인렛(141)으로부터 유입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필러부(155)는 경화 촉진제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시멘트의 수화 작용을 촉진시켜 단기 강도의 증가를 도모하는 물질로,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 등을 이용한다. 즉, 필러부(155)의 외피는 수용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경화 촉진제가 수용된 뒤 중간 필름층(120)과 바닥 필름층(130)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킨다. 필러부(155) 내부에 수용된 경화 촉진제는 물에 의하여 필러부(155)가 녹으면서 밖으로 용해되고, 혼합재층(110)과 물의 반응을 촉진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킨다.
위의 설명에 있어서, 중간 필름층(120)과 바닥 필름층(130), 나아가, 필러부(155)의 외피는 수용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CMC(카르복시 메칠 셀룰로오스), PVA(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와 PVA의 혼합재, 셀룰로오스와 단백질의 혼합재, 전분과 셀룰로오스의 혼합재,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메틸롤화 멜라닌수지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일체형 층간 소음재(100)에 의하면 경량 및 중량 충격음 규정을 준수하는 동시에, 부유, 침전, 쏠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다층 구조에 따른 바닥 시공의 번잡함을 해소하고, 현장으로의 운반 및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일체형 층간 소음재
110: 혼합재층
120: 중간 필름층 130: 바닥 필름층
140: 배리어 141: 인렛
142: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 150: 공기층
155: 필러부 160: 평탄화 커버층
120: 중간 필름층 130: 바닥 필름층
140: 배리어 141: 인렛
142: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 150: 공기층
155: 필러부 160: 평탄화 커버층
Claims (5)
- 압축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재층;
상기 혼합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간 필름층;
상기 중간 필름층의 하부에 이격 거리를 갖고 구비되는 바닥 필름층; 및
상기 혼합재층, 중간 필름층 및 바닥 필름층의 측면을 지지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필름층과 상기 바닥 필름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필름층 및 바닥 필름층은 수용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리어는 비수용성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 필름층의 하부에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층의 상부를 커버하는 비수용성 평탄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혼합재층과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는 플로어 레벨 조절 돌기; 및
상기 공기층과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어 물 또는 경화제를 공급받는 인렛;을 포함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층은 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된 물과 상기 비드가 반응한 뒤 상기 경화제에 의하여 경화됨에 따라 다공 구조가 형성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필름층과 바닥 필름층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필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분말형 혼합재층은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폼 분말, 폴리스티렌 폼 분말, 폴리우레탄 폼 분말, 폴리에틸렌 폼 분말, 고무 발포 분말, 폐타이어 발포 분말 및 파지섬유 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 시멘트 및 바인더가 압착되어 형성되는 일체형 층간 소음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651A KR20200057360A (ko) | 2018-11-16 | 2018-11-16 | 일체형 층간 소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651A KR20200057360A (ko) | 2018-11-16 | 2018-11-16 | 일체형 층간 소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360A true KR20200057360A (ko) | 2020-05-26 |
Family
ID=7091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1651A KR20200057360A (ko) | 2018-11-16 | 2018-11-16 | 일체형 층간 소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57360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5530B1 (ko) | 2014-05-07 | 2016-04-26 | 왕수민 | 층간소음 방지용 모르타르 제조 및 시공방법 |
KR20160133649A (ko) | 2015-05-13 | 2016-11-23 | 동창기업주식회사 | 다기능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JP2016539260A (ja) | 2013-10-31 | 2016-12-15 |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 吸音材を含むコンクリート要素 |
-
2018
- 2018-11-16 KR KR1020180141651A patent/KR202000573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539260A (ja) | 2013-10-31 | 2016-12-15 |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 吸音材を含むコンクリート要素 |
KR101615530B1 (ko) | 2014-05-07 | 2016-04-26 | 왕수민 | 층간소음 방지용 모르타르 제조 및 시공방법 |
KR20160133649A (ko) | 2015-05-13 | 2016-11-23 | 동창기업주식회사 | 다기능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3544B1 (ko) |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 |
KR100811747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000406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 |
KR101460319B1 (ko) |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77000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20200057360A (ko) | 일체형 층간 소음재 | |
KR100998282B1 (ko) |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0750890B1 (ko) |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1819793B1 (ko) | 황토 재질의 층간 차음재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및 시공방법 | |
KR10058384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 |
KR100707360B1 (ko) |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425219Y1 (ko) |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 |
KR100630335B1 (ko) | 뜬바닥 구조로 설치되는 방음 방진재 | |
NZ515694A (en) | Sound transmission reduction system containing a rigid single layer substrate and a single resilient over layer | |
KR101001590B1 (ko) |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50030494A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67079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
KR101183908B1 (ko) |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 |
KR100773106B1 (ko) |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 |
KR20180092043A (ko) | 층간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시공방법 | |
KR100495041B1 (ko) |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 |
KR102605092B1 (ko) | 공동 주택용 층간 소음 방지 건축 슬래브 구조 | |
KR101046796B1 (ko) | 기포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 |
KR20040020608A (ko) |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 |
KR102623083B1 (ko) | 공명공간을 제거한 1차 몰탈 타설식 소음방지 시공공법 및 시공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