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15807A -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807A
KR20200015807A KR1020207003040A KR20207003040A KR20200015807A KR 20200015807 A KR20200015807 A KR 20200015807A KR 1020207003040 A KR1020207003040 A KR 1020207003040A KR 20207003040 A KR20207003040 A KR 20207003040A KR 20200015807 A KR20200015807 A KR 2020001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data
control channel
downlink control
physical downlink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샹동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80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장치는,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모듈,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지 모듈, 및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장치에 따르면, 커버리지 향상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프로세스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감소되고,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가 확인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UPLINK DATA TRANSMISSION CONFIRMATIO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의 LTE 프로젝트가 단말의 특별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합한 커버리지 향상 리서치 토픽을 제안하고 있다. 즉, 지하에 있는 단말과 같이, 비교적 큰 손실(loss)을 가진 단말에 대해 커버리지 향상 지원을 제공하여, 단말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서비스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시그널 반복은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한 방법이다. 상이한 단말이 상이한 환경에 있으면 상이한 정도의 커버리지 향상이 있어야 한다. 즉, 상이한 단말은 상이한 커버리지 향상 요구를 가진다. 시그널 반복을 예로 하면, 상이한 단말은 또한 상이한 횟수의 시그널 반복이 있어야 한다.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는 기지국에 전송한 후, 단말은 그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즉 그 업링크 데이터가 기지국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기존의 프로토콜에 따르면, 기지국은 물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ARQ:Automatic Repeat Request) 지시자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이하 'PHICH'로 약칭함)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알도록 한다. 커버리지 향상 시나리오에서, 기지국은 반복적으로 PHICH 시그널링을 전송하여야 하고, 이로써 단말은 PHICH 시그널링을 정확하게 수신하고 이 PHICH 시그널링에 따라 이전 업링크 데이터가 기지국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결정하여 이전 업링크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다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PHICH의 반복적인 송신에 의해 야기되는 자원 소비를 줄이기 위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로 약칭함) 시그널링 내의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NDI'로 약칭함) 필드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수신확인(confirmation)을 나타낸다. 만일 NDI 필드가 PDCCH 시그널링이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나타내면, 그것은, 이전에 전송된 단말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낸다. 또는 만일 NDI 필드가 PDCCH 시그널링이 구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나타내면, 그것은, 단말의 이전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고 그래서 단말이 이전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재전송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확인되면, 만일 그 업링크 데이터가, 비(non)-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essage3, 'Msg3'로 약칭함)이면서 또한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것에 따라 전송되고 정확하게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마지막 업링크 데이터이면, 기지국은 여전히 PDCCH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여야 하고, 이로써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기지국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버리지 향상 시나리오에서, PDCCH 시그널링은 또한 단말에 반복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업링크 데이터가 PDCCH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고 전송된 Msg3인 경우, 그 Msg3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는 종래 기술에서는 확인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하며,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 단말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자원의 낭비 그리고 Msg3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종래에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모듈;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지 모듈; 및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판정 모듈이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모듈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검지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모듈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였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판정 모듈은 추가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모듈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였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모듈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검지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면의 제1 측면 내지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 내지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coverage enhancement requirement level)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지 및 수신 모듈; 및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할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가 제1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및 수신 모듈이, 상기 제2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전송 모듈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및 수신 모듈이, 상기 제2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전송 모듈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가 제2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추가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및 수신 모듈이,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상기 제2 전송 모듈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검지 및 수신 모듈이,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전송 모듈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제2 측면 내지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모듈이 추가로, 상기 검지 및 수신 모듈이,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검지하기 전에, 상기 단말에게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 내지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를 제공하며, 이 기기는,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그리고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을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전혀 검지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었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을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었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전혀 검지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 내지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수신기가 추가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측면 내지 제3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3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coverage enhancement requirement level)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를 제공하며, 이 기기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할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4 측면을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측면을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가 전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2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전송기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2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전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기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제4 측면을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가 전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기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전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전송기에 지시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제4 측면 내지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기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검지하기 전에, 상기 단말에게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측면 내지 제4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제4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4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측면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측면을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만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검지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또는
만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측면을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만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또는
만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검지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측면 내지 제5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측면 내지 제5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제5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5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coverage enhancement requirement level)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상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단말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측면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기지국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할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6 측면을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6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할지 결정하는 단계는,
만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단말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또는
만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6 측면을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면,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6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할지 결정하는 단계는,
만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또는
