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38181A - 전력 증폭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181A
KR20200038181A KR1020190117168A KR20190117168A KR20200038181A KR 20200038181 A KR20200038181 A KR 20200038181A KR 1020190117168 A KR1020190117168 A KR 1020190117168A KR 20190117168 A KR20190117168 A KR 20190117168A KR 20200038181 A KR20200038181 A KR 2020003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se
collector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459B1 (ko
Inventor
사토시 타나카
사토시 아라야시키
사토시 고토
유스케 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3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1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085Long 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amplifying stage of an amplifier comprising two power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55A voltage generating circuit being realised for biasing different circuit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652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LC comprising one or more further dif amp stages, either identical to the dif amp or not, in casca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과제) 엔벨로프 트래킹을 적합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전력 증폭 회로는 이미터가 공통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에 제 1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로부터 제 3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이미터가 공통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에 제 2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로부터 제 4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용량 회로와,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용량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증폭 회로{POWER AMPLIFIER CIRCUIT}
본 발명은 전력 증폭 회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전력 증폭 회로에서는 전력 효율의 향상이 요구된다. 전력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입력 신호의 진폭 레벨 에 따라 전력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는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의 전력 증폭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5/001851호
현재, 제 2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GSM(등록상표)),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W-CDMA, UMTS, CDMA2000 1x) 및 제 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이 운용되고 있다. 또한, 제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이 실용화되려고 하고 있다. 제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는 3.3GHz로부터 4.2GHz/3.3GHz로부터 3.8GHz의 3.5GHz대 및 4.5GHz로부터 4.99GHz의 4.5GHz대가 예시된다. 변조 신호의 대역에 주목하면, W-CDMA에서는 1.25MHz, LTE에서는 20MHz, LTE-Advance에서는 60MHz, 5G에서는 200MHz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변조 대역폭이 넓어짐으로써 엔벨로프 트래커측의 속도가 변조 대역폭에 달하지 않으므로 엔벨로프 트래커측을 이산적인 제어를 행함으로써 변조 대역폭이 넓어져도 그 신호 속도까지 대응할 수 있다.
디지털 제어로 엔벨로프 트래킹을 행하는 전원 회로는 고주파 신호의 변조 신호 대역이 상기와 같이 높아지면, 전력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을 변조 신호의 엔벨로프 신호에 추종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엔벨로프 신호보다 느린 주기에서 계단 형상(스텝 형상)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전력 증폭 회로 내의 트랜지스터의 이득은 전원 전압 의존성이 있다. 따라서, 전원 전압의 파형이 스텝 형상으로 변화되면,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이 스텝 형상으로 변화되어버린다. 따라서, 엔벨로프 트래킹의 전원이 스텝 형상으로 변화되면, 전력 증폭 회로는 이산적인 이득에 의해 증폭되어버리기 때문에 아날로그적인 매끄러운 증폭을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산적인 전압을 출력하는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에서의 전력 증폭기의 연속적인 증폭을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전력 증폭 회로는 정극성의 제 1 고주파 신호 및 부극성의 제 2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고주파 차동 신호를 증폭해서 부극성의 제 3 고주파 신호 및 정극성의 제 4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는 제 2 고주파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 회로로서, 이미터가 공통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에 제 1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로부터 제 3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이미터가 공통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에 제 2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로부터 제 4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용량 회로와,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용량 회로를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득의 전원 전압 의존성을 억제하고, 디지털 방식의 엔벨로프 트래킹을 사용한 전력 증폭을 적합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과,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원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전력 증폭 회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치환 또는 조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 2 실시형태 이후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의 사항에 대한 기술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특히, 동일한 구성에 의한 동일한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실시형태마다 하나하나 언급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력 증폭기(1)는 무선 주파수의 고주파 차동 신호(RF1)를 증폭해서 무선 주파수의 고주파 차동 신호(RF3)를 출력한다. 고주파 차동 신호(RF1)는 정극성의 고주파 신호(RF1P)와, 부극성의 고주파 신호(RF1N)를 포함한다. 고주파 차동 신호(RF3)는 정극성의 고주파 신호(RF3P)와, 부극성의 고주파 신호(RF3N)를 포함한다.
