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01461U -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61U
KR20200001461U KR2020180006024U KR20180006024U KR20200001461U KR 20200001461 U KR20200001461 U KR 20200001461U KR 2020180006024 U KR2020180006024 U KR 2020180006024U KR 20180006024 U KR20180006024 U KR 20180006024U KR 20200001461 U KR20200001461 U KR 202000014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ood
fermentation gas
guide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116Y1 (ko
Inventor
백기현
이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싱싱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싱싱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싱싱캔
Priority to KR2020180006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1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와 모양, 크기, 소재 등으로 형성된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에 관한 고안으로, 발효식품 용기의 설정된 부분에 부착되어 선택적으로 내부 발효가스를 내부에 흡수 또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 환경(기온 등)에 따라 내부 발효가스 배출량이나 배출속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Fermentation food package with deodorizing function}
본 고안은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김치 등 발효식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용기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용기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발효가스(김치 등 발효식품의 자연적인 발효에 따라 발생하는 탄산가스 등의 발효가스를 지칭한다)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통해 발효가스를 효과적으로 발효식품 용기에 포집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에 관한 고안이다.
최근 1인 가구 등의 핵가족화 및 간편식 등의 확대에 따라 김치 등 발효식품의 경우에도 다양한 포장용 용기에 수용되어 제조, 판매되는 상품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김치 등 발효식품의 경우 제조 후 유통과 판매, 매장 전시 등의 과정 중에 자연적으로 발효되고, 이에 따라 포장용기 내부에서 발효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포장용기의 부피 팽창 및 이에 따른 포장용기의 파손, 내용물의 누수 등 상품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포장용기의 설정된 부분에 별도의 발효가스 통풍구나 멤버레인 필터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지만, 기체인 발효가스를 김치 등 발효식품의 내용물에 포함된 액상(김치 액즙 등)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내부의 발효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발효식품의 상품성과 보관, 유통의 편의성 도모에 어려운 문제에 대한 해결은 여전히 요구되어 왔다.
또한 발효식품 용기(포장용기)에 탈취능이 부여된 발효식품 용기의 개발 역시 최근 시도되고 있으나, 발효식품 포장용기와 별도로 새로운 부착물을 붙이는 방식 등이 채용됨에 따라 발효식품의 상품성이나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 등이 새롭게 대두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1085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문제점, 즉 발효식품 용기 내부에 수용된 김치 등 발효식품의 자연 발효에 따라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발효식품 (포장)용기 자체에 탈취 기능을 가지는 성분을 포함하여 일체형(또는 별도의 필름층을 설정된 구역에 부착)으로 제공함으로써,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미감과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효식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내측밀봉판;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는 외측뚜껑부를 포함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상기 본체부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본체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의 제공을 통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달리 발효식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내측밀봉판;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는 외측뚜껑부를 포함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설정된 내측에 발효가스 탈취능을 가지는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필름층은,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필름용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40 내지 100 ㎛ 두께의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외측뚜껑부는, 상기 개방부를 덮어 폐쇄하는 내측 부위에 상기 필름층이 부착 형성되며, 상기 내측밀봉판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내측 부위에 상기 필름층이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측밀봉판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멤버레인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멤버레인 필터는, 상기 멤버레인 필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필터본체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하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발효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상면에 부착 형성되고 발효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된 상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위치하여 발효가스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멤버레인막;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멤버레인막의 상면에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에이막 턱부와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어 형성되는 원에이막; 상기 상부관통구에 삽입 수용되며, 하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최상측과 맞닿아 형성되고, 설정된 위치에 관통된 수용홀이 형성된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발효식품의 발효에 따라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상기 하부관통구로 유입되고, 다시 상기 멤버레인막, 상기 가이드부, 상기 원웨이막 및 상기 수용홀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조절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의 형태로 제공도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내측 표면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수용홈은, 내부에 흡착제 및/또는 흡착제를 내부에 포함한 흡착 캡슐을 수용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된 발효가스를 추가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의 제공을 통한 목적 달성도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본체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가 압축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측으로 좁혀지는 단면을 가지는 다단의 가이드부가 설정된 높이로 상호 적층 되어 형성되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의 상부 단면 폭이 위쪽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2 가이드부의 하부 단면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본체부의 압축 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전체 높이도 함께 낮춰지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발효가스의 신속한 외부 배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도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본체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필터본체부에 제공된 외부 압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필터본체부가 