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33640A -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640A
KR20200033640A KR1020180113191A KR20180113191A KR20200033640A KR 20200033640 A KR20200033640 A KR 20200033640A KR 1020180113191 A KR1020180113191 A KR 1020180113191A KR 20180113191 A KR20180113191 A KR 20180113191A KR 20200033640 A KR20200033640 A KR 2020003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content
content
output
trigg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554B1 (ko
Inventor
윤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Priority to KR102018011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5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의 응답에 따라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주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1 추가 컨테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고,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의 응답에 따라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의해, PC를 벗어나 다양한 전자기기가 증가하였다. 일 예로,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을 주 입력원으로 삼는 터치 기반의 PC 도 등장하였다.
새롭게 등장한 이들 단말기에서 역시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문서의 열람 및 편집 기능을 지원한다. 다만, 이들 단말기에서는, 기존 PC에서 이용되었던 워드 프로세서를 단순 포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 PC 뿐만 아니라, 새롭게 등장한 단말기에서도 효율적으로 문서의 열람 및 편집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를 출력을 트리거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 또는 복수의 추가 컨텐트 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에 출력할 컨텐트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를 다른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주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1 추가 컨테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고,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1 추가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할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할 제2 추가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타입의 컨텐트로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포함된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날짜에 촬영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입력이 제1 형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제2 형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모두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이외에 제3 추가 컨텐트가 더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제1 영역은 상기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상의 제2 영역은 상기 제3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이외에 제3 추가 컨텐트가 더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3 추가 컨텐트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출력할 컨텐트가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트리거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 또는 복수의 추가 컨텐트 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에 출력할 컨텐트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를 다른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편집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기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대해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중첩하여 배치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새로운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뷰어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추가 컨텐트가 회전하여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컨텐트 편집 툴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컨텐트 편집 툴은 주 컨텐트 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트리거 영역과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주 컨텐트 편집이 완료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편집 툴 및 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랩톱(Laptop) 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이동형 단말기일 수도 있고,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 TV 등의 고정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 및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가 이동형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마이크(130), 사용자 입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메모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기가 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유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LTE, HSDPA 또는 CDMA 등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무선 인터넷 모듈은 Wireless LAN(Wi-Fi) 등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방식은, LAN, USB, HDMI, RGB 또는 DV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영산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마이크(13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단말기의 외부에 드러난 버튼 형태의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 입력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와 같은 구조를 '터치스크린'이라 호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구조에서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드래그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 수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모션 센서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동작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터치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을 단말기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터치(또는 푸쉬)하는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에 의해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기 실행 화면 상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향 출력부(160)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 및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하드디스크, SSD (Solid State Disk), 플래시 메모리(170)(Flash Memory), 카드 타입의 저장 장치(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70) 등),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 (Read 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역시, 메모리(17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현 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불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주 컨텐트는, 텍스트 기반 컨텐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트도 포함한다. 일 예로, 주 컨텐트는, 프리젠테이션 문서(예를 들어, ppt(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스프레드 시트 문서(예를 들어, xsl(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워드프로세싱 문서(예를 들어, doc(x), hwp, txt 또는 pdf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웹사이트(예를 들어, html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전자책(예를 들어, epub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등의 텍스트 기반 컨텐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예를 들어, jpg, gif, tif 또는 bmp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동영상(예를 들어, mpeg, avi, mp4, wmv 또는 mov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주 컨텐트가 복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아울러, 주 컨텐트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편집 모드라 호칭하고, 트리거 영역 터치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는 상태를 뷰어 모드라 호칭하기로 한다. 즉, 편집 모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뷰어 모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와 관련한 설정을 변경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도 2는 편집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 정의된 조건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를 실행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 컨텐트를 실행하거나,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주 컨텐트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트는, 가장 최근 단말기에 추가된 컨텐트, 가장 최근 실행된 컨텐트 또는 뷰어 모드에서 실행되었던 컨텐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컨텐트가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주 컨텐트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220). 주 컨텐트에 삽입될 수 있는 추가 컨텐트는, 텍스트 기반의 컨텐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는 같은 타입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타입일 수도 있다.