만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6 측면 내지 제6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6 측면 내지 제6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제6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6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상기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에 따르면, 송수신 모듈이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검지 모듈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판정 모듈이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지 모듈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고, 그런 다음 판정 모듈이,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함으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때에는,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 장치가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별히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확인 장치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이하에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창작 노력 없이도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생각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confirmation) 장치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2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3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4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시예 2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시예 3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의 실시예 1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의 실시예 2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장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면 전부가 아니다는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가 창작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생각해 낼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에서의 단말, 즉, 사용자 장치는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이란,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 무선 접속 기능을 가진 핸드헬드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를 말한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무선 단말은, 모바일 폰("셀룰러" 폰이라고도 함)과 같은 모바일 단말, 및 예컨대 휴대 가능하거나, 포켓 크기이거나, 핸드헬드형이거나, 도는 차량용 모바일 장치와 같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모바일 장치를 가진 컴퓨터 및 머신형 통신 장치(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일 수 있다. 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코드리스 전화기 세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지점(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c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기기(User Device)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기지국(예컨대, 액세스 지점)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섹터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기지국은 수신된 무선 프레임(over-the-air frame) 및 IP 패킷 간의 변환을 수행하고, 무선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 간의 라우터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한다. 예컨대,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도 있고, WCDMA에서의 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LTE에서 진화된 NodeB(NodeB, eNodeB, e-NodeB, evolved NodeB)일 수 있지만, 본 출원에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PHICH 채널 향상 없이 커버리지 향상 시나리오로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단말이 확인하는 처리의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장치는 단말 또는 단말에 집적된 것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확인 장치(50)는,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모듈(10);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지 모듈(11); 및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모듈(10)은, 기지국에 의한 스케줄링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업링크 자원을 인지하고, 송수신 모듈(10)은 이 업링크 자원에서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업링크 데이터는 비-Msg3일 수도 있고 Msg3일 수도 있다. 추가로, 송수신 모듈(10)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이면, 기지국은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다르게는 만일 송수신 모듈(10)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이면, 기지국은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대신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러면,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50)는 제1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1 타이머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확인 장치(50) 및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에 관련된다.
검지 모듈(11)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여기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PDCCH 시그널링 또는 ePDCCH(enhanced PDCCH) 시그널링이고, 이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구체적으로, 비-Msg3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확인 장치(50)를 스케줄링한 후 제2 타이머를 시작하고, Msg3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확인 장치(50)에게 RAR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제2 타이머를 시작한다. 대응하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여기 설명한 모든 제2 타이머에 대해 설정되고,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이건 Msg3이건 상관없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한, 확인 장치(50)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만료 전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정확하게 수신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과 확인 장치(50)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확인 장치(5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 및 확인 장치(50)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확인 장치(5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이거나 또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전송된 메시지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다. 예컨대, 만일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된 메시지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이 상이한 경우, 향상 요건을 만족시기키 위해 필요한 신호 반복의 횟수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위해 단말이 대기하는 시간, 또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을 스케줄링한 후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이 대기하는 시간, 또는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한 후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단말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또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커버리지 향상 요건에 관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판정 모듈(12)은, 검지 모듈(11)에 의해 획득된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따르면, 송수신 모듈이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검지 모듈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판정 모듈은, 검지 모듈의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지 모듈은, 제1의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고, 판정 모듈은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하며, 이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확인 장치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특별히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확인 장치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송수신 모듈(10)은 추가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송수신 모듈(10)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모듈(10)이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때, 업링크 데이터는 통상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자원을 확인 장치(50)에게 통지하고, 이로써 기지국은 그 자원에서 송수신 모듈(10)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실현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일 때 확인 장치(50)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송수신 모듈(10)에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정 모듈(12)은 구체적으로, 검지 결과가 검지 모듈(11)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어떠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전송되지 않았다는 것을 검지한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검지 결과가 검지 모듈(11)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하였다는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모듈(10)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때, 종래에는, 기지국이 PDCCH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확인 장치(50)에게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특별히 PDCCH 시그널링을 확인 장치(50)에게 보낼 필요가 없고, 대신 확인 장치(50) 내의 검지 모듈(11)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한다. 여기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송수신 모듈(10)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검지 결과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었다는 것이면, 판정 모듈(12)은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즉,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송수신 모듈(10)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따라 기지국으로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검지 결과가, 아무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판정 모듈(12)은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판정하고, 따라서 업링크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확인 장치(50)에게 PDCCH 시그널링 또는 e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따르면, 송수신 모듈이, 송수신 모듈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송수신 모듈은 비-Msg3인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검지 모듈은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판정 모듈은, 검지 모듈의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때, 기지국은 확인 장치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보낼 필요가 없고, 이로써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때 확인 장치(50)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기지국이 전송한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random access contention resolution message)(Message4, 이하 "Msg4"라 함)를 수신하도록 송수신 모듈(10)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판정 모듈(12)은 추가로, 검지 결과가, 검지 모듈(11)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였다는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검지 결과가, 검지 모듈(11)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어떠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도 검지하지 않았다는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했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 프로세스에서, 확인 장치(50)는 기지국에 랜덤으로 액세스한다. 즉, 송수신 모듈(10)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때, 기지국은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송신되었는지 여부는 종래 기술에서는 확인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송수신 모듈(10)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때, 기지국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확인 장치(5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대응하는 자원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하도록 송수신 모듈(10)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확인 장치(50) 내의 검지 모듈(11)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판정 모듈(12)은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 송수신 모듈(10)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따라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한다.