압축 상태에서 해제되어, 원래 형태와 모양으로 복원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본체부의 압축 해제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된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수용 해제되어 원래 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설정된 높이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 역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부는, 단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삽입 수용된 상기 상부관통구로부터 보다 손쉽게 교체 가능하고, 전부 또는 일부가 발효가스 흡착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측으로 배출되는 발효가스를 추가적으로 흡착하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캡부를 교체하여 발효가스 흡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용홀은, 내측에 상기 수용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가스 배출양 및/또는 배출 속도에 따라 색(Color)을 달리하는 발효가스 검침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캡부의 교체 필요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의 제공을 통한 목적 달성 역시 고려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는 탈취능을 가지는 필름이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전면이나 뚜껑 등 설정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포함되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되는 바, 보다 효과적으로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미감과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발효가스 배출 밸브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됨에 따라, 특히 배출 밸브가 용기의 모양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형성된 발효식품 용기에 일부가 삽입(접착, 체결, 고정, 부착 등의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되어,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김치 등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기체인 발효가스 만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발효식품 포장용기의 수명과 유통 및 보관성능,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통해 다양한 형태와 소재, 구성 등으로 제작된(또는 제작될) 발효식품 포장용기에 채택 가능하며, 이를 통해 외부 기온이나 보관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내부의 발효가스 발생량 등 포장용기 내부 상태에 따라 발효가스의 배출량 및 흡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점 및 특징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용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용기의 외측 뚜껑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1은 외측두껑부(13)가 본체부(11)의 상단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 2는 외측두껑부(13)가 본체부(11)의 상단부에서 체결 해제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외부의 유해 인자들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고, 식품을 담는 역할을 하며 소비자에게 영양성분 및 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습도조절, 발생가스조절, 항균 및 탈취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설정된 위치에 포함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잇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본체부(11), 외측뚜껑부(13) 및/또는 내측밀봉판(1) 등의 설정된 부분과 일체형(사출 공정 등)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준비된 필름층을 본체부(11) 등의 설정된 영역에 부착하여 탈취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발효식품 용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본체부(11), 내측밀봉판(1), 및 외측뚜껑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는 발효식품 용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김치 등 발효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은 발효식품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된다. 참고로 도 1 및 조 2에서는 본체부(11)를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는 원통형 용기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단면을 가지거나 높이에 따라(즉, 용기(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단면 기준의 평면 모양이 사각형에서 원형 등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단면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1)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이나 친환경 소재의 다양한 물성을 가지는 소재가 채택될 수도 있다.
내측밀봉판(1)은 본체부(1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방구를 1차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얇은 판을 지칭한다. 내측밀봉판(1)은 본체부(11)의 상부면에 형성된 테두리를 따라 별도의 접착제를 설정된 아래쪽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압력 등에ㄹ 의해 임의 탈락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밀봉판(1)은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김치 등 발효식품의 액체 성분(예: 김치 국물 등)이 임의로 용기(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비침투성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뚜껑부(13)는 본체부(11)의 상부(또는 일측이 될 수 있다) 개방부(개구부)를 추가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뚜껑을 지칭하는 것으로, 용기(10) 사용자 등의 필요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외측뚜껑부(13)는 내측밀봉판(1)과 함께 또는 별개(내측밀봉판(1)을 사용자 등이 뜯어낸 경우 등)로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10)는 본체부(11) 및/또는 외측뚜껑부(13) 등에 필름층(14, 1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필름층(14, 15)은 탈취용 마스터배치(masterbatch)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탈취용 필름을 본체부(11)의 일측 등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제공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탄산수소나트륨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배치 조성물(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배치를 압출 성형(일 예로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로 압출 성형하고, 상기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는 95℃ 내지 200℃로 운전할 수 있다)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본체부(11)의 일측 등 설정된 부위에 추가로 부착하거나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압출 성형되는 본체부(11) 등과 일체로 상기 압출 성형 공정 등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필름층(14, 15)은 탄산수소나트륨이 0.2 중량% 내지 2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필름층(14 및/또는 15)은 탈취능 강화 및/또는 보강을 위해 탄산수소나트륨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킹 소다로 알려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약알칼리성 천연물질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탈취제 중 하나이며, 냄새 분자를 중화시켜 휘발성 물질이나 중독성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아래와 같은 반응을 통하여 김치의 숙성과정중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유기산 성분인 아세트산(acetic acid)과 반응함으로써, 아세트산나트륨,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면서 김치의 신맛이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반응식 1. NaHCO3 + CH3COOH → CH3COONa + H2O + CO2).
