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본 출원에서, 문맥 상 별도로 명시하지 않으면, (ⅰ) 용어의 단수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ⅱ) 용어 "또는" 은 "및/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ⅲ) 용어 "포함하는"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과 함께 제시된 것이든 항목화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및 (iv) 용어 "약" 및 "대략"은,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표준 변화 (standard variation)를 허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및 (v)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 말단점은 포함된다.
약: 여기서 값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용어 "약"은, 기준 값의 상황에서, 유사한 값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황에 익숙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상황에서 "약"에 의해 포괄되는 관련 변화의 정도를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몇몇 구체 예에서, 용어 "약"은, 언급된 값의 25%,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이하 내에 있는 값의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
투여: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투여"는 통상적으로, 조성물이거나 또는 조성물에 포함된, 작용제 (agent)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피험자 또는 시스템에 조성물의 투여를 지칭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적절한 상황에서, 피험자,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알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몇몇 구체 예에서, 투여는 안구, 경구, 비경구, 국소, 등일 수 있다. 몇몇 특정 구체 예에서, 투여는, (예를 들어, 기관지 주입에 의해) 기관지, 협측 (buccal), (예를 들어, 진피, 피내 (intradermal), 피부 안 (interdermal), 경피 등의 국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는) 피부, 장내, 동맥-내, 피내, 위내, 골수 내, 근육 내, 비강 내, 복강 내, 척수강 내, 정맥 내, 심실 내, 특정 장기 내 (예를 들어, 간내), 점막, 비강, 구강, 직장, 피하, 설하, 국소, 기관 (예를 들어, 기관 (tracheal) 내 주입), 질, 유리체 (vitreal), 등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여는 오직 단일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여는 고정된 수의 투여량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여는 간헐적인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분리된 복수의 투여량) 및/또는 주기적 (예를 들어, 공통 기간에 의해 분리된 개별 투여량)인 투약 (dosing)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여는, 적어도 선택된 기간 동안 연속 투약 (예를 들어, 관류 (perfusion))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제: 일반적으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작용제"는,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핵산, 당류, 지질, 작은 분자,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화학적 부류 (chemical class)의 화합물 또는 엔티티 (entity)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은, 적절한 상황에서, 상기 용어는 세포 또는 유기체, 또는 이의 분획, 추출물, 또는 성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엔티티를 지칭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문맥상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용어는 천연에서 발견 및/또는 얻어진 천연 생성물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사례에서, 다시 문맥상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용어는,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거나 및/또는 사람의 손의 행위를 통해 설계된, 엔지니어링된, 및/또는 생산된다는 점에서 인공인, 하나 이상의 엔티티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작용제는 단리되거나 또는 순수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몇몇 구체 예에서, 작용제는 미가공 형태 (crude form)로 활용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잠재적인 작용제는, 예를 들어, 이들 내에 활성제 (active agents)를 확인하기 위해 또는 특징화하기 위해 스크리닝될 수 있는, 수집물 또는 라이브러리 (libraries)로서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용어 "작용제"는, 중합체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고; 몇몇 경우에, 상기 용어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용어 "작용제"는, 중합체가 아니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 중합체 모이어티가 없는 화합물 또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용어는, 임의의 중합체 모이어티가 결여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없는 화합물 또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아미노산: 가장 넓은 의미에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아미노산"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펩티드 결합의 형성을 통해, 폴리펩티드 사슬에 혼입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및/또는 물질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아미노산은 일반 구조식 H2N-C(H)(R)-COOH를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아미노산은 자연-발생 아미노산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아미노산은 비-천연 아미노산이고; 몇몇 구체 예에서, 아미노산은 D-아미노산이며; 몇몇 구체 예에서,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이다. "표준 아미노산"은, 자연 발생 펩티드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20개의 표준 L-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비표준 아미노산"은, 합성적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것과 관계없이, 표준 아미노산 이외의, 임의의 아미노산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에 카르복시- 및/또는 아미노-말단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은, 상기 일반 구조식과 비교하여 구조적 변형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구체 예에서, 아미노산은, 일반 구조식과 비교하여, 메틸화, 아미드화, 아세틸화, 페길화 (pegylation), 글리코실화, 인산화 및/또는 치환 (예를 들어, 아미노기, 카르복실산기, 하나 이상의 양성자, 및/또는 히드록실기의 치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변형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폴리펩티드의 순환 반-감기 (circulating half-life)를 다른 점에서 동일한 비변형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과 비교하여 변경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변형은, 변형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폴리펩티드의 관련 활성을 다른 점에서 동일한 비변형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변경시키지 않는다. 문맥상 명백한 바와 같이, 몇몇 구체 예에서, 용어 "아미노산"은, 유리 아미노산 (free amino acid)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몇몇 구체 예에서, 이것은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항체: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는, 특정 표적 항원에 특이적 결합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표준 면역글로불린 서열 요소 (sequence elements)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생성된 대로의 온전한 항체는, 보통 "Y-형"구조로 지칭되는 것으로, 서로 결합하는 2개의 동일한 중쇄 폴리펩티드 (각각 약 50 kDa) 및 2개의 동일한 경쇄 폴리펩티드 (각각 약 25 kDa)로 구성된 대략 150 kDa 사량체성 작용제 (tetrameric agents)이다. 각 중쇄는, 적어도 4개의 도메인 (각 약 110 아미노산 길이) - 아미노-말단 가변 (VH) 도메인 (Y 구조의 끝에 위치됨), 뒤이어 3개의 불변 도메인: CH1, CH2, 및 카르복시-말단 CH3 (Y의 줄기의 기부에 위치됨)로 구성된다. "스위치 (switch)"로 알려진, 짧은 영역은, 중쇄 가변 영역과 불변 영역을 연결한다. "힌지 (hinge)"는, CH2 및 CH3 도메인을 항체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시킨다. 이러한 힌지 영역에서 2개의 이황화 결합은, 온전한 항체에서 2개의 중쇄 폴리펩티드를 서로 연결시킨다. 각 경쇄는, 2개의 도메인 - 아미노-말단 가변 (VL) 도메인, 뒤이어 또 다른 "스위치"에 의해 서로 분리된, 카르복시-말단 불변 (CL)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온전한 항체 사량체는, 2개의 중쇄-경쇄 이량체로 구성되며, 여기서, 중쇄 및 경쇄는 단일 이황화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2개의 다른 이황화 결합은, 중쇄 힌지 영역을 서로 연결하여, 이량체가 서로 연결되고 사량체가 형성되도록 한다. 자연적으로-생성된 항체는 또한 통상적으로 CH2 도메인에서 글리코실화된다. 천연 항체의 각 도메인은, 압축된 역평행 베타 배럴 (compressed antiparallel beta barrel)에서 서로에 대해 패킹된 2개의 베타 시트 (예를 들어, 3-, 4- 또는 5-가닥 시트)로부터 형성된 "면역글로불린 폴드"를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갖는다. 각 가변 도메인은 "상보성 결정 영역" (CDR1, CDR2, 및 CDR3)으로 알려진 3개의 초가변 루프 (hypervariable loops) 및 4개의 다소 불변적인 "프레임워크 (framework)" 영역 (FR1, FR2, FR3 및 FR4)을 함유한다. 천연 항체가 폴딩되는 경우, FR 영역은 도메인에 대한 구조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베타 시트를 형성하고, 중쇄 및 경쇄 모두로부터의 CDR 루프 영역은 3-차원 공간에서 함께 모여 Y 구조의 끝에 위치한 단일 초가변 항원 결합을 생성한다. 자연-발생 항체의 Fc 영역은, 보체 시스템 (complement system)의 요소, 및 예를 들어, 세포독성을 매개하는 이펙터 세포 (effector cells)를 포함하는, 이펙터 세포 상에 수용체에 결합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Fc 수용체에 대한 Fc 영역의 친화도 및/또는 다른 결합 속성은, 글리코실화 또는 다른 변형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생산 및/또는 활용되는 항체는, 변형 또는 조작된 이러한 글리코실화를 갖는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글리코실화된 Fc 도메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구체 예에서, 천연 항체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충분한 면역글로불린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임의의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복합체는, 이러한 폴리펩티드가 자연적으로 생성되던지 (예를 들어, 항원에 반응하는 유기체에 의해 생성됨), 또는 재조합 유전자조작, 화학 합성, 또는 다른 인공 시스템 또는 방법에 의해 생성되든지 간에, "항체"로 지칭 및/또는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는 다클론이고;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는 단일클론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는, 마우스, 토끼, 영장류 또는 인간 항체의 특징인 불변 영역 서열을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 서열 요소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인간화, 영장류화, 키메라 등이다. 게다가,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는, 적절한 구체 예에서 (맥락으로부터 달리 언급되거나 명확하지 않은 한) 대안적 제시 (alternative presentation)에서 항체 구조적 및 기능적 특색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분야에 알려지거나 또는 개발된 구축물 또는 형식 (formats)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활용되는 항체는, 온전한 IgA, IgG, IgE 또는 IgM 항체; 이중-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예를 들어, Zybodies®, 등);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Fd' 단편, Fd 단편, 및 단리된 CDRs 또는 이의 세트와 같은 항체 단편; 단일쇄 Fvs; 폴리펩티드-Fc 융합; 단일 도메인 항체 (예를 들어, IgNAR와 같은 상어 단일 도메인 항체 또는 이의 단편); 카멜로이드 항체 (cameloid antibodies); 마스킹된 항체 (예를 들어, Probodies®); 소형 모듈형 면역약제 (Small Modular ImmunoPharmaceuticals: "SMIPs™"); 단일쇄 또는 Tandem 디아바디 (TandAb®); VHHs; Anticalins®; Nanobodies® 미니바디; BiTE®s; 안키린 반복 단백질 (ankyrin repeat proteins) 또는 DARPINs®; Avimers®; DARTs; TCR-유사 항체;, Adnectins®; Affilins®; Trans-bodies®; Affibodies®; TrimerX®; MicroProteins; Fynomers®, Centyrins®; 및 KALBITOR®s로 부터 선택된 형식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는, 자연적으로 생성된다면, 보유할 공유 변형 (예를 들어, 글리칸의 부착)이 결여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는 공유 변형 (예를 들어, 글리칸, 페이로드 [예를 들어, 검출가능한 모이어티, 치료적 모이어티, 촉매 모이어티, 등], 또는 다른 펜던트 기 (pendant group)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부착)을 함유할 수 있다.
항원: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원"은, (ⅰ)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작용제; 및/또는 (ⅱ) T 세포 수용체 (예를 들어, MHC 분자에 의해 제시되는 경우) 또는 항체에 결합하는 작용제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은, 체액 반응 (humoral responses) (예를 들어, 항원-특이적 항체의 생성을 포함)을 유도하고; 몇몇 구체 예에서, 세포 반응 (예를 들어, 수용체가 항원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T 세포를 포함)을 유발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은 체액 반응 및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은 항체에 결합하고, 유기체에서 특정 생리적 반응을 유도하거나 또는 유도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원은, 예를 들어, 작은 분자, 핵산, 폴리펩티드, 탄수화물, 지질, 중합체 (몇몇 구체 예에서, 생물학적 중합체 (예를 들어, 핵산 또는 아미노산 중합체) 이외의 중합체)), 등과 같은, 임의의 화학 물질 (chemical entity)일 수 있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은,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은 다당류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일반적으로, 항원이 단리되거나 또는 순수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미가공 형태 (예를 들어, 다른 물질과 함께, 예를 들어, 세포 추출물 또는 항원-함유 공급원의 다른 상대적으로 미가공 제제 (crude preparation)와 같은 추출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활용되는 항원은, 미가공 형태로 제공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은 재조합 항원이다.
와 관련된: 하나의 존재, 수준 및/또는 형태가 다른 것의 그것과 상관되는 경우, 두 엔티티는,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서로 "관련"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둘 이상의 엔티티는, 그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경우, 서로 물리적으로 "관련"되어, 서로 물리적으로 근접하거나 및/또는 근접하게 유지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관련된 둘 이상의 엔티티는, 서로 공유적으로 연결되고; 몇몇 구체 예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관련된 둘 이상의 엔티티는, 서로 공유적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친화성 상호작용, 수소 결합,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 소수성 상호작용, 자기,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비-공유적으로 관련된다.
백본 중합체: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백본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다당류 (예를 들어, 항원성 다당류)가 접합되어 있거나 또는 접합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다당류 (예를 들어, 항원성 다당류)이다.
결합: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결합"은, 통상적으로 둘 이상의 엔티티 사이 또는 이들 중에서 비-공유 화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직접" 결합은, 엔티티 또는 모이어티 사이에 물리적 접촉을 포함하고; 간접 결합은, 하나 이상의 중간 엔티티와 물리적 접촉을 통한 물리적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둘 이상의 엔티티들 사이의 결합은, 통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엔티티 또는 모이어티가 별개로 또는 더욱 복잡합 시스템의 맥락에서 (예를 들어, 캐리어 엔티티 (carrier entity) 및/또는 생물학적 시스템 또는 세포와 공유적으로 또는 관련된 동안) 연구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황 중 어느 하나에서 평가될 수 있다.
운반 단백질: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운반 단백질"은, 연결되거나 또는 복합체화된 합텐 (hapten)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개선시키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운반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개선된 면역 반응은 합텐에 대한 반응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운반 단백질 자체에 대한 유의미한 반응은 발생하지 않으며; 몇몇 구체 예에서, 운반 단백질에 대한 반응은 검출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운반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다른 분자와 복합체를 이룬다.
클릭 화학: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클릭 화학"은, 예를 들어, 2001년 K.B. Sharpless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은, 신속하고 고수율의 반응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크로마토그래피없이 제거될 수 있는 부산물을 생성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크로마토그래피없이 제거될 수 있는 부산물만을 생성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입체특이성 (stereospecific)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하나 이상의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하나 이상의 온화한 용매 (benign solvent)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하나 이상의 분자 엔티티를 연결하기 위해 구리-촉매 아지드-알킨 고리화첨가 반응을 활용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분자 엔티티는, 분자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생물-직교 (bio-orthogonal) 반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물 또는 이들의 생성물의 작용기 어느것도 기능화된 생체분자와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및/또는 반응은 온화한 비독성 조건, 예컨대, 실온 및 바람직하게는, 물에서 쉽게 진행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 반응은, 구리-촉매 후이겐 고리화첨가, 아지드-알킨 [3 + 2] 이극성 고리화첨가, 슈타우딩거 결찰 (Staudinger ligation), 또는 아지드-포스핀 결찰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은, 2개의 생중합체 (예를 들어, 2개의 핵산, 또는 핵산 및 단백질 또는 펩티드, 또는 2개의 당중합체 (glycopolymers), 등)를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막 또는 위장관의) 콜로니화: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콜로니화"는, 해부학상의 부위, 예를 들어, 점막, 부상 부위, 장기, 등에서 적합한 장소에 정착하는 미생물의 능력을 의미한다.
병용 요법 (Combination therapy):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병용 요법"은, 피험자가 둘 이상의 치료 처방 계획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치료제)에 동시에 노출되는 상황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둘 이상의 처방 계획은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처방 계획은 순차적으로 투여 (예를 들어, 제1 처방 계획의 모든 "투여량"은, 임의의 투여량의 제2 처방 계획의 투여 전에 투여)될 수 있고;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작용제는 중첩 투약 처방 계획으로 투여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병용 요법의 "투여"는, 조합하여 다른 작용제(들) 또는 물리요법(들)을 받는 피험자에게 하나 이상의 작용제(들) 또는 물리요법(들)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병용 요법은, 비록, 몇몇 구체 예에서, 둘 이상의 작용제, 또는 이의 활성 모이어티가 조합 조성물로, 또는 심지어 조합 화합물로 (예를 들어, 단일 화학 복합체 또는 공유 엔티티의 일부로서) 함께 투여될 수 있을지라도, 개별 작용제들이 단일 조성물로 함께 (또는 심지어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조성물: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명시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별 물리적 엔티티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조성물은,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기체, 겔, 액체, 고체, 등일 수 있다.
유도체: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유도체"는 기준 물질의 구조적 유사체를 지칭한다. 즉, "유도체"는, 예를 들어, 핵심 또는 공통 구조를 공유하는, 기준 물질과 상당한 구조적 유사성을 나타내지만, 또한 약간의 개별 방식에서 다른 물질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유도체는, 화학적 조작에 의해 기준 물질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물질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유도체는, 기준 물질을 발생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예를 들어, 복수의 단계를 공유하는) 합성 공정의 수행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물질이다.
도메인: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도메인"은 엔티티의 부분 또는 일부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도메인"은, 도메인이 이의 모 엔티티 (parent entity)의 나머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이것이 특정 구조 및/또는 기능적 특색을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보유하도록, 엔티티의 특정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특색과 관련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도메인은, (모) 엔티티로부터 분리되고 다른 (수용 (recipient)) 엔티티와 링크되는 경우, 모 엔티티에서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특색을 수용 엔티티 상에 실질적으로 보유 및/또는 부여하는, 엔티티일 수 있거나 또는 엔티티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도메인은, 분자 (예를 들어, 작은 분자, 탄수화물, 지질, 핵산, 또는 폴리펩티드)의 부분 또는 일부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도메인은 폴리펩티드의 부분이고; 이러한 몇몇 구체 예에서, 도메인은, 특정 구조적 요소 (예를 들어, 특정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모티프, α-헬릭스 특성 (helix character), β-시트 특성, 코일-코일 특성, 랜덤 코일 특성, 등), 및/또는 특정 기능적 특색 (예를 들어, 결합 활성, 효소 활성, 폴딩 활성, 신호 활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제형 (Dosage form) 또는 단위 제형: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용어 "제형"이 피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활성제 (예를 들어, 치료제 또는 진단제)의 물리적 개별 단위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각 단위는, 미리결정된 양의 활성제를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양은, 관련 모집단에 투여될 때 (즉, 치료적 투약 처방 계획으로) 원하거나 또는 이로운 결과와 연관이 있도록 결정된 투약 처방 계획에 따라 투여하기에 적절한 단위 투여량 (또는 이의 전체 일부분)이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정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 조성물 또는 작용제의 총량이 한 명 이상의 주치의에 의해 결정되고, 다중 제형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투약 처방 계획: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용어 "투약 처방 계획"이, 기간에 의해 통상적으로 분리된, 피험자에게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한 세트의 단위 투여량 (통상적으로 1회를 초과)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공된 치료제는, 1회 이상의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는, 권장된 투약 처방 계획을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은, 복수의 투여량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다른 투여량과 시간적으로 분리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개별 투여량은, 동일한 길이의 기간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은, 복수의 투여량 및 개별 투여량을 분리하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 내에 모든 투여량은, 동일한 단위 투여량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 내에 다른 투여량은 다른 양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은, 제1 투여량의 제1 투여량, 뒤이어 제1 투여량과 다른 제2 투여량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투여량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은, 제1 투여량의 제1 투여량, 뒤이어 제1 투여량과 동일한 제2 투여량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투여량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투약 처방 계획은, 관련 모집단에 대하여 투여될 때 (즉, 치료적 투약 처방 계획인 경우) 원하거나 또는 이로운 결과와 연관된다.
에피토프: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에피토프"는, 면역글로불린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수용체) 결합 성분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지되는 임의의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에피토프는, 항원 상에 복수의 화학 원자 또는 기들 (groups)로 구성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화학 원자 또는 기는, 항원이 관련 3-차원 형태를 채택할 때 표면-노출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화학 원자 또는 기는, 항원이 이러한 형태를 채택할 때 공간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이 선택적인 형태를 채택할 때 (예를 들어, 선형화될 때) 적어도 몇몇 이러한 화학 원자 및 기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엑소폴리사카라이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엑소폴리사카라이드"는, 당 잔기 (sugar residues)로 구성되고 미생물에 의해 그들의 환경으로 분비되는, 고 분자량의 천연 중합체를 지칭한다. 엑소폴리사카라이드는, 세포외 폴리사카라이드 (EPSs)로 상호교환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EPSs는, 생물막 (biofilms)의 기능적 및 구조적 완전한 상태 (integrity)를 확립하고, 생물막의 생리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기본 구성요소로 고려된다. EPSs는, 생물막의 총 유기 물질의 50% 내지 90%를 구성한다.
단편: 여기에 기재된 물질 또는 엔티티의 "단편"은, 전체의 개별 부분을 포함하지만, 전체에서 확인되는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가 결여된 구조를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편은 이러한 개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편은, 전체의 개별 부분을 포함하고, 이 개별 부분은 전체에서 확인된 하나 이상의 기능적 특징을 공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편은, 이러한 개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편은, 전체에서 확인된 특징적인 구조적 요소 또는 모이어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 단편은, 전체 중합체에서 확인된 대로의, 적어도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75, 300, 325, 350, 375, 400, 425, 450, 475, 500 이상 단량체 단위 (예를 들어, 잔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루어진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 단편은, 전체 중합체에서 확인된 단량체 단위 (예를 들어, 잔기)의 적어도 약 5%, 10%, 15%, 20%, 25%, 30%, 2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96%, 97%, 98%, 99%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루어진다. 전체 물질 또는 엔티티는, 몇몇 구체 예에서, 전체의 "모 (parent)"로 지칭될 수 있다.
상동성 (homology):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상동성"은, 중합체 분자 사이, 예를 들어, 핵산 분자 (예를 들어, DNA 분자 및/또는 RNA 분자) 사이 및/또는 폴리펩티드 분자 사이에 전반적인 관련성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 분자는, 이의 서열이 적어도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9% 동일하다면, 서로 "상동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 분자는, 이의 서열이 적어도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9% 유사하다면, 서로 "상동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동일성: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동일성"은, 중합체 분자 사이, 예를 들어 핵산 분자 (예를 들어, DNA 분자 및/또는 RNA 분자) 사이 및/또는 폴리펩티드 분자 사이에 전반적인 관련성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 분자는, 이의 서열이 적어도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9% 동일하다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2개의 핵산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의 동일성 퍼센트의 계산은, 예를 들어, 최적의 비교 목적 (예를 들어, 최적 정렬을 위해 제1 및 제2 서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갭 (gaps)이 도입될 수 있고, 비-동일 서열은 비교 목적으로 무시될 수 있음)을 위해 2개의 서열을 정렬시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구체 예에서, 비교 목적을 위해 정렬된 서열의 길이는, 기준 서열의 길이의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실질적으로 100%이다. 상응하는 위치에서 뉴클레오티드는, 그 다음 비교된다. 제1 서열에서 위치가 제2 서열에서 상응하는 위치와 동일한 잔기 (예를 들어,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 분자는 그 위치에서 동일하다. 두 서열 사이에 동일성 퍼센트는, 두 서열의 최적 정렬을 위해 도입될 필요가 있는, 갭의 수 및 각 갭의 길이를 고려하여, 서열에 의해 공유된 동일한 위치의 수의 함수이다. 두 서열 사이에 서열 비교 및 동일성 퍼센트의 결정은,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에 동일성 퍼센트는, ALIGN 프로그램 (버전 2.0)에 통합된, Meyers and Miller (CABIOS, 1989, 4: 11-17)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대표적인 구체 예에서, ALIGN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핵산 서열 비교는, PAM120 가중 잔기 표, 12의 갭 길이 페널티 및 4의 갭 페널티를 사용한다. 2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에 동일성 퍼센트는, 선택적으로, NWSgapdna.CMP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GCG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GA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개선하다", "증가하다", "억제하다" 또는 "감소하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개선하다", "증가하다", "억제하다", "감소하다", 또는 이의 문법적 상당 어구는, 기준치 또는 다른 기준 측정에 대해 상대적인 값을 나타낸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절한 기준 측정은, 적절한 비교가능한 기준 작용제의 존재하에서, 또는 특정 작용제 또는 처치 (예를 들어, 이전 및/또는 이후)의 부재하에 별도의 비교가능한 조건하의 특정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한 개체에서) 측정일 수 있거나 또는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절한 기준 측정은, 관련 작용제 또는 처치의 존재 하에,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지거나 또는 예상되는 비교가능한 시스템에서 측정일 수 있거나 또는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리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단리된"은, (1) 초기에 생성된 경우 (자연에서 및/또는 실험적 환경에서) 관련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분리된, 및/또는 (2) 인위적으로 설계, 생성, 제조, 및/또는 제작된, 물질 및/또는 엔티티를 지칭한다. 단리된 물질 및/또는 엔티티는, 이들이 초기에 연관된 다른 성분의 약 10%,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약 99%로, 또는 약 99%를 초과하여 분리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리된 작용제는, 약 80%, 약 85%, 약 9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약 99%, 또는 약 99%를 초과하여 순수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물질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담체 또는 부형제 (예를 들어, 버퍼, 용매, 물, 등)와 같은, 특정 다른 성분과 조합된 후에도 "단리된" 또는 "순수한" 것으로 여전히 간주될 수 있고; 이러한 구체 예에서, 물질의 단리 퍼센트 또는 순도는, 이러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지 않고 계산된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몇몇 구체 예에서, 자연에서 발생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같은 생물학적 중합체는, a) 이의 기원 또는 파생물의 공급원으로 인해, 이것이 자연에서 이의 천연 상태로 이를 수반하는 몇몇 또는 모든 구성요소와 관련이 없는 경우; b) 자연에서 이를 생성하는 종으로부터 동일한 종의 다른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이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 c) 자연에서 이를 생성하는 종이 아닌 세포 또는 다른 발현 시스템으로부터 성분에 의해 발현되거나 또는 이와 관련이 있는 경우, "단리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몇몇 구체 예에서,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또는 자연에서 이를 생성하는 것과 다른 세포 시스템에서 합성되는 폴리펩티드는, "단리된" 폴리펩티드인 것으로 간주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정제 기술을 거친 폴리펩티드는, a) 자연에서 이것이 관련된; 및/또는 b) 초기 생성될 때 이것이 관련된 기타 성분들과 이것이 분리되는 정도로 "단리된" 폴리펩티드로 간주될 수 있다.
링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링커"는, 다른 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다중-요소 작용제의 부분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폴리펩티드의 구조가 둘 이상의 기능적 또는 조직적 도메인들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종종 이러한 도메인들 사이에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아미노산의 스트레치 (stretch)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링커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는, 일반적인 형태인 S1-L-S2의 전반적인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S1 및 S2는,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링커에 의해 서로 결합된 2개의 도메인을 나타낸다. 몇몇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 링커는, 적어도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이상의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링커는, 단단한 3-차원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오히려 폴리펩티드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다른 링커 요소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Holliger et al., 1993; Poljak, 1994)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융합 폴리펩티드)를 조작할 때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제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된 조성물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활성제는, 관련 모집단에 투여될 때 미리결정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치료 처방 계획에서 투여하기에 적절한 단위 투여량으로 존재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예를 들어, 물약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 정제, 예를 들어, 협측, 설하 및 전신 흡수을 위해 표적화된 것, 큰 환약 (boluses), 분말, 과립, 혀에 적용하기 위한 페이스트;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서, 피하, 근육 내, 정맥 내 또는 경막 외 주사에 의한 투여; 국소 적용, 예를 들어, 피부, 폐, 또는 구강에 적용된 크림, 연고, 또는 방출-제어된 패치 또는 스프레이; 질내 또는 직장 내, 예를 들어, 페서리 (pessary), 크림, 또는 폼으로; 설하; 눈; 경피; 또는 비강, 폐, 및 기타 점막 표면용으로 조정된 것을 포함하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투여하기 위해 특별히 제형화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에 적용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가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융화성이어야 하고, 이의 수령인에게는 해롭지 않아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당류: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다당류"는,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가수분해시 구성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을 제공하는 단당류 단위의 장쇄로 구성된 중합체 탄수화물 분자를 지칭한다. 다당류는, 선형에서 고도로 분지된 구조까지 다양하다. 예로는, 전분 및 글리코겐과 같은 저장 다당류, 셀룰로오스 및 키틴 및 미생물 다당류과 같은 구조 다당류, 및 OPS, CPS, COPS, 및 LPS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미생물에서 발견되는 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한다.
예방하다 또는 예방: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 (condition)의 발생과 연관하여 사용되는 경우,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예방하다 또는 예방"은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발달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증상의 시작을 지연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예방은,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발병이 미리정의된 기간 동안 지연된 경우 완결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백질: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단백질"은, 폴리펩티드 (즉, 펩티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아미노산의 스트링 (string))을 지칭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 이외의 모이어티 (예를 들어, 당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s), 등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별도로 가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단백질"이 (신호 서열의 유무에 관계없이) 세포에 의해 생성된 완전한 폴리펩티드 사슬일 수 있거나, 또는 이의 특징적인 부분일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단백질이 때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황화 결합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결합된, 하나를 초과하는 폴리펩티드 사슬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폴리펩티드는, L-아미노산, D-아미노산, 또는 모두를 함유할 수 있고,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양한 아미노산 변형 또는 유사체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변형은, 예를 들어, 말단 아세틸화, 아미드화, 메틸화, 등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백질은, 천연 아미노산, 비-천연 아미노산, 합성 아미노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펩티드"는, 일반적으로 약 100 미만의 아미노산, 약 50 미만의 아미노산, 약 20 미만의 아미노산, 또는 10 미만의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백질은 항체, 항체 단편, 이의 생물학적 활성 부분, 및/또는 이의 특징 부분이다.
폴리펩티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폴리펩티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의 중합체인 것으로 이의 기술분야에서-인정된 의미를 갖는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용어 "폴리펩티드"가 여기서 인용된 완전한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괄할뿐만 아니라, 이러한 완전한 폴리펩티드의 기능적 단편 (즉, 적어도 하나의 활성을 보유하는 단편)을 나타내는 폴리펩티드를 포괄하도록 충분히 일반적으로 의도된 것을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단백질 서열이 일반적으로 활성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일부 치환을 허용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따라서, 활성을 유지하고, 적어도 약 30-40%의 전체 서열 동일성, 종종 약 50%, 60%, 70% 또는 80%를 초과하는 서열 동일성을 공유하며, 및 동일한 부류의 또 다른 폴리펩티드와 함께, 적어도 3-4개 및 종종 20까지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을 보통 포괄하는, 하나 이상의 고도로 보존된 영역에서 종종 90% 초과 또는 심지어 95%, 96%, 97%, 98%, 또는 99%를 초과하는, 훨씬 더 높은 동일성의 적어도 한 영역을 더욱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폴리펩티드는,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관련 용어 "폴리펩티드" 내에 포괄된다. 폴리펩티드는, L-아미노산, D-아미노산, 또는 모두를 함유할 수 있고,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양한 아미노산 변형 또는 유사체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변형은, 예를 들어, 말단 아세틸화, 아미드화, 메틸화, 등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백질은, 천연 아미노산, 비-천연 아미노산, 합성 아미노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방: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예방"은, 특정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병의 지연, 및/또는 빈도 및/또는 중증도의 감소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예방은, 모집단에 기초하여 평가되어, 만약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달, 빈도, 및/또는 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예민한 모집단에서 관찰된다면, 작용제가 특정 질병, 장애, 또는 병태를 "예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방은,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발병이 미리정의된 기간 동안 지연된 경우 완결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백질: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단백질"은, 폴리펩티드 (즉, 펩티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아미노산의 스트링)을 지칭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 이외의 모이어티 (예를 들어, 당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등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별도로 가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단백질"이 (신호 서열의 유무에 관계없이) 세포에 의해 생성된 완전한 폴리펩티드 사슬일 수 있거나, 또는 이의 특징적인 부분일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단백질이 때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황화 결합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결합된, 하나를 초과하는 폴리펩티드 사슬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폴리펩티드는, L-아미노산, D-아미노산, 또는 모두를 함유할 수 있고,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양한 아미노산 변형 또는 유사체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변형은, 예를 들어, 말단 아세틸화, 아미드화, 메틸화, 등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백질은, 천연 아미노산, 비-천연 아미노산, 합성 아미노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펩티드"는, 일반적으로 약 100 미만의 아미노산, 약 50 미만의 아미노산, 약 20 미만의 아미노산, 또는 10 미만의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단백질은 항체, 항체 단편, 이의 생물학적 활성 부분, 및/또는 이의 특징 부분이다.
재조합: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재조합"은, 숙주 세포 내로 형질감염된 재조합 발현 벡터를 사용하여 발현된 폴리펩티드; 재조합의, 조합형 인간 폴리펩티드 라이브러리로부터 단리된 폴리펩티드; 형질전환된 또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 또는 폴리펩티드 또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 부분(들), 요소(들), 또는 이의 도메인(들)의 발현을 인코딩 및/또는 발현을 지시하는 유전자 성분을 발현하도록 조작된 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토끼, 양, 물고기, 등)에서 단리된 폴리펩티드; 및/또는 선택된 핵산 서열 요소를 서로 접합 (splicing) 또는 결찰시키는 단계, 선택된 서열 요소를 화학적으로 합성시키는 단계, 및/또는 폴리펩티드 또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 부분(들), 요소(들), 또는 이의 도메인(들)의 발현을 인코딩 및/또는 지시하는 핵산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수단에 의해 제조, 발현, 생성, 또는 단리된 폴리펩티드와 같은, 재조합 수단에 의해 설계, 조작, 제조, 발현, 생성, 제작, 및/또는 단리된 폴리펩티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선택된 서열 요소 중 하나 이상은 자연에서 발견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선택된 서열 요소 중 하나 이상은, 가상환경 (in silico)에서 설계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선택된 서열 요소는,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공급원, 예컨대, 예를 들어, 관심의 공급 유기체 (예를 들어, 인간, 마우스, 등)의 생식선에서, 알려진 서열 요소의 (예를 들어, 생체 내 또는 시험관 내) 돌연변이 유발로부터 결과한다.
기준: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기준"은, 비교가 수행되는 것에 대한 표준 또는 제어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몇몇 구체 예에서, 관심의 작용제, 동물, 개체, 모집단, 샘플, 서열 또는 값은, 기준 또는 대조 작용제, 동물, 개체, 모집단, 샘플, 서열 또는 값과 비교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또는 대조군은, 관심의 시험 또는 결정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시험 및/또는 결정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또는 대조군은, 유형적 매체 (tangible medium)에서 선택적으로 구체화된, 이력 기준 (historical reference) 또는 대조군이다. 통상적으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기준 또는 대조군은, 평가 하의 것들에 대해 비교가능한 조건 또는 환경 하에서 결정되거나 또는 특징화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개개의 가능한 기준 또는 대조군에 대한 신뢰 및/또는 비교를 정당화하기에 충분한 유사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인식할 것이다.
반응: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처치에 대한 반응은, 처치의 결과로 또는 처치와 연관하여 발생하는 피험자 병태의 어떤 이로운 변화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병태의 안정화 (예를 들어, 치료의 부재하에서 발생하는 악화의 예방), 병태의 증상의 개선 및/또는 병태의 치료에 대한 전망의 개선,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피험자의 반응 또는 종양의 반응을 지칭할 수 있다. 종양 또는 피험자 반응은, 임상 기준 및 객관적인 기준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기준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반응을 평가하는 기술은, 임상 검사,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흉부 X-선 CT 스캔, MRI, 초음파, 내시경 검사, 복강경 검사, 피험자로부터 얻은 샘플에서 종양 마커의 존재 또는 수준, 세포학, 및/또는 조직학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기술 중 다수는, 종양의 크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총 종양 부담을 결정하려고 시도한다.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지침은, Therasse et. al. (2000) "New guidelines to evaluate the response to treatment in solid tumors",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Cancer Institute of Canada에 논의되어 있다. 종양 및/또는 환자의 그룹을 비교할 때, 비교될 그룹이 반응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같거나 또는 비교가능한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된다면, 정확한 반응 기준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에서 선택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적절한 기준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위험: 맥락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위험"은, 특정 개체가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를 발달시킬 가능성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위험은 퍼센트로 표현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위험은, 0부터 1, 2, 3, 4, 5, 6, 7, 8, 9,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까지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위험은, 기준 샘플 또는 기준 샘플의 그룹과 연관된 위험에 대한 위험으로 표현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샘플 또는 기준 샘플의 그룹은, 알려진 위험의 질병, 장애, 병태 및/또는 결과를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샘플 또는 기준 샘플의 그룹은, 특정 개체에 비교가능한 개체로부터 유래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대 위험은, 0,1, 2, 3, 4, 5, 6, 7, 8, 9, 10 이상이다.
혈청형: 또한 혈청변이형 (serovar)이라고 지칭되는,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혈청형"은,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종 내에 또는 다른 개체의 면역 세포들 사이에서 뚜렷한 변이 (distinct variation)를 지칭한다. 이들 미생물, 바이러스, 또는 세포들은, 이들의 세포 표면 항원에 기초하여 함께 분류되어, 아-종 수준으로 유기체의 역학적 분류 (epidemiologic classification)를 가능하게 한다. 공통 항원을 갖는 혈청변이형의 그룹은, 혈청군 또는 때때로 혈청복합체로 지칭될 수 있다.
짧은 올리고당: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올리고당은, 임의의 선형 사슬에 4개 미만, 또는 확실히 3개 미만의 잔기를 갖는 경우, 통상적으로 "짧은" 것으로 간주된다.
피험자: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피험자"는 유기체, 통상적으로, 포유동물 (예를 들어, 몇몇 구체 예에서, 태아기의 인간 형태를 포함하는, 인간)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관련 질병, 장애, 또는 병태를 앓고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영향을 받기 쉽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특징을 나타낸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임의의 증상 또는 특징을 나타내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대한 민감성 또는 위험성의 하나 이상의 특색 특징을 갖는 사람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환자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는, 진단 및/또는 요법이 투여되거나 및/또는 투여된 개체이다.
영향을 받기 쉬운: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영향을 받기 쉬운" 개체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영향을 받기 쉬운 개체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어떠한 증상도 나타내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영향을 받기 쉬운 개체는,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으로 진단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영향을 받기 쉬운 개체는,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발생과 관련된 상태에 노출된 개체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발생의 위험은, 모집단-기반 위험 (예를 들어, 질병, 장애, 또는 병태를 앓고 있는 개체의 가족 구성원)이다.
증상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질병,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이 크기 (예를 들어, 강도, 중증도, 등) 및/또는 빈도에서 감소되는 경우 "증상은 감소된다". 명확성을 위해, 특정 증상의 발병에서 지연은, 그 증상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하나의 형태로 간주된다.
치료적 유효량: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적 유효량은, 이것이 투여되는 원하는 효과를 생성하는 양을 의미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용어는, 치료적 투약 처방 계획에 따라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를 앓고 있거나 또는 영향을 받기 쉬운 모집단에 투여되는 경우, 상기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률 및/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발병을 지연시키는 양이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용어 "치료적 유효량"이 실제로 특정 개체에서 달성되는 성공적인 치료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오히려, 치료적 유효량은,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될 때 상당수의 피험자에서 특정한 원하는 약리학적 반응을 제공하는 양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특별한 조직 (예를 들어, 질병, 장애, 또는 병태에 의해 영향을 받은 조직) 또는 유체 (예를 들어, 혈액, 타액, 혈청, 땀, 눈물, 소변, 등)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양에 대한 언급일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특정 작용제 또는 요법이 단일 투여량으로 제형화 및/또는 투여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적 유효제는, 예를 들어, 투약 처방 계획의 일부로서, 복수의 투여량으로 제형화 및/또는 투여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의 양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은, 임의의 피험자에서 감염 및/또는 질병 (예를 들어, 박테리아 감염, 폐렴구균 감염, 등)을 치료, 약화, 또는 예방하기 위한 양일 수 있는 충분한 양이지만 비독성인 양을 지칭한다.
치료 또는 처치: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료 또는 처치" (또한 "치료하다 또는 처치하다" 또는 "치료하는 또는 처치하는")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특정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 특색, 및/또는 원인의 발병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완화, 개선, 재현, 억제, 지연시키거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발병률을 감소시키는 요법의 임의의 투여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치료는, 관련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피험자 및/또는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초기 징후만을 나타내는 피험자의 치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이러한 치료는, 관련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확증된 징후를 나타내는 피험자의 치료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는, 관련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를 앓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 피험자의 치료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치료는 관련 질병, 장애, 및/또는 병태의 발달의 증가된 위험과 통계적으로 상관되는 하나 이상의 민감성 인자 (susceptibility factors)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피험자의 치료일 수 있다.
변이체: 분자, 예를 들어 핵산, 단백질, 또는 작은 분자의 맥락에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변이체"는, 예를 들어, 기준 엔티티와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화학적 모이어티의 수준에서 존재 또는 부재하에, 기준 분자와 상당한 구조적 동일성을 나타내지만, 기준 분자와 구조적으로 다른 분자를 지칭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는 또한 이의 기준 분자와 기능적으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특정 분자가 기준 분자의 "변이체"인 것으로 적절하게 고려되는지 여부는, 이의 기준 분자와의 구조적 동일성의 정도에 기초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기준 분자는, 어떤 특징적인 구조적 요소를 갖는다. 정의에 따라, 변이체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적인 구조적 요소를 공유하지만 기준 분자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다른 별개의 분자이다. 단지 몇 가지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는, 선형 또는 3-차원 공간에서 서로에 대해 지정된 위치를 갖고 및/또는 특정 구조적 모티프 및/또는 생물학적 기능에 기여하는 복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특징적 서열 요소를 가질 수 있고; 핵산은, 선형 또는 3-차원 공간에서 다른 것에 대해 지정된 위치를 갖는 복수의 뉴클레오티드 잔기로 구성된 특징적 서열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차이 및/또는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의 공유 성분인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 백본에 부착된) 화학적 모이어티 (예를 들어, 탄수화물, 지질, 포스페이트기)에서 하나 이상의 차이의 결과로서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과 다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적어도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또는 99%인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과의 전체 서열 동일성을 나타낸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적어도 하나의 특징적 서열 요소를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과 공유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공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의 생물학적 활성 중 하나 이상이 결여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과 비교하여 감소된 수준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몇몇 구체 예에서, 관심의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만약 이것이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삭과 동일하지만, 특정 위치에서 소수의 서열 변경 (sequence alteration)된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다면,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의 "변이체"인 것으로 간주된다. 통상적으로, 변이체에서 약 20%, 약 15%, 약 10%, 약 9%, 약 8%, 약 7%, 약 6%, 약 5%, 약 4%, 약 3%, 또는 약 2% 미만의 잔기는 기준과 비교하여, 치환, 삽입, 또는 결실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기준과 비교하여 약 10, 약 9, 약 8, 약 7, 약 6, 약 5, 약 4, 약 3, 약 2, 또는 약 1개의 치환된 잔기를 포함한다. 종종,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기준에 대하여 매우 적은 수 (예를 들어, 약 5개, 약 4개, 약 3개, 약 2개 또는 약 1개 미만)의 치환, 삽입 또는 결실된, 기능성 잔기 (즉, 특정 생물학적 활성에 참여하는 잔기)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약 5 이하, 약 4, 약 3, 약 2 또는 약 1 이하의 부가 또는 결실을 포함하고,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과 비교하여 부가 또는 결실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이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기준과 비교하여 약 25 미만, 약 20, 약 19, 약 18, 약 17, 약 16, 약 15, 약 14, 약 13, 약 10, 약 9, 약 8, 약 7, 약 6 미만, 및 일반적으로 약 5, 약 4, 약 3 또는 약 2 미만의 부가 또는 결실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자연에서 확인된 것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기준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인간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이다.
백신접종: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백신접종"은, 예를 들어, 질병-유발 작용제 (disease-causing agent)에 대한 면역 반응을 발생시키도록 의도된 조성물의 투여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백신접종은, 질병-유발 작용제에 노출 전, 동안 및/또는 후에, 특정 구체 예에서, 작용제에 노출되기 전에, 동안 및/또는 직후에 투여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접종은, 백신접종 조성물의,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다수의 투여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 예의 상세한 설명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복합 단백질 및 다당류, 예를 들어, 복합 단백질 및 다당류의 백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체는, 예를 들어, 병원 내 감염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면역보호 반응을 유도 및/또는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병원 내 감염은, 입원 후 적어도 약 48시간에 병원 또는 다른 건강 관리 시설에서 획득되는 감염이다. 병원 및 비-병원 환경 모두를 강조하기 위해, 병원 내 감염은 때때로 의료-관련 감염 (HAI 또는 HCAI)이라고 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병원 내 감염은, 병원, 요양원, 재활 시설, 외래 환자 클리닉, 또는 기타 임상 환경에서 획득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병원 내 감염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임상 환경 내에 감염되기 쉬운 환자에게 퍼진다. 몇몇 구체 예에서, 건강 관리 스태프는, 오염된 장비, 침구, 또는 공기 방울에 부가하여, 병원 내 감염을 전파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병원 내 감염은, 외부 환경, 또 다른 감염된 환자, 감염될 수 있는 스태프로부터 기원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경우에서, 병원 내 감염의 공급원은 알 수 없다. 몇몇 경우에서, 병원 내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은, 환자 자신의 피부 미생물에서 기원하여, 수술 후 또는 보호성 피부 장벽을 손상시키는 기타 절차 후에 기회 감염 (opportunistic)을 일으킨다. 환자가 자신의 피부로부터 감염에 걸릴 수도 있지만, 이러한 감염은, 건강 관리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여전히 병원 내 감염으로 간주된다.