도 3은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3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터치 입력은, 주 컨텐트의 임의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기 정의된 형태의 터치 입력 또는 컨텐트 선택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등일 수 있다. 기 정의된 형태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주 컨텐트의 임의 위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지점에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310)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선택은, i) 컨텐트 타입의 선택, 및 ii)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 목록 출력 또는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 생성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메뉴(310)에 포함된 각 항목들은 컨텐트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메뉴(310)의 각 항목들은 순차적으로 이미지(311), 동영상(312), 음악(313), 문서(314), 웹 페이지(315) 및 문서 내 특정 페이지(316)를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컨텐트 타입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타입에 대응하는 컨텐트들의 목록을 출력하거나, 선택된 타입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트 목록을 출력할 것인지 또는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310)의 통해 이미지 항목(311) 또는 동영상 항목(312)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 목록을 출력하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 생성을 위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카메라(120)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선택/생성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음악 항목(313)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음악 파일 목록을 출력하거나, 음악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마이크(130)를 통해 녹음이 완료되면, 선택/생성된 음악을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문서 항목(314)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문서 파일 목록을 출력하거나, 문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서가 생성되면, 선택/생성된 문서를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메뉴(310)를 통해 문서 내 특정 페이지 항목(316)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문서를 선택/생성하는 과정에, 특정 페이지를 선택 또는 특정 페이지를 식별하는 페이지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웹 페이지 항목(315)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웹 페이지 목록, 즐겨찾기 목록 또는 자주가는 웹 페이지 목록을 출력하거나, 웹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웹 페이지의 IP 주소 또는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의 출력이 선택될 수도 있다. 입력창을 통해서는 웹 페이지의 IP 주소 또는 URL 주소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웹 사이트 문서 또는, 웹 사이트의 IP(Internet Protocal) 주소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결정되면, 해당 웹 페이지를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컨텐트 타입을 선택한 이후,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 목록 또는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컨텐트 타입의 선택 과정 없이, 컨텐트 목록을 출력하거나, 컨텐트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고, 또는 컨텐트 타입이 선택되면, 기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트를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트는, 가장 최근 열람한 컨텐트, 가장 최근 수정한 컨텐트, 가장 최근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소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열람 횟수가 가장 높은 컨텐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컨텐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메뉴(310)에 포함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트 타입이 결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도시된 것과 다른 방법으로 컨텐트 타입을 선택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일 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형태에 따라, 컨텐트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타입의 컨텐트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하는 반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타입의 컨텐트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주 컨텐트 내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 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기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왼쪽 도면은 편집 모드 하에서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오른쪽 도면은 뷰어 모드에서 트리거 영역을 식별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4의 왼쪽 도면에서 점선의 윤곽선은 이전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크기를 나타내고, 도 4의 오른쪽 도면에서 점선의 윤곽선은 트리거 영역을 나타낸다.
추가 컨텐트가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도 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420)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41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410)는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또는 미리보기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로 이미지가 선택되었다면, 트리거 영역 설정을 위해 선택된 이미지의 썸네일이 그래픽 오브젝트(410)로서 출력될 수 있다.
