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05499A -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499A
KR20200005499A KR1020190081627A KR20190081627A KR20200005499A KR 20200005499 A KR20200005499 A KR 20200005499A KR 1020190081627 A KR1020190081627 A KR 1020190081627A KR 20190081627 A KR20190081627 A KR 20190081627A KR 20200005499 A KR20200005499 A KR 2020000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lex
capric
llwialrkk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558B1 (ko
Inventor
강성진
박문영
김다은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애니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니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아미노산 복합체 또는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복합체는 피부 독성 없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liminating or adsorbing particulate matter comprising peptide complex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질산염(NO3 -), 암모늄(NH4 +), 황산염 (SO4 2-) 등의 이온 성분, 탄소 화합물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서, 대기 중에서 장기간 떠다니는 지름 10 ㎛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의미한다. 미세먼지는 입자 지름이 10 ㎛ 이하이면 PM 10이라 표기하며, 입자 지름이 2.5 ㎛ 미만이면 PM 2.5로 표기하고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라고 지칭한다. 초미세먼지는 대부분 자동차 배출가스, 산업공정, 도로 등에서 날리는 먼지 등의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피부 질환, 안구 질환 등의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병을 악화시키고 폐 기능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초미세먼지는 입자가 매우 미세하여 코 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바로 폐포까지 침투되어 폐질환의 유병률과 조기사망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미세먼지는 코, 입뿐만 아니라 피부를 통해서도 몸 속에 침입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모공의 크기보다 최대 20배 정도 작기 때문에 모공 속으로 쉽게 침투되어 제거가 어렵고, 흡수된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체내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해 피부 면역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여드름 유발, 주름생성, 피부건조, 색소침착 등과 같은 피부 노화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는 염증반응을 일으켜 피부장벽에 손상을 주어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고, 미토콘드리아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산하여 콜라겐 합성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분해를 증가시켜 피부노화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에 붙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 PAH)가 멜라닌 세포를 증식시켜 얼굴에 색소반점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아시아인은 피부색이 백인보다 어둡기 때문에 미세먼지로 인한 색소반점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며,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피부염과 작열감, 소양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세먼지에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되돌릴 수 없는 피부 손상으로 인해 피부가 환경적 스트레스 요소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하면서 피부암과 같은 심각한 병을 초래할 수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의 위험성과 피해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제품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세먼지와 관련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공기청정기, 마스크 등의 제품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미세먼지의 흡착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흐름에 부합하고 있는 고기능성 바이오 원료 중 대표적인 것으로 펩타이드 소재를 들 수 있다. 펩타이드 내 아미노산 서열이 가지는 배열 및 구조에 따라 생체 내 혹은 피부에서 생리활성을 가지게 되어 생물학적 소재 개발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주름개선, 미백, 트러블성 피부 및 여러 피부 질환의 개선을 위한 준치료성 제품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어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 산업적 효용가치가 뛰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723941호에는 '산호수 및 뱅갈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50313호에는 '국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을 결합시켜 지방산-아미노산 복합체 및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개발하였으며, 상기 복합체가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키고 미세먼지와 응집되어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복합체는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와 응집 또는 결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올리고펩타이드(펜타펩타이드, pentapeptide)의 N-말단(A), C-말단(B) 또는 곁사슬(C)에 지방산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통해 정제된 펩타이드 복합체(표 5-구분9)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5 내지 도 15는 HaCaT 세포에 초미세먼지(디젤 배기 입자; 지름 2.5㎛ 이하인 미세먼지, PM2.5)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 복합체를 동시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N.C.(음성대조군): 0.2% DMSO(dimethyl sulfoxide)/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처리, P.C.(양성대조군): 10% DMSO/DMEM 처리.
도 16는 인간폐암상피세포주(A549)에 초미세먼지가 담긴 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A549 세포에 초미세먼지와 올리고펩타이드에 포화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를 동시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래프 X축 시료의 정보는 하기 표 10과 동일하다.
도 18은 은 염색(silver staining)법을 이용하여 펩타이드 복합체(P11, 서열번호 30의 올리고펩타이드(llwialrkk) 9번째 K 곁사슬에 카프릭산(C10)이 결합된 복합체)와 초미세먼지의 응집 효과를 분석한 SDS-PAGE 겔 사진이다.
도 19는 분진 포집(입자제거) 효율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일반 마스크(HIP's)와 미세먼지 마스크(KF84)의 입자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분진 포집(입자제거) 효율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무것도 분사하지 않은 일반 마스크, 정제수가 분사된 일반 마스크 및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250 ppm 용액(증류수 희석)이 분사된 일반 마스크의 초미세먼지 입자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용어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 이하의 먼지를 의미하고, 용어 '초미세먼지'는 지름 2.5 ㎛ 이하의 먼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황사,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매연, 생활주변 연소가스, 중금속 등의 대기오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미세먼지 흡착'은 피부 내 모공 등에 잔존하고 있는 미세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지방산과 아미노산 복합체 또는 지방산과 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기반으로 한 화장료 조성물의 처리로 피부 내 미세먼지에 대한 흡착력을 높여 피부에 저자극성이면서, 미세먼지 잔존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염증 또는 피부 트러블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N-말단 및 C-말단'은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아미노기(-NH2)를 가지는 한쪽 끝과 카복실기(-COOH)를 가지는 다른 한쪽 끝을 의미하며, 용어 '곁사슬'은 탄소 원자가 규칙적으로 이어져 있는 곧은 사슬 모양의 탄소 원자로부터 가지가 나누어져 있는 탄소 사슬 또는 고리 모양 화합물에서 고리에 붙어 있는 지방족의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아미노산은 알라닌(Alanine, A), 시스테인(Cysteine, C),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D), 글루탐산(Glutamic acid, 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글라이신(Glycine, G), 히스티딘(Histidine, H), 아이소류신(Isoleucine, I), 라이신(Lysine, K), 류신(Leucine, L), 메티오닌(Methionine, M), 아스파라긴(Asparagine, N), 피롤라이신(Pyrrolysine, O), 프롤린(Proline, P), 글루타민(Glutamine, Q), 아르기닌(Arginine, R), 세린(Serine, S), 트레오닌(Threonine, T),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eine, U), 발린(Valine, V), 트립토판(Tryptophan, W) 및 타이로신(Tyrosine, 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라이신(G), 글루탐산(E) 또는 라이신(K)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산은 D형 아미노산과 L형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2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 바람직하게는 AAPV(서열번호 1), AAP(서열번호 2), AA(서열번호 3), GHK(서열번호 4), GH(서열번호 5), KTTKS(서열번호 6), KTTK(서열번호 7), KTT(서열번호 8), KT(서열번호 9), EEMQRR(서열번호 10), EEMQR(서열번호 11), EEMQ(서열번호 12), EEM(서열번호 13), EE(서열번호 14), KKKKKKKKK(서열번호 15), KKKKK(서열번호 16), KKK(서열번호 17), KK(서열번호 18), GPO(서열번호 19), GP(서열번호 20), GQPR(서열번호 21), GQP(서열번호 22), GQ(서열번호 23), TTKS(서열번호 24), TKS(서열번호 25), TK(서열번호 26), RRRRRRRRR(서열번호 27), RRRRR(서열번호 28), RRR(서열번호 29) 및 LLWIALRKK(서열번호 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의 아미노산은 D형 아미노산 또는 L형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상기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PO는 O-하이드록시프롤린(O-hydroxyproli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화지방산은 카프로산(Caproic acid, C6:0), 카프릴산(Caprylic acid, C8:0),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C9:0), 카프릭산(Capric acid, C10:0), 운데실산(Undecylic acid, C11:0), 라우르산(Lauric acid, C12:0),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C14:0), 펜타데실산(Pentadecylic acid, C15:0),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마르가르산(Margaric acid, C17: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노나데실산(Nonadecylic acid, C19:0), 아라킨산(Arachidic acid, C20:0), 헤네이코실산(Heneicosylic acid, C21:0), 베헨산(Behenic acid, C22:0), 트라이코실산(Tricosylic acid. C23:0),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 C24:0), 펜타코실산(Pentacosylic acid, C25:0), 세로트산(Cerotic acid, C26:0), 헵타코실산(Heptacosylic acid, C27:0), 몬탄산(Montanic acid, C28:0), 노나코실산(Nonacosylic acid, C29:0), 멜리스산(Melissic acid, C30:0), 헤나트라이아콘틸산(Henatriacontylic acid, C31:0), 락세로산(Lacceroic acid, C32:0), 프실산(Psyllic acid, C33:0), 게드산(Geddic acid, C34:0), 세로플라스트산(Ceroplastic acid, C35:0) 및 헥사트라이아콘틸산(Hexatriacontylic acid, C36: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프릴산, 카프릭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또는 리그노세르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 올레산(Oleic acid, C18:1), 엘라이드산(Elaidic acid, C18:1), 페트로셀린산(Petroselinic acid, C18:1), 바크센산(Vaccenic acid, C18:1), 곤도산(Gondoic acid, C20:1), 에루크산(Erucic acid, C22:1), 네르본산(Nervonic acid, C24:1),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 시스-리놀렌산(cis-Linolenic acid, C18:3), 푸니크산(Punicic acid, C18:3), 엘레오스테아르산(Eleostearic acid, C18:3), 스테아리돈산(stearidonic acid, C18:4),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C20:4),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C20:5),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C22:5), 아드렌산(Adrenic acid, C22:4),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 및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톨레산, 엘라이드산, 페트로셀린산, 바크센산, 곤도산, 에루크산, 네르본산, 시스-리놀렌산, 푸니크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도코사펜타엔산 또는 리시놀레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복합체 또는 지방산과 올리고펩타이드의 복합체로, 상기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복합체는 글라이신(G), 글루탐산(E) 또는 라이신(K)에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지방산과 올리고펩타이드의 복합체는 서열번호 1, 4, 6, 7, 8, 10, 11, 15, 16, 17, 19, 21, 27, 28, 29 및 30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펩타이드 중 어느 하나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카프릴산, 카프릭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및 리그노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포화지방산; 또는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톨레산, 엘라이드산, 페트로셀린산, 바크센산, 곤도산, 에루크산, 네르본산, 시스-리놀렌산, 푸니크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도코사펜타엔산 및 리시놀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불포화지방산;이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의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30의 