내항균성
내항균성 (AMR)의 문제에 직면하여 백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백신은, 항균제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켜 내성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총 경우의 수를 감소시켜 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임상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병원체의 수를 감소시켜, 백신은, 경험적 치료를 위한 더 협영역의 항생제 (narrower-spectrum antibiotics)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무리 면역 (herd immunity)에 의해 증폭되어, 모집단에서 백신접종되지 않은 사람들까지 보호할 수 있다. 내성에 대한 많은 선택이 정상 상재균 (normal flora)의 방관자 멤버 (bystander members)에 대한 선택에 기인하기 때문에, 백신접종은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병원체에서도 내성에 대한 압력 (pressure for resistance)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백신은, 백신 설계에 좀 더 의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용성인, 표적 종들 내에 내-약성 계통 (drug-resistant lineages)에 불균형 효과를 갖는다 (Lipsitch and Siber, 2016). 각각의 이들 메커니즘에 의한 AMR을 퇴치하는 백신의 유용성은, 백신접종된 개체 자체가 감염되거나 또는 콜로니화되지 않고, 그래서 병원체를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키지 않을 때 결과하는, 간접적인 보호, 또는 무리 면역 (Fine, 1993)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감염, 내감염성, 및 항균제 사용은, 백신접종된 개체뿐만 아니라 이들의 접촉에서도 감소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인두, 피부, 장, 또는 기타 부위를 자각 증상없이 콜로니화하는 유기체에 대한 백신의 경우, 백신접종에 의해 미생물 모집단의 밀도의 감소가 내성 인자의 유전자 교환에 대한 기회를 감소시키는 이론적 가능성이 있다 (Levin et al., 1979; Levin and Cornejo, 2009).
특히 관심의 백신은, 다중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자주 있는 HAI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표적으로 하는 백신이다 (CDC, 2013; Chang et al., 2015). HAI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다중 내성 그람-음성 박테리아를 포함하고; 최근의 간행물은, 최후-수단의 작용제인, 폴리믹신 B 및 콜리스틴에 내성이 있는 전 세계의 분리주를 보고한다 (Du et al., 2015: Liu et al., 2016). 1차- 및 2차-라인 작용제 (second-line agents)에 대한 내성은 또한 그람-양성 유기체에서 문제가 있다. 칸디다 종 (Candida species)은, 항균 요법의 결과로서 및 면역손상 환자에서 점막 및 파종성 감염 (disseminated infections)의 중요한 원인이다 (CDC, 2013). 그람-음성 대장균, 슈도모나스, 클렙시엘라 및 아시네토박터 종 (Acinetobacter species) 또한 다중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McGann 등, 2016; Collignon, 2009; Agodi 등, 2011, WHO 보고서, 2014). 이러한 지식 갭 (knowledge gap)을 해결하기 위해, CDC는, 항균제 사용 및 HAI의 다국가 유병률 조사를 개발하고 수행하기 위해 2009년에 3-단계 노력 (three-phase effort)을 시작했다. 유병률 조사는, 다른 국가에서 이러한 감염의 문제의 범주 및 규모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CDC 노력은, 2011년에 급성 치료 병원에서 HAI의 유병률을 추정하고,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감염 부위 및 병원체에 따라 이들 감염의 분포를 결정하며, 및 이들 감염의 국가 부담에 대한 업데이트된 추정치를 생성하는, 대규모 설문조사를 완결시켰다 (Magill et al., 2014).
설문조사는 미국 내의 183개 병원에서 수행되었다 (Magill et al., 2014). 11,282명의 환자 중, 452명은 하나 이상의 HAI를 갖는다 (4.0%; 95% 신뢰 구간, 3.7-4.4). 504의 이러한 감염 중, 가장 흔한 타입은, 폐렴 (21.8%), 수술-부위 감염 (21.8%), 및 위장관 (GI) 감염 (17.1%)이었다. C. 디피실레 (C. difficile)는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병원체이다 (의료-관련 감염의 12.1%를 유발). 전통적으로 HAI를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초점이었던, 장치-관련 감염 (즉, 중앙-카테터-관련 혈류 감염, 카테터-관련 요로 감염, 및 인공 호흡기-관련 폐렴)은, 이러한 감염의 25.6%를 차지한다. 저자들은, 2011년에 미국 급성 치료 병원에서 721,800의 HAI를 가진 648,000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병원 환경에서 백신접종에 의해 K. 뉴모니아, 녹농균, E. col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적화하는 것은, 표 1에 나타낸 항생제 내성의 유병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폐렴, 수술-부위 및 요로 감염과 같은 가장 흔한 HAI 감염의 발생률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감염 타입에 따른: HAI의 다중상태 점-유병률 조사 (Magill et al., 2014)
병원체 |
모든 부위 |
뉴모니아 |
수술 부위 감염 |
BSI |
UTI |
GI 감염 |
K. 뉴모니아
|
9.9% |
11.8% |
13.6% |
8% |
23.1%* |
1.2% |
녹농균
|
7.1% |
12.7%* |
6.4%* |
4% |
10.8%* |
1.2% |
A. baumannii
|
1.6% |
3.6%* |
1.8% |
0% |
0% |
0% |
E. coli
|
9.3% |
2.7% |
12.7%* |
10% |
27.7%* |
1.2% |
S. aureus
|
10.7% |
16.4%* |
15.5%* |
14% |
3.1% |
1.2% |
C. difficile
|
12.1% |
0% |
0% |
0% |
0% |
70.9%* |
Candida
|
6.3% |
3.6% |
2.7% |
22%* |
4.6% |
3.5% |
*대부분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는 이들 그룹에 있다. |
면역원성 복합체
본 개시는, 백본 중합체, 다당류, 및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다중 항원 제시 시스템 (MAPS)이다. 특정 MAPS 시스템은, WO 2012/155007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ⅰ)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다당류 (예를 들어, 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및 (ⅱ) 중합체 및/또는 항원성 다당류와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원 폴리펩티드 및/또는 운반 펩티드)를 포함하는, 새로운 변종 MAPS-타입 복합체를 나타낸다. 몇몇 대표적인 백본 중합체는, 도 7a-7d에 나타낸 면역원성 복합체에 도시되어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종 MAPS 복합체는 BP-1 MA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종 MAPS 복합체는 BP-1.2 MA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종 MAPS 복합체는 BP-2a MA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종 MAPS 복합체는, BP-2b MA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변종 MAPS 복합체는, BP-3 MA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ⅰ) 중합체 및/또는 항원성 다당류와 관련된 제1 친화성 분자; 및 (ⅱ)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항원과 관련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친화성 분자/상보적 친화성 분자 쌍의 형성에 의해, 백본 중합체, 및/또는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항원성 다당류와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당류는, 중합체에 화학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그람-음성 박테리아 및/또는 그람-양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미생물 항원성 다당류는,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E. coli 항원성 다당류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 (예를 들어, 융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백본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백본 중합체에 약 0.01 내지 약 10 w/w의 비로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약 0.01 내지 약 0.1 w/w의 비로 백본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백본 중합체에 약 0.01 내지 약 1 w/w의 비로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백본 중합체에 약 0.1 내지 약 1 w/w의 비로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백본 중합체에 약 0.1 내지 약 10 w/w의 비로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약 1 내지 약 10 w/w의 비로 백본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하나 이상의 병원체으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병원체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또는 25 혈청형 또는 균주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백본 중합체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친화성 분자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성 다당류는,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친화성 분자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 및 항원성 다당류는, 하나 이상의 친화성 분자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친화성 분자에 접합되고, 항원성 다당류는 친화성 분자에 접합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친화성 분자에 접합되지 않고, 항원성 다당류는 하나 이상의 친화성 분자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친화성 분자는 비오틴 또는 비오틴 유도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백본 중합체에 접합된 복수의 친화성 분자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성 다당류는,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복수의 친화성 분자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 및 항원성 다당류는, 복수의 친화성 분자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복수의 친화성 분자에 접합되고, 항원성 다당류는 친화성 분자에 접합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친화성 분자에 접합되지 않고, 항원성 다당류는 복수의 친화성 분자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친화성 분자는, 비오틴 또는 비오틴 유도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에 포함될 수 있는 다당류 및/또는 폴리펩티드는, 재조합적으로 또는 합성적으로 생성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에 포함될 수 있는 다당류 및/또는 폴리펩티드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및/또는 유래된다. 대표적인 다당류 및/또는 폴리펩티드는, 이하 기재된다.
클렙시엘라 (Klebsiella)
대부분의 클렙시엘라 감염은, 입원과 관련이 있다. 기회 감염성 병원체으로서, 클렙시엘라 종은, 입원되어 있고, 당뇨병 또는 만성 폐색 막힘과 같은 심각한 기저 질병 (underlying diseases)으로 고통받는 면역력이 약화된 개체를 주로 공격한다. 병원 내 클렙시엘라 감염은, 속 (genus)의 의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종인, K. 뉴모니아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클렙시엘라 종은, 미국과 유럽에서 모든 병원 내 박테리아 감염의 8%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odschun and Ullmann, 1998). 아시아에서 주로 발견되고, 유럽 및 서반구에서 흔하지 않은 고독소 K1-캡슐화 균주를 제외하고는, 빈도에 있어 지리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점이 주목된다. 미국에서, 클렙시엘라는 모든 병원 내 박테리아 감염의 3 내지 7%를 차지하여, 병원에서 가장 중요한 8가지의 감염성 병원체 중 하나이고 (Horan et al., 1988; Schaberg et al., 1991), 영국 (Bergogne-Berezin, 1995) 및 독일 (Ullmann, 1986)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CDC에 의해 보고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클렙시엘라 다당류 및/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클렙시엘라 LPS-유도 및/또는 CPS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LPS-유도 다당류는 O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LPS-유도 다당류는 COPS이다. 캡슐은 거의 모든 클렙시엘라 균주에 의해 생성되고; 그들은 숙주 환경과 접촉하는 표면 구조의 최외층을 나타내며, 면역성이 높고 독성이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Cryz et al., 1985).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KP) CPS 백신의 단점은, 많은 캡슐 (K) 항원 (80개 이상의 다른 항원)이다. 그러나, 박테리아성 클렙시엘라 분리주 중 캡슐 타입의 발생률에 대한 연구에서, 25개의 혈청형 만이 모든 박테리아 균주의 70%를 구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ryz et al., 1986a). 이들의 혈청-역학적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제형화된 24-가 KP CPS 백신은, 이후 안전하고 면역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Edelman et al., 1994). 그러나, 일반 다당류는, 길고 효과적인 기억 반응 (memory response)을 갖추고, 유지하기에 충분한 면역원성이 아니며, 종종 효과가 있는 단백질에 접합되어야 한다. 24개의 글리코컨쥬게이트 (glycoconjugates)를 하나의 백신으로의 조합이 각 성분에 의해 유도된 면역원성의 균형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24-가 KP 다당류 접합체 백신의 개발은, 복잡하고 도전적이다.
그들의 내독성 특성으로 인해, LPS는, 패혈증의 병리학에서 중요하게 고려된다. 최근까지, 클렙시엘라 LPS O 항원은, 일반적으로 CPS에 의해 마스킹되고, 따라서 박테리아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여러 연구는, 특정 캡슐형 혈청형을 발현하는 균주에서 O 항원의 표면 노출 및 항체 접근성을 입증하였다 (Tomas et al., 1988). K 항원과 대조적으로, 오직 8개의 O 타입은 알려져 있으며, O1은 임상 분리주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O 타입이다. 4개의 KP 분리주 (O1, O2, O3, O5)은, 대부분의 임상 분리주를 차지한다 (Hansen et al., 1999). 클렙시엘라 O1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mAbs)의 투여는, 치명적인 내독소혈증의 마우스 모델에서 보호성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Mandine et al., 1990).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클렙시엘라 타입 3 선모 단백질 (pili protein)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다른 핌브리아 (fimbriae)와는 달리, 타입 3 선모는, 타닌으로 처치된 적혈구를 응집시킨다. 이의 이름인, 내-만노오즈, 클렙시엘라-형 혈구응집소 (
Klebsiella-like hemagglutinin) (MR/K-HA)가, 이러한 핌브리얼 타입 (fimbrial type)이 클렙시엘라에 의해서만 합성된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이후의 연구는, 타입 3 선모가 많은 장의 속 (enteric genera)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Clegg and Gerlach, 1987). 게다가, 타입 3 선모는, 혈청학적 연구가 상당한 항원 다양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장박테리아의 모든 속들에서 명백히 동일하지 않다 (Old and Adegbola, 1985). 원래 식물 뿌리에 서식하는 클렙시엘라의 부착 세포기관 (adhesion organelles)으로 설명되는, 이러한 선모는, 나중에 다양한 인간 세포에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타입 3 선모를 발현하는 K. 뉴모니아의 균주는, 내피 세포, 기도의 상피, 및 요로상피 세포에 부착된다 (Hornick et al., 1992; Tarkkanen et al., 1997; W
rker et al, 1990). 신장에서, 이들 선모는, 관형 기저막, 보우만 캡슐 (Bowman's Capsule), 및 신장 혈관에 대한 박테리아 부착을 매개한다 (Tarkkanen et al., 1990). MrkA는, 타입 Ⅲ 핌브리아 복합체의 주요 단백질이며, 감염을 입증하기 위해 박테리아 병원체를 사용하는 전략인 (Burmolle et al., 2008), 숙주 세포 부착 및 생물막 형성 (Murphy and Clegg, 2012)과 관련이 있다. 부착 (MrkD)이 아닌 MrkA은, 이전에 생물막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gstraat et al., 2001). MrkA 항원은, 다른 KP 분리주 중에서 높은 수준의 서열 보존을 나타내며, 세포외 표적으로서 일반적으로 접근가능하다 (Wang et al., 2016). 2개의 가장 우세한 병원성 분리주인, K. 뉴모니아 및 클렙시엘라 옥시토카 유래의 MrkA는, 95% 상동성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장내세균 과 (
Enterobacteriaceae family)의 대표적인 구성원 간의 MrkA 상동성은 >90%이므로, 이들 서열 데이터는 MrkA-기반 항-K. 뉴모니아 및 판-그램-음성 박테리아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잠재적인 기회를 제시한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다당류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다당류를 포함한다. CPS (예를 들어, K 항원) 외에, OPS는, K. 뉴모니아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독성 인자이다. 다른 다당류 화학 구조를 각각 갖는, K. 뉴모니아 OPS의 적어도 9개의 서브-타입이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다당류는, 여기에 기재된 면역 복합체에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각각의 혈청형 명칭은, 대장균속 및 클렙시엘라에 관한 세계 보건 기구 (WHO) 협력 참조 및 연구 센터에 따라 지정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O1 (및 d-Gal-Ⅲ 변이체), O2 (및 d-Gal-Ⅲ 변이체), O2ac, O3, O4, O5, O7, O8, 및 O12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혈청형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클렙시엘라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혈청형 O1, O2, O3, 및 O5,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클렙시엘라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각각의 혈청형 O1, O2, O3, 및 O5로부터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클렙시엘라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OPS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클렙시엘라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혈청형 O1, O2, O3, O5의 클렙시엘라, 및 이의 변이체 또는 이의 조합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O1, O2, O3, 및 O5의 하나 이상의 혈청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클렙시엘라 OPS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각각의 혈청형 O1, O2, O3 및 O5로부터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클렙시엘라 OPS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CPS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클렙시엘라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CPS는, 클렙시엘라 K1, K2, K10, K16 및 K19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CPS는 클렙시엘라 K19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폴리펩티드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K. 뉴모니아 타입 I 핌브리아 단백질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Gerlach et al., 2012, J Bacteriology에 공개된 SEQ ID NO:1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SEQ ID NO:1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K. 뉴모니아 타입 I 핌브리아 단백질 SEQ ID NO:1
MKIKTLAMIVVSALSLSSTAALADTTTVNGGTVHFKGEVVNAACAVDAGSIDQTVQLGQVRSAKLATAGSTSSAVGFNIQLDDCDTTVATKASVAFAGTAIDSSNTTVLALQNSAAGSATNVGVQILDNTGTPLALDGATFSAATTLNDGPNIIPFQARYYATGAATAGIANADATFKVQYE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K. 뉴모니아 보존 Type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SEQ ID NO:2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SEQ ID NO:2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K. 뉴모니아 보존 타입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 SEQ ID NO:2
MKKVLLSAAMATAFFGMTAAHA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K. 뉴모니아 타입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 또는 면역원성 단편, 예를 들어, MrkA 단량체 단백질에 대한 안정화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반복 서열을 갖는 단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SEQ ID NO:3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폴리펩티드는, SEQ ID NO:3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K. 뉴모니아 안정화 타입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 SEQ ID NO:3
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
슈도모나스
슈도모나스는, 특히 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에 의해 면역력이 약화되고 기계적으로 환기된 환자에서, HAI 감염의 주요 원인이며, 이것은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이다. 슈도모나스 감염은, 화상, 눈 (예를 들어, 각막) 상처, 외상, 등에도 관련된다. 따라서,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다당류 및/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슈도모나스 O-항원을 포함한다. 웰컴 리서치 (Wellcome Research)는, 이러한 항원을 기반으로 백신을 개발하는데 초기 노력의 대부분을, 20개의 O-항원 혈청형 중 16개를 함유하는 정제된 추출물을 PEV-1 백신 내로 조합하는데 기울였다. 1976년 내지 1984년에 총 다섯의 1-2상 임상 시험 결과들 (phase 1-2 clinical trials)은 공개되었다 (Jones et al., 1976, 1978, 1979, 1980; Langford and Hiller, 1984). 백신 안전 데이터는, 이것이 우수한 내약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혈청전환 (Seroconversion)은, 백신접종된 정상 지원자의 그룹 및 화상 또는 낭포성 섬유증 (CF) 환자에서 비교적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화는,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는 효과로부터 상당한 효과까지 화상 상처 콜로니화에 대한 가변 효과 (variable effects)를 갖는다. 혈액 배양 (Blood cultures)은, 한 연구에서 면역화로 인해 거의 10-배 감소를 나타낸다. 화상 환자에 대한 각 연구에서, 녹농균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항상 명확하지는 않았지만, 사망 감소는 70-100%로 변화한다. CF 연구에서 (Langford and Hiller, 1984), 백신접종에 의한 녹농균 콜로니화에서 임상적 유용성이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체 ELISA 역가 및 임상 적 또는 박테리아학적 판독값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스위스 혈청 연구소 (Swiss Serum Institute), 베르나 바이오테크 (Berna Biotech) 및 크루셀 (Crucell)은, 3개의 공개된 1-2상 임상 시험을 거쳐, 8가의 O-항원-외독소 A 접합 백신 (conjugate vaccines) (Aerugen)을 개발했다 (Schaad, et al., 1991; Lang, et al., 1995; Cryz et al., 1994). 그들의 근육 내 (IM)-투여된 백신은 우수한 내약성을 나타내며, 모든 혈청형에 대한 혈청전환은 모든 연구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백신접종은 대다수의 연구에서 콜로니화의 현저한 감소를 결과하고, 백신 또는 위약 그룹에서 PA-관련 사망은 보고되지 않았다. CF 환자에서 크루셀 (Crucell) 476-환자 3상 연구에서, 백신은, 이전 연구에서 관찰된 원하는 종말점 또는 반복 결과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슈도모나스 편모 (flagellum) 또는 이의 항원성 부분을 포함한다. 초기 조사 효능 연구 (Holder et al., 1982; Holder and Naglich, 1986; Montie, et al., 1987)는, 타입 a 또는 b 편모가 쥣과의 화상 모델에서 사망에 대해 타입-별 보호 (type-specific protection)를 제공할 수 있지만, 상기 타입 b 편모가 그렇게 하는데 다소 능숙함을 보임을 입증했다. 임상전 연구에서, IMMUNO AG (Crowe, et al., 1991)는, a0, a0a1a2, a0a2, a0a3, a0a3a4, 및 타입 b 편모로 이루어진 개별 백신을 사용하여, b 항원이 더 나은 면역원인 것이어서, 타입 a 제제보다 면역손상된 마우스 모델에서 높은 비율의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밝혀냈다. 같은 논문에서 1상 연구는, 기관지폐포 (bronchoalveolar) 세척에서 IgG, IgA, 및 sIgA 혈청전환을 또한 나타내는, 후속 2상 연구 (Doring, et al, 1995)에서 단일 타입 b 면역원과 마찬가지로, 이들 모든 면역원이 높은 역가의, 지속성 (long-lasting) 혈청 항체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F 환자 (3상)에서 조합 타입 a (a0a1a2) + 타입 b 편모 백신 (flagellar vaccine)의 투여는, 높은 역가의, 지속성 혈청 IgG를 결과한다. 그러나, 녹농균 폐 감염에 대한 약간의 보호 효능이 있을지라도, 백신과 관련이 없는 혈청형의 존재는, 결과의 해석을 모호하게 한다 (Doring and Dorner, 1997; Doring, et al 2007).이후의 검토에서, Doring and Pier (2008)는, 이가 편모 백신이 최적이 아닐 수 있지만, 타입 b 편모 및 모든 타입 a의 서브타입을 포함하는 단일 백신에 대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제시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슈도모나스 플라겔린 또는 이의 항원성 단편을 포함한다. 편모의 소단위인, 플라겔린에 대한 연구는, 조사 단계를 넘어서 진행되지 않았다. 연구는, 정제된 플라겔린 (Campodonico, et al., 2010; Faezi, 2013), 플라겔린을 이용한 DNA 백신 (Saha, et al., 2007), 뿐만 아니라 플라겔린/폴리만누론산 접합체 (Campodonico, et al. al., 2011)를 포함한다. 이들 모두가 면역원성 및 보호성이지만, 이들은, 편모 제제에 의해 달성된 수준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수동 면역화는 또한 항-타입 b 혈청 (Barnea, et al., 2006), mAb 항-타입 a (Barnea, et al., 2009), 및 항-타입 a 혈청 (Faezi, et al., 2011)으로 연구되었다. 모든 제제들은, 마우스 화상 모델에서 사망 감소를 나타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슈도모나스 PcrV (타입 Ⅲ 분비) 또는 이의 항원성 단편을 포함한다. 질병 중증도와 관련된 주요 독성 인자는, 숙주 세포의 세포질에 직접 박테리아 독소를 주사하는, 녹농균 타입 Ⅲ 분비 시스템 (T3SS)이다. T3SS 인젝티좀 복합체 (injectisome complex)의 끝에 위치된, PcrV 단백질은, T3SS 기능에 필요하며, 녹농균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예방 (immunoprophylactic) 전략의 동물 모델에서 잘-검증된 표적이다. PcrV에 대한 이전의 토대에 기초하여, 능동 및 수동 면역화 (Sawa, et al., 1999; Holder, et al., 2001; Shime, et al., 2001; Frank, et al., 2002)는,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보호를 나타내었고, KaloBios는, 임상전 (Baer, et al., 2009) 및 임상 시험 (Francois et al., 2012; Milla et al., 2014)에서 수동 요법으로 조사된, "인간화된 (humaneered), 높은 친화성의, 페길화 Fab'" (KB-001)를 개발하였다. 마우스 및 "인간화된" mAb 및 이의 Fab' 단편 모두가 동물 연구에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지만, KB-001을 사용한 임상 시험은, 녹농균 콜로니화 총수, 증상, 또는 폐활량 측정에서 의미 없는 차이를 나타냈고, 및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서 녹농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버전인, KB-001A는, 2상 인간 임상 시험에서 일차 평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ClinTrials.gov, 2014). 본 개시까지 활성 백신으로서 이의 용도와 관련하여, 사소한 노력만이 PcrV 단백질 항원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슈도모나스 엑소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 복합체는, 슈도모나스 PsL을 포함한다. 이러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는, 포유류 세포에 녹농균 부착, 및 비점막 및 점막 녹농균 분리주에 의해 생성된 생물막의 형성과 유지를 위해 중요하다. PsL 다당류는, 생물막 세포를 함께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따라서, 부착에서 PsL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Ma et al., 2006). 기능성 스크린 (Functional screens)은, 하나의 PsL 에피토프에 대한 mAb가 OPK 및 세포 부착 분석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고, 다수의 동물 모델에서 상당한 보호를 부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다당류 PsL은, 비점막 및 점막 임상 분리주 모두에서 널리 퍼져 있는 항체-접근 가능한 혈청형-비의존적 표면 특색이다 (DiGiandomenico et al., 2012). 동물에서, PsL 항체는, 이펙터 세포의 존재하에서 OPK를 매개하고, 상피 세포에 결합하는 녹농균을 억제한다. PsL-추정 특이적 (PsL-putative specific) mAb Cam-003은,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마우스의 기관에서 박테리아 부담을 수동적으로 보호하고 감소시킨다 (DiGiandomenico et al., 2012). Cam-003 mab는 또한 마우스 폐렴 모델에서 다수의 녹농균 혈청형에 대해 보호성이다. 유사한 결과는, 스크래치-손상된 각막 또는 화상입은 마우스 모델에서 얻어졌고, 두 경우에서 Cam-003은, 감염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MEDI 3902는, 혈청형-비의존적 TTSS 독성 인자 PcrV 및 지속 인자 PsL 엑소폴리사카라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DiGiandomenico et al., 2014). 슈도모나스로 인한 폐렴 (환기 관련 폐렴)의 예방을 위한 MEDI 3902의 1상 안전 시험은 완료되었다 (https://clinicaltrials.gov/NCT02255760). 본 개시까지 활성 백신으로서 이의 사용과 관련하여, 사소한 노력만이 PsL 엑소폴리사카라이드 항원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녹농균 다당류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녹농균 다당류를 포함한다. IATS 방법에 의해 대략 20개의 알려진 O-항원의 혈청형이 존재한다. 분자의 O-항원성 다당류는, 백신 개발을 위한 비-독성 잠재적 표적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OPS, LPS, 및/또는 엑소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LPS-유도 다당류는 O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LPS-유도 다당류는 CO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O1, O2, O3, O4, O5, O6, O7, O8, O9, O10, O11, O12, O13, O14, O15, O16, O17, O18, O19 및 O20 (IAT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녹농균 혈청형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O1, O2, O3, O4, O5, O6, O10, 및 O11,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녹농균 혈청형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O1, O2, O3, O4, O5, O6, O10, 및 O11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녹농균 혈청형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슈도모나스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OPS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타입 O1, O2, O3, O4, O5, O6, O7, O8, O9, O10, O11, O12, O13, O14, O15, O16, O17, O18, O19, 및 O20, 또는 이들의 조합의 슈도모나스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또는 O11, 또는 이의 조합의 슈도모나스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또는 O11의 각각의 슈도모나스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캡슐 또는 캡슐형-유사 세포외 다당류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캡슐형 또는 캡슐형-유사 다당류는, 슈도모나스 알기네이트, Psl, 또는 Pel이거나 또는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엑소폴리사카라이드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슈도모나스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엑소폴리사카라이드는, PsL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PsL은, SEQ ID NO:4 및/또는 SEQ ID NO:5를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PsL의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SEQ ID NO:4의 서열, 또는 이의 PsL 결합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PsL의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SEQ ID NO:5의 서열, 또는 이의 PsL 결합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PsL의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SEQ ID NO:4의 서열, 또는 이의 PsL 결합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및 SEQ ID NO:5의 서열, 또는 이의 PsL 결합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PsL 결합 Cam-003 mAb에서 서열 SEQ ID NO:4
QVRLQQSGPGLVKPSETLSLTCTVSGGSTSPYFWSWLRQPPGKGLEWIGYIHSNGGTNYNPSLKSRLTISGDTSKNQFSLNLSFVTAADTALYYCARTDYDVYGPAFDIWGQGTMVTV
PsL 결합 Cam-003 mAb에서 서열 SEQ ID NO:5
SSELTQDPAVSVALGQTVRITCQGDSLRSYYASWYQQKPGQAPVLVIYGKNNRPSGIPDRFSGSSSGNTASLTITGAQAEDEADYYCNSRDSSGNHVVFGGGTKLTVL
녹농균 폴리펩티드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녹농균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A1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6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6의 서열,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A1 SEQ ID NO:6
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KAD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SDGDTISYVSKAGKDGSGAITSAVSGVVIADTGSTGVGTAAGVTPSATAFAKT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7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7의 서열,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SEQ ID NO:7
MALTVNTNIASLNTQRNLNASSNDLNTSLQRLTTGYRINSAKDDAAGLQISNRLSNQISGLNVATRNANDGISLAQTAEGALQQSTNILQRIRDLALQSANGSNSDADRAALQKEVAAQQAELTRISDTTTFGGRKLLDGSFGTTSFQVGSNAYETIDISLQNASASAI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VASVDISTADGAQNAIAVVDNALAAIDAQRADLGAVQNRFKNTIDNLTNISENATNARSRIKDTDFAAETAALSKNQVLQQAGTAILAQANQLPQAVLSLLR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TLR5 결합 모티프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 결여된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D2 도메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10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10의 서열,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TLR5 결합 모티프가 결려된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플라겔린 D2 도메인 SEQ ID NO:10
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녹농균 타입 3 분비 시스템 (TTSS) 독성 인자 PcrV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8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녹농균 폴리펩티드는, SEQ ID NO:8의 서열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녹농균 타입 3 분비 시스템 (TTSS) 독성 인자 PcrV SEQ ID NO:8
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
대장균
대장균 패혈증과 관련된 사망률은, 최적의 항미생물 요법 및 보조 치료로도 20%-40%이다 (Grandsen et al., 1990; Kreger et al., 1980; Rayner and Willcox, 1988; Bryan et al., 1983; Cross) et al., 1983). 이들 및 다른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한 항체에 의한 보조 치료를 포함하는, 새로운 예방 및 치료 접근법은 분명히 필요하다. O-항원-특이적 항체가 상동성 박테리아 균주에 의한 감염을 보호하지만, 연구자들은,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혈청형 다양성 (serotype diversity)의 측면에서 이러한 항체에 의한 면역요법의 가치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Baumgartner, 1990). 그러나, 장-외 침습성 대장균 감염과 관련된 박테리아 혈청형의 역학적 조사는, 제한된 수의 O-혈청그룹이 균혈증 사례의 거의 60%를 차지하는 것을 밝혀냈다 (Grandsen et al., 1990; Cross et al., 1984; McCabe et al., 1978). 따라서, 이러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다당류의 정제 방법
몇몇 구체 예에서, 본 개시는, 여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다당류를 박테리아의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방법은, 박테리아의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O-항원성 다당류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방법은, 박테리아의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CPS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박테리아는 그람-음성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박테리아는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세포 성분은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세포성 단백질은 핵산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세포 성분은 지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세포 성분은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세포 성분은 용해물의 일부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박테리아의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다당류를 정제하는 방법은, 세포 성분을 산화제 및 산과 접촉시켜 혼합물을 얻는, 접촉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산화제는 아질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산은 아세트산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혼합물의 pH는 약 3 내지 약 5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방법은, 혼합물 내에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O-항원성 다당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분리된 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유리 알데히드를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분리된 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유리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2,5-안히드로만노스 잔기를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방법은, OPS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회수된 OPS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세포 성분이 실질적으로 없다. 몇몇 구체 예에서, 회수된 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유리 알데히드를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회수된 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유리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2,5-안히드로만노스 잔기를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다당류를 정제하는 방법은, 세포 성분을 산성 시약과 접촉시켜 혼합물을 얻는, 접촉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혼합물의 pH는 약 3 내지 약 5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방법은 혼합물을 약 80℃ 내지 약 135℃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방법은 혼합물 내에 하나 이상의 세포 성분으로부터 코어 및 O-항원성 다당류 (COPS)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분리된 C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KDO를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분리된 C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KDO 내에 케톤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방법은 COPS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회수된 COPS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세포 성분이 실질적으로 없다. 몇몇 구체 예에서, 회수된 C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케톤을 함유한다.
친화성-분자 쌍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몇몇 구체 예에서, 본 개시의 면역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와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와의 친화성 상호작용 (affinity interaction)을 통해 복합체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본 개시의 면역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친화성 분자/상보적인 친화성-분자 쌍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와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복합체는, (ⅰ)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여기에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및 (ⅱ) 여기서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및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친화성 분자 및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의 결합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친화성 분자/상보적인 친화성-분자 쌍은, 하나 이상의 비오틴/비오틴-결합 단백질, 항체/항원, 효소/기질, 수용체/리간드, 금속/금속-결합 단백질, 탄수화물/탄수화물 결합 단백질, 지질/지질-결합 단백질, 및 His 태그/His 태그-결합 분자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친화성 분자는, 비오틴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단편)이고,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는, 비오틴-결합 단백질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도메인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결합 단백질은, 리자비딘, 아비딘, 스트렙타비딘, 브라다비딘, 타마비딘, 렌티아비딘, 제바비딘, NeutrAvidin, CaptAvidin™, 또는 이들의 비오틴-결합 단편,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결합 단백질은, 리자비딘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단편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결합 단백질은, SEQ ID NO:13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결합 단백질은, SEQ ID NO:14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융합 단백질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 복합체는,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및 여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운반체 및/또는 항원 특성을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비오틴-결합 단백질,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도메인, 및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결합 단백질은, SEQ ID NO:13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SEQ ID NO:13의 서열 및 이의 비오틴 결합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결합 단백질은, SEQ ID NO:14의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SEQ ID NO:14의 서열, 또는 이의 비오틴-결합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링커 및/또는 히스티딘 태그 (histidine tag)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링커는, SEQ ID NO:15의 아미노산 서열 (GGGGSSS)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링커는, SEQ ID NO:15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7의 서열 (녹농균 FlaB 플라겔린)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6의 서열 (녹농균 FlaA1 플라겔린)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9의 서열 (녹농균 FlaA2 플라겔린)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10의 서열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aB 플라겔린 D2 도메인)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11의 서열,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aA1 플라겔린 D2 도메인)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12의 서열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aA2 플라겔린 D2 도메인)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8의 서열 (녹농균 타입 Ⅲ 분비 시스템 (TTSS) PcrV)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관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7의 서열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및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SEQ ID NO:8의 서열 (녹농균 PcrV) 및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SEQ ID NO:23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10의 서열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D2 도메인)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SEQ ID NO:8의 서열 (녹농균 PcrV)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SEQ ID NO:26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7의 서열 (녹농균 FliC 서브타입 B 플라겔린)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SEQ ID NO:2의 서열 (K. 뉴모니아 보존 MrkA)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10의 서열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iC 서브타입 B 플라겔린 D2 도메인)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SEQ ID NO:3의 서열 (K. 뉴모니아 보존 MrkA)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SEQ ID NO:24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여기에 기재된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비오틴-결합 단백질) 및 SEQ ID NO:8의 서열 (녹농균 PcrV)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SEQ ID NO:3의 서열 (K. 뉴모니아 보존 MrkA)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에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백본 중합체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면역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는, 다당류, 폴리펩티드, 또는 합성 덴드리머 (dendrimer)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L-리신 (PLL)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선형 PLL, 또는 L-라이신의 덴드리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그람-음성 또는 그람-양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C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CPS는, K. 뉴모니아 CPS, 녹농균 엑소폴리사카라이드, 및/또는 대장균 C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KP K19 CPS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합성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의 덴드리머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의 크기는 약 50 KDa 내지 약 2000 KDa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항원 특성을 갖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항원성이 아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는, K. 뉴모니아 OPS, 녹농균 OP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백본 중합체 1 (BP-1)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중합체에 접합된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 결합된) 여기에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항원성 다당류는 O-항원성 다당류, 코어-O-항원, 또는 코어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비오틴화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비오틴화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항원성 다당류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오틴화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비-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는, 1차 아민기를 (천연적으로 또는 링커로) 함유하는 비-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알데히드기를 함유하는 부분 산화된 다당류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과 조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조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시켜 O-항원성 다당류 (즉, 항원성 다당류)와 다당류 (즉, 중합체)를 화학적으로 연결하고, 이에 의해 비-비오틴화 항원 다당류 (즉, 비-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에 화학적으로 연결된 비오틴화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는, 아미노화 단계에 의해 생성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항원성 다당류는, 스페이서를 통해 부분 산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와 화학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짧은 스페이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짧은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비오틴화되고, 화학적으로 연결된 O-항원성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O-항원성 다당류는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1차 아미노기는, 녹농균의 외부 코어 O-다당류의 L-알라닌 α-아미노기이거나 또는 환원제에 의한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각 말단에 1차 기를 함유하는 스페이서 분자를 화학적으로 연결시켜 O-항원 다당류의 환원 말단으로 도입된 아미노기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O-항원성 다당류는, 상기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O-항원성 다당류와 알데히드기를 함유하는 부분 산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하고, 이에 의해 중합체 백본을 형성하는 아미노화 단계에 의해 화학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만, 상기 화학적으로 연결된 O-항원성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산화제로 부분 산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산화제는 과요오드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환원제는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또는 나트륨 보로히드리드를 포함한다.
백본 중합체 1.2 (BP-1.2)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중합체에 접합된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 결합된) 여기에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항원성 다당류는 O-항원성 다당류, 코어-O-항원, 또는 코어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비오틴화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비오틴화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항원성 다당류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오틴화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비-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는, 1차 아민기를 (천연적으로 또는 링커로) 함유하는 비-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를 하나 이상의 알데히드기를 함유하는 부분 산화된 다당류, 및 카바디이미드 (EDC) 및 N 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를 반응시키고 다당류의 우론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직교 부위에 도입된 하나 이상의 비오틴 잔기를 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민화하여 O-항원 다당류 (즉, 항원성 다당류)와 다당류 (즉, 중합체)를 화학적으로 연결시키고, 이에 의해 비-비오틴화 항원성 다당류 (즉, 비-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에 화학적으로 연결된 비온틴화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는 아민화 단계에 의해 생성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O-항원성 다당류는, 스페이서를 통해 부분 산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와 화학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짧은 스페이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짧은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비오틴화되고, 상기 화학적으로 연결된 O-항원성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O-항원성 다당류는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1차 아미노기는, 녹농균의 외부 코어 OPS의 L-알라닌 α-아미노기이거나 또는 환원제에 의한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각 말단에 1차 기를 함유하는 스페이서 분자를 화학적으로 연결시켜 O-항원성 다당류의 환원 말단으로 도입된 아미노기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O-항원성 다당류는, 알데히드기를 함유하는 부분 산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1차 아민기를 함유하는 비오틴을 상기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O-항원 다당류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시키고, 이에 의해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는, 아미노화 단계에 의해 화학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만, 상기 화학적으로 연결된 O-항원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산화제로 부분 산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산화제는 과요오드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환원제는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또는 나트륨 보로히드리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알데히드 또는 케톤을 포함하는 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NaBH3CN)로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하는 짧은 스페이서 (예를 들어,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ADH)를 사용하여 아미노화되어 히드라지드 유도체화된 OPS를 생성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P19 CPS 백본은, 다당류의 우론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를 카르보디이미드 (EDC),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 유도체 (예를 들어, 아민-PEG3-비오틴)와 반응시켜 직교 부위에 도입된 하나 이상의 비오틴 잔기로 비오틴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비오틴화 KP 19 CPS 중합체는, 그 다음 과요오드산염 (periodate)으로 부분적으로 산화시켜 하나 이상의 알데히드기를 발생시키고, 히드라지드 유도체화된 OPS와 혼합되며, 상기 혼합물은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NaBH3CN)와 같은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중합체 백본의 우론산 잔기 상에 하나 이상의 비오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O-항원성 다당류 상에 비오틴을 포함하지 않는 백본 중합체 BP-1.2를 형성한다.
백본 중합체 1.3 (BP-1.3)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중합체에 접합된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 결합된) 여기에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항원성 다당류는 O-항원성 다당류, 코어-O-항원, 또는 코어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비오틴화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비오틴화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항원성 다당류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O-항원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오틴화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비-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는, 1차 아민기를 (천연적으로 또는 링커로) 함유하는 비-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CDAP-활성화된 다당류, 및 카르보디이미드 (EDC) 및 N 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를 반응시키고 다당류의 우론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직교 부위에 도입된 하나 이상의 비오틴 잔기를 조합시켜 생성되고, 이에 의해 비-비오틴화 항원성 다당류 (즉, 비-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에 화학적으로 연결된 비오틴화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형성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O-항원성 다당류는, 스페이서를 통해 CDAP 활성화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와 화학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스페이서는 짧은 스페이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짧은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비오틴화되고, 상기 화학적으로 연결된 O-항원성 다당류는 비오틴화되지 않는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알데히드 또는 케톤을 포함하는 OPS는, 이의 환원 말단에서 나트륨 시아노보로 히드리드 (NaBH3CN)로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하는 짧은 스페이서 (예를 들어,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ADH)를 사용하여 아미노화되어 히드라지드 유도체화 OPS를 생성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P19 CPS 백본은, 다당류의 우론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을 카르보디이미드 (EDC),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 유도체 (예를 들어, 아민-PEG3-비오틴)와 반응시켜 직교 부위에 도입된 하나 이상의 비오틴 잔기로 비오틴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비오틴화 KP 19 CPS 중합체는, 그 다음 CDAP로 활성화되고, 히드라지드 유도체화된 OPS와 혼합되어, 중합체 백본의 우론산성 잔기상의 하나 이상의 비오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O-항원성 다당류 상에 비오틴이 없는 백본 중합체 BP-1.3을 형성한다.
백본 중합체 2a (BP-2a)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중합체에 접합된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결합된) 여기에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를 포함하고, 및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결합된) 여기서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항원성 다당류는 O-항원성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비오틴화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비오틴화된 적어도 하나의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오틴화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는, O-항원성 다당류를 알데히드기를 함유하는 부분 산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와 조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조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시켜 O-항원 다당류를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와 화학적으로 연결시키고, 이에 의해 0-항원 다당류 및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는, 아미노화 단계; 및 상기 백본 중합체를 CDAP 또는 또 다른 시아닐화 시약 (예를 들어, CNBr)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으로 유도체화하고, 이에 의해 비오틴화 O-항원 및 중합체 다당류에 화학적으로 연결된 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오틴화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는, 유도체화 단계에 의해 생성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O-항원성 다당류는, 스페이서를 통해 부분 산화된 다당류 백본과 화학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짧은 스페이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짧은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O-항원성 다당류는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1차 아미노기는, 녹농균의 외부 코어 O-항원성 다당류의 L-알라닌 α-아미노기이거나 또는 환원제로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각 말단에 1차 기를 함유하는 짧은 스페이서 분자를 화학적으로 연결시켜 O-항원 다당류의 환원 말단에 도입된 아미노기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는 산화제로 부분 산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산화제는, 과요오드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환원제는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또는 나트륨 보로히드리드를 포함한다.
백본 중합체 2b (BP-2b)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 결합)된 여기에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항원성 다당류는 O-항원성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비오틴화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비오틴화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O-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는, O 다당류 반복 및 하나 이상의 코어 알파 KDOs 및/또는 헵토오스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O-항원성 다당류를 CDAP,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으로 비오틴화시켜 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 혼합물을 얻는, 비오틴화 단계; 상기 비오틴화 OPS 혼합물을 과요오드산 나트륨으로 부분 산화시켜 알데히드를 코어 KDOs 및/또는 헵토오스 모이어티 및/또는 OPS 잔기로 도입하는, 부분 산화 단계; 상기 비오틴화 다당류를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시키는 단계; 상기 비오틴화 및 아미노화 OPS를 부분 산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원적으로 아미노화시키는 단계에 의해 생성되며; 이에 의해 비오틴화되지 않는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 및 비오틴화된 화학적으로 결합된 O-항원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형성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O-항원 다당류는 산화제로 부분 산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산화제는 과요오드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환원제는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또는 나트륨 보로 히드리드를 포함한다.