설명한 예 이외에도, 그래픽 오브젝트(410)는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대응하는 이미지(예컨대, 아이콘) 또는 다각형 이미지 등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가 결정되면,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이 그래픽 오브젝트(410)로서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따라 트리거 영역(42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위치 및 크기는 트리거 영역(420)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변경된 위치를 따라 트리거 영역(420)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b)에서,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좌측 상단 좌표가 (x1, y1) 으로부터 (x2, y2) 로 변경되었다면, 트리거 영역(420)의 좌표도 (x1, y1) 으로부터 (x2, y2) 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변경된 크기에 맞춰 트리거 영역(420)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c)에서, 그래픽 오브젝트(410)의 너비 및 높이가 각각 △w, △h 만큼 증가하였다면, 트리거 영역(420)의 크기도 △w, △h 만큼 증가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240, S250). 여기서, 출력 모드는, 뷰어 모드 하에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할 것인지 또는 추가 컨텐트를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 중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하고,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이전 추가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었는지 혹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것인지 혹은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해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은 그래픽 오브젝트를 단순 터치하는 것이거나,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횟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하는 메뉴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전체 화면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거나, 제1 그래픽 오브젝트와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병합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부분 화면에서 전체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은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을 단순 터치하는 것이거나,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횟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부분 화면에서 전체 화면으로 변경하는 메뉴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왼쪽 도면은 편집 모드 하에서 문서에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오른쪽 도면은 뷰어 모드에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식별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초 추가 컨텐트는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추가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5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출력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그래픽 오브젝트(5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트리거 영역(530)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새로운 그래픽 오브젝트(520)는 다른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반면,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변경된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변경됨에 따라 새롭게 출력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는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변경된 이후에도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510)를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새롭게 출력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510)가 컨텐트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새롭게 출력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가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를 제1 그래픽 오브젝트라 호칭하고, 컨텐트 출력 영역(54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10)를 제2 그래픽 오브젝트라 호칭하기로 한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520)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다각형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이때, 제1 그래픽 오브젝트(520)와 제2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상이한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8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52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기초로 트리거 영역(53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설정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 크기를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그래픽 오브젝트(52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영역(53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예에서도 제1 그래픽 오브젝트(520)의 위치 및 크기에 맞춰 트리거 영역(530)의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 크기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이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종횡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맞춰 추가 컨텐트가 출력됨에 따라 발생하는 왜곡을 억제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종횡비가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너비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따라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높이도 함께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따라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너비도 함께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너비 및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맞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산출된 너비 변경값 또는 높이 변경값 중 디폴트로 설정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너비 변경값 및 높이 변경값 중 변화폭이 큰 것일 수도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종횡비를 추가 컨텐트와 동일하게 설정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트리거 영역의 크기가 작다면, 뷰어 모드에서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의 찾기 어려워지고,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다면, 추가 컨텐트의 내용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가 기 정의된 크기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를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게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제어부(18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가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를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게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제어부(180)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가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설정은 상호 독립적일 수 있다. 즉,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과 독립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더라도,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설정을 상호 종속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컨텐트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620)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것에 이용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61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에 이용되는 것을 가정한다.
컨텐트 출력 영역 및 트리거 영역이 상호 종속적으로 설정된 경우,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다른 하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그래픽 오브젝트(62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되는 경우, 제2 그래픽 오브젝트(610)의 위치도 (△x, △y) 만큼 변경될 수 있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62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영역(630)의 위치도 (△x, △y)만큼 변경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61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됨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640)의 위치도 (△x, △y)만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그래픽 오브젝트(6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될 경우, 제2 그래픽 오브젝트(610)의 크기도 (△w, △h) 만큼 변경될 수 있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6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영역(630)의 크기도 (△w, △h) 만큼 변경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61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됨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640)의 크기도 (△w, △h)만큼 변경될 수 있다.
