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084A -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4084A KR20200034084A KR1020180113307A KR20180113307A KR20200034084A KR 20200034084 A KR20200034084 A KR 20200034084A KR 1020180113307 A KR1020180113307 A KR 1020180113307A KR 20180113307 A KR20180113307 A KR 20180113307A KR 20200034084 A KR20200034084 A KR 202000340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skin
- tyrosinase
- macrorin
- melan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크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높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결합력을 가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및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은 일반 생활의 장애를 초래하는데, 특히 인체 보호막으로서 피부질환이 증가할 뿐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인식 변화로 인해 피부 관련 미용과 질환 완화 치료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공해의 심화와 함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등으로 하얀 피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고, 투명 화장으로 보다 맑고 깨끗한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현대 가치관의 다양화와 개성화가 두드러지면서 상기와 같은 관심의 증가는 미백, 보습, 세포 재생, 주름개선 등의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제품의 안전성을 지향하는 화장품 업계는 천연물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신체의 가장 바깥 부분에 위치하는 표피는 기저층, 유극층, 각질층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 종류 중 멜라닌 세포(melanocyte)는 모발색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페놀류의 생체고분자 물질로 검은 단백질의 복합체인 멜라닌(melanin)을 합성하고 분비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막아줄 뿐 아니라 독성 약물의 흡수 등 여러 중요한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멜라닌의 과잉 생산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피부 질환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피부암의 유발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색은 멜라닌의 함량과 분포 등에 따라 결정되며,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멜라노좀(melanosome)의 수와 분포에 관련이 있다. 멜라닌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이라는 피부 세포의 소기관에서 만들어져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멜라닌은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신을 산화시키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산화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피부의 과색소 침착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 질환,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주된 요인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다.
미적 기능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과 발현을 조절함으로서 미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레티놀(retinole), 알부틴(arbutin) 등이 있다.
그러나 강력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을 보이는 소재는 대부분 색소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일으키고, 세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미백 기능을 향상시킨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마크루린이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티로시나아제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마크루린(naclurin)"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마크루린의 생리활성으로는 암세포의 전이 또는 침습 억제 효과가 알려져 있다 (Ku, Min Jung, et al, 2015). 그러나, 마크루린의 피부 미백 효과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규명되었다.
상기 마크루린의 획득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용매화된 형태 또는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미백"은 피부를 하얗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닌은 흑갈색 알갱이의 색소로서, 멜라닌 세포 내 멜라노솜이라는 세포 소기관에 의해 만들어진다. 멜라닌은 피부, 털, 눈 등에 존재하며, 멜라닌의 양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되는데, 멜라닌의 양이 많을수록 검은 피부색을 띤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 효능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B16F10 세포주에 마크루린을 처리한 후 UVB를 조사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한 결과, 마크루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마크루린 처리군의 멜라닌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2b).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는 마크루린이 티로시나아제에 결합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버섯 유래 티로시나아제의 효소 활성을 이용하여 마크루린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마크루린이 티로시나아제의 효소 활성을 약 41%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마크루린과 티로시나아제 사이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도킹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마크루린과 티로시나아제의 결합력 및 결합 부위를 확인한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진 알부틴보다 높은 결합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의 마크루린 함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 내지 50μM, 구체적으로 2 내지 40μM,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30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15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마크루린", "피부 미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마크루린", "피부 미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마크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높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결합력을 가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및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B16F10 세포주에서 마크루린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마크루린의 피부 미백 관련 활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a), 마크루린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분석 결과; b),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분석 결과.
도 3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마크루린의 결합력 및 결합 가능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인간 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한 인공피부에서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마크루린의 피부 미백 관련 활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a), 마크루린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분석 결과; b),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분석 결과.
도 3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마크루린의 결합력 및 결합 가능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인간 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한 인공피부에서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마크루린의 세포독성 여부 확인
마크루린이 피부 관련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한 B16F10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배양하고, 마크루린을 10, 20μ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EZ-Cytox 세포 생존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크루린은 처리된 농도에 관계 없이 B16F10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여,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등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마크루린의 미백 효과 확인
2-1. 마크루린의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저해 효과 확인
마크루린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버섯 유래 티로시나아제를 본 실험의 효소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종래 알려진 방법 (Life Sci., 1999, 65, 241-246)을 일부 변형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DMSO (control), 양성대조군 코지산 (kojic acid) 및 마크루린을 10μl씩 처리한 후, 1mM L-티로신 용액과 50mM 인산 완충액 (pH 6.5)을 함유하는 버퍼를 170ul를 넣고 버섯 유래 티로시나아제 (330 units) 수용액 20μl를 처리 후 37℃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반응 혼합물에서 생성된 도파/도파퀴논의 양을 405nm (OD405)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Molecular Devices, Spectramax i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마크루린이 가지는 고유의 색을 보정하기 위해서 blank군은 양성대조군 및 샘플을 10ul 처리한 후, 1mM L-티로신 용액과 50mM 인산 완충액 (pH 6.5)을 함유하는 버퍼를 190ul 처리 후, 티로시나아제 수용액은 처리하지 않았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의 계산은 샘플군의 흡광도에서 blank군의 흡광도를 빼준 후, DMSO 처리군(대조군)을 100으로 설정하여 양성대조군 및 마크루린 처리군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부틴(50μM)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약 24% 감소시키는 반면 마크루린(50μM)은 약 41%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마크루린이 미백 화장품 원료로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2-2.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확인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분석하여, 미백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세포를 5%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이 있는 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37℃, 습기가 있는 95% air/5% CO2). 세포를 5×104 의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이 경과했을 때, 알부틴 (15μM) 또는 마크루린 (2μM, 5μM, 또는 15μM)을 1시간 동안 전처리 하였다. 전처리 후,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서 UVB (8mJ)를 조사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멜라닌이 생성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세포를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두 번 세척한 후, 5% DMSO가 포함된 1 N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 (80 μL)에 용해시켰다 (60℃에서 1시간 배양). 가용화 (Solubilized)된 멜라닌이 포함된 수용액을 흡광도계 (405nm)를 통해서 측정했다. 그리고 BCA 단백질 분석을 통해서 각 샘플의 단백질 농도를 구한 후, 멜라닌이 포함된 수용액의 흡광도 값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에 의해서 멜라닌 생성이 유도되었으나, 마크루린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멜라닌 생성이 뚜렷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마크루린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알부틴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크루린은 미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보다도 멜라닌 생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미백 소재로서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마크루린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결합력 및 결합 가능 부위 확인
마크루린이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통해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밝히기 위해서 마크루린이 티로시나아제에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도킹 시뮬레이션 (docking simulation)을 이용해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도킹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Autodock vina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했고, 티로시나아제의 3D 구조는 Agaricus bisporus (PDB ID:2Y9X)를 이용하였다.