백본 중합체 3 (BP-3)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본 중합체는 항원성 다당류에 접합된 (예를 들어, 가교 또는 공유 결합된) 여기서 기재된 제1 친화성 분자 (예를 들어, 비오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L-리신 (PLL) 중합체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항원성 다당류는 O-항원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백본 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 및 PLL 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비오틴화 중합체 (예를 들어, 비-비오틴화 PLL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 O-항원 다당류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는, 말단 알데히드 또는 알파 KDOs를 함유하는 O-항원 다당류를 PLL 중합체의 ε-NH2 기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시켜 OPS PLL 중합체를 생성하는, 아미노화 단계; 상기 PLL 중합체의 미반응 ε-NH2 기를 캡핑하기 위해 상기 혼합물을 아실화제로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않는 단계; 상기 OPS를 CDAP로 유도체화하여 유도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유도체화 단계; 및 상기 유도체 혼합물을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과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해 생성되며; 이에 의해 백본 중합체를 제조하고, 여기서, 상기 캡핑된 N-아세틸화-PLL 중합체 또는 캡핑되지 않은 PLL은 비오틴화되지 않고, 상기 화학적으로 연결된 O-항원 다당류는 비오틴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아실화제는 무수 아세트산 또는 염화아세틸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클릭 화학"은, 중합체의 카르복실레이트기 상에 알킨 작용기를 갖춘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를 연결하거나 또는 말단에서 아지도기로 유도체화된 O-항원 다당류에 산화된 다당류 알데히드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2개의 다당류의 클릭-연결은, 수성 매질에서 촉매로 수행된다. 다당류에 O-항원성 다당류의 클릭-연결은, OPS에 부착된 아지도기 및 다당류에 부착된 알킨기 또는 그 반대의 역방식 (reverse way)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오틴화는 백본 중합체-1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당류 또는 백본 중합체-2b를 발생시키기 위한 O-항원 다당류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러한 화학반응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알킨-아지드 고리화첨가에 대한 촉매는 황산구리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다당류를 유도체화하기 위한 알킨기는 1-아미노-3-부틴, 1-아미노-4-펜틴, DBCO-아민, 및 알킨-PEG4-아민으로 이루어진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항원 다당류를 유도체화하기 위한 이의 환원 말단에서 아지드기는, 아미노-PEG-아지드, 아지도-PEG3-아민, 아지도-프로필아민 및 아지도-부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면역원성 복합체의 사용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의 옵소닌화 가능성, 또는 면역원성 중 하나 이상이 ELISA 및/또는 기능성 항체 분석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미리결정된 수준에 비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의 옵소닌화 가능성, 또는 면역원성 중 하나 이상은, ELISA 및/또는 기능성 항체 분석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미리결정된 수준에 비해 적어도 1-배, 2-배, 3-배, 4-배, 또는 5-배 증가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미리결정된 수준은 면역이전 수준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의 에피토프 결합가는, 천연 다당류보다 적어도 1-배, 2-배, 3-배, 4-배, 또는 5-배 이상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하나 이상의 항원성 다당류에 대한 운반 단백질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 투여시, ELISA로 측정된 것으로, 항원성 다당류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ELISA로 측정된 것으로, 항원성 다당류 단독이 아닌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항원성 다당류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보다 더 큰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항원성 다당류 단독이 아닌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면역 반응은 항체 또는 B 세포 반응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반응은, Th1, Th2, 또는 Th17 반응을 포함하는 CD4+ T 세포 반응, 또는 CD8+ T 세포 반응, 또는 CD4+/CD8+ T 세포 반응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 반응은, 항체 또는 B 세포 반응 및 T 세포 반응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ELISA로 측정된 것으로, 폴리펩티드 항원을 단독으로 포함하고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는,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그람-음성 및/또는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그람-음성 박테리아는, K. 뉴모니아, 녹농균, 대장균,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피험자에게 투여시, MrkA를 발현하는 K. 뉴모니아에 대한 천연 MrkA를 인식하는 항체를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항원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박테리아 폴리펩티드, 진균 폴리펩티드, 및/또는 바이러스 폴리펩티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및/또는 대장균 폴리펩티드로부터 유래된 폴리펩티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원성 다당류 중 적어도 하나는, 녹농균 엑소폴리사카라이드 PsL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PsL은, SEQ ID NO:4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서열 및/또는 SEQ ID NO:5의 서열 (Cam-003)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SEQ ID NO:1 (K. 뉴모니아 Type I 핍브리아 단백질)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SEQ ID NO:2 (K. 뉴모니아 보존 Type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단량체 안정화된 MrkA SEQ ID NO:3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A,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 항원은, SEQ ID NO:6의 서열 (서브타입 A1)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SEQ ID NO:9의 서열 (서브타입 A2)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면역원성 단편을 포함한다.
면역원성 복합체의 제조
본 개시는,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화된 백본 중합체를 적어도 하나의 비오틴-결합 융합 단백질과 복합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SEQ ID NOs:16-26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질병, 장애, 및 병태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에게 투여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는, ELISA로 측정된 것으로,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지만 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큰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는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및 대장균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에게 투여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는,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에게 투여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항원성 다당류를 포함하고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보다 큰 수준으로 피험자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는,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및 대장균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에게 투여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는,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감염은, 화상 상처 감염, GI 감염, 수술 부위 감염, 요로 감염, 각막 감염, 피부 및/또는 연조직 감염, 당뇨병성 상처 감염, 장치 관련 감염 (예를 들어, 카테터, 외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피험자에게 투여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폐렴, 패혈증, 및/또는 콜로니화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면역원성 조성물 및 제형
본 명세서는 또한 여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면역원성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 조성물은, 여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조성물은, 여기에 기재된 복수의 한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여기에 기재된 복수의 하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로 제형화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백신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다원자가 (polyvalent) 또는 다가 (multivalent) 백신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의 결합가는, 백신 조성물에 존재하는 면역원성 복합체의 타입의 수를 지칭한다. 여기에 기재된 백신의 결합가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면역원성 복합체, 또는 백신에 존재하는 총 항원, 또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면역원성 복합체,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 조성물의 투여가 면역-보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병원체 균주의 수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실시 예에서, 12-가 백신 조성물은, 12 초과의 항원성 성분 (예를 들어, 펩티드 및/또는 다당류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12 초과의 병원체 또는 병원성 균주에 대한 면역-보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50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25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15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10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5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은 다원자가 백신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또는 50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2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4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6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8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0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12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 조성물에서 OPS의 중량이 다른, 예를 들어, 약 1:1이 아닌 w/w 비로 존재하는, 양으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 조성물에서 OPS의 중량이 거의 동일한, 예를 들어, 약 1:1의 w/w 비로 존재하는, 양으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의 중량은, 약 1㎍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의 중량은, 약 2㎍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의 중량은 약 3㎍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의 중량은 약 4㎍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의 중량은 약 5㎍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 조성물에서 OPS 및 CPS의 조합 중량이 다른, 예를 들어, 약 1:1이 아닌 w/w 비로 존재하는, 양으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 조성물에서 OPS 및 CPS의 조합 중량이 거의 동일한, 예를 들어, 약 1:1의 w/w 비로 존재하는, 양으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 및 CPS의 조합 중량은 약 1㎍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 및 CPS의 조합 중량은 약 2㎍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의 중량은 약 3㎍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 및 CPS의 조합 중량은 약 4㎍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각 면역원성 조성물 유래의 백신에서 OPS 및 CPS의 조합 중량은 약 5㎍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ⅰ)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6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0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l)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ⅰ)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i')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6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6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0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0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l)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ⅰ)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6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0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l)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ⅰ)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5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6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0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l) 비오틴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백본 중합체, 상기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PA O11 OPS, 및 상기 비오틴화 백본 중합체에 비-공유적으로 복합체화된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KP O1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KP O1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KP O2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KP O2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KP O3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KP O3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KP O5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KP O5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PA O1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PA O1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PA O2 OPS 및 FlaBD2-MrkA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PA O2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PA O3 OPS 및 a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PA O3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PA O4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PA O4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ⅰ) PA O5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i') PA O5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PA O6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PA O6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PA O10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PA O10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l) PA O11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l') PA O11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K. 뉴모니아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녹농균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ⅰ)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임의의 이의 조합; 및
(ⅱ)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a) 면역원성 조성물; 및/또는
(ⅰ)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임의의 이의 조합; 및
(ⅱ)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b)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K. 뉴모니아 OPS, FlaBD2-PcrV 융합 단백질,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녹농균 OPS, FlaBD2-PcrV 융합 단백질,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b)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b)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b)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b)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더욱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및
(b)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및
(b)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 접합됨; 및
(c)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동일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다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제1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제2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동일한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됨;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동일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다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제1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제2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동일한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및
(b)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됨;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동일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다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제1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제2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동일한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됨;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OPS,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됨;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 및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동일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다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제1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제2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동일한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되고,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되고,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1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1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2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b')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2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3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3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5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KP O5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1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e')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1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2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f')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2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a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3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g')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3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4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h')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4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5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i')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5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6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j')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6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10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10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l) FlaBD2-MrkA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11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
(1') FlaBD2-PcrV 융합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PA O11 OPS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 타입의 명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중합체, KP O1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상기 중합체 및/또는 KP O1 OPS에 공유 결합됨;
(a') 중합체, KP O1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KP O1 OPS에 공유 결합됨;
(b) 중합체, KP O2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KP O2 OPS에 공유 결합됨;
(b') 중합체, KP O2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상기 중합체 및/또는 KP O2 OPS에 공유 결합됨;
(c) 중합체, KP O3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상기 중합체 및/또는 KP O3 OPS에 공유 결합됨;
(c') 중합체, KP O3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KP O3 OPS에 공유 결합됨;
(d) 중합체, KP O5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KP O5 OPS에 공유 결합됨;
(d') 중합체, KP O5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KP O5 OPS에 공유 결합됨;
(e) 중합체, PA O1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1 OPS에 공유 결합됨;
(e') 중합체, PA O1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1 OPS에 공유 결합됨;
(f) 중합체, PA O2 OPS, 및 FlaBD2-MrkA 융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2 OPS에 공유 결합됨;
(f') 중합체, PA O2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2 OPS에 공유 결합됨;
(g) 중합체, PA O3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3 OPS에 공유 결합됨;
(g') 중합체, PA O3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3 OPS에 공유 결합됨;
(h) 중합체, PA O4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4 OPS에 공유 결합됨;
(h') 중합체, PA O4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4 OPS에 공유 결합됨;
(ⅰ) 중합체, PA O5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5 OPS에 공유 결합됨;
(i') 중합체, PA O5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5 OPS에 공유 결합됨;
(j) 중합체, PA O6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6 OPS에 공유 결합됨;
(j') 중합체, PA O6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6 OPS에 공유 결합됨;
(k) 중합체, PA O10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10 OPS에 공유 결합됨;
(k') 중합체, PA O10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10 OPS에 공유 결합됨;
(l) 중합체, PA O11 OPS,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11 OPS에 공유 결합됨; 및
(1') 중합체, PA O11 OPS, 및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중합체 및/또는 PA O11 OPS에 공유 결합된,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 타입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중합체, 타입 O1, O2, O3, O5의 K. 뉴모니아 OPS의 조합,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상기 중합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b) 중합체,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녹농균 OPS의 조합,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상기 중합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타입 O1, O2, O3, O5의 K. 뉴모니아 OPS의 조합, FlaBD2-PcrV 융합 단백질,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되고,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 면역원성 조성물; 및
(b)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녹농균 OPS의 조합, FlaBD2-PcrV 융합 단백질, 및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 면역원성 조성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되고,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에 접합되고,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에 접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동일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다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제1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제2 병원체 유래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동일한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병원체 및 제2 병원체는 다른 혈청형의 동일한 박테리아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c)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c)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d)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c)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d)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c)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c)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및
(d) FlaBD2-MrkA 융합 단백질,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e) FlaBD2-PcrV 융합을 포함하고, 여기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b)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b)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c) SEQ ID NOs: 1-3, 6-12, 또는 16-26 중 하나 이상의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중합체,
(b)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b)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b) FlaBD2-MrkA 융합 단백질,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c)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타입 O1, O2, O3, O5의 하나 이상의 K. 뉴모니아 OPS, 여기서, 상기 K. 뉴모니아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b) 타입 O1, O2, O3, O4, O5, O6, O10, O11의 하나 이상의 녹농균 OPS, 여기서, 상기 녹농균 OPS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공유 결합됨;
(c) FlaBD2-MrkA 융합 단백질, 여기서, 상기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됨; 및
(d)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OPS에 공유 결합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a)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KP O1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1 면역원성 조성물;
(b)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KP O2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2 면역원성 조성물;
(c)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KP O3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3 면역원성 조성물;
(d)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KP O5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4 면역원성 조성물;
(e)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1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5 면역원성 조성물;
(f)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2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6 면역원성 조성물;
(g)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3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7 면역원성 조성물;
(h)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4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PcrV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8 면역원성 조성물;
(ⅰ)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5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9 면역원성 조성물;
(j)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6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10 면역원성 조성물;
(k)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10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11 면역원성 조성물; 및
(l) 중합체, 상기 중합체에 접합된 PA O11 OPS, 및 상기 중합체에 공유 결합된 FlaBD2-MrkA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12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중합체 중 하나 이상은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상기 협막 다당류는 클렙시엘라 종 K19 협막 다당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PLL을 포함한다.
특정 백신에 대한 구성요소의 최적 양은, 피험자에서 적절한 면역 반응의 관찰을 포함하는 표준 연구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처음 백신접종 후, 피험자는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1회 또는 여러 회의 추가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 및/또는 이의 제제는, 투여의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성을 위해 단위 투여 형태 (unit dosage form)로 제형화될 수 있다. 어떤 특정 환자 또는 유기체에 대한 특별한 치료 유효 투여량 수준은, 감염의 위험 정도 또는 중증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 사용된 특정 백신 또는 백신 조성물의 활성; 사용된 특정 백신 또는 백신 조성물의 다른 특징;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상태, 피험자의 성별, 피험자의 식이, 피험자의 약동학적 상태, (예를 들어, 식사, 수면, 다른 백신 투여량을 포함하는 다른 약을 받아들이는 피험자의 다른 활동과 관련한) 투여의 시간, 투여의 경로, 사용된 특정 백신 또는 백신 조성물의 배출 속도; 사용된 백신 조성물과 함께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백신; 및 의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 (like factors)에 의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사용을 위한 면역원성 복합체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백신 제제 (Vaccine preparation)는 일반적으로 백신 디자인 (Vaccine Design) (Powell and Newman, 1995)에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백신 제품의 면역원성 양은, 하나 이상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액체 또는 고체의, 약제학적으로 적절한 담체 물질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폐렴구균 다당류 및 접합 백신의 제조는, 예를 들어, 2006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USSN 11/395,59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병합된다.
일반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는, 약제학적 투여와 양립가능한, 용매, 분산 매질,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물질은, 락토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및 수크로스와 같은 당;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트라가칸트 (tragacanth) 분말; 맥아; 젤라틴; 활석;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와 같은 부형제;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와 같은 오일;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에틸 올레 올레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한천; 수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완충제; 알긴산; 무-발열원 수 (pyrogen-free water); 등장 식염수; 링거 용액; 에틸 알코올 및 인산 버퍼, 뿐만 아니라,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기타 비-독성 상용 윤활제, 뿐만 아니라 방부제, 및 제조자의 판단 (Martin, 1975)에 따라, 조성물에 또한 존재할 수 있는, 항산화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백신은,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면역원성 복합체와 담체 및/또는 기타 선택 성분을, 예를 들어, 전통적인 혼합, 과립화, 용해, 동결건조, 또는 유사한 공정을 포함하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수단에 의해, 조합시켜 제형화될 수 있다.
제공된 방법에 유용한 백신 조성물은, 이들이 사용될 때까지 동결건조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이들은 희석제로 즉흥적으로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성분 또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기타 성분 (예를 들어,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동결건조되고, 식염수로 즉흥적으로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선택적으로, 개별 성분, 또는 성분들의 세트들은, (예를 들어, 백신접종 키트에) 개별적으로 동결건조 및/또는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성분들은 피험자에게 개별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사용 전에 원상태로 복원되고, 혼합된다.
동결건조는, (예를 들어, 다당류 항원의 분해를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켜) 좀 더 안정적인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백신 또는 백신 성분의 동결건조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액체 백신 또는 백신 성분은, 종종 고결 방지제 (anti-caking agent) (예를 들어, 슈 크로스 또는 락토스와 같은 당)의 존재하에서 동결건조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고결 방지제는, 예를 들어, 10-200 ㎎/㎖의 초기 농도로 존재한다. 동결건조는, 통상적으로 일련의 단계, 예를 들어, -69℃에서 시작하여, 3시간에 걸쳐 -24℃로 점진적으로 조절한 다음, 18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고, 그 다음, 1시간에 걸쳐 -16℃로 점진적으로 조절하고, 6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며, 그 다음, 3시간에 걸쳐 +34℃로 점진적으로 조절하고, 최종적으로 9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백신 또는 백신 성분은, 리포좀, 코크리트 (cochleates),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라이드 및 폴리-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 또는 면역자극 복합체 (ISCOMS) 내로 혼입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백신 성분의 흡수를 늦춤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거나 또는 백신의 효과를 연장시키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 지연은, 예를 들어, 낮은 수용성을 갖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물질의 액체 현탁액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생성물의 흡수 속도는, 궁극적으로, 크기 및 형태에 의존할 수 있는, 이의 용해 속도에 의존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지연 흡수는, 오일 비히클에서 하나 이상의 백신 성분을 용해시키거나 또는 현탁시켜 달성될 수 있다. 주사가능한 데포 형태 (Injectable depot forms)는 또한 흡수를 지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데포 형태는, 생분해성 중합체 네트워크 (polymers network)에 하나 이상의 백신 성분의 마이크로캡슐 매트릭스 (microcapsule matrices)를 형성시켜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 대 백신 성분의 비, 및 사용된 특정 중합체(들)의 성질에 따라, 방출 속도는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예를 들어,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무수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한 대표적인 중합체는,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라이드이다.
데포 주사용 제형은 또한 신체 조직과 양립가능한,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젼 (microemulsions)에 생성물을 봉입 (entrapping)시켜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 전달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경구 제형을 포함하는, 비-데포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무수물, 폴리글리콜산, 콜라겐,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락트산, 등과 같은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경구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다당류 항원 또는 접합체는, 예를 들어, 유용한 제형 (예를 들어, 경구)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자, 미세입자, 압출물, 고체 분산물, 혼합물, 또는 기타 조합을 제조하기 위해, 이러한 중합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백신은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활성제 (즉, 불활성 성분이 아닌 생물학적 효과를 발휘하는 작용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작용제는, 하나 이상의 다른 백신 성분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거나, 또는 투여 시점에 또는 그 즈음에 개별적으로 유지되고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이러한 부가적인 성분은, 관련 효과가 달성되는 적절한 시간대에, 다른 백신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와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신 제조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포함시키는 것은 일반적이다. 보조제는, 일반적으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작용제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Th1-타입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보조제는 활용된다.
보조제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는, 보조제와 조합하여 제형화 및/또는 투여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보조제는, 수산화 알루미늄, 인산 수산화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TLR 작용물질, TLR2 작용물질 (예를 들어, 사포닌 (예를 들어, QS21, 등), 포린, 등), TLR3 작용물질 (예를 들어, dsRNA, 폴리I:폴리C, 폴리-ICLC, Hiltonol®, 등), TLR4 작용물질 (예를 들어, 모노포스포릴 지질 A (MPL A)), TLR5 작용물질 (예를 들어, 플라겔린); TLR 7, 8, 또는 9 작용물질 (예를 들어, CpG-올리고 뉴클레오티드, 등)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절한 보조제는:
(1) 수산화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등과 같은, 알루미늄 염 (명반);
(2) ((아래 정의된) 무라밀 펩티드 또는, 예를 들어, 하기 (a), (b) 및 (c)와 같은 박테리아 세포벽와 같은 기타 특정 면역자극제 (immunostimulating agents)와 함께 또는 없이) 수-중-유 에멀젼 제형,
(a) 모델 110Y 미세유동화기 (Microfluidics, Newton, MA)와 같은 미세 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서브미크론 입자로 제형화된 5% 스쿠알렌, 0.5% Tween 80, 및 0.5% Span 85 (선택적으로 다양한 양의 MTP-PE (필수적이지는 안지만, 아래 참조)를 함유함)를 함유하는, MF59 (PCT 공개 WO 90/14837호),
(b) 더 큰 입자 크기 에멀젼을 발생하기 위해 볼텍싱되거나 (vortexed) 또는 서브미크론 에멀젼으로 미세유동화된 10% 스쿠알렌, 0.4% Tween 80, 5% 플루로 닉-블럭 중합체 L121, 및 thr-MDP (아래 참조)를 함유하는, SAF; 및
(c) 2% 스쿠알렌, 0.2% Tween 80, 및 미국 특허 제4,912,094호 (Corixa)에 기재된 3-O-디아크릴레이트화 모노포스포릴리피드 A (MPL™), 트레할로스 디미콜레이트 (TDM), 및 세포벽 골격 (CWS), 바람직하게는 MPL + CWS (Detox™)로 이루어진 군 유래의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세포벽 성분을 함유하는, Ribi™ 보조제 시스템 (RAS) (Corixa, Hamilton, MT);
(3) Quil A 또는 STIMULON™ QS-21 (Antigenics, Framingham, MA)과 같은 사포닌 보조제 (미국 특허 제5,057,540호)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ISCOM (면역자극 복합체)과 같은 그로부터 발생된 입자;
(4) 박테리아 리포다당류인, 합성 지질 A 유사체, 예컨대, 아미노알킬 글루코사민 포스페이트 화합물 (AGP),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 이는 Corixa로부터 이용 가능하고, 미국 특허 제6,113,918호에 기재되며; 하나의 이러한 AGP는 2-[(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아미노]에틸 2-데옥시-4-O-포스포노-3-O-[(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아미노]-b-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이고, 이는, (이전에 RC529로 알려진) 529로 또한 알려져 있고, 이는 CpG 모티프(들)을 함유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미국 특허 제6,207,646호)와 같은 수성 형태 또는 안정한 에멀절의, 합성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제형화됨; TLR3 작용물질 (합성 dsRNA, 폴리I:폴리C, InvivoGen로부터 이용 가능한 Hiltonol®);
(5) 인터루킨 (예를 들어, IL-1, IL-2, IL-4, IL-5, IL-6, IL-7, IL-12, IL-15, IL-18, 등), 인터페론 (예컨대, 감마 인터페론),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M-CSF), 종양 괴사 인자 (TNF), 보조 자극 분자 B7-1 및 B7-2, 등과 같은 사이토킨;
(6)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 형태 (예를 들어, 여기서 아미노산 위치 29번에서 글루타민산은 또 다른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국제 특허 공개 WO 00/18434호 (또한 WO 02/098368 및 WO 02/098369 참조)에 따른 히스티딘, 백일해 독소 (PT), 또는 대장균 열-불안정 독소 (LT), 특히 LT-K63, LT-R72, 및 LT의 신규 돌연변이체인, LT(R192G/L211A)로 대체되거나, 또는 dmLT는 백신 항원 (Andreasen, 2009; Norton, 2011; Norton, 2012; Leach, 2012; Toprani, 2017), CT-S109, PT-K9/G129 (예를 들어, WO 93/13302호 및 WO 92/19265호 참조)에 대한 Th17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의 콜레라 독소 (CT)와 같은 박테리아성 ADP-리보실화 독소의 해독된 돌연변이체; 및
(7) 조성물의 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면역자극제로서 작용하는 기타 물질, 예를 들어, 델타 이눌린 (Advax®), 매트릭스 M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라밀 펩티드는, N-아세틸-무라밀-L-트레오닐-D-이소글루타민 (thr-MDP), N-아세틸-노르무라밀-L-알라닌-2-(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히드록시포스포릴 옥시)-에틸아민 (MTP-P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백신은, 다른 항균 요법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함께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백신은, 병원체의 성장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페니실린, 반코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및 클라리트로마이신, 세포탁심, 세프트릭손, 레보플라신, 가티플록사신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백신은, 하나 이상의 다른 백신 또는 요법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폐렴구균 항원은 백신에 포함되거나 또는 백신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는, 질병의 위험이 있는 피험자, 예를 들어, 입원 환자에게 투여된다. 개체가 어떤 증상의 질병으로 진단되지 않고 질병이 진행될 위험이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개체가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에 있거나, 또는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그 개체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입원 환자, 요양 시설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노인 피험자, 등).
임의의 효과적인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경구, 비강, 장내, 비경구,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피하, 피내, 직장, 질, 국소, 눈, 폐, 또는 접촉 적용 (contact application)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예를 들어, 근육 내, 복강 내, 피내 및/또는 피하 경로를 통해) 주사될 수 있거나; 또는 점막을 통해 (예를 들어, 구강/영양제, 호흡기, 및/또는 비뇨생식 관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백신의 비강 내 투여는, 몇몇 상황에서, 예를 들어, 폐렴 또는 중이염의 치료 (폐렴구균의 비인두 보균 (nasopharyngeal carriage)이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고, 따라서 이의 초기 단계에서 감염을 약화시킬 수 있음)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구체 예에서, 다른 경로에 의해 다른 투여량의 백신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몇몇 구체 예에서, 다른 경로를 통해 1회 투여량의 다른 성분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구체 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은 피내 투여된다. 피내 주사의 전통적인 기술인, "만투스 절차 (mantoux procedure)"는, 피부를 세정하는 단계, 및 그 다음 한 손으로 쭉 펴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늘을 위로 향하는 좁은 게이지 바늘 (26-31 게이지)의 경사로, 바늘은 10-15°의 각도로 삽입된다. 바늘의 경사면이 삽입되면, 바늘의 배럴은 낮춰지고, 피부 아래로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서 약간 전진시킨다. 액체는 그 다음 매우 느리게 주입되고, 이에 의해 피부 표면에 수포 또는 융기를 형성한 후, 바늘을 천천히 빼낸다.
피부 내로 또는 피부를 가로질러 액체 작용제를 투여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장치는 기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WO 99/34850호 및 EP 1092444호에 기재된 장치, 또한, 예를 들어, WO 01/13977에 기재된 제트 주입 장치; 미국 특허 5,480,381, 미국 특허 5,599,302, 미국 특허 5,334,144, 미국 특허 5,993,412, 미국 특허 5,649,912, 미국 특허 5,569,189, 미국 특허 5,704,911, 미국 특허 5,383,851, 미국 특허 5,893,397, 미국 특허 5,466,220, 미국 특허 5,339,163, 미국 특허 5,312,335, 미국 특허 5,503,627, 미국 특허 5,064,413, 미국 특허 5,520,639, 미국 특허 4,596,556, 미국 특허 4,790,824, 미국 특허 4,941,880, 미국 특허 4,940,460, WO 97/37705 및 WO 97/13537에 기재된 장치 등이 있다. 백신 제제의 다른 피내 투여 방법은, 전통적인 주사기 및 바늘, 또는 고체 백신의 탄도 전달 (ballistic delivery) (WO 99/27961), 또는 경피 패치 (WO 97/48440; WO 98/28037)을 위해 고안된 장치; 또는 피부의 표면에 적용된 (경피 또는 경피 전달 WO 98/20734; WO 98/28037)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은, 단일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모든 관련 성분이 시간대 내에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한, 투여는 단일 "투여량"인 것으로 인식될 것이며; 모든 성분이 단일 조성물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24시간 미만의 기간 내에 2개의 다른 면역원성 조성물의 투여는 단일 투여량으로 간주된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다른 항원 성분을 갖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별도의 조성물이지만, 단일 투여량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개별 조성물은 다른 경로 또는 동일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백신이 면역원성 조성물 및 부가적인 타입의 활성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하나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고, 제2 활성제는 동일한 경로 또는 다른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양과 시간 동안 투여된다. 본 발명의 어떤 구체 예에서, 백신 조성물은, 치료 유효량의 적어도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치료 유효량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확한 양은, 면역원성 조성물에 따라, 및 피험자 마다, 피험자의 종, 연령, 및 일반적인 병태, 질병의 단계, 특정 약제학적 혼합물, 이의 투여 방식, 및 이와 유사한 것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각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 투여량에서 다당류(들) 항원 또는 접합체(들)의 양은, 백신이,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여될 때, 심각한 부작용없이 적절한 면역보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면역-보호" 또는 "보호 면역" 반응은, 백신이 향하게 되는 특정 병원체 또는 병원체들에 의한 증식성 감염 (productive infection) (예를 들어, K. 뉴모니아 감염)으로부터 면역화된 피험자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면역 반응이다. 이러한 양은, 특정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조성물들이 사용되고, 존재하는 방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험자에게 투여시 Th1 및/또는 Th17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험자에게 투여시,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옵소닌/살균 반응을 유도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험자에게 투여시,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점막 표면의 전파 및/또는 콜로니화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몇몇 구체 예에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달시, K. 뉴모니아, 녹농균, 및 대장균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위장관 (GI tract)의 전파 및/또는 콜로니화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몇몇 구체 예는,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K. 뉴모니아 감염에 대해 피험자를 면역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는,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여기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K. 뉴모니아 감염에 대해 피험자를 면역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는,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농균 감염에 대해 피험자를 면역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는,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농균 감염에 대하여 피험자를 면역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는,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여기에 기재된 면역원성 복합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균 감염에 대해 피험자를 면역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는,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균 감염에 대해 피험자를 면역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투약
본 개시에 따르면,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백신) 투여는, 단일 투여량의 전달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초기 투여량에 이어 적절하게 이격된, 1회 또는 여러 회의 부가적인 면역화 투여량이 수반될 수 있다. 면역화 스케줄은, 1회 이상의 특정 투여량의 하나 이상의 특정 폐렴구균 백신을, 피험자의 하나 이상의 특정 연령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의 백신을 청소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청소년 피험자는 18세 이하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청소년 피험자는, 이전에 1회 이상의 투여량의 접합된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을 받았으며; 다른 구체 예에서, 청소년 피험자는 폐렴구균 백신을 받지 않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청소년 피험자는,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및/또는 대장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또는 감염에 노출된 적이 있다.
본 개시는, 성인 피험자에게 적어도 1회 투여량의 백신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성인 피험자는 약 50세 이상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성인 피험자는 약 65세 이상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성인 피험자는, 1회 이상 투여량의 공액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을 미리 받았으며; 다른 구체 예에서, 성인 피험자는 폐렴 구균 백신을 받지않았다. 몇몇 구체 예에서, 성인 피험자는,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및/또는 대장균에 의해 이미 감염되었거나, 또는 감염에 노출된 적이 있다.
본 개시의 면역화 스케줄은, 피험자(들)의 모집단 및/또는 소집단에서, 감염, 질병, 또는 장애의 적어도 하나의 대리 마커 (surrogate marker),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감염, 질병, 또는 장애의 발생률, 유병률, 빈도, 및/또는 중증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값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피험자에서 면역 반응 (예를 들어, 면역-보호 반응)을 유발하거나 또는 유도하기 위해 제공된다. 보충 면역화 스케쥴은, 그것이 보충하는 표준 스케줄에 비해 이러한 효과를 갖는 스케줄이다. 보충 스케줄은, 표준 스케줄에서 확인된, 여기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부가적인 투여 및/또는 초면역원성 투여량, 또는 표준 스케줄의 일부가 아닌 백신의 투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전한 면역화 스케쥴은, 표준 스케줄 및 보충 스케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샘플 백신접종 스케줄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다. 여기에 논의된 면역원성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과도한 실험없이 샘플 면역화 스케쥴에 대한 변경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한 구체 예에서, 폐렴구균 백신의 제1 투여는, 보통 피험자가 약 50세 초과, 약 55세 초과, 약 60세 초과, 약 65세 초과, 또는 약 70세 초과인 경우에 발생한다.
본 개시의 몇몇 구체 예에서, 백신의 단일 투여는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하나 이상 활용된 백신 다당류(들) 및/또는 접합체(들) 또는 이들의 조합이 강한 경우, 단일 투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단일 투여량 스케줄은 지속적인 면역보호 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어떤 구체 예에서, 더 큰 면역보호 효능 및 범위 (coverage)를 위해 2회 이상 투여량의 백신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몇몇 구체 예에서, 다수의 투여량은 적어도 2회, 적어도 3회 이상의 투여량이다. 정해진 최대 투여량은 없지만,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자주 면역화하지 않는 것이 좋은 임상 관행이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본 개시에 따라 투여된 백신의 제1 투여량은, "시동 (priming)" 투여량으로 고려될 수 있다. 어떤 구체 예에서, 1회 이상의 투여량은 면역화 스케쥴에 포함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후속 투여량은 "부스팅 (boosting)" 투여량으로 고려될 수 있다.
시동 투여량은, 백신이 투여되지 않은 피험자 (이전에 다당류 백신을 받은 적이 전혀 없는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시동 투여량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백신 투여량의 투여 이전 적어도 5년 이상에 다당류 백신을 받은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체 예에서, 시동 투여량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백신의 투여 이전 적어도 20년 이상에 접합체 백신을 미리 받은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면역화 스케쥴이 둘 이상의 개별 투여량을 요구할 때, 투여량 사이의 간격은 고려된다. 2회 연속 투여량 사이의 간격은, 면역화 스케쥴 내내 동일하거나, 또는 피험자의 연령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화 스케줄에서, 제1 백신 투여량이 일단 투여되면, 후속 투여량의 투여 전에 제1 간격이 존재한다. 제1 간격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2주, 1개월, 6주, 2개월,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이상이다. 1회 이상의 후속 투여량(들)이 투여되는 경우, 이러한 후속 투여량 사이에 제2 (또는 더 긴) 간격은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후속 투여량 사이에 모든 간격은 동일한 간격이고; 다른 구체 예에서, 제2 간격은 간격이 변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후속 투여량 사이에 간격은, 적어도 약 12개월, 적어도 약 15개월, 적어도 약 18개월, 적어도 약 21개월 또는 적어도 약 2년일 수 있다. 어떤 구체 예에서, 투여량 사이에 간격은 최대 3년, 최대 약 4년, 또는 최대 약 5년 또는 10년 이상일 수 있다. 어떤 구체 예에서, 후속 투여량 사이에 간격은, 피험자의 연령에 따라 감소 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절대 기간에 또는 명시된 시기 내에) 제1 투여의 시기, 최단 간격, 최대 간격 및 총 투여 횟수의 다양한 조건의 다양한 가능한 조합 및 서브조합이 존재하고, 이들 모든 조합 및 서브조합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열거되지는 않았지만 발명자의 계획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면역원성 반응의 결정을 위한 분석
몇몇 구체 예에서, 면역원성 복합체 (및/또는 면역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면역원성 및/또는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은, 면역원성 조성물에 대한 면역 반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평가는, 일련의 시험관 내 분석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여 수행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평가된 면역 반응은 B 세포 또는 T 세포 반응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시험관 내 분석은, ELISA, 유세포 분석, Th1/Th17 세포 반응, 사이토카인 수준 측정 및 OPK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기능성 항체 수준, 혈청 살균 살해능 (SBA), 응집, 운동성, 세포독성, 부착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평가는, 일련의 생체 내 분석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여 수행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생체 내 분석은 병원성 질병의 동물 모델을 활용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동물 모델은, 폐렴, 패혈증, 화상 상처, GI 감염, 또는 수술 부위 감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모델이다. 몇몇 구체 예에서, 생체 내 분석은, 하나 이상의 표적 병원체에 의한 공격 후 수동 보호, 또는 하나 이상의 표적 병원체에 대한 공격 후 능동 보호에 의한 박테리아 제거율, 콜로니화, 또는 사망률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표적 병원체는 병원 내 병원체이다.
일반적으로, 체액 반응, 세포 반응, 및/또는 둘 사이에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체액 반응이 평가되는 경우, 특정 병원체 혈청형에 대한 항체 역가 및/또는 타입들 (예를 들어, 총 IgG, IgG1, IgG2, IgM, IgA, 등)은, 예를 들어, 백신의 초기 또는 부스팅 투여량의 투여 전 및/또는 후에 (및/또는 항원 자극의 부재하에 항체 수준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세포 반응은, 운반 단백질에 대한 지연형 과민 반응, 등과 같은 반응을 모니터링하여 평가될 수 있다. 세포 반응은 또한 관심의 항원으로 자극에 대한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s) 단핵구의 반응을 평가하여 직접 측정될 수 있다. 전구체 및 기억 B 세포 모집단은, 특정 병원체 CPS 및/또는 OPS를 향하는 효소 연결 면역점 (ELISpot) 분석에서 평가될 수 있다.
피험자 혈청에서 항체의 수준 및/또는 활성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분석은, 예를 들어, 리간드 결합 분석, 예컨대, 방사선면역분석 (RIAs), ELISAs, 및 멀티플렉스 분석 (Luminex, Bioplex); 기능성 분석, 예컨대, 옵소닌 식균작용 분석 (OPA); 및 생체 내 보호 분석 (어린 랫트 보호 및 성체 마우스 폐 및 설치류 GI 콜로니화 및 사망률 모델)을 포함한다.
RIA 방법은, 현탁액에서 방사성-표지된 타입-특이적 다당류와 함께 혈청의 배양을 통해 타입 특이적 항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Schiffiman et al., 1980). 그 다음 항원-항체 복합체는, 암모늄 설페이트로 침전되고, 방사성표지된 펠릿은 분당 카운트 (cpm)로 분석된다.
ELISA 검출 방법에서, 백신접종된 피험자의 혈청 유래의 혈청형-특이적 항체는, 고체 지지체에 흡착된 혈청형-특이 다당류와 함께 배양에 의해 정량화된다 (예를 들어, Koskela and Leinonen (1981); Kojima et al., 1990; Concepcion and Frasch, 2001). 결합된 항체는, 효소-접합된 이차 검출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된다. ELISA는 또한 이소타입 (isotype)- 또는 서브클래스-특이적 이차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 반응의 이소타이핑 및 서브클래싱 (즉, IgM 대 IgG 또는 IgG1 대 IgG2)을 가능하게 하고, 혈청형-특이적 항체의 친화력 (avidity)을 평가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Anttila 등, 1998; Romero-Steiner 등, 2005). 다중 분석 (예를 들어, Luminex, Bioplex)은, 다중 혈청형에 대한 항체의 동시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혈청형-특이적 CPS 및/또는 OPS는, 스펙트럼적으로 구별되고, 희석된 혈청과 함께 혼합되고 배양되는, 미세구에 접합된다. 결합된 항체는, 피코에리트린-접합된 (phycoerythrin-conjugated) 이차 항체로 검출되고, 하나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비드 타입 (혈청형)을 식별하고, 제2 레이저를 사용하여 결합된 이차 항체를 정량화하는 특수한 유세포 분석기에서 정량화된다 (Pickering, et al, 2002; Lal et al. 2005).
혈청에서 기능성 항체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법은, 박테리아를 옵소닌화할 수 있는 항체만 정량하여, 박테리아의 섭취 (ingestion) 및 사멸로 이어지는, OPA이다. 표준 분석은, 인간 식세포 이펙터 세포 (human phagocytic effector cell), 보체의 공급원, 박테리아, 및 희석된 혈청을 활용한다. 분석 판독값은, 보체 및 인간 세포 단독으로 배양된 박테리아와 비교하여 ≥50% 사멸이 있는 혈청 종말점 역가이다 (Romero-Steiner, et al, 1997). 이러한 사멸 OPA는 또한 다른 항생제 내성 마커를 운반하는 병원체의 표적 균주를 활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Kim, et al, 2003). 1:8 이상의 종말점 역가는, 이러한 사멸 타입 OPA에서 긍정적인 결과로 고려된다. 또 다른 타입의 다중 옵소닉 분석은, 희석된 혈청 및 보체 공급원의 존재하에 표적 병원체 유래의 항원성 CPS 및/또는 OPS와 접합된 형광성 염색된 캡슐화된 병원체 또는 형광성 미소구체의 식세포 이펙터 세포에 의한 흡수 (uptake)가 FC에 의해에 의해 평가되는, 비사멸 분석 (nonkilling assay)이다 (Martinez, et al, 1999). 혈청 항체 및 보체의 옵소닉 활성은 또한, 섭취된 병원체에 대한 식균성 인간 이펙터 세포의 산화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될 수 있다 (Munro, et al. 1985; Ojo-Amaize, et al. 1995).
어떤 생체 내 모델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백신에 의해 유발된 혈청 항체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보호 시스템에서, 마우스 또는 랫트는, 병원체 및 희석된 혈청으로 공격받고, 균혈증, 기관 또는 조직의 콜로니화, 또는 사망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혈청의 종말점 역가가 결정된다 (Stack, et al. 1998; Saeland, et al. 2000).
항체 조성물
몇몇 구체 예는,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체로 면역화된 포유동물에서 생성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는 mAbs 및 항-이디오타입 항체 (anti-idiotype antibodi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항체 조성물은 단리된 감마 글로불린 분획을 포함한다.
키트
본 개시는 또한, 연구원이 면역원성 복합체를 이들의 바람직한 항원에 맞추는데, 예를 들어, 연구 목적을 위해 면역 반응에 대한 항원, 또는 항원의 조합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복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키트는, 쉽게 이용 가능한 물질 및 시약으로 준비된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키트는 다음 물질 중 어떤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친화성 분자와 가교된 백본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기; 및 제1 친화성 분자와 결합하는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를 포함하는 용기, 여기서, 상기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는 항원과 결합함.
또 다른 구체 예에서, 키트는, 중합체, 예를 들어, 다당류를 포함하는 용기, 복수의 제1 친화성 분자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제1 친화성 분자를 백본 중합체에 가교시키기 위한 가교 시약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키트는, 상보적인 친화성 분자를 항원에 부착시키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수단은 가교 시약 또는 몇몇 중간 융합 단백질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키트는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자극 인자 (co-stimulation fa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 예에서, 키트는, 가교제, 예를 들어, 보조-인자를 중합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CDAP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ED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리드; 시아노겐 브로마이드;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요오도 아세트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키트의 의도된 용도, 특정 표적 항원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키트 및 성분은 여기에 기재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예시 (Exemplification)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이 좀 더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하기 실시 예는 서술된다. 대표하는 실시 예는, 이의 다양한 구체 예 및 이의 균등물에서 본 발명의 실행에 적합할 수 있는, 정보, 예시 및 지침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 1: 박테리아 균주
시약 균주는, 동물성 제품이 없는 배지에 3회 계대되어 (passaged) 임의의 가능한 동물성 제품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계대-전, 계대 동안 및 계대-후에 균주의 특징은 비교된다. 슈도모나스의 경우: 그람 염색, 콜로니 형태, API, 산화효소 검사, MacConkey 한천에서의 성장, IATS 혈청형, 성장 동역학. 클렙시엘라의 경우: 그람 염색, 콜로니 형태, API, 중합효소 연쇄 반응 (PCR)에 의한 분자 혈청형, (필요에 따라) PCR 및 시퀀싱에 의한 돌연변이 확인, (PCR에 의한) K 타이핑, 성장 동역학.
연구에 사용된 클렙시엘라 균주 및 시약 균주
종 |
균주 |
O-타입 |
K-타입 |
시약 균주a |
K. 뉴모니아
|
B5055 |
1 |
2 |
ΔguaBA Δwzabc |
K. 뉴모니아
|
7380 |
2 |
캡슐 없음 |
야생-형 |
K. 뉴모니아
|
390 |
3 |
11 |
야생-형 |
K. 뉴모니아
|
4425/51 |
5 |
57 |
Δwzabc |
K. oxytoca
|
160011 |
1 |
19 |
야생-형b |
a ΔguaBA = (약독화된) 구아닌 생합성 돌연변이체; Δwzabc = 캡슐 (capsule) 돌연변이체 b 클렙시엘라 옥시토카 |
guaBA 및 wzabc 유전자는 람다 레드 재조합을 사용하여 결실된다. 요약하면, guaBA 및 wzabc 유전자의 DNA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은, 카나마이신 내성 카세트에 융합되고, 선형 DNA는 람다 재조합효소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는 헬퍼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K. 뉴모니아 균주로 형질전환된다. 유도시, 이들 유전자는 guaBA 및 wzabc 유전자를 카나마이신 내성 카세트로 대체할 수 있는 상동 재조합을 촉진시킨다. 카나마이신 내성 카세트는 나중에 카세트 측면에 있는 FRT 부위들 사이에 재조합을 촉진하는 플립파제 효소 (flippase enzyme)를 사용하여 제거된다. 돌연변이체는 카나마이신-민감성 (kanamycin-sensitive)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결실은 PCR 및 결실의 시퀀싱에 의해 확인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녹농균 (PA) 균주
시약 |
균주 |
최종 시약 균주 |
O1 |
IATS-O1 |
야생-형 |
O2 |
IATS-O2 |
야생-형 |
O3 |
IATS-O3 |
야생-형 |
O4 |
IATS-O4 |
야생-형 |
O5 |
IATS-O5 |
야생-형 |
O6 |
IATS-O6 |
야생-형 |
O10 |
IATS-O10 |
야생-형 |
O11 |
IATS-O11 |
야생-형 |
엑소폴리사카라이드 PsL을 과잉생산하는 PA 균주의 생성
Genscript, Piscataway, NJ로부터의 1886 bp 합성 DNA를 사용하여 녹농균 PsL-유도성 균주 PAO1 Δps1/pBAD-ps1을 재구축하는 대표적인 유전자 접근법은 도 9b에 나타낸다.
araC-pBAD 프로모터는, 상동 재조합에 의해 녹농균 PAO1 pslA 유전자의 업스트림에 삽입된다. 필수적으로, pslA의 DNA 업스트림은, 녹농균 PAO1로부터 증폭되고, 젠타마이신 내성 카세트의 업스트림에서 융합된다. araC-pBAD 프로모터 및 pslA 유전자를 함유하는 합성 DNA로 이루어진 구축물은, 젠타마이신-내성 카세트의 다운스트림에 융합된다. 이러한 전체 구축물은, pEX100T 슈도모나스 돌연변이 유발 플라스미드에 삽입된다. 돌연변이 유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Schweizer et al., 1992). 젠타마이신-내성 유전자는 나중에 제거되고, PCR 및 시퀀싱에 의해 araC-pBAD 프로모터의 삽입은 확인된다.
실시 예 2: O- 및 K-다당류 항원의 생성
클렙시엘라 종 및 녹농균 균주의 성장
모든 시약 클렙시엘라 및 PA 균주들은, 동물성 제품이 없는 배지에 3회 계대되어 임의의 가능한 동물성 제품 오염물을 제거한다. 리서치 세포 은행 (RCBs)은, Hy-Soy Broth에서 진탕 플라스크에서 성장되고 15% 글리세롤 최종 농도에서 무균 분취된 바이알로 옮겨진다. 박테리아는, 8 L BioFlo 415 발효기에서 인산 칼륨 일염기, 인산 암모늄, 구연산 일수화물, 황산 마그네슘 (MgSO4)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PG) (소포제), 탄소원으로서 3% 글리세롤, 미량의 비타민 및 원소, 및 필요에 따라 선택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 (CDM)에서 성장된다. 200 RPM의 최소 교반 속도로 설정된 캐스케이드 모드 (cascade mode)로 용존 산소는 30%로 유지되고, 수산화 암모늄으로 pH는 7로 보정된다. 발효 동안에, 배지는, 필요할 때, 50% 글리세롤, MgSO4, 미량의 비타민 및 원소로 배치 모드 (batch mode)로 보충된다. 박테리아는, 배양물을 수확하여 다당류를 얻는 시점에서 12-18시간 동안 정지상으로 성장된다.