올리고펩타이드(LLWIALRKK, L형 아미노산; llwialrkk, D형 아미노산) 아미노산 서열에서 9번째의 라이신(Lysine, K); 서열번호 6(KTTKS) 및 서열번호 7(KTTK)의 올리고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에서 4번째의 라이신; 서열번호 16(KKKKK)의 올리고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에서 5번째의 라이신;에 지방산이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복합체는 N-말단 또는 C-말단에 아미노기(-NH2) 또는 카복실기(-COOH)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NH2-아미노산-지방산-COOH; NH2-올리고펩타이드-지방산-COOH; COOH-아미노산-지방산-NH2; COOH-올리고펩타이드-지방산-NH2; NH2-지방산-아미노산-COOH; NH2-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COOH; COOH-지방산-아미노산-NH2; 및 COOH-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NH2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말단, C-말단 또는 곁사슬;에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정상 피부 세포에 대해 독성이 없고,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초미세먼지 입자 제거(분진 포집)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카프릭산과 서열번호 6, 7, 15, 16, 27, 28 또는 29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팔미트산과 서열번호 4, 6, 7, 15, 16, 27, 28, 29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올레산과 서열번호 1, 4, 6, 7, 8, 11, 15, 16, 21,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리놀레산과 서열번호 10, 16,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카프릴산과 서열번호 15, 16, 27 또는 28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라우르산과 서열번호 4, 15, 16, 17, 27 또는 28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미리스트산과 서열번호 10, 15, 16, 27 또는 28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마르가르산과 서열번호 15, 16,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스테아르산과 서열번호 15, 16,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베헨산과 서열번호 15, 16, 19,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리그노세린산과 서열번호 15, 16,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팔미톨레산과 서열번호 1, 15. 21 또는 27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엘라이드산과 서열번호 6, 15, 16, 19 또는 27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페트로셀린산과 서열번호 6, 15, 16, 27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바크센산과 서열번호 15, 27 또는 28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곤도산과 서열번호 6, 15,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에루크산과 서열번호 15,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네르본산과 서열번호 4, 6, 15, 16,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시스-리놀렌산과 서열번호 15, 16, 27, 28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푸니크산과 서열번호 6, 15, 16 또는 27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엘레오스테아르산과 서열번호 6, 15, 27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도코사펜타엔산과 서열번호 1, 15, 16 또는 29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 또는 리시놀레산과 서열번호 15, 27 또는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복합체;가 초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세포 독성을 감소시키고 초미세먼지 입자 제거(분진 포집)율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지,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 복합체의 제조
복합체 합성에 사용된 아미노산 원료는 GLS(GL Biochem, Shanghai)로부터 구매하였고, 지방산은 TCI(TCI chemicals, India)와 Sigma(Sigma Aldrich, US)에서 구매하였으며(표 1),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DIEA),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 및 피페리딘(piperidine)은 대정화금(Daejungchem, Korea)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지방산 구입 정보
구분 지방산 구입처
1 카프릭산 TCI (TCI chemicals, Korea), D0017
2 팔미트산 TCI (TCI chemicals, Korea), P0002
3 아라킨산 TCI (TCI chemicals, Korea), E0006
4 올레산 TCI (TCI chemicals, Korea), O0011
5 리놀레산 Sigma(Sigma Aldrich, Korea), L1376
6 에이코사펜타엔산 TCI (TCI chemicals, Korea), E0441
7 카프릴산 TCI (TCI chemicals, Korea), E0120
8 라우르산 TCI (TCI chemicals, Korea), A0932
9 미리스트산 TCI (TCI chemicals, Korea), M0477
10 마르가르산 TCI (TCI chemicals, Korea), C0950
11 스테아르산 TCI (TCI chemicals, Korea), S0235
12 베헨산 TCI (TCI chemicals, Korea), B1248
13 리그노세르산 TCI (TCI chemicals, Korea), L0111
14 팔미톨레산 TCI (TCI chemicals, Korea), H0501
15 엘라이드산 TCI (TCI chemicals, Korea), O0010
16 페트로셀린산 Sigma(Sigma Aldrich, Korea), P8750
17 바크센산 TCI (TCI chemicals, Korea), M2308
18 곤도산 Sigma(Sigma Aldrich, Korea), E3635
19 에루크산 TCI (TCI chemicals, Korea), D0965
20 네르본산 TCI (TCI chemicals, Korea), T1642
21 푸니크산 Cayman (Cayman chemicals, USA), 22976EL
22 엘레오스테아르산 Chemical Book USA, 10008349
23 아라키돈산 TCI (TCI chemicals, Korea), A0781
24 도코사펜타엔산 TCI (TCI chemicals, Korea), D2964
25 시스-리놀렌산 TCI (TCI chemicals, Korea), L0152
26 도코사헥사엔산 TCI (TCI chemicals, Korea), D2226
27 리시놀레산 TCI (TCI chemicals, Korea), R0027
1-1. 레진 팽윤(swelling)
여과막이 장착된 고상(solid-phase) 합성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복합체 말단에 카르복시기(-COOH)를 갖는 펩타이드 합성은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2-Chlorotritylchloride resin; Bead Tech, 한국)을 이용하였고, 복합체 말단에 펩타이드 결합(-CONH2)으로 끝나는 펩타이드 합성은 링크 아마이드 레진(Rink amide resin; GLS, 중국)을 이용하였다. 디클로로메탄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20분 동안 레진을 팽윤시켜 합성준비를 하였다.
1-2. 아미노산 로딩(loading)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을 이용한 합성은 첫 아미노산을 레진에 로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레진을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레진에 3~5 당량의 아미노산을 DMF에 완전히 녹인 후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에 첨가하였고, 밀도를 고려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를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의 3~5 당량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24℃ 내지 32℃ 온도에서 5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1-3. 레진 Fmoc 탈보호
상기 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 또는 링크 아마이드 레진을 이용한 합성과정은 Fmoc(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의 탈보호 반응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레진 Fmoc 탈보호 과정은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하였고, 20%(v/v) 피페리딘을 첨가한 DMF로 5분간 세척한 후 다시 10분간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서 여과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DCM 또는 DMF를 사용하여 5분씩 6차례 이상 세척하였다.
1-4. 지방산-아미노산 복합체 및 지방산- 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합성
상기 링크 아마이드 레진에 3~5 당량의 아미노산을 DMF에 완전히 녹인 후 용매를 제거한 링크 아마이드 레진에 넣어주었다.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으로 2 M HOBt/DIC(hydroxybenzotriazole/diisopropylcarbodiimide)를 아미노산 당량 및 링크 아마이드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4~32℃에서 합성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매를 감압 하에 여과막을 통해 제거시킨 후, 깨끗한 DMF로 5분씩 6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세척이 끝나고 상기 아미노산 결합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 아미노산을 순서대로 커플링하였다. 그 후, 펩타이드가 합성된 상태의 레진에 지방산을 3 당량, 2 M HOBt/DIC를 아미노산 당량 및 레진 양에 맞게 넣어주었다. 이후 반응기를 이용하여 5시간 이상, 24~32℃ 온도에서 반응시켰다.
1-5. 분리(Cleavage)
반응이 끝나고 감압 하에서 여과막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깨끗한 DMF로 2분씩 2회, DCM으로 2분씩 2회에 걸쳐 세척한 다음 감압 하에 여과막을 통해 용매를 거의 제거하였다. 건조된 펩타이드 복합체 레진을 70%(v/v) TFA/ 29%(v/v) DCM/ 1%(v/v) H2O 용액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분리를 실시하였다.
1-6. 재결정(Crystallize)
분리가 완료된 용매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를 이용해 조(crude) 제품을 재결정화시켜 추출하였다. 구체적인 합성공정은 하기 표 2와 같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복합체 합성공정
* 레진 치환율:
- Rink amide MBHA resin (치환율: 0.54 mmole/g)
- Chlorotrityl chloride resin (치환율: 1.25 mmol/g)
* 아미노산: 3~10 eq
* 커플링 시약: DIC, HOBt, DMF
* 커플링 시간: 6시간
* 커플링 온도: 24 ~ 32℃
* 분리: 70% TFA/29% DCM/1% H2O,4시간, 또는 5% TFA/95% DCM 5분
* 추출: Ethyl ether
1-7. 합성 산물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을 통해 탄소수가 6~24개인 지방산(표 3)과, 아미노산인 글라이신(G), 글루탐산(E), 라이신(K) 또는 서열번호 1 내지 30의 올리고펩타이드가 결합된 신규한 복합체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에 존재하는 아미노기(NH2)와 지방산의 카복실기(COOH)를 결합시킬 수 있고(도 1A), 에틸렌글리콜을 링커(linker)로 사용하여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C 말단에 존재하는 카복실기에 지방산의 카복실기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도 1B), 올리고펩타이드의 라이신(K)에 존재하는 곁사슬에 지방산의 카복실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도 1C).
최종적으로 합성된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와 지방산의 복합체는 하기 표 4 및 표 10에 나타내었으며, 표 10에서 대문자는 L형 아미노산을 의미하고, 소문자는 D형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말단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지방산-펩타이드 순으로 기재하였고,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C-말단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펩타이드-지방산 순으로 기재하였으며, 올리고펩타이드의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지방산이 결합되어 있는 곁사슬이 붙어있는 아미노산에 밑줄(_)을 그어 표시한 후 지방산에 괄호로 표시하여 기재하였다.
지방산 종류
[포화 지방산]
Systematic name Common name Formula Symbol
( 탄소수
: 이중결합수 )
Caproic acid Hexanoic Acid CH3(CH2)4COOH C6:0
Caprylic acid Octanoic acid CH3(CH2)6COOH C8:0
Capric acid Decanoic acid CH3(CH2)8COOH C10:0
Lauric acid Dodecanoic acid CH3(CH2)10COOH C12:0
Myristic acid Tetradecanoic acid CH3(CH2)12COOH C14:0
Palmitic acid Hexadecanoic acid CH3(CH2)14COOH C16:0
Margaric acid Heptadecanoic acid CH3(CH2)15COOH C17:0
Stearic acid Octadecanoic acid CH3(CH2)16COOH C18:0
Arachidic acid Eicosanoic acid CH3(CH2)18COOH C20:0
Behenic acid Docosanoic acid CH3(CH2)20COOH C22:0
Lignoceric acid Tetracosanoic acid CH3(CH2)22COOH C24:0
[불포화 지방산]
Systematic name Common name Formula Symbol
Palmitoleic acid (Z)-9-hexadecenoic acid C16H30O2 C16:1
Oleic acid (Z)-9-octadecenoic acid C18H34O2 C18:1
Elaidic acid (E)-9-octadecenoic acid C18H34O2 C18:1
Petroselinic acid (Z)-6-octadecaenoic acid C18H34O2 C18:1
Vaccenic acid (E)-11-octadecenoic acid C18H34O2 C18:1
Gondoic acid (Z)-11-eicosenoic acid C20H38O2 C20:1
Erucic acid (Z)-13-docosenoic acid C22H42O2 C22:1
Nervonic acid (Z)-15-tetracosenoic acid C24H46O2 C24:1
Linoleic acid(LA) (Z,Z)-9,12-octadecadienoic acid C18H32O2 C18:2
cis-linolenic acid (CLA) (E,E,E)-9,12,15-octadecatrienoic acid C18H30O2 C18:3
Punicic acid (Z,E,Z)-9,11,13-octadecatrienoic acid C18H30O2 C18:3
Oleostearynic acid (E,E,E)-9,11,13-octadecatrienoic acid C18H30O2 C18:3
Arachidonic acid(AA) (all-Z)-5,8,11,14-eicosatetraenoic acid C20H32O2 C20:4
Eicosapentaenoic acid(EPA),
Timnodonic acid
(all-Z)- 5,8,11,14,17-icosapentaenoic acid C20H30O2 C20:5
Docosapentaenoic acid(DPA), Clupanodonic acid (all-Z)-4,8,12,15,19-docosapentaenoic acid C22H34O2 C22:5
Docosahexaenoic acid(DHA) (all-Z)-4,7,10,13,16,19-docosahexaenoic acid C22H32O2 C22:6
Ricinoleic acid (R)-12-hydroxy-(Z)-9-octadecenoic acid C18H34O2 C18:1
[Omega 3 Fatty Acid]
Alpha-linolenic acid(ALA), Eicosapentaenoic acid(EPA), Docosahexaenoic acid(DHA)
[Omega 6 Fatty Acid]
Linoleic acid(LA), Gamma-linolenic acid(GLA), Arachidonic acid(AA)
[Omega 9 Fatty Acid]
Oleic acid
합성된 지방산-아미노산 복합체 및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탄소수 구분 이름 탄소수





