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131173A - 책상 정리대 - Google Patents

책상 정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173A
KR20190131173A KR1020180055718A KR20180055718A KR20190131173A KR 20190131173 A KR20190131173 A KR 20190131173A KR 1020180055718 A KR1020180055718 A KR 1020180055718A KR 20180055718 A KR20180055718 A KR 20180055718A KR 20190131173 A KR20190131173 A KR 20190131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vertical support
desk
support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두
Original Assignee
이사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두 filed Critical 이사두
Priority to KR102018005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173A/ko
Publication of KR2019013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위에 올려놓고 컴퓨터 모니터, 키보드 등의 컴퓨터 주변기기나 서적, 스마트폰, 필기류 및 기타 사무용품 등을 거치시켜 책상 위를 항상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된 책상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책상정리대는 컴퓨터 모니터가 놓여지는 하부받침판(100)과, 상기 하부받침판의 양측단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지지대(200)와, 상기 하부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300)와, 상기 연결지지대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받침판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져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수직지지봉(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책상 정리대{Desk tidies for arranging goods}
본 발명은 책상 위에 올려놓고 컴퓨터 모니터, 키보드 등의 컴퓨터 주변기기나 서적, 스마트폰, 필기류 및 기타 사무용품 등을 거치시켜 책상 위를 항상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된 책상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위에는 서적 및 각종 사무용품을 비롯하여 컴퓨터 주변기기 또는 액자 등 각종 소품들이 놓여지게 되며, 이러한 용품들로 인하여 책상 위 사용공간이 매우 협소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모니터 받침판이 등록실용신안 제406065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받침판은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며 받침판(10)의 모서리 영역에 네 개의 조립구멍이 형성된 모니터 받침판(10)과, 상기 조립구멍과 대면하여 모니터 받침판(10)을 지지하는 네 개의 지지체(30)와, 상기 조립구멍을 관통하여 지지체(30)에 체결되는 고정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책상 정리대는 키보드를 받침판(10) 아래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책상을 약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겠으나, 다층구조가 아닌 단층구조이기 때문에 컴퓨터 모니터 이외의 책상 위의 많은 물품들을 올려놓을 공간이 없어서 책상 위의 공간활용이 크게 개선된다고 볼 수 없다.
특히, 일정규격으로 제한된 책상면적에 반해 컴퓨터 모니터는 근래 갈수록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여서 책상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는 컴퓨터 모니터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활용공간은 점점 협소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꼭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갈수록 대형화되고 있는 컴퓨터 모니터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책상 위의 정리공간을 좌우 및 상방으로 확장할 수 있는 책상 정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책상정리대는 컴퓨터 모니터가 놓여지는 하부받침판과, 상기 하부받침판의 양측단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와, 상기 연결지지대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받침판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져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수직지지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판의 후단 중앙에는 제1수직지지봉이 후방에서 끼워지도록 후방이 개방된 제1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연결지지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지지대의 후단 중앙에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개방홀과, 상기 제2개방홀에 끼워진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상하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개방홀에 끼워진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후방이동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제한부는 상기 제2개방홀의 전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수평끼움편과, 상기 수평끼움편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끼움홈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개방홀의 바닥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봉이 상기 안내돌기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 수직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이동제한부는 상기 제2개방홀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과,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을 외측으로 감싸는 록킹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지지대의 양단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레일부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와 마주하는 하부지지대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받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단이 상기 하부받침판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지지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받침판의 측부에 고정되는 제2수직지지봉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받침판의 양측부에는 제2수직지지봉이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측단이 개방된 슬롯홀 형태의 통과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수직지지봉은 하부받침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직지지봉과 제2수직지지봉의 상부에는, 상부받침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부받침판의 고정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조절너트와, 상부받침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받침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가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면에는 보조받침판이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면에는 하부받침판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과 