송수신 모듈(10)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검지 모듈(11)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혀 검지되지 않으면, 판정 모듈(12)은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확인 장치(5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장치(50) 및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확인 장치(50)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따르면, 송수신 모듈이 Msg3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검지 모듈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로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그리고 판정 모듈인, 검지 모듈의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 및 언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2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확인 장치(60)는 기지국일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장치(60)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지 및 수신 모듈(20), 그리고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2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를 확인 장치(60)에게 전송하는데, 업링크 데이터는 비-Msg3일 수도 있고 또는 Msg3일 수도 있다. 추가로,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확인 장치(60)는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확인 장치(60)는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게다가, 단말이 확인 장치(60)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1 타이머가 시작된다. 제1 타이머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확인 장치(60)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과 확인 장치(60)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구에 관계된다. 선택적으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구 레벨에 따라 확인 장치(6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장치(60) 및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확인 장치(60)에 의해 결정된다. 확인 장치(6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고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된 메시지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다.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확인 장치(60)는 단말을 스케줄링한다. 즉, 단말에게 확인 장치(60)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자원을 통지하고, 그런 다음 확인 장치(60) 내의 제2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2 타이머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확인 장치(60)는 RAR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한 후 제2 타이머를 시작하고, 마찬가지로 제2 타이머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검지 및 수신 모듈(20)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확인 장치(60) 내의 결정 모듈(21)은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검지 결과가, 확인 장치(60)가 성공적으로 비-Msg3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면, 확인 장치(60)는 단말에게 확인 장치(6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단말에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대신, 단말이 스스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또는 검지 결과가, 확인 장치(60)가 Msg3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이면,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확인 장치(60)는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줄여서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지 Msg3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한,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정확하게 수신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확인 장치(6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장치(60)와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진 규칙에 따라 확인 장치(60)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따르면, 확인 장치의 검지 및 수신 모듈이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결정 모듈은 그 검지 결과에 따라 단말에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이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때, 확인 장치는,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하고 단말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3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확인 장치(60)는, 검지 및 수신 모듈(20)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기 전에,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모듈(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때, 업링크 데이터는 대응하는 자원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확인 장치(60)는 대응하는 자원을 단말에 할당하고 그 자원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통지해야 한다. 즉, 확인 장치(60) 내의 제1 전송 모듈(22)은 제2의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한다.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때 확인 장치(60)와 함께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단말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결정 모듈(21)은 구체적으로, 검지 결과가, 검지 및 수신 모듈(20)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면, 제1 전송 모듈(22)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지 않도록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하도록 하고, 또는 검지 결과가, 검지 및 수신 모듈(20)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이면, 제1 전송 모듈(22)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확인 장치(60)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로 하여금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단말에 전송된다. 이것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확인 장치(60)가 성공적으로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종래에는 확인 장치(60)가 PDCCH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단말에게 확인 장치(6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고, 커버리지 향상 시나리오에서는, 추가로 반복하여 PDCCH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확인 장치(60)가 단말에게 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대신,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한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하면, 단말은, 확인 장치(60)가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고, 즉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확인하고, 단말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따라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확인 장치(60)에게 재전송한다. 단말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면, 단말은 확인 장치(6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확인 장치(60) 내의 제1 전송 모듈(22)이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단말에게 PDCCH 시그널링 또는 e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에 따르면, 확인 장치의 검지 및 수신 모듈이 단말이 전송한 비-Msg3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결정 모듈은,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1 전송 모듈에 지시할지를 결정한다. 이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확인 장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고, 대신 단말은 스스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의 실시예 4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확인 장치(60)와 함께 단말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Msg4를 수신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확인 장치(60)는 제2 전송 모듈(23)을 더 포함한다. 결정 모듈(21)은 추가적으로, 검지 결과가, 검지 및 수신 모듈(20)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2 전송 모듈(23)에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검지 결과가, 검지 및 수신 모듈(20)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이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지 않도록 제2 전송 모듈(23)에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안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 프로세서에서, 확인 장치(60)는 통상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을 스케줄링할 필요가 없다.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단말에 전송될 필요가 없다. 단말은 랜덤으로 확인 장치(60)에 액세스한다.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Msg3가 정확하고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가 종래에는 확인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확인 장치(60)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때, 제2 전송 모듈(23)이 바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한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대응하는 자원에서, 확인 장치(60)에 의해 전송된 Msg4를 수신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확인 장치(6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되고,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한다.
