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589A - 환자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6589A KR20190136589A KR1020180062502A KR20180062502A KR20190136589A KR 20190136589 A KR20190136589 A KR 20190136589A KR 1020180062502 A KR1020180062502 A KR 1020180062502A KR 20180062502 A KR20180062502 A KR 20180062502A KR 20190136589 A KR20190136589 A KR 201901365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guard
- upper plate
- patient
- drive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31—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only fixed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6—Sliding sheets or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휠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상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가드;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 가드; 상기 상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매트; 및 상기 매트를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매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드는 환자를 다른 침대로 옮길 때 록킹 해제 상태로 상기 다른 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침대 측으로 이동하는 매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를 다른 침대로 손쉽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환자, 중환자, 골절환자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조자에 의해 이동되는 들것이나 휠이 형성된 침대 형상의 환자이송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환자이송장치에 의해 환자를 수술실에서 회복실의 침대로 운반하는 경우, 환자가 탑승한 환자이송장치를 수술실에서 회복실로 이동 후 여려 명의 간호자에 의해 환자를 들어 침대 위로 옮긴다. 이와 같이 환자를 간호자들이 직접 들어서 옮겨야 하므로 환자의 몸무게로 인해 운반 작업이 상당히 힘들 뿐만 아니라, 환자를 옮기는 과정에서 환자의 자세가 변하게 되므로 수술 환부등에 고통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를 환자이송장치로에서 침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환자의 몸무게를 지지하는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휠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상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가드;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 가드; 상기 상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매트; 및 상기 매트를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매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드는 환자를 다른 침대로 옮길 때 록킹 해제 상태로 상기 다른 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침대 측으로 이동하는 매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가드는,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힌지부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가 상향 또는 하향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부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 쌍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록킹 구멍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형성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내측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 측으로 탄력적으로 당겨질 수 있다.
상기 매트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권취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되어 타단이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된 다수의 제1 벨트; 및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권취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되어 타단이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된 다수의 제2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벨트는 각각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벨트는 상기 매트 저면과 상기 상판 사이를 지나 상기 상판의 하측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와 상기 구동축은 한 쌍의 베벨 기어에 의해 간접적으로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환자를 환자이송장치로부터 침대로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이송장치의 상판과 침대를 이어주는 제2 가드가 매트를 지지함에 따라 매트를 안전하게 침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에서 매트 및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가드의 록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가드의 록킹 위치(상향 수직 위치 및 하향 수직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매트의 저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매트가 제1 위치에서 제2 가드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로부터 침대로 환자를 옮기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에서 매트 및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가드의 록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가드의 록킹 위치(상향 수직 위치 및 하향 수직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매트의 저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매트가 제1 위치에서 제2 가드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로부터 침대로 환자를 옮기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1)는 본체(10)와, 제1 및 제2 가드(30,40)와, 환자를 본체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매트(50)와, 매트를 일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매트 구동부(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판(11)과,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부(13)과, 프레임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부(15) 및 환자이송장치(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휠(17)을 구비한다.
상판(11)은 프레임부(13)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면에 배치되는 매트(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자이송장치(1)의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판(11)을 다수의 피스로 형성하였다(도 8 참조).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프레임부(13)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1 피스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프레임부(13)는 상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15)에 의해 소정 높이로 승강할 수 있다. 프레임부(13)의 일측에는 제1 가드(30)가 수직방향으로 접첩 가능하게 배치되고(도 4 참조), 타측에는 제2 가드(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6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승강 구동부(15)는 지지부(15a)와, 지지부를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부(15f)와, 실린더부를 조작하기 위한 페달(15h)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5a)는 상판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도록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X자 형태로 중간 부분이 상호 힌지 연결된 1쌍의 제1 지지프레임과(15b) 1쌍의 제2 지지프레임(15c)을 구비한다.