KP O-다당류 및 PA 코어-O-다당류의 정제
KP 및 PA OPSs의 다운스트림 정제 공정의 흐름도는 도 8a에 나타낸다. 간단히 말하면, 발효 종료시, 전체 발효 배양물은, 녹농균 세포 배양을 위해 100℃에서 4시간 동안 1% 아세트산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K. 뉴모니아 세포 배양을 위해 4℃에서 12시간 동안 아세트산에서 아질산 나트륨으로 처리된다. 원심분리 및 심층 여과 (0.45㎛)에 의한 정화 후, 가수분해 및 방출된 OPS를 함유하는 투명한 용액은, 1M NaCl에 대한 투석여과 (diafiltration) 및 트리스 버퍼로 10MDa 또는 30kDa NMWCO 막을 이용하여 접선 유동 여과 (TFF) UF-DF에 적용된다. 농축물 (retentate)은, 그 다음, 트리스 버퍼에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IEC)를 위한 강한 음이온 교환막을 통해 통과된다. 음으로 하전된 PA OPSs는, 막에 의해 포획한 다음 (도 8a), 염화나트륨으로 용출된다. 중성 KP 및 중성 또는 약산성 PA OPSs는, IEC 막의 흐름 통과 (FT)로 얻어진다. IEC 통과액 또는 용출액은, 그 다음, 잔류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황산 암모늄 침전에 적용된다. 황산 암모늄 상청액에 KP OPSs는, 그 다음, 300 kDa NMWCO 막으로 시작하는 2개의 연속적인 TFF 여과에 적용된 후, FT는 농축되고, 5 또는 10 kDa NMWCO 막으로 투석여과된다. 이러한 후자의 TFF FT의 농축물은, 정제된 KP 중성 OPSs를 함유한다 (도 8a). 황산 암모늄 (NH4SO4) 상청액에서 정제된 중성 및 산성 PA OPSs는, 5-10 kDa TFF (도 8a)에 적용되고, 여기서 이들은 농축물에서 회수된다. SEC-MALLS (SEC-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최종 OPS 생성물의 평균 MW는, O-타입에 따라 10-30 kDa의 범위이며, 낮은 내독소, 단백질, 및 핵산 함량을 갖는다.
클렙시엘라 옥시토카 K19 협막 다당류 (KP K19 CPS)의 정제
KP K19 CPS의 다운스트림 정제 공정의 흐름도는, 도 9a에 나타낸다. 간단히 말하면, 포름알데히드 불활성화, 및 불연속 원심분리 및 표면 여과 (0.45㎛)에 의한 정화에 후, CPS를 함유하는 투명한 용액은 농축되고, 30 kDa NMWCO 막으로 TFF를 사용하여 투석여과된다. 30 kDa 농축물은 CTAB에 의해 침전된다. 침전물은 염화칼슘으로 재용해되고, 20% 에탄올로 침전시켜 핵산 및 단백질 오염물을 제거한다. 원심분리 후, 수집된 상청액은 80% 에탄올로 침전된다. CPS 함유 침전물은, 트리스 버퍼에서 재용해되고, 약한 음이온 교환 수지에서 포획된다. 수지로부터 용출되는 K19 CPS는, 90% 에탄올 내에 0.1M NaOH로 더욱 처리 (해독화)되어 (리물루스 변형세포 용해물 (Limulus amoebocyte lysate: LAL) 활성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이의 응집 및 내독소에 기여하는 잔류 말단 지질을 제거한다 (도 9a). 최종 K19 다당류 생성물은, SEC-MALLS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으로 평균 MW가 220 kDa이고, 낮은 내독소, 단백질, 및 핵산 함량을 갖는다.
PA 엑소폴리사카라이드 PsL의 정제
exoPS PsL의 대표적인 정제 공정의 흐름도는 도 9c에 나타낸다. 간략하게, PA 박테리아 배양물은, 실온에서 40분 동안 10,000xg에서 원심분리하여 정화되고, 상청액은 0.5-0.3㎛ 깊이 필터를 통해 여과된다. 여과된 상청액은, 10 디아볼륨 주사용 수 (WFI)로 100 kDa MWCO PES 막을 사용하여 TFF에 의해 투석여과되고, 투과액은 10-20x UF에 의해 2 kDa Hydrosart 막을 사용하여 수집 및 농축되며, 50 mM 트리스 HCl, 50 mM NaCl, pH 7.5의 10 디아볼륨으로 투석여과된다. 농축된 용출액은, 그 다음 GE Q-Sepharose Fast Flow에서 강한 음이온 교환 수지 (IEX)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적용되고, 통과액 (flow-through)은, 용출액의 하나 이상의 칼럼 부피 세척으로 수집된다. 용출액은 농축되고, 2 kDa Hydrosart 막을 사용하여 WFI로 투석여과된 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80% 에탄올로 침전된다. 4000x 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펠릿은 WFI에서 용해되고, 0.2㎛ 필터를 통해 멸균-여과되며, 동결건조된다. 최종 정제된 다당류 물질은, 단당류 조성물에 대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단당류 표준 및 Dionex ICS-4000 모세관 기구 및 CarboPac PA10 컬럼을 사용하는 HPAEC/PAD (펄스 전기화학 검출을 이용한 고-성능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잔류 단백질에 대해 Bradford 분석, 잔류 핵산에 대해 Q-비트 Life Technologies quant-IT 키트, 내독소에 대해 LAL 분석, 및 총 탄수화물에 대해 안트론 분석 (anthrone assay)에 의해 분석된다. 최종 물질은 또한 이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고해상도 H-NMR 및 분자량 추정을 위해 SEC-HPLC에 의해 분석된다.
O- 및 K-항원의 특징화를 위한 분석적 방법
전술한 공정으로부터 얻어진 OPS 및 CPS의 순도 및 동일성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잔류 단백질 농도는, Bradford 및/또는 BCA 분석에 의해 결정되고; 핵산 농도는, 260 nm에서 흡광도 또는 피코 그린 분석 (pico green assay)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내독소 수준은 LAL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및 다당류의 당 조성물은, 산 가수분해 후, 전술된 바와 같이 HPAEC-PAD (Dionex)에 의해 개별 단당류의 분리에 의해 결정된다. 다당류의 물리적 무결성 (physical integrity)은, Bruker 분광계를 사용하여 500, 800 또는 950 MHz에서 고 해상도 1H-NMR에 의해 스펙트럼을 기록하고 얻어진 스펙트럼을 문헌에 공개된 것들과 비교하여 결정된다. 공정-에서 및 최종 생성물로서, 정제된 천연 및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다당류에 대한 에피토프의 무결성 및 다당류의 동일성은, 열-사멸형-특이적 박테리아 (heat-killed type-specific bacteria)에 대해 생성된 특정 OPS 및 CPS 단일클론 항체 및 다클론 토끼 항혈청을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확인된다. 다당류 상에 O-아세틸기의 존재는, 헤스트린 비색 분석 (Hestrin colorimetric assay) 및 1H-NMR에 의해 결정된다. 다당류의 크기는, 적절한 사이징 컬럼을 사용하여 SEC-HPLC (도 8b 및 8c) 및 SEC-MALLS에 의해 결정된다. 다당류 농도는, 안트론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 예 3: OPS 및 CPS의 비오틴화의 일반적인 방법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다당류 (PSs)의 비오틴화는, 활성화제로서 CDAP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다당류는, 무-LPS 수 (세포 배양 등급; HyClone)에 1-5 mg/mL의 최종 농도로 용해된다. 시간 0에서, (아세토니트릴 내에 100mg/mL의 농도로 새롭게 만들어진) 소정의 양의 CDAP는, 볼텍싱 동안 1mg의 PS 당 1mg의 CDAP의 최종 비로 첨가된다. 30초에서, 소정의 양의 0.2M 트리에틸아민 (TEA; Sigma-Aldrich)은 첨가되어 pH를 8로 상승시킨다 (중성 PS의 경우, TEA의 부피는 CDAP의 부피와 동일하고; 산성 PS의 경우, TEA의 부피는 두 배임). 2.5분에서, 소정의 양의 비오틴 유도체 (Pierce EZ-Link 아민-PEG3-비오틴, 물 중 20mg/mL)는, 1mg의 비오틴 대 1mg의 PS의 최종 비로 첨가된 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배양된다. 더 희석된 샘플 (<1 mg/mL)의 경우, 밤새 배양된다. 25 mM 글리신을 첨가하여 반응은 종결되고, 과잉의 비오틴은 PBS에 대한 광범위한 투석 (extensive dialysis)에 의해 제거된다.
백본 중합체 BP-1.2의 경우, 중합체 K19 CPS의 비오틴화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 Pierce)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로 우론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활성화에 의해 진행되어 효율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건조-안정한 (dry-stable) (아민-반응성) 중간체를 생성한다. EDC는, NHS를 카르복실에 결합시켜, O-아실리소우레아 중간체보다 상당히 더 안정한 NHS 에스테르를 형성하면서, 생리적 pH에서 1차 아민에 효율적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 비오틴 아민 유도체 (Pierce EZ-Link 아민-PEG3-비오틴)는, 그 다음, K19 CPS의 NHS 에스테르 중간체의 비오틴화을 위해 사용된다.
클렙시엘라 OPS/CPS에 대한 안트론 분석 또는 PA OPS에 대한 레조르시놀 분석 (resorcinol assay)에 의해 총 당 농도는 측정된다.
실시 예 4: 재조합 리자비딘 및 리자비딘-융합 단백질 항원의 구축
K. 뉴모니아 및 녹농균로부터 유래된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의 발현 구축물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 (engineering)
슈도모나스 플라젤린 (FliC) A (FlaA) 및 B (FlaB)의 경우, 결정에서 슈도모나스 FliC의 패킹에 기초한 편모 필라멘트 (flagellar filament)의 인 실리코 구축물은, 도메인 2 (D2)가 용액에 노출될 것이고, 면역원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ong, 2014). 부가적으로, 슈도모나스 FliC는, TLR5에 의한 이의 인식을 통해 선천적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켜, 아마도 반응원성으로 이어지고,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TLR5 결합 도메인을 갖는 슈도모나스 플라겔린의 일부를 발생시키고 평가하며, 인접 영역은 오직 도메인 2를 남기고 제거한다. 그 결과로 생긴 TLR5 도메인이 결여된 서열 FlaA2-Domain2 및 FlaB-Domain2는, 리자비딘 단독 또는 리자비딘 및 클렙시엘라 MrkA 또는 PcrV와의 융합으로서 발현된다. 슈도모나스 (FlaB; FlaA1; FlaA2; PcrV; FlaB-PcrV; FlaB-D2; FlaA2-D2; FlaB-D2-PcrV)로부터 유래되고, 발생 및 발현된 리자비딘-항원 융합 단백질 변이체 및 클렙시엘라 및 슈도모나스 (FlaB-D2-MrkA; PcrV-MrkA) 모두로부터 유래된 하이브리드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의 개략도는, 도 12a에 나타낸다.
녹농균의 경우, 플라겔린은, 이것이 편모의 주요 성분이고, 파종 감염 (disseminated infection)에 대해 필요한 운동성을 억제하는 플라겔린에 대한 항체로 알려짐에 따라 유사 운반 단백질 및 보호 항체로 선택되고, 동물 감염 모델에서 보호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플라겔린의 경우, 혈청형 A2는 높은 보존성이지만, A1과 약간 다르고, 도메인 2에서는 혈청형 B와 상당히 다르다. 이러한 변이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혈청형 A1 (FlaA1), A2 (FlaA2) 및 B (FlaB) 플라겔린은, 클로닝되고, 전-장 단백질로 발현된다. 이러한 도메인이 조립된 편모의 외부를 장식하고, 항체를 중화시키기 위한 표적일 수 있으므로, 플라겔린 A2 및 B 유래의 도메인 2만이 클로닝되고 발현된다. 이것은 적응 면역 반응에 대한 TLR5 결합 도메인의 기여에 대한 별도의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아미노-말단 리자비딘 융합 및 초기 친화도 정제를 위한 6개의 히스티딘 태그를 갖는 대장균에서의 발현을 지시하기 위해 선택된 서열은 합성되고 플라스미드로 클로닝된다 (도 12a).
녹농균의 경우, PcrV는 또한 이것이 타입 Ⅲ 분비 장치의 팁 단백질 (tip protein)을 인코딩함에 따라 선택된다. 이것은, PcrV에 특이적인 항체가 침습성 감염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 항원으로 또한 알려져 있다. 서열은, 18개의 다른 녹농균 균주에 걸쳐 294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아미노산 변화를 갖는 오직 4개의 위치로 고도로 보존된다. 아미노-말단 리자비딘 융합 및 초기 친화도 정제를 위한 6개의 히스티딘 태그를 갖는 대장균에서의 발현을 지시하기 위해, 서열은 합성되고 플라스미드로 클로닝된다 (도 12a).
K. 뉴모니아의 경우, MrkA는, 이것이 타입 3 필리의 주요 섬모 서브단위 (fimbrial subunit) 및 핌브리아의 면역적으로 지배적인 부분을 인코딩하므로 선택된다. 타입 3 핌브리아는, 바이오필름 형성을 매개하는데 요구되며, MrkA는, 이러한 항원이 백신 제형에서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및 부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rkA는, K. 뉴모니아의 9개 다른 유전자형으로 고도로 보존되어, 180개 아미노산에 걸쳐 아미노산 변화를 갖는 오직 1개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나의 부가적인 유전자형은, 180개 아미노산에 걸쳐 9개의 위치로 약간 더 높은 변화를 제공한다 (표 4). 다른 타입 3 필리 핌브리아 서브유닛의 경우, 발현 동안 단량체를 안정화시키는 전략은, 공여 가닥 상보화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개발되었다 (Walczak, 2014). 이러한 전략은, 구조의 다음 서브유닛으로부터 보통 제공되는 베타 가닥의 방향으로 뒤로 접히고 결합할 수 있도록, 아미노 말단 서열을 취하고 카르복실 말단에서 이를 반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이 리자비딘 융합에 대한 세포질 발현에 초점을 계획함에 따라 분비 신호 서열 (secretion signal sequence)을 먼저 제거하여 K. 뉴모니아 타입 3 필러스 서브유닛 MrkA에 이러한 전략을 확장하려고 시도했다. 추정 분비 신호는, 대장균 FimA 아미노산 1-24를 갖는 배열에 기초한 Chan et al. 2012, Langmuir에서 모델화된다. 본 발명자들은, 그 다음, 카르복실 말단에 6개의 글리신 링커를 첨가한 후 (신호 서열 없이) MrkA의 N-말단으로부터 처음 20개 아미노산을 반복하여 공여자 가닥 상보성 (donor strand complementation)을 제공하였다. 아미노-말단 리자비딘 융합 및 초기 친화도 정제를 위한 6개의 히스티딘 태그를 갖는 대장균에서의 발현을 지시하기 위해 서열은 합성되고 플라스미드로 클로닝된다 (도 12a). 표 4는 K. 뉴모니아 MrkA Clustal 0 (1.2.1) 다중 서열 정렬이다.
고도로 보존된 K. 뉴모니아 MrkA 단백질의 경우, 합성 유전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소스 서열로서 표 4에서 AEO27492 서열 (굵은 활자체)은 사용된다.
이러한 연구에 사용된 재조합 리자비딘 (rRhavi)은, 예측된 신호 서열 (아미노산 1-44)이 혼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게놈으로부터 인코딩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45 내지 179에 걸쳐 있다. 대장균에서 rRhavi의 발현 수준을 최적화하기 위해, 리자비딘 폴리펩티드 (45-179; SEQ ID NO:14)를 인코딩하는 유전자 서열은, 대장균-선호 발현 코돈을 사용하여 재설계되고 합성된다. 코돈-최적화된 유전자는, pET21b 벡터에 클로닝되어 단백질 발현을 지시한다. 리자비딘에서 정확한 폴딩 및 이황화 결합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장균 균주는, 세포질, T7 셔플 발현 (NEB)에서 이황화 결합 형성을 촉진하는 발현을 위해 선택된다.
리자비딘-항원 융합 단백질을 구축하기 위해, 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링커 영역 (flexible linker region)을 인코딩하는 DNA 서열 (GGGGSSS; SEQ ID NO:15)은, 합성 rRhavi 유전자의 3' 말단에 직접 삽입되어 rRhavi로부터 분리를 제공하고, 뒤이은 융합 단백질의 적절한 폴딩을 조성한다. 후보 항원 (전장 또는 원하는 단편)을 인코딩하는 유전자는 합성되고, 링커 영역 바로 너머의 rRhavi 발현 벡터에 삽입된다.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6개의 히스티딘 태그는 구축물의 말단에 첨가된다.
rRhavi 융합 단백질 발현을 지시하기 위해 DNA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는,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T7 셔플 발현 대장균으로 형질전환된다. 배양은, 단일 콜로니로부터 개시되고, 30℃에서 밤새 배양하기 위해 암피실린 (Amp+)을 함유하는 30㎖의 Luria-Bertani (LB) 배지에 접종된다. 2일째에, 5㎖의 출발 배양물은, 1리터의 LB 배지/Amp+에 접종되고, OD600~1.2 내지 1.6가 도달될 때까지 30℃에서 성장된다. 배양물을 16℃로 냉각시킨 후, IPTG는 0.1mM의 최종 농도로 첨가된다. 유도된 배양물은, 16 내지 20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16℃에서 배양된다. 박테리아는, 5000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집되고, 펠릿은 -20℃에서 냉동된다.
대표적인 융합 단백질
본 발명의 대표적인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은, 하기 서열 목록에 제시된다. 용이한 참조를 위해, 융합 단백질의 한 문자 아미노산 서열은 다음에 제공된다:
Rhavi-PcrV-His SEQ ID NO:16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Rhavi-MrkA-donor-strand-complementation-His SEQ ID NO:17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GSGHHHHHH
Rhavi-FlaA1-His SEQ ID NO:18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KAD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SDGDTISYVSKAGKDGSGAITSAVSGVVIADTGSTGVGTAAGVTPSATAFAKT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GSGHHHHHH
Rhavi-FlaA2-His SEQ ID NO:19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TAT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TDGAQISYVSKASADGTTSAVSGVAITDTGSTGAGTAAGTTTFTEA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GSGHHHHHH
Rhavi-FlaB-His SEQ ID NO:20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ASSNDLNTSLQRLTTGYRINSAKDDAAGLQISNRLSNQISGLNVATRNANDGISLAQTAEGALQQSTNILQRIRDLALQSANGSNSDADRAALQKEVAAQQAELTRISDTTTFGGRKLLDGSFGTTSFQVGSNAYETIDISLQNASASAI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VASVDISTADGAQNAIAVVDNALAAIDAQRADLGAVQNRFKNTIDNLTNISENATNARSRIKDTDFAAETAALSKNQVLQQAGTAILAQANQLPQAVLSLLRGSGHHHHHH
Rhavi-FlaB-Domain2-His SEQ ID NO:21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GSGHHHHHH
Rhavi-FlaA2-Domain2-His SEQ ID NO:22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NGTYFTAT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TDGAQISYVSKASADGTTSAVSGVAITDTGSTGAGTAAGTTTFTEANDTGSGHHHHHH
Rhavi-FlaB-PcrV-His SEQ ID NO:23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ASSNDLNTSLQRLTTGYRINSAKDDAAGLQISNRLSNQISGLNVATRNANDGISLAQTAEGALQQSTNILQRIRDLALQSANGSNSDADRAALQKEVAAQQAELTRISDTTTFGGRKLLDGSFGTTSFQVGSNAYETIDISLQNASASAI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VASVDISTADGAQNAIAVVDNALAAIDAQRADLGAVQNRFKNTIDNLTNISENATNARSRIKDTDFAAETAALSKNQVLQQAGTAILAQANQLPQAVLSLLRAAAA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Rhavi-FlaB-Domain2-MrkA-donor-strand-complementation-His SEQ ID NO:24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AAAAM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GSGHHHHHH
Rhavi-MrkA-donor-strand-complementation-PcrV-His SEQ ID NO:25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AAAA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Rhavi-FlaB-Domain2-PcrV-His SEQ ID NO:26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AAAA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융합 단백질의 정제
정제를 시작하기 위해, 박테리아 펠릿은, 세포 펠릿의 g 당 4㎖의 냉각된 20mM 트리스 pH 8.0, 500mM NaCl, 20mM 이미다졸, 10mM MgCl2, 및 2X Halt Protease Inhibitor (Thermo Fisher)에 재현탁된다. 박테리아는, 초음파파괴로 분쇄되고, 25㎍/㎖의 최종 농도로 DNase I의 첨가가 뒤따른다. 불용성 파편 (Insoluble debris)은, 5000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제거된다. 정화된 용해물은, 최종 버퍼 농도를 20mM Tris, 500mM NaCl, 10mM 이미다졸, 5mM MgCl2, 및 1x Halt Protease Inhibitor로 제공하기 위해, 500mM NaCl과 함께 등가 부피의 20mM Tris pH 8.0으로 희석된다. 단백질은, 니켈 친화성 수지에 결합시키고, 20mM Tris, 500mM NaCl, 20mM 이미다졸로 세척시키며, 결합된 단백질을 20mM 트리스, 500mM NaCl, 500mM 이미다졸로 용출시켜 정제된다. 표적 단백질의 이량체에 대한 예상된 용출에서 피크 분획은 모아지고 농축된다. 이들 컬럼으로부터 용출된 단백질은, 겔 여과 및/또는 SEC에 의해 더욱 정제된다. 이들 단백질은 그 다음 SDS-PAGE, 웨스턴 블롯팅, 및 SEC에 의해 분석된다. 모든 융합 단백질은 예측된 MW에서 SDS-PAGE로 이동된다. 각 샘플의 단백질 농도는, BCA 단백질 분석 키트 (BioRad)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정제된 단백질은 분취되고, 액체 질소에서 급속-냉동되며, 추후 사용을 위해 -8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및 변이체의 물리적 속성의 요약은 표 5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모든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은 발현되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에 의해 입증된 것으로 이량체 단백질인 것으로 결정된다 (표 5).
본 발명의 대장균 발현된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의 물리적 속성
단백질 |
박테리아 |
단량체 MW (kDa) |
SEC에 의해 존재하는 이량체 |
존재하는 TLR5 도메인 |
Rhavi-PcrV-his |
녹농균 |
48 |
있음 |
해당 없음 |
Rhavi-FlaB-his |
녹농균 |
65 |
있음 |
있음 |
Rhavi-FlaA1-his |
녹농균 |
56 |
있음 |
있음 |
Rhavi-FlaA2-his |
녹농균 |
55 |
있음 |
있음 |
Rhavi-MrkA-his |
K. 뉴모니아
|
37 |
있음 |
해당 없음 |
Rhavi-FlaBD2-his |
녹농균 |
37 |
있음 |
없음 |
Rhavi-FlaA2D2-his |
녹농균 |
27 |
있음 |
없음 |
Rhavi-FlaBD2-MrkA-his |
녹농균
K. 뉴모니아
|
58 |
있음 |
없음 |
Rhavi-FlaB-PcrV-his |
녹농균 |
97 |
있음 |
있음 |
Rhavi-PcrV-MrkA-his |
녹농균
K. 뉴모니아
|
69 |
있음 |
해당 없음 |
Rhavi-FlaBD2-PcrV-his |
녹농균
|
70 |
있음 |
없음 |
플라겔린 융합 단백질에서 TLR5 활성의 평가
융합 단백질이 적절히 폴딩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HEK293-NFkB: Luc 세포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험 단백질 또는 복합체의 적정으로 4시간 동안 배양에 의해 자극받는다. HEK293-NFkB: Luc 세포는, 이전에 플라겔린에 반응하지만, LPS 또는 비-편모성 살모넬라에는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Simon and Samuel, 2007). 세포가 용해된 후, 루시퍼라제 활성 (luciferase activity)은, Promega Firefly Luciferase로 결정된다. 분석은 NF-kB의 활성을 측정한다 (Simon and Samuel, 2007).
HEK293-NFkB: Luc 세포 및 천연 슈도모나스 플라겔린 및 라비 융합 단백질을, 단독으로 또는 PnPS 6B와의 MAPS 복합체로서 사용하는 분석에서 TLR5 생체활성은 도 12b에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리자비딘 플라겔린 구축물들인 FlaB, FlaA1, FlaA2가 자체적으로 또는 PnPS 6B와의 MAPS 복합체로서 TLR5 활성을 촉진시키며, 따라서 적절히 폴딩되었음을 명확히 나타낸다.
대표적인 융합 단백질의 면역원성
융합 단백질 변이체에 대한 높은 역가 혈청은, 단백질 특이적 항체의 시험관 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발생된다. 하기 융합 단백질 (FP): Rhavi-FlaB-D2; Rhavi-FlaA2-D2; Rhavi-FlaB-PcrV; Rhavi-FlaB-D2-MrkA 및 Rhavi-PcrV-MrkA 각각에 대해 상응하는 면역원에 대해 ELISA IgG 역가는, 도 14에 나타낸다. 모든 FPs는, 매우 면역원성이며, 고-역가의 FP-특이적 IgG 항체를 유도한다.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FlaB에 대해 생성된 토끼 혈청과의 FlaB 및 FlaA1 교차 반응성은, 표 6에 요약된다.
PA PAO1로부터 정제된 천연 FlaB 또는 PA PAK로부터 정제된 FlaA1에 대한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FlaB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의 교차-반응성
|
토끼 # |
FlaA1 ELISA |
FlaB ELISA |
P0 |
P2 |
P3 |
P0 |
P2 |
P3 |
Rhavi-FlaB-D2-His |
AFV791 |
121 |
356 |
744 |
22 |
344,903 |
279,209 |
AFV792 |
397 |
442 |
627 |
309 |
126,159 |
154,104 |
AFV793 |
162 |
379 |
763 |
155 |
434,194 |
423,514 |
Rhavi-FlaB-PcrV-His |
AFV797 |
263 |
23,995 |
31,497 |
278 |
317,789 |
318,117 |
AFV798 |
126 |
38,872 |
40,911 |
128 |
250,535 |
230,702 |
AFV799 |
178 |
27,108 |
41,566 |
139 |
299,454 |
499,941 |
Rhavi-FlaB-D2-MrkA-His |
AFV800 |
213 |
217 |
1916 |
45 |
17,602 |
35,651 |
AFV801 |
54 |
165 |
944 |
48 |
21,320 |
53,477 |
AFV802 |
440 |
161 |
291 |
298 |
24,500 |
34,790 |
항-Rhavi-FlaB-D2 및-Rhavi-FlaB-PcrV 토끼 혈청 모두는, 높은 역가의 FlaB-특이적 항체를 갖지만, 항-Rhavi-FlaB-D2-MrkA 혈청은, 비교에 의해 낮은 역가의 FlaB-특이적 항체를 갖는다. 항-Rhavi-FlaB-PcrV 혈청이, 유의미한 교차-반응성 FlaA1-특이적 항체를 가짐에 따라, 융합 단백질의 FlaB 성분이 적절히 폴딩되고, 교차-반응성 FlaA1 에피토프가 아마도 Rhavi-FlaB-D2 또는 FlaB-D2-MrkA에서 발현되지 않는 공통 보존된 D0 및 D1 도메인 (Song and Yoon, 2014)에서, 플라겔린 도메인 2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FlaA1과의 이의 상당한 교차 반응성으로 인해, Rhavi-FlaB-PcrV는, 슈도모나스 감염에 대한 광범위한 플라겔린 면역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후보 융합 단백질이다.
실시 예 5: 면역원성 복합체의 제조
천연 OPS 백본 중합체의 제조
천연 OPSs
K. 뉴모니아 (KP)의 O-다당류 (OPS) (KP OPS) 혈청형 O1, O2, O3 및 O5 및 녹농균 코어 OPS (PA OPS) 혈청형 O1, O2, O3, O4, O5, O6, O10, O11는, PA OPS의 경우 100℃로 비등하는 1% 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또는 KP OPS의 경우 아세트산 및 아질산 나트륨 (NaNO2)으로 처리한 후, CDM에서 성장한 유기체의 발효의 바이오매스 (biomass)로부터 분리된다. PA LPS의 경우, 아세트산 처리는, LPS의 내부 코어의 KDO 결합 및 지질 A를 절단하고 (도 1a), COPS의 환원 말단에서 KDO 모이어티를 발생시킨다. KP LPS의 경우, 아질산 탈아미노화는, 내부 코어 글루코사민 잔기와 LPS의 내부 코어 지질 A 부분의 나머지 사이에 결합을 절단하고, 탄소-1 상에 알데히드를 갖는 환원 2,5-안히드로만노스 잔기를 발생시킨다 (도 1c). PA OPS (Knirel et al., 2006) 및 KP OPS (Vinogradov et al., 2002)의 구조는, 각각 도 1b 및 1d에 나타낸다. PA 및 KP OPS의 다운스트림 정제 공정은 도 8a에 나타낸다. 이러한 정제 공정은, 낮은 수준의 잔류 단백질, 핵산 및 내독소를 갖는 다량 (>50-100 mg/L의 정제된 물질)의 고순도 OPS를 산출한다. OPS의 화학적 및 면역화학적 동일성은, TFA 해중합 및 Dionex HPAEC-PAD, 공개된 문헌과 NMR 스펙트럼 데이터 (화학적 시프트 및 커플링 상수)를 비교하는 고해상도 1H-NMR, 및 열-사멸된 전체 박테리아로 생성된 KP OPS 및 PA OPS 타입 특이적 단일클론 항체 또는 항혈청으로 ELISA 면역반응성에 의해 확인된다 (도 6c). SEC 및 SEC-MALLS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OPS의 평균 MW는, 타입에 따라, 대략 10kDa 내지 30kDa의 범위이며, PA OPS는 통상적으로 KP OPS보다 크다. 정제된 KP OPS 및 PA OPS의 HPAEC-PAD (Dionex) 단당류 조성물 분석의 요약은, 표 7에 나타낸다.
정제된 KP OPS 및 PA COPS의 HPAEC-PAD 단당류 조성물 분석
박테리아 |
O-다당류 |
HPAEC-PAD 단당류 분석a |
OPS 반복의 예상된 조성물b |
K. 뉴모니아
|
O1 |
갈락토오스 |
갈락토오스 |
K. 뉴모니아
|
O2a |
갈락토오스 |
갈락토오스 |
K. 뉴모니아
|
O3 |
만노오스 |
만노오스 |
K. 뉴모니아
|
O5 |
만노오스 |
만노오스 |
녹농균 |
IATS O1 |
푸코사민, 퀴노보사민, 갈락토사민 |
NAc-푸코사민, NAc-갈락토사민, NAc-퀴노보사민, 2,3-디아미노-2,3 디데옥시-NAc-글루쿠론산 |
녹농균 |
IATS O2 |
푸코사민 |
2,3-디아미노-2,3 디데옥시-NAc-만누론산, 2,3-디아미노-2,3-디데옥시-NAc-글루론산, NAc-푸코사민 |
녹농균 |
IATS O3 |
람노오스, 글루코사민 |
람노오스, NAc-글루코사민, NAc-갈락투론산, |
녹농균 |
IATS O4 |
푸코사민, 퀴노보사민, 람노오스 |
NAc-푸코사민, 람노오스, NAc-퀴노보사민 |
녹농균 |
IATS O5 |
푸코사민 |
NAc-NAc-만누론산, NAc-NAm-만누론산, NAc-푸코사민 |
녹농균 |
IATS O6 |
퀴노보사민, 람노오스c |
람노오스, NAc-Ac-갈락투론산, Nfo-갈락투론산 ,NAc-퀴노보사민 |
녹농균 |
IATS O10 |
퀴노보사민, 람노오스 |
Ac-람노오스, NAc-갈락투론산, NAc-퀴노보사민 |
녹농균 |
IATS O11 |
푸코사민, 글루코오스 |
NAc-푸코사민, 글루코오스 |
a기구는, 우론산이 아닌, 중성 당류 만 검출함; 다당류는,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2M TFA/100C/4시간에서 해중합됨 b Knirel et al. 2006 c4M TFA/100C/18시간 후에 결정됨 |
백본 중합체 OPS
도 1e는, K. 옥시토카 (KO) 협막 다당류 (CPS) K19의 반복 단위의 화학 구조를 도시하며, 이는 K. 뉴모니아 K19 CPS와 동일하다. 도 1f는, 정제된 KP K19 CPS의 950 MHz에서 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평균 MW 10-30 kDa의 천연 KP OPSs 및 PA OPSs는, 더 큰 K19 CPS (avMW 218 kDa) 상으로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유효 MW 크기 및 이들의 에피토프 결합가 모두를 증가시킨다. 백본 중합체 OPS는, 나중에 또는 확장 공정 (enlarging process) 동안에, BP-1, BP-1.2, 또는 BP-1.3 (도 2a-2c)을 생성하기 위해 K19 CPS 백본 중합체 상에 선택적으로, 또는 BP-2a (도 3)를 생성하기 위해 OPS 및 CPS 모두에서 무작위로 또는 BP-2b (도 4)를 생성하기 위해 OPS 상에 선택적으로 비오틴화된다.
백본 중합체는, K19 CPS 또는 OPSs 단독보다 크기 배제 컬럼에서 현저히 더 빨리 용출되어 이들이 단독 성분으로부터 크기가 상당히 증가되었음을 시사하고, 출발 물질에서의 양에 비해 유리 OPS 수준의 감소는 백본 중합체 내로 혼입을 나타냄을 입증한다.
백본 중합체로서 K19 CPS와 같은 CPS를 사용하는 이러한 확장 공정은, 임의의 CPS/OPS 또는 작은 MW 박테리아 다당류에 적용할 수 있고, 명확하고 일관된 제품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OPS/CPS 에피토프의 최소한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보편적인 공정이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는 HK-PA 면역화로부터의 토끼 과-면역 혈청을 사용하는, 천연 PA OPS O1, O2, O3, O6, O10 및 O11 및 상응하는 PA OPS: K19 BP-1 구축물로 ELISA에 의한 항원성 분석 후에 명확하게 입증된다 (도 6c). 이러한 실험에서, 천연 PA OPS와 상응하는 백본 중합체 OPS 사이에 항원성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OPS 에피토프가 확장 공정 동안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
백본 중합체 (BP)의 비오틴화
BP-1
OPS는 먼저 이의 환원 말단에서 NaBH3CN으로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각 말단에 1차 아민을 함유하는 짧은 스페이서 (예를 들어, ADH)로 갖추어 진다. KP OPS 상에 반응성 알데히드는, 아질산 나트륨으로 전체 LPS의 처리에 의한 추출 과정 동안 발생되는 말단 2,5-무수만노오즈 (2,5-anMan) 잔기에 위치되고 (도 8a), 반면에 PA OPS 상에 반응성 케톤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세트산으로 LPS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PA OPS의 내부코어의 환원 말단 KDO 잔기 상에 위치된다. ADH 유도체화된 OPS는, 나중에 부분적으로 과요오드 산화된 KP 19 CPS 백본 (도 6a 및 6b에 도시된 이들 유도체의 대표적인 SEC-HPLC 트레이스)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 (예컨대, 아민-PEG3-비오틴)과 혼합되고, 상기 혼합물은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본 발명자들이 백본 중합체-1 (BP-1)로 명명한 다당류 백본 상에 특유의 형태로 비오틴화된 OPS 백본 중합체를 형성한다 (도 2a).
BP-1.2
선택적으로, KP 19 CPS 백본 반응성 카르복실레이트기는, 먼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EDC)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 및 1차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 (예컨대, 아민 PEG 비오틴)과 먼저 비오틴화될 수 있고, 그 다음 과요오드 산화될 수 있으며, ADH 유도체화된 OPS와 혼합될 수 있고, 상기 혼합물은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BP-1.2로 명명된 다당류 백본 상에 특유의 형태로 비오틴화된 OPS 백본 중합체를 형성한다 (도 2b). 선택적으로, ADH 단계는, PA OPS에 대해 생략될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외부코어 갈락토사민 잔기의 탄소-2 상에 유리 α-아미노기를 갖는 아미노산 알라닌 치환기를 함유하기 때문이다 (도 1a). 그러므로, 이들 이용 가능한 아미노기는, 아민을 함유하는 비오틴과 함께 과요오드 산화된 K19 CPS 중합체에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한 직접 커플링에 대해 용이하게 사용되어 비오틴화된 BP-1 (도 2a) 또는 BP-1.2 (도 2b)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환원 말단에 알데히드 또는 케톤을 함유하는 OPS는, 환원제 존재하에 아지드 아미노 화합물로 유도체화되어, 이들의 말단에 아지도기를 갖는 OPS를 생성한다. 다당류 백본은, 그 다음, 다당류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EDC를 통해 알킨기를 갖춘다. 백본 다당류는, CDAP 및 비오틴-히드라지드 화합물로 더욱 비오틴화되어 비오틴화 및 알키닐화 함유 다당류를 발생시킨다. 유도체화된 아지도-OPS 및 비오틴화 알킨-CPS는, 그 다음, 구리 촉매와 클릭-연결되어 (OPS)n-CPS BP-1을 형성하며, 여기서, 백본 중합체는 비오틴화되고 OPS는 비오틴화되지 않는다 (도 5b; 반응식 1). 이러한 클릭-연결 화학을 사용하여, OPS BP-1은 또한 얻어질 수 있는데, 먼저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EDC를 사용하여 CPS에 알킨기를 도입한 후, 아미노-PEG-아지드 및 황산구리 촉매를 사용한 아미노화, CDAP 및 비오틴 히드라지드로 CPS의 비오틴화가 수반되고; 1차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비오틴화 CPS는, 천연 OPS (이의 환원 말단에 알데히드 또는 케톤기를 함유)와 혼합되고, 환원제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OPS/CPS BP-1을 생성한다 (도 5b; 반응식 2). BP-2b는, 도 5b;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에서 아지도기로 유도체화된 다음, CDAP 화학 및 비오틴 하이드라지드를 사용하여 비오틴화된 OPS에 선택적으로 비오틴 잔기를 먼저 도입하는 이러한 클릭 화학; 및 상기 비오틴화 OPS 아지도를 알키닐화된 CPS로 유도체화하는 제2 클릭-연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BP-2a
선택적으로, ADH 유도체화된 OPS 또는 유도체화되지 않은 OPS는, 부분적으로 과요오드 산화된 KP 균주 19 CPS 백본과 혼합되고,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OPS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백본 중합체는 CDAP 및 비오틴 PEG 아민으로 더욱 유도체화되어 백본 다당류 및 OPS 모두에서 비오틴으로 무작위로 비오틴화된 백본 중합체를 얻으며, 본 발명자들은 이를 BP-2a (BP-2a)로 명명했다 (도 3).
BP-2b
선택적으로, OPS는 먼저 CDAP 및 아민 PEG 비오틴으로 비오틴화되고; 그 결과로 생성된 비오틴화 OPS는, 알데히드를 이의 내부코어 KDOs 또는 헵토스 모이어티로 도입하기 위해 과요오드산염으로 부분적으로 산화되고, ADH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며; 상기 비오틴화 및 아미노화 OPS는, 그 다음, 부분적으로 과요오드 산화된 KP 19 CPS 백본과 혼합되고,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이의 OPS 상에 선택적으로 비오틴화된 OPS 백본 중합체를 형성하며; 본 발명자들은 이를 BP-2b로 명명했다 (도 4 및 도 5b, 반응식 3).
BP-3
선택적으로, ADH 유도체화된 OPS는, 먼저 PLL 백본의 ε-NH2 기로 환원적으로 아미노화되어 OPS-PLL 백본 중합체를 생성한다. 그 결과로 생성된 OPS-PLL은, 무수 아세트산과 같은 아실화제로 처리되어 PLL 백본의 미반응된 아미노 (ε-NH2) 기를 캡핑하여 OPS-폴리-N-아세틸-리신 (OPS-PNAcLL) 백본 중합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OPS-PNAcLL 백본 중합체는, 그 다음, CDAP로 먼저 처리한 다음, 아민 PEG 비오틴으로 처리하여 이의 OPS 상에서 비오틴화된다. OPS 상에서 선택적으로 비오틴화된 이러한 백본 중합체는 BP-3이라 명명된다 (도 5a).
미반응된 OPS, 비오틴, CPS, 및 잔류 접합 화학물질은, Superdex 200을 이용한 FPLC-SEC 또는 50-300 kDa TFF UF-DF에 의해 제거된다.
대표적인 면역원성 복합체의 발생 및 정제
MAPS 복합체 또는 변종 MAPS 복합체는,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 0.01% 티메로살 (thimerosal)과 함께 선택된 비 (통상적으로 3:1, 단백질:PS w:w)로 20 mM Tris pH 8.0, 150 mM NaCl에서 비오틴화 다당류에 후보 rRhavi-항원 융합 단백질을 첨가하여 발생된다. 샘플은, 밤새 25℃에서 엔드-오버-엔드 회전 (end-over-end rotation)으로 배양된 후, 10,000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다 (Zhang et al., 2013). 가용성 물질은 수집되고, MAPS 복합체 또는 변종 MAPS 복합체는 2 mM Tris, pH 8.0, 150mM NaCl로 Superdex 75 컬럼 (천연 OPS PS MAPS) 또는 Superdex 200 컬럼 (CPS MAPS 및 백본 중합체 PS 변종 MAPS) 상에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된다 (Zhang et al., 2013). 피크 분획은, 가열 없이 환원된 샘플의 SDS-PAGE로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되고, 총 단백질 염색 (protein stain)으로 시각화된다. MAPS 또는 변종 MAPS 복합체를 함유하는 분획은, 단백질 이량체의 크기에서 예상된 이동보다 겔 내에 더 큰 분자량 복합체에서 염색된 단백질 보유에 의한 겔의 관찰로 확인된다 (Zhang et al., 2013). MAPS 복합체를 함유하는 분획은 모아지고, MAPS 또는 변종 MAPS의 단백질/다당류 비는, BCA 단백질 분석 키트 및 다당류에 대한 안트론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Zhang et al., 2013). MAPS 또는 변종 MAPS 복합체의 무결성은, 총 단백질 염색으로 시각화된 가열 없이 환원된 샘플의 SDS-PAGE로 평가된다 (Zhang et al., 2013). MAPS 또는 변종 MAPS 복합체의 유리 단백질 함량은, 표준량의 대조군 단백질 이량체와 비교하여 가열 없이 SDS-PAGE MAPS 또는 변종 MAPS 복합체 상에 단백질 이량체 함량의 밀도측정에 의해 정량화된다 (Zhang et al., 2013). MAPS 또는 변종 MAPS 복합체에 혼입된 단백질의 분자량은, 분자량 단백질 표준 및 총 단백질 염색으로 가시화된, 환원되고, 비등된 샘플의 SDS-PAGE로 분석된다.
KP/PA OPS는, 백본 중합체로서 K19 CPS를 사용하여 다양한 OPS 백본 중합체 형태 (1, 2a, 2b)로 생성되고, 각각의 SEQ ID NOs: 16-26을 갖고, 대조군 단백질로서 PRO-CN을 사용하여, KP 및 PA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하기 재조합 대장균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Rhavi-PcrV; Rhavi-MrkA; Rhavi-FlaA1; Rhavi-FlaA2; Rhavi-FlaB; Rhavi-FlaB-Domain2; Rhavi-FlaA2-Domain2; Rhavi-FlaB-PcrV; Rhavi-FlaB-Domain2-MrkA; Rhavi-MrkA-PcrV; Rhavi-FlaB-Domain2-PcrV를 갖는 변종 MAPS 내로 복합체화된다.
본 발명의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로 발생되고, 비오틴화 폐렴구균 PS 타입 6B, 7F 및 19A 다당류와 복합체화된 몇몇 MAPS 로트 (lots)의 대표적인 속성은 표 8에 나타낸다. 변종 MAPS 복합체에 대한 대표적인 정제는, 도 10 및 11에 나타낸다. 변종 MAPS 복합체는, SEC에 의해 미반응 단백질로부터 정제되고, 겔로부터의 용출 분획은 SDS-PAGE에 의해 분석되며, 통상적인 분석은 도 10에 나타내고, 여기서, 유리 단백질은 겔의 후반 분획에서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Zhang et al., 2013에서 MAPS 복합체에 대해 원래 언급된 바와 같이 변종 MAPS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1a-11c는, PRO-CN (도 11a); Rhavi-FlaB-PcrV (도 11b); Rhavi-FlaB-D2-MrkA (도 11c)와 함께 정제된 K19-PA O1 OPS BP-1 MAPS 복합체, K19-PA O2 OPS BP-1 MAPS 복합체, 및 K19-PA O10 OPS BP-1 MAPS 복합체의 SDS-PAGE 분석을 나타낸다. 각각의 정제된 변종 MAPS 샘플은, 비등과 함께 및 가열 없이 개별적으로 가공 처리된다. 변종 MAPS 복합체는, 가열 없이 파괴되지 않으며, 변종 MAPS 복합체에서 단백질은, 겔의 최상부에 유지된다 (Zhang et al., 2013). 비등으로, 변종 MAPS 복합체는 파괴되고, 단백질은 방출되며, 리자비딘 분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단백질 이량체는 또한 분리된다 (Zhang et al., 2013). 변종 MAPS의 단백질 함량은 그 다음 BCA 분석으로 결정되고, 다당류 함량은 안트론 분석으로 결정된다. 단백질 대 다당류 비는, 중량 대 중량 비 및 몰 비로서 계산된다.