또한 탄산수소나트륨을 9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로 열처리할 경우에는 아세트산과 더 많이 반응할 수 있어 탈취효과가 더욱 효과적이다. 즉, 아래 반응식 2에서와 같이, 탄산수소나트륨은 열분해에 의하여 탄산나트륨,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고, 생성된 1몰의 탄산나트륨은 반응식 3과 같이 2몰의 아세트산과 반응하게 된다(반응식 2. 2NaHCO3 → Na2CO3 + H2O + CO2, 반응식 3. Na2CO3 + 2CH3COOH → 2CH3COONa + H2O + CO2).
한편, 가공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필름층(14, 15)의 조성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은 열에 강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주방용품 및 각종 용기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또한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본 고안에서는 탈취제인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흩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혼합하여 작은 구형태나 칩형태의 마스터배치(master batch)가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마스터배치는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다. 만약 탄산수소나트륨이 전혀 포함되지 않으면 제조된 필름에 탈취 기능이 없고,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된 필름의 인장강도나 연신율 등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술한 마스터 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등을 설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필름층(14, 15)이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이와 달리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함유된 마스터배치를 본 고안에 따른 본체부(11)의 용기 형성, 즉 본체부(11)의 사출 성형 단계 등의 제조 공정에 설정된 플라스틱 등의 본체부(11) 형성 물질과 혼합하여 본체부(11)의 전체 또는 설정된 일부에 상기 마스터배치를 기반으로 하는 필름층(14)이 별도의 필름층의 부착 없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준비될 수도 있다(하나의 사일로에 넣어 일체로 제조).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는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상기 본체부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ilo에 넣어 일체로 제조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본체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필름층(14, 15)을 형성하고, 미리 성형 완료된 본체부(11) 및/또는 외측뚜껑부(13)에 별도 부착(본체부(11)의 내측 등에 압출 성형을 통해 준비된 필름층(14)을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추가로 형성하는 공정 등)하여 필름층(14, 15)을 형성할 수도 있다(본체부(11) 및/또는 외측뚜껑부(13)를 형성한 이후 별도로 준비된 필름층(14 및/또는 15)를 추가로 설정된 면에 부착).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필름층(14 및/또는 15)은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필름용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40 내지 100 ㎛ 두께의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며, 이후 이러한 단계를 통해 준비된 필름층(14 및/또는 15)를 본체부(11)의 내측, 내측밀봉판(1)의 내측 및/또는 외측뚜껑부(13)의 내측이나 중앙부 등 설정된 위치에 별도 부착 등을 통해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름층(14)은 본체부(11)의 일 측이나 측면, 바닥 등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외측뚜껑부(13)의 일측이나 몸체 등에도 필름층(15)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멤버레인 필터(1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에 채용될 수 있는 멤버레인 필터(10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발효식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되는 포장용기를 지칭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외부로 오픈(개방)된 개방부를 통해 내부로 김치 등 발효식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적당량을 발효식품을 수용한 이후에는 내측밀봉판(1) 및/또는 외측뚜껑부(13)를 통해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밀봉)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밀봉판(1)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멤버레인 밸브(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측밀봉판(1)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임의의 압력(상하측 또는 좌우측 에서의 누름 등)에 의해 찌그러지는 등의 형태 및/또는 모양의 변화가 가능하며, 이하 후술할 멤버레인 밸브(100) 역시 내측밀봉판(1)의 형태 변화(찌그러짐 등)에 따라 형태나 모양, 높이(상하, 좌우 폭 등)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원래의 형태와 모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는 전체 또는 일부가 발효가스의 흡착이 가능한, 즉 제올라이트 및/또는 활성탄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멤버레인 밸브(100)를 통과(이하 후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가스를 추가적으로 흡착하여 발효식품의 상품성과 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의 내측밀봉부(1)는 상단 내부에 용기(10) 내부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가스의 배출속도 및/또는 배출양에 따라 색이 변화(변색)하는 배출 검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검침부는 내부가 관통된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1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발효가스의 산성도에 따라 색(Color)를 변화하는 리트머스와 같은 변색 물질이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발효가스와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지시약이나 탄산나트륨 등이 배출 검침부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효가스 흡착 등의 성능 개선을 위해 배출 검침부에는 이하 후술할 캡부(170)가 추가적으로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구조와 형태, 특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는 필터본체부(110), 하부덮개(120), 멤버레인막(130), 가이드부(140), 원웨이막(150), 상부덮개(160) 및 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본체부(110)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100)의 주요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발효식품 포장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후술할 멤버레인막(130), 가이드부(140), 원웨이막(15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지지체를 지칭한다. 필터본체부(110)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외부 압력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도 제공될 수 있다. 필터본체부(110)는 하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덮개(120)와 체결될 수 있다.