트리거 영역(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비를 고려하여, 트리거 영역(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경에 의해 야기되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사이의 크기비가 1:N인 경우, 트리거 영역의 크기가 (△w, △h)만큼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는 (N△w, N△h)만큼 변경될 수 있다.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을 상호 독립적으로 설정할 것인지 또는 종속적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이 상호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이 상호 종속적이 되도록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를 선택한 뒤,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때, 이미 타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될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주 컨텐트에는 이미 제1 추가 컨텐트(715) 및 제1 추가 컨텐트(715)와 연계된 제1 트리거 영역(710)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725)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725)와 연계할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72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710)의 내측으로 그래픽 오브젝트(720)의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725)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을 제1 트리거 영역(710)과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트리거 영역을 제1 트리거 영역(710)과 병합할 것으로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7의 (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그래픽 오브젝트(720)의 출력을 멈추고, 제1 트리거 영역에 제2 추가 컨텐트(725)를 추가로 연계할 수 있다. 즉,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을 병합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해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제2 트리거 영역을 제1 트리거 영역과 병합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기초로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트리거 영역의 내측으로 그래픽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을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주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삽입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기에 앞서,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을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가 동종의 타입인지 여부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의 병합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가 동종의 타입인 경우에 한하여,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가 이종 타입인 경우에는 제1 트리거 영역 위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더라도,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의 크기,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의 병합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 사이의 크기차 또는 크기비가 기 정의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트리거 영역 위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더라도,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상이한 경우(예컨대, 제1 컨텐트의 출력 모드는 부분 화면이고,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는 전체 화면), 제1 트리거 영역 위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더라도,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 그치지 않고,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동시에 선택된 경우, 동시 선택된 추가 컨텐트들에 대한 통합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주 컨텐트에 복수개의 추가 컨텐트가 동시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개 추가 컨텐트에 대한 통합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개 추가 컨텐트에 대한 통합된 트리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 삽입된 트리거 영역에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트리거 영역에 추가 연계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은, 트리거 영역 내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거나,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통해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추가 컨텐트가 상기 트리거 영역에 추가 연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될 수 있다.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7에서는 메뉴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메뉴의 출력 없이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예컨대, 그래픽 오브젝트를 기 존재하는 트리거 영역 위로 드래그 이동)이 수신되기만 하면, 트리거 영역간 병합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 추가 컨텐트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대로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먼저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는 차후에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을 고려하여, 제1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제2 타입의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중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추가 컨텐트가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거나, 출력 영역의 크기가 큰 추가 컨텐트가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은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 추가 컨텐트들이 동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추가 컨텐트를 복수의 트리거 영역에 연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을 추가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 설정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대해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이하, 제1 그래픽 오브젝트라 함, 8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이하, 제2 그래픽 오브젝트라 함, 820)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0)는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1 트리거 영역(815)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820)는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트리거 영역(815)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및 제2 트리거 영역의 설정을 상호 종속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1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도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의 기능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양자의 기능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모두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를 출력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는 용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은 뷰어 모두에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용도를 갖도록 설정하는 반면, 제2 트리거 영역은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는 용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및 출력 중단 용도를 갖도록 설정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추가 컨텐트의 확대, 재생, 일시정지 등 제어 용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주 컨텐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 간 중첩 배치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새롭게 추가되는 트리거 영역은 기존 트리거 영역과의 중첩 부분만큼 작아지거나, 기존 트리거 영역과 중첩 배치되지 않도록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중첩하여 배치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가 허용되는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915)을 설정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와 제2 트리거 영역(925)을 설정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와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가 중첩되는 영역은 제1 트리거 영역(915)에 해당될 수도 있고, 제2 트리거 영역(925)에도 해당될 수도 있다. 트리거 영역들이 중첩 배치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트리거 영역의 설정 순서, 트리거 영역의 크기, 각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대로 트리거 영역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먼저 주 컨텐트에 추가된 트리거 영역은 차후에 주 컨텐트에 삽입된 트리거 영역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각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을 고려하여, 제1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이 제2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중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이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거나, 출력 영역의 크기가 큰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이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은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 트리거 영역이 동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반면,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제1 트리거 영역(915)을 설정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 및 제2 트리거 영역(925)을 설정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가 중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 위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를 이동시킨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의 중첩 배치를 허용하되, 제1 트리거 영역(915) 및 제2 트리거 영역(925) 중 어느 하나가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의 중첩분만큼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 