1

Caprylic acid-AAPV C8





4







Caprylic acid-EEMQRR C8
Capric acid-AAPV C10 Capric acid-EEMQRR C10
Lauric acid-AAPV C12 Lauric acid-EEMQRR C12
Myristic acid-AAPV C14 Myristic acid-EEMQRR C14
Palmitoleic acid-AAPV C16 Palmitoleic acid-EEMQRR C16
Margaric acid-AAPV C17 Margaric acid-EEMQRR C17
Oleic acid-AAPV C18 Oleic acid-EEMQRR C18
Arachidic acid-AAPV C20 Arachidic acid-EEMQRR C20
Behenic acid-AAPV C22 Behenic acid-EEMQRR C22
Lignoceric acid-AAPV C24 Lignoceric acid-EEMQRR C24
Oleic acid-AAP C18 Oleic acid-EEMQR C18
Oleic acid-AA C18 Oleic acid-EEMQ C18





2





Caprylic acid-GHK C8 Oleic acid-EEM C18
Capric acid-GHK C10 Oleic acid-EE C18
Lauric acid-GHK C12 Oleic acid-E C18
Myristic acid-GHK C14




5




Caprylic acid-KKK C8
Palmitoleic acid-GHK C16 Capric acid-KKK C10
Margaric acid-GHK C17 Lauric acid-KKK C12
Oleic acid-GHK C18 Myristic acid-KKK C14
Arachidic acid-GHK C20 Palmitoleic acid-KKK C16
Behenic acid-GHK C22 Margaric acid-KKK C17
Lignoceric acid-GHK C24 Oleic acid-KKK C18
Oleic acid-GH C18 Arachidic acid-KKK C20
Oleic acid-G C18 Behenic acid-KKK C22





3





Caprylic acid-KTTKS C8 Lignoceric acid-KKK C24
Capric acid-KTTKS C10 Oleic acid-KK C18
Lauric acid-KTTKS C12 Oleic acid-K C18
Myristic acid-KTTKS C14




6




Caprylic acid-GPO(O-hydroxyproline) C8
Palmitoleic acid-KTTKS C16 Capric acid-GPO(O-hydroxyproline) C10
Margaric acid-KTTKS C17 Lauric acid-GPO(O-hydroxyproline) C12
Oleic acid-KTTKS C18 Myristic acid-GPO(O-hydroxyproline) C14
Arachidic acid-KTTKS C20 Palmitoleic acid-GPO(O-hydroxyproline) C16
Behenic acid-KTTKS C22 Margaric acid-GPO(O-hydroxyproline) C17
Lignoceric acid-KTTKS C24 Oleic acid-GPO(O-hydroxyproline) C18
Oleic acid-KTTK C18 Arachidic acid-GPO(O-hydroxyproline) C20
Oleic acid-KTT C18 Behenic acid-GPO(O-hydroxyproline) C22

Lignoceric acid-GPO(O-hydroxyproline) C24
Oleic acid-GP C18
합성된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탄소수 구분 이름 탄소수





7





Caprylic acid-GQPR C8












9
















Palmitic acid-AAPV C16:0
Capric acid-GQPR C10 Palmitic acid-AAP C16:0
Lauric acid-GQPR C12 Palmitic acid-AA C16:0
Myristic acid-GQPR C14 Palmitic acid-GHK C16:0
Palmitoleic acid-GQPR C16 Palmitic acid-GH C16:0
Margaric acid-GQPR C17 Palmitic acid-KTTKS C16:0
Oleic acid-GQPR C18 Palmitic acid-KTTK C16:0
Arachidic acid-GQPR C20 Palmitic acid-KTT C16:0
Behenic acid-GQPR C22 Palmitic acid-KT C16:0
Lignoceric acid-GQPR C24 Palmitic acid-EEMQRR C16:0
Oleic acid-GQP C18 Palmitic acid-EEMQR C16:0
Oleic acid-GQ C18 Palmitic acid-EEMQ C16:0










8










Capric acid-AAP C10:0 Palmitic acid-EEM C16:0
Capric acid-AA C10:0 Palmitic acid-EE C16:0
Capric acid-GH C10:0 Palmitic acid-KKK C16:0
Capric acid-KTTK C10:0 Palmitic acid-KK C16:0
Capric acid-KTT C10:0 Palmitic acid-GP C16:0
Capric acid-KT C10:0 Palmitic acid-GQPR C16:0
Capric acid-EEMQR C10:0 Palmitic acid-GQP C16:0
Capric acid-EEMQ C10:0 Palmitic acid-GQ C16:0
Capric acid-EEM C10:0 Palmitic acid-LLWIALRKK C16:0
Capric acid-EE C10:0 Palmitic acid-GPO C16:0
Capric acid-KK C10:0 Palmitic acid-llwialrkk C16:0
Capric acid-GP C10:0 Palmitic acid-TK C16:0
Capric acid-GQP C10:0 Palmitic acid-TTKS C16:0
Capric acid-GQ C10:0 Palmitic acid-TKS C16:0
Capric acid-TK C10:0 Palmitic acid-KKKKK C16:0
Capric acid-TTKS C10:0 Palmitic acid-KKKKKKKKK C16:0
Capric acid-TKS C10:0 Palmitic acid-RRR C16:0
Capric acid-KKKKK C10:0 Palmitic acid-RRRRR C16:0
Capric acid-KKKKKKKKK C10:0 Palmitic acid-RRRRRRRRR C16:0
Capric acid-RRR C10:0

Capric acid-RRRRR C10:0
Capric acid-RRRRRRRRR C10:0
합성된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탄소수 구분 이름 탄소수





10




Oleic acid-KT C18:1

12

Caprylic acid-RRR C8:0
Oleic acid-LLWIALRKK C18:1 Caprylic acid-RRRRR C8:0
Oleic acid-llwialrkk C18:1 Caprylic acid-RRRRRRRRR C8:0
Oleic acid-TK C18:1 Caprylic acid-KKKKK C8:0
Oleic acid-TTKS C18:1 Caprylic acid-KKKKKKKKK C8:0
Oleic acid-TKS C18:1

13

Lauric acid-RRR C12:0
Oleic acid-KKKKK C18:1 Lauric acid-RRRRR C12:0
Oleic acid-KKKKKKKKK C18:1 Lauric acid-RRRRRRRRR C12:0
Oleic acid-RRR C18:1 Lauric acid-KKKKK C12:0
Oleic acid-RRRRRR C18:1 Lauric acid-KKKKKKKKK C12:0
Oleic acid-RRRRRRRRR C18:1

14

Myristic acid-RRR C14:0














11















Linoleic acid-AAPV C18:2 Myristic acid-RRRRR C14:0
Linoleic acid-AAP C18:2 Myristic acid-RRRRRRRRR C14:0
Linoleic acid-AA C18:2 Myristic acid-KKKKK C14:0
Linoleic acid-GHK C18:2 Myristic acid-KKKKKKKKK C14:0
Linoleic acid-GH C18:2


15


Margaric acid-LLWIALRKK C17:0
Linoleic acid-KTTKS C18:2 Margaric acid-llwialrkk C17:0
Linoleic acid-KTTK C18:2 Margaric acid-RRR C17:0
Linoleic acid-KTT C18:2 Margaric acid-RRRRR C17:0
Linoleic acid-KT C18:2 Margaric acid-RRRRRRRRR C17:0
Linoleic acid-EEMQRR C18:2 Margaric acid-KKKKK C17:0
Linoleic acid-EEMQR C18:2 Margaric acid-KKKKKKKKK C17:0
Linoleic acid-EEMQ C18:2


16


Stearic acid-LLWIALRKK C18:0
Linoleic acid-EEM C18:2 Stearic acid-llwialrkk C18:0
Linoleic acid-EE C18:2 Stearic acid-RRR C18:0
Linoleic acid-KKK C18:2 Stearic acid-RRRRR C18:0
Linoleic acid-KK C18:2 Stearic acid-RRRRRRRRR C18:0
Linoleic acid-GP C18:2 Stearic acid-KKKKK C18:0
Linoleic acid-GQPR C18:2 Stearic acid-KKKKKKKKK C18:0
Linoleic acid-GQP C18:2


17


Behenic acid-LLWIALRKK C22:0
Linoleic acid-GQ C18:2 Behenic acid-llwialrkk C22:0
Linoleic acid-LLWIALRKK C18:2 Behenic acid-RRR C22:0
Linoleic acid-GPO C18:2 Behenic acid-RRRRR C22:0
Linoleic acid-llwialrkk C18:2 Behenic acid-RRRRRRRRR C22:0
Linoleic acid-TK C18:2 Behenic acid-KKKKK C22:0
Linoleic acid-TTKS C18:2 Behenic acid-KKKKKKKKK C22:0
Linoleic acid-TKS C18:2


18


Lignoceric acid-LLWIALRKK C24:0
Linoleic acid-KKKKK C18:2 Lignoceric acid-llwialrkk C24:0
Linoleic acid-KKKKKKKKK C18:2 Lignoceric acid-RRR C24:0
Linoleic acid-RRR C18:2 Lignoceric acid-RRRRR C24:0
Linoleic acid-RRRRR C18:2 Lignoceric acid-RRRRRRRRR C24:0
Linoleic acid-RRRRRRRRR C18:2 Lignoceric acid-KKKKK C24:0
Lignoceric acid-KKKKKKKKK C24:0
합성된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탄소수 구분 이름 탄소수