하부덮개(120)는 필터본체부(110)의 하부면과 상면이 밀착되어 부착되는 부재로 설정된 위치에는 하부관통구(120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덮개(120)는 필터본체부(11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터본체부(110)가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적용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안정적 형태 유지(외부 압력 등으로 인해 필터(100)의 일단부가 심하게 찌그러지는 등으로 원래 설정된 형상이나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부피 상실의 상태 등 정상적이지 못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등을 방지)를 위해 비탄성체나 탄성력이 필터본체부(110)에 비해 낮은 소재로 형성(일 예로, 필터본체부(110)는 탄성 고무나 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하부덮개(120)는 탄성력이 없는 금속판이나 필터본체부(110)에 비해 탄성력이 약한 다른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관통구(120a)는 하부덮개(120)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포장용기에 수용된 김치 등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나 김치 액상 등이 유입될 수 있는 관통구를 지칭한다.
멤버레인막(130)은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덮개(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기체와 액체의 분리막을 지칭한다. 즉 멤버레인막(130)은 하부관통구(120a)를 통해 유입되는 발효가스와 같은 기체(탄산가스)는 이하 후술할 가이드부(140)를 따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반면(도 3의 “A”참조), 김치 등에서 발생되는 김치 액즙 등과 같은 액상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분리막 역할을 수행(기체와 액체를 분리하고, 기체만을 선택적으로 상부로 배출 유도)한다.
가이드부(140)는, 전술한 멤버레인막(130)의 상측에서, 필터본체부(110)의 구획된 내부를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서 단면이 좁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발효가스 배출을 유도하는 홈을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0a 내지 140i와 같이 서로 다른 단면 크기로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로 적층 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140a)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수평 단면의 폭이 좁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단면 기준)이며, 제2 가이드부(140b)는 제1 가이드부(140a)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수평 단면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단면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여러 단으로 적층 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140)는 상측으로 이동할수록 상측 단면이 하측 단면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40a)와 제3 가이드부(140c)는 상측으로 좁아지는 일직선상으로 양 단부가 열맞춤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부(140b), 제4 가이드부(140d)는 각각 제1 가이드부(140a)와 제3 가이드부(140c)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좁아지는 별도의 일직선상으로 양 단부가 열맞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맞춤은 140i까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부 압력(밸브(100)의 전부 및/또는 일부의 누름 등)에 의해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필터본체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140) 역시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될 수 있다. 즉 필터본체부(110)의 압착이 발생하는 경우,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 역시 압착되며, 이 경우 발효식품 용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배출되는 가이드부(140)의 경로(폭)이 적어지게 되어 보다 원활한 외부로의 배출도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필터본체부(110)의 압착에 따라 제1 가이드부(140a)의 내부로 제2 가이드부(140b)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고, 다시 제3 가이드부(140c) 내부로 제4 가이드부(140d)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는 순차적 구조를 통해 필터본체부(110)의 압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착 구조로 복수개의 가이드부(140a 내지 140i)가 상호 수용됨으로써 각 가이드부(140a 내지 140i)가 상호 수용됨이 없이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필터본체부(110)의 압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필터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의 전체적인 높이도 낮게 형성되어, 발효가스가 통과해야 하는 가이드부(140)의 통로 길이 역시 줄어들게 하여, 발효가스가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또는 정해진 시간에 보다 많은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 즉 가이드부(140)의 높이 조절을 통해 발효가스의 배출 속도 및/또는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부(140a 내지 140i)는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단면의 폭과 높이가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40)가 유로(Path)와 같이 형성될 경우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경사가 점차 가파르고 유로의 폭은 좁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가이드부(14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보다 쉽게 접히거나 이웃하는 아래쪽 가이드부(일 예로 140a)에 상부 가이드부(일 예로 140b)에 보다 쉽게 삽입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터본체부(11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제공부(111)가 형성될 경우,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부 압력(누름 등)이 제공되고 있는 순간에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필터본체부(110)가 눌려 내부에 수용된 가이드부(140) 역시 전술한 구조와 형태를 따라 상호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어 