확인 장치(60)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확인 장치(60) 내의 제2 전송 모듈(23)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다. 대신,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되지 않으면, 확인 장치(60)가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이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확인 장치(6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장치(60)와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확인 장치(60)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확인 장치에 따르면, 확인 장치의 검지 및 수신 모듈은 단말이 전송한 Msg3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제2 전송 모듈은,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할지 결정한다. 이로써 단말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시예 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확인 기기(70)는 단말 또는 단말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확인 기기(70)는,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30), 및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확인 기기(70)는, 기지국에 의한 스케줄링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확인 기기에 할당된 업링크 자원을 지득하고, 송수신기(30)는 그 업링크 자원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업링크 데이터는 비-Msg3 또는 Msg3일 수 있다. 추가로, 송수신기(30)가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기지국은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는 송수신기가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기지국은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러면, 확인 기기(70)가 제1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1 타이머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기기(70)와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에 관련된다. 확인 기기(7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이거나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된 메시지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PDCCH 시그널링 또는 ePDCCH 시그널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비-Msg3의 경우,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확인 기기(70)를 스케줄링한 후에 제2 타이머를 시작하거나, 또는 Msg3의 경우, 기지국이 RAR 메시지를 확인 기기(70)에 전송한 후에 제2 타이머를 개시한다. 제2 타이머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이건 Msg3이건 관계없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한, 확인 기기(70)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이 만료하기 전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또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과 확인 기기(70)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확인 기기(7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기지국과 확인 기기(70)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31)는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따르면, 송수신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프로세서가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그런 다음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이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확인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특별히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확인 기기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 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송수신기(30)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이 전송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송수신기(30)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30)가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때, 업링크 데이터는 통상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2의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확인 기기(70)에게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자원을 통지하고, 이로써 기지국은 그 자원에서 송수신기(30)가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확인 기기(70)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송수신기(30)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31)는 구체적으로, 검지 결과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혀 검지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고, 또는 검지 결과가,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되었다는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30)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면,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이 PDCCH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확인 기기(70)에게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확인 기기(70)에게 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고, 대신 확인 기기(70) 내의 프로세서(31)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한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송수신기(30)에게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프로세서(31)는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한다. 즉,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송수신기(30)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따라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전혀 검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31)는,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하고,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때, 기지국은,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확인 기기(70)에게 PDCCH 시그널링 또는 e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따르면,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기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송수신기는 비-Msg3인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프로세서는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그런 다음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확인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 기기(70)가 확인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송수신기(30)로 하여금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31)는 추가로, 검지 결과가,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되었다는 것이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고, 또는 검지 결과가,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혀 검지되지 않으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 프로세스에서, 확인 기기(70)는 기지국에 랜덤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즉, 송수신기(30)가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는 때, 기지국은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송신되었는지 여부는 종래 기술에서는 확인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송수신기(30)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때, 기지국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확인 기기(7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대응하는 자원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하도록 송수신기(30)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확인 기기(70) 내의 프로세서(31)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프로세서(31)는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 송수신기(30)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따라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한다.