제1 지지프레임(15b)은 일단이 베이스(15d)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프레임부(13)의 가이드 레일(1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지지프레임(15c)은 프레임부(13)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15d)의 가이드 레일(15e)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린더부(15f)는 통상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15h)은 사용자가 페달의 일측(15i) 또는 타측(15j)을 밟으면 피스톤로드(15g)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지지부(15a)를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동시킨다.
다수의 휠(17)은 베이스(15d)의 하단의 각 부분에 설치되며, 일부 휠에는 록킹구조(미도시)가 구비되고, 록킹구조를 조작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17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에서 매트 및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가드의 록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제2 가드의 록킹 위치(상향 수직 위치 및 하향 수직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및 제2 가드(30,40)는 매트(50)에 누운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판(5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가드(30)는 상하로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이 각각 프레임부(13)의 일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서포트바(31)와, 다수의 서포트바(31)의 상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단바(3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단바(33)의 일측에는 제1 가드(30)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펼쳐지면 다수의 가동바(31)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수직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바(33) 일측에는 통상의 록킹구조(3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가드(40)는 상향 수직되는 위치와 하향 수직되는 위치에서 각각 록킹될 수 있으며, 제2 가드(40)가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2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각도에서 록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가드(40)는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침대의 일측에 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10과 같이 매트(5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가드(4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 가드(40)는 상판(11)의 타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힌지부(11a,11b)에 선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부(41)와, 패널부가 도 6과 같이 상향 수직 위치 또는 하향 수직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패널부를 록킹하는 록킹부(43)를 포함한다.
록킹부(43)는 일측이 패널부(41)의 일단에 결합되어 패널부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부재(44)와, 연결부재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45)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4)는 제1 힌지부(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손잡이(45)가 결합되는 돌기(44a)와, 손잡이의 한 쌍의 고정돌기(45b)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구멍(44b)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45)는 내측에 연결부재의 돌기(44a)가 삽입되는 삽입홈(45c)이 형성된다. 삽입홈(45c)에는 돌기(44a)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46)이 배치된다. 이 경우 연결부재의 돌기(44a)는 손잡이(45)의 관통구멍(45a)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나사(47)가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는 돌기(4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손잡이(45)는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연결부재(44) 측으로 가압된다.
손잡이(45)는 연결부재(44)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45b)를 구비한다. 한 쌍의 고정돌기(45b)는 제1 힌지부(11a)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구멍(12b)을 관통하여 연결부재의 한 쌍의 고정구멍(44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드(40)가 상향 수직 위치와 하향 수직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고정돌기(45b)가 한 쌍의 고정구멍(44b)에 삽입됨에 따라 제2 가드(40)는 록킹 상태가 된다.
제2 가드(4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손잡이(45)를 연결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한 쌍의 고정돌기(45b)가 한 쌍의 고정구멍(44b)에서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2 가드(4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7은 매트의 저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매트가 제1 위치에서 제2 가드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매트(50)는 상판(11)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매트(50)는 누워있는 환자를 침대로 옮길 때, 매트 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상판으로부터 침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0 참조).
매트 구동부(60)는 프레임부(13)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구동축(61)과, 구동축을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63)와, 매트(50)를 구동축에 연결하는 다수의 제1 벨트(65)와 다수의 제2 벨트(67)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축(61)은 프레임부(13)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하우징(60a) 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레버(63)는 하우징(60a)의 일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베벨기어(62a,62b)에 의해 구동축(61)과 간접적으로 기어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축(61)은 레버(63)를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 시 레버(63)의 회전 구동과 함께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수의 제1 및 제2 벨트(65,67)는 각각 매트(5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며, 각 제2 벨트(67)는 각 제1 벨트(6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벨트(65)와 다수의 제2 벨트(67)는 구동축(61)의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 회전에 따라 매트(50)를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트(50)의 이동을 위해, 다수의 제1 벨트(65)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트(50)의 저부에 배치된다. 각 제1 벨트의 일단부(65a)는 구동축(61)에 권취되고, 타단부(65b)는 매트(50)의 저면 일측(53)에 고정된다. 이 경우 각 제1 벨트(65)는 매트(50) 저면과 상판(11) 상측 사이를 지난 후 프레임부(13)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각 가이드 롤러(65c, 도 4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계속해서 상판(11)의 하측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다수의 제2 벨트(67)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트(50)의 저부에 배치된다. 각 제2 벨트의 일단부(67a)는 구동축(61)에 권취되고, 타단부(65b)는 매트(50)의 저면 일측(5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1)를 이용하여 환자를 침대로 옮기는 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환자(90)가 누워있는 환자이송장치(1)를 침대(80) 측으로 이동하되, 제2 가드(40)가 침대(80)에 인접하도록 이동한다.