도킹 포켓(Docking pocket)으로 이미 알려진 티로시나아제의 결합 부위 (binding site)를 사용했고, 알부틴 및 코지산를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마크루린이 티로시나아제에 결합할 수 있는지, 결합력은 얼마인지를 예측했다. 티로시나아제와 코지산 또는 스워티아자포닌 간의 수소결합 부위와 파마코포어 생성(pharmacophore generation)은 LigandScout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부틴(-6.2kcal/mol) 또는 코지산 (-5.4kcal/mol)에 비해서 마크루린 (-7.0kcal/mol)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결합력이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티로시나아제와 수소결합 2개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는 코지산이나 수소결합 2개와 소수성 상호작용 2개를 형성하는 알부틴에 비해서 마크루린은 3개의 수소결합과 2개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 3).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분자 단계에서의 분석을 통해, 마크루린이 코지산 또는 알부틴에 비해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결합력이 더욱 강하므로, 티로시나아제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마크루린이 3D 인공피부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마크루린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공피부(3D human skin)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인공피부는 테고사이언스의 네오덤에서 구입하였으며, 멜라닌형성세포를 함유하는 인공피부 ME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ME 인공피부는 5%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이 있는 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37℃, 습기가 있는 95% air/5% CO2). 마크루린 (5 μM, 15 μM) 를 전처리 하였고, 1시간 뒤 UVB 10mJ를 조사한 후 10일 동안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알부틴 (15 μM) 과 아스코르브산 (15 μM) 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에 의해서 멜라닌 생성이 유도되었으나, 마크루린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멜라닌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5 μM 마크루린 처리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 처리군과 알부틴 처리군보다도 멜라닌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따라서, 마크루린이 인공피부의 멜라닌 생성량을 감소시키므로, 마크루린이 미백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면, 마크루린은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고, 기존에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보다 높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결합력을 가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및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7)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마크루린 함량은 5 내지 15μM 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3307A KR102128454B1 (ko) | 2018-09-20 | 2018-09-20 |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3307A KR102128454B1 (ko) | 2018-09-20 | 2018-09-20 |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4084A true KR20200034084A (ko) | 2020-03-31 |
KR102128454B1 KR102128454B1 (ko) | 2020-07-01 |
Family
ID=7000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3307A KR102128454B1 (ko) | 2018-09-20 | 2018-09-20 |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845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05069A1 (en) * | 2004-11-16 | 2006-05-18 | Alex Moffett |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
KR20090020697A (ko) * | 2006-06-14 | 2009-02-26 | 리브라겐 | 기능성 미용제품 및 치료용 약품에 적용되는 수용성 및 활성 페놀화합물 유도체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9-20 KR KR1020180113307A patent/KR102128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05069A1 (en) * | 2004-11-16 | 2006-05-18 | Alex Moffett |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
KR20090020697A (ko) * | 2006-06-14 | 2009-02-26 | 리브라겐 | 기능성 미용제품 및 치료용 약품에 적용되는 수용성 및 활성 페놀화합물 유도체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vol, 49, pp. 785-790 (2011. 공개)* * |
논문1: MOLECULES * |
논문2: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8454B1 (ko) | 202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79992B (zh) | 局部美白組合物及其使用方法 | |
US9089504B2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tea component | |
CN106456526B (zh) | 皮肤美白或皮肤皱纹改善用化妆品组合物 | |
CN107530273A (zh) | 含有缬草提取物的组合物 | |
JP3619185B2 (ja) | 化粧料 | |
JP2014240375A (ja) | 化粧料 | |
KR102255580B1 (ko) |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507852A (zh) | 抗坏血酸衍生物作为漂白剂的美容用途 | |
KR102128454B1 (ko) |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180117252A (ko) | 스피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210060801A (ko) |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34564B1 (ko) |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427027B1 (ko) |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139223A (ko) |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WO2017079905A1 (en) |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brightening | |
KR101303294B1 (ko) |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38462B1 (ko) |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6306816A (ja) |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及び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を含有する化粧料。 | |
KR102430512B1 (ko) |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 |
KR20150057737A (ko) | 피부 미백,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78889B1 (ko) |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180097100A (ko) |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15951B1 (ko) |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20230072193A (ko) | 고란초 전엽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10051673A (ko) |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