모든 최종 정제된 MAPS 및 변종 MAPS는, 0.22㎛ 필터로 멸균-여과할 수 있다 (표 8 및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정제된 MAPS 속성
PS |
PS MW (kDa) |
단백질 |
단백질 MW (kDa) |
[PS], mg/mL (안트론) |
[단백질], mg/mL (BCA) |
단백질:PS 비 (w:w) |
단백질:PS 몰 비 |
(비등되지 않은) SDS-PAGE에 존재하는 HMW 복합체 |
(비등된) SDS-PAGE에 존재하는 적절한 크기의 단백질 |
%유리 단백질 (밀도측정, SDS/PAGE, 비등 대 미비등) |
PES 0.22 micron으로 여과 |
6B |
1092 |
PRO-CN |
82 |
0.16 |
0.37 |
2.2:1 |
33:1 |
있음 |
있음 |
4 |
있음 |
6B |
1092 |
Rhavi-PcrV-his |
48 |
0.13 |
0.21 |
1.7:1 |
38:1 |
있음 |
있음 |
7 |
있음 |
6B |
1092 |
Rhavi-FlaB-his |
65 |
0.14 |
0.37 |
2.6:1 |
44: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6B |
1092 |
Rhavi-FlaA1-his |
56 |
0.13 |
0.21 |
1.6:1 |
31:1 |
있음 |
있음 |
5 |
있음 |
6B |
1092 |
Rhavi-FlaA2-his |
56 |
0.12 |
0.12 |
1.0:1 |
20: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6B |
1092 |
Rhavi-MrkA-his |
37 |
0.14 |
0.20 |
1.4:1 |
42: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
7F |
901 |
PRO-CN |
82 |
0.18 |
0.68 |
3.8:1 |
41: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7F |
901 |
Rhavi-PcrV-his |
48 |
0.14 |
0.19 |
1.4:1 |
25: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7F |
901 |
Rhavi-FlaB-his |
65 |
0.13 |
0.29 |
2.2:1 |
31:1 |
있음 |
있음 |
3 |
있음 |
7F |
901 |
Rhavi-FlaA1-his |
56 |
0.12 |
0.14 |
1.2:1 |
19: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7F |
901 |
Rhavi-FlaA2-his |
56 |
0.13 |
0.11 |
0.8:1 |
14: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7F |
901 |
Rhavi-MrkA-his |
37 |
0.16 |
0.17 |
1.1:1 |
26: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
19A |
157 |
PRO-CN |
82 |
0.23 |
0.89 |
3.9:1 |
7: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19A |
157 |
Rhavi-PcrV-his |
48 |
0.09 |
0.19 |
2.1:1 |
7:1 |
있음 |
있음 |
4 |
있음 |
19A |
157 |
Rhavi-FlaB-his |
65 |
0.14 |
0.39 |
2.8:1 |
7: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19A |
157 |
Rhavi-FlaA1-his |
56 |
0.10 |
0.26 |
2.6:1 |
7:1 |
있음 |
있음 |
6 |
있음 |
19A |
157 |
Rhavi-FlaA2-his |
56 |
0.11 |
0.15 |
1.4:1 |
4: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19A |
157 |
Rhavi-MrkA-his |
37 |
0.08 |
0.19 |
2.4:1 |
10:1 |
있음 |
있음 |
< 1 |
있음 |
실시 예 6: 면역화 연구동물의 면역화
토끼의 면역화 전에, MAPS 또는 변종 MAPS 복합체 또는 PS 단독은, 주사 대략 48시간 전에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MAPS 또는 변종 MAPS는, -4℃에서 밤새 엔드-오버-엔드 혼합으로 40mM 히스티딘, pH 5.5, 150mM NaCl, 및 0.25mg/㎖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겔과 단일 또는 다가 혼합물로서 각 혈청형 PS의 10㎍/㎖의 최종 농도로 보조제에 흡착된다. 이러한 제형화된 혼합물은, 5㎍ 투여량의 PS에 대해 0.5㎖의 부피로 면역화에 직접 사용된다. 더 낮은 PS 투여량의 경우, 40 mM 히스티딘, pH 5.5, 150 mM NaCl로 적절한 희석은 이루어진다. 2회의 IM 면역화 (0.5㎖)은, 4개월령의 뉴질랜드 흰 토끼 (Cocalico Biologicals, 그룹당 n = 8 내지 10)에 2- 또는 4-주 간격으로 투여된다. 혈액 샘플은, 2-주 투여량 간격으로 1차 및 2차 면역화 2주 후에 얻어진다. 샘플은, 4주 투여량 간격 동안 1차 면역화 후 2- 및 4-주에, 및 2차 면역화 후 2-주에 수집된다.
운반 융합 단백질 후보에 대한 고역가 항체를 얻기 위해, 완전한 프로인트 항원보강제는 1차 면역화에 대해 사용되고, 불완전한 프로인트 항원보강제는, 2차 및 3차 면역화에 대해 사용된다. 각 운반 단백질 (0.1 mg)은, 면역화에 대한 토끼에 대하여 4개의 다른 부위에 피하 주사된 0.2 ㎖ 및 IM 주사된 0.2 ㎖로 1㎖의 최종 부피로 프로인트 항원보강제와 개별적으로 혼합된다. 면역화는, 0일, 14일 및 21일에 4개월령의 (그룹당 n = 3) 뉴질랜드 흰 토끼 (Cocalico Biologicals)에 투여되고, 혈액 샘플은 2차 및 3차 면역화 2주 후에 수집된다.
항체 측정
협막 다당류 (CPS) 또는 OPS 또는 다른 단백질 항원에 대한 토끼 항체에 대한 분석은, (HSA/㎖ PBS에 접합된 1㎍ CPS 또는 OPS 또는 PS)로 또는 단백질 항원 (1㎍의 단백질/㎖ PBS)으로 코팅된 Immulon 2 HB 또는 Greneir Bio-one 배지 결합 96 마이크로 웰 플레이트 (Thermo Scientific Waltham Mass)에서 수행된다. 플레이트는, PBS에서 1% BSA로 차단된다. PBS-T에 희석된 항체는 첨가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된다. 플레이트는, PBS-T로 세척되고, 토끼 면역글로불린 G (시그마 (Sigma))에 대한 2차 HRP 접합 항체는 첨가되며,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된다. 플레이트는 세척되고, SureBlue TMB Microwell Peroxidase Substrate (KPL, Gaithersburg, MD)로 전개된다.
다른 단백질 항원에 특이적인 혈청 샘플에서 토끼 IgG의 역가는, ELISA 및 임의의 단위가 할당된 다클론 혈청으로부터의 표준 곡선으로 결정된다. 단백질 항원은, 웰당 100㎕로 0.5-1㎍의 단백질/㎖ PBS에서 Immulon 2 HB 96 마이크로 웰 플레이트 (Thermo Scientific)에서 실온으로 밤새 코팅된다. 단백질 용액은 제거되고, 플레이트는 실온에서 1시간 동안 PBS + 1.0% BSA로 차단되며, 0.05% Tween-20을 갖는 Dulbeco의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BS-T)로 세척된다. 토끼 혈청은, PBS-T로 희석되고, 플레이트에 첨가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된다. 플레이트는, PBS-T로 세척되고, PBS-T에서 1 내지 20,000으로 희석된 HRP에 접합된 2차 당나귀 항-토끼 IgG (Santa Cruz Biotechnology)는, 웰당 100㎕ 첨가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된다. 플레이트는, 세척되고, SureBlue TMB Microwell Peroxidase Substrate (KPL, Gaithersburg, MD)로 현상된다. 반응은, 동일한 부피의 1 N HCl로 중단되고, 흡광도는, Spectramax 플레이트 판독기 (Molecular Devices)에서 450 nm에서 판독된다. 12,500 AU/㎖의 AU 값은, 모든 플레이트에 포함된 다클론 혈청 표준에 할당되고, 4개 파라미터 곡선 맞춤 (curve fit)으로부터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에 기초하여 각 희석된 혈청 샘플에 대해 AU를 할당하고, 희석 인자 (dilution factor)에 대해 보정된다. 다클론 혈청 (PRO-CN, 리자비딘, 및 6개의 히스티딘 태그에 특이적인, AFV160) 표준 곡선 수용 기준 (acceptance criteria)은, 중복 (duplicates) 사이에 10% 미만의 CV 및 0.99 이상의 4개의 파라미터 곡선 맞춤에 대한 R2 이다. 내부 대조군 혈청 (PRO-CN, 리자비딘, 및 6개의 히스티딘 태그에 특이적인, AFV151)은 또한 모든 플레이트에 포함되고, 할당된 값에 대한 CV는, 데이터의 수용을 위해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20% 이하이어야 한다.
운반 기능의 평가
MAPS 복합체에서 다당류에 대한 증가된 면역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의 운반 기능 역량은 평가되고, 리자비딘 단독 및 복합체화된 다당류에 대한 이전에 발생된 강력한 면역 반응 (robust immune responses)을 갖는 대조군 운반 단백질 (PRO-CN)과 비교된다. 발생된 다양한 융합 단백질은, 공지된 면역원성의 다당류 (S. 뉴모니아 6B, 7F 및 19A)와 복합체화되고 (Zhang et al., 2013), 강력한 기능의 운반 단백질 대조군 (PRO-CN)과 비교된다. 모든 융합 단백질은, 비오틴화 PS와 복합체화될 수 있고, 토끼 면역화 및 운반 기능의 평가를 위한 정제 및 후속 사용이 가능한 고분자량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토끼는, 다양한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로 발생된 폐렴구균 다당류 (PnPS) 6B 및 19A로 발생된 MAPS 복합체로 면역화된다. 혈청은, 1차 면역화 (P1) 및 2차 면역화 (P2) 후 2주에 수집된다. 각 샘플에 대해 PnPS 19A 및 6B에 대한 토끼 IgG 수준은, ELISA로 측정되고, 12,500 AU/㎖의 AU로 할당된 다클론 혈청에 의한 표준 곡선으로부터 결정된 AU로 보고된다. 도 13a 및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로서의 슈도모나스 플라겔린 B (FlaB) (Rhavi-FlaB) 및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로서 슈도모나스 PcrV에 융합된 슈도모나스 FlaB (Rhavi-FlaB-PcrV)는, 이전에 확인된 운반 단백질인, PRO-CN과 유사한 폐렴구균 다당류 (PnPS) 6B 및 19A에 대한 IgG 역가를 발생할 수 있다.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로서 슈도모나스 FlaA1 및 FlaA2 (Rhavi-FlaA1 및 Rhavi-FlaA2) 및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로서 클렙시엘라 MrkA에 융합된 슈도모나스 FlaB 도메인 2 (Rhavi-FlaBD2-MrkA)는, Rhavi-FlaB 및 PRO-CN 역가의 2-배 이내이거나 또는 유사한 역가를 보여준다. 클렙시엘라 MrkA 및 슈도모나스 PcrV는, 0.044㎍ 투여량에서 6B 및 7F에 대해 낮은 역가 및 시험하는 19A PS에 대해 검출할 수 없는 매우 낮은 IgG 역가를 보여준다. MrkA로 향하는 항체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MrkA의 열악한 운반 기능을 극복하기 위해, 이것은 운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강한 FlaB-Domain2 운반 단백질과 융합된다 (Rhavi-FlaBD2-MrkA).
표 9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의 운반 속성을 요약한 것이다. 각 융합 단백질의 운반 기능은, 운반 단백질인, PRO-CN으로 입증된 것의 퍼센트로 표현되며, PRO-CN과 비교하는 경우 6B에 대한 면역 반응의 4% 및 19A에 대한 면역 반응의 5%를 오직 갖는 리자비딘 단백질 단독과 비교된다. Rhavi-FlaB-PcrV, 이중 병원체-특이적 단백질 (리자비딘과 융합된 FlaB 및 PcrV 2 슈도모나스 유래 항원을 갖는 키메라 단백질)은, PRO-CN (100%)에 비해 타입 6B (62%) 및 19A (102%)에 대한 강력한 PnPS 특이적 토끼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측면에서 강한 운반체로 부각된다. Rhavi-FlaB는 또한 PRO-CN에 비해 6B (66%) 및 19A (49%) 모두에 대한 강력한 반응으로 강한 운반 기능을 보여준다. Rhavi-MrkA는, 각각 PRO-CN에 비해 6B (27%) 및 19A (2%)에 대해 더 낮은 운반 단백질 기능을 갖는다. Rhavi-FlaBD2는, 6B (66%)에 대해 강력한 운반 기능을, 19A (20%)에 대해 더 낮은 운반 기능을 갖는다. 슈도모나스 (FlaBD2) 및 클렙시엘라 (MrkA) 항원 모두를 함유하는 키메라 Rhavi-FlaBD2-MrkA는, 6B (34%) 및 19A (45%) 모두에 대한 운반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운반 단백질인, PRO-CN보다 대략 2-배 낮고, 및 리자비딘 단독에 비해 증가된 것이다. PRO-CN의 30%를 초과하는 PnPS 모두에 대해 면역 반응이 발생되고, 더 많은 수의 병원체 특이적 단백질이 제세되기 때문에, Rhavi-FlaB-PcrV 및 Rhavi-FlaBD2-MrkA 변이체 모두는, 본 발명의 OPS 백본 중합체와 변종 MAPS에서 복합체화하기 위해 운반 단백질 후보로 선택된다. 입증된 운반 기능에 부가하여, 고도로 보존된 슈도모나스 PcrV, 및 어느 정도로 FlaB (즉, 약 45% 슈도모나스 균주가 FlaB를 발현) 및 이들 FPs에 대해 발생된 보존된 클렙시엘라 MrkA에 특이적인 운반 단백질 IgG은 이들 2가지 병원체에 의한 질병 원인에 대한 상당히 부가적인 광범위한 보호 범위를 초래할 수 있다.
대표적인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및 변이체의 운반 단백질 속성
단백질 |
박테리아 |
존재하는 TLR5 도메인 |
운반 기능* |
PRO-CN 기하 평균 6B의 % |
PRO-CN 기하 평균 19A의 % |
PRO-CN |
S. 뉴모니아
|
해당 없음 |
++++ |
100 |
100 |
Rhavi-PcrV-his |
녹농균 |
해당 없음 |
++ |
38 |
7 |
Rhavi-FlaB-his |
녹농균 |
있음 |
++++ |
66 |
49 |
Rhavi-FlaA1-his |
녹농균 |
있음 |
+++ |
40 |
9 |
Rhavi-FlaA2-his |
녹농균 |
있음 |
+++ |
42 |
16 |
Rhavi-MrkA-his |
K. 뉴모니아
|
해당 없음 |
+ |
27 |
2 |
Rhavi-his |
S. 뉴모니아
|
해당 없음 |
+ |
4 |
5 |
Rhavi-FlaBD2-his |
녹농균 |
없음 |
+++ |
66 |
20 |
Rhavi-FlaA2D2-his |
녹농균 |
없음 |
+ |
11 |
5 |
Rhavi-FlaBD2-MrkA-his |
녹농균
K. 뉴모니아
|
없음 |
+++ |
34 |
45 |
Rhavi-FlaB-PcrV-his |
녹농균 |
있음 |
++++ |
62 |
102 |
Rhavi-PcrV-MrkA-his |
녹농균 K. 뉴모니아 |
해당 없음 |
++ |
30 |
23 |
*100% 기준 (++++)으로 취한 PRO-CN 융합 단백질과 비교하여, 타입 19A 및 6B 폐렴구균 PS (PnPS)에 대한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융합 단백질의 능력. |
면역원성의 평가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PRO-CN, 또는 리자비딘과 MAPS 복합체로서 천연 PA O6 및 O10 OPS의 다양한 제형의 토끼에서 비교 면역원성 연구는, 도 15에 나타낸다. OPS-특이적 IgG ELISA 역가는 ELISA 단위로 보고된다. P0보다 100-배 초과의 OPS-특이적 IgG 항체의 역가는, 2차 면역화 (P2) 후에 이들 제형 중 어느 하나로 발생될 수 없었다. 이는, 천연 PA OPSs (10-30 kDa)의 분자 크기가 너무 작거나, 에피토프 결합가가 너무 낮거나, 또는 분자 구조가 운반 단백질인, PRO-CN와의 MAPS 복합체로서도 반응을 유도하는데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변종 MAPS로 복합체화된 KP-O1 OPS의 다양한 백본 중합체 변이체를 비교하는 면역원성 연구는 토끼에서 수행된다. 클렙시엘라 협막 다당류 (CPS) K19에 연결된 KP O1 OPS의 BP-1, BP-2a 및 BP-2b 변이체는 면역원성에 대해 평가된다. K19에 연결된 KP O5의 BP-1 변이체도 또한 평가된다. 4가지 혼합물의 변종 MAPS 복합체는, 그들의 면역원성에 대해 비교된다; 2-가 KP-O1 및 -O5 OPS BP-1 (이의 개략도는 도 2a에 나타냄); KP-O1 BP-2a (도 3); 및 KP-O1 BP-2b (도 4). 이들 다당류는, 운반 단백질 PRO-CN과 변종 MAPS에서 모두 복합체화되고, 주사 전에 명반으로 제형화된다. 항 KP-O1 OPS IgG 역가는, 면역이전 (P0), 1회 (P1) 또는 2회 면역화 (P2) 후 혈청에 대한 ELISA 단위로 나타내고, 도 16에 나타낸다. BP-2a OPS (12,000 EIA 단위)는, P0보다 100-배를 초과하는 O1 OPS-특이적 IgG 역가를 나타낸다. O1 OPS BP-1 및 O5 OPS BP-1은, P0보다 10-배 큰 역가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토끼에서 면역원성 연구는, 다양한 제형의 PA-O6 및 -O10 OPS BP-1을 비교한다: 명반과 함께 2-가 PA-O6, -O10 OPS BP-1 PRO-CN MAPS; 보조제 없는 (명반 없음) 2-가 PA-O6, -O10 OPS BP-1 PRO-CN MAPS; 2-가 PA-O6, -O10 OPS BP-1 다당류만 (명반, 단백질 없음); 복합체화되지 않은 PRO-CN과 2-가 PA-O6, -O10 OPS BP-1 혼합물 (비오틴화되지 않음; 명반; 변종 MAPS 형성 없음); 및 명반과 함께 일가 PA-IATS O6 OPS BP-1 PRO-CN MAPS (OPS의 부가적인 PA O6 균주 공급원). 항 PA-O6 및 PA-O10 OPS IgG 역가는, 면역이전 (P0), 1회 (P1) 또는 2회 면역화 (P2) 후 혈청에 대한 ELISA 단위로 제공되며, 도 17에 나타낸다. P0보다 100-배 초과의 PA-O6 및 PA-O10 OPS-특이적 IgG 역가는, OPS 백본 중합체가 명반과 함께 변종 MAPS 복합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ELISA 단위에서 5,000-11,000 범위) 달성될 수 있었다.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로 실험실 표준 성장 조건을 사용하여 생성된 KP OPS의 크기는, 10-15 kDa의 범위이고, 비슷한 조건하에서 얻어진 PA OPS (20-30 kDa)의 크기보다 비교적 작으며, 이러한 크기 차이는, 이러한 비교 면역원성 연구에서 PA OPS BP-1이 KP OPS BP-1보다 면역원성이 더 높은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KP OPS BP-2b 구축물은, 상당한 면역원성이 있다 (도 16). OPS 반복 단위에서 다른 구조적 차이는, 반복 단위의 PA-O6 및-O10 모두가 음전하인 반면, KP-O1 OPS는 중성인, 전하와 같은, 요인이 될 수 있다.
실시 예 7: 기능성 항체 분석
옵소닌 식균작용 사멸 분석
HL-60으로 옵소닌 식균작용 사멸 (OPK) 분석: 분석은, 변경과 함께, 이전에 기재된 대로 수행된다 (Ramachandran et al., 2016). 간단히 말하면, 분석은, 3x105 세포/㎖로 희석된 로그-기 배양물 (log-phase cultures)로부터 녹농균 및 K. 뉴모니아 균주; 새끼 토끼 보체 (BRC); 다형핵 백혈구 공급원으로서 PMA-분화된 HL-60 세포 (2x107 세포/㎖); 및 토끼 면역이전/ 여러번 희석의 면역 혈청을 사용하여 96-웰 둥근 바닥 플레이트에서 수행된다. 37℃에서 45분 동안 배양한 후, 분취액은 웰로부터 제거되고, 세균학상 한천 플레이트 (5% Hy-Yeast 추출물 [Kerry Bio-Science], 10% Animal-Free Soytone [Teknova], 5% NaCl [Americanbio] 및 1.4% Agar [Americanbio] (이하 HySoy Agar 또는 HSA라 함)) 상에 도말된다. HSA 상에서 밤새 배양한 후, CFU는 계수된다. 면역 혈청으로 처치된 박테리아에 대한 CFU가 면역이전 혈청의 유사한 희석의 CFU로부터 감소되는 경우, 양성 OPK 반응은 얻어진다.
도 18a는, 2차 면역화 전 및 후 KP O1 OPS BP-1 PRO-CN MAPS (좌측) 및 2차 면역화 전 및 후 KP O1 OPS BP-2a/리자비딘 PRO-CN MAPS (우측)에 대한 토끼 항혈청 및 HL-60 세포를 갖는 클렙시엘라 균주 KP 12-0581 (O1:K62)의 OPK를 비교한다. 동일한 토끼 유래의 면역이전 혈청 (P0)과 비교할 때 BP-2a 면역 혈청 (P2)에 대해 유의미한 KP 사멸능은 관찰된다. 유의미한 사멸은, 이들 구축물로 얻어진 O1-OPS-특이적 IgG 역가, 즉, 상대적 역가의 측면에서 BP-2a > BP-1과 일치하여, BP-1 면역 혈청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2가 PA O6, O10-OPS BP-1 PRO-CN MAPS 및 일가 PA IATSO6-OPS BP-1 PRO-CN MAPS에 대한 토끼 항혈청 및 HL-60 세포를 갖는 슈도모나스 균주 PA IATS O6의 OPK는, 도 18b에 나타낸다. PA IATSO6-BP-1 MAPS에 대한 개별 2 토끼 P2 혈청 (AFV 624; AFV 625)은, PA IATSO6의 유의미한 OPK (좌측 패널)를 발생하고, PA O6, O10-BP-1 MAPS에 대한 토끼 OP 면역화 후 혈청 (P2)은, 비록 혈청 AFV643 (P2)이 강력한 OPS 항체 역가를 시사하는 프로존 효과를 생성할지라도, PA O6의 유의미한 OPK를 또한 생성한다.
2-가 PA-O6, -O10 OPS BP-1-PRO-CN-MAPS 백신으로 발생된 4개의 개별 토끼 면역 혈청 (P2)은, HL-60 세포를 갖는 슈도모나스 O10 박테리아의 강력한 OPK를 유도한다 (도 18c).
토끼 항-Rhavi-FlaB-His 혼주 항혈청 및 HL-60 세포를 갖는 표적 균주 녹농균 균주 PAO1 (O5: FlaB를 발현)의 OPK는 도 22에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1/100 희석까지) 약간의 OPK는, 항-Rhavi-FlaB-His 항혈청에 의해 유도된다. 강한 OPKs는, 슈도모나스 백신 및 항-슈도모나스 FlaB 혈청으로 생성된 인간 IVIG로 기록된다. (-) 대조군 혈청은 어떠한 OPK도 유도하지 않았다.
인간 PMNs를 이용한 OPK 분석
분석은, 변경과 함께 이전에 기재된 대로 수행된다 (Cross et al., 1986). 간단히 말하면, 분석은, 덱스트란 침강 (dextran sedimentation) 및 Ficoll-Hypaque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건강한 인간 공여자로부터 새로 단리된 다형핵 백혈구 (PMN)를 사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수행된다. 스톡 PMN 용액 (stock PMN solution)은, 칼슘/마그네슘을 갖는 HBSS에서 23x106 세포/㎖로 조정된다. 60㎕의 PMN 스톡은 다양한 희석으로 10㎕의 열-불활성화 면역 전- 또는 면역-후 혈청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10-20㎕의 새끼 토끼 보체 또는 신선한 정상 인간 혈청 (NHS), 10㎕의 박테리아 (MOI ~1:1의 경우 ~106 CFU)와 함께 마이크로타이터 웰 (microtiter well)에 첨가된다. 시간 0에서, 샘플은 얻어지고, 희석되며, HySoy 플레이트 상에 도말된 다음, 96-웰 플레이트는 진탕시키면서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된다. 2시간에서, 샘플은 다시 얻어지고, 희석되며, 도말된다. 37℃에서 밤새 배양한 후, 플레이트는 계수된다. 각 웰에 대한 2시간 카운트는 0시간 카운트로 나누고, 사멸%는 1.0-T2h CFU/T0 CFU에 의해 계산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각 웰에 대한 CFU를 log CFU로 전환하고, 0시간 카운트에서 log CFU 카운트로부터 2시간 샘플에서 log CFU 카운트를 빼고, 사멸 차이를 "델타 log CFU"로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그 다음 면역-전 및 면역-후 혈청과 비-항체 대조군의 웰의 사멸을 비교한다.
유세포 분석 기반 결합 분석
중앙-로그 기 (Mid-log phase) 녹농균 및 K. 뉴모니아 균주는, 0.8의 OD600으로 PBS에서 농축된다. 다당류 항원의 경우, 박테리아는 항체를 첨가하기 전에 1% 포름알데히드로 고정된다. 단백질 항원의 경우, 박테리아는, 세포 표면 항원을 보존하기 위해 항체를 첨가하기 전에 포름알데히드 고정되지 않는다. 박테리아는, 토끼 면역이전/면역 혈청의 다양한 희석으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된다. 미결합된 항체는, 원심분리를 통해 박테리아를 펠릿화하고 PBS로 세척하여 제거되며, 세척된 세포는, 실온에서 1시간 동안 Alexa Fluor 488 염소 항-토끼 IgG 항체 (Invitrogen)로 배양된다. 미결합된 이차 항체는, 박테리아를 펠릿화하고 PBS로 세척하여 제거된다. 면역염색된 박테리아 (Immunostained bacteria)는, 생존가능한 유기체를 사멸시키기 위해 1% 포름알데히드에 고정된다. 샘플은, LSR Ⅱ 유세포 분석기 (BD) 내로 주입되고, FACS Diva (v. 6.1.3; BD) 및 FlowJo (v. 9.2; Tree Star)를 사용하여 분석된다.
K-19: O1- 및 O5-OPS BP-1, 및 BP-2a PRO-CN MAPS에 대한 토끼 항혈청으로 클렙시엘라 균주 B5055 (O1: K2)에 대한 FC 결합은, 도 19a에 나타낸다. 개별 토끼 혈청으로 전체 클렙시엘라 박테리아 균주 B5055에 대한 FC 결합은, 2-가 KP O1, O5 OPS BP-1 (#651-655) (좌측) 및 KP O1 OPS BP-2a (#666-670) (우측)에 대한 것이다.
전체 박테리아에 대한 이들 FC 결합 결과는,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된 KP O1 OPS에 상응하는 IgG ELISA 역가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데, 즉, 낮은 역가는 낮은 FC 결합에 상응하고, 적은 수의 이중-양성 이벤트는, 항체의 약한 결합 또는 KP B5055 표면 상에 제한된 OPS 항체 접촉 기회를 나타낸다.
O1-OPS 백본 중합체 BP-1 MAPS 및 BP-2a MAPS 구축물에 대한 KP O1-OPS IgG ELISA 역가
토끼 항혈청 |
EIA 역가 |
P0 |
P1 |
P2 |
KP 2v-O1, O5 BP-1 #651-655 |
57.29 |
130.25 |
537.31 |
KP O1 BP-2a #666-670 |
54.28 |
4,114.96 |
11,973.1 |
도 19b는, KP O1 OPS BP-2a PRO-CN MAPS 복합체로 생성된 토끼 항혈청 (AFV667)으로 3개의 클렙시엘라 O1 균주에 대한 FC 결합 산점도를 비교하며; 상부 패널에서, KP B5055에 대한 약한 FC 결합 (좌측), K. 카롤리에 대한 약한 결합 (중간) 및 캡슐화되지 않은 KP CVD 3001에 대한 강한 결합 (우측)이 관찰된다. 하부 패널 (도 19b)에서, 2-가 KP O1, O5 OPS BP-1 (AFV651) PRO-CN MAPS로 백신접종된 토끼 유래의 혈청과 일가 KP O1 OPS BP-2a PRO-CN MAPS로 생성된 토끼 혈청 (AFV667) 사이에 동일한 3개의 클렙시엘라 O1 균주에 대한 FC 총 결합 이벤트는 비교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O1 OPS BP-2a 구축물과의 FC 항체 결합이 상응하는 BP-1 OPS보다 훨씬 더 결합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O1 OPS에 대한 IgG 역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즉, KP O1 OPS BP-2a는, 이들의 상당하는 BP-1보다 더 면역원성이다. 이러한 결합 데이터는 또한 CPS의 양이 성장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가능한 한 항체 OPS 노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체 슈도모나스 박테리아 균주 PAK (O6:FlaA1)에 대한 FC 항체 결합의 비교는: 2-가 PA-O6, -O10 천연 OPS-PRO-CN-MAPS에 대한 토끼 혈청 (3마리 토끼의 혼주 혈청, 2차 면역화 후) (좌측); 2-가 PA O6, O10-OPS BP-1-PRO-CN MAPS에 대한 토끼 혈청 (3마리 토끼의 혼주 혈청, 2차 면역화 후) (중간); 일가 PAO6-IATS-OPS BP-1-PRO-CN MAPS에 대한 토끼 혈청 (3마리 토끼의 혼주 혈청, 2차 면역화 후)으로 도 20에 나타내고; PAK 균주에 대한 더 강한 FC 항체 결합은, PA O6 OPS MAPS의 천연 형태와 비교된 경우 PAO6 OPS BP-1 PRO-CN MAPS에 대해 관찰되는데, 이는, 이의 면역원성에 대한 OPS 기준에 대한 최소 크기, 즉, 천연 PA OPS 크기는 너무 작고, 이의 크기 뿐만 아니라 이의 에피토프 원자가를 증가시키기 위해 백본 다당류에 화학적 연결에 의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FlaB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다양한 리자비딘 FPs 변이체로 생성된 개별 토끼 항-FlaB 항체의 슈도모나스 균주 PAO1 (O5, FlaB를 발현)에 대한 결합은, FC에 의해 시험되고, 표 11에 요약된다. 3차 면역화 (P3) 혈청에 대한 면역이전 혈청 (P0)의 높은 결합력 및 임계치를 초과하는 결합 퍼센트는, 융합 단백질 항원에 대한 3마리 개별 토끼 혈청에 대해 나타낸다. 이러한 결합 데이터는, 리자비딘 FlaB-D2 및 FlaB-PcrV 융합 단백질이 강한 항체 결합을 유도할 수 있고, FlaB 편모를 발현하는 전체 슈도모나스 균주 PAO1을 인식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 이들 2 단백질이 정확한 폴딩으로 생산되고, 전체 슈도모나스 박테라아의 천연 편모 B 에피토프에 대한 특이성을 갖는 FlaB 항체를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항-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 혈청은, 전체 슈도모나스 균주 PAO1 상에 편모를 상당히 인식하지 못하거나 (또는 가장 좋지 않게 인식하는데), 이는, 리자비딘 구축물의 FlaB 부분이 적당히 폴딩되지 않았거나 또는 프로인트 항원보강제로 단백질 단독 면역화로서 평가되는 경우 MrkA를 갖는 융합 단백질의 맥락에서 면역원성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1에 열거된 몇몇의 개별 토끼 혈청 (#792, #798 및 #800)에 대한 FC 산점도는 또한, 리자비딘 FlaB-D2에 대한 개별 토끼 #792 (P3 출혈) 혈청에 대해 강한 FC 결합 (상부 패널); 리자비딘 FlaB-PcrV에 대한 토끼 혈청 #798 (P3 출혈)의 중간 FC 결합 (중간 패널); 및 리자비딘 FlaB-D2-MrkA에 대한 개별 토끼 혈청 #800 (P3 출혈)에 대한 낮은 FC 결합 (하부 패널)을 나타내는 도 21b에 나타낸다. 도 21a에서, (TL5 결합 영역이 결여된) 리자비딘 FlaB-도메인2 융합 단백질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토끼 혼주 혈청 (P3)은, 면역이전 (P0)과 비교하여 높은 퍼센트의 표지된 슈도모나스 균주 PAO1 모집단 (산점도 우측 패널)을 나타낸다.
슈도모나스 균주 PAO1 균주 (FlaB를 발현하는 O5)에 대한 토끼 항-FlaB 항체의 FC 결합
Rhiz-융합 단백질 |
토끼 # |
임계치를 초과하는 퍼센트 |
높은 결합 퍼센트 |
P0 |
P3 |
P0 |
P3 |
FlaB-D2 |
791 |
2.3 |
2.1 |
0 |
0.1 |
792 |
2.3 |
44.2 |
0.1 |
14.8 |
793 |
1 |
31.8 |
0 |
11.4 |
FlaB-PcrV |
797 |
3.3 |
28.5 |
0.1 |
7.7 |
798 |
3.6 |
13 |
0 |
2.2 |
799 |
2 |
11.7 |
0.1 |
2.2 |
FlaB-D2-MrkA |
800 |
0.3 |
3.7 |
0 |
0.1 |
801 |
0.3 |
2.2 |
0 |
0.1 |
802 |
1.9 |
3 |
0 |
0 |
이들 ELISA 및 FC 결합 데이터는, 리자비딘 FlaB-Domain2 및 리자비딘 FlaB-PcrV와 같은 FlaB를 함유하는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이 전체 슈도모나스 유기체 상에 천연 편모 B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성 항체를 유도하기 위해 적절한 폴딩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
운동성 및 운동성 억제 분석
녹농균 균주 PAO1 (O5: FlaB를 발현)은, HySoy 브로쓰 (broth)에서 중앙-로그 기로 성장된다. 박테리아는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되고, PBS에서 0.3의 OD600 판독 값으로 현탁된 다음, PBS에서 100-배 희석된다. 연한천 (Soft agar)은, 플라겔린으로 생성된 항혈청의 다양한 희석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24-웰 플레이트에 붓는다. 항혈청 희석은 3중 웰에서 수행된다. 화염 바늘 (flamed needle)은, 박테리아 현탁액에 담근 후 한천 플러그의 중심을 접종하는데 사용된다. 박테리아가 한천의 표면을 가로질러 접종의 부위로부터 퍼질때까지 플레이트는 30℃에서 14시간 이상 동안 배양된다. 박테리아 콜로니의 직경을 기록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로 캡쳐된다. 항-플라겔린 혈청을 갖는 한천 상에 콜로니의 크기가 면역이전 혈청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될 경우 운동성 억제 양성 반응은 결과한다.
리자비딘 FlaB 구축물: Rhavi-FlaB-D2; Rhavi-FlaB-PcrV; 및 Rhavi-FlaB-D2-MrkA로 백신접종된 토끼 유래의 혈청의 ELISA 및 상응하는 운동성 억제 역가는, 표 12에 요약된다. 표 12에서, FlaA1 및 FlaB에 대한 ELISA 역가는, 3차 면역화 후 (P3) 항혈청에 대해 나타내고, 녹농균 균주 PAO1 (O5: FlaB 발현)을 사용하는 각각의 P3 항혈청에 대한 운동성 억제 역가는 또한 나타낸다. 항-FlaB 항체 (ELISA 역가)의 수준과 상응하는 운동성 억제 역가 사이에 좋은 상호관계, 즉, 높은 역가의 FlaB 특이적 항체를 갖는 Rhavi-FlaB-D2 및 Rhavi-FlaB-PcrV 항혈청 모두는, PAO1의 높은 수준의 운동성 억제를 유도하지만, 반면에, Rhavi-FlaB-D2-MrkA 융합 단백질 구축물은, 아마도 구축물에서 FlaB 단백질 구성요소의 부적절한 폴딩 또는 프로인트 항원보강제로 단백질 단독 면역화로서 평가된 경우 MrkA를 갖는 융합 단백질의 맥락에서 면역 반응의 부족으로 낮은 수준의 FlaB 항체에 기인하여 유도하지 않는다.
다양한 리자비딘 FlaB 함유 구축물에 대한 ELISA 및 운동성 억제 역가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구축물 |
토끼 # |
3차 백신접종 후 혈청 |
FlaA1 ELISA |
FlaB ELISA |
운동성 억제 역가 |
FlaB-D2 |
AFV791 |
744 |
279,209 |
1250 |
AFV791 |
627 |
154,104 |
1250 |
AFV793 |
763 |
423,514 |
250 |
FlaB-PcrV |
AFV797 |
31,497 |
318,117 |
1250 |
AFV798 |
40,911 |
230,702 |
1250 |
AFV799 |
41,566 |
499,941 |
1250 |
FlaB-D2 MrkA |
AFV800 |
1916 |
35,651 |
10 |
AFV801 |
944 |
53,477 |
50 |
AFV802 |
291 |
34,790 |
10 |
(슈도모나스 PcrV 단백질 구축물에 대한) 세포독성 분석
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간단히 말하면, 박테리아 분비 시스템 단백질 PcrV에 대해 생성된 토끼 항혈청은, 평평한 바닥 96-웰 플레이트 (Corning Costar)에 접종된 A549 세포에 첨가된다. 모든 항혈청 및 박테리아 희석은, 항생제 없는 RPMI 배지에서 수행된다. ExoU를 발현할 수 있는 로그-기 녹농균 균주 PAK는, 대략 10의 MOI로 첨가되고, 37℃/5% CO2에서 2시간 동안 배양되며, 그 동안 A549 세포는 중독되어 더 이상 생존 할 수 없게 된다. 각 웰에서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는, 필수 염료 (vital dye)인 뉴트럴 레드의 세포 흡수에 의해 평가된다 (슈도모나스는 또한 Alamar Blue를 대사 작용하며 사용될 수 없다). 각 웰에서 생존 가능한 세포의 퍼센트는, 뉴트럴 레드 흡광도를 측정하고, 박테리아에 노출되지 않은 세포에 대한 이들 값을 비교하여 평가된다. 이러한 분석에 대한 양성 반응은, PcrV 항혈청이 동등한 희석의 면역이전 혈청과 비교하여 생존 가능한 세포 (즉, 뉴트럴 레드를 흡수할 수 있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킬 때 결과한다.
슈도모나스 박테리아에 의한 세포독성의 예방의 모델 (Warrener et al., 2014)은, 항-Rhavi-FlaB-PcrV FT 토끼 항체의 효능을 시험하는데 사용되고, 도 24a에 나타낸다. 슈도모나스 균주 PAK (O6:FlaA1)에 의한 중독으로부터 A549 (폐 암종) 세포의 항-PcrV 항체 보호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A549 단일층은, Rhavi-FlaB-PcrV 융합 단백질로 백신접종된 토끼 (3의 혼주, 3차 면역화 후, P3) 유래의 10% 혈청의 존재하에 4시간 동안 슈도모나스 균주 PAK (O6:FlaA1)로 감염된다. 항-Rhavi-FlaB-PcrV 혈청은, 덜 둥글어지고 데어낸 세포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면역이전 혈청과 비교하여 슈도모나스 균주 PAK에 의한 중독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다음 실험 (도 24b)에서, A549 단일층 세포는, 다양한 희석에서 혈청 항 Rhavi-FlaB-PcrV (혼주 3, P3)의 존재하에 슈도모나스 균주 PAK로 4시간 동안 감염된다. 세포는 PBS로 세척되고, 뉴트럴-레드로 1시간 동안 배양된다. 세포는 용해되고, 각 웰에서 염료 흡광도는 기록된다. 항-Rhavi-FlaB-PcrV (P3) 혈청은, 면역이전 혈청과 비교하여 1 내지 40의 희석으로 PAK 중독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이론에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Rhavi-FlaB-PcrV에 대한 반응의 다 클론성 성질뿐만 아니라 융합 단백질 내의 이의 형태는, 융합 단백질의 PcrV 성분에 대한 항체의 친화성이 증가하는 이유일 수 있다. A549 세포 및 항-FlaB-PcrV 토끼 혈청 (3차 면역화 후; P3)을 사용하는 이러한 세포독성 분석에서 여러 슈도모나스 균주는 시험된다 (도 25): 고 독성 PA IATS O1 (닫힌 다이아몬드)로, 세포독성으로부터 혈청 보호는 관찰되지 않음; 세포독성 PA M-2 O5 균주 (닫힌 원)로, 혈청 보호는 역시 없음; 비-세포독성 PA IATS O6 (닫힌 삼각형)으로, 독성은 발견되지 않음; 세포독성 PA 17002 (O10) (닫힌 사각형)으로, 명확한 혈청 보호는 있음. 균주에 따른 혈청 보호에서 이러한 변화는, 슈도모나스 균주에서 PcrV 표적의 발현 및 수준을 반영할 수 있다.
세포-부착 분석
A549 세포에 대한 클렙시엘라 부착은, 약간의 변경과 함께 기재된 바와 같이 분석된다 (Clements et al., 2008). 핌브리아 단백질 MrkA에 대해 생성된 토끼 항혈청은, RPMI 버퍼 (보충제 없음)로 희석되고, 96-웰 플레이트에 접종된 A549 세포에 첨가된다. 동일한 부피의 K. 뉴모니아 O5 균주 6997 (104 CFU/㎖)은, 항혈청 희석과 함께 혼합된다. 감염된 세포는, 37℃ 및 5% CO2에서 1시간 동안 배양된 후, 그 시간 후에 웰은, 멸균 PBS로 6회 세척시켜 미결합된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세포는, PBS 내에 0.1% 트리톤 X-100으로 용해되고, 용액의 분취량은 HSA 상으로 도말된다. 플레이트는 밤새 배양되고, CFU의 수는 계산된다. 양성 분석은, 부착 클렙시엘라의 수가 동등한 희석의 면역이전 혈청과 비교하여 MrkA 항혈청으로 감소된 경우, 결과한다.
항-Rhavi-FlaBD2-MrkA 토끼 혈청에 의한 A549 세포에 대한 클렙시엘라 KP O5 6997 (원산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부착의 차단은 도 23에 나타낸다. 높은 역가의 Rhavi-FlaBD2-MrkA (3차 면역화 후, P3) 특이적 혈청은, 1/1000의 희석까지 A549 세포에 대한 KP 균주 6997의 결합을 상당히 억제하지만, 면역이전 혈청 (P0)은 아니었다. 이는, Rhavi-FlaBD2-MrkA FP의 MrkA 단백질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폴딩되었고, KP 박테리아의 표면 상에 천연 MrkA에 특이적인 기능성 차단 항체를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2개의 MrkA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Rhavi-FlaB-D2-MrkA 및 Rhavi-PcrV-MrkA로 면역화하여 얻어진 개별 항-MrkA 토끼 항혈청을 사용하여 제2 실험은 수행되며, 그 결과는 표 13에 요약된다. (#804 하나만 제외한) 모든 MrkA FPs 토끼 혈청은, A549 세포에 대한 클렙시엘라 O5 균주 6997의 부착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이들 2개의 리자비딘 FPs가 기능성 MrkA-특이적 항체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A549 세포에 결합하는 클렙시엘라 O5 균주 6997의 항-MrkA 혈청 억제
토끼 혈청 |
P3가 감소된 부착으로 희석 |
# 800-Rhavi FlaBD2 MrkA |
1 내지 150 |
# 801-Rhavi FlaBD2 MrkA |
1 내지 2400 |
# 802-Rhavi FlaBD2 MrkA |
1 내지 75 |
# 803-Rhavi PcrV MrkA |
1 내지 300 |
# 804-Rhavi PcrV MrkA |
0 감소 |
# 805-Rhavi PcrV MrkA |
1 내지 75 |
MrkA 항체 반응 분석
MrkA/type-3 핌브리아를 발현하는 클렙시엘라는, 항-MrkA 항체에 의해 응집되어, 박테리아가 클러스터되고 용액에서 빠져 나온다. 면역이전 또는 면역 혈청은, Rhavi-MrkA-his, Rhavi-FlaB-D2-MrkA-his, 또는 Rhavi-PcrV-MrkA-his 운반 단백질로 접종된 토끼로부터 평가된다. 클렙시엘라 균주 4425 (O5: K57)는, 96-웰 둥근-바닥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25℃에서 1시간 동안 PBS에서 혈청 희석과 함께 배양된다. 비-응집된 박테리아를 현탁시키기 위해 플레이트는 부드럽게 흔들어진다. 각 웰로부터의 상청액은 조심스럽게 제거되고, 새로운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로 옮겨진며, 600 nm에서의 광 산란은 용액 탁도를 평가하기 위해 측정된다. 항체 유도 응집으로 인한 상청액에서 감소된 수의 박테리아를 나타내는 항체 없는 대조군 웰의 흡광도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는 경우, 양성 결과는 얻어진다. 분석의 결과는, 600nm에서의 흡광도의 차이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K. 뉴모니아가 면역이전 혈청보다 많이 면역 혈청에 의해 응집된 최고 항체 희석 (최저 농도)으로 기록된다.