19


Palmitoleic acid-LLWIALRKK C16:1





22





Vaccenic acid-AAPV C18:1
Palmitoleic acid-llwialrkk C16:1 Vaccenic acid-GHK C18:1
Palmitoleic acid-RRR C16:1 Vaccenic acid-KTTKS C18:1
Palmitoleic acid-RRRRR C16:1 Vaccenic acid-EEMQRR C18:1
Palmitoleic acid-RRRRRRRRR C16:1 Vaccenic acid-KKK C18:1
Palmitoleic acid-KKKKK C16:1 Vaccenic acid-LLWIALRKK C18:1
Palmitoleic acid-KKKKKKKKK C16:1 Vaccenic acid-GPO C18:1






20


Elaidic acid-AAPV C18:1 Vaccenic acid-llwialrkk C18:1
Elaidic acid-GHK C18:1 Vaccenic acid-RRR C18:1
Elaidic acid-KTTKS C18:1 Vaccenic acid-RRRRR C18:1
Elaidic acid-EEMQRR C18:1 Vaccenic acid-RRRRRRRRR C18:1
Elaidic acid-KKK C18:1 Vaccenic acid-KKKKK C18:1
Elaidic acid-LLWIALRKK C18:1 Vaccenic acid-KKKKKKKKK C18:1
Elaidic acid-GPO C18:1





23





Gondoic acid-AAPV C20:1
Elaidic acid-llwialrkk C18:1 Gondoic acid-GHK C20:1
Elaidic acid-RRR C18:1 Gondoic acid-KTTKS C20:1
Elaidic acid-RRRRR C18:1 Gondoic acid-EEMQRR C20:1
Elaidic acid-RRRRRRRRR C18:1 Gondoic acid-KKK C20:1
Elaidic acid-KKKKK C18:1 Gondoic acid-LLWIALRKK C20:1
Elaidic acid-KKKKKKKKK C18:1 Gondoic acid-GPO C20:1






21





Petroselinic acid-AAPV C18:1 Gondoic acid-llwialrkk C20:1
Petroselinic acid-GHK C18:1 Gondoic acid-RRR C20:1
Petroselinic acid-KTTKS C18:1 Gondoic acid-RRRRR C20:1
Petroselinic acid-EEMQRR C18:1 Gondoic acid-RRRRRRRRR C20:1
Petroselinic acid-KKK C18:1 Gondoic acid-KKKKK C20:1
Petroselinic acid-LLWIALRKK C18:1 Gondoic acid-KKKKKKKKK C20:1
Petroselinic acid-GPO





24





Erucic acid-AAPV C22:1
Petroselinic acid-llwialrkk C18:1 Erucic acid-GHK C22:1
Petroselinic acid-RRR C18:1 Erucic acid-KTTKS C22:1
Petroselinic acid-RRRRR C18:1 Erucic acid-EEMQRR C22:1
Petroselinic acid-RRRRRRRRR C18:1 Erucic acid-KKK C22:1
Petroselinic acid-KKKKK C18:1 Erucic acid-LLWIALRKK C22:1
Petroselinic acid-KKKKKKKKK C18:1 Erucic acid-GPO C22:1





Erucic acid-llwialrkk C22:1
Erucic acid-RRR C22:1
Erucic acid-RRRRR C22:1
Erucic acid-RRRRRRRRR C22:1
Erucic acid-KKKKK C22:1
Erucic acid-KKKKKKKKK C22:1
합성된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탄소수 구분 이름 탄소수





25





Nervonic acid-AAPV C24:1




28






cis-Linoleic acid-AAPV C18:2
Nervonic acid-GHK C24:1 cis-Linoleic acid-GHK C18:2
Nervonic acid-KTTKS C24:1 cis-Linoleic acid-KTTKS C18:2
Nervonic acid-EEMQRR C24:1 cis-Linoleic acid-EEMQRR C18:2
Nervonic acid-KKK C24:1 cis-Linoleic acid-KKK C18:2
Nervonic acid-LLWIALRKK C24:1 cis-Linoleic acid-LLWIALRKK C18:2
Nervonic acid-GPO C24:1 cis-Linoleic acid-GPO C18:2
Nervonic acid-llwialrkk C24:1 cis-Linoleic acid-llwialrkk C18:2
Nervonic acid-RRR C24:1 cis-Linoleic acid-RRR C18:2
Nervonic acid-RRRRR C24:1 cis-Linoleic acid-RRRRR C18:2
Nervonic acid-RRRRRRRRR C24:1 cis-Linoleic acid-RRRRRRRRR C18:2
Nervonic acid-KKKKK C24:1 cis-Linoleic acid-KKKKK C18:2
Nervonic acid-KKKKKKKKK C24:1 cis-Linoleic acid-KKKKKKKKK C18:2






26





Punicic acid-AAPV C18:3





29





Docosapentaenoic acid-AAPV C22:6
Punicic acid-GHK C18:3 Docosapentaenoic acid-GHK C22:6
Punicic acid-KTTKS C18:3 Docosapentaenoic acid-KTTKS C22:6
Punicic acid-EEMQRR C18:3 Docosapentaenoic acid-EEMQRR C22:6
Punicic acid-KKK C18:3 Docosapentaenoic acid-KKK C22:6
Punicic acid-LLWIALRKK C18:3 Docosapentaenoic acid-LLWIALRKK C22:6
Punicic acid-GPO C18:3 Docosapentaenoic acid-GPO C22:6
Punicic acid-llwialrkk C18:3 Docosapentaenoic acid-llwialrkk C22:6
Punicic acid-RRR C18:3 Docosapentaenoic acid-RRR C22:6
Punicic acid-RRRRR C18:3 Docosapentaenoic acid-RRRRR C22:6
Punicic acid-RRRRRRRRR C18:3 Docosapentaenoic acid-RRRRRRRRR C22:6
Punicic acid-KKKKK C18:3 Docosapentaenoic acid-KKKKK C22:6
Punicic acid-KKKKKKKKK C18:3 Docosapentaenoic acid-KKKKKKKKK C22:6





27





Eleostearic acid-AAPV C18:3





30





Ricinoleic acid-AAPV C18:1
Eleostearic acid-GHK C18:3 Ricinoleic acid-GHK C18:1
Eleostearic acid-KTTKS C18:3 Ricinoleic acid-KTTKS C18:1
Eleostearic acid-EEMQRR C18:3 Ricinoleic acid-EEMQRR C18:1
Eleostearic acid-KKK C18:3 Ricinoleic acid-KKK C18:1
Eleostearic acid-LLWIALRKK C18:3 Ricinoleic acid-LLWIALRKK C18:1
Eleostearic acid-GPO C18:3 Ricinoleic acid-GPO C18:1
Eleostearic acid-llwialrkk C18:3 Ricinoleic acid-llwialrkk C18:1
Eleostearic acid-RRR C18:3 Ricinoleic acid-RRR C18:1
Eleostearic acid-RRRRR C18:3 Ricinoleic acid-RRRRR C18:1
Eleostearic acid-RRRRRRRRR C18:3 Ricinoleic acid-RRRRRRRRR C18:1
Eleostearic acid-KKKKK C18:3 Ricinoleic acid-KKKKK C18:1
Eleostearic acid-KKKKKKKKK C18:3 Ricinoleic acid-KKKKKKKKK C18:1
합성된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탄소수 구분 이름 탄소수




31



Palmitic acid-KTTKS C18:1




32




Capric acid-KTTKS C18:1
KTTKS-Palmitic acid C18:1 KTTKS-Capric acid C18:1
KTTKS(Palmitic acid) C18:1 KTTKS(Capric acid) C18:1
Palmitic acid-KTTK C18:1 Capric acid-KTTK C18:1
KTTK-Palmitic acid C18:1 KTTK-Capric acid C18:1
KTTK(Palmitic acid) C18:1 KTTK(Capric acid) C18:1
Palmitic acid-RRRRR C18:1 Capric acid-RRRRR C18:1
RRRRR-Palmitic acid C18:1 RRRRR-Capric acid C18:1
Palmitic acid-KKKKK C18:1 Capric acid-KKKKK C18:1
KKKKK-Palmitic acid C18:1 KKKKK-Capric acid C18:1
KKKKK(Palmitic acid) C18:1 KKKKK(Capric acid) C18:1
합성된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종류
구분 이름 구분 이름








33






P1 LLWIALRKK-NH2 P15 LLWIALRKK-COOH
P2 LLWIALRKK(C6:0)-NH2 P16 LLWIALRKK(C6:0)-COOH
P3 LLWIALRKK(C8:0)-NH2 P17 LLWIALRKK(C8:0)-COOH
P4 LLWIALRKK(C10:0)-NH2 P18 LLWIALRKK(C10:0)-COOH
P5 LLWIALRKK(C12:0)-NH2 P19 LLWIALRKK(C12:0)-COOH
P6 LLWIALRKK(C14:0)-NH2 P20 LLWIALRKK(C14:0)-COOH
P7 LLWIALRKK(C16:0)-NH2 P21 LLWIALRKK(C16:0)-COOH
P8 llwialrkk-NH2 P22 llwialrkk- COOH
P9 llwialrkk(C6:0)-NH2 P23 llwialrkk(C6:0)-COOH
P10 llwialrkk(C8:0)-NH2 P24 llwialrkk(C8:0)-COOH
P11 llwialrkk(C10:0)-NH2 P25 llwialrkk(C10:0)-COOH
P12 llwialrkk(C12:0)-NH2 P26 llwialrkk(C12:0)-COOH
P13 llwialrkk(C14:0)-NH2 P27 llwialrkk(C14:0)-COOH
P14 llwialrkk(C16:0)-NH2 P28 llwialrkk(C16:0)-COOH
실시예 2. 복합체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복합체 조제품들을 각각 10%(v/v)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이 첨가된 증류수에 녹인 후, 구배(gradient) 조건하에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제하고(도 2 내지 도 4), 동결건조하여 목적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HPLC 조건 및 분리상의 구배 조건은 하기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제된 복합체 조제품들의 분자량은 MALDI-TOF-MA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자량 측정 방법은 표 13, 분자량 측정 결과는 표 14 내지 표 23에 나타내었다.
HPLC 조건
기기 Shimadzu 8A (5 cm×25 cm)/8A (prep(dia 5 cm))
용매 조성 버퍼 A=0.05% TFA/아세토나이트릴, 버퍼 B=0.05% TFA/H2O
유속 14 ㎖/분
컬럼 Silicagel C18 reverse phase
흡광도 230 nm
분리조건 구배 (gradient)
구배 조건
시간(분) H2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0~12 89→77 11→23
12~13 77→5 23→95
13~18 5→5 95→95
18~19 5→89 95→11
19~27 89→99 11→11
분자량 측정 방법
- 기기명 : SHIMADZU MALDI-TOF
- 샘플 5 μL를 matrix 용액 5 μL와 혼합하여 혼합액의 0.5 μL를 target plate에 로딩한다.
- 이후 질량분석기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한다.
- 여기서 matrix 용액은 0.1% TFA(Trifluoroacetic acid) 아세토니트릴/물=1/1 (v/v)에 알파-시아노히드록시신나믹산(α-Cyanohydroxycinnamic acid)의 포화용액.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1