보조받침판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안착홈의 전단과 후단에는 하부지지대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일정높이를 가진 한 쌍의 높이조절블럭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블럭들이 전후로 합치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보관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블럭들은 일측과 합치방향이 개방된 함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가 놓여지는 하부받침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지지대가 연결지지대를 통해 연결되므로 구조적 안전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직지지봉이 상기 연결지지대에 하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부받침판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져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2단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수직지지봉의 구조적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여 견고하게 직립됨에 따라 단일의 제1수직지지봉만으로도 하부받침대에 컴퓨터 모니터를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게 되므로 구성이 단순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을 연결지지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구조적 안전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받침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에 제1수직지지봉이 구비되므로 하부받침대에 놓여지는 컴퓨터 모니터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언제나 시야가 가려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부받침판을 컴퓨터 모니터의 상부에 근접시키면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제1수직지지봉이 거의 보이지 않아 하부받침판과 상부받침판만 보이는 깔끔한 상태로 책상을 정리할 수 있고, 컴퓨터 모니터의 무게중심이 화면의 뒤쪽에 있는 컴퓨터 모니터의 구조에 맞게 컴퓨터 모니터의 후방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수직지지봉을 이용하여 하부받침판 위로 상부받침판을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받침판의 측방으로 인접하게 보조받침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정리공간을 상하좌우로 확장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책상 위에 보다 많은 수량의 물품을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책상정리대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상정리대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록킹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상정리대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상정리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높이조절블럭들이 하부지지대의 공간부에 합치되어 보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 불편했던 CRT모니터는 사라지고, 두께가 얇고 가벼운 화면을 뒤쪽에 있는 거치 받침대가 지지해 주는 LCD모니터나 LED 모니터, OLED 모니터와 같은 다양한 평판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컴퓨터 모니터는 상기한 LCD모니터나 LED 모니터, OLED 모니터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책상 정리대는 이러한 평판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최적화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정리대는 컴퓨터 모니터가 놓여지는 하부받침판(100)과,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양측단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지지대(200)와, 상기 하부지지대(200)들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300)와, 상기 연결지지대(300)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져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수직지지봉(4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200)는 하부받침판(100)의 하부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하부받침판(100)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상기 하부지지대(200)는 책상에 지지되는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전후단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된 전방돌출부(220)와 후방돌출부(230),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부(220)와 후방돌출부(230)의 상부에는 위치되어 하부받침판(100)을 지지하는 지지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40)의 상면에는 하부받침판(100)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241)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안착홈(241)에는 하부받침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양측부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안착홈(24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받침판(100)이 유동하지 않도록 가이드 해 주는 돌출부(241a)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대(200)의 전방돌출부(220)와 후방돌출부(230)의 사이에는 책상 위에 놓여져 있던 작은 사이즈의 물품들을 따로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부(250)가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간부(250)에는 책상 위에 놓여져 있던 작은 사이즈의 물품들을 따로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가 구비되거나 일정간격을 둔 칸막이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00)들 사이에는 연결지지대(30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지지대(300)는 양측단이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하부지지대(200)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지지대(200)들이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것을 막아준다.
아울러, 상기 연결지지대(300)는 하부받침판(100)에 거치되는 물품(예컨대, 컴퓨터 모니터)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하여 하부지지대(200)들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경우, 상기 하중이 클수록 하부지지대(200)와의 결합력도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지지대(200)는 하부받침판(100)에 거치되는 물품의 중량에 상관없이 항상 안정된 자세로 하부받침판(100)을 지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지지대(300)는 안정된 설치를 위하여 책상에 놓여지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지지대(300)의 양단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레일부(310)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레일부(310)와 마주하는 하부지지대(200)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부(310)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결합부(20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201)는 하부지지대(200)의 하단 모서리이다.