송수신기(30)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31)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혀 검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31)는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확인 기기(7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기기(70) 및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확인 기기(70)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따르면, 송수신기가 Msg3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프로세서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로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그리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 및 언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시예 2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확인 기기(80)는 기지국일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기기(80)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를 획득하고, 그리고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를 확인 기기(80)에게 전송하는데, 업링크 데이터는 비-Msg3일 수도 있고 또는 Msg3일 수도 있다. 추가로,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확인 기기(80)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확인 기기(80)는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게다가, 단말이 확인 기기(80)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1 타이머가 시작된다. 제1 타이머는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확인 기기(80)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과 확인 기기(80)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구에 관계된다. 선택적으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구 레벨에 따라 확인 기기(8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기기(80) 및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확인 기기(80)에 의해 결정된다. 확인 기기(8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고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된 메시지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다.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확인 기기(80)는 단말을 스케줄링한다. 즉, 단말에게 확인 기기(80)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자원을 통지하고, 그런 다음 확인 기기(80) 내의 제2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2 타이머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확인 기기(80)는 RAR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한 후 제2 타이머를 시작하고, 마찬가지로 제2 타이머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응한다.
프로세서(40)는,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확인 기기(80)가 성공적으로 비-Msg3를 수신하였다면, 확인 기기(80)는 단말에게 확인 기기(8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단말에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대신, 단말이 스스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또는 확인 기기(80)가 Msg3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았다면,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확인 기기(80)는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줄여서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지 Msg3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한,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정확하게 수신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확인 기기(8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기기(80)와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확인 기기(80)에 의해 구성된다. 확인 기기(80)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고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되는 메시지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따르면, 확인 기기의 프로세서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그 검지 결과에 따라 단말에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이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때, 확인 기기는,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하고 단말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시예 3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확인 기기(80)는, 프로세서(40)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기 전에,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41)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때, 업링크 데이터는 대응하는 자원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확인 기기(80)는 대응하는 자원을 단말에 할당하고 그 자원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통지해야 한다. 즉, 확인 기기(80) 내의 전송기(41)는 추가로 제2의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한다.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때 확인 기기(80)와 함께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단말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40)는 구체적으로, 검지 결과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이면, 전송기(41)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지 않도록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하도록 하고, 또는 검지 결과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전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전송기(41)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확인 기기(80)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로 하여금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단말에 전송된다. 이것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확인 기기(80)가 성공적으로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종래에는 확인 기기(80)가 PDCCH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단말에게 확인 기기(8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고, 커버리지 향상 시나리오에서는, 추가로 반복하여 PDCCH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확인 기기(80)가 단말에게 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다. 대신,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한다.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이 전송기(41)가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검지하면, 단말은, 확인 기기(80)가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고 판정한다. 즉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확인하고, 단말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따라 이전에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확인 기기(80)에게 재전송한다. 단말이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면, 단말은 확인 기기(8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확인 기기(80)는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단말에게 PDCCH 시그널링 또는 ePDCCH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따르면, 확인 기기의 프로세서가 단말이 전송한 비-Msg3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며,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도록 전송기에 지시할지를 결정한다. 이로써,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확인 기기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특별히 전송할 필요가 없고, 대신 단말은 스스로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때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 기기(80)와 함께 단말에 의해 확인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송기는 도 7의 실시예에서의 전송기(41)로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전송기(41)는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게 보낼 필요가 없다(왜냐하면, Msg3는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되므로). 또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40)는 추가로, 만일 검지 결과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었다는 것이면, 전송기(41)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하고, 또는 검지 결과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이면, 전송기(41)에게 단말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하지 않도록 지시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 프로세스에서는, 확인 기기(80)는 통상 PDCCH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 RAR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단말은 확인 기기(80)에 랜덤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인 기기(80)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때, 전송기(41)가 바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로 전송하고, 여기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단말로 하여금 확인 기기(80)에 의해 전송된 Msg4를 대응하는 자원에서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지하고, 만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으면, 확인 기기(80)가 성공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하고,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Msg4를 수신한다.
확인 기기(80)가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확인 기기(80)는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다. 대신, 단말은,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만일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전혀 검지되지 않으면, 확인 기기(80)가 업링크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이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확인 기기(8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확인 기기(80)와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 및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맵핑 관계에 따라 확인 기기(80)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에 따르면, 확인 기기의 프로세서는 단말이 전송한 Msg3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면,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전송기는 단말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이로써, 단말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sg3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은지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의 실시예 1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101: 단말이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S102: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S103: 단말이 검지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에 대해, 상술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행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 이들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면 따라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단계 S101 전에, 이 방법은 추가로, 단말이 기지국이 전송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단말에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단말이 확인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면,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고, 또는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면,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에 대해, 상술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행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서로 유사하며 따라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단말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단말로 하여금 기지국이 보낸 Msg4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이 전송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면,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하고, 또는 만일 단말이,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검지하지 못하면,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과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과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1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에 대해, 이사에서 설명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행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서로 유사하며 따라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의 실시예 2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201: 기지국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한다.