다양한 MrkA 리자비딘 융합 단백질 구축물: Rhavi-FlaB-D2-MrkA 및 Rhavi-PcrV-MrkA에 대한 토끼 항혈청으로,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균주 O5K57, 균주 4425 및 O1 K22, 균주 170381의 응집의 평가는, 표 14에 요약된다. 2차 (P2) 및 3차 (P3) 면역화 후 각 구축물에 특이적인 3개의 개별 토끼 항혈청에 대한 역가는, 검출가능한 응집으로 최고 혈청 희석이다. 이 실험에서, 응집된 덩어리는 침전되도록 하고, 잔류 (비-응집된) 양의 박테리아는 광학 밀도 (OD) 600 nm에서 측정된다. 2개의 구축물 Rhavi-FlaB-D2-MrkA 및 Rhavi-PcrV-MrkA에 의해 유도된 MrkA-특이적 항체는, 클렙시엘라 균주 모두에서 발현된 MrkA를 인식하여, 이들 2개의 융합 단백질 상에 MrkA 성분이 적당히 폴딩되고, 기능성 항체 반응을 발생함을 나타낸다.
리자비딘 FP MrkA-특이적 항체에 의한 클렙시엘라 박테리아의 응집
단백질 구축물 |
토끼 # |
검출가능한 응집을 가진 최고 혈청 용액 |
KP 4425 O5 K57 |
KP 170381 O1 K22 |
P2 |
P3 |
P2 |
P3 |
Rhavi-FlaB-D2-MrkA-His |
AFV800 |
103 |
105 |
102 |
103 |
AFV801 |
104 |
105 |
103 |
105 |
AFV802 |
104 |
104 |
102 |
104 |
Rhavi-PcrV-MrkA-His |
AFV803 |
103 |
104 |
102 |
104 |
AFV804 |
104 |
105 |
102 |
105 |
AFV805 |
104 |
104 |
102 |
104 |
실시 예 8: 녹농균 열 손상 및 균혈증 마우스 모델
열 손상 및 균혈증 모델은, 변경과 함께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Neely et al., 2002). 열 손상의 경우, 11-주령의 CD-1 교배 마우스는, 등부분을 면도하고, 1x1.5 인치 개구부를 갖는 내-열성 중합체 카드 주형 (card template)에 노출 전에 케타민 및 자일라진으로 마취된다. 이러한 플랫폼 (platform)은, 12-15%의 총 신체 표면적 열 손상을 유발하도록 설계된다. 에탄올 (0.5㎖ 100%)은, 창문 모양으로 표시된 등 부위에 골고루 발라지고, 발화된 후 정확히 10초 동안 태운 다음 불을 끈다. 화상 직후, 마우스는 수화 (hydration)를 위해 0.5 ㎖의 멸균 생리 식염수가 제공된다. 녹농균은 그 다음 열 상처 아래에 SC로 주사된다. 상처는 피복되지 않은 채 나둔다. 사망 및 장기 부담 (즉, 먼 전파)에 대해 감염 후 14일 동안 동물은 면밀히 모니터링된다.
항-슈도모나스 FlaB 토끼 항체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화상 상처 패혈증 마우스 모델은 사용된다 (Cryz et al., 1984). 이러한 모델에서, CD1 마우스는,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이 입여지고, 28 CFU의 녹농균 균주 M2 (05:FlaB) (화상-상처 감염 LD50 <1 x 102)는, 화상 상처에 주사된다. CD-1 마우스는, 화상 상처 공격 전에 항-FlaB 혈청, 또는 면역이전, PBS로 IP 주사된다. 도 26에서 Kaplan-Meier 생존 플롯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는, FlaB 발현 슈도모나스 균주 M-2로의 상처 공격으로부터 10일 이상 동안 항-FlaB에 의해 보호되는 반면,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모든 마우스는 상처 공격으로부터 사망하였다.
균혈증 모델에서, 7-주령 BALB/c 마우스는, K. 뉴모니아 또는 녹농균으로 IV 공격 24시간 전에 IP 투여에 의한 백신-유도된 항체로 또는 대조군 IgG로 처치된다. 유기체에 따라, 동물은, 혈액으로부터의 제거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1-4시간에 걸친 간격을 두고 출혈시킨 후,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감염 후 1-24시간에 간 및 비장을 수거한다.
실시 예 9: 마우스 보호 분석
제거율 및 장기 부담 마우스 모델
클렙시엘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KP OPS-특이적 항체의 능력은, 제거율 및 장기 부담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된다. CD1 마우스 (3의 그룹)는, KPO1 BP-2a OPS-PRO-CN MAPS에 대한 토끼 혈청으로 IP 투여된 후, 클렙시엘라 KP B5055 O1 (9x104 CFU)로 (IV) 공격 받는다. 공격 14시간 후에 비장 KP 생존 가능한 카운트는 측정된다. 면역이전 혈청 (P0)을 받은 마우스의 비장과 비교하여 면역 혈청 (P2)을 받은 마우스의 비장에서 KP 생존 가능한 카운트의 유의미한 감소는 관찰된다 (도 27). 이러한 데이터는, OPS BP-2a MAPS 백신에 의해 유도된 O1 OPS-특이적 항체가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유기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며, 따라서, 클렙시엘라 감염에 대해 보호성임을 나타낸다.
살리실산 나트륨에서 성장된 KP (O1:K2)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균주 B5055 (O1:K2)는, CPS의 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2.5mM 살리실산 나트륨 (Sigma)을 함유하는 HySoy 브로쓰에서 밤새 성장된다 (Domenico, 1989). 2.5 mM 살리실산 나트륨을 갖는 12㎖의 HySoy 브로쓰는 5% 밤새 배양액으로 접종된 후 중앙-로그 기 (진탕하면서 37℃)로 성장된다. 박테리아는,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된 다음, 멸균 PBS에 대략 1x108 CFU/㎖의 농도로 재현탁된다. 농축된 박테리아는, PBS에서 2x105 CFU/㎖로 희석된다. 0.1㎖ 토끼 혈청의 IP 투여 1시간 후, 암컷 마우스 CD-1, 8-12-주령 마우스는, 0.1 ㎖ 내에 2x104 CFU B5055로 IP 감염된다. 마우스는, 7일의 기간 동안 사망률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실험 1에서, CD1 마우스는, 2x104의 KP O1 B5055 유기체로 IP 공격받기 1시간 전에 0.1 ㎖의 KP O1 OPS BP-1; BP-2a PRO-CN MAPS 토끼 또는 HK KP O1: K2 토끼 항혈청 (1/10 희석)을 IP로 제공받는다. 실험 결과는 표 15에 요약된다.
살리실산 나트륨 에서 성장한 KP O1: K2 유기체로 마우스 수동 보호
혈청 |
생존 마우스 |
ELISA 역가 |
실험 1 |
실험 2 |
PBS |
5 중 0 |
5 중 0 |
0 |
P0 BP-1 |
4 중 1 |
5 중 0 |
57 |
P2 BP-1 |
5 중 0 |
5 중 2 |
537 |
P0 BP-2a |
5 중 0 |
5 중 2 |
54 |
P2 BP-2a |
5 중 5 |
5 중 4 |
11,973 |
HK 대조군* |
5 중 5 |
5 중 3 |
27,343 |
*1/10 희석시 제공된 HK KP O1 유기체 토끼 항혈청 양성 대조군 |
실험 1에서, 양성 대조군 HK KP O1 박테리아 및 KP O1 OPS BP-2 PRO-CN MAPS 항혈청은, KP O1:K2 (B5055) 공격에 대하여 완전 보호를 제공한 반면, PBS 대조군 및 KP O1 OPS BP-1 PRO-CN MAPS 항혈청은 마우스를 보호하지 못했다.
실험 2에서, CD1 마우스 (5/그룹)는, 2x104의 KP O1 B5055 박테리아에 의한 IP 박테리아 공격 전에 0.1mL의 면역 또는 면역이전 토끼 혼주 혈청을 IP로 제공받았다. 마우스는, 각각 음성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PBS 및 KPO1 HK 혈청 (1/10 희석)을 받는다. 모든 KP O1 OPS PRO-CN MAPS 혈청은, 비록 BP-2a를 받은 마우스 (5마리 중 4마리)가 공격에서 훨씬 더 생존할지라도, 모델에서 보호를 제공할 수 있었다. KP O1 OPS BP-1 PRO-CN MAPS 혈청은, 5마리 중 2마리 마우스 생존으로 약간의 보호를 제공한다. PBS를 받은 마우스 중 어느 것도 공격에서 생존하지 못했다. 이러한 생존 결과는, 항-KP O1 OPS-특이적 IgG ELISA 역가의 수준과 잘 일치하며 상당히 관련이 있다 (즉, 더 높은 수준의 항체로 더 우수한 수준의 보호가 관찰됨).
마우스 모델에서 슈도모나스 유기체에 대한 수동 보호
슈도모나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PA OPS-특이적 항체의 능력은, 동물을 내독소의 치명적인 영향에 민감하게 하고, 감염에 더욱 영향받기 쉽게 하기 위해, D-갈락토사민과 함께 PA 균주 17002 (O10)에 의해 IP 공격받은 CD1-마우스를 사용하는 수동 보호 생존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된다 ( Galanos et al., 1979). 마우스는, (1x106 CFU) 및 D-갈락토사민으로 공격받기 1시간 전에 토끼 항-2-가 PA O6/O10 BP-1 PRO-CN MAPS (IP 제공된, 토끼 AFV624 또는 AFV629)를 받는다. 결과는 표 16에 요약된다. 이러한 보호 연구에서, PA O6/O10 2v BP-1 PRO-CN MAPS 면역 혈청 (AFV624;P2)은, 면역이전 혈청 (AFV624 P0)과 비교하여 PA O10 균주 17002에 대해 40% 더 많이 마우스를 보호한다. 유사하게, PA O6/O10 2v BP-1 PRO-CN MAPS 면역 혈청 (AFV629;P2)은, 면역이전 혈청 (AFV629 P0)과 비교하여 PA O10 균주 17002에 대하여 40% 더 많이 마우스를 보호한다. 열-사멸된 PA O10 박테리아로 발생된 높은 역가의 토끼 항혈청 양성 대조군은, PBS 대조군에 비해 상당한 보호를 제공한다. 몇몇 토끼 유래의 면역이전 혈청은, PBS (AFV624 P0)와 비교하여 약간의 보호가 제공될 수 있다. ELISA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 백신-유도된 PA O10 OPS-특이적 IgG 항체의 수준과 보호의 수준 (생존) 사이에는 약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16).
2-가 PA O6/O10 BP-1 PRO-CN MAPS 그룹 유래의 D-갈락토사민 및 PA O10 균주 17002로 공격받은 마우스에서의 수동 보호.
그룹 |
생존률 |
ELISA 역가 PA O10 OPS (EU/㎖) |
PBS 대조군 |
0/5 |
|
항-열 사멸된 O10 |
4/5 |
7,745,537 |
토끼 AFV624 P0 |
2 /5 |
12.5 |
토끼 AFV624 P2 |
4/5 |
15,246 |
토끼 AFV629 P0 |
0 /5 |
12.5 |
토끼 AFV629 P2 |
2/5 |
3,955 |
도 28은, 캡슐 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살리실레이트에서 성장한 클렙시엘라 균주 B5055 (O1:K2)로의 감염 전에, KPO1 BP-1 OPS-PRO-CN MAPS에 대한 토끼 혈청이 투여된 마우스의 수동 보호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생존율을 도시한다. CD1 마우스 (5/그룹)는, 2x104 CFU 클렙시엘라 균주 B5055 (O1:K2)로 IP 박테리아 공격 전에, 0.1mL의 토끼 면역 (P2) 또는 면역이전 (P0) 혼주 혈청을 IP로 제공된다. P0 또는 P2 KPO1 BP-1 OPS-PRO-CN MAPS 혈청을 받은 마우스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생존율 플롯은 나타낸다. P2 혈청은, P0 혈청이 투여된 마우스에 비해 연장된 기간 동안 생존하는 KPO1 BP-1 OPS-PRO-CN MAPS 항혈청을 받은 마우스의 더 높은 비율로 모델에서 보호한다.
실시 예 10: 대표적인 다-가 면역원성 조성물
대표적인 4-가 KP 백신
4개의 다른 면역원성 복합체는 별도로 준비된 후 함께 제형화되어 대표적인 4-가 KP 백신을 제조한다.
각 복합체는, K19 다당류의 비오틴화가 수반되는 산화된 K19 다당류에 단일 KP 박테리아 혈청형 유래의 OPS의 접합에 의해 제조된, BP-1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그 다음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과 복합체화된다. 이들 복합체의 각 구성요소는 표 17에 상세히 열거된다.
대표적인 4-가 KP 백신에 포함된 복합체의 구성요소.
복합체 |
BP-1 CPS |
병원체 |
혈청형 |
운반 단백질 |
1 |
KP K19 |
클렙시엘라
|
O1 |
Rhavi-FlaBD2-MrkA |
2 |
KP K19 |
클렙시엘라
|
O2 |
Rhavi-FlaBD2-MrkA |
3 |
KP K19 |
클렙시엘라
|
O3 |
Rhavi-FlaBD2-MrkA |
4 |
KP K19 |
클렙시엘라
|
O5 |
Rhavi-FlaBD2-MrkA |
이들 4개의 복합체는, 하기 표 21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대표적인 8-가 PA 백신
8개의 다른 면역원성 복합체는, 별도로 준비한 후 함께 제형화되어 대표적인 8-가 PA 백신을 제조한다.
각 복합체는, K19 다당류의 비오틴화가 수반되는 산화된 K19 다당류에 단일 PA 박테리아 혈청형 유래의 OPS의 접합에 의해 제조된, BP-1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그 다음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과 복합체화된다. 이들 복합체의 각 구성요소는 표 18에 상세히 열거된다.
대표적인 8-가 PA 백신에 포함된 복합체의 구성요소.
복합체 |
BP-1 CPS |
OPS |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 |
1 |
KP K19 |
PAO1 |
Rhavi-FlaBD2-MrkA |
2 |
KP K19 |
PAO2 |
Rhavi-FlaBD2-MrkA |
3 |
KP K19 |
PAO3 |
Rhavi-FlaBD2-MrkA |
4 |
KP K19 |
PAO4 |
Rhavi-FlaBD2-MrkA |
5 |
KP K19 |
PAO5 |
Rhavi-FlaBD2-MrkA |
6 |
KP K19 |
PAO6 |
Rhavi-FlaBD2-MrkA |
7 |
KP K19 |
PAO10 |
Rhavi-FlaBD2-MrkA |
8 |
KP K19 |
PAO11 |
Rhavi-FlaBD2-MrkA |
이들 8개의 복합체는 하기 표 21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1
12개의 다른 면역원성 복합체는, 별도로 준비된 후 함께 제형화되어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1을 제조한다.
각 복합체는, K19 다당류의 비오틴화가 수반되는 산화된 K19 다당류에 OPS의 접합에 의해 제조된, BP-1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그 다음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과 복합체화된다. 이들 복합체의 각 구성요소는 표 19에 상세히 열거된다.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1에 포함된 복합체의 구성요소.
복합체 |
BP-1 CPS |
OPS |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 |
1 |
KP K19 |
KPO1 |
Rhavi-FlaBD2-MrkA |
2 |
KP K19 |
KPO2 |
Rhavi-FlaBD2-PcrV |
3 |
KP K19 |
KPO3 |
Rhavi-FlaBD2-MrkA |
4 |
KP K19 |
KPO5 |
Rhavi-FlaBD2-PcrV |
5 |
KP K19 |
PAO1 |
Rhavi-FlaBD2-PcrV |
6 |
KP K19 |
PAO2 |
Rhavi-FlaBD2-PcrV |
7 |
KP K19 |
PAO3 |
Rhavi-FlaBD2-PcrV |
8 |
KP K19 |
PAO4 |
Rhavi-FlaBD2-PcrV |
9 |
KP K19 |
PAO5 |
Rhavi-FlaBD2-MrkA |
10 |
KP K19 |
PAO6 |
Rhavi-FlaBD2-MrkA |
11 |
KP K19 |
PAO10 |
Rhavi-FlaBD2-MrkA |
12 |
KP K19 |
PAO11 |
Rhavi-FlaBD2-MrkA |
이들 12개의 복합체는, 하기 표 21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2
12개의 다른 면역원성 복합체는, 별도로 준비된 후 함께 제형화되어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2를 제조한다.
각 복합체는, K19 다당류의 비오틴화가 수반되는 산화된 K19 다당류에 OPS의 접합에 의해 제조된, BP-1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그 다음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과 복합체화된다. 이들 복합체의 각 구성요소는 표 20에 상세히 열거된다.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2에 포함된 복합체의 구성요소.
복합체 |
BP-1 CPS |
OPS |
리자비딘 융합 운반 단백질 |
1 |
KP K19 |
KPO1 |
Rhavi-FlaBD2-MrkA |
2 |
KP K19 |
KPO2 |
Rhavi-FlaBD2-MrkA |
3 |
KP K19 |
KPO3 |
Rhavi-FlaBD2-MrkA |
4 |
KP K19 |
KPO5 |
Rhavi-FlaBD2-MrkA |
5 |
KP K19 |
PAO1 |
Rhavi-FlaBD2-MrkA |
6 |
KP K19 |
PAO2 |
Rhavi-FlaBD2-MrkA |
7 |
KP K19 |
PAO3 |
Rhavi-FlaBD2-MrkA |
8 |
KP K19 |
PAO4 |
Rhavi-FlaBD2-MrkA |
9 |
KP K19 |
PAO5 |
Rhavi-FlaBD2-MrkA |
10 |
KP K19 |
PAO6 |
Rhavi-FlaBD2-MrkA |
11 |
KP K19 |
PAO10 |
Rhavi-FlaBD2-MrkA |
12 |
KP K19 |
PAO11 |
Rhavi-FlaBD2-MrkA |
이들 12개의 복합체는, 하기 표 21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실시 예 11: 녹농균/K. 뉴모니아 12-가 백신의 토끼 면역화 연구
동물의 면역화
토끼의 면역화 전에, 대표적인 4-가 KP 백신, 대표적인 8-가 PA 백신,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1, 및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2는, 주사 전 대략 48시간에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복합체는, 40mM 히스티딘, pH 5.5, 150 mM NaCl, 및 1.25 mg/㎖ 알루미늄 폴스페이트 겔과 함께 4℃에서 밤새 엔드-오버-엔드 혼합한 단일 또는 다가 혼합물로서 각 혈청형 BP-1의 5㎍ PS 투여량에 대해 10㎍/㎖ 및 각 혈청형 BP-1의 1㎍ PS 투여량에 대해 2㎍/㎖의 최종 농도로 보조제에 흡착된다. 이들 제형화된 혼합물은, 투여량 당 0.5 ㎖의 부피로 면역화를 위해 직접 사용된다. 대표적인 4-가 KP 백신, 대표적인 8-가 PA 백신,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1, 및 대표적인 12-가 KP/PA 백신 2의 조성물의 요약은 표 21에 제공된다.
토끼 연구 NCB012에 사용된 백신 제형의 요약.
그룹 |
백신 |
병원체 |
운반 단백질 |
혈청형 |
(총) 투여량 PS |
단백질:PS 비 (총 단백질) |
보조제 |
토끼 |
1 |
12-가 KP/PA 백신 2 BP 당 5㎍ PS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1, O2, O3, O4, O5, O6, O10, O11 |
5㎍ (60㎍) |
3:1 (180㎍) |
625㎍ AlPO4 |
10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1, O2, O3, O5 |
2 |
12-가 KP/PA 백신 2 BP 당 1㎍ PS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1, O2, O3, O4, O5, O6, O10, O11 |
1㎍ (12㎍) |
3:1 (36㎍) |
625㎍ AlPO4 |
10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1, O2, O3, O5 |
|
3 |
8-가 PA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1, O2, O3, O4, O5, O6, O10, O11 |
5㎍ (40㎍) |
3:1 (120㎍) |
625㎍ AlPO4 |
10 |
4 |
4-가 KP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1, O2, O3, O5 |
5㎍ (20㎍) |
3:1 (60㎍) |
625㎍ AlPO4 |
10 |
5 |
12-가 KP/PA 백신 1 BP 당 5㎍ PS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5, O6, O10, O11 |
5㎍ (60㎍) |
3:1 (180㎍) |
625㎍ AlPO4 |
10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1, O3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PcrV-his |
O1, O2, O3, O4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PcrV-his |
O2, O5 |
6 |
12-가 KP/PA 백신 1 BP 당 1㎍ PS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5, O6, O10, O11 |
1㎍ (12㎍) |
3:1 (36㎍) |
625㎍ AlPO4 |
10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1, O3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PcrV-his |
O1, O2, O3, O4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PcrV-his |
O2, O5 |
12-가 KP/PA 백신 1은, 처치 그룹 5 및 6 (운반 단백질로서 FlaBD2-MrkA 및 FlaBD2-PcrV를 사용)에 투여되고, 12-가 KP/PA 백신 2는, 처치 그룹 1 및 2 (운반 단백질로서 FlaBD2-MrkA을 사용)에 투여된다. 비교를 위해, 8-가 PA 백신 또는 4-가 KP 백신을 받은 2개의 부가적인 처치 그룹은 이 연구에 포함된다. 처치 그룹 3은 8-가 PA 백신을, 처치 그룹 4는 4-가 KP 백신을 받았다. 그룹 1, 3, 4, 및 5는, 백신에 5㎍의 각 다당류 (PS)을 받았으며, 처치 그룹 2 및 6은, 백신에 1 ㎍의 각 PS의 저 투여량을 받았다. 모든 백신은, 보조제로서 동일한 양의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625㎍)를 함유한다.
2개의 IM 면역화 (0.5 ㎖)는, 4주 간격으로 4개월령 뉴질랜드 흰 토끼 (Cocalico Biologicals, 그룹당 n = 10)에 투여된다. 1차 면역화 4주 후 및 2차 면역화 2주 후 혈액 샘플은 수집된다.
OPS에 대한 면역 반응
4-가 KP 백신과 비교한 12-가 KP/PA 백신 1에서 KP OPS에 대한 면역 반응
도 29는 4-가 KP 백신 (5㎍ 투여량, 처치 그룹 4)와 비교한 12-가 KP/PA 백신 1 (5㎍ 투여량, 처치 그룹 5)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에 대한 KP OPS IgG 종말점 ELISA 역가의 결과를 도시한다.
모든 KP OPS 백신 혈청형 (및 KP19 CPS)에 대한 강력한 IgG 반응은, 4-가 KP 백신에 각 KP OPS 타입과 12-KP/PA 백신 1의 각각의 상응하는 KP OPS IgG 역가 사이의 역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입증된다. 12-가 KP/PA 백신 1로 유도된 KP OPS 반응이 약간 더 나은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이것이 (BP-1 MAPS로 모두 제조된) 12-가 KP/PA 백신 1에 포함된 부가적인 8 PA OPS와 조합된 경우, 4-가 KP 백신의 각각의 KP OPS에 대한 면역 반응에 음성 방해 (negative interference)가 없음을 나타낸다.
8-가 PA 백신에 비교한 12-가 KP/PA 백신 1에서 PA OPS에 대한 면역 반응
도 30은, 8-가 PA 백신 (5㎍ 투여량, 처치 그룹 3)과 비교한 12-가 KP/PA 백신 1 (5㎍ 투여량, 처치 그룹 5)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에 대한 PA OPS IgG 종말점 ELISA 역가의 결과를 도시한다.
KP OPS 반응에 대해 관찰된 바와 같이, 모든 PA OPS 백신 혈청형에 대한 강력한 IgG 반응은, 8-가 PA MAPS 백신에서 각 PA OPS 타입과 12-가 KP/PA 백신 1의 각각의 상응하는 PA OPS IgG 역가 사이에 역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입증된다. 이러한 결과는, 이것이 (모두 BP-1 MAPS로 제조된) 12-가 KP/PA 백신 1에서 부가적인 4 KP OPS와 조합된 경우 8-가 백신의 각각의 PA OPS에 대한 면역 반응에 음성 방해가 없음을 나타낸다. 2차 면역화 (P2) 후에 유의미한 증가 없이 1차 면역화 (P1) 후 각각의 PA OPS에 대해 강력한 IgG 반응은 또한 입증된다.
두 가지 다른 투여량 수준에서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면역 반응
도 31은, 백신에서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1㎍ PS에서 12-가 KP/PA 백신 1 (처치 그룹 6)과 비교하여 백신 투여량에서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5㎍ PS에서 12-가 KP/PA 백신 1 (처치 그룹 5)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에 대한 PA OPS IgG 종말점 ELISA 역가의 결과를 도시한다.
2차 면역화가 개선된 IgG 반응을 나타내는 KP O3을 제외하고, 5㎍ 투여량 및 1㎍ 투여량 처치 그룹을 1차 (P1) 후 또는 2차 면역화 (P2) 후 비교한 경우,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PA 및 KP OPS에 대한 IgG 역가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1차 면역화 후 28일 및 2차 면역화 후 14일에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개별 IgG OPS-특이적 ELISA 역가는,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다. 모든 12 OPS 백신 혈청형뿐만 아니라 KP K19 CPS에 대한 강력한 IgG 반응은, 5㎍ 투여량 (도 32) 및 1㎍ 투여량 (도 33)에서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입증된다. 그러나, 강력하지만, OPS KPO2 및 KPO3에 대한 IgG 반응의 크기는, 특히 1차 면역화 후 KPO1 및 KPO5에 대한 반응만큼 크지 않다. KO K19에 대해 가장 높은 반응은 관찰된다.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항-OPS IgG의 개별 x-유도 배율 (x-fold induction)의 비교는 5㎍ 투여량 처치 그룹에 대해 수행된다. 그 결과는 도 34에 나타낸다. 2개의 특이치를 제외하고, 모든 동물은 각각의 OPS 혈청형에 대해 기준선 (P2/P0)보다 ELISA 역가의 적어도 4-유도 배율을 나타낸다. 평균적으로, 12-유도 배율은, 12-가 KP/PA 백신 1의 모든 OPS 혈청형에 대해 초과된다. KO 19에서 가장 높은 유도 배율은 관찰된다.
도 35는, 5㎍ 및 1㎍ 투여량에서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기준선 (P2/P0)에 대한 항-OPS IgG ELISA 역가의 개별 x-유도 배율의 비교에 대한 결과를 제공한다. 흥미롭게도, 1㎍ 투여량 처치 그룹으로부터의 모든 동물은, 5㎍ 투여량 처치 그룹에 대해 이미 기재된 바와 같이, 기준선보다 적어도 4-배 증가를 나타났다. 12-가 KP/PA 백신 1에 포함된 모든 OPS 혈청형에 대한 IgG 역가의 평균 x-증가 배율은, 동물에게 투여된 5㎍ 및 1㎍에서 모든 OPS 혈청형에 대한 기준선보다 20-증가 배율을 초과한다. 가장 높은 x-유도 배율은 투여량 수준 모두에서 KO K19에 대해 관찰되고, KP O2 및 KP O3에 대해 가장 낮은 x-유도 배율은 관찰된다.
두 가지 다른 투여량 수준에서 12-가 KP/PA 백신 2에 대한 면역 반응
도 36은, 12-가 KP/PA 백신 2로 면역화된 토끼로부터 1차 백신접종 (P1) 후 28일 및 제2 백신접종 (P2) 후 14일에 혼주 혈청에서 KP/PA OPS 반응의 비교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놀랍게도, 5㎍ 투여량 처치 그룹에서, 백신은, KP O2 및 KP O3 OPS를 제외하고, 2차 면역화 후 역가에서 유의미한 증가없이 1차 면역화 후 모든 OPS 혈청형에 대해 강력한 IgG 반응을 유도한다. 이들 OPS 혈청형의 경우, 2차 면역화는, 역가의 현저한 증가를 일으켰다. OPS IgG 반응은, 더 적은 투여량에서 덜한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KP O3 OPS를 제외하고, 5㎍ 및 1㎍ 투여량 처치 그룹에 대해 동등하다.
1차 면역화 (P1) 후 28일 및 2차 면역화 (P2) 후 14일에 12-가 KP/PA 백신 2에 대한 개별 IgG OPS-특이적 ELISA 역가는,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다. 모든 12 OPS 백신 혈청형 및 KP K19 CPS에 대한 강력한 IgG 반응은, 5㎍ 투여량 (도 37) 및 1㎍ 투여량 (도 38)에서 12-가 KP/PA 백신 2에 대해 입증된다. 각각의 OPS 혈청형에 대한 역가는, 2차 백신접종 후 14일에 더욱 증가한다. 그러나, KP O3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증가의 크기는 현저하지 않았다.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관찰된 바와 같이, 5㎍ 및 1㎍ 투여량 처치 그룹 사이에 면역 반응에서 차이는 미미했다. OPS 혈청형 KO K19에 대해 가장 높은 역가는 관찰되고, KP O2 및 KP O3에 대해 가장 낮은 반응은 관찰된다.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에 대한 OPS 면역 반응 결과의 요약
토끼 혼주 혈청에서 12-가 KP/PA 백신 1에서 모든 PA OPS에 대한 항-OPS 면역 반응은 8-가 PA MAPS 백신과 동등하다.
토끼 혼주 혈청에서 12-가 KP/PA 백신 1에서 모든 KP OPS에 대한 항-OPS 면역 반응은 4-가 KP MAPS 백신에 대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약간 더 우수하다.
PA OPS 항체에 대해 기준선보다 대략 200-증가 배율은 관찰되고, KP OPS 항체에 대해 기준선보다 대략 50-증가 배율은 관찰된다.
혼주 혈청에서 BP 투여량 처치 그룹 당 5㎍ PS 및 BP 투여량 처치 그룹 당 1㎍ PS에 대한 항체는, KP O3을 제외하고,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 사이에서 유사하다.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BP 투여량 처치 그룹 당 5㎍ PS 및 BP 투여량 처치 그룹 당 1㎍ PS에 대한 개별 혈청의 분석은, KP O2 및 KP O3 OPS에 대한 반응을 제외하고, 2차 면역화 후 거의 증가가 없는 단일 면역화 후 모든 KP 및 PA OPS에 대한 강력한 반응을 보여주며, 여기서, 상기 2차 면역화는 IgG 항체 역가에서 현저한 증가를 생성한다.
12-가 KP/PA 백신 2의 BP 투여량 처치 그룹 당 5㎍ PS 및 BP 투여량 처치 그룹 당 1㎍ PS에 대한 개별 혈청의 분석은 또한, KP O3 OPS에 대한 반응을 제외하고, 2차 면역화 후 거의 증가가 없는 단일 면역화 후 모든 KP 및 PA OPS에 대한 강력한 반응을 보여주며, 여기서, 상기 2차 면역화는 IgG 역가에서 현저한 증가를 생성한다.
운반 단백질 성능
운반 단백질에 대한 항체 반응
운반 단백질로서 FlaBD2-MrkA 및 FlaBD2-PcrV를 갖는 12-가 KP/PA 백신 1 및 운반 단백질로서 FlaBD2-MrkA 만을 갖는 12-가 KP/PA 백신 2에 의해 유도된 운반 단백질 항체 반응은 평가된다. 개별 토끼에 대한 운반 단백질에 대한 반응은, 면역이전 (P0) 수준에 대한 ELISA IgG 단위로 표현되고, 1차 (P1) 및 2차 면역화 (P2) 후에 얻어진다. 운반 단백질에 대한 개별 토끼 IgG의 ELISA 분석은, 상응하는 개별 재조합 단백질 구성요소를 코팅 항원 (즉, FlaBD2, MrkA 및 PcrV)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각 분석에 대해, 운반 단백질 구성요소에 대한 반응은, 백신 1 및 2에 대해 8-가 PA FlaBD2-MrkA 백신 및 4-가 KP FlaBD2-MrkA 백신에 대한 반응과 비교된다. 백신 투여량 및 처치 그룹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표 21에 제공된다.
(a) 다른 운반 단백질에 대한 ELISA 결과
FlaB-D2에 대한 ELISA IgG 역가의 결과는, 도 39에 제공된다. IgG 역가의 강력한 증가는, 1차 면역화 후 관찰되고, 그 후 비교된 모든 그룹에서 2차 면역화 후 역가의 2차 증가가 수반된다. 각 백신접종 후에 항체 수준은,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 (백신 조성물에 존재하는 각 타입의 복합체에 의해 기여된 1㎍ 또는 5㎍ 총 PS, 예를 들어, 총 12㎍ 또는 60㎍ PS가 12-가 KP/PA 백신 1 및 백신 2 조성물에 존재함) 및 8-가 PA 백신 및 4-가 KP 백신 (백신에 5㎍의 각 PS에서 모두, 예를 들어, 총 40㎍ 또는 20㎍ PS는 백신에 각각 존재함)의 두 가지 다른 투여량 그룹인, 모든 그룹에서 유사하다.
MrkA에 대한 ELISA IgG 역가의 결과는, 도 40에 제공된다. FlaBD2에 대해 관찰된 바와 같이, IgG 역가의 강력한 증가는,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 (백신에 각 타입의 복합체에 의해 기여된 1㎍ 또는 5㎍ PS) 및 8-가 PA 백신 및 4-가 KP 백신 (백신에 각 타입의 복합체에 의해 기여된 5㎍ PS에서 모두)의 두 가지 다른 투여량 그룹인, 각 그룹에 대해 1차 면역화 후 관찰되고, 유사한 증가를 갖는 모든 그룹에서 2차 면역화 후 부가적인 상승을 갖는다.
도 41은, 백신에서 1㎍ 및 5㎍의 각 PS에서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 후 PcrV에 대한 항체 반응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IgG 반응은 1차 면역화 후 강력하고, 제2 백신접종 후 역가의 추가 증가를 나타낸다. 그러나, 반응은 두 투여량 그룹 사이에서 유사하였다.
1차 (P1) 및 2차 면역화 (P2) 후 면역이전 (PO) 수준보다 역가에서 ELISA x-변화 배율로 표현된, 운반 단백질로서 FlaBD2-MrkA 및 FlaBD2-PcrV를 갖는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운반 단백질로서 FlaBD2-MrkA를 갖는 12-가 KP/PA 백신 2, 8-가 PA 백신 (FlaBD2-MrkA) 및 4-가 KP 백신 (FlaBD2-MrkA)에 대해 유도된 운반 단백질 반응은, 도 42에 나타낸다.
강력한 반응은, 1차 면역화 후 30-변화 배율 초과 및 2차 면역화 후 500-변화 배율 초과로 12-가 KP/PA 백신 1에서 3개의 운반 단백질인, FlaBD2, MrkA 및 PcrV 각각에 대해 입증된다. 5㎍ 투여량 그룹과 1㎍ 투여량 그룹 사이에서 3가지 단백질에 대한 면역원성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개의 단백질 구성요소의 각각에 대한 강력한 IgG 반응은, 12-가 KP/PA 백신 2에서 2개의 융합 단백질 구성요소인 FlaBD2 및 MrkA에 대해 30-배율을 초과하는 증가로 1차 면역화 후에 이미 관찰되었다. 부가적인 상당한 증가는, 2차 면역화 후에 1000-배율 초과 증가에 도달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5㎍ 및 1㎍ 투여량 그룹 사이에서 FlaBD2 및 MrkA에 대한 x-변화 배율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8-가 PA 백신 또는 4-가 KP 백신을 받은 그룹들 사이에서 2 성분 FlaBD2 및 MrkA에 대한 면역원성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은, 12-가 KP/PA 백신 2 그룹 및 8-가 PA 백신 그룹에 비해 4-가 백신 그룹에서 약간 더 낮았다.
(b) 3가지 연구에 걸친 다른 운반 단백질에 대한 IgG 반응의 x-변화 배율의 비교
FlaB에 대한 IgG 반응의 x-변화 배율 비교는, 3개의 토끼 면역원성 연구: NCB007, NCB008 및 NCB012에 걸쳐 조사된다. NCB007에서, 5㎍ 투여량의 6가 PA FlaBD2-MrkA (PA O1, O2, O3, O6, O10 및 O11 OPS 함유)는, 등가의 6-가 PA FlaB-PcrV와 비교되고, NCB008에서, 5㎍ 투여량의 4-가 (O1, O2, O3, O5) KP FlaBD2-MrkA는 4-가 KP FlaB-PcrV와 비교되며, 및 NCB012에서, FlaBD2-MrkA를 갖는 5㎍ 투여량의 12-가 KP/PA 백신 2는 12-가 KP/PA 백신 1 FlaBD2-MrkA 및 FlaBD2-PcrV와 비교된다. 모든 백신은, BP-1 스캐폴드 타입이다. x-변화 배율로서 결과는, 도 43, 도 44, 및 도 45에 제공된다.
도 43은,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에 대한 반응에서 가장 높은 증가로 FlaB에 대한 IgG 반응의 x-변화 배율을 나타낸다. 양호한 반응은, 1차 면역화 후 이미 관찰되었고, 2차 면역화 후에 더욱 증가하였다. NCB008에서 4-가 KP FlaBD2-MrkA 및 4-가 FlaB-PcrV 복합체에 대한 반응은, 1차 면역화 후 양호한 반응을 나타내고, FlaBD-2-MrkA에 대한 2차 면역화 후 부가적인 증가가 거의 없으며, 기본적으로 FlaB-PcrV에 대한 면역화 후 어떤 반응도 없었다. FlaB에 대한 낮은 반응은 또한 1차 면역화 후에 NCB007에서 6-가 PA FlaBD2-MrkA에 대해 관찰되지만, 상당한 증가가 2차 백신접종 후 도출된다. NCB007에서 FlaB-PcrV에 대한 반응은, 1차 면역화 후 강력했고, 2차 면역화 후 부가적인 증가는 없었다.
도 44는, NCB008에서 4-가 KP FlaBD2-MrkA 및 NCB007에서 6-가 PA FlaBD2-MrkA에 대한 반응과 비교할 때 NCB012에서 12-가 KP/PA 백신 2 및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에서 가장 높은 반응으로 MrkA에 대한 반응을 나타낸다. 1차 및 2차 백신접종 후 NCB008에서 MrkA에 대해 관찰된 반응은 거의 없었으며, 반면에 MrkA에 대한 강력한 반응은, 1차 면역화 후 6가 PA FlaBD2-MrkA로 관찰되고, 2차 면역화 후에 더욱 증가하였다.
도 45는, 1차 및 2차 면역화 후 연구 NCB012에서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가장 높은 증가로 PcrV에 대한 IgG 반응에서 x-변화 배율을 나타낸다. NCB008에서 4-가 KP FlaB-PcrV 연구에서 PcrV에 대한 반응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NCB007에서 1차 및 2차 면역화 후 PcrV에 대한 강력한 반응은 관찰된다.
(c) 결과의 요약
· 3개 운반 단백질 모두에 대한 강력한 IgG 항체 반응은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에서 입증된다.
· 운반 단백질에 대한 반응은, 1㎍ 및 5㎍ 투여량 그룹에서 유사하다.
· 3개 운반 단백질 각각에 대해 발생된 x-증가 배율은,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대략 500- 내지 1000-배율이다.
· 미투약 동물에서 제1 및 제2 투여량 사이에 지속적인 부스팅이 있었다. 어떤 이론에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를 않지만, 미투약이 아닌 성체의 경우, 1회 투여량 후 7-10일 내에 거의 최대 반응은 예상된다.
· 4-가 KP 백신으로 면역화된 동물에서 MrkA 및 PcrV에 대한 낮은 반응과 관련된 이전의 문제는, 12-가 KP/PA 백신 1 또는 12-가 KP/PA 백신 2로 면역화된 동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FlaB2 만을 함유하는 운반 단백질에서 TLR5 작용물질 생체활성의 결핍
도 12b는, NF-kB 구동 루시퍼라제 리포터를 발현하는 HEK293 세포를 사용하여 FlaA 및 FlaB 단백질을 함유하는 MAPS 복합체 및 융합 단백질의 TLR5 생체활성을 설명한다. 플라겔린 TLR5 활성화는 리포터 발현의 상향조절 (upregulation)을 야기한다.
FlaB 도메인 2 (FlaBD2) 만을 함유하는 KP/PA MAPS 운반 단백질은,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FlaBD2-MrkA 및 FlaBD2-PcrV에 대한 루시퍼라제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TLR5 작용물질 생체활성이 결핍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FlaBD2-MrkA 및 FlaBD2-PcrV는, 12-가 KP/PA 백신 1에서 2개의 운반 단백질이다.
FlaB 대조군 및 융합 단백질 Rhavi-FlaB-his는, 강한 TLR5 작용물질 생체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FlaB2 도메인 2 (FlaBD2) 만을 모두 함유하는, FlaBD2, FlaBD2-MrkA 및 FlaBD2-PcrV는, 이 분석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OPS 백신 균주에 대한 응집 및 FACS에 의한 결합의 폭
OPS 백신 혈청형이 아닌 KP 및 PA 균주는, 유세포 분석 및 응집 분석으로 시험되어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항체에 의한 적용범위의 폭을 연구한다.
표 22는, 각 BP-1의 5㎍ 투여량에서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 (AFV1502-1511)으로 얻어진 비-OPS KP 균주의 박테리아 응집 및 FACS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된 14 균주 중 12는, 응집에서 P0 및 P2 혈청에 의한 인식에서 명백한 차이를 나타내고, 1:100의 혈청 희석에서 유세포 분석에 의해 측정된 박테리아 결합에서 증가를 나타낸다.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반응 - 비-OPS KP 백신 균주의 결합 및 응집
균주 ID |
원산지 국가 |
O 타입 |
박테리아 응집 |
박테리아 결합 유세포 분석 |
존재하는 MrkA 유전자 (PCR) |
70721 |
USA |
NOT (O1,O2,O3,O5) |
없음 |
없음 |
없음 |
GN05275 |
USA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NUH5575 |
Japan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170241 |
USA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60111 |
USA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5205 |
South Africa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7075 |
South Africa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7069 |
South Africa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11818/3 |
Mali |
NOT (O1,O2,O3,O5) |
없음 |
없음 |
없음 |
9536/15 |
Mali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12287/3 |
Mali |
NOT (O1,O2,O3,O5) |
있음 |
있음 |
있음 |
KP1015 |
Denmark |
O4 |
있음 |
있음 |
있음 |
NUH5218 |
Japan |
O4 |
있음 |
있음 |
있음 |
EC1793 |
Singapore |
O4 |
있음 |
있음 |
있음 |
표 23은, 각 혈청형 BP-1의 5㎍ 투여량에서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 (AFV1502-1511)으로 비-OPS PA 균주의 FACS 결합 및 박테리아 응집의 결과를 나타낸다. 플라겔린 B의 경우, 7개 균주 중 6개는 응집되고, 7개 중 7개는 유세포 분석에 의한 항체 결합을 나타냈다. 플라겔린 A1의 경우, 4개의 균주 중 3개는 유세포 분석에 의한 항체 결합을 나타냈다. 플라겔린 A2의 경우, 4개의 균주에서 항체 인식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았다.
12-가 KP/PA 백신 1에 대한 반응 - 비-OPS PA 백신 균주의 결합 및 응집
균주 ID |
원산지 국가 |
O 혈청형 (Medimabs) |
플라겔린 타입 |
박테리아 응집 |
박테리아 결합 유세포 분석 |
12-01831 |
USA |
O8 |
A2 |
없음 |
없음 |
379/2014 |
Greece |
O8 |
B |
있음 |
있음 |
12-03320 |
USA |
O9 |
A1 |
없음 |
Maybe |
425/2015 |
Greece |
O9 |
A2 |
없음 |
없음 |
PA0814 |
Denmark |
O9 |
A1 |
없음 |
있음 |
NUH6346 |
Japan |
O9 |
A2 |
없음 |
없음 |
CJLSG533 |
Japan |
O9 |
B |
있음 |
있음 |
197/2012 |
Greece |
O12 |
B |
있음 |
있음 |
12-04889 |
USA |
O14 |
B |
없음 |
있음 |
12-01852 |
USA |
O15 |
B |
있음 |
있음 |
12-00232 |
USA |
O16 |
B |
있음 |
있음 |
10024 |
South Africa |
O16 |
A1 |
없음 |
없음 |
10-04727 |
USA |
O17 |
B |
있음 |
있음 |
11-04251 |
USA |
O17 |
A1 |
없음 |
있음 |
PA0002 |
Singapore |
타이핑 불가능 |
A2 |
없음 |
없음 |
비-OPS 백신 혈청형인 14개의 KP 및 15개의 PA 균주는 시험되어 12-가 KP/PA 백신 1에 대해 토끼에서 발생된 항체에 의한 적용범위의 폭을 결정한다. 요약하면:
· 유도된 항체는 14개의 비-OPS KP 혈청형 균주 중 12개가 결합 및 응집한다.
· MrkA 유전자를 함유하지 않은 혈청형은 항체에 결합하지 않는다.
· 이러한 균주에 대한 결합은, MrkA 지향 항체에 기인할 수 있다.
· 유도된 항체는, 15개의 비-OPS PA 백신 혈청형 중 10개에 결합한다.
· FlaB 및 FlaA1를 갖는 균주에 대한 결합은 발생한다.
· FlaB 지향 항체 및 FlaA1에 대한 교차 반응성에 기인하여 결합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
· 운반 단백질 (FlaBD2 및 MrkA)에 지향된 항체는, 비-OPS 백신 혈청형에 대한 적용범위의 폭을 확장한다.
