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138073A -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073A
KR20190138073A KR1020180064174A KR20180064174A KR20190138073A KR 20190138073 A KR20190138073 A KR 20190138073A KR 1020180064174 A KR1020180064174 A KR 1020180064174A KR 20180064174 A KR20180064174 A KR 20180064174A KR 20190138073 A KR20190138073 A KR 20190138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water storage
space
coffe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665B1 (ko
Inventor
이왕일
Original Assignee
이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일 filed Critical 이왕일
Priority to KR102018006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66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의 배출이 조절되는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면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물저장부와, 물저장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부와, 배출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단이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분말저장부와,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며, 물저장부와 분말저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물저장부는 일부가 결합공에 삽입되며, 분말저장부는 단턱에 거치되고, 배출량 조절부는 물저장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재와, 몸체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배출량이 조절 가능한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방식으로써 에스프레소, 핸드드립 및 더치커피가 있다. 에스프레소 방식 및 핸드드립 방식은 고온의 물을 이용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카페인 성분이 커피에 함께 추출되기 때문에, 비교적 카페인의 함량이 적게 추출되는 더치커피 방식이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더치커피 방식은 장시간에 걸쳐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장시간의 보관에도 커피의 맛과 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물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물의 매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 조절부와, 물저장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커피 파우더가 저장되는 분말저장부와, 분말저장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추출된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참조)
그러나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배출량 조절부가 물저장부의 하단 중심에 결합된 구조로, 더치커피 추출 중에 배출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커피저장부와 물저장부를 분리한 후, 배출량을 조절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으로 배출량 조절부를 돌려서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는데, 물이 떨어지면서 배출량 조절부를 접촉하고 낙하하기 때문에 손에 뭍은 이물질이나 대장균 등이 커피 추출액에 섞일 가능성이 있어, 위생상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커피의 추출 중에도 배출량의 조절이 용이하며, 위생상의 문제가 개선된 커피 추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857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추출 중에도 배출량의 조절이 용이하며, 위상생의 문제가 개선된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면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물저장부와, 물저장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부와, 배출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단이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분말저장부와,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며, 물저장부와 분말저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물저장부는 일부가 결합공에 삽입되며, 분말저장부는 단턱에 거치되고, 배출량 조절부는 물저장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재와, 몸체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재는 상단의 중심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제1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제2공간이 형성되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이 형성되고, 제2공간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재는 제2공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핸들과,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몸체부재에 삽입되고, 타단에 핸들이 결합되며 타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물저장부를 관통하는 원형 기둥형상의 밸브와, 밸브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요성 소재의 마개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마개의 위치가 변화되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되거나 연통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저장부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측면과, 측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하면은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서 배출공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도록 다단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저장부는 하면에 하측을 향해 돌출되며 절곡된 하면의 일영역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몸체부재는 돌출부재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피의 추출 중에도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량 조절 시 물이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재를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피 추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단면도이다.
커피 추출 장치(1)는 물저장부(10), 배출량 조절부(20), 분말저장부(30) 및 결합 케이스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저장부(10)는 커피 추출 시에 이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내부공간(111)에 위치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저장부(1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물저장부(10)에 저장된 물이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저장부(10)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원형 기둥형상의 측면(11) 및 측면(11)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중심에 배출공(121)이 형성되는 하면(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면(12)은 외주면에서 배출공(121)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도록 다단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11)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측면(11)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물저장부(10)는 하면(12)에 의해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1)을 갖는 상측영역과 하단이 개구된 하측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출량 조절부(20)는 물저장부(10)의 하면(12)에 결합되어,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유로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배출량 조절부(20)는 물저장부(1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재(21) 및 몸체부재(21)에 삽입되어 몸체부재(21)와의 결합 정도에 따라 몸체부재(21)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재(21)와 결합부재(22)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은 몸체부재(21)에 결합된 한 쌍의 결합부재(22)에 대해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하나의 결합부재(22) 또는 셋 이상의 결합부재(22)가 몸체부재(21)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재(21)는 상단의 중심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제1공간(21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결합부재(22)가 결합 가능한 제2공간(212)이 형성되고, 제1공간(211)과 제2공간(212)이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213)이 형성되며, 제2공간(212)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제2연통공(214)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공간(212)은 결합부재(2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22)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몸체부재(21)의 유로는 제1공간(211), 제2공간(212), 제1연통공(213) 및 제2연통공(214)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재(22)가 제2공간(212)에 삽입된 정도에 따라, 물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부재(22)가 제2공간(21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유로가 폐쇄될 수 있으며, 물저장부(10)에서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제2공간(212)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제1공간(211) 및 제1연통공(213)에 머무르게 된다. 반면, 결합부재(22)가 제2연통공(214)이 형성된 위치 이전 영역까지 삽입되는 경우, 유로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으며, 물저장부(10)에서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제1공간(211), 제1연통공(213), 제2공간(212), 제2연통공(214) 순으로 지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22)가 제2연통공(214)에 걸치는 영역까지 삽입되는 경우, 유로가 일부 개방될 수 있으며, 물저장부(10)에서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는 결합부재의 삽입 정도로 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정하여, 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재(22)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핸들(221), 핸들(221)의 일면에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밸브(222) 및 밸브(222)의 일단에 결합되는 마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밸브(222)는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의 외주면에 제1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제2공간(212)이 형성된 몸체부재(21)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과 치합하는 제2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결합부재(22)는 회전에 의해 제2공간(2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밸브(222)는 타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물저장부(10)를 관통하여, 물저장부(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몸체부재(21)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되며, 물저장부(10)의 자세나 위치 변경없이 물저장부(10)의 외부에 위치한 핸들(221)을 회전시켜 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몸체부재(21) 및 마개(223)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와 같이 밀폐특성이 우수한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222)는 강성을 가지며, 물과의 접촉에 의해 쉽게 산화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다.
분말저장부(30)는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배출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말저장부(30)는 상단이 개구된 내부공간(31)을 가지며, 하면에 물의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단이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몸체부재(21)의 유로에서 배출되는 물은 분말저장부(30)의 내부공간(31)으로 이동되며, 분말과 접촉 후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합 케이스부(40)는 물저장부(10)와 분말저장부(30)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42)이 형성된 결합공(41)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단턱(42)을 기준으로 결합공(41)의 지름이 변화될 수 있다. 분말저장부(30)는 외측으로 절곡된 상단이 단턱(42)에 거치될 수 있으며, 물저장부(10)는 단턱(42)이 형성된 영역까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저장부(10)는 하면(12)에 절곡된 하면의 일영역을 둘러싸도록 링형상의 돌출부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2)의 내주면의 직경은 몸체부재(21)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몸체부재(21)가 돌출부재(122)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몸체부재(21)는 하향으로 절곡된 하면의 일영역과 돌출부재(12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21) 및 밸브(222)의 외주면에 각각 내측으로 함몰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안착홈에는 패킹(215, 224)이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재(21)에 안착된 패킹(215)은 돌출부재(122)의 내주면에 맞닿아 밀폐를 형성하며, 밸브(222)에 안착된 패킹(224)은 몸체부재(21)의 내주면에 맞닿아 밀폐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피 추출 장치(1)는 커피저장부(50) 및 리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저장부(50)는 분말저장부(30)에서 배출되는 커피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단이 개구된 내부공간(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피저장부(50)는 외부에서 내부공간(51)에 위치한 커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의 내주면에 결합 케이스부(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리드부(60)는 물저장부(10)의 내부공간(111)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물저장부(10)의 상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물저장부(10)로부터 분리된 리드부(60)는 커피저장부(5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의 (a)는 유로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결합부재(22)가 몸체부재(21)의 제2공간(212)을 완전히 차지하는 경우, 결합부재(22)에 의해 가로막혀 제1공간(211)에 위치한 물은 제2공간(212)으로 이동되지 못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도 6의 (b)는 유로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상태에서 핸들(221)이 회전되는 경우, 밸브(222)가 제2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22)의 제2공간(212) 차지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결합부재(22)가 제2연통공(214)을 개방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경우, 제1공간(211)에 위치한 물은 제1연통공(213)을 지나 제2공간(212)으로 이동되어, 제2연통공(2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외부로 배출된 물은 배출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한 분말저장부(30)의 내부공간(31)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분말저장부(30)를 지나면서 분말의 접촉에 의해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커피 추출 장치
10 : 물저장부
20 : 추출량 조절부
30 : 분말저장부
40 : 결합 케이스부