고주파 차동 신호(RF1)가 본 개시의 「제 1 고주파 차동 신호」에 대응한다. 고주파 신호(RF1P)가 본 개시의 「제 1 고주파 신호」에 대응한다. 고주파 신호(RF1N)가 본 개시의 「제 2 고주파 신호」에 대응한다.
전력 증폭기(1)는 휴대 전화 장치에서 예시되는 이동체 통신 장치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등의 각종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해서 이용가능하다. 전력 증폭기(1)는 1개의 반도체 칩(다이) 상에 형성되어도 좋다.
전력 증폭기(1)는 제 1 단의 전력 증폭 회로(2)와, 제 2 단의 전력 증폭 회로(3)를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증폭 회로의 단수를 2단으로 했지만,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력 증폭 회로의 단수는 1단이어도 좋고, 3단 이상이어도 좋다.
전력 증폭 회로(2)는 고주파 차동 신호(RF1)를 증폭한다. 그리고, 전력 증폭 회로(2)는 증폭 후의 고주파 차동 신호(RF2)를 전력 증폭 회로(3)에 출력한다. 고주파 차동 신호(RF2)는 정극성의 고주파 신호(RF2P)와 부극성의 고주파 신호(RF2N)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 회로(3)는 고주파 차동 신호(RF2)를 증폭한다. 그리고, 전력 증폭 회로(3)는 증폭 후의 고주파 차동 신호(RF3)를 출력한다.
고주파 차동 신호(RF2)가 본 개시의 「제 2 고주파 차동 신호」에 대응한다. 고주파 신호(RF2N)가 본 개시의 「제 3 고주파 신호」에 대응한다. 고주파 신호(RF2P)가 본 개시의 「제 4 고주파 신호」에 대응한다.
고주파 차동 신호(RF1), 고주파 차동 신호(RF2) 및 고주파 차동 신호(RF3)의 주파수는 수백 MHz(메가헤르츠)로부터 수십 GHz(기가헤르츠) 정도가 예시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전력 증폭 회로(2)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전력 증폭 회로(3)의 구성은 전력 증폭 회로(2)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력 증폭 회로(2)는 차동 증폭 회로이다. 전력 증폭 회로(2)는 트랜지스터(Q1 및 Q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1)가 본 개시의 「제 1 트랜지스터」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Q2)가 본 개시의 「제 2 트랜지스터」에 대응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Q1 및 Q2)는 헤테로 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BT)가 예시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Q1 및 Q2)는 예를 들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이어도 좋다. 트랜지스터(Q1 및 Q2)는 복수의 단위 트랜지스터(핑거라고도 함)를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한 멀티 핑거 트랜지스터이어도 좋다. 단위 트랜지스터란 트랜지스터가 구성되는 최소한의 구성을 말한다.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 및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기준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기준 전위는 접지 전위가 예시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Q1)는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을 갖는다.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은 콜렉터(N형 반도체)와 베이스(P형 반도체) 사이의 접합 용량이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Q2)는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을 갖는다.
전력 증폭 회로(2)는 바이어스 회로(11 및 12)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회로(11)는 전원 전위(Vccb)의 공급을 받아 일정 바이어스 전위(바이어스 전류)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출력한다. 바이어스 회로(12)는 전원 전위(Vccb)의 공급을 받아 일정 바이어스 전위(바이어스 전류)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출력한다.
전력 증폭 회로(2)는 초크 인덕터(13 및 14)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초크 인덕터(13)를 개재하여 전원 회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초크 인덕터(14)를 개재하여 전원 회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초크 인덕터(13 및 14)는 교류 전력을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초크 인덕터(13 및 14)는 고주파 차동 신호(RF1) 및 고주파 차동 신호(RF2)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충분히 높은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 한다. 즉, 초크 인덕터(13 및 14)의 임피던스는 고주파 차동 신호(RF1) 및 고주파 차동 신호(RF2)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할 때,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초크 인덕터(13 및 14)는 고주파 차동 신호(RF1) 및 고주파 차동 신호(RF2)의 전원 회로(31)에의 누설을 억제한다.