운반 단백질에 대한 항체에 의해 유도된 동물의 수동 보호
마우스에서 수동 보호를 유도하는 운반 단백질의 가능성은, 표 24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항-O1 혈청 및 항-MrkA 혈청을 사용하여 클렙시엘라 KP B5055 (O1:K2)로 화상-상처 감염 모델에서 평가된다.
결과는, 캡슐화된 KP 균주로 감염된 동물의 사망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MrkA (FlaBD2-MrkA)의 보호 역할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공격 6일 후, 동물의 60% (3/5)는 여전히 살아 있었다. 이 실험에서, OPS O1 항체는 감염으로부터 보호되지 않았다.
항-O1 및 항-MrkA 혈청을 사용한 KP B5055 (O1:K2)의 화상-상처 감염에 대한 보호
그룹 |
감염* |
처치 |
생존 (D6) |
1 |
B5055 (12 CFU/마우스) |
PBS |
33% (1/3) |
2 |
항-KP O1 P0 혈청 |
50% (2/4) |
3 |
항-KP O1 P2 혈청 |
20% (1/5) |
4 |
항-MrkA P0 혈청 |
25% (1/4) |
5 |
항-MrkA P2 혈청 |
60% (3/5) |
6 |
항-KP O1 + MrkA P0 혈청 |
25% (1/4) |
7 |
항-KP O1 + MrkA P2 혈청 |
40% (2/5) |
*마우스는, 200㎕ 혈청으로 2회 수동 전달되고, 12 CFU B5055로 화상 상처 후 SC 감염된다.
KPO1 항체: NCB008 FlaB-PcrV 4-가 KP MAP의 3개의 최고 역가 혼주 혈청
MrkA 항체: 10개의 NCB010 FlaBD2-MrkA 1v PA MAPS 혼주 혈청
백신 제형에서 2개의 운반 단백질의 성능 요약
· 12-가 KP/PA 백신 1 및 12-가 KP/PA 백신 2에서 운반 단백질 FlaBD2-MrkA, 및 FlaBD2-PcrV는, KP/PA OPS의 강력한 담체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 12-가 KP/PA 백신 1에서 FlaBD2-MrkA 및 FlaBD2-PcrV 및 12-가 KP/PA 백신 2의 FlaBD2-MrkA에 대해 강력한 항-단백질 반응은 관찰된다.
· 12-가 KP/PA 백신 1에서 운반 단백질에 지향된 항체는, 비-OPS 백신 혈청형에 대한 적용범위의 폭을 확장한다.
· FlaB 도메인 2 (FlaBD2) 만을 함유하는 FlaB에 대한 실험 설계와 일치하게, FlaLR2 융합 운반 단백질에 대해 TLR5 작용물질 활성의 완전한 제거는 입증된다.
· 마우스에서 클렙시엘라 감염의 화상-상처 모델에서 1차 공격 결과는, MrkA에 대한 항체의 보호의 경향을 나타낸다.
실시 예 12: 녹농균/K.뉴모니아 12-가 백신의 기능성 분석
옵소닌 식균작용 사멸 (OPK) 분석
인간 호중구 OPK 분석
인간 호중구 옵소닌 식균작용 사멸 (OPK) 분석은, 무피막성 KP 혈청형 O2 (KP O2 K-) 균주 7380를 사용하여 5㎍ 투여량 (NCB012, 표 21)에서 12-가 KP/PA 백신 1로 생성된 토끼 혼주 혈청 (P2)의 기능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OPK 분석의 결과는 도 47에 나타낸다.
면역 혈청은, 24시간 배양 후 1/10 희석에서 KP O2 박테리아의 100% 사멸을 제공한 반면, 1/100 희석은 박테리아의 사멸 활성을 갖지 않았다. 혈청의 사멸 활성은, KP O2 OPS 또는 MrkA, 또는 두 백신 성분의 조합에 기인될 수 있다.
J774 대식세포 세포주 OPK 분석
이러한 OPK 분석은, 기능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생제 젠타마이신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J774 대식세포 세포주를 사용한다. 몇몇 항생제는, 진핵 세포에 침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항생제는, 이미 내재화된 박테리아를 해칠 수 없다. 이러한 항생제의 사용은, 진핵 세포를 침투하는데 성공한 박테리아와 그렇지 않은 박테리아를 구별할 수 있다. 박테리아로 감염된 진핵 세포의 배양물에 이러한 항생제의 적용은, 세포 외부에 남아있는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면서 침투한 박테리아를 살릴 수 있다. 이 분석을 위해 선택된 항생제는, 아미노글리코시드 젠타마이신 (aminoglycoside gentamicin)이다.
NCB012에서 12-가 KP/PA 백신 1의 5㎍ 투여량을 받고, 가장 높은 OPS 역가 (1502, 1506, 1508, 1511)를 나타낸, 처치 그룹 5에서 토끼 유래의 토끼 혼주 혈청은, J774 대식세포 세포주 OPK 분석에 사용되어 클렙시엘라 균주 KP O1, KP O2, KP O3, 및 KP O5의 식세포 섭취에 대한 혈청의 효과를 평가한다.
J774 대식세포는, 실험 24시간 전에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된다. 다양한 O-타입의 클렙시엘라 균주는, 브로쓰에서 중앙-로그 기로 성장되고, 혼주 혈청은 사멸 분석에 사용된다. 대략 1x105 CFU 박테리아는, 면역이전 (P0) 또는 면역 (P2) 혼주 혈청과 함께 30분 동안 배양된다. 옵소닌화 박테리아는, 항체-매개 식균작용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시간인, 실온에서 15분 동안 J774 세포와 함께 배양된다. 미결합된 박테리아는, 세포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버퍼 ±50㎍/㎖ 젠타마이신은 부가적인 20분 동안 첨가된다. 세포는 PBS로 2회 세척된 다음, 순수한 물을 첨가하여 용해된다. 10㎖는 각 웰로부터 이중으로 도말되고, 다음 날 콜로니 형성 단위 (CFU)는 계수된다.
이 분석의 결과는, 도 48a 및 48b에 나타낸다. 1/20, 1/100 및 1/500 희석에서 면역 또는 면역이전 혈청으로 옵소닌화된 클렙시엘라의 J774 세포 식세포 섭취 (phagocytic uptake)는, 면역 혈청의 존재 및 젠타마이신의 존재하에 KP O1, KP O2, KP O3, 및 KP O5의 증가된 섭취를 보여준다 (도 48a). KP O1, KP O2 및 KP O3에 대한 1/100 희석에서 가장 높은 섭취는 관찰된다. KP O5의 경우, 섭취는 1/20 및 1/100의 희석에서 유사하다.
젠타마이신의 부재하에, 박테리아 섭취가 덜한 면역이전과 비교할 때, KP O1, KP O3 및 KP O5의 J774 세포에 의한 상당한 섭취는 P2 혈청에서 또한 관찰된다. KP O2의 경우, CFU 계수는 너무 많아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는 표시되지 않았다 (도 48b). KP O1 및 KP O3의 경우, 더 높은 희석으로 섭취는 감소되고, KP O5의 경우 1/100 희석에서 가장 높은 섭취, 1/20 희석에서 약간 더 낮은 섭취 및 1/500 희석에 대한 가장 낮은 섭취는 관찰된다.
NCB012에서 5㎍ 투여량의 12-가 KP/PA 백신 1을 받고, 최고 OPS 역가 (1502, 1506, 1508, 1511)를 나타내는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은, J774 대식세포 세포주 OPK 분석에서 또한 사용되어 슈도모나스 PA (O5: FlaB 및 O6:FlaA1) 및 클렙시엘라 균주 KP O5 (균주 6997)의 식세포 섭취에 대한 혈청의 영향을 평가한다. 클렙시엘라 균주 KP O1, KP O2, KP O3, 및 KP O5의 J774 OPK 시험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분석은 수행된다.
이 분석에 대한 결과는, 도 49, 50 및 51에 나타낸다. 면역 혈청 (P0)은, 도 49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식세포에 의한 이들 박테리아 균주 각각의 섭취를 매개한다. 대식세포-유사 J774 세포에 의한 박테리아의 섭취는, 도 50에 예시된 바와 같이 GFP-표지된 PA (PA O1, PA O5 FlaB)를 사용하여 현미경에 의해 더욱 나타낸다. 면역 혈청에 노출된 PA는, 세포에 의해 심하게 섭취된다. 각 J774 세포에서 다수의 P2-처치된 PA 분리주는, 도 50에 확대도로 나타낸다. 도 51은,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된 것과 비교하여 면역 혈청으로 처치된 세포에 대해 더 높은 비율의 세포 (좌측 패널) 및 세포 당 더 많은 박테리아 수 (우측 패널)가 관찰되었음을 나타낸다.
HL-60 OPK 분석
이 타입의 분석에서, KP O2 균주 7380 박테리아는 먼저 혈청으로 옵소닌화한 다음, 분화된 HL-60 세포는 혼합물에 첨가된다. 혼합물을 45분 동안 배양 한 후, 생존 가능한 박테리아는 계수된다. OPK 역가는, 음성 대조군과 관련하여 50% 미만의 박테리아가 생존하는 역가로 정의된다 (박테리아 + HL-60 세포만 해당).
도 52 및 표 25는, 5㎍ 투여량의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 및 KP O2 균주 7380을 사용한 HL60 OPK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면역화 전 및 면역화 후 항 KP O2 열-사멸 (HK) 토끼 혈청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다. 혈청의 1/200 내지 1/204,800 희석을 사용하여 분석은 수행된다.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은, KP O2 균주 7380에 대해 유의미한 OPK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상응하는 면역이전 혈청은, 박테리아 사멸시 훨씬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사멸 활성은, KP O2 OPS 항체 또는 MrkA 또는 모두에 기인될 수 있다. 면역화 전 및 면역화 후 혈청 및 양성 대조군에 대한 OPK 역가에 대한 세부 사항은, 표 25에 제공된다. 면역화 전 (1/800) 및 면역화 후 혈청 (1/12,800) 사이에서 사멸 활성에서 유의미한 차이 (>15-증가 배율)는 있었다.
HL-60 분석에서 KP O2 균주 7380에 대한 OPK 역가
혈청 |
시점 |
역가 |
NCB012 (혼주) |
P0 |
1/800 |
P2 |
1/12,800 |
열-사멸된 박테리아 (혼주) |
사전 |
<1/200 |
후 |
>1/204,800 |
균주 KP O5 균주 6997을 사용하여 유사한 분석은 수행된다. 박테리아는 NCB012로부터의 면역이전 (P0) 또는 면역 (P2) 혼주 혈청과 혼합되고, 보체의 존재하에서 HL-60 세포에 첨가된다 (표 26). 면역이전 혈청이 1:1,280의 역가로 50% 감소된 생존율이 관찰되는 반면, 면역이전 혼주 혈청은 1:40 혈청 희석에서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다.
혼주 혈청을 사용하여 HL-60 세포에서 KP O5 균주 6997의 생존율
|
희석 |
1:40 |
1:160 |
1:320 |
1:1280 |
NCB012 P0 |
83 |
>100 |
>100 |
>100 |
NCB012 P2 |
23 |
50 |
48 |
50 |
다른 OPK 분석에 대한 결론
12-가 KP/PA 백신 1의 2회 투여 후 토끼에서 유도된 항체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 다른 OPK 분석은 사용된다. 인간 PMNs, J774 대식세포, 또는 분화된 HL60 세포를 사용한 분석에서 KP 타입 O1, O2, O3 및 O5 혈청형에 대해 상당한 OPK 활성은 입증될 수 있다. OPK 활성은, OPS-특이적 항체 및/또는 운반 단백질 MrkA에 대한 항체에 기인될 수 있다. 12-가 면역 혈청에 의해 촉진된 식세포에 의한 KP 및 PA의 섭취는, OPS 항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세포독성으로부터 보호
실시 예 7에 기재된 프로토콜 (슈도모나스 PcrV 단백질 구축물에 대한 세포독성 분석)에 따라, 슈도모나스 균주 PAK (O6 FlaA1)는 밤새 성장되고, MAPS 운반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부터 발생된 항-PcrV 항체를 함유하는 12-가 KP/PA 백신-1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다양한 농도 (10%, 5%, 2.5%, 또는 0)의 혈청 존재하에서 또는 동일한 범위의 혈청 농도에서 이들 동일한 토끼 유래의 면역이전 혈청으로 인간 폐 상피 유래 A549 세포의 단일층을 감염시키는데 사용된다. 슈도모나스 유도된 A549 세포독성은, 세포가 세포사멸되고, 조직 배양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둥글어진 세포를 특징으로 한다. 세포독성으로부터의 항-PcrV 항체 매개 보호는, 유사한 농도의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된 세포와 비교하여 주어진 현미경 필드에서 둥글어진 (세포사멸) 세포의 수에서 감소에 의해 나타낸다. 면역 및 면역이전 혈청 처치 사이에 둥글어진 (세포사멸) 세포에서 최대 차이는, 2.5%의 혈청 농도에서 관찰된다 (도 53, 좌측 그래프). 2.5% 혈청으로 처치된 대표적인 PAK 감염된 A549 세포의 현미경 사진은, 이러한 차이를 면역 혈청 처치된 샘플에서 고도로 굴절된 둥글어진 세포의 수에서 감소로서 입증한다 (도 53, 우측 패널). 유사한 이미지는, 각 혈청 농도에서 영향을 받은 세포의 수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53, 좌측 그래프).
FlaB에 대한 항체를 통한 녹농균의 운동성 감소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가 KP/PA 백신 1의 PS 당 5㎍의 투여량 (예를 들어, 백신에서 총 60㎍ PS; 백신에서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5㎍ PS)으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으로 처치된 세포는,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에 비해 FlaB에 대한 항체를 통한 PA O5 FlaB 균주의 감소된 운동성을 나타낸다.
FlaB 항체를 통한 녹농균의 응집
녹농균 균주 PAO1 (O5 FlaB)은 밤새 성장되고, PBS에 107 CFU/㎖의 농도로 현탁된 후, 4-가 KP 백신으로 백신접종된 토끼 유래의 1% 혈청 또는 동일한 토끼 유래의 면역이전 혈청과 함께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된다. Rhavi-FlaBD2-MrkA-His 운반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발생된 혈청에서 항-FlaB 항체는, 현미경 사진에서 검은 막대 (도 55, 우측 패널) 및 표지된 응집으로 보이는 박테리아 클러스터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FlaB를 발현하는 슈도모나스를 응집시킬 수 있는 반면,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된 박테리아에서는 이러한 응집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55, 좌측 패널). FlaBD2는, 이러한 백신 제제에서 유일한 슈도모나스 항원이고, 가교된 박테리아의 관찰은, 운반 단백질이 박테리아 플라겔린에서 생성된 천연 에피토프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성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다. 12-가 KP/PA MAPS 백신-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은, 백신에 O-타입이 없는 FlaB를 발현하는 슈도모나스를 응집시킬 수 있는데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이는, 비록 관찰된 응집에 기여하는 바와 같은 슈도모나스 O-타입들 사이에 교차-반응성이 배제될 수 없을지라도, 운반 단백질을 함유하는 FlaBD2가 12-가 제형에서 기능성 항-FlaB 항체를 유도한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부착 억제 분석
이 분석에서, NCB012 유래의 혼주 혈청은 사용되어 다른 대표적인 백신에 대해 발생된 항체 반응의 부착 억제를 평가한다. 타입 3 핌브리아-발현 KP O5 균주 6997 박테리아 세포는, 면역이전 및 면역 혈청 (10%)과 혼합되고, A549 상피 세포주 세포와 함께 배양된다. 세포의 용해 및 부착성 박테리아의 수를 결정하기 전에 비-부착성 박테리아는 세포로부터 세척된다. 부착 억제는, 플레이트 상에서 더 적은 CFU를 결과한다. 도 56은,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의 혼주 혈청, 8-가 PA 백신으로 면역화된 토끼의 혼주 혈청 (MrkA는 8-가 PA 백신에서 유일한 KP 항원임), 4-가 KP 백신으로 면역화된 토끼의 혼주 혈청이 A549 세포에 대한 KP O5 균주 6997의 부착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론에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8-가 PA OPS 단독 백신으로 면역화된 토끼의 혼주 혈청이 또한 부착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것은 운반 단백질에 의해 유도된 MrkA 항체가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 예 13: 마우스 보호 분석
KP/PA 백신으로 면역화된 토끼로부터 얻은 항혈청이 있는 마우스에서 수동 면역화 연구는 수행된다. 표 21은 토끼의 면역화에 사용된 백신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토끼의 면역화 전 및 후의 혈청 (혼주 혈청)은, 다른 모델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수동 면역화에 사용된다. 다른 공격 균주에 대한 세부 사항은 또한 연구에 대해 기재된다.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을 사용한 치명적인 PA 감염에 대한 마우스의 수동 보호 연구
마우스에서 수동 보호 연구는, 연구 NCB012에서 12-가 KP/PA 백신 1의 PS 당 5㎍의 투여량 (예를 들어, 백신에서 총 60㎍ PS; 백신에서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5㎍ PS)으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마우스는, 면역이전 또는 면역 혈청 (토끼 혼주 혈청)으로 전처리되고, 다른 PA 균주로 IP 공격받는다.
치명적인 PA 공격 투여량에서, 면역 혈청은, 마우스를 PA O5 및 PA O6에 의한 감염으로부터 보호한다. PA O10 및 O11 공격으로 보호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되고, 1x108 CFU 및 3-배 더 낮은 투여량으로 공격받은 마우스의 생존에서 현저한 차이는 많은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한 투여량-반응 곡선이 얼마나 가파른지를 설명한다. 이것은 종종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생존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27에 제시된다.
PA를 이용한 치명적인 공격 연구에서 마우스의 생존율
박테리아 |
투여량 |
생존 |
면역이전 |
면역 |
슈도모나스 O5 FlaB 균주 M2 |
1.3x 107 CFU |
1/5 |
4/5 |
슈도모나스 O5 FlaB 균주 M2 |
1.1x 108 CFU |
0/5 |
4/5 |
슈도모나스 O6 FlaA2 균주 SBI-N |
1x 108 CFU |
0/5 |
5/5 |
슈도모나스 O10 FlaB 균주 17002 |
1x 107 CFU |
2/5 |
5/5 |
슈도모나스 O11 FlaB 균주 1071 |
1x 108 CFU |
0/5 |
3/5 |
슈도모나스 O11 FlaB 균주 1071 |
3x 107 CFU |
4/5 |
5/5 |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을 사용한 클렙시엘라 KP O3에 대한 마우스에서 수동 보호 연구
NCB012에서 PS 당 5㎍의 투여량 (예를 들어, 백신에 총 60㎍ PS; 백신에서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5㎍ PS)으로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4개의 가장 높은 항-KP-O3 반응자 (토끼 1502, 1506, 1508 및 1511; 표 28) 유래의 혈청 (그룹 5)은 혼주되고, 0.1 ㎖에서 50,000 CFU로 KP O3 균주 700603으로 IV 공격 20시간 전 및 2시간 전 IP 주사 (면역이전 또는 면역 혈청)된다.
혼주 샘플에 포함된 토끼 혈청에 대한 면역이전 및 면역 역가
토끼 수 / 혈청 샘플 |
면역이전 O3 역가 |
면역 O3 역가 |
1502 |
5 |
1,017 |
1506 |
10 |
2,306 |
1508 |
19 |
4,024 |
1511 |
5 |
704 |
공격 4시간 후 마우스는 안락사되고, 혈액, 간 및 비장을 수거되며, 콜로니 수는 결정된다. 결과는 표 29에 제공된다. 혼주 면역 혈청이 제공된 마우스는, 동일한 토끼 유래의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된 마우스에 비해 간 및 비장에서 생존 박테리아의 감소된 수 및 혈액 제거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NCB008에서 4-가 KP MAPS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등가 역가의 혈청을 사용한 박테리아 제거율과 유사하였다.
클렙시엘라 KP O3에 의한 공격 후 장기에서 혈액 제거율 및 생존 박테리아에 대한 기하 평균 CFU
혈청 샘플 |
혈액 |
간 |
비장 |
NCB008 면역이전 |
5,235 |
12,590 |
7,353,290 |
NCB008 면역 |
박테리아 없음 |
3,302 |
89,159 |
NCB012 면역이전 |
10,020 |
27,180 |
2,635,845 |
NCB012 면역 |
박테리아 없음 |
2,952 |
195,421 |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을 사용한 클렙시엘라 KP O1 균주 B5055에 대한 마우스의 수동 보호 연구
이 연구에서, 그룹 당 3 마리의 마우스는, 5x106에서 KP O1 균주 B5055로 정맥 내 (IV) 공격을 수반하는, 연구 NCB012 (면역이전 및 면역 혈청)에서 PS 당 5㎍의 투여량 (예를 들어, 백신에서 총 60㎍ PS; 백신 내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5㎍ PS)으로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 (표 21, 그룹 5)으로 주사된다. 공격 후 1시간 및 4시간에서 혈액 제거율 분석에 대한 결과는, 기하 평균 CFU/㎖ 혈액으로서 표 30에 열거되고, 개별 마우스에 대해 도 57에 예시된다.
공격 후 4시간에, 면역 혈청 그룹의 마우스 유래의 혈액은, CFU/㎖로 현저한 감소를 보인 반면, 면역이전 혈청을 받은 마우스에서 CFU/㎖는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KP O1 균주 B5055로 공격 후 마우스에서 기하 평균 CFU/㎖로서 혈액 제거율 분석 결과
혈청 샘플 |
투여량 |
혈액 |
1시간 |
4시간 |
면역이전 |
5x 106 CFU |
1,362,840 |
4,449,118 |
면역 |
5x 106 CFU |
1,593,725 |
91,308 |
이들 마우스에서 비장 및 간의 장기 부담에 대한 결과는, 3마리 마우스에 대한 기하 평균 CFU/g 조직으로서 표 31에 열거된다. 도 58은, 공격 20시간 후 3마리 마우스의 비장 및 간에 대한 장기 부담의 결과를 나타낸다.
면역 혈청을 받은 3마리 중 2 마리의 마우스는, 면역이전 혈청을 받은 마우스에 비해 간에서 기하 평균 CFU 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에 대한 결과는, 상당히 높은 박테리아 수를 갖는 면역이전 혈청을 받은 마우스에 비해 면역 혈청으로 전처리된 마우스에 대해 공격 후 20시간에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는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KP O1 균주 B5055로 공격 후 기하 평균 CFU/g 조직으로서 마우스의 장기 부담
|
투여량 |
비장 |
간 |
면역이전 |
5x 106 CFU |
672,204,849 |
21,447,778 |
면역 |
5x 106 CFU |
12,867,923 |
3,308,911 |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혈청을 사용한 클렙시엘라 KP O5 균주 6997에 대한 마우스에서 수동 보호 연구
이 연구에서, 그룹 당 3 마리의 마우스는, 5x106에서 KP O5 균주 6997로 IV 공격을 수반하는, 연구 NCB012 (표 21, 그룹 5 면역이전 및 면역 혈청)에서 PS 당 5㎍의 투여량 (예를 들어, 백신에서 총 60㎍ PS; 백신 내 각 타입의 BP에 의해 기여된 5㎍ PS)으로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으로 주사된다. 공격 후 1시간 및 4시간에서 혈액 제거율 분석에 대한 결과는, 평균 CFU/㎖ 혈액으로서 표 32에 열거되고, 개별 마우스에 대해 도 59에 예시된다.
공격 후 4시간에, 면역 혈청 그룹에서 3마리 마우스 중 2 마리로부터의 혈액은, 제3 마우스에서 CFU 부담에 상당한 감소로 박테리아를 제거한 반면, 면역이전 혈청을 받은 마우스에서 CFU는, 공격 후 4시간에 상승된 상태 (3마리 마우스 중 2마리)를 유지한다.
KP O5 균주 6997로 공격 후 마우스에서 기하 평균 CFU/㎖로서 혈액 제거율 분석 결과
|
투여량 |
혈액 |
1시간 |
4시간 |
면역이전 |
5x 106 CFU |
1910 |
458 |
면역 |
5x 106 CFU |
2340 |
42 |
이들 마우스에서 비장의 장기 부담에 대한 결과는, 3마리 마우스에 대한 기하 평균 CFU/g 조직으로서 표 33에 열거되고, 도 60은 공격 20시간 후 3마리 마우스의 비장에 대한 장기 부담의 결과를 나타낸다.
비장의 경우, 면역 혈청을 받은 마우스가 면역이전 혈청을 받은 마우스보다 공격 후 20시간에 훨씬 더 낮은 박테리아 수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P O5 균주 6997에 의한 공격 후 기하 평균 CFU/g 조직으로서의 마우스의 장기 부담
|
투여량 |
비장 |
면역이전 |
5x 106 CFU |
93,750 |
면역 |
5x 106 CFU |
20,432 |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 클렙시엘라 KP O2 (균주 KPN 12)에 대한 마우스에서 수동 보호 연구
이 연구에서, CD-1 마우스 (3/그룹)는, 2x105 CFU KP O2 균주 KPN-12의 IV 투여 24시간 전 및 2시간 전에 0.2 ㎖의 면역이전 또는 면역 혼주 혈청 (혼주 당 10 마리 토끼, 연구 NCB012)을 제공받았다. 감염 후 72시간에 비장는 수거되고, 조직의 그램 당 박테리아 부담은 결정된다. 면역 혈청을 받은 마우스는, 면역이전 혈청으로 처치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감소된 생존 박테리아의 수를 나타냈다 (7,978 대 114,687 평균 CFU; 도 61). 면역 혼주 혈청은, 순환 (circulation)으로부터 KP O2 (균주 KPN-12)의 제거율을 촉진한다.
클렙시엘라 KP O2로 치명적인 공격 모델에서 수동 보호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NCB012 면역이전 및 면역 혈청에 대한 여러 실험은 수행된다. 다른 유기체, 다른 백신 또는 면역원성 조성물, 및/또는 다른 병원체/균주에 대한 수동 보호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유사한 실험은 수행될 수 있다. 박테리아의 공격 투여량, 접종원의 전달 (예를 들어, 주사 전 박테리아를 옵소닌화) 및 수동 보호를 위한 혈청의 수, 타이밍 및 강도 (예를 들어, 5㎍ 또는 1㎍ 다당류 투여량으로 발생된 혈청)와 같은 변수는 조사된다. 시험된 대표적인 파라미터 및 결과는, 도 62에 도시된다.
공격 받은 - CD-1 마우스의 Th17 반응 및 콜로니화
이 실험은, 마지막 면역화 2주 후에 박테리아 공격 후 박테리아 콜로니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전 투여량 14일 후 투여된 각 투여량으로, 마우스에 투여된 FlaBD2 및 MrkA를 갖는 KP O1 MAPS 백신의 3가지 투여량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설계된다. CD-1 마우스의 두 그룹은, 박테리아 공격을 겪는데; 한 그룹은 KPO1/FlaBD2-MrkA MAPS 백신으로 면역화되며, 다른 그룹은 버퍼 (PBS) 단독으로 면역화된다.
그룹 당 5 마리의 마우스는, 기관 내 (IT) 3-5x103 CFU KP B5055 (O1:K2)로 공격받는다. 박테리아 공격 후 48시간에 폐는 수거 및 칭량되고, 균질물은 박테리아 계수를 위해 도말된 다음 원심분리된다. 상청액은 IL-17a 수준에 대해 평가된다. 동시에, 비장은 전술된 바와 같이 PBS, FlaBD2 및 MrkA와 공-배양되고, 3일 후 상청액은 IL-17a 수준에 대해 평가된다.
도 63은 박테리아 공격 후 자극된 비장 세포에 대한 IL-17a 유도를 나타낸다. FlaBD2 자극된 비장 세포에 대해 유의미한 유도는 관찰되었다 (p = 0.02).
녹농균으로 위장관 콜로니화에 대한 면역화의 효과
다음의 실험 프로토콜은, 녹농균을 이용한 위장관 (GI) 콜로니화에 대한 1가 PA O6 MAPS 백신으로 면역화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설계된다.
8 마리의 Sprague-Dawley 랫트는, 1가 MAPS 백신, MA6-93-PAO6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K19: 녹농균 O6/Rhavi-FlaBD2-MrkA-his BP-1)으로 2-주 간격으로 0.5 ㎖ SC로 2회 면역화된다. 7 마리 랫트는 버퍼 단독으로 면역화된다. 2차 면역화 14일 후에 랫트는, 세프트리악손 (50 mg/kg IM)으로 처치되고, 9일 동안 1일 1회 항생제 투여가 계속된다. 랫트는, PA와 같은, 기회감염성 박테리아 (opportunistic bacteria)에 대한 위장관에서 콜로니화 내성을 극복하고, 임상 상황을 모방하기 위해 항생제가 투여된다. 항생제 단독 투여 4일 후, 랫트는 총 5일 동안 위관 영양법 (gavage)에 의해 108 CFU에서 녹농균 (PA, IATS O6)이 투여된다. PA의 5일 투여량 및 세프트리악손의 9일 투여량 후, 랫트는 안락사되고, 맹장은 제거되며, 측량된 다음, 배양된다. 항생제 및 박테리아가 투여되기 전에 항체 수준에 대해 혈액을 얻고, PA의 제1 투여량 전날 및 이틀 후에 PA 배양을 위해 대변 샘플을 얻었다. 자세한 내용은 또한 도 64의 상부에서 확인될 수 있다.
2회 투여량 PA O6 FlaBD2-MrkA MAPS 백신으로 랫트에서 콜로니화 연구의 결과는 도 64의 하부에 나타낸다. PA O6 백신을 받은 랫트는, PBS를 받은 랫트보다 상승된 ELISA IgG 역가를 갖는다 (도의 좌측 하부). 백신접종된 랫트는 또한 >104 CFU/g의 중앙값 (도의 우측 하부)를 갖는 대조군 랫트와 비교하여 103 CFU/g 미만의 박테리아의 중앙값을 나타낸다. 연구 결과는, 1가 PA O6 MAPS 백신으로 2회 면역화한 후 PA O6의 맹장 콜로니화의 감소를 나타낸다.
실시 예 14: Gal-Ⅲ 에피토프를 발현하는 카르바페넴-내성 KP (CRKP) 균주에 대한 항-OPS 항체
다른 부류의 박테리아 카르바페넴나제 (예를 들어, 옥사-48 또는 메탈로-베타-락타마제)와 대조적으로, KPC (K. 뉴모니아 카르바페넴나제)의 확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론 현상 (clonal phenomenon)인 것으로 보인다. 서열 타입 (ST) 258로 명명된 특이적 계통은, 몇몇 지리적 영역에서 고유한 KPC-생성 클렙시엘라 감염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미국 동북부 지역에서, 모든 병원 내 K. 뉴모니아 감염의 >30%이 CRKP에 의해 유발되며, 이들 중 약 70%가 KPC-생성 ST258 클론에 속한다. 유사하게, 이 클론 (단일 유전자좌 ST 변이체를 포함)은, 이스라엘, 폴란드, 이탈리아, 그리스, 남미, 및 중국을 포함하는,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유행한다. 최근에, ST258의 분자 진화에 대한 조사는, 다른 협막 다당류의 발현과 관련된 2개의 클레이드 (clades)를 확인하였다 (Chen 2014a, Chen 2014b, DeLeo 2014).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ST258은, 처치 옵션이 제한된,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약물에 내성이 있는, 병원 내 클론이다.
KP O1 및 KP O2 항원은, 갈락토스의 단일중합체, 즉 갈락탄으로 구성된다. d-갈락탄-I (gal-I)로 명명된 KP O2 항원은, 갈락토스 이당류 반복 단위로 구성된다. KP O1의 경우, gal-I은, 혈청형 특이성을 결정하는, d-갈락탄-Ⅱ (gal-II)로 명명된 항원적으로 다른 갈락토스 이당류의 반복에 의해 캡핑된다. 희귀 혈청형 KP O2ac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즉, gal-I 서브유닛의 반복은. 이 경우에, 고유한 비-갈락탄 반복 단위의 중합체에 의해 캡핑된다. 따라서, KP O1, KP O2, 및 KP O2ac 균주는, 모두 gal-I 항원을 공유하지만, KP O2에서 이것은 유일한 O-항원 결정인자이며, KP O1 및 KP O2ac의 경우, gal-I은 외부 반복 단위에 의해 차폐된다. 게다가, gal-I 이당류 반복 단위는, KP O2 혈청군 내에서 서브타입을 발생하는 O-아세틸- 또는 갈락토실기의 화학량론적 및 비-화학량론적 첨가에 의해 장식될 수 있다 (도 65). ST258 분리주의 명백한 대다수는, 이하 d-갈락탄-Ⅲ으로 명명된 Gal-I로 장식된 갈락토실기를 갖는, 개질된 d-갈락탄-I 리포폴리사카라이드 O-항원을 발현한다 (Szijato V. et al., 2016).
KP O1 OPS는, D-Gal-II의 긴 스트레치 (long stretch)가 수반되는 D-Gal-I 또는 D-Gal-Ⅲ의 짧은 "프라이머" 스트레치에 의해 구성된다. KP O2 OPS는 오직 D-Gal-I 또는 D-Gal-Ⅲ으로 구성된다 (도 65). Gal-Ⅱ 에피토프는, KP O1 혈청형에만 특이적이다.
MAPS 백신에서 KP O1 항원의 공급원인 B5055 OPS는, 긴 D-Gal-Ⅱ 중합체가 수반되는 D-Gal-Ⅲ의 짧은 스트레치를 갖는다. KP 7380 (KP O2 백신 항원의 공급원)는 오직 D-Gal-I를 갖는다.
KP/PA MAPS 백신이 Gal-Ⅲ 에피토프에 대한 항체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KPCR ST 258 클론 균주에 기인한 감염을 예방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조사된다. 5㎍ 투여량에서 4-가 KP PRO-CN MAPS 백신으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 (P2)은, KP D-Gal-Ⅲ 및 KP D-Gal-I 발현 에피토프에 대한 결합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에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유일한 관련 반응은, OPS 인식된 D-Gal-I O2 및 D-Gal-Ⅲ O2 OPS, D-Gal-Ⅱ O1 OPS에 대한 것이다. 결과는, D-Gal Ⅲ 및 D-Gal I OPS의 KP O1 및 KP O2 모두에 대해 상응하는 면역이전 혈청 (P0)에 대한 결합에서 증가를 보여준다 (도 66). 따라서, 3가지 KP D-Gal 타입 모두에 대해 항체가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표 34 및 도 67에 제공된 바와 같은 유세포 분석은, 12-가 KP/PA 백신 1로 면역화된 토끼 유래의 혼주 혈청에 항체가 균혈증 분리주로부터 3개의 ST258 균주 중 2 개에 결합함을 나타낸다. 12-가 KP/PA 백신 1 항혈청은, 약간의 서열 변이를 갖는 MrkA 대립유전자를 갖는 균주를 포함하여,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혈청형의 4개의 균주 중 3개에 결합 한다 (도 67). 이론에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이들 데이터는, 12-가 KP/PA 백신 1의 OPS 성분의 혈청형을 갖는 것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KP 균주가, MrkA 융합 단백질 구성요소를 통해 백신에 의해 생성된 항체에 의해 인식될 것을 시사한다.
백신에 포함되지 않고, MrkA의 돌연변이 대립유전자를 보유한 혈청형의 클렙시엘라 균주에 대한 12-가 혈청 백신-1의 유세포 분석 결과
균주 |
국가 |
혈청형 |
ST |
K 타입 |
MrkA 대립 유전자 |
유동에 의한 결합 |
1405472 |
USA |
O1 |
258 |
Wzi154 |
알려지지 않음 |
있음 |
1105463 |
USA |
O2 |
258 |
Wzi154 |
알려지지 않음 |
없음 |
1103113 |
USA |
O2 |
258 |
Wzi154 |
보존 |
있음 |
NUH5575 |
일본 |
O1, O2, O3 또는 O5 아님 |
알려지지 않음 |
Wzi41 |
T23N |
있음 |
7075 |
남아프리카 |
O1, O2, O3 또는 O5 아님 |
알려지지 않음 |
Wzi212 |
A9V, T12S |
있음 |
170241 |
USA |
O1, O2, O3 또는 O5 아님 |
알려지지 않음 |
K24 |
보존 |
있음 |
118181/3 |
DRC |
O1, O2, O3 또는 O5 아님 |
알려지지 않음 |
Wzi52 |
MrkA 없음 |
없음 |
4-가 KP MAPS 백신의 KP D-Gal-I 및 D-Gal-Ⅲ 발현 에피토프에 대한 결합능에 대한 결과는, 12-가 KP/PA 백신이 Gal-Ⅲ 에피토프에 대한 항체를 발생하고, KPCR ST 258 클론 균주로 인한 감염 예방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 예 15: BP-1.2의 제조
BP-1은, BP의 CPS 관점에만 위치된 비오틴 잔기를 갖는 이점이 있으며, 이는 OPS 에피토프의 최소 방해 및 제품 특징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백본의 제조를 위한 본 공정의 변화는, 직교 부위에서 CPS에 비오틴 잔기를 연결하고, 알데히드의 반대편으로 다당류의 우론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에 의존하여, 개발된다. 카르보디이미드 (EDC)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의 사용을 포함하는, 이러한 반응은, 고도로 제어가능하고, CPS에서 비오틴화의 일관된 수준 및 그 결과로 생긴 BP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BP는 BP-1.2로 언급된다. BP-1.2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공정의 개략도는, 도 2b에 도시된다.
이러한 공정의 몇몇 장점은, 모든 BPs가 동일한 비오틴화 CPS 배치로부터 유래됨에 따라 우수한 제품 일관성, 및 비오틴 유도체의 수준에 대한 우수한 제어를 갖는 일관된 비오틴화 공정을 제공하는 것, 큰 배치 (large batches)에 저장될 수 있는 안정한 비오틴화 중간체를 제공하는 것, 및 더 많은 알데히드기가 동일한 결합 부위에 대해 경쟁이 줄어들게 하는 CPS를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BP에서 더 높은 OPS/CPS 비율을 달성할 가능성을 포함한다.
실시 예 16: BP-1 및 BP-1.2 면역원성 복합체의 면역화 연구
4-가의 백신은, BP-1 MAPS 또는 BP-1.2 MAPS로 제조되고, 표 35에 따라 제형화된다. 이들 조성물은 전술된 프로토콜, 예를 들어, 실시 예 6 및 11을 사용하여 토끼에 투여된다.
BP-1 및 BP-1.2 비교 연구에 사용된 백신 제형의 요약.
그룹 |
백신 |
병원체 |
운반 단백질 |
혈청형 |
PS당 투여량 (합계) |
단백질:PS 비 (총 단백질) |
보조제 |
토끼 |
1 |
4-가 KP/PA 백신 BP-1 PS 투여량에 대하여 5㎍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6, O11 |
5㎍ (20㎍) |
3:1 (60㎍) |
625㎍ AlPO4 |
10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3, O5 |
2 |
4-가 KP/PA 백신 BP-1.2 PS 투여량에 대하여 5㎍ |
슈도모나스 |
Rhavi-FlaBD2-MrkA-his |
O6, O11 |
5㎍ (20㎍) |
3:1 (60㎍) |
625㎍ AlPO4 |
10 |
클렙시엘라
|
Rhavi-FlaBD2-MrkA-his |
O3, O5 |
KP 및 PA OPS 모두에 대한 강력한 IgG 항체 반응은, BP-1 및 BP-1.2 그룹 모두에서 관찰된다. 그룹 1 및 그룹 2에 대한 개별 OPS 및 CPS K19 IgG 역가는 도 68에 나타낸다. PA O6 및 PA O11 OPS 모두에 대한 항-OPS 면역 반응은, BP-1 및 BP-1.2 MAPS 구축물에 대해 동등하다. 유사하게, 동등한 반응은, BP-1.2 MAPS 구축물을 갖는 KP O3에 대한 상당히 우수한 역가 (기하학적 평균 역가에서 대략 5 내지 6배 더 높음)임에도 불구하고, KP O3 및 KP O5 OPS에 대해 관찰된다. K19 CPS에 대한 IgG 역가는, BP-1 및 BP-1.2 MAPS 구축물 모두에 대해 동등하다. FlaB-D2 및 MrkA 운반 단백질 모두에 대한 강력한 IgG 항체 반응은 또한 BP-1 및 1.2 그룹 모두에 대해 있다. 운반 단백질 모두에 대한 항체 반응 (혼주 혈청)은, BP-1 및 BP-1.2 그룹 모두에 비슷하다 (도 69). 결과의 요약은 표 36에 나타낸다.
BP-1 MAPS (그룹 1) 대 BP-1.2 MAPS (그룹 2)의 면역원성 비교: OPS IgG 반응
PA06 COPS |
그룹 |
PO |
P1 |
P2 |
1 |
181.28 |
2,300.15 |
5,085.86 |
2 |
16.65 |
2,042.22 |
4,406.58 |
|
PA011 COPS |
그룹 |
P0 |
P1 |
P2 |
1 |
33.36 |
2,203.98 |
2,945.89 |
2 |
114.82 |
2,067.88 |
3,040.69 |
|
KPO3-HSA |
그룹 |
P0 |
P1 |
P2 |
1 |
12.29 |
372.45 |
2,532.76 |
2 |
32.57 |
2,579.55 |
8,993.09 |
|
KPO5-HSA |
그룹 |
P0 |
P1 |
P2 |
1 |
40.98 |
3,434.84 |
10,532.81 |
2 |
53.82 |
3,191.94 |
14,063.62 |
|
KPK19-HSA |
그룹 |
P0 |
P1 |
P2 |
1 |
2.50 |
4,082.60 |
14,138.69 |
2 |
2.50 |
3,983.78 |
10,201.15 |
그룹 1 및 그룹 2에 대한 개별 OPS 및 CPS K19 IgG 역가는, 도 68에 나타낸다. PA O6 및 PA O11 OPS 모두에 대한 항-OPS 면역 반응은, BP-1 및 BP-1.2 MAPS 구축물에 대해 동등하다. 유사하게, 동등한 반응은, BP-1.2 MAPS 구축물을 갖는 KP O3에 대해 훨씬 더 우수한 역가 (기하학적 평균 역가에서 대략 5 내지 6배 더 높음)임에도 불구하고, KP O3 및 KP O5 OPS에 대해 관찰된다. K19 CPS에 대한 IgG 역가는, BP-1 및 BP-1.2 MAPS 구축물 모두에 대해 동등하다. 연구 NCB013에서, BP-1 (스캐폴드-1) 및 BP-1.2 (스캐폴드-1.2) 2-가 KP/PA 백신의 비교는 토끼에서 수행된다 (백신 제형화의 설명은 표 35를 또한 참조). 도 70 및 도 71은 각각, BP-1 및 BP-1.2 (KP/PA 4가)에 대한 2개의 운반 단백질 FlaBD2 및 MrkA에 대한 개별 항체 반응을 보여준다. 스캐폴드 모두에 대한 운반 단백질 모두에 대해 1차 면역화 후 항체 역가의 유의미한 증가는 관찰된다. 2차 면역화 후 항체 역가는 더욱 증가된다. BP-1 및 BP-1.2 그룹 모두에서 대한 FlaBD2 및 MrkA 모두에 대해 강력한 항체 반응은 관찰되고, 두 단백질에 대한 항체 반응은 BP-1 및 BP-1.2 그룹에 대해 비슷하다.