1 Capric acid-AAPV








N-term
510.7 511.6
2 Capric acid-AAP 410.6 409.8
3 Capric acid-AA 313.5 314.4
4 Capric acid-GH 366.5 366.4
5 Capric acid-GHK 494.6 493.8
6 Capric acid-KTTKS 717.9 718.4
7 Capric acid-KTTK 630.8 631.8
8 Capric acid-KTT 502.7 500.6
9 Capric acid-KT 401.6 400.5
10 Capric acid-EEMQRR 1002.2 1003.1
11 Capric acid-EEMQR 846.0 847.0
12 Capric acid-EEMQ 689.8 690.8
13 Capric acid-EEM 561.7 562.7
14 Capric acid-EE 430.5 432.4
15 Capric acid-KKK 556.8 557.4
16 Capric acid-KK 428.6 429.6
17 Capric acid-GP 326.4 327.4
18 Capric acid-GQPR 610.8 611.5
19 Capric acid-GQP 454.6 456.5
20 Capric acid-GQ 357.5 359.4
21 LLWIALRKK(Capric acid) K (곁사슬) 1294.7 1295.5
22 Capric acid-GPO N-term 440.6 441.3
23 llwialrkk(Capric acid) K (곁사슬) 1294.7 1295.1
24 Capric acid-TK


N-term
401.6 402.5
25 Capric acid-TTKS 589.7 590.7
26 Capric acid-TKS 488.6 490.6
27 Capric acid-KKKKK 813.1 814.1
28 Capric acid-KKKKKKKKK 1325.8 1326.8
29 Capric acid-RRR 640.8 642.8
30 Capric acid-RRRRR 953.2 954.2
31 Capric acid-RRRRRRRRR 1578.0 1579.9







2







1 Palmitic acid-AAPV






N-term
594.8 595.8
2 Palmitic acid-AAP 494.7 496.7
3 Palmitic acid-AA 397.6 397.7
4 Palmitic acid-GHK 578.8 578.8
5 Palmitic acid-GH 450.6 452.6
6 Palmitic acid-KTTKS 802.1 803.0
7 Palmitic acid-KTTK 715.0 715.9
8 Palmitic acid-KTT 586.8 588.8
9 Palmitic acid-KT 485.7 486.6
10 Palmitic acid-EEMQRR 1086.3 1088.3
11 Palmitic acid-EEMQR 930.2 930.1
12 Palmitic acid-EEMQ 774.0 774.9
13 Palmitic acid-EEM 645.8 644.8
14 Palmitic acid-EE 514.6 516.6
15 Palmitic acid-KKK 640.9 642.9
16 Palmitic acid-KK 512.8 513.8
17 Palmitic acid-GP 410.6 411.2
K 곁사슬; 서열번호 30의 올리고펩타이드(LLWIALRKK, llwialrkk) 9번째 K 아미노산(밑줄로 표시)에 지방산 결합.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2






18 Palmitic acid-GQPR
N-term
694.9 695.9
19 Palmitic acid-GQP 538.7 536.7
20 Palmitic acid-GQ 441.6 443.6
21 LLWIALRKK(Palmitic acid) K (곁사슬) 1378.9 1379.9
22 Palmitic acid-GPO N-term 524.7 525.5
23 llwialrkk(Palmitic acid) K (곁사슬) 1378.9 1379.8
24 Palmitic acid-TK


N-term
485.7 486.6
25 Palmitic acid-TTKS 673.9 674.8
26 Palmitic acid-TKS 572.8 574.7
27 Palmitic acid-KKKKK 897.3 898.2
28 Palmitic acid-KKKKKKKKK 1410.0 1409.8
29 Palmitic acid-RRR 725.0 722.9
30 Palmitic acid-RRRRR 1037.4 1038.4
31 Palmitic acid-RRRRRRRRR 1662.1 1662.8














3

















1 Oleic acid-AAPV














N-term














620.9 621.8
2 Oleic acid-AAP 520.8 521.6
3 Oleic acid-AA 423.7 423.9
4 Oleic acid-A 353.6 354.5
5 Oleic acid-GHK 604.9 605.4
6 Oleic acid-GH 476.7 478.5
7 Oleic acid-G 339.5 340.2
8 Oleic acid-KTTKS 828.1 829.4
9 Oleic acid-KTTK 741.0 742.3
10 Oleic acid-KTT 612.9 613.5
11 Oleic acid-KT 511.8 512.9
12 Oleic acid-EEMQRR 1112.4 1113.5
13 Oleic acid-EEMQR 956.2 957.2
14 Oleic acid-EEMQ 800.0 800.9
15 Oleic acid-EEM 671.9 672.8
16 Oleic acid-EE 540.7 540.7
17 Oleic acid-E 411.6 412.6
18 Oleic acid-KKK 667.0 667.9
19 Oleic acid-KK 538.8 539.6
20 Oleic acid-K 410.7 411.2
21 Oleic acid-GP 436.7 437.4
22 Oleic acid-GQPR 721.0 722.1
23 Oleic acid-GQP 564.8 565.3
24 Oleic acid-GQ 467.7 468.4
25 Oleic acid-LLWIALRKK 1404.9 1404.5
26 Oleic acid-GPO 550.8 551.4
27 Oleic acid-llwialrkk 1404.9 1405.6
28 Oleic acid-TK 511.8 513.1
29 Oleic acid-TTKS 699.9 697.1
30 Oleic acid-TKS 598.8 599.8
31 Oleic acid-KKKKK 923.4 923.7
32 Oleic acid-KKKKKKKKK 1436.0 1437.1
33 Oleic acid-RRR 751.0 751.8
34 Oleic acid-RRRRR 1063.4 1063.9
35 Oleic acid-RRRRRRRRR 1688.2 1689.4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4












1 Linoleic acid-AAPV













N-term















618.9 619.4
2 Linoleic acid-AAP-OH 518.7 519.4
3 Linoleic acid-AA-OH 421.6 422.4
4 Linoleic acid-GHK 602.8 603.6
5 Linoleic acid-GH 474.7 475.1
6 Linoleic acid-KTTKS 826.1 827.1
7 Linoleic acid-KTTK 739.0 739.8
8 Linoleic acid-KTT 610.8 611.6
9 Linoleic acid-KT 509.7 511.0
10 Linoleic acid-EEMQRR 1110.4 1111.5
11 Linoleic acid-EEMQR 954.2 955.1
12 Linoleic acid-EEMQ 798.0 799.0
13 Linoleic acid-EEM 669.9 670.4
14 Linoleic acid-EE 538.7 539.5
15 Linoleic acid-KKK 665.0 666.1
16 Linoleic acid-KK 536.8 536.8
17 Linoleic acid-GP 434.6 435.5
18 Linoleic acid-GQPR 718.9 718.7
19 Linoleic acid-GQP 562.8 563.7
20 Linoleic acid-GQ 465.6 466.6
21 Linoleic acid-LLWIALRKK 1402.9 1403.6
22 Linoleic acid-GPO 548.8 549.2
23 Linoleic acid-llwialrkk 1402.9 1403.7
24 Linoleic acid-TK 509.7 510.4
25 Linoleic acid-TTKS 697.9 698.8
26 Linoleic acid-TKS 596.8 597.4
27 Linoleic acid-KKKKK 921.3 922.6
28 Linoleic acid-KKKKKKKKK 1434.0 1435.1
29 Linoleic acid-RRR 749.0 751.0
30 Linoleic acid-RRRRR 1061.4 1062.1
31 Linoleic acid-RRRRRRRRR 1686.1 1687.2





5





1 Caprylic acid-AAPV

N-term

482.6 483.3
2 Caprylic acid-GHK 466.6 467.4
3 Caprylic acid-KTTKS 689.9 691.0
4 Caprylic acid-EEMQRR 974.2 975.1
5 Caprylic acid-KKK 528.7 529.3
6 LLWIALRKK(Caprylic acid) K (곁사슬) 1266.7 1266.9
7 Caprylic acid-GPO N-term 412.5 413.5
8 llwialrkk(Caprylic acid) K (곁사슬) 1266.7 1266.9
9 Caprylic acid-RRR

N-term
612.8 613.5
10 Caprylic acid-RRRRR 925.2 925.9
11 Caprylic acid-RRRRRRRRR 1549.9 1550.0
12 Caprylic acid-KKKKK 785.1 786.7
13 Caprylic acid-KKKKKKKKK 1297.8 1298.8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6





1 Lauric acid-AAPV

N-term

538.7 539.5
2 Lauric acid-GHK 522.7 523.5
3 Lauric acid-KTTKS 746.0 747.0
4 Lauric acid-EEMQRR 1030.3 1030.8
5 Lauric acid-KKK 584.8 585.7
6 LLWIALRKK(Lauric acid) K (곁사슬) 1322.8 132.6
7 Lauric acid-GPO N-term 468.6 469.3
8 llwialrkk(Lauric acid) K (곁사슬) 1322.8 1323.6
9 Lauric acid-RRR

N-term

668.9 669.6
10 Lauric acid-RRRRR 981.3 982.2
11 Lauric acid-RRRRRRRRR 1606.0 1607.1
12 Lauric acid-KKKKK 841.2 842.0
13 Lauric acid-KKKKKKKKK 1353.9 1354.7






7





1 Myristic acid-AAPV

N-term

566.8 567.3
2 Myristic acid-GHK 550.8 551.2
3 Myristic acid-KTTKS 774.0 775.1
4 Myristic acid-EEMQRR 1058.3 1059.2
5 Myristic acid-KKK 612.9 612.9
6 LLWIALRKK(Myristic acid) K (곁사슬) 1350.8 1351.6
7 Myristic acid-GPO N-term 496.7 497.6
8 llwialrkk(Myristic acid) K (곁사슬) 1350.8 1351.4
9 Myristic acid-RRR

N-term

696.9 670.2
10 Myristic acid-RRRRR 1009.3 1010.2
11 Myristic acid-RRRRRRRRR 1634.1 1635.1
12 Myristic acid-KKKKK 869.3 870.2
13 Myristic acid-KKKKKKKKK 1381.9 1382.4