S202: 기지국이, 검지 결과에 따라,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게 전송할지 결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에 대해, 상술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행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서로 유사하면, 따라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S201 전에, 이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의 방법은, 업링크 데이터가 비-Msg3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단말이 기지국과 함께 확인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기지국이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하면, 기지국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지 않으며, 따라서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정한다. 또는 기지국이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전혀 수신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에 대해, 상술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의 실행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서로 유사하면, 따라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의 방법은, 업링크 데이터가 Msg3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단말이 기지국과 함께 확인하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Msg4를 수신하도록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기지국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이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또는 기지국이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않았으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혀 전송하지 않으며, 이로써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기지국과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더구나,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기지국과 단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향상 요건 레벨과 제2의 미리 설정된 기간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방법에 대해, 상술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기기를 참조할 수 있다.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서로 유사하면, 따라서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방법 실시예의 모든 또는 일부 단계가 프로그램에 의해 지시하는 관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프로그램이 실행된 때,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예컨대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매체라도 좋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기술적 해결수단을 변형할 수 있고 또는 일부 또는 전체의 기술적 특징을 균등물로 치환할 수 있다.

Claims (17)

  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에 관련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액세스 응답 메시지(non-Msg3)이고,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고,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 기기에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타이머의 기간에 대응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9.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로서,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모듈;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지 모듈; 및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길이는 상기 장치의 커버리지 향상 요건에 관련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비-액세스 응답 메시지(non-Msg3)이고,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장치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3)이고,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장치에 랜덤 액세스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1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이 검지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은 상기 타이머의 기간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이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상기 장치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17.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시,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7003040A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Ceased KR20200015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89702 WO2015089743A1 (zh) 2013-12-17 2013-12-17 上行数据传输的确认装置、设备和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824A Division KR102074283B1 (ko)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807A true KR20200015807A (ko) 2020-02-12

Family

ID=5340193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40A Ceased KR20200015807A (ko)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KR1020167018642A Active KR101875823B1 (ko)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KR1020187018824A Active KR102074283B1 (ko)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642A Active KR101875823B1 (ko)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KR1020187018824A Active KR102074283B1 (ko) 2013-12-17 2013-12-17 업링크 데이터 전송 확인 장치, 기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81343B2 (ko)
EP (2) EP3079429B1 (ko)
JP (1) JP6294492B2 (ko)
KR (3) KR20200015807A (ko)
CN (4) CN110621077B (ko)
ES (1) ES2707723T3 (ko)
PL (1) PL3471486T3 (ko)
WO (1) WO2015089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7957T3 (es) * 2014-11-07 2019-06-26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transmisión de canal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físico,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y equipo de usuario
WO2017075833A1 (zh) * 2015-11-06 2017-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终端和基站
WO2018097497A1 (ko) * 2016-11-23 2018-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8217021A1 (en) * 2017-05-26 2018-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47171A (zh) * 2007-02-16 2008-08-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使用约定资源发送控制信道的设备和方法
EP2986073B1 (en) * 2007-08-13 2023-04-26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Method for controlling a scheduling scheme
KR20140042924A (ko) * 2007-10-29 2014-04-0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의 처리
CN101515847B (zh) * 2008-02-18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无线通信时分双工系统的上行传输/反馈方法及系统