위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를 이동시킨 경우, 제어부(180)는 도 9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에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910)와 제2 그래픽 오브젝트(920)의 중첩분을 제거한 것을 제2 트리거 영역(925)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미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새로운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에 제1 추가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은 제2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뷰어 모드에서 제1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은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것에 이용되고, 제1 추가 컨텐트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새로운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를 제1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고, 제1 추가 컨텐트에 새롭게 연계되는 추가 컨텐트를 제2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기로 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1030)을 설정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1010)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40)을 설정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1020)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입력은, 제1 그래픽 오브젝트(1010)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1020)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것이거나, 제1 그래픽 오브젝트(1020)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1020)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뉴는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트 목록일 수도 있다. 상기 메뉴를 통해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트를 제2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트를 자동으로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트는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 가장 최근 단말기에 추가된 컨텐트, 가장 최근 실행된 컨텐트 또는 뷰어 모드에서 실행되었던 컨텐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는, 제1 추가 컨텐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인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에 포함된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날짜 또는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이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트 목록을 통해 컨텐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트가 제2 추가 컨텐트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을 설정하기 위한 제3 그래픽 오브젝트(1050)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에는 제3 그래픽 오브젝트(1050)를 출력하지 않는 한편,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을 설정하기 위한 제3 그래픽 오브젝트(1050)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3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에 기초하여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4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의 크기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40)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4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한 만큼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을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40)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이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40)과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060)을 설정하기 위한 제3 그래픽 오브젝트(1050)의 출력이 생략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의 허용 여부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 한하여, 제1 추가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될 수 있는 제2 추가 컨텐트의 타입은 제1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될 수 있는 제2 추가 컨텐트는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종 타입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될 수 있는 제2 추가 컨텐트는 이미지로 한정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의 일부를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중 일부 영역 만이 제2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도 있다.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 추가 컨텐트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대로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먼저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는 차후에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을 고려하여, 제1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제2 타입의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중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추가 컨텐트가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거나, 출력 영역의 크기가 큰 추가 컨텐트가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은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 추가 컨텐트들이 동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한 뒤, 제1 추가 컨텐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구획된 각 영역이 각기 상이한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 및 제3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있을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중 1/2 영역은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나머지 1/2 영역은 제3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복수 추가 컨텐트 각각을 위한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복수 추가 컨텐트들 각각의 우선 순위, 출력 모드,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타입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사각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원으로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그래픽 오브젝트 등의 매개체 없이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포인트를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이동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포인터의 이동 궤적을 대각선으로 하는 사각형태의 영역이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두개의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두 포인터를 두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태의 영역이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일련의 순서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2에서는,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가 선택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역순으로 구현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면,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먼저 설정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뷰어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뷰어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편집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뷰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뷰어 모드에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관한 설정을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다.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뷰어 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야 한다.
단말기가 뷰어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최초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보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기가 편집 모드에서 뷰어 모드로 전환되면, 편집 모드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의해 시각적으로 식별되었던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더 이상 식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최초 주 컨텐트만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의 위치를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트리거 영역의 위치가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점선의 윤곽선은 트리거 영역을 나타낸다. 점선의 윤곽선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트리거 영역(1210)을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210)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트리거 영역(1210)을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버튼을 터치하는 것이거나, 기 정의된 형태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기 정의된 터치 입력은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1210)의 식별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210) 내 임의 위치에 트리거 영역(1210)을 식별하기 위한 엘리먼트(12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1210)의 식별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210)의 윤곽을 나타내는 엘리먼트(1230)가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1220)가 주 컨텐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먼트(1220)를 반투명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210) 내 상기 엘리먼트(1220)가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트리거 영역(1210) 내 상기 엘리먼트(1220)가 깜빡이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엘리먼트(12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S1110),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가 트리거 영역의 내측에 해당하는 경우(S1120),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S1130, S1040, S1050). 