환자이송장치(1)를 침대(80) 측으로 이동한 후 페달(15h)을 조작하여 상판(11)의 높이를 침대(80)의 높이와 일치시킨 후, 브레이크 페달(17a)을 조작하여 다수의 휠(17)를 록킹시킨다.
이어서, 록킹부(43)의 손잡이(45)를 당겨 제2 가드(40)의 록킹을 해제한 후, 도 9와 같이 제2 가드(40)를 침대(80) 측으로 회전하여 침대(80)일측에 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매트 구동부(60)의 레버(6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축(6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제1 벨트(65)는 구동축(61)에 와인딩 되면서 매트(50)의 일측을 침대(80) 측으로 당기고 동시에, 다수의 제2 벨트(67)는 구동축(61)으로부터 릴리징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매트(50)가 도 10과 같이 침대(8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환자는 매트(50)에 누워있는 상태로 매트(50와 함게 자연스럽게 침대(80)로 이동한다.
환자가 침대(80)로 이동된 후, 레버(6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수의 제2 벨트(67)는 구동축(61)에 와인딩 되면서 매트(50)의 일측을 제1 가드(30) 측으로 당기고 동시에, 다수의 제1 벨트(65)는 구동축(61)으로부터 릴리징 된다. 이에 따라, 매트(50)는 상판(11) 위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레버(63)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환자를 환자이송장치(1)로부터 침대(80)로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101)는 전술한 환자이송장치(1)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베이스(115d)를 포함한 일부 구성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환자이송장치(101)는 전술한 환자이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115d)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휠(117)은 베이스(115d)의 4 코너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5d)의 일측에 위치한 한 쌍의 휠(117)에는 록킹구조(미도시)가 구비되고, 록킹구조를 조작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117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15f)를 조작하기 위한 페달(15h)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베이스(115d)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환자이송장치(101)의 좌측 또는 우측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실린더부(115f)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5d)에는 수납을 위한 바스켓(200)이 결합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
11: 상판
13: 프레임부 15: 승강구동부
30: 제1 가드 40: 제2 가드
41: 패널부 43: 록킹부
50: 매트 60: 매트 구동부
61: 구동축 63: 레버
65: 제1 벨트 67: 제2 벨트
13: 프레임부 15: 승강구동부
30: 제1 가드 40: 제2 가드
41: 패널부 43: 록킹부
50: 매트 60: 매트 구동부
61: 구동축 63: 레버
65: 제1 벨트 67: 제2 벨트
Claims (8)
- 다수의 휠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상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가드;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 가드;
상기 상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매트; 및
상기 매트를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매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드는 환자를 다른 침대로 옮길 때 록킹 해제 상태로 상기 다른 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침대 측으로 이동하는 매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는,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힌지부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가 상향 또는 하향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부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 쌍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록킹 구멍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형성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내측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 측으로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권취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되어 타단이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된 다수의 제1 벨트; 및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권취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되어 타단이 상기 매트의 일측에 연결된 다수의 제2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벨트는 각각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벨트는 상기 매트 저면과 상기 상판 사이를 지나 상기 상판의 하측을 지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구동축은 한 쌍의 베벨 기어에 의해 간접적으로 기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2502A KR20190136589A (ko) | 2018-05-31 | 2018-05-31 | 환자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2502A KR20190136589A (ko) | 2018-05-31 | 2018-05-31 | 환자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6589A true KR20190136589A (ko) | 2019-12-10 |