8





1 Margaric acid-AAPV





N-term





608.9 609.3
2 Margaric acid-GHK 692.8 593.3
3 Margaric acid-KTTKS 816.1 817.0
4 Margaric acid-EEMQRR 1100.4 1101.0
5 Margaric acid-KKK 655.0 655.9
6 Margaric acid-LLWIALRKK 1392.9 1393.4
7 Margaric acid-GPO 538.8 539.6
8 Margaric acid-llwialrkk 1392.9 1374.0
9 Margaric acid-RRR 739.0 741.2
10 Margaric acid-RRRRR 1051.4 1052.1
11 Margaric acid-RRRRRRRRR 1676.1 1677.3
12 Margaric acid-KKKKK 911.3 912.2
13 Margaric acid-KKKKKKKKK 1424.0 1425.2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9





1 Stearic acid-AAPV




N-term






622.9 623.8
2 Stearic acid-GHK 06.9 07.5
3 Stearic acid-KTTKS 30.1 30.7
4 Stearic acid-EEMQRR 114.4 115.2
5 Stearic acid-KKK 69.0 70.2
6 Stearic acid-LLWIALRKK 406.9 407.8
7 Stearic acid-GPO 52.8 53.8
8 Stearic acid-llwialrkk 406.9 407.2
9 Stearic acid-RRR 53.1 54.0
10 Stearic acid-RRRRR 065.4 065.9
11 Stearic acid-RRRRRRRRR 690.2 691.1
12 Stearic acid-KKKKK 25.4 26.0
13 Stearic acid-KKKKKKKKK 438.1 439.0






10





1 Behenic acid-AAPV





N-term





679.0 79.4
2 Behenic acid-GHK 63.0 63.8
3 Behenic acid-KTTKS 86.2 87.1
4 Behenic acid-EEMQRR 170.5 171.5
5 Behenic acid-KKK 25.1 26.0
6 Behenic acid-LLWIALRKK 463.0 463.7
7 Behenic acid-GPO 08.9 09.4
8 Behenic acid-llwialrkk 463.0 463.6
9 Behenic acid-RRR 09.2 09.9
10 Behenic acid-RRRRR 121.5 122.6
11 Behenic acid-RRRRRRRRR 746.3 747.2
12 Behenic acid-KKKKK 81.5 82.5
13 Behenic acid-KKKKKKKKK 494.2 494.5






11





1 Lignoceric acid-AAPV





N-term





707.1 707.6
2 Lignoceric acid-GHK 691.0 492.5
3 Lignoceric acid-KTTKS 914.3 915.2
4 Lignoceric acid-EEMQRR 1198.6 1199.2
5 Lignoceric acid-KKK 753.2 754.2
6 Lignoceric acid-LLWIALRKK 1491.1 1492.2
7 Lignoceric acid-GPO 637.0 638.0
8 Lignoceric acid-llwialrkk 1491.1 1492.2
9 Lignoceric acid-RRR 837.2 838.2
10 Lignoceric acid-RRRRR 1149.6 1151.2
11 Lignoceric acid-RRRRRRRRR 1774.3 1775.1
12 Lignoceric acid-KKKKK 1009.5 1010.0
13 Lignoceric acid-KKKKKKKKK 1522.2 1523.1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12





1 Palmitoleic acid-AAPV





N-term




592.8 593.1
2 Palmitoleic acid-GHK 576.8 577.4
3 Palmitoleic acid-KTTKS 800.1 801.0
4 Palmitoleic acid-EEMQRR 1084.4 1085.4
5 Palmitoleic acid-KKK 638.9 639.4
6 Palmitoleic acid-LLWIALRKK 1376.9 1377.6
7 Palmitoleic acid-GPO 522.7 523.0
8 Palmitoleic acid-llwialrkk 1376.9 1377.3
9 Palmitoleic acid-RRR 723.0 724.0
10 Palmitoleic acid-RRRRR 1035.4 1036.0
11 Palmitoleic acid-RRRRRRRRR 1660.1 1661.0
12 Palmitoleic acid-KKKKK 895.3 896.0
13 Palmitoleic acid-KKKKKKKKK 1408.0 1409.0






13





1 Elaidic acid-AAPV





N-term





620.9 621.2
2 Elaidic acid-GHK 604.8 605.2
3 Elaidic acid-KTTKS 828.1 829.0
4 Elaidic acid-EEMQRR 1112.4 1113.2
5 Elaidic acid-KKK 667.0 667.9
6 Elaidic acid-LLWIALRKK 1404.9 1405.3
7 Elaidic acid-GPO 550.8 551.3
8 Elaidic acid-llwialrkk 1404.9 1405.4
9 Elaidic acid-RRR 751.0 752.0
10 Elaidic acid-RRRRR 1063.2 1064.1
11 Elaidic acid-RRRRRRRRR 1668.2 1689.4
12 Elaidic acid-KKKKK 923.3 925.0
13 Elaidic acid-KKKKKKKKK 1436.0 1437.2






14

1 Petroselinic acid-AAPV





N-term
620.9 621.7
2 Petroselinic acid-GHK 604.8 605.9
3 Petroselinic acid-KTTKS 828.1 823.8
4 Petroselinic acid-EEMQRR 1112.4 1113.3
5 Petroselinic acid-KKK 667.0 337.9
6 Petroselinic acid-LLWIALRKK 1404.9 1405.2
7 Petroselinic acid-GPO 550.9 551.6
8 Petroselinic acid-llwialrkk 1404.9 1405.3
9 Petroselinic acid-RRR 751.0 752.0
10 Petroselinic acid-RRRRR 1063.4 1064.2
11 Petroselinic acid-RRRRRRRRR 1688.2 1689.0
12 Petroselinic acid-KKKKK 823.3 924.1
13 Petroselinic acid-KKKKKKKKK 1436.0 1437.3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15





1 Vaccenic acid-AAPV





N-term





620.9 621.1
2 Vaccenic acid-GHK 604.8 405.0
3 Vaccenic acid-KTTKS 828.1 829.1
4 Vaccenic acid-EEMQRR 1112.4 1112.7
5 Vaccenic acid-KKK 667.0 667.8
6 Vaccenic acid-LLWIALRKK 1404.9 1405.2
7 Vaccenic acid-GPO 550.8 551.4
8 Vaccenic acid-llwialrkk 1404.9 1405.6
9 Vaccenic acid-RRR 751.0 752.2
10 Vaccenic acid-RRRRR 1063.4 1064.1
11 Vaccenic acid-RRRRRRRRR 1688.2 1689.7
12 Vaccenic acid-KKKKK 923.3 923.9
13 Vaccenic acid-KKKKKKKKK 1436.0 1437.2






16





1 Gondoic acid-AAPV





N-term





648.9 649.2
2 Gondoic acid-GHK 632.9 633.8
3 Gondoic acid-KTTKS 856.2 857.3
4 Gondoic acid-EEMQRR 1140.5 1140.9
5 Gondoic acid-KKK 695.0 496.0
6 Gondoic acid-LLWIALRKK 1433.0 1433.8
7 Gondoic acid-GPO 578.8 579.3
8 Gondoic acid-llwialrkk 1433.0 1434.2
9 Gondoic acid-RRR 779.1 780.0
10 Gondoic acid-RRRRR 1091.5 1092.7
11 Gondoic acid-RRRRRRRRR 1716.2 1717.8
12 Gondoic acid-KKKKK 951.4 952.6
13 Gondoic acid-KKKKKKKKK 1464.1 1465.2






17





1 Erucic acid-AAPV





N-term





677.0 677.9
2 Erucic acid-GHK 661.0 662.1
3 Erucic acid-KTTKS 884.2 885.3
4 Erucic acid-EEMQRR 1168.5 1169.2
5 Erucic acid-KKK 723.1 724.1
6 Erucic acid-LLWIALRKK 1461.0 1462.3
7 Erucic acid-GPO 606.9 607.2
8 Erucic acid-llwialrkk 1461.0 1461.7
9 Erucic acid-RRR 807.1 807.6
10 Erucic acid-RRRRR 1119.5 1120.4
11 Erucic acid-RRRRRRRRR 1744.3 1744.8
12 Erucic acid-KKKKK 979.5 980.4
13 Erucic acid-KKKKKKKKK 1492.1 1493.2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18





1 Nervonic acid-AAPV





N-term





705.0 705.9
2 Nervonic acid-GHK 689.0 689.6
3 Nervonic acid-KTTKS 912.3 912.7
4 Nervonic acid-EEMQRR 1196.6 1197.5
5 Nervonic acid-KKK 751.2 752.3
6 Nervonic acid-LLWIALRKK 1489.1 1490.1
7 Nervonic acid-GPO 635.0 636.2
8 Nervonic acid-llwialrkk 1489.1 1490.8
9 Nervonic acid-RRR 835.2 836.2
10 Nervonic acid-RRRRR 1147.6 1148.2
11 Nervonic acid-RRRRRRRRR 1772.3 1774.1
12 Nervonic acid-KKKKK 1007.5 1009.2
13 Nervonic acid-KKKKKKKKK 1520.2 1520.9






19





1 cis-Linolenic acid-AAPV





N-term





618.9 619.2
2 cis-Linolenic acid-GHK 602.8 603.2
3 cis-Linolenic acid-KTTKS 826.1 827.2
4 cis-Linolenic acid-EEMQRR 1110.4 1110.8
5 cis-Linolenic acid-KKK 665.0 66.0
6 cis-Linolenic acid-LLWIALRKK 1402.9 1403.4
7 cis-Linolenic acid-GPO 548.8 549.5
8 cis-Linolenic acid-llwialrkk 1402.9 1403.7
9 cis-Linolenic acid-RRR 749.0 750.2
10 cis-Linolenic acid-RRRRR 1061.4 1062.5
11 cis-Linolenic acid-RRRRRRRRR 1686.1 1687.1
12 cis-Linolenic acid-KKKKK 921.3 922.3
13 cis-Linolenic acid-KKKKKKKKK 1434.0 1435.5





20





1 Punicic acid-AAPV





N-term





616.9 617.0
2 Punicic acid-GHK 600.8 600.9
3 Punicic acid-KTTKS 824.1 824.4
4 Punicic acid-EEMQRR 1108.4 1109.0
5 Punicic acid-KKK 663.0 664.2
6 Punicic acid-LLWIALRKK 1400.9 1401.3
7 Punicic acid-GPO 546.8 547.4
8 Punicic acid-llwialrkk 1400.9 1401.4
9 Punicic acid-RRR 747.0 747.7
10 Punicic acid-RRRRR 1059.4 1060.3
11 Punicic acid-RRRRRRRRR 1684.1 1685.2
12 Punicic acid-KKKKK 919.3 920.0
13 Punicic acid-KKKKKKKKK 1432.0 1433.4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21