여기서, 부분 화면은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는 경우,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의 일부에 오버레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3은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 컨텐트 상에는 2개의 트리거 영역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하고, 각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예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제1 트리거 영역(1310)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는 제1 이미지(1315)이고, 제2 트리거 영역(1320)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는 제2 이미지(1325)인 것으로 가정한다.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가 트리거 영역의 내측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트리거 영역(1310)의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310)에 연계되어 있는 제1 이미지(131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리거 영역(1310)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3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제1 이미지(1315)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2 트리거 영역(1320)의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320)에 연계되어 있는 제2 이미지(132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트리거 영역(1320)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32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이미지(1325)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132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가 동영상 또는 음악 등 재생에 의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동영상 또는 음악 등 추가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동영상 또는 음악 등 추가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경우, 주 컨텐트의 내용을 가리게 되므로,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반투명 상태로 출력하거나, 추가 컨텐트가 출력된 이래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추가 컨텐트가 반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는 너비가 높이보다 큰 것인데 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은 너비가 높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의 왜곡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너비 및 높이비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너비 및 높이비를 고려하여, 추가 컨텐트를 회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의 너비가 높이보다 작은데 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너비가 높이보다 큰 경우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너비가 높이코다 큰데 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너비가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회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추가 컨텐트가 회전하여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410)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1430)가 너비가 높이보다 큰 이미지이고,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은 너비가 높이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4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420)을 통해, 90도 회전된 추가 컨텐트(143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의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은 편집 모드 하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터치 입력의 위치가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S1160, S1070, S1080). 즉, 추가 컨텐트가 출력된 이후,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 컨텐트 상에 오버레이 출력되던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도 15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트리거 영역(1510)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520)을 나타낸 도면이다.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도중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터치 위치가 트리거 영역(1510)의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 컨텐트 상에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의 종료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가 출력된 이래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제2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제2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출력 관련 설정은, 추가 컨텐트의 크기 조절(예컨대, 확대/축소), 추가 컨텐트의 투명도 조절 또는 추가 컨텐트의 재생 제어(예컨대, 재생, 일시정지, 멈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한편,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를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거나,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하는 한편,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이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를 확대 또는 축소 표시되거나,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의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각각은 모두 추가 컨텐트의 출력 및 출력 종료를 제어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두개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되거나 종료될 수도 있고, 제2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트리거 영역에 연계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각각에 각기 다른 기능이 할당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두개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시작은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되는 한편, 추가 컨텐트의 출력 종료는 것은 제2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데 이용하는 한편, 나머지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두개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기 위해서는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야 하는 한편,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2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야 할 수 있다.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간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고,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 간의 우선순위 또는 터치 형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은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610)과 제2 트리거 영역(1620)의 일부가 중첩된 상태이고, 제1 트리거 영역(1610) 및 제2 트리거 영역(1620)에는 각각 제1 추가 컨텐트(1615) 및 제2 추가 컨텐트(1625)가 연계된 상태라 가정한다.
제1 트리거 영역(1610)과 제2 트리거 영역(16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610) 및 제2 트리거 영역(1620)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트리거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1610)의 우선 순위가 제2 트리거 영역(1620)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610) 및 제2 트리거 영역(16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트리거 영역(1610)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610)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1615)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16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트리거 영역(1610) 및 제2 트리거 영역(16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620)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제1 트리거 영역(1610)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1615)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는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편집 모드에서 트리거 영역이 설정된 순서, 각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 및/또는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트리거 영역(1610)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1615)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트리거 영역(1610)의 우선 순위가 제2 트리거 영역(1620)의 우선 순위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1610) 및 제2 트리거 영역(16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620)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하고, 도 16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트리거 영역(1620)에 연계된 제2 추가 컨텐트(16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16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트리거 영역(1610) 및 제2 트리거 영역(16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1615)의 출력을 종료하는 동시에 제2 추가 컨텐트(16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복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 선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에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트리거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되는 반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 트리거 영역이 동시에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됨과 동시에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될 수 있다.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710)에는 제1 추가 컨텐트(1715) 및 제2 추가 컨텐트(1725)가 연계된 상태라 가정한다.