상기 연결지지대(300)에는 제1수직지지봉(400)이 체결된다.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은 연결지지대(300)에 하단이 결합된 상태로 하부받침판(100)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져 하부받침판(10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하부받침판(100)에 놓여지는 모니터의 후방을 지지해 준다.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후단 중앙에는 제1수직지지봉(400)이 후방에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후방이 개방된 제1개방홀(1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에는 제1수직지지봉(400)이 제1개방홀(12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후단 중앙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너트(130)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상부에는 여러가지 책상용품들을 올려 놓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받침판(500)이 고정된다. 상기 상부받침판의 중앙 후단에는 제1수직지지봉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50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침판(500)은 다단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받침판(500)의 고정은 제1수직지지봉(40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1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부재(410)는 높이조절너트(411)와 고정너트(41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상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너트(411)와 고정너트(412)가 체결되는 제2나사산(401)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411)는 상부받침판(5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수직지지봉(400)을 따라 상부받침대와 동반 승강하면서 상부받침판(500)의 고정높이를 조절해준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412)는 상부받침판(5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받침판(500)의 유동 및 제1수직지지봉(400)으로부터의 이탈을 막아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받침판(100)에 놓여질 컴퓨터 모니터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너트(411)를 이용하여 상부받침판(500)의 체결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해가면서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받침판(500)들은 단일의 제1수직지지봉(400)을 통해서만 지지되므로 비교적 가벼운 문구류나 소품들을 올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이 연결지지대(3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과 연결지지대(30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록킹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수단은 제1수직지지봉의 직립상태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지지대(300)의 후단 중앙에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2개방홀(610)과, 상기 제2개방홀(610)에 끼워진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이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상하이동제한부(620)와, 상기 제2개방홀(610)에 끼워진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후방이동제한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제한부(620)는 제2개방홀(610)의 전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수평끼움편(621)과, 상기 수평끼움편(621)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끼움홈(62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을 제2개방홀(610)에 끼운 다음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수직지지봉(400)의 수평끼움홈(622)에 수평끼움편(621)이 끼워지면서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은 상하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연결지지대(300)에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상하이동제한부(620)는 상기 제2개방홀(610)의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돌기(623)와,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에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이 상기 안내돌기(623)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 수직끼움홈(624)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끼움홈(624)은 수평끼움홈(622)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623)에 수직끼움홈(624)을 끼운 상태에서 제1수직지지봉(400)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제1수직지지봉(400)이 제2개방홀(610)의 수평끼움편(621)으로 쉽고 정확하게 끼워지게 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끼움편(621)과 안내돌기(623)가 상기 수평끼움홈(624)과 수직끼움홈(622)에 각각 꼭 끼워지게 됨으로써 제1수직지지봉(400)의 상하이동 및 회전이 제한되면서 흔들리거나 헛돌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상하이동 및 회전이 제한되면 제1수직지지봉(400)에 대한 내구성 및 조립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아울러, 후방이동제한부(630)는 상기 제2개방홀(610)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631)과,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631)을 외측으로 감싸는 록킹마개(63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록킹마개(632)는 중앙에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632a)와 상기 몸체부(632a)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631)을 외측으로 감싸는 플랜지부(632b)를 구비하며,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에 끼워진 상태로 제2개방홀(610)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록킹마개(632)의 저면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2개방홀(610)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수직돌기(632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돌기(632c)들은 록킹마개(632)가 제2개방홀(610)에 씌워질 때 상기 제2개방홀(610)의 양측벽에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어 록킹마개(632)의 좌우유동을 막아 주는 동시에 록킹마개(632)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걸림턱(631)으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를 막아준다.