전체적인 가이드부(14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외부의 압력(밸브(100)를 누르는 등의 동작에 의해 발생)이 제거될 경우, 탄성제공부(111)의 자기 회복 탄성력에 의해 필터본체부(110)가 보다 신속하게 원래 형상과 모양으로 복귀하는 동시에, 필터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 역시 본래 설정된 형상과 모양으로 상호 분리(수용 해제)되어 원래 설정된 높이와 상호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본래의 설정된 가이드부(140) 높이와 이에 따른 발효가스의 외부 배출 속도 및/또는 배출양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내측밀봉판(1) 및/또는 용기(10)의 설정된 부분을 누르는 등의 동작에 의해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필터본체부(110) 몸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탄성제공부(111)가 원래 형성된 높이인 “H1”에 비해 좁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필터본체부(110)의 설정된 높이인 “H2”역시 이에 대응되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본체부(110) 높이가 낮아지게 됨에 따라 가이드부(140)의 설정된 높이 역시 “H3”에 비해 낮아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가이드부(140)를 통과하는 발효가스의 배출(유출) 경로가 짧아지게 된다. 반대로 멤버레인 필터(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전술한 “H1 내지 H3”의 높이는 최초로 설정된 높이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길게 이어진 깔때기 모양의 유로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이는 산의 정상을 따라 중심부를 기준으로 빙빙 돌아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형성된 등산로와 같은 형태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멤버레인 필터(1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필터본체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되고,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140) 역시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가이드부(140)의 상부 전부 또는 일부가 하부로 수용)되어 가이드부(140)의 전체적인 높이가 설정된 높이 대비(외부 압력이 없을 경우 대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압력이 제거될 경우, 필터본체부(110) 자체의 탄성 및/또는 전술한 탄성제공부(111)의 도움을 통해 필터본체부(110)는 다시 원래의 형상과 모양으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 역시 다시 원래의 형상과 모양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다시 가이드부(140)의 설정된 높이(발효가스가 통과해야 하는 길)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설정된 내측 표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수용홈(140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수용홈(14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작은 구멍(Hole)을 지칭하며, 내부에는 별도의 발효가스와 같은 탄산가스 및 김치 냄새 등 상품성을 저해할 수 있는 기체 성분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흡착제 성분으로 제올라이트와 활성탄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분에 먼저 반응할 수 있는 화학적 특성(이 경우 발효가스와의 흡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을 고려하여, 흡착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흡착 캡슐은 멤버레인막(130)을 통과한 발효가스 내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탄산나트륨(Na2CO3)을 일부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효가스 내 포함된 수분을 1차적으로 흡착 캡슐을 통해 제거하고, 2차적으로 흡착제에 의해 발효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착(포집)함으로써 발효가스 및 발효가스 등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김치 발효 냄새 등)이 발효식품 용기(10) 외측으로 판매과정에서 유출되고, 이에 의해 발효식품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40)가 원래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40)의 표면에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수용홈(140a)에 멤버레인막(130)을 통과한 발효가스(일부 불쾌한 냄새를 포함할 수 있다)가 노출됨으로써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에 의해 발효가스(및/또는 김치 냄새 등)를 정상적으로 흡착(포집)할 수 있게 된다(매장 등에서 상품을 전시하는 단계 등 발효식품이 소비자에게 노출된 상황에서 유리).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 및/또는 외측뚜껑부(13)의 일측이나 표면 등 설정된 위치에는 추가적으로 부착 또는 본체부(11) 및/또는 외측뚜껑부(1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필름층(14 및/또는 15)를 통해 용기(10) 자체로 발효가스를 흡수토록 하여 발효식품의 상품성 증대 역시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본체부(110)의 압착(즉, 밸브(100)에 인위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경우) 필터본체부(110)의 압착에 따라 같이 압착되면서 높이가 낮아지는 가이드부(140) 역시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수용홈(140a)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가이드부(140)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즉, 이웃하는 가이드부(140)간의 높이 간격이 상호 겹침 및/또는 수용에 따라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140)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수용홈(140a)의 전부 또는 일부 역시 상호 이웃하는 가이드부(140) 사이에 감쳐지게 되어 표면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발효가스 흡착 반웅(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에 의한 반응)을 생략(이에 따라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발효식품 용기(10) 내부의 발효가스 등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매장 전시 및 판매 전, 아직 최종 소비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생산이나 유통 단계에서, 포장용기(1) 내 발효가스를 최대한 제거해 도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에서 유리).
