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01850A -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50A
KR20200001850A KR1020180074884A KR20180074884A KR20200001850A KR 20200001850 A KR20200001850 A KR 20200001850A KR 1020180074884 A KR1020180074884 A KR 1020180074884A KR 20180074884 A KR20180074884 A KR 20180074884A KR 20200001850 A KR20200001850 A KR 20200001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air
vehicle
connecting arm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673B1 (ko
Inventor
박성욱
민옥렬
소원섭
조용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작동 메커니즘 및 구조를 적용한 액티브 에어 스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Active air skirt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작동 메커니즘 및 구조를 적용한 액티브 에어 스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주행 시 차체가 대기 중의 공기와 충돌하게 됨으로써 공기 저항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의 공기 저항력은 크게 항력과 양력으로 나뉜다.
항력이란 주행 중에 공기와 직접 충돌되는 차체가 주행의 반대방향으로 받는 저항력을 말하고, 양력이란 주행 중의 차체 상부와 하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이로 차체가 뜨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차량에는 항력과 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공력성능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개선하기 위한 부착물이 필요하다.
공력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의 일예로서 차속에 연동해서 능동적으로 작동하는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가 있는데,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는 고속 주행 시 프런트 범퍼를 통해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줄임으로써 양력을 저감시키고 이를 통해 공력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의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는, 부품수가 과다하고, 조립 구조 복잡하여 조립성 및 양산성 확보가 불가하며, 조립 및 작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과다하여 강건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부품수를 축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가 요구되는 바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14252호 (발명의 명칭: 차량용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추에이터와 스커트 간 직결 구조를 적용하여, 부품수를 축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는 차량의 프런트 범퍼의 배면 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스커트 하우징; 상기 프런트 범퍼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상하 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에어 스커트; 상기 에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을 위해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 스커트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에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에어 스커트와 연동되어 상하 운동하도록, 상기 에어 스커트에 결합되는 연결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스커트는, 상방 운동 시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수납되고, 하방 운동 시 상기 프런트 범퍼의 아래로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차량의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어퍼 스커트; 및 상방 운동 시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수납되고, 하방 운동 시 상기 어퍼 스커트의 아래로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차량의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감소시키는 로어 스커트;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암은,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측은 양갈래로 나뉘어 상기 어퍼 스커트의 연동 레일에 결합되는 어퍼 스커트 연결암과 상기 로어 스커트의 연동 레일에 결합되는 로어 스커트 연결암으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연동 레일은,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암의 회전 운동이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 하우징은, 상기 어퍼 스커트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어퍼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로어 스커트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 가이드 레일을 마련하여, 상기 연결암의 회전 운동이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로어 스커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로어 스커트의 상하 직선 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수직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스커트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가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로어 스커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가이드홀이 수직하는 2개의 홀을 형성하여 좌우 양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로어 스커트는,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양측의 가이드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두 지점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양 끝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연동 레일은, 지면과 평행한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와 스커트 간 직결 구조를 적용하여, 부품수를 축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면에서의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의 공력 성능 향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의 연결암의 회전에 따른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배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면에서의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의 공력 성능 향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의 연결암의 회전에 따른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배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는 액추에이터(200)와 스커트 간 직결 구조를 적용하여, 부품수를 축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마련된다.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는 스커트 하우징(100), 액추에이터(200),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커트 하우징(100)은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스커트 하우징(100)은 아래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1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퍼 스커트(300) 또는 로어 스커트(400)는 내부 공간(110)에 수용되는 수납 상태가 되거나, 아래 방향으로 노출되는 전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액추에이터(200)의 구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00)에 관하여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스커트 하우징(100)은 차량의 프런트 범퍼(F)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프런트 범퍼(F)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200)의 제어에 의한 전개 상태에서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만이 차량의 정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스커트 하우징(100)은 어퍼 가이드 레일(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레일(120)은 어퍼 스커트(300)가 상하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어퍼 가이드 레일(120)은 수직하는 경로의 레일을 마련하고, 어퍼 스커트(300)의 가이드 부재(320)가 결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이다.
액추에이터(200)는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가 격납 상태가 되거나 전개 상태가 되도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200)는 스커트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00)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일측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연결암(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암(210)을 통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와 직접 연결된다.
연결암(210)은 액추에이터(200)와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를 연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연결암(210)은 일측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이 어퍼 스커트 연결암(211)과 로어 스커트 연결암(212)로 나뉘어 구분될 수 있다.