1 Eleostearic acid-AAPV





N-term





616.9 617.7
2 Eleostearic acid-GHK 600.8 601.3
3 Eleostearic acid-KTTKS 824.1 825.4
4 Eleostearic acid-EEMQRR 1108.4 1109.5
5 Eleostearic acid-KKK 663.0 664.0
6 Eleostearic acid-LLWIALRKK 1400.9 1401.0
7 Eleostearic acid-GPO 546.8 547.8
8 Eleostearic acid-llwialrkk 1400.9 1401.3
9 Eleostearic acid-RRR 747.0 748.2
10 Eleostearic acid-RRRRR 1059.4 1060.2
11 Eleostearic acid-RRRRRRRRR 1684.1 1684.9
12 Eleostearic acid-KKKKK 919.3 920.1
13 Eleostearic acid-KKKKKKKKK 1432.0 1433.4






22





1 Docosapentaenoic acid-AAPV





N-term





668.4 669.0
2 Docosapentaenoic acid-GHK 652.4 653.2
3 Docosapentaenoic acid-KTTKS 875.7 876.5
4 Docosapentaenoic acid-EEMQRR 1159.9 1160.6
5 Docosapentaenoic acid-KKK 714.5 715.2
6 Docosapentaenoic acid-LLWIALRKK 1452.5 1453.4
7 Docosapentaenoic acid-GPO 598.3 599.4
8 Docosapentaenoic acid-llwialrkk 1452.5 1453.2
9 Docosapentaenoic acid-RRR 798.6 799.3
10 Docosapentaenoic acid-RRRRR 1111.0 111.8
11 Docosapentaenoic acid-RRRRRRRRR 1735.7 1736.2
12 Docosapentaenoic acid-KKKKK 970.9 971.5
13 Docosapentaenoic acid-KKKKKKKKK 1492.6 1484.2






23





1 Ricinoleic acid-AAPV





N-term





618.9 619.1
2 Ricinoleic acid-GHK 602.8 603.4
3 Ricinoleic acid-KTTKS 826.1 837.0
4 Ricinoleic acid-EEMQRR 1110.4 1110.9
5 Ricinoleic acid-KKK 665.0 665.9
6 Ricinoleic acid-LLWIALRKK 1402.9 1403.4
7 Ricinoleic acid-GPO 548.8 549.3
8 Ricinoleic acid-llwialrkk 1402.9 1403.6
9 Ricinoleic acid-RRR 749.0 749.7
10 Ricinoleic acid-RRRRR 1061.4 1062.2
11 Ricinoleic acid-RRRRRRRRR 1686.1 1687.0
12 Ricinoleic acid-KKKKK 921.3 922.2
13 Ricinoleic acid-KKKKKKKKK 1434.0 1435.0
분자량 확인
구분 복합체 서열 합성 위치
( 펩타이드 기준)
이론
분자량
실측
분자량



24


1 KTTKS-ethylene glycol-Palmitic acid C-term 846.1 846.5
2 KTTKS(Palmitic acid) K (곁사슬) 802.1 802.5
3 KTTK-ethylene glycol-Palmitic acid C-term 759.0 760.1
4 KTTK(Palmitic acid) K (곁사슬) 715.0 716.0
5 RRRRR-ethylene glycol-Palmitic acid C-term
1081.4 1081.9
6 KKKKK-ethylene glycol-Palmitic acid 1019.4 1020.3
7 KKKKK(Palmtic acid) K (곁사슬) 959.4 960.0



25


1 KTTKS-ethylene glycol-Capric acid C-term 762.0 762.8
2 KTTKS(Capric acid) K (곁사슬) 717.9 717.9
3 KTTK-ethylene glycol-Capric acid C-term 674.9 675.4
4 KTTK(Capric acid) K (곁사슬) 630.8 631.1
5 RRRRR-ethylene glycol-Capric acid C-term
997.3 997.9
6 KKKKK-ethylene glycol-Capric acid 857.2 858.0
7 KKKKK(Capric acid) K (곁사슬) 813.1 813.9
실시예 3. HaCaT 세포에서 초미세먼지의 세포 독성 분석
지방산-아미노산 복합체 및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30) 복합체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수가 2×104 개/㎖이 되도록 DMEM(10% FBS) 배지에 희석하고 96-웰 배양용기에 100 ㎕씩 분주한 후 세포가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할 때까지 16~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각 복합체 물질을 DMEM 배지로 10 μM 농도로 희석하여 100 ㎕씩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다시 배지를 제거하였다. DMEM 배지에 MTT(5 mg/㎖ in PBS) 시약을 10배 희석한 용액을 100 ㎕씩 분주하고 3~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TT 시약을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 ㎕씩 분주하여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흡광도(540 nm) 측정을 통해 DMEM 배지 처리군, 0.2% DMSO/DMEM 처리군(음성대조군), 10% DMSO/DMEM 처리군(양성 대조군) 및 상기 표 4 내지 표 10에 개시된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와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를 처리한 군의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포 생존율이 100%인 음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복합체가 처리된 군의 세포 생존율은 100±4%로 음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고, 세포 독성에 대한 양성 대조군은 세포 생존율이 8~25%인 것을 확인하였다(보유결과 미제시).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초미세먼지에 대한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와 지방산 복합체의 세포 보호 효과( HaCaT 세포)
지방산-아미노산 복합체 및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30) 복합체가 초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세포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간피부 유래 각질세포(HaCaT cell)에 초미세먼지(디젤 배기 입자, Diesel exhaust particles, DEP) 및 복합체를 처리하여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독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DEP(지름 2.5㎛ 이하인 미세먼지, PM2.5)는 국립환경과학원(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Japan)으로부터 구입한 것으로, 4JB1형 2740 cc 4기통 직접 분사식 디젤 엔진(Isuzu Automobile Co., Japan)을 1500 rpm 부하 조건 및 10 토크(10 kg/ml) 조건으로 작동하여 유리 섬유 필터에 의해 수집되었다.
세포수가 2×104 개/㎖이 되도록 DMEM(10% FBS) 배지에 희석하고 96-웰 배양용기에 100 ㎕씩 분주한 후 세포가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할 때까지 16~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에 10 μM의 복합체 및 50 ㎍/㎖ 농도의 초미세먼지가 담긴 용액을 각각 100 ㎕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다시 배지를 제거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만 단독 처리한 군에 비해 초미세먼지 및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와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를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 세포 생존율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도 5 내지 도 15),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가 초미세먼지를 응집시켜 피부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A549 세포에서 초미세먼지의 세포 독성 분석
인간 폐암상피세포주(A549)에 초미세먼지를 처리한 후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독성을 분석하였다. MTT 분석법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배양된 A549 세포에 50, 60, 70, 80, 90, 100, 110, 120 및 200 ㎍/㎖ 농도의 초미세먼지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고, 특히 최고농도인 200 ㎍/㎖ 미세먼지 처리군에서는 약 20%의 세포만이 생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6).
실시예 6. 초미세먼지에 대한 펩타이드와 지방산 복합체의 세포 보호 효과 분석(A549 세포)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 곁사슬에 포화지방산 결합) 복합체가 초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독성을 분석하였다. MTT 분석법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만 단독 처리한 군(약 40%)에 비해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처리한 군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C6의 포화지방산을 제외한 나머지 C8~16의 포화지방산이 결합된 펩타이드 복합체에서 세포 생존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카프릭산(Capric acid, C10)과 결합된 복합체(P4, P11, P18, P25)는 7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초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독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17).
실시예 7. 은 염색(silver staining)법을 이용한 지방산- 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와 초미세먼지의 응집 효과 분석
20% SDS-PAGE 겔에 초미세먼지와 지방산-올리고 펩타이드 복합체 P11(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의 곁사슬에 카프릭산 결합)를 동시에 처리하고 은 염색법을 통해 초미세먼지와 응집되지 않은 복합체의 양을 확인하였다.
DMEM 배지에 100 ㎍/㎖ 농도의 초미세먼지를 단독, 또는 초미세먼지와 10, 50, 100 μM 농도의 P11 복합체를 동시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원심력 10,000 xg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샘플을 준비하였다. 이후 20% SDS-PAGE 겔에 상등액 15 ㎕를 로딩하고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은 염색 과정은 엘피스 바이오텍의 키트(PeptiGel™, ELPISBIOTECH, EBA-1053)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겔을 30% 에탄올과 10% 아세트산을 혼합한 용액에 1시간 동안 반응시켜 고정화시키고, 증류수로 2번 세척하였다. 이후 용액 A에 1분간 담갔다가 증류수로 2번 세척하고, 다시 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된 용액 B에 20~30분간 겔을 담가 두었다. 마지막으로 겔을 증류수로 1분간 2번 세척한 후 용액 C에 담아 밴드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린 후 고정액을 사용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와 복합체 P11을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는 복합체 P11 단독 처리군에 비해 밴드 세기가 다소 감소하였고, 이는 초미세먼지와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가 응집되어 상등액에 남아있던 펩타이드 양이 감소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도 18).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는 초미세먼지와 응집됨으로써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마스크의 미세먼지 입자 투과량 비교를 이용한 지방산- 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의 분진 포집 (입자 제거) 효율 분석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가 이동하는 초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마스크의 필터 효율을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진 포집(입자제거) 효율을 분석하였고, 분진 포집 효율의 평가 방법 및 계산식은 하기 표 24와 같다.
분진 포집(입자제거) 효율 평가 및 계산식
1) 마스크 필터 교체
2) 유량조절 : 19.4 LPM, 0.6 LPM으로 flow 조절
3) CPC와 연결한 뒤 flow meter로 유량 체크 후 조절
4) 유량 조절 후 DMA와 연결하여 leak test(blank) -> CPC 0값 확인
-> sheath 6.0l pm / particle diameter 0nm -> sheath(6) : CPC(0.6) = 10 : 1
5) DMA 50,100,200,300 nm로 변경하여 down-stream kPa 값과 CPC 값 체크
6) 마스크 입자 제거(분진 포집) 효율 평가 계산식
* 마스크 입자 제거(분진 포집) 효율 efficiency(%)=(1-down/up)*100
* pressure drop(kPa) = down 값 확인
일반 마스크(HIP's)와 미세먼지 마스크(KF84)에 공기 중의 50-300 nm 크기의 미세먼지 입자 투과량을 전·후로 정량하여 마스크 입자 제거 효율(%)을 측정한 결과, 미세먼지 마스크는 50~300 nm 크기의 미세먼지 입자에 대하여 약 89~100%의 입자 제거(분진 포집) 효율이 있는 반면, 일반 마스크는 50~300 nm 크기의 미세먼지 입자에 대하여 약 39-57%의 입자 제거 효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9).
또한, 일반 마스크에 증류수 또는 지방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 250 ppm 용액(증류수 희석)을 각각 1회 분사한 후, 공기 중의 50~300 nm 크기의 미세먼지 입자 투과량을 전·후로 정량하여 마스크 입자 제거(분진 포집) 효율(%)을 측정한 결과, 아무것도 분사하지 않은 일반 마스크와 증류수를 분사한 일반 마스크에서는 분집 포집 효율이 유사하였고, 아무것도 분사하지 않은 일반 마스크에 비해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Palmitic acid-KTTKS, Palmitic acid-RRRRR, Palmitic acid-KKKKK, Capric acid-RRRRR, Capric acid-RRRRRRRRR) 용액을 처리한 마스크에서 분진 포집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미세먼지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입자 제거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0 및 도 21).
<110> ANYGEN CO., LTD.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eliminating or adsorbing particulate matter comprising peptide complex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9194 <160> 3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 Ala Ala Pro Val 1 <210> 2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 Ala Ala Pro 1 <210> 3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3 Ala Ala 1 <210> 4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4 Gly His Lys 1 <210> 5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5 Gly His 1 <210> 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6 Lys Thr Thr Lys Ser 1 5 <210> 7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7 Lys Thr Thr Lys 1 <210> 8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8 Lys Thr Thr 1 <210> 9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9 Lys Thr 1 <210> 1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0 Glu Glu Met Gln Arg Arg 1 5 <210> 1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1 Glu Glu Met Gln Arg 1 5 <210> 12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2 Glu Glu Met Gln 1 <210> 13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3 Glu Glu Met 1 <210> 14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4 Glu Glu 1 <210> 1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5 Lys Lys Lys Lys Lys Lys Lys Lys Lys 1 5 <210> 1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6 Lys Lys Lys Lys Lys 1 5 <210> 17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7 Lys Lys Lys 1 <210> 18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8 Lys Lys 1 <210> 19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9 Gly Pro 1 <210> 20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0 Gly Pro 1 <210> 2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1 Gly Gln Pro Arg 1 <210> 22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2 Gly Gln Pro 1 <210> 23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3 Gly Gln 1 <210> 2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4 Thr Thr Lys Ser 1 <210> 2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5 Thr Lys Ser 1 <210> 26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6 Thr Lys 1 <210> 2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7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28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8 Arg Arg Arg Arg Arg 1 5 <210> 29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9 Arg Arg Arg 1 <210> 3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30 Leu Leu Trp Ile Ala Leu Arg Lys Lys 1 5