전원 회로(31)는 고주파 차동 신호(RF1)의 진폭 레벨에 따른 전원 전위(VCC1)를 초크 인덕터(13)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출력함과 아울러 초크 인덕터(14)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출력한다.
즉, 전원 회로(31)는 고주파 차동 신호(RF1)의 진폭 레벨에 따라 전력 증폭 회로(2)의 전원 전위(VCC1)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엔벨로프 트래킹 제어를 행하는 엔벨로프 트래커이다.
전력 증폭 회로(2)는 커플링 콘덴서(15 및 16)를 포함한다. 커플링 콘덴서(15)의 일단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커플링 콘덴서(15)를 개재하여 정극성의 고주파 신호(RF1P)가 입력된다. 커플링 콘덴서(16)의 일단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커플링 콘덴서(16)를 개재하여 부극성의 고주파 신호(RF1N)가 입력된다.
트랜지스터(Q1 및 Q2)의 각각은 콜렉터 출력의 이미터 접지 회로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정극성의 고주파 신호(RF1P)를 반전 증폭한 부극성의 고주파 신호(RF2N)를 콜렉터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트랜지스터(Q2)는 부극성의 고주파 신호(RF1N)를 반전 증폭한 정극성의 고주파 신호(RF2P)를 콜렉터로부터 출력한다.
전력 증폭 회로(2)가 차동 증폭 회로이므로 트랜지스터(Q1)의 사이즈(핑거수)와 트랜지스터(Q2)의 사이즈(핑거수)는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력 증폭 회로(2)는 트랜지스터(CP1 및 CP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CP1)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CP1)의 이미터는 트랜지스터(CP1)의 베이스(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CP1)의 이미터는 어디에도 접속되지 않고 오픈(플로팅)이어도 좋다. 단, 트랜지스터(CP1)의 이미터가 트랜지스터(CP1)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트랜지스터(CP1)의 이미터의 전위가 안정되고, 노이즈 내성이 높아져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CP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CP2)의 이미터는 트랜지스터(CP2)의 베이스(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CP2)의 이미터는 어디에도 접속되지 않고 오픈(플로팅)이어도 좋다. 단, 트랜지스터(CP2)의 이미터가 트랜지스터(CP2)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트랜지스터(CP2)의 이미터의 전위가 안정되고, 노이즈 내성이 높아져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CP1 및 CP2)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사이 및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사이를 크로스 커플링한다.
트랜지스터(CP1)가 본 개시의 「제 3 트랜지스터」 및 「제 1 용량 회로」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값은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같은 경우,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과 대략 같은 값으로 하는 것이 많다. 트랜지스터(CP2)가 본 개시의 「제 4 트랜지스터」 및 「제 2 용량 회로」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값은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같은 경우,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과 대략 같은 값으로 하는 것이 많다.
트랜지스터(CP1 및 CP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에 앞서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교예의 일례로서 전력 증폭 회로(2 및 3)가 트랜지스터(CP1 및 CP2)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2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과,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파형(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높아질수록 작아지고,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낮아질수록 커지도록 비선형으로 변화된다.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는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을 통해 베이스로 귀환된다. 여기서, 이미터 접지 회로는 반전 증폭 회로이다. 즉,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전압의 극성은 베이스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전압의 극성에 대해서 반전된다. 따라서,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부귀환 작용을 갖고, 이득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부귀환의 강도(이득의 저하 정도)는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이 클수록(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낮을수록) 강하고,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이 작을수록(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높을수록) 약하다. 즉,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은 전원 전압 의존성이 강하다.