Claims (5)

  1.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면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부와,
    상기 배출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단이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분말저장부와,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물저장부와 분말저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저장부는 일부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며, 상기 분말저장부는 상기 단턱에 거치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부는,
    상기 물저장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단의 중심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제1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제2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공간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핸들과,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상기 몸체부재에 삽입되고, 타단에 핸들이 결합되며 타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상기 물저장부를 관통하는 원형 기둥형상의 밸브와,
    상기 밸브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요성 소재의 마개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개의 위치가 변화되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되거나 연통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측면과,
    상기 측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중심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서 상기 배출공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도록 다단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는, 상기 하면에 하측을 향해 돌출되며 절곡된 하면의 일영역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KR1020180064174A 2018-06-04 2018-06-04 커피 추출 장치 KR10223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74A KR102239665B1 (ko) 2018-06-04 2018-06-04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74A KR102239665B1 (ko) 2018-06-04 2018-06-04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073A true KR20190138073A (ko) 2019-12-12
KR102239665B1 KR102239665B1 (ko) 2021-04-13

Family

ID=6900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174A KR102239665B1 (ko) 2018-06-04 2018-06-04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6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71B1 (ko) 2013-08-24 2015-01-26 김진목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0485984Y1 (ko) * 2016-11-22 2018-03-20 정연섭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71B1 (ko) 2013-08-24 2015-01-26 김진목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0485984Y1 (ko) * 2016-11-22 2018-03-20 정연섭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665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56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US10683147B2 (e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adjustable flow rate
US9370791B1 (en) Vacuum pump and dispenser for bottles
US20110290826A1 (en) Structure for Storing Perishable Liquid
US9033603B2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system
BRPI0816782B1 (pt) porta-filtro para máquinas de café, e, máquina de café
US20160360918A1 (en) Rotary tea maker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US10188235B2 (en) Filter cup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US10791865B2 (en) Ice-water dripping-rate adjuster for drip-type ice coffee maker
KR20190138073A (ko) 커피 추출 장치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US2630246A (en) Condiment holder
KR200471426Y1 (ko) 배기형 찻병
US20070169634A1 (en) Beverage infuser system with positive locking
KR200479512Y1 (ko)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US20170051842A1 (en) Magnetic Valve System
US20160130035A1 (en) Multi-chambered drinking vessel
US9706874B1 (en) Hot tea and coffee press convertible into an iced tea and coffee press including special hot liquid drinking container
JP4458337B2 (ja) 飲料容器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10166858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60019244A (ko)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613207B1 (ko)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