Claims (5)

  1. 아미노산; 또는 올리고펩타이드의 N 말단, C 말단 또는 곁사슬;에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30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은 카프로산(Caproic acid, C6:0), 카프릴산(Caprylic acid, C8:0),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C9:0), 카프릭산(Capric acid, C10:0), 운데실산(Undecylic acid, C11:0), 라우르산(Lauric acid, C12:0),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C14:0), 펜타데실산(Pentadecylic acid, C15:0),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마르가르산(Margaric acid, C17: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노나데실산(Nonadecylic acid, C19:0), 아라킨산(Arachidic acid, C20:0), 헤네이코실산(Heneicosylic acid, C21:0), 베헨산(Behenic acid, C22:0), 트라이코실산(Tricosylic acid. C23:0),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 C24:0), 펜타코실산(Pentacosylic acid, C25:0), 세로트산(Cerotic acid, C26:0), 헵타코실산(Heptacosylic acid, C27:0), 몬탄산(Montanic acid, C28:0), 노나코실산(Nonacosylic acid, C29:0), 멜리스산(Melissic acid, C30:0), 헤나트라이아콘틸산(Henatriacontylic acid, C31:0), 락세로산(Lacceroic acid, C32:0), 프실산(Psyllic acid, C33:0), 게드산(Geddic acid, C34:0), 세로플라스트산(Ceroplastic acid, C35:0) 및 헥사트라이아콘틸산(Hexatriacontylic acid, C36: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 올레산(Oleic acid, C18:1), 엘라이드산(Elaidic acid, C18:1), 페트로셀린산(Petroselinic acid, C18:1), 바크센산(Vaccenic acid, C18:1), 곤도산(Gondoic acid, C20:1), 에루크산(Erucic acid, C22:1), 네르본산(Nervonic acid, C24:1),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 시스-리놀렌산(cis-Linolenic acid, C18:3), 푸니크산(Punicic acid, C18:3), 엘레오스테아르산(Eleostearic acid, C18:3), 스테아리돈산(stearidonic acid, C18:4),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C20:4),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C20:5),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C22:5), 아드렌산(Adrenic acid, C22:4),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 및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81627A 2018-07-06 2019-07-05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2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8889 2018-07-06
KR1020180078889 2018-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499A true KR20200005499A (ko) 2020-01-15
KR102282558B1 KR102282558B1 (ko) 2021-07-28

Family

ID=6905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627A KR102282558B1 (ko) 2018-07-06 2019-07-05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73073B2 (ko)
KR (1) KR102282558B1 (ko)
CN (1) CN112367968B (ko)
WO (1) WO20200095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25A (ko) * 2020-06-18 2021-12-28 애니젠 주식회사 유기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78053B1 (ko) * 2020-12-24 2022-03-25 주식회사 조에바이오 유해물질 및 광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22016500A2 (pt) * 2022-08-18 2024-02-27 Universidade Estadual De Campinas Processo de obtenção de composições à base de compostos multifuncionais, composições à base de compostos multifuncionais assim obtidas e seu us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29B1 (ko) * 2005-12-26 2007-03-28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지방산이 결합된 피부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20120105450A (ko) * 2009-10-23 2012-09-25 비씨엔 펩티드즈, 에스.에이. 피부, 점막 및/또는 모발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사용되는 펩티드 및 화장품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
KR101715599B1 (ko) * 2016-10-04 2017-03-13 (주)셀트리온 지방산이 결합된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9959A (ko) * 2016-08-17 2018-02-27 (주)진셀팜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19975A (ko) * 2016-08-17 2018-02-27 (주)진셀팜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0570B1 (en) * 1996-02-15 2002-05-22 MERCK PATENT GmbH Cholesteric flakes
AU2002333155A1 (en) * 2001-10-30 2003-05-12 Pentapharm Ag Dermopharmaceutically and cosmetically active oligopeptides
CN101991513B (zh) * 2009-08-12 2013-06-12 陈励 用于个人护理的化妆品和药品的生产原料
ES2397890B1 (es) * 2011-03-25 2014-02-07 Lipotec, S.A. Péptidos útiles en el tratamiento y/o cuidado de la piel y/o mucosas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o farmacéuticas.
JP6382111B2 (ja) * 2012-03-01 2018-08-29 ノヴォ ノルディスク アー/エス N末端改変オリゴ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KR101437237B1 (ko) * 2012-12-10 2014-10-30 미원상사주식회사 피부노화 방지용 테트라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2382B1 (ko) * 2013-02-27 2016-05-19 (주)내츄럴엔도텍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그의 용도
JP2016088929A (ja) 2014-10-30 2016-05-23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汚染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汚染防止用化粧料又は汚染防止用皮膚外用剤
FR3029782B1 (fr) * 2014-12-16 2019-06-07 Sederma Composes peptidiqu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KR101723941B1 (ko) * 2016-02-26 2017-04-06 (주)진셀팜 산호수 및 벵갈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6718728B2 (ja) 2016-04-06 2020-07-0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剤および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用皮膚外用組成物
KR101809209B1 (ko) * 2016-05-31 2017-12-15 주식회사 올리패스코스메슈티컬즈 두피의 건강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0313B1 (ko) * 2016-08-18 2018-04-20 (주)진셀팜 국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6913B1 (ko) * 2017-02-24 2017-10-17 주식회사 삼양사 피부개선물질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29B1 (ko) * 2005-12-26 2007-03-28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지방산이 결합된 피부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20120105450A (ko) * 2009-10-23 2012-09-25 비씨엔 펩티드즈, 에스.에이. 피부, 점막 및/또는 모발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사용되는 펩티드 및 화장품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
KR20180019959A (ko) * 2016-08-17 2018-02-27 (주)진셀팜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19975A (ko) * 2016-08-17 2018-02-27 (주)진셀팜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715599B1 (ko) * 2016-10-04 2017-03-13 (주)셀트리온 지방산이 결합된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SC Advance (2018), 8, pp.5953-595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25A (ko) * 2020-06-18 2021-12-28 애니젠 주식회사 유기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78053B1 (ko) * 2020-12-24 2022-03-25 주식회사 조에바이오 유해물질 및 광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WO2022139558A1 (en) * 2020-12-24 2022-06-30 Zoe Bio Inc.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skin against harmful substance, light and st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1247A (ja) 2021-11-18
KR102282558B1 (ko) 2021-07-28
CN112367968A (zh) 2021-02-12
WO2020009548A1 (ko) 2020-01-09
JP7273073B2 (ja) 2023-05-12
CN112367968B (zh)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68136B2 (en)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KR102282558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또는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AU2016366220B2 (en) Compounds useful in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CN105408345B (zh) 用于治疗和/或护理皮肤的化合物及其化妆品或药物组合物
JP6522509B2 (ja) 皮膚、毛髪および/または粘膜の処置および/またはケアにおいて有用な化合物ならびにそれらの化粧品組成物または医薬組成物
CA2660183C (en) Peptides having pharmacological activity for treating disorders associated with altered cell migration, such as cancer
KR20140090657A (ko) 활성화된 수용체를 억제하는 펩티드 및 미용적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Ahn et al. Discovery of novel histidine-derived lipo-amino acids: applied in the synthesis of ultra-short antimicrobial peptidomimetics having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salt resistance and protease stability
JP2015514721A (ja) ニューロンの開口分泌を阻害する化合物(iii)
CN107857797A (zh) 一种类蛇毒三肽的液相片段合成方法
CN116829169A (zh) 一种合成肽以及它们的美容组合物或药用组合物及用途
FI92708B (fi) Menetelmä uuden lääkeaineena käyttökelpoisen polypeptidin valmistamiseksi
JPH02500517A (ja) ペプチド化合物
JP2005502663A (ja) マガイニン誘導体
JP4897969B2 (ja) アルファ−mshの拮抗複合ジペプチド
Kronina et al. Characterisation by immobilised metal ion affinity chromatographic procedures of the binding behaviour of several synthetic peptides designed to have high affinity for Cu (II) ions
HRP960117A2 (en) Bicyclic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N117126244A (zh) 一种固相片段缩合制备自组装肽rada16的方法
AU671118B2 (en) Tachykinin antagonist tricyclic compounds, preparation of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
CN113402595B (zh) 一种源于中国鲎抗菌肽的抗氧化多肽、其制备及其应用
JP2798711B2 (ja) ポリペプチド系抗ウィルス剤
KR20240124164A (ko) 면역증강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이의 용도
JPH10182479A (ja) ペプチド誘導体類からなる薬剤
Kim Biological Activity of Multifunctional Oligopeptide Derivatives
JPH08176190A (ja) ペプチド誘導体と、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