즉 김치 등 발효식품을 생산하여 용기(10) 내부에 수용하는 생산, 제조 공정이나 매장 등으로 배송하는 과정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부 압력을 부여하여 내부 발효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가이드부(140)의 가이드 수용홈(140a)에 포함된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의 가이드부(140) 표면 노출을 최소화하여 흡착제 및/흡착 캡슐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동시에,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발효식품을 전시, 판매해야 하는 단계에서는 멤버레인 필터(100)에 가해진 외부 압력을 제거하여 가이드부(140)가 다시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가이드부(140) 표면에 부착 형성된 가이드 수용홈(140a)의 전부를 표면에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멤버레인막(130)을 통과한 포장용기(1) 내부의 발효가스와 이에 포함된 불쾌할 수 있는 냄새 등을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통해 추가적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발효식품의 상품성 및 보관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원웨이막(150)은 다단 또는 깔때기 모양 등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40)의 일측에 부착 형성된 원웨이막 턱부(150a)와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단부는 가이드부(140)와 부착 형성되는 일방향 밸브부를 지칭한다. 즉 원웨이막(150)은 하방에서 설정된 압력 이상의 발효가스가 공급되는 경우에 한하여 일단부가 원웨이막 턱부(150a)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으로 가이드부(140)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발효가스가 통과(발효가스가 유출되는 “자유상태”)하게 되는 반면(도 3의 “B”참조), 포장용기(1)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에 의한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원웨이막 턱부(150a)에 일단부가 밀착되어 외부로의 발효가스 배출이 차단(발효가스 유출이 차단되는 “제어상태”)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원웨이막(150)이 “제어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수용홈(140a)에 형성된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에 의해 발효가스가 지속적으로 흡착되도록 하여, 발효식품의 매장 전시 및 판매 상황에서 최대한 포장용기(1)의 최적 상태와 불쾌한 냄새 등이 포장용기(1)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발효식품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발효식품 제조나 생산, 유통 과정 등 최종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접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멤버레인 필터(100)에 압력을 가한 상태(외측뚜껑부(13)를 제거한 상태에서 내측밀봉판(1)에 부착된 멤버레인 필터(100)를 직접 누르거나, 외측뚜껑부(13)가 본체부(11)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측뚜껑부(13)를 눌러 멤버레인 필터(100)까지 누르는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 등을 통해)에서 보다 최적화된 상태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용기(10)를 눌러 인위적인 내부 압력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수명을 보호(연장)하는 동시에, 원웨이막(150)을 “자유상태”로 만들어 보다 손쉽게 용기(10) 내 발효가스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부덮개(16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하며, 본 고안에 따른 밸브(100)에 외부 압력 등을 가하기 쉽도록 대응되는 필터본체부(110)의 상면에 비해 보다 넓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 및 도 4참조). 또한 상부덮개(160)는 하부덮개(120)와 같은 소재, 즉 필터본체부(110)에 비해 탄성력이 떨어지거나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맞닿아 위치하는 가이드부(140)의 상면(일 예로 140i 가 될 수 있다)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상부관통구(160a)가 설정된 위치(상부덮개(16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심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관통구(160a)는 이하 후술할 캡부(170)를 상부로부터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단면으로 형성되며,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수용 형성되는 가이드부(140)의 최상단부의 최외곽선과 하부면이 부착 형성된 관통구를 지칭한다.