Family
ID=6900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2502A KR20190136589A (ko) | 2018-05-31 | 2018-05-31 | 환자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36589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1334B1 (ko) * | 2020-04-17 | 2020-08-04 | 서정현 | 환자 이동 보조기구 |
CN112754779A (zh) * | 2020-12-25 | 2021-05-07 | 许思源 | 适用范围广的人工智能心内科安全医用担架及其应用方法 |
KR20230055115A (ko) * | 2021-10-18 | 2023-04-25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의무후송 차량용 환자 승하차 장치 |
KR20230135914A (ko) * | 2022-03-17 | 2023-09-26 | (주)에이원의료기산업 | 환자 이송용 의료베드 |
KR20240149110A (ko) | 2023-04-05 | 2024-10-14 | 조한표 | 환자운반카용 대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590B1 (ko) | 2008-07-25 | 2011-04-15 | 박진수 | 환자이동용 의료보조기 |
KR101150875B1 (ko) | 2010-03-04 | 2012-06-1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환자 이송용 기능성 테이블 |
-
2018
- 2018-05-31 KR KR1020180062502A patent/KR201901365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590B1 (ko) | 2008-07-25 | 2011-04-15 | 박진수 | 환자이동용 의료보조기 |
KR101150875B1 (ko) | 2010-03-04 | 2012-06-1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환자 이송용 기능성 테이블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1334B1 (ko) * | 2020-04-17 | 2020-08-04 | 서정현 | 환자 이동 보조기구 |
CN112754779A (zh) * | 2020-12-25 | 2021-05-07 | 许思源 | 适用范围广的人工智能心内科安全医用担架及其应用方法 |
KR20230055115A (ko) * | 2021-10-18 | 2023-04-25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의무후송 차량용 환자 승하차 장치 |
KR20230135914A (ko) * | 2022-03-17 | 2023-09-26 | (주)에이원의료기산업 | 환자 이송용 의료베드 |
KR20240149110A (ko) | 2023-04-05 | 2024-10-14 | 조한표 | 환자운반카용 대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36589A (ko) | 환자이송장치 | |
KR100721998B1 (ko) | 하지 거상수단이 구비된 구급차용 스트레쳐 | |
US6240579B1 (en) | Unitary pedal control of brake and fifth wheel deployment via side and end articulation with additional unitary pedal control of height of patient support | |
US7676866B2 (en) | Height-adjustable bedframes | |
EP1738730B1 (en) | Stretcher | |
JP2000312699A (ja) | 泌尿器科用の患者寝台 | |
CA2368308A1 (en) | Storable trauma board support | |
NO339990B1 (no) | Ambulanseseng med forbedret senkeramme | |
DE4304757A1 (de) | Vorrichtung zum Anheben und Transportieren von Patienten sowie als Geh-, Steh- und/oder Aufstehhilfe | |
DE202016006431U1 (de) | Kippbett für Personen mit Behinderung | |
KR200200022Y1 (ko) | 척추지압 및 온열물리치료 베드 | |
US20020020018A1 (en) | Epidural patient support | |
CN108283546A (zh) | 一种医疗病床的升降床架装置 | |
CN114587845A (zh) | 一种骨科换药组合支架 | |
CN201782900U (zh) | 救护车担架仓 | |
CN2392521Y (zh) | 长度可变的担架床 | |
GB1592254A (en) | Hospital beds | |
US974495A (en) | Hospital-bed. | |
JP2000166996A (ja) | 巡回歯科診療用の可搬椅子 | |
CN217310881U (zh) | 一种升降平移式医用转运床 | |
KR20240000300A (ko) | 환자 이송용 침대 | |
JP2002017786A (ja) | ストレッチャーにおけるサイドレールの立位保持機構 | |
KR20050041117A (ko) | 검진 및 분만대 | |
US3403704A (en) | Adjustable loom | |
JP2000189473A (ja) | 介護用ベッ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