도 3은 비교예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형(51)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1 전압(V1)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52)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2 전압(V2)(V1<V2)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53)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3 전압(V3)(V2<V3)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54)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4 전압(V4)(V3<V4)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55)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5 전압(V5)(V4<V5)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56)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6 전압(V6)(V5<V6)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귀환의 강도(이득의 저하 정도)는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이 클수록(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낮을수록) 강하고,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이 작을수록(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높을수록) 약하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낮을수록 이득이 낮아지고,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높을수록 이득이 높아진다.
도 4는 비교예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엔벨로프 트래커인 전원 회로(31)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을 V2로부터 V6까지 매끄럽게(연속적, 아날로그적) 변화시킬 수 있으면 파형(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회로(31)는 고주파 신호의 변조 신호 대역이 높아지면, 전력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을 매끄럽게 제어할 수 없어진다. 즉, 전원 전압의 파형이 계단 형상(스텝 형상, 이산적)으로 변화되어버린다.
도 5는 전원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형(71)은 고주파 신호를 나타낸다. 파형(72)은 전원 전압의 일례를 나타낸다. 파형(73)은 전원 전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디지털 제어로 엔벨로프 트래킹을 행하는 전원 회로(31)는 고주파 신호의 변조 신호 대역이 높아지면, 전력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을 매끄럽게 제어할 수 없어진다. 즉, 파형(72 또는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전압의 파형이 계단 형상(스텝 형상, 이산적)으로 변화되어버린다.
이득의 전원 전압 의존성이 강하면, 파형(72 또는 73)에 포함되는 고조파 성분(고주파 성분)이 고주파 신호의 대역으로 변조되어 고주파 출력 신호에 중첩되어버린다.
도 6은 비교예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원 회로(31)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을 V2→V3→V4→V5→V6으로 계단 형상(스텝 형상, 이산적)으로 변화시키면, 파형(8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이 크게 변동된다. 예를 들면, 고주파 신호의 전력이 P1일 때에 전원 회로(31)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을 V2로부터 V3으로 변화시키면, 화살표(8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의 변화량은 크다. 즉, 전력 증폭 회로는 선형 증폭을 행할 수 없다.
여기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 회로(2)는 트랜지스터(CP1 및 CP2)를 갖는다.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CP1)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RF2P)는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귀환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RF2P)의 전압의 극성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RF1P)의 전압의 극성과 동극성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정귀환 작용을 갖고, 트랜지스터(Q1)의 이득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트랜지스터(CP1)의 사이즈(핑거수)는 트랜지스터(Q1)의 사이즈(핑거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과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CP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RF2N)는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귀환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RF2N)의 전압의 극성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RF1N)의 전압의 극성과 동극성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정귀환 작용을 갖고, 트랜지스터(Q2)의 이득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트랜지스터(CP2)의 사이즈(핑거수)는 트랜지스터(Q2)의 사이즈(핑거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과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주파 차동 신호(RF1 및 RF2)의 전압 진폭이 작은 경우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과,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위는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는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과,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은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상쇄된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 회로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형(91)은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1 전압(V1)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92)은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2 전압(V2)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93)은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3 전압(V3)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94)은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4 전압(V4)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95)은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5 전압(V5)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96)은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제 6 전압(V6)인 경우의 고주파 신호의 전력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다.
전력 증폭 회로(2)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상쇄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전력 증폭 회로(2)에서는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이 변화되어도 이득의 저하가 억제된다. 즉,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은 전원 전압 의존성이 약하다.