캡부(170)는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최외곽부재로 멤버레인막(130), 가이드부(140) 및 원웨이막(150)을 통과한 발효가스 등의 기체가 용기(10)의 외부로 배출을 허용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부(170)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발효가스 흡착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캡부(170)는 상부관통구(160a)에 삽입 수용되는 부재로 상부관통구(160a)로 단부가 수용되는 발효식품 용기(10)와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가 임의 탈락하지 않도록 발효식품 용기(10)의 설정된 단부와 체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캡부(170)에 비해 좁은 단면(평면을 기준으로)으로 내측밀봉판(1)에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 안쪽으로 상부덮개(120)를 상면으로 하는 멤버레인 필터(100)를 넣고, 상기 구멍의 바깥쪽으로 캡부(170)를 위치한 이후, 내측밀봉판(1)의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단부가 캡부(170)와 상부덮개(160)에 끼워져 포장용기(1)와 밸브(100)가 부착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즉 캡부(170)는 상부덮개(160)와 체결된 상태에 내부에 설정된 깊이만큼 내측밀봉판(1)의 구멍 단부를 내부에 수용(도 3 참조)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캡부(170)와 상부덮개(160) 사이에 내측밀봉판(1)의 설정된 단부 일부가 끼워져 밸브(100)가 용기(10)에 부착되는 방법 이외에도 상부덮개(160)의 상면과 발효식품 용기(10)를 본딩하거나 열접착 하는 등의 방법으로 멤버레인 필터(100)와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를 부착할 수도 있다.
캡부(170)는 설정된 위치(일 예로 평면을 기준으로 중심부 등)에 수용홀(170a)과 손잡이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홀(170a)은 관통된 구멍(Hole)으로 가이드부(140) 및 원웨이막(150)을 통과한 발효가스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홀(170a)은 내부에 발효가스 배출속도 및/또는 배출양에 따라 색이 변화(변색)하거나 발효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포함하는 발효가스 검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70b)는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교체 또는 발효가스 검침부 교체를 보다 손쉽게 지원할 수 있는 홈으로 손가락이나 손톱, 간단한 도구를 삽입하여 캡부(170)를 상부덮개(160)로부터 체결 해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를 부착 형성한 발효식품 용기(10)를 취급하는 생산자, 유통자, 상품 전시장 관리자 등은 캡부(170)에 부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발효가스 검침부의 색깔을 확인(변색 여부 확인)하여, 유통, 전시된 발효식품 중 특히 발효가스 배출이 많거나 심한 상품을 바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손잡이부(170b)를 통해 배출되는 발효가스에 의해 손상이 많이 발생한 캡부(170)를 제거하는 한편, 새로운 캡부(170)를 제공하여 전시 중인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 등을 새로운 캡부(170)에 포함된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전술한 바와 같이 캡부(170) 자체에 형성되거나 수용홀(170a)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의 제공을 통해 지나친 발효가스 배출에 따른 발효식품의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11: 본체부
1: 내측밀봉판
13: 외측뚜껑부
14 & 15: 필름층
100: 멤버레인 필터
110: 필터본체부
110a: 본체턱부
111: 탄성제공부
120: 하부덮개
120a: 하부관통구
130: 멤버레인막
140: 가이드부
140a: 가이드 수용홈
150: 원웨이막
150a: 원웨이막 턱부
160: 상부덮개
160a: 상부관통구
170: 캡부
170a: 수용홀(발효가스 검침부)
170b: 손잡이부

Claims (7)

  1. 발효식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내측밀봉판;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는 외측뚜껑부를 포함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상기 본체부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본체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2. 발효식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내측밀봉판;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는 외측뚜껑부를 포함하는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한 필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설정된 내측에 부착되는 발효가스 탈취능을 가지는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필름층은,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필름용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40 내지 100 ㎛ 두께의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뚜껑부는,
    상기 개방부를 덮어 폐쇄하는 내측 부위에 상기 필름층이 부착 형성되며,
    상기 내측밀봉판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내측 부위에 상기 필름층이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밀봉판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멤버레인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멤버레인 필터는,
    상기 멤버레인 필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필터본체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하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발효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상면에 부착 형성되고 발효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된 상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위치하여 발효가스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멤버레인막;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멤버레인막의 상면에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에이막 턱부와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어 형성되는 원에이막;
    상기 상부관통구에 삽입 수용되며, 하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최상측과 맞닿아 형성되고, 설정된 위치에 관통된 수용홀이 형성된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발효식품의 발효에 따라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상기 하부관통구로 유입되고, 다시 상기 멤버레인막, 상기 가이드부, 상기 원웨이막 및 상기 수용홀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조절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측 표면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수용홈은,