US20100034141A1 (en) * 2008-08-06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networks
US8199730B2 (en) * 2008-08-07 2012-06-1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plink grant
KR100939722B1 (ko) * 2008-08-11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20100090632A (ko) * 2009-02-06 2010-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Ndi를 이용한 임의접속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US20120002555A1 (en) 2009-03-13 2012-01-05 Wataru Ohuchi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detecting random access problems
KR101618172B1 (ko) * 2009-04-30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rach 채널 정보 전송 방법
EP2265077B1 (en) * 2009-06-18 2012-03-21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s
CN101998418B (zh) * 2009-08-11 2013-07-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提高网络覆盖性能的方法、系统和装置
CN102123457B (zh) * 2010-01-11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换方法及终端
CN102158981B (zh) * 2010-02-11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竞争的上行数据传输方法和系统
WO2011122904A2 (en) 2010-04-01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random access mechanis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58890B1 (en) * 2010-04-01 2021-03-03 Sun Patent Trust Transmit power control for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s
CN102215552A (zh) * 2010-04-01 2011-10-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载波非连续调度的接收方法和装置
CN102264052B (zh) * 2010-05-28 2014-10-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网络侧触发终端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GB2489413B (en) * 2011-03-25 2016-08-03 Broadcom Corp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user equipment based mobility
CN102740403B (zh) * 2011-04-02 2015-03-1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在通信网络的终端中用于接入的方法及装置
KR101560390B1 (ko) * 2011-06-15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869112B (zh) * 2011-07-05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辅服务小区随机接入的方法和用户设备
US8964678B2 (en) * 2011-12-23 2015-02-24 Blackberry Limited Method implemented in an eNodeB base station
CN103220811B (zh) 2012-01-19 2018-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mtc ue随机接入lte系统的方法
US8526389B2 (en) * 2012-01-25 2013-09-03 Ofinno Technologies, Llc Power scaling in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9161322B2 (en) * 2012-01-25 2015-10-13 Ofinno Technologies, Llc Configuring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carrier groups
CN103249167B (zh) * 2012-02-01 2016-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随机接入信道接入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3298121B (zh) * 2012-03-02 2016-07-06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频点映射与配置方法
WO2013158511A1 (en) * 2012-04-16 2013-10-24 Dinan Esmael Hejazi Cell group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CN109890074A (zh) * 2012-05-31 2019-06-1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设备到设备(d2d)交叉链路功率控制
WO2014101012A1 (en) * 2012-12-26 2014-07-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es, user equipment, radio network nod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CN103313422B (zh) * 2013-06-06 2016-08-10 北京中科晶上科技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系统和演进基站
CN104581925B (zh) * 2013-10-29 2019-01-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覆盖增强机制下的定时维护方法及装置
CN104619025A (zh) * 2013-11-01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信道资源分配方法和系统
KR20160113460A (ko) * 2015-03-20 2016-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주얼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1486B1 (en) 2021-04-28
KR102074283B1 (ko) 2020-02-06
US20160295437A1 (en) 2016-10-06
JP2017504256A (ja) 2017-02-02
EP3079429A4 (en) 2016-12-21
EP3079429B1 (en) 2018-10-24
ES2707723T3 (es) 2019-04-04
PL3471486T3 (pl) 2021-11-22
CN104871628A (zh) 2015-08-26
EP3079429A1 (en) 2016-10-12
KR101875823B1 (ko) 2018-07-06
US11381343B2 (en) 2022-07-05
CN104871628B (zh) 2019-09-03
KR20180078349A (ko) 2018-07-09
CN110621077B (zh) 2022-02-01
CN110691417A (zh) 2020-01-14
EP3471486A1 (en) 2019-04-17
CN110621076A (zh) 2019-12-27
WO2015089743A1 (zh) 2015-06-25
KR20160097337A (ko) 2016-08-17
CN110621077A (zh) 2019-12-27
CN110621076B (zh) 2022-02-01
JP6294492B2 (ja)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a timer for triggering buffer status report
EP303285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EP3297303A1 (en) Uplink resynchronization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US8750218B2 (en) Message processing in communication systems
CN113574952B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7075854A1 (zh) 信息传输的方法、终端和基站
US11381343B2 (en) Uplink data transmission confirmatio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EP3264855A2 (en) Delaying acknowledgement for rrc-connection-release for coverage enhancement mode
KR101494907B1 (ko) 기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한 효율적인 Buffer Status Report(BSR) 과정 수행 방법
WO2017166023A1 (zh) 一种随机接入的方法及装置
JP6455768B2 (ja) アップリンクデータ伝送確認装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0938522B2 (en) Low latency service feedback
CA2802978C (en) Method for re-synchronizing an uplink between an access device and a user agent
HK40059723A (en) Method for re-synchronizing an uplink between an access device and a user agent
HK40059723B (en) Method for re-synchronizing an uplink between an access device and a user agent
HK40004884A (en) Method for re-synchronizing an uplink between an access device and a user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0013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7018824

Filing date: 2018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