즉, 연결암(210)은 회전 중심이 되는 일측의 반대측이 양갈래로 나뉘어, 하나의 끝단이 어퍼 스커트(30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끝단이 로어 스커트(40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스커트 연결암(211)은 어퍼 연동 레일(310)에 연결되고, 로어 스커트 연결암(212)은 로어 연동 레일(41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액추에이터(200)를 통해 다단의 스커트를 동시에 연결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어퍼 연동 레일(310)과 로어 연동 레일(410)은,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여,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200)의 구동모터가 동작하면, 연결암(210)은 회전하게 되고, 어퍼 스커트 연결암(211)의 끝단이, 수평하게 마련되는 어퍼 연동 레일(310) 상에 슬라이드 되면,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어퍼 스커트(3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어퍼 스커트 연결암(211)과 비교하여 보다 큰 회전 반경을 갖는 로어 스커트 연결암(212)의 끝단이, 수평하게 마련되는 로어 연동 레일(410) 상에 슬라이드 되어,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어퍼 스커트(300)와 비교하여 보다 빠른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로어 스커트(400)는 어퍼 스커트(300)의 아래로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액추에이터(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반대로, 액추에이터(20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가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하여 스커트 하우징(100)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별도의 케이블이나, 스프링 및 실린더를 구성으로 하지 않고도, 연결암(210)을 통해 액추에이터(200)와 스커트 간 직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의(400)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는 수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수납 상태로부터 연결암(210)이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가 전개 상태가 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c)는 연결암(210)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가 풀 전개 상태가 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200)가 연결암(21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면, 스커트의 전개 정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를 들면, 차량의 정차된 상태 또는 70km/h 미만의 저속주행 상태에서는 어퍼 스커트(300)와 로어 스커트(400)가 모두 스커트 하우징(100)속으로 수용된 격납 상태를 유지하고, 70km/h 이상 90km/h 미만의 중속주행 상태에서는 45도 회전하여, 어퍼 스커트(300)와 로어 스커트(400)의 일부가 전개되어 노출되도록 하며, 90km/h 이상의 고속주행 상태에서는 어퍼 스커트(300)와 로어 스커트(400)가 모두 프런트 범퍼(F)의 아래로 모두 노출된 풀 전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속에 따라 차량의 공력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어퍼 스커트(300)는 차량의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켜 공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어퍼 스커트(300)는 프런트 범퍼(F)의 아래로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스커트(300)는 수용 상태에서 스커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동작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범퍼(F)의 아래 측으로 노출되는 전개 상태가 되어,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퍼 스커트(300)는 어퍼 연동 레일(310), 어퍼 가이드 부재(320), 로어 가이드 레일(330) 및 가이드홀(3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퍼 연동 레일(3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여,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어퍼 스커트(3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어퍼 연동 레일(3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할 수 있고, 어퍼 스커트 연결암(211)의 끝단이 어퍼 연동 레일(310) 상에 슬라이드 됨으로써,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어퍼 스커트(3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어퍼 가이드 레일(120)과 어퍼 가이드 부재(32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여기서 어퍼 가이드 부재(320)는 어퍼 스커트(30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된다. 어퍼 가이드 부재(320)는 어퍼 가이드 레일(120)에 결합되어 어퍼 가이드 레일(120)의 경로에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 가이드 레일(120)은 수직하여 마련되므로, 어퍼 스커트(300)는 연결암(210)과 어퍼 연동 레일(310)에 의한 상하 운동이 수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로어 가이드 레일(330)은 로어 스커트(40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퍼 가이드 레일(120)과 마찬가지로, 로어 스커트(400) 내측으로 수직하는 경로가 마련되어, 로어 가이드 부재(420)가 결합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구조이다.
로어 가이드 레일(330)을 통해, 로어 스커트(400)는 어퍼 스커트(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홀(340)은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가 전개되는 경우, 보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홀(340)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스커트(300)의 일면이 관통되어 수직하는 구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어퍼 스커트(300)의 일면에 2개의 수직한 홀을 형성하여, 좌우 양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홀(340)에는 로어 스커트(400)의 끼움부재가 끼워질 수 있고, 브래킷(430)에 의해 결합되면, 로어 스커트(400)가 가이드홀(340)의 경로를 따라, 상하운동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로어 스커트(400)의 끼움부재는 가이드홀(340)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두 지점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양 끝단이 가이드홀(340)을 통과하여 하나의 브래킷(4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퍼 스커트(300)는 로어 가이드 레일(330)에 더하여, 가이드홀(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로어 스커트(400)가 상하 수직하여 전개될 수 있다.
로어 스커트(400)는 차량의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감소시켜 공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로어 스커트(400)는 어퍼 스커트(300)의 아래로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스커트(400)는 아래로 개방된 형상의 어퍼 스커트(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어퍼 스커트(300)와 함께 스커트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수용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스커트(400) 또한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스커트(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로어 스커트(400) 또한 어퍼 스커트(300)의 아래 측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가 되어,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어퍼 스커트(300)의 아래 측으로 노출되어 스커트를 연장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어퍼 스커트(300)만이 전개될 때와 비교하여 보다 더 공기의 양을 감소시켜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를 동시에 연결하여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로어 스커트(400)는 로어 연동 레일(410), 로어 가이드 부재(420) 및 브래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연동 레일(410)은 어퍼 연동 레일(310)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여,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로어 스커트(4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로어 연동 레일(4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할 수 있고, 로어 스커트 연결암(212)의 끝단이 로어 연동 레일(410)상에 슬라이드 됨으로써, 연결암(210)의 회전 운동이, 로어 스커트(4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 부재(420)는 로어 스커트(40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다 위해 마련된다. 로어 가이드 부재(420)는 로어 가이드 레일(330)에 결합되어 로어 가이드 레일(330)의 경로에 슬라이드될 수 있다.