    내부에 흡착제 및/또는 흡착제를 내부에 포함한 흡착 캡슐을 수용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된 발효가스를 추가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가 압축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측으로 좁혀지는 단면을 가지는 다단의 가이드부가 설정된 높이로 상호 적층 되어 형성되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의 상부 단면 폭이 위쪽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2 가이드부의 하부 단면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본체부의 압축 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전체 높이도 함께 낮춰지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발효가스의 신속한 외부 배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필터본체부에 제공된 외부 압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필터본체부가 압축 상태에서 해제되어, 원래 형태와 모양으로 복원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본체부의 압축 해제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된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수용 해제되어 원래 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설정된 높이로 복원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는,
    단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삽입 수용된 상기 상부관통구로부터 보다 손쉽게 교체 가능하고, 전부 또는 일부가 발효가스 흡착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측으로 배출되는 발효가스를 추가적으로 흡착하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캡부를 교체하여 발효가스 흡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용홀은,
    내측에 상기 수용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효가스 배출양 및/또는 배출 속도에 따라 색(Color)을 달리하는 발효가스 검침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캡부의 교체 필요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KR2020180006024U 2018-12-21 2018-12-21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KR200493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24U KR200493116Y1 (ko) 2018-12-21 2018-12-21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24U KR200493116Y1 (ko) 2018-12-21 2018-12-21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61U true KR20200001461U (ko) 2020-07-02
KR200493116Y1 KR200493116Y1 (ko) 2021-02-05

Family

ID=7152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024U KR200493116Y1 (ko) 2018-12-21 2018-12-21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89B1 (ko) 2020-10-20 2021-03-31 이광조 템페 제조용 발효용기
KR20220015593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220015592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11B1 (ko) * 2012-11-20 2014-05-27 이병주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KR20170011785A (ko) * 2015-07-24 2017-02-02 강인종 가스배출 조절장치
KR101705604B1 (ko) * 2016-05-17 2017-02-10 한국식품연구원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KR20180026283A (ko) * 2016-09-02 2018-03-12 한국식품연구원 가스 배출 조절기능을 갖는 김치포장용기
KR101861085B1 (ko) 2017-02-21 2018-06-25 (주)싱싱캔 발효식품 포장용 용기
KR101944702B1 (ko) * 2017-09-11 2019-02-0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11B1 (ko) * 2012-11-20 2014-05-27 이병주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KR20170011785A (ko) * 2015-07-24 2017-02-02 강인종 가스배출 조절장치
KR101705604B1 (ko) * 2016-05-17 2017-02-10 한국식품연구원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KR20180026283A (ko) * 2016-09-02 2018-03-12 한국식품연구원 가스 배출 조절기능을 갖는 김치포장용기
KR101861085B1 (ko) 2017-02-21 2018-06-25 (주)싱싱캔 발효식품 포장용 용기
KR101944702B1 (ko) * 2017-09-11 2019-02-0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포장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93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220015592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102235089B1 (ko) 2020-10-20 2021-03-31 이광조 템페 제조용 발효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16Y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461U (ko)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CA2823735C (en) Container with an absorbent support below the filter
KR101401005B1 (ko) 기능성 첨가제가 내장된 식음료용 용기캡
US20120294996A1 (en) Method of rapid carbon dioxide absorption
CA2794970C (en) Oxygen, water vapor,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 single use container
AU2011233599A1 (en) Oxygen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 single use container
US20150004287A1 (en) Oxygen, water vapor,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 single use container
CN109068877A (zh) 饮料形成设备的多隔室胶囊及其制造方法
CN101437681A (zh) 含活性剂的纤网材料
WO2013057725A2 (es) Empaque con válvula respirable para productos perecederos
KR102062175B1 (ko) 단방향 발효가스 배출 봉투용 포장 밸브
KR102020183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밀키트
AU2005297839A1 (en) Bottle cap
CN202704166U (zh) 一种料水分离的瓶盖组件
KR102414316B1 (ko)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US20200339316A1 (en) Multi-use child protective packaging container with purge and humidity control
KR102405211B1 (ko)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110056026A (ko) 과일용 포장보조제
WO2013177352A1 (en) Method of rapid carbon dioxide absorption
KR101469320B1 (ko) 선도 유지제 보관 용기, 이의 장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CH706369B1 (de) Kaffeekapsel.
JP3147280U (ja) クロレラ食品の保存容器
JP2006027727A (ja) 収納キャップ付容器
CN2622093Y (zh) 一种可贮存物质的瓶盖
KR20110012042U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