전력 증폭 회로(2)에서는 이득의 전원 전압 의존성이 약하다. 따라서, 전력 증폭 회로(2)는 파형(72 또는 73)(도 5 참조)에 포함되는 고조파 성분(고주파 성분)이 고주파 신호의 대역으로 변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고주파 출력 신호에 중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회로(31)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을 V2→V3→V4→V5→V6으로 계단 형상(스텝 형상, 이산적)으로 변화시켜도 전력 증폭 회로(2)는 파형(1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득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주파 신호의 전력이 P1일 때에 전원 회로(31)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을 V2로부터 V4로 변화시켜도 화살표(1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의 이득의 변화량은 화살표 (82)(도 6 참조)보다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전력 증폭 회로(2)는 비선형성을 억제할 수 있고, 선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2)는 트랜지스터(CP1 및 CP2)를 구비함으로써 이득의 전원 전압 의존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 증폭 회로(2)는 전원 전압(도 5의 파형(72 및 73) 참조)의 고조파가 고주파 신호의 대역으로 변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고주파 신호에 중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증폭 회로(2)는 전원 회로(31)가 콜렉터-베이스 간 전압을 계단 형상(스텝 형상, 이산적)으로 변화시켜도 이득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 증폭 회로(2)는 비선형성을 억제할 수 있고, 선형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 증폭 회로(2)는 엔벨로프 트래킹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력 증폭기(1A)는 전력 증폭 회로(2A 및 3A)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 회로(2A)는 전력 증폭 회로(2)와 비교해서 콘덴서(C1, C2, C3 및 C4)를 더 포함한다. 전력 증폭 회로(3A)의 회로 구성은 전력 증폭 회로(2A)의 회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콘덴서(C1)가 본 개시의 「제 1 콘덴서」에 대응한다. 콘덴서(C2)가 본 개시의 「제 2 콘덴서」에 대응한다.
콘덴서(C3)가 본 개시의 「제 3 콘덴서」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CP1)와 콘덴서(C3)의 병렬 접속 회로가 본 개시의 「제 1 용량 회로」에 대응한다.
콘덴서(C4)가 본 개시의 「제 4 콘덴서」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CP2)와 콘덴서(C4)의 병렬 접속 회로가 본 개시의 「제 2 용량 회로」에 대응한다.
콘덴서(C1)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콘덴서(C1)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과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은 콘덴서(C1)와,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의 합이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이 비선형의 용량인 것에 대해서 콘덴서(C1)는 선형의 용량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은 비선형성이 억제되고, 선형성이 높아진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의 비선형성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콘덴서(C1)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콘덴서(C1)의 용량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전력 증폭 회로(2A)의 주파수 특성의 저하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콘덴서(C1)의 용량은 전력 증폭 회로(2A)의 주파수 특성의 저하 등을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덴서(C1)가 설치된 것에 대응하여 콘덴서(C3)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콘덴서(C3)는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과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은 콘덴서(C3)와,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합이다.
트랜지스터(CP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이 비선형의 용량인 것에 대해서 콘덴서(C3)는 선형의 용량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은 비선형성이 억제되고, 선형성이 높아진다.
콘덴서(C3)의 용량은 콘덴서(C1)의 용량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상쇄된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콘덴서(C2)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콘덴서(C2)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과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은 콘덴서(C2)와,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의 합이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이 비선형의 용량인 것에 대해서 콘덴서(C2)는 선형의 용량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은 비선형성이 억제되고, 선형성이 높아진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의 비선형성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콘덴서(C2)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콘덴서(C2)의 용량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전력 증폭 회로(2A)의 주파수 특성의 저하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콘덴서(C2)의 용량은 전력 증폭 회로(2A)의 주파수 특성의 저하 등을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덴서(C2)가 설치된 것에 대응하여 콘덴서(C4)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콘덴서(C4)는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과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은 콘덴서(C4)와,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의 합이다.
트랜지스터(CP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이 비선형의 용량인 것에 대해서 콘덴서(C4)는 선형의 용량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은 비선형성이 억제되고, 선형성이 높아진다.