서열
SEQ ID |
설명 |
서열 |
SEQ ID NO:1 |
K. 뉴모니아 Type I 핌브리아 단백질 |
mkiktlamivvsalslsstaaladtttvnggtvhfkgevvnaacavdagsidqtvqlgqvrsaklatagstssavgfniqlddcdttvatkasvafagtaidssnttvlalqnsaagsatnvgvqildntgtplaldgatfsaattlndgpniipfqaryyatgaatagianadatfkvqye |
SEQ ID NO:2 |
K. 뉴모니아 보존 Type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 |
MKKVLLSAAMATAFFGMTAAHA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 |
SEQ ID NO:3 |
K. 뉴모니아 안정화 Type Ⅲ 핌브리아 단백질 MrkA |
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 |
SEQ ID NO:4 |
PsL 결합 Cam-003 mAb에서 서열 |
QVRLQQSGPGLVKPSETLSLTCTVSGGSTSPYFWSWLRQPPGKGLEWIGYIHSNGGTNYNPSLKSRLTISGDTSKNQFSLNLSFVTAADTALYYCARTDYDVYGPAFDIWGQGTMVTV |
SEQ ID NO:5 |
PsL 결합 Cam-003 mAb에서 서열 |
SSELTQDPAVSVALGQTVRITCQGDSLRSYYASWYQQKPGQAPVLVIYGKNNRPSGIPDRFSGSSSGNTASLTITGAQAEDEADYYCNSRDSSGNHVVFGGGTKLTVL |
SEQ ID NO:6 |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A1 |
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KAD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SDGDTISYVSKAGKDGSGAITSAVSGVVIADTGSTGVGTAAGVTPSATAFAKT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 |
SEQ ID NO:7 |
녹농균 FliC 플라겔린 서브타입 B |
MALTVNTNIASLNTQRNLNASSNDLNTSLQRLTTGYRINSAKDDAAGLQISNRLSNQISGLNVATRNANDGISLAQTAEGALQQSTNILQRIRDLALQSANGSNSDADRAALQKEVAAQQAELTRISDTTTFGGRKLLDGSFGTTSFQVGSNAYETIDISLQNASASAI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VASVDISTADGAQNAIAVVDNALAAIDAQRADLGAVQNRFKNTIDNLTNISENATNARSRIKDTDFAAETAALSKNQVLQQAGTAILAQANQLPQAVLSLLR |
SEQ ID NO:8 |
녹농균 타입 3 분비 시스템 (TTSS) Virulence Factor PcrV |
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 |
SEQ ID NO:9 |
녹농균 FlaA2 플라겔린 |
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TAT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TDGAQISYVSKASADGTTSAVSGVAITDTGSTGAGTAAGTTTFTEA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 |
SEQ ID NO:10 |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aB 플라겔린 D2 도메인 |
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 |
SEQ ID NO:11 |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aA1 플라겔린 D2 도메인 |
NGTYFKAD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SDGDTISYVSKAGKDGSGAITSAVSGVVIADTGSTGVGTAAGVTPSATAFAKTNDT |
SEQ ID NO:12 |
TLR5 결합 모티프가 결여된 녹농균 FlaA2 플라겔린 D2 도메인 |
NGTYFTAT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TDGAQISYVSKASADGTTSAVSGVAITDTGSTGAGTAAGTTTFTEANDT |
SEQ ID NO:13 |
리자비딘 |
MIITSLYATFGTIADGRRTSGGKTMIRTNAVAALVFAVATSALA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 |
SEQ ID NO:14 |
신호 서열이 결여된 리자비딘 |
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 |
SEQ ID NO:15 |
GGGGSSS 링커 |
GGGGSSS |
SEQ ID NO:16 |
Rhavi-PcrV-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
SEQ ID NO:17 |
Rhavi-MrkA-donor-strand-complementation-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GSGHHHHHH |
SEQ ID NO:18 |
Rhavi-FlaA1-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KAD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SDGDTISYVSKAGKDGSGAITSAVSGVVIADTGSTGVGTAAGVTPSATAFAKT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GSGHHHHHH |
SEQ ID NO:19 |
Rhavi-FlaA2-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NSSASLNTSLQRLSTGSRINSAKDDAAGLQIANRLTSQVNGLNVATKNANDGISLAQTAEGALQQSTNILQRMRDLSLQSANGSNSDSERTALNGEVKQLQKELDRISNTTTFGGRKLLDGSFGVASFQVGSAANEIISVGIDEMSAESLNGTYFTAT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TDGAQISYVSKASADGTTSAVSGVAITDTGSTGAGTAAGTTTFTEANDTVAKIDISTAKGAQSAVLVIDEAIKQIDAQRADLGAVQNRFDNTINNLKNIGENVSAARGRIEDTDFAAETANLTKNQVLQQAGTAILAQANQLPQSVLSLLRGSGHHHHHH |
SEQ ID NO:20 |
Rhavi-FlaB-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ASSNDLNTSLQRLTTGYRINSAKDDAAGLQISNRLSNQISGLNVATRNANDGISLAQTAEGALQQSTNILQRIRDLALQSANGSNSDADRAALQKEVAAQQAELTRISDTTTFGGRKLLDGSFGTTSFQVGSNAYETIDISLQNASASAI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VASVDISTADGAQNAIAVVDNALAAIDAQRADLGAVQNRFKNTIDNLTNISENATNARSRIKDTDFAAETAALSKNQVLQQAGTAILAQANQLPQAVLSLLRGSGHHHHHH |
SEQ ID NO:21 |
Rhavi-FlaB-Domain2-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GSGHHHHHH |
SEQ ID NO:22 |
Rhavi-FlaA2-Domain2-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NGTYFTATGGGAVTAATASGTVDIAIGITGGSAVNVKVDMKGNETAEQAAAKIAAAVNDANVGIGAFTDGAQISYVSKASADGTTSAVSGVAITDTGSTGAGTAAGTTTFTEANDTGSGHHHHHH |
SEQ ID NO:23 |
Rhavi-FlaB-PcrV-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LTVNTNIASLNTQRNLNASSNDLNTSLQRLTTGYRINSAKDDAAGLQISNRLSNQISGLNVATRNANDGISLAQTAEGALQQSTNILQRIRDLALQSANGSNSDADRAALQKEVAAQQAELTRISDTTTFGGRKLLDGSFGTTSFQVGSNAYETIDISLQNASASAI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VASVDISTADGAQNAIAVVDNALAAIDAQRADLGAVQNRFKNTIDNLTNISENATNARSRIKDTDFAAETAALSKNQVLQQAGTAILAQANQLPQAVLSLLRAAAA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
SEQ ID NO:24 |
Rhavi-FlaB-Domain2-MrkA-donor-strand-complementation-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AAAAM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GSGHHHHHH |
SEQ ID NO:25 |
Rhavi-MrkA-donor-strand-complementation-PcrV-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ADTTVGGGQVNFFGKVTDVSCTVSVNGQGSDANVYLSPVTLTEVKAAAADTYLKPKSFTIDVSNCQAADGTKQDDVSKLGVNWTGGNLLAGATSKQQGYLANTEASGAQNIQLVLSTDNATALTNKIIPGDSTQPKAKGDASAVADGARFTYYVGYATSAPTTVTTGVVNSYATYEITYQGGGGGGADTTVGGGQVNFFGKVTDVSAAAA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
SEQ ID NO:26 |
Rhavi-FlaB-Domain2-PcrV-his |
MFDASNFKDFSSIASASSSWQNQSGSTMIIQVDSFGNVSGQYVNRAQGTGCQNSPYPLTGRVNGTFIAFSVGWNNSTENCNSATGWTGYAQVNGNNTEIVTSWNLAYEGGSGPAIEQGQDTFQYVPTTENKSLLKDGGGGSSSMGSYQVGSNGAGTVASVAGTATASGIASGTVNLVGGGQVKNIAIAAGDSAKAIAEKMDGAIPNLSARARTVFTADVSGVTGGSLNFDVTVGSNTVSLAGVTSTQDLADQLNSNSSKLGITASINDKGVLTITSATGENVKFGAQTGTATAGQVAVKVQGSDGKFEAAAKNVVAAGTAATTTIVTGYVQLNSPTAYSVSGTGTQASQVFGNASAAQKSSAAAAMEVRNLNAARELFLDELLAASAAPASAEQEELLALLRSERIVLAHAGQPLSEAQVLKALAWLLAANPSAPPGQGLEVLREVLQARRQPGAQWDLREFLVSAYFSLHGRLDEDVIGVYKDVLQTQDGKRKALLDELKALTAELKVYSVIQSQINAALSAKQGIRIDAGGIDLVDPTLYGYAVGDPRWKDSPEYALLSNLDTFSGKLSIKDFLSGSPKQSGELKGLSDEYPFEKDNNPVGNFATTVSDRSRPLNDKVNEKTTLLNDTSSRYNSAVEALNRFIQKYDSVLRDILSAIGSGHHHHHH |
참조문헌
Agodi A, Voulgari E, Barchitta M, Politi L, Koumaki V, et al. Containment of an outbreak of KPC-3-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Italy. J Clin Microbiol. 2011 Nov;49(11):3986-9.
Altschul SF, Gish W, Miller W, Myers EW, Lipman DJ.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J Mol Biol. 1990 Oct 5;215(3):403-10.
Altschul SF, Madden TL, Schaffer AA, Zhang J, Zhang Z, et al. Gapped BLAST and PSI-BLAST: a new generation of protein database search programs. Nucleic Acids Res. 1997 Sep 1;25(17):3389-402.
Andreasen C., Powell DA., Carbonetti N. Pertussis Toxin Stimulates IL-17 Production in Response to Bordetella pertussis Infection in Mice. PloS One 2009 4:Issue 9 e7079.
Anttila M, Eskola J, Ahman H, Kayhty H. Avidity of IgG for Streptococcus pneumoniae type 6B and 23F polysaccharides in infants primed with pneumococcal conjugates and boosted with polysaccharide or conjugate vaccines. J Infect Dis. 1998 Jun;177(6):1614-21.
Baer M, Sawa T, Flynn P, Luehrsen K, Martinez D, et al. An engineered human antibody fab fragment specific for Pseudomonas aeruginosa PcrV antigen has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Infect Immun. 2009 Mar;77(3):1083-90.
Baraniak, A., Grabowska, A., Izdebski, R., Fiett, J., Herda, M., Bojarska, K., Zabicka, D., Kania-Pudlo, M., Mlynarczyk, G., Zak-Pulawska, Z., Hryniewicz, W., Gniadkowski, M., 2011.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KPC-producing Enterobacteriaceae at the early stage of their dissemination in Poland, 2008-2009.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5, 5493-5499.
Barnea Y, Carmeli Y, Gur E, Kuzmenko B, Gat A, et al. Efficacy of antibodies against the N-terminal of Pseudomonas aeruginosa flagellin for treating infections in a murine burn wound model. Plast Reconstr Surg. 2006 Jun;117(7):2284-91.
Barnea Y, Carmeli Y, Neville LF, Kahel-Reifer H, Eren R, et al. Therapy with anti-flagellin A monoclonal antibody limits Pseudomonas aeruginosa invasiveness in a mouse burn wound sepsis model. Burns. 2009 May;35(3):390-6.
Baumgartner JD. Monoclonal anti-endotoxin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gram-negative bacteremia and septic shock.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1990 Oct;9(10):711-6.
Baxevanis AD and Ouellette BF, Eds., Bioinformatics: A Practical Guide to the Analysis of Genes and Proteins. New York, NY: Wiley-Interscience, 1998.
Bergogne-Berezin E. [Nosocomial infections: new agents, incidence, prevention]. Presse Med. 1995 Jan 14;24(2):89-97. Review. French.
Brisse S. et al., wzi Gene Sequencing, a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psular Type for Klebsiella Strains. J Clin Microbiol. 2013 51(12):4073-4078.
Bryan CS, Reynolds KL, Brenner ER. Analysis of 1,186 episodes of gram-negative bacteremia in non-university hospitals: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therapy. Rev Infect Dis. 1983 Jul-Aug;5(4):629-38.
Burmolle M, Bahl MI, Jensen LB, Sorensen SJ, Hansen LH. Type 3 fimbriae, encoded by the conjugative plasmid pOLA52, enhance biofilm formation and transfer frequencies in Enterobacteriaceae strains. Microbiology. 2008 Jan;154(Pt 1):187-95.
Campodonico VL, Llosa NJ, Grout M, Doring G, Maira-Litran T, et al. Evaluation of flagella and flagellin of Pseudomonas aeruginosa as vaccines. Infect Immun. 2010 Feb;78(2):746-55.
Campodonico VL, Llosa NJ, Bentancor LV, Maira-Litran T, Pier GB. Efficacy of a conjugate vaccine containing polymannuronic acid and flagellin against experimental Pseudomonas aeruginosa lung infection in mice. Infect Immun. 2011 Aug;79(8):3455-6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in the United States, 2013. http://www.cdc.gov/drugresistance/pdf/ar-threats-2013-508.pdf. 2013.
Chaloupka I, Schuler A, Marschall M, Meier-Ewert H. Comparative analysis of six European influenza vaccines.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1996 Feb;15(2):121-7.
Chang HH, Cohen T, Grad YH, Hanage WP, O'Brien TF, et al. Origin and proliferation of multiple-drug resistance in bacterial pathogens. Microbiol Mol Biol Rev. 2015 Mar;79(1):101-16.
Chen K, McAleer JP, Lin Y, Paterson DL, Zheng M, et al. Th17 cells mediate clade-specific, serotype-independent mucosal immunity. Immunity. 2011 Dec 23;35(6):997-1009.
Chen, L., Chavda, K.D., Findlay, J., Peirano, G., Hopkins, K., Pitout, J.D., Bonomo, R.A., Woodford, N., DeLeo, F.R., Kreiswirth, B.N., 2014a. Multiplex PCR for identification of two capsular types in epidemic KPC-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sequence Type 258 strain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8, 4196-4199.
Chen, L., Mathema, B., Pitout, J.D., DeLeo, F.R., Kreiswirth, B.N., 2014b. Epidemic Klebsiella pneumoniae ST258 is a hybrid strain. mBio 5, e01355-14.
Clegg S, Gerlach G F. Enterobacterial fimbriae. J Bacteriol. 1987;169:934-938.
Clements A, Gaboriaud F, Duval JF, Farn JL, Jenney AW, et al. The major surface-associated saccharides of Klebsiella pneumoniae contribute to host cell association. PLoS One. 2008;3(11):e3817.
Collignon P. Resistant Escherichia coli--we are what we eat. Clin Infect Dis. 2009 Jul 15;49(2):202-4.
Concepcion NF, Frasch CE. Pneumococcal type 22f polysaccharide absorption improves the specificity of a pneumococcal-polysaccharid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Clin Diagn Lab Immunol. 2001 Mar;8(2):266-72.
Cross AS, Zollinger W, Mandrell R, Gemski P, Sadoff J. Evaluation of immuno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 potential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K1-positive Escherichia coli. J Infect Dis. 1983 Jan;147(1):68-76.
Cross AS, Gemski P, Sadoff JC, Orskov F, Orskov I. The importance of the K1 capsule in invasive infections caused by Escherichia coli. J Infect Dis. 1984 Feb;149(2):184-93.
Cross AS, Kim KS, Wright DC, Sadoff JC, Gemski P. Role of lipopolysaccharide and capsule in the serum resistance of bacteremic strains of Escherichia coli. J Infect Dis. 1986 Sep; 154(3):497-503.
Cross A, Artenstein A, Que J, Fredeking T, Furer E, et al.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polyvalent Escherichia coli vaccine in human volunteers. J Infect Dis. 1994 Oct;170(4):834-40.
Crowe BA, Enzersberger O, Schober-Bendixen S, Mitterer A, Mundt W, et al. The first clinical trial of immuno's experimental Pseudomonas aeruginosa flagellar vaccines. Antibiot Chemother (1971). 1991;44:143-56.
Cryz SJ Jr, Furer E, Germanier R. Protection against fatal Pseudomonas aeruginosa burn wound sepsis by immunization with lipopolysaccharide and high-molecular-weight polysaccharide. Infect Immun. 1984 Mar;43(3):795-9.
Cryz SJ Jr, Furer E, Germanier R.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Klebsiella pneumoniae K1 capsular polysaccharide vaccine in humans. J Infect Dis. 1985;151:665-671.
Cryz SJ Jr, Mortimer P, Cross AS, Furer E, Germanier R.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polyvalent Klebsiella capsular polysaccharide vaccine in humans. Vaccine. 1986 Mar; 4(1):15-20.
Cryz SJ Jr, Mortimer PM, Mansfield V, Germanier R. Seroepidemiology of Klebsiella bacteremic isolates and implications for vaccine development. J Clin Microbiol. 1986 Apr; 23(4):687-90.
Cryz SJ Jr, Wedgwood J, Lang AB, Ruedeberg A, Que JU, et al. Immunization of noncolonized cystic fibrosis patient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J Infect Dis. 1994 May; 169(5):1159-62.
DeLeo, F.R., Chen, L., Porcella, S.F., Martens, C.A., Kobayashi, S.D., Porter, A.R., Chavda, K.D., Jacobs, M.R., Mathema, B., Olsen, R.J., Bonomo, R.A., Musser, J.M., Kreiswirth, B.N., 2014. Molecular dissection of the evolution of carbapenem-resistant multilocus sequence type 258 Klebsiella pneumoniae. Proc. Natl. Acad. Sci. U. S. A 111, 4988-4993.
Deng JC, Moore TA, Newstead MW, Zeng X, Krieg AM, et al. CpG oligodeoxynucleotides stimulate protective innate immunity against pulmonary Klebsiella infection. J Immunol. 2004 Oct 15;173(8):5148-55.
DiGiandomenico A, Sellman BR. Antibacterial monoclonal antibodies: the next generation. Curr Opin Microbiol. 2015 Oct; 27:78-85.
DiGiandomenico A, Rao J, Goldberg JB. Oral vaccination of BALB/c mice with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expressing Pseudomonas aeruginosa O antigen promotes increased survival in an acute fatal pneumonia model. Infect Immun. 2004 Dec;72(12):7012-21.
DiGiandomenico A, Rao J, Harcher K, Zaidi TS, Gardner J, et al. Intranasal immunization with heterologously expressed polysaccharide protects against multiple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7 Mar 13;104(11):4624-9.
DiGiandomenico A, Warrener P, Hamilton M, Guillard S, Ravn P, et al. Identification of broadly protective human antibodies to Pseudomonas aeruginosa exopolysaccharide Psl by phenotypic screening. J Exp Med. 2012 Jul 2;209(7):1273-87.
DiGiandomenico A, Keller AE, Gao C, Rainey GJ, Warrener P, et al. A multifunctional bispecific antibody protect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Sci Transl Med. 2014 Nov 12;6(262):262ra155.
Domenico P, Schwartz S, Cunha BA. Reduction of caps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in Klebsiella pneumoniae by sodium salicylate. Infect Immun. 1989 Dec;57(12):3778-82.
Doring G, Dorner F. A multicenter vaccine trial using the Pseudomonas aeruginosa flagella vaccine IMMUNO in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Behring Inst Mitt. 1997 Feb;
Doring G, Pier GB. Vaccines and immunotherap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Vaccine. 2008 Feb 20;26(8):1011-24.
Doring G, Pfeiffer C, Weber U, Mohr-Pennert A, Dorner F. Parenteral application of a Pseudomonas aeruginosa flagella vaccine elicits specific anti-flagella antibodies in the airways of healthy individual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 Apr;151(4):983-5.
Doring G, Meisner C, Stern M.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hase Ⅲ study of a Pseudomonas aeruginosa flagella vaccine in cystic fibrosis patient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7 Jun 26;104(26):11020-5.
Du H, Chen L, Tang YW, Kreiswirth BN. Emergence of the mcr-1 colistin resistance gene in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Lancet Infect Dis. 2016 Mar;16(3):287-8.
Edelman R, Taylor DN, Wasserman SS, McClain JB, Cross AS, et al. Phase 1 trial of a 24-valent Klebsiella capsular polysaccharide vaccine and an eight-valent Pseudomonas O-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Vaccine. 1994 Nov;12(14):1288-94.
Faezi S, Sattari M, Mahdavi M, Roudkenar MH. Passive immunisation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recombinant flagellin in an experimental model of burn wound sepsis. Burns. 2011 Aug; 37(5):865-72.
Faezi S, Safarloo M, Amirmozafari N, Nikokar I, Siadat SD, et al. Protective efficacy of Pseudomonas aeruginosa type-A flagellin in the murine burn wound model of infection. APMIS. 2014 Feb;122(2):115-27.
Feldman MF, Wacker M, Hernandez M, Hitchen PG, Marolda CL, et al. Engineering N-linked protein glycosylation with diverse O antigen lipopolysaccharide structures in Escherichia coli.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 Feb 22;102(8):3016-21.
Fine PE. Herd immunity: history, theory, practice. Epidemiol Rev. 1993;15(2):265-302.
Foglia G, Shah S, Luxemburger C, Pietrobon PJ. Clostridium difficile: development of a novel candidate vaccine. Vaccine. 2012 Jun 19;30(29):4307-9.
Fowler VG Jr, Proctor RA. Where does a Staphylococcus aureus vaccine stand. Clin Microbiol Infect. 2014 May; 20 Suppl 5:66-75.
Francois B, Luyt CE, Dugard A, Wolff M, Diehl JL, et al.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an anti-PcrV PEGylated monoclonal antibody fragment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olonized with Pseudomonas aeruginos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Crit Care Med. 2012 Aug; 40(8):2320-6.
Frank DW, Vallis A, Wiener-Kronish JP, Roy-Burman A, Spack EG, et al.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tective monoclonal antibody to Pseudomonas aeruginosa PcrV. J Infect Dis. 2002 Jul 1;186(1):64-73.
Galanos C, Freudenberg MA, Reutter W. Galactosamine-induced sensitization to the lethal effects of endotoxin. Proc Natl Acad Sci U S A. 1979 Nov;76(11):5939-43.
Gerding DN, Meyer T, Lee C, Cohen SH, Murthy UK, et al. Administration of spores of nontoxigenic Clostridium difficile strain M3 for prevention of recurrent C difficile infec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5 May 5;313(17):1719-27.
Gerlach GF, Clegg S, Allen B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nes encoding the type 3 and type 1 fimbrial adhesins of Klebsiella pneumoniae. J Bacteriol. 1989 Mar;171(3):1262-70.
Giakkoupi, P., Papagiannitsis, C.C., Miriagou, V., Pappa, O., Polemis, M., Tryfinopoulou, K., Tzouvelekis, L.S., Vatopoulos, A.C., 2011. An update of the evolving epidemic of blaKPC-2-carrying Klebsiella pneumoniae in Greece (2009-10). J. Antimicrob. Chemother. 66, 1510-1513.
Giani, T., Pini, B., Arena, F., Conte, V., Bracco, S., Migliavacca, R., Pantosti, A., Pagani, L., Luzzaro, F., Rossolini, G.M., 2013. Epidemic diffusion of KPC carbapenemase-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Italy: results of the first countrywide survey, 15 May to 30 June 2011. Eurosurveillance, 18.
Gransden WR, Eykyn SJ, Phillips I, Rowe B. Bacteremia due to Escherichia coli: a study of 861 episodes. Rev Infect Dis. 1990 Nov-Dec; 12(6):1008-18.
Greenberger MJ, Kunkel SL, Strieter RM, Lukacs NW, Bramson J, et al. IL-12 gene therapy protects mice in lethal Klebsiella pneumonia. J Immunol. 1996 Oct 1;157(7):3006-12.
Hansen DS, Mestre F, Alberti S, Hernandez-Alles S, Alvarez D, et al. Klebsiella pneumoniae lipopolysaccharide O typing: revision of prototype strains and O-group distribution among clinical isolates from different sources and countries. J Clin Microbiol. 1999 Jan; 37(1):56-62.
Henriques-Normark B, Normark S. Bacterial vacci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Ups J Med Sci. 2014 May; 119(2):205-8.
Holder IA, Naglich JG. Experimental studies of the pathogenesis of infections due to Pseudomonas aeruginosa: immunization using divalent flagella preparations. J Trauma. 1986 Feb;26(2):118-22.
Holder IA, Wheeler R, Montie TC. Flagellar preparations from Pseudomonas aeruginosa: animal protection studies. Infect Immun. 1982 Jan;35(1):276-80.
Holder IA, Neely AN, Frank DW. PcrV immunization enhances survival of burned Pseudomonas aeruginosa-infected mice. Infect Immun. 2001 Sep;69(9):5908-10.
Holliger P, Prospero T, Winter G. "Diabodies": small bivalent and bispecific antibody fragments. Proc Natl Acad Sci U S A. 1993 Jul 15;90(14):6444-8.
Horan T, Culver D, Jarvis W, Emori G, Banerjee S, Martone W, Thornsberry C. 병원체s Causing Nosocomial Infections. Antimicrobic Newsl. 1988 Sep;5(9):65-68.
Hornick DB, Allen BL, Horn MA, Clegg S. Adherence to respiratory epithelia by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expressing Klebsiella pneumoniae type 3 fimbrial gene products. Infect Immun. 1992 Apr;60(4):1577-88.
Hu R. et al., Outer Membrane Protein A (OmpA) Conferred Immunoprotection against Enterobacteriaceae Infection in Mice. Israel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2103. Vol. 68 (1):48-55.
Jansen KU, Girgenti DQ, Scully IL, Anderson AS. Vaccine review: "Staphyloccocus aureus vaccines: problems and prospects". Vaccine. 2013 Jun 7;31(25):2723-30.
Jones RJ, Roe EA, Lowbury EJ, Miler JJ, Spilsbury JF. A new Pseudomonas vaccine: preliminary trial on human volunteers. J Hyg (Lond). 1976 Jun;76(3):429-39.
Jones RJ, Roe EA, Gupta JL. Low mortality in burned patients in a Pseudomonas vaccine trial. Lancet. 1978 Aug 19;2(8086):401-3.
Jones RJ, Roe EA, Gupta JL. Controlled trials of a polyvalent pseudomonas vaccine in burns. Lancet. 1979 Nov 10;2(8150):977-82.
Jones RJ, Roe EA, Gupta JL. Controlled trial of Pseudomonas immunoglobulin and vaccine in burn patients. Lancet. 1980 Dec 13;2(8207):1263-5.
Kaijser B, Ahlstedt S. Protective capacity of antibodies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K antigens. Infect Immun. 1977 Aug; 17(2):286-9.
Kelly, RF et al., 1995. Structures of the O-antigens of Klebsiella serotypes 02 (2a,2e), 02 (2a,2e,2h), and 02 (2a,2f,2g), members of a family of related D-galactan O-antigens in Klebsiella 종 J. Endotoxin Res. 2:131-140.
Kim KH, Yu J, Nahm MH. Efficiency of a pneumococcal opsonophagocytic killing assay improved by multiplexing and by coloring colonies. Clin Diagn Lab Immunol. 2003 Jul; 10(4):616-21.
Knirel YA, Bystrova OV, Kocharova NA, Zahringer U, Pier GB. Conserved and variable structural features in the lipopolysaccharide of Pseudomonas aeruginosa. J Endotoxin Res. 2006;12(6):324-36.
Kojima K, Ishizaka A, Oshika E, Taguchi Y, Tomizawa K, et al. Quantitation of IgG subclass antibodies to pneumococcal capsular polysaccharides by ELISA, using Pneumovax-specific antibodies as a reference. Tohoku J Exp Med. 1990 Jul;161(3):209-15.
Kol, O., Wieruszeski, J.M., Strecker, G., Fournet, B., Zalisz, R., Smets, P., 1992. Structure of the O-specific polysaccharide chain of Klebsiella pneumoniae O1K2 (NCTC 5055) lipopolysaccharide. A complementary elucidation. Carbohydr. Res. 236, 339-344.
Koskela M, Leinonen M. Comparison of ELISA and RIA for measurement of pneumococcal antibodies before and after vaccination with 14-valent pneumococcal capsular polysaccharide vaccine. J Clin Pathol. 1981 Jan;34(1):93-8.
Kreger BE, Craven DE, Carling PC, McCabe WR. Gram-negative bacteremia Ⅲ Reassessment of etiology, epidemiology and ecology in 612 patients. Am J Med. 1980 Mar; 68(3):332-43.
Lal G, Balmer P, Stanford E, Martin S, Warrington R,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onaplex assay for the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antibodies to nine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s. J Immunol Methods. 2005 Jan;296(1-2):135-47.
Landman, D., Babu, E., Shah, N., Kelly, P., Olawole, O., Backer, M., Bratu, S., Quale, J., 2012. Transmission of carbapenem-resistant pathogens in New York City hospitals: progress and frustration. J. Antimicrob. Chemother. 67, 1427-1431.
Lang AB, Schaad UB, Rudeberg A, Wedgwood J, Que JU, et al. Effect of high-affinity anti-Pseudomonas aeruginosa lipopolysaccharide antibodies induced by immunization on the rate of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in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J Pediatr. 1995 Nov; 127(5):711-7.
Langford DT, Hiller J.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of a polyvalent pseudomonas vaccine in cystic fibrosis--three year results. Arch Dis Child. 1984 Dec;59(12):1131-4.
Langstraat J, Bohse M, Clegg S. Type 3 fimbrial shaft (MrkA) of Klebsiella pneumoniae, but not the fimbrial adhesin (MrkD), facilitates biofilm formation. Infect Immun. 2001 Sep; 69(9):5805-12.
Leach S, Clements JD, Kaim J, Lundgren A. The adjuvant double mutant Escherichia coli heat labile toxin enhances IL-17A production in human T cells specific for bacterial vaccine antigens. PLoS One. 2012;7(12):e51718. doi: 10.1371.
Levin BR, Cornejo OE. The population and evolutionary dynamics of homologous gene recombination in bacterial populations. PLoS Genet. 2009 Aug; 5(8):e1000601.
Levin BR, Stewart FM, Rice VA. The kinetics of conjugative plasmid transmission: fit of a simple mass action model. Plasmid. 1979 Apr;2(2):247-60.
Lipsitch M, Siber GR. How Can Vaccines Contribute to Solving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roblem. MBio. 2016 Jun 7;7(3)
Liu Y, Filler SG. Candida albicans Als3, a multifunctional adhesin and invasin. Eukaryot Cell. 2011 Feb;10(2):168-73.
Liu YY, Wang Y, Walsh TR, Yi LX, Zhang R, et al. Emergence of plasmid-mediated colistin resistance mechanism MCR-1 in animals and human beings in China: a microbi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study. Lancet Infect Dis. 2016 Feb;16(2):161-8.
Ma L, Jackson KD, Landry RM, Parsek MR, Wozniak DJ. Analysis of Pseudomonas aeruginosa conditional psl variants reveals roles for the psl polysaccharide in adhesion and maintaining biofilm structure post attachment. J Bacteriol. 2006 Dec;188(23):8213-21.
Magill SS, Edwards JR, Bamberg W, Beldavs ZG, Dumyati G, et al. Multistate point-prevalence survey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N Engl J Med. 2014 Mar 27;370(13):1198-208.
Mandine E, Salles MF, Zalisz R, Guenounou M, Smets P. Murine monoclonal antibodies to Klebsiella pneumoniae protect against lethal endotoxemia and experimental infection with capsulated K. pneumoniae. Infect Immun. 1990 Sep;58(9):2828-33.
Martin, EW,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5th ed. Easton, PA: Mack Publishing Company, 1975.
Martinez JE, Romero-Steiner S, Pilishvili T, Barnard S, Schinsky J, et al. A flow cytometric opsonophagocytic assay for measurement of functional antibodies elicited after vaccination with the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Clin Diagn Lab Immunol. 1999 Jul;6(4):581-6.
McCabe WR, Kaijser B, Olling S, Uwaydah M, Hanson LA. Escherichia coli in bacteremia: K and O antigens and serum sensitivity of strains from adults and neonates. J Infect Dis. 1978 Jul;138(1):33-41.
McGann P, Chahine S, Okafor D, Ong AC, Maybank R, et al. Detecting 16S rRNA Methyltransferases in Enterobacteriaceae by Use of Arbekacin. J Clin Microbiol. 2016 Jan; 54(1):208-11.
Meir A, Helppolainen SH, Podoly E, Nordlund HR, Hytonen VP, et al. Crystal structure of rhizavidin: insights into the enigmatic high-affinity interaction of an innate biotin-binding protein dimer. J Mol Biol. 2009 Feb 20;386(2):379-90.
Milla CE, Chmiel JF, Accurso FJ, VanDevanter DR, Konstan MW, et al. Anti-PcrV antibody in cystic fibrosis: a novel approach targeting Pseudomonas aeruginosa airway infection. Pediatr Pulmonol. 2014 Jul;49(7):650-8.
Misener S and Krawetz SA, Eds., Bioinformatics: Methods and Protocols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ume 132). Totowa, NJ: Humana Press, 1999.
Montie TC, Drake D, Sellin H, Slater O, Edmonds S. Motility, virulence, and protection with a flagella vaccine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Antibiot Chemother (1971). 1987;39:233-48.
Moore TA, Perry ML, Getsoian AG, Newstead MW, Standiford TJ. Divergent role of gamma interferon in a murine model of pulmonary versus systemic Klebsiella pneumoniae infection. Infect Immun. 2002 Nov;70(11):6310-8.
Moriel DG, Bertoldi I, Spagnuolo A, Marchi S, Rosini R, et al. Identification of protective and broadly conserved vaccine antigens from the genome of extraintestinal pathogenic Escherichia coli. Proc Natl Acad Sci U S A. 2010 May 18;107(20):9072-7.
Munro CS, Stanley PJ, Cole PJ. Assessment of biological activity of immunoglobulin preparations by using opsonized micro-organisms to stimulate neutrophil chemiluminescence. Clin Exp Immunol. 1985 Jul;61(1):183-8.
Murphy CN, Clegg S. Klebsiella pneumoniae and type 3 fimbriae: nosocomial infection, regulation and biofilm formation. Future Microbiol. 2012 Aug;7(8):991-1002.
Navon-Venezia, S., Leavitt, A., Schwaber, M.J., Rasheed, J.K., Srinivasan, A., Patel, J.B., Carmeli, Y., 2009. First report on a hyperepidemic clone of KPC-3-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Israel genetically related to a strain causing outbreaks in the United State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3, 818-820.
Neely AN, Bhattacharjee AK, Babcock GF, Holder IA, Cross AS. Differential effects of two different routes of immunization on protection against gram-negative sepsis by a detoxified Escherichia coli J5 lipopolysaccharide group B meningococcal outer membrane protein complex vaccine in a burned mouse model. J Burn Care Rehabil. 2002 Sep-Oct;23(5):333-40.
Nesta B, Spraggon G, Alteri C, Moriel DG, Rosini R, et al. FdeC, a novel broadly conserved Escherichia coli adhesin eliciting protection against urinary tract infections. MBio. 2012;3(2)
Norton EB et al., Characterization of a Mutant Escherichia coli Heat-Labile Toxin, LT(R192G/L211A), as a Safe and Effective Oral Adjuvant. Clin Vaccine Immunol. 2011 18:546-551.
Norton EB et al., The A Subunit of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 Functions as a Mucosal Adjuvant and Promotes IgG2a, IgA, and Th17 Responses to Vaccine Antigens. Infection and Immunity 2012, 80:2426-2435.
Ojo-Amaize EA, Church JA, Barka NE, Agopian MS, Peter JB. A rapid and sensitive chemiluminescence assay for evaluation of functional opsonic activity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specific antibodies. Clin Diagn Lab Immunol. 1995 May;2(3):286-90.
Old DC, Adegbola RA. Antigenic relationships among type-3 fimbriae of Enterobacteriaceae revealed by immunoelectronmicroscopy. J Med Microbiol. 1985 Aug; 20(1):113-21.
Pereira, P.S., de Araujo, C.F., Seki, L.M., Zahner, V., Carvalho-Assef, A.P., Asensi, M.D., 2013. Update of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KPC-2-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Brazil: spread of clonal complex 11 (ST11 ST437 and ST340). J. Antimicrob. Chemother. 68, 312-316.
Pickering JW, Martins TB, Greer RW, Schroder MC, Astill ME, et al. A multiplexed fluorescent microsphere immunoassay for antibodies to pneumococcal capsular polysaccharides. Am J Clin Pathol. 2002 Apr; 117(4):589-96.
Podschun R, Ullmann U. Klebsiella 종 as nosocomial pathogens: epidemiology, taxonomy, typing methods, and pathogenicity factors. Clin Microbiol Rev. 1998 Oct;11(4):589-603.
Poljak RJ. Production and structure of diabodies. Structure. 1994 Dec 15;2(12):1121-3.
Poolman JT, Wacker M. Extraintestinal 병원체ic Escherichia coli, a Common Human 병원체: Challenges for Vaccine Development and Progress in the Field. J Infect Dis. 2016 Jan 1;213(1):6-13.
Powell MF and Newman MJ, Eds. Vaccine Design: The Subunit and Adjuvant Approach. New York, NY: Plenum Press, 1995.
Priebe GP, Walsh RL, Cederroth TA, Kamei A, Coutinho-Sledge YS, et al. IL-17 is a critical component of vaccine-induced protection against lung infection by lipopolysaccharide-heterologous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J Immunol. 2008 Oct 1;181(7):4965-75.
Qi, Y., Wei, Z., Ji, S., Du, X., Shen, P., Yu, Y., 2011. ST11, the dominant clone of KPC-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China. J. Antimicrob. Chemother. 66, 307-312.
Ramachandran G, Boyd MA, MacSwords J, Higginson EE, Simon R, et al. Opsonophagocytic Assay To Evaluate Immunogenicity of Nontyphoidal Salmonella Vaccines. Clin Vaccine Immunol. 2016 Jun;23(6):520-3.
Rappuoli R. Reverse vaccinology. Curr Opin Microbiol. 2000 Oct; 3(5):445-50.
Rayner BL, Willcox PA. Community-acquired bacteraemia; a prospective survey of 239 cases. Q J Med. 1988 Nov;69(259):907-19.
Robbins JB, McCracken GH Jr, Gotschlich EC, Orskov F, Orskov I, et al. Escherichia coli K1 capsular polysaccharide associated with neonatal meningitis. N Engl J Med. 1974 May 30;290(22):1216-20.
Romero-Steiner S, Libutti D, Pais LB, Dykes J, Anderson P, et al. Standardization of an opsonophagocytic assay for the measurement of functional antibody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using differentiated HL-60 cells. Clin Diagn Lab Immunol. 1997 Jul;4(4):415-22.
Romero-Steiner S, Holder PF, Gomez de Leon P, Spear W, Hennessy TW, et al. Avidity determinations for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anti-polyribosylribitol phosphate antibodies. Clin Diagn Lab Immunol. 2005 Sep;12(9):1029-35.
Ross PJ, Sutton CE, Higgins S, Allen AC, Walsh K, et al. Relative contribution of Th1 and Th17 cells in adaptive immunity to Bordetella pertussis: towards the rational design of an improve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PLoS Pathog. 2013;9(4):e1003264.
Saeland E, Vidarsson G, Jonsdottir I. Pneumococcal pneumonia and bacteremia model in mice for the analysis of protective antibodies. Microb Pathog. 2000 Aug;29(2):81-91.
Saha S, Takeshita F, Matsuda T, Jounai N, Kobiyama K, et al. Blocking of the TLR5 activation domain hampers protective potential of flagellin DNA vaccine. J Immunol. 2007 Jul 15;179(2):1147-54.
Sambrook J, Maniatis T and Fritsch EF.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N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Sawa T, Yahr TL, Ohara M, Kurahashi K, Gropper MA, et al. Active and passive immunization with the Pseudomonas V antigen protects against type Ⅲ intoxication and lung injury. Nat Med. 1999 Apr;5(4):392-8.
Schaad UB, Lang AB, Wedgwood J, Ruedeberg A, Que JU, et al.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conjugate A vaccine in cystic fibrosis. Lancet. 1991 Nov 16;338(8777):1236-7.
Schaberg DR, Culver DH, Gaynes RP. Major trends in the microbial etiology of nosocomial infection. Am J Med. 1991 Sep 16;91(3B):72S-75S.
Schmidt AC, McAuliffe JM, Murphy BR, Collins PL. Recombinant bovine/human parainfluenza virus type 3 (B/HPIV3) expressing th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G and F proteins can be used to achieve simultaneous mucosal immunization against RSV and HPIV3. J Virol. 2001 May;75(10):4594-603.
Schmidt CS, White CJ, Ibrahim AS, Filler SG, Fu Y, et al. NDV-3, a recombinant alum-adjuvanted vaccine for Candida and Staphylococcus aureus, is safe and immunogenic in healthy adults. Vaccine. 2012 Dec 14;30(52):7594-600.
Schweizer HP. Allelic exchange in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novel ColE1-type vectors and a family of cassettes containing a portable oriT and the counter-selectable Bacillus subtilis sacB marker. Mol Microbiol. 1992 May;6(9):1195-204.
Scully IL, Liberator PA, Jansen KU, Anderson AS. Covering all the Bases: Preclinical Development of an Effective Staphylococcus aureus Vaccine. Front Immunol. 2014 Mar 24;5:109.
Shime N, Sawa T, Fujimoto J, Faure K, Allmond LR, et al. Therapeutic administration of anti-PcrV F(ab')(2) in sepsis associated with Pseudomonas aeruginosa. J Immunol. 2001 Nov 15;167(10):5880-6.
Simon R, Samuel CE. Activation of NF-kappaB-dependent gene expression by Salmonella flagellins FliC and FljB.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7 Mar 30;355(1):280-5.
Song WS, Yoon SI. Crystal structure of FliC flagell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and its implication in TLR5 binding and formation of the flagellar filament.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4 Feb 7;444(2):109-15.
Stack AM, Malley R, Thompson CM, Kobzik L, Siber GR, et al. Minimum protective serum concentrations of pneumococcal anti-capsular antibodies in infant rats. J Infect Dis. 1998 Apr;177(4):986-90.
Szijarto V. et al., 2016. Both clades of the epidemic KPC-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clone ST258 share a modified galactan O-antigen typ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306:89-98.
Tarkkanen AM, Virkola R, Clegg S, Korhonen TK. Binding of the type 3 fimbriae of Klebsiella pneumoniae to human endothelial and urinary bladder cells. Infect Immun. 1997 Apr;65(4):1546-9.
Tarkkanen AM, Allen BL, Westerlund B, Holthofer H, Kuusela P, et al. Type V collagen as the target for type-3 fimbriae, enterobacterial adherence organelles. Mol Microbiol. 1990 Aug;4(8):1353-61.
Thammavongsa V, Kim HK, Missiakas D, Schneewind O. Staphylococcal manipulation of host immune responses. Nat Rev Microbiol. 2015 Sep;13(9):529-43.
Therasse P, Arbuck SG, Eisenhauer EA, Wanders J, Kaplan RS, et al. New Guidelines to Evaluate the Response to Treatment in Solid Tumors. J Natl Cancer Inst. 2000 Feb 2;92(3):205-216.
Tomas JM, Camprubi S, Williams P. Surface exposure of the O-antigen in Klebsiella pneumoniae O1:K1 serotype strains. Microb Pathog. 1988 Aug;5(2):141-7.
Toprani VS. et al., Development of a candidate stabilizing formulation for bulk storage of a double mutant heat labile toxin (dmLT) protein based adjuvant. Vaccine. 2017. 35:5471-548.
Trautmann, M., et al., 1997. O-Antigen Seroepidemiology of Klebsiella Clinical Isolates and Implications for Immunoprophylaxis of Klebsiella Infections. Clinical and Diagnostic Laboratory Immnuology 4:550-555.
Westritschnig K, Hochreiter R, Wallner G, Firbas C, Schwameis M, Jilma B. 2014.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hase I study assessing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Pseudomonas aeruginosa hybrid outer membrane protein OprF/I vaccine (IC43) in healthy volunteers. Hum Vaccin Immunother 10:170-183.
Ullmann U. [Bacterial infection agents in hospitalized patients]. Zentralbl Bakteriol Mikrobiol Hyg B. 1986 Dec;183(2-3):103-13.
Vaudaux P and Waldvogel FA (1979). Gentamicin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presence of 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6 (6): 743-749.
Vinogradov E, Frirdich E, MacLean LL, Perry MB, Petersen BO, et al. Structures of lipopolysaccharides from Klebsiella pneumoniae Eluicid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linkage region between core and polysaccharide O chain and identification of the residues at the non-reducing termini of the O chains. J Biol Chem. 2002 Jul 12;277(28):25070-81.
Wang Q, Chang CS, Pennini M, Pelletier M, Rajan S, et al. Target-Agnostic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Multimeric MrkA Fimbrial Subunit. J Infect Dis. 2016 Jun 1;213(11):1800-8.
Walczak MJ, Puorger C, Glockshuber R, Wider G. Intramolecular donor strand complementation in the E. coli type 1 pilus subunit FimA explains the existence of FimA monomers as off-pathway products of pilus assembly that inhibit host cell apoptosis. J Mol Biol. 2014 Feb 6;426(3):542-9.
Warfel JM, Zimmerman LI, Merkel TJ. Acellular pertussis vaccines protect against disease but fail to prevent infection and transmission in a nonhuman primate model. Proc Natl Acad Sci U S A. 2014 Jan 14;111(2):787-92.
Warrener P, Varkey R, Bonnell JC, DiGiandomenico A, Camara M, et al. A novel anti-PcrV antibody providing enhanced protection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in multiple animal infection model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4 Aug;58(8):4384-91.
Welch WD, Martin WJ, Stevens P, Young LS. Relative opsonic and protective activities of antibodies against K1, O and lipid A antigens of Escherichia coli. Scand J Infect Dis. 1979;11(4):291-301.
Whitfield, C., Perry, M.B., MacLean, L.L., Yu, S.H., 1992. Structural analysis of the O-antigen side chain polysaccharides in the lipopolysaccharides of Klebsiella serotypes O2(2a) O2(2a, 2b), and O2(2a, 2c). J. Bacteriol. 174, 4913-4919.
Whitfield, C., Richards, J.C., Perry, M.B., Clarke, B.R., MacLean, L.L., 1991. Expression of two structurally distinct d-galactan O antigens in the lipopolysaccharide of Klebsiella pneumoniae serotype O1. J. Bacteriol. 173, 1420-1431.
Woodford N, Turton JF, Livermore DM. Multi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 the role of high-risk clones in the dissemin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FEMS Microbiol Rev. 2011 Sep;35(5):736-5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timicrobial Resistance-Global Report on Surveillance. 2014.
Wu W, Huang J, Duan B, Traficante DC, Hong H, et al. Th17-stimulating protein vaccines confer protection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2 Sep 1;186(5):420-7.
Wurker M, Beuth J, Ko HL, Przondo-Mordarska A, Pulverer G. Type of fimbriation determines adherence of Klebsiella bacteria to human epithelial cells. Zentralbl Bakteriol. 1990 Nov;274(2):239-45
Zhang F, Lu YJ, Malley R. Multiple antigen-presenting system (MAPS) to induce comprehensive B-and T-cell immunity. Proc Natl Acad Sci U S A. 2013 Aug 13;110(33):13564-9.
균등물
당업자는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별한 구체 예에 대한 많은 균등물을 일상적인 실험을 사용하여 인식하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기 청구범위에 서술된 바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