트리거 영역(17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가 영역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1715) 및 제2 추가 컨텐트(1725)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우선 순위가 제2 추가 컨텐트(1725)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80)는 도 1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7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1715)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17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17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 간 우선 순위는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편집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가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 추가 컨텐트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기 출력되던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우선 순위가 제2 추가 컨텐트(1725)의 우선 순위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영역(17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7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17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17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17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출력을 종료하는 동시에 제2 추가 컨텐트(17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가 동순위인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동시에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에 다른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 상에 출력되고 있는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리거 영역(1810)에 의해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되는 추가 컨텐트를 제1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고, 제1 추가 컨텐트에 의해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되는 추가 컨텐트를 제2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기로 한다.
트리거 영역(18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810)에 연계되어 있는 제1 추가 컨텐트(18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1820)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추가 컨텐트(1820)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1820)와 연계된 제2 추가 컨텐트(183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추가 컨텐트(1830)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 모드에 따라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추가 컨텐트(1830)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 위치 및/또는 크기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1820)의 출력 영역과 동일하게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1820) 상에 제2 추가 컨텐트(1830)를 오버레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1820)의 출력 영역은 제2 추가 컨텐트(1830)에 대한 트리거 영역(181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단, 제1 추가 컨텐트(1820)의 출력 영역은 해당 영역을 통해 제1 추가 컨텐트(1820)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2 추가 컨텐트(1830)에 대한 트리거 영역(181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주 컨텐트 상에 출력되는 제1 추가 컨텐트(1820)를 터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 컨텐트 상에 제2 추가 컨텐트(1830)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1820)에 대한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제2 추가 컨텐트(1830)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1820)에 대해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1830)를 출력하는 한편, 제1 추가 컨텐트(1820)에 대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1820)의 출력을 종료하거나, 제1 추가 컨텐트(1820)에 대한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또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1820)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을 중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8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1820) 및 제2 추가 컨텐트(1830)의 출력을 모두 중단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위치 또는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의 제1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한편, 제1 추가 컨텐트의 제2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3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해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한편,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3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된 복수 추가 컨텐트 간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복수의 추가 컨텐트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가 제3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제2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제3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재 수신되는 경우, 제2 추가 컨텐트가 아닌 제3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110 : 통신부
120 : 카메라
130 : 마이크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음향 출력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5)

  1.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주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1 추가 컨테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고,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타입의 컨텐트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포함된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날짜에 촬영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입력이 제1 형태인 경우,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제2 형태인 경우,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모두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이외에 제3 추가 컨텐트가 더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제1 영역은 상기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상의 제2 영역은 상기 제3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이외에 제3 추가 컨텐트가 더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3 추가 컨텐트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출력할 컨텐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1 추가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할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할 제2 추가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타입의 컨텐트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포함된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날짜에 촬영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입력이 제1 형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제2 형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모두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1 추가 컨텐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할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할 제2 추가 컨텐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80113191A 2018-09-20 2018-09-20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22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91A KR102223554B1 (ko) 2018-09-20 2018-09-20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91A KR102223554B1 (ko) 2018-09-20 2018-09-20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40A true KR20200033640A (ko) 2020-03-30
KR102223554B1 KR102223554B1 (ko) 2021-03-05

Family

ID=7000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91A KR102223554B1 (ko) 2018-09-20 2018-09-20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755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786A (ko) * 2003-04-07 2005-12-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콘텐트 항목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54924A (ko) * 2015-11-10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66545A (ko) * 2016-12-09 2018-06-19 윤철민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786A (ko) * 2003-04-07 2005-12-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콘텐트 항목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54924A (ko) * 2015-11-10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66545A (ko) * 2016-12-09 2018-06-19 윤철민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755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554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80B2 (en) Application menu for video system
US11960707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a current focus using a touch-sensitive remote control
US11481538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handwriting support in document editing
US10761712B2 (en) Anchoring viewport
US11112959B2 (en) Linking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KR101932675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TWI686728B (zh) 熱區調整方法和裝置、用戶端
US20150346973A1 (en) Seamlessly enabling larger ui
US2014016499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contents
US2016013247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US2023012311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20220121355A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US103033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2223554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223553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53661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102889B1 (ko)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135845A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