브래킷(4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가 전개되는 경우, 보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를 위해, 브래킷(430)은 가이드홀(340)에 끼워지는 로어 스커트(300)의 끼움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브래킷(430)은, 어퍼 스커트(300)와 로어 스커트(400)가 서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어퍼 스커트(300)와 로어 스커트(4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액티브 에어스커트는 액추에이터(200)와 어퍼 스커트(300) 및 로어 스커트(400)를 동시에 직접 연결하여 부품을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강건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스커트 하우징
110: 내부 공간 120: 어퍼 가이드 레일
200: 액추에이터 210: 연결암
211: 어퍼 스커트 연결암 212: 로어 스커트 연결암
300: 어퍼 스커트 310: 어퍼 연동 레일
320: 어퍼 가이드 부재 330: 로어 가이드 레일
340: 가이드홀 400: 로어 스커트
410: 로어 연동 레일 420: 로어 가이드 부재
430: 브래킷 F: 프런트 범퍼

Claims (8)

  1. 차량의 프런트 범퍼의 배면 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스커트 하우징;
    상기 프런트 범퍼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상하 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에어 스커트;
    상기 에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을 위해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 스커트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에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에어 스커트와 연동되어 상하 운동하도록, 상기 에어 스커트에 결합되는 연결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커트는,
    상방 운동 시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수납되고, 하방 운동 시 상기 프런트 범퍼의 아래로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차량의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어퍼 스커트; 및
    상방 운동 시 상기 스커트 하우징에 수납되고, 하방 운동 시 상기 어퍼 스커트의 아래로 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차량의 언더바디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감소시키는 로어 스커트;
    로 구성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은,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측은 양갈래로 나뉘어 상기 어퍼 스커트의 연동 레일에 결합되는 어퍼 스커트 연결암과 상기 로어 스커트의 연동 레일에 결합되는 로어 스커트 연결암으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연동 레일은,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암의 회전 운동이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하우징은, 상기 어퍼 스커트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어퍼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로어 스커트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 가이드 레일을 마련하여,
    상기 연결암의 회전 운동이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로어 스커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로어 스커트의 상하 직선 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수직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스커트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가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로어 스커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커트는, 상기 가이드홀이 수직하는 2개의 홀을 형성하여 좌우 양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로어 스커트는,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양측의 가이드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두 지점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양 끝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커트 및 상기 로어 스커트의 연동 레일은, 지면과 평행한 슬라이드 경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KR1020180074884A 2018-06-28 2018-06-28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KR10249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84A KR102496673B1 (ko) 2018-06-28 2018-06-28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84A KR102496673B1 (ko) 2018-06-28 2018-06-28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50A true KR20200001850A (ko) 2020-01-07
KR102496673B1 KR102496673B1 (ko) 2023-02-07

Family

ID=6915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84A KR102496673B1 (ko) 2018-06-28 2018-06-28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6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252B1 (ko) 2015-10-30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
KR20170067565A (ko) * 2015-12-08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댐 및 그 제어 방법
JP6247972B2 (ja) * 2014-03-20 2017-12-13 株式会社Subaru 車両の可動部材連動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7972B2 (ja) * 2014-03-20 2017-12-13 株式会社Subaru 車両の可動部材連動機構
KR101714252B1 (ko) 2015-10-30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
KR20170067565A (ko) * 2015-12-08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댐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673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5875B (zh) 轨道车辆和用于轨道车辆的导向轮装置
KR101714252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
KR101756031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가변 스포일러 시스템
CN111717304A (zh) 行走机构及机器人
JP2009220689A (ja) アンダカバー構造
RU2391243C1 (ru) Область задней части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CN103089887B (zh) 可转向油气弹簧
KR101747227B1 (ko) 수륙양용 차량의 후방 플랩 시스템
KR20200001850A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 스커트
JP2021041920A (ja) リアスポイラーの空気力学的効率を高めるためにリアスポイラー及び空力要素を備える車
US20210269102A1 (en) Active aerodynamics liftgate spoiler design with multi 4 bar kinematic linkages
US20240227954A9 (en) Active air skirt apparatus
CN112440635A (zh) 一种两栖轮式车用水上减阻装置
KR20220104463A (ko) 현가 시스템
CN115416744B (zh) 转向管柱及车辆
CN1151366A (zh) 一种车辆节流阀的无线控制系统
CN210257958U (zh) 汽车顶盖的顶升结构以及车辆
JP2007252114A (ja) 集電装置の揚力制御構造
KR101423730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CN210437283U (zh) 一种旋转式汽车主动扩散器
US20240149957A1 (en) Wheel cover holder for a wheel of a vehicle
JP2007030549A (ja) 車両用可動整流装置
CN110450866B (zh) 一种旋转式汽车主动扩散器
CN206733947U (zh) 一体式飞行升力组合车轮
CN219635346U (zh) 隐藏式多主动后扰流板机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