콘덴서(C4)의 용량은 콘덴서(C2)의 용량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상쇄된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2A)는 각 부의 용량의 비선형성이 억제되고, 선형성이 높아져 있으므로 보다 적합하게 증폭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 증폭 회로(2A)는 엔벨로프 트래킹을 보다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력 증폭기(1B)는 전력 증폭 회로(2B 및 3B)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 회로(2B)는 전력 증폭 회로(2A)와 비교해서 트랜지스터(CP1 및 CP2)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전력 증폭 회로(3B)의 회로 구성은 전력 증폭 회로(2B)의 회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콘덴서(C1)가 본 개시의 「제 1 콘덴서」에 대응한다. 콘덴서(C2)가 본 개시의 「제 2 콘덴서」에 대응한다. 콘덴서(C3)가 본 개시의 「제 3 콘덴서」 및 「제 1 용량 회로」에 대응한다. 콘덴서(C4)가 본 개시의 「제 4 콘덴서」 및 「제 2 용량 회로」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대체로 부정되면, 완전히 상쇄되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전력 증폭 회로(2B)는 트랜지스터(CP1)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콘덴서(C3)의 용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이 비선형인 것에 대해서 콘덴서(C3)의 용량은 선형이다. 따라서, 콘덴서(C3)의 용량을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과 완전히 같게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콘덴서(C3)의 용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과 대략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콘덴서(C3)의 용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 있어서 콘덴서(C1)의 용량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1)의 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의 부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저하량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의 총 용량의 정귀환 작용에 의한 전압 상승량에 의해 대체로 부정되면, 완전히 상쇄되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전력 증폭 회로(2B)는 트랜지스터(CP2)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콘덴서(C4)의 용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이 비선형인 것에 대해서 콘덴서(C4)의 용량은 선형이다. 따라서, 콘덴서(C4)의 용량을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과 완전히 같게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콘덴서(C4)의 용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총 용량과 대략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콘덴서(C4)의 용량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의 전압 변동 범위 내에 있어서 콘덴서(C2)의 용량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CCB2)의 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2B)는 전력 증폭 회로(2A)와 비교해서 소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 증폭 회로(2B)는 전력 증폭 회로(2A)와 비교해서 회로 규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1, 1A, 1B 전력 증폭기
2, 2A, 2B, 3, 3A, 3B 전력 증폭 회로
11, 12 바이어스 회로
13, 14 초크 인덕터
15, 16 커플링 콘덴서
31 전원 회로
C1, C2, C3, C4 콘덴서
CP1, CP2, Q1, Q2 트랜지스터

Claims (7)

  1. 정극성의 제 1 고주파 신호 및 부극성의 제 2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고주파 차동 신호를 증폭해서 부극성의 제 3 고주파 신호 및 정극성의 제 4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는 제 2 고주파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 회로로서,
    이미터가 공통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에 상기 제 1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로부터 상기 제 3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이미터가 공통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에 상기 제 2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로부터 상기 제 4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용량 회로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용량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량 회로는 콜렉터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량 회로는 콜렉터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콘덴서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콘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량 회로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콘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량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 회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과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베이스 간 용량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력 증폭 회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력 증폭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콘덴서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콘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량 회로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량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콘덴서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회로.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콘덴서의 용량은 상기 제 1 콘덴서의 용량과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제 4 콘덴서의 용량은 상기 제 2 콘덴서의 용량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력 증폭 회로.
KR1020190117168A 2018-10-02 2019-09-24 전력 증폭 회로 KR102353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87387 2018-10-02
JP2018187387A JP2020057934A (ja) 2018-10-02 2018-10-02 電力増幅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181A true KR20200038181A (ko) 2020-04-10
KR102353459B1 KR102353459B1 (ko) 2022-01-20

Family

ID=6994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168A KR102353459B1 (ko) 2018-10-02 2019-09-24 전력 증폭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043918B2 (ko)
JP (1) JP2020057934A (ko)
KR (1) KR102353459B1 (ko)
CN (1) CN1109951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8945B2 (en) 2019-08-27 2022-04-12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replenishing system
JP6987923B2 (ja) * 2019-08-27 2022-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補充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5168A (ja) * 2010-09-16 2012-03-29 Toshiba Corp 高周波差動増幅回路
WO2015001851A1 (ja) 2013-07-04 2015-01-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0231B1 (en) 2002-04-22 2004-02-10 Ralink Technology, Inc. Gain stage that minimizes the miller effect
JP2005012770A (ja) 2003-05-22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差動回路、差動増幅器、差動ミキサ、差動発振器、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無線回路
JP2005124175A (ja) 2003-09-24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増幅装置および周波数変換装置
US7256646B2 (en) * 2005-06-21 2007-08-14 Seiko Epson Corporation Neutralization techniques for differential low noise amplifiers
KR100744148B1 (ko) * 2006-08-25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정적인 감지 증폭 동작을 수행하는 감지 증폭기 및 이를구비하는 입출력 감지 증폭 장치
US7495515B1 (en) * 2007-08-24 2009-02-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ow-noise amplifier
US7646219B2 (en) * 2008-06-05 2010-01-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lator circuit having internal positive feedback
US8102207B2 (en) * 2008-10-17 2012-01-24 Triquint Semiconducto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band amplifier linearization
US9413301B2 (en) * 2012-02-01 2016-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ise canceling low-noise amplifier
CN103259553A (zh) * 2012-02-17 2013-08-21 Imec公司 一种用于无线电设备的前端系统
US9490759B2 (en) * 2014-05-27 2016-11-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Neutraliz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using MOS device
US20170373647A1 (en) * 2015-02-19 2017-12-28 Northeastern University Linearity Enhancement Method For Low-Power Low-Noise Amplifiers Biased In The Subthreshold Region
US9413309B1 (en) * 2015-03-25 2016-08-09 Analog Devices Global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ascode amplifier topology for millimeter-wave power application
JP6662072B2 (ja) 2016-02-04 2020-03-11 富士通株式会社 増幅器
US10218310B2 (en) * 2016-09-09 2019-02-26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systems with differential ground
CN106571780B (zh) * 2016-11-17 2019-11-15 锐迪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自适应偏置的射频功率放大器
JP2018085689A (ja) * 2016-11-25 2018-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回路
JP6680235B2 (ja) * 2017-02-09 2020-04-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回路および高周波モジュール
US10153739B2 (en) * 2017-03-21 2018-12-11 Panasonic Corporation Power amplification division circuit and multi-stage type power amplification division circuit
JP2020136902A (ja) * 2019-02-19 2020-08-31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メモリシステム
US11073857B1 (en) * 2020-09-30 2021-07-27 Nxp B.V. Maximum voltage selector for power managemen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5168A (ja) * 2010-09-16 2012-03-29 Toshiba Corp 高周波差動増幅回路
WO2015001851A1 (ja) 2013-07-04 2015-01-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57934A (ja) 2020-04-09
US11043918B2 (en) 2021-06-22
US20210273611A1 (en) 2021-09-02
US11757411B2 (en) 2023-09-12
KR102353459B1 (ko) 2022-01-20
CN110995182B (zh) 2023-10-27
US11558014B2 (en) 2023-01-17
US20200106391A1 (en) 2020-04-02
US20230132964A1 (en) 2023-05-04
CN110995182A (zh)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451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US11387796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EP3396857B1 (en) Method for improving linearity of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compensat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09546980B (zh) 功率放大电路
US11658622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CN113162561B (zh) 用于对放大器的线性度进行补偿的前置补偿器
US11757411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11545944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20140354363A1 (en) Power amplifier
CN115940837A (zh) 功率放大器及电子设备
CN106982033A (zh) 一种基于升压技术的功率放大器
JP2021005818A (ja) 電力増幅回路
CN112929000B (zh) 功率放大电路
JP5387361B2 (ja) 電力増幅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301249A (zh) 功率放大器
CN110768630A (zh) 一种射频功率放大器幅度调制对幅度调制的补偿电路
US11251820B2 (en) Circuit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
WO2024103442A1 (zh) 射频功率放大器
KR101973443B1 (ko) 왜곡특성이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Hedayati et al. A fully integrated highly linear efficient power amplifier in 0.25 µm BiCMOS technology for wireless applications
JP2022077290A (ja) 振幅変調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