한편, 상기 후방이동제한부(630)는 록킹마개(632)가 걸림턱(6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밀착너트(6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밀착너트(640)는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단에 체결되며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록킹마개(632)의 상부로 이동하여 록킹마개(632) 상단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의 하부에는 상기 밀착너트(640)와의 체결을 위한 제1나사산(4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은 수평끼움홈(621)과 수직끼움홈(622)에 의하여 상하이동 및 회전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상기 밀착너트(640)를 제1수직지지봉(400)에 체결할 때 제1수직지지봉(400)이 헛돌거나 상방향으로 끌려 올라오지 않게 되므로 체결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상부받침판(50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봉(7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이 구비되면 상부받침판(500)이 제1수직지지봉(400)과 함께 총 3군데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좀 더 무거운 물품들을 안정되게 올려 놓고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들의 하단은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지지대(200)의 제1안착홈(24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받침판(100)의 양측부에는 제2수직지지봉(700)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241)에는 제2수직지지봉(700)의 하단에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의 하단에는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들의 상부는 상기 상부받침판(500)의 측부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의 상부에는 상부받침판(5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710,710)가 체결된다.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의 상단에는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받침판(500)의 양측단에는 제2수직지지봉(70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51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510)은 제2수직지지봉(700)의 통과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측단이 개방된 슬롯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조립편의상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받침판(500)의 통과공(510)이 슬롯홀 형태로 형성되면, 상부받침판(500)을 제2수직지지봉(700)의 상단으로부터 끼워 조립하지 않고 제2수직지지봉(700)를 좌우로 약간 벌린 상태에서 측방에서 통과공(510)에 끼워서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판매자가 고정너트(710)를 미리 제2수직지지봉(700)의 적정 위치에 가조립된 상태로 출고를 하게 되면, 고정너트(710)를 제2수직지지봉(700)의 상단에서부터 소망하는 위치까지 다회에 걸쳐 회전시키지 않고도 가조립된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조금만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해 주면 되므로 상부받침판(500)의 조립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수직지지봉(700)은 하부받침판(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되도록 하여 하부받침판(100)에 놓여지는 컴퓨터 모니터를 후방에서 지지해 줌으로써, 전방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200)를 추가로 놓고 보조연결지지대(810)와 결합시킨 후 하부지지대(200)의 상면에 보조받침판(800)을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지지대(200)의 상면에는 하부받침판(100)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241)과 상기 보조받침판(800)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242)이 함께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안착홈(24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받침판(800)이 유동하지 않도록 가이드 해 주는 돌출부(242a)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받침대(800)를 제2안착홈(242)에 체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조받침판(800)을 설치하면, 거치공간이 좌우측방으로 자유롭게 확장되면서 보다 많은 물품을 정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인접한 책상정리대끼리의 연결도 가능해진다.
미설명 부호 810은 하부지지대들(200,200)를 연결하는 보조연결지지대로서, 상술한 연결지지대(300)와 비교하여 록킹수단만 구비하지 않았을 뿐, 그 구성 및 작용이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안착홈(242)에는 보조받침판(800)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일정높이를 가진 높이조절블럭(9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블럭(900)의 저면에는 제2안착홈(2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9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242)에는 상기 돌기(910)에 대응되는 홈부(246)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받침판(800)을 높이려 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블럭(900)은 전후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제2안착홈(241)의 전단과 후단에 이격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블럭(9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실의 염려없이 하부지지대(200)의 공간부(250)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블럭(900)들이 분할형성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블럭(900)들은 상기 공간부(250)에서 합치된 상태로 보관되며,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과 합치방향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책상 정리대는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되며, 하부받침대(100) 위에는 컴퓨터 모니터 및 소품들을 올려 놓고 밑에는 키보드를 넣어서 보관하며, 앞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좌우 하부지지대(200)의 제1안착홈(241) 또는 제2안착홈(242)과 공간부(250)에는 USB허브나 외장하드,충전기 등을 놓을 수 있고, 상기 연결지지대(300)는 오거나이저(organizer) 형태로 설계하여 필기도구나 작은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부받침대(500)들에는 각종 사무용품들을 다수 비치하고, 좌우로 연장되는 보조받침판(800) 위에는 각종 파일함 등을 놓으며, 필요할 경우 높이조절블럭(900)으로 보조받침판(800)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종 책상용품을 올려 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책상의 공간을 상방향 및 좌우로 크게 확장시키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좁은 책상공간을 보다 여유롭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책상정리대는 하부받침판(100)에 설치된 제1수직지지봉(400)과 제2수직지지봉(700)이 하부받침판(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수직지지봉(400) 및 제2수직지지봉(700)이 컴퓨터 모니터를 화면의 후방에서 지지해 주므로, 컴퓨터 모니터의 시야가 가려지지 않으면서 매우 안정적으로 컴퓨터 모니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하부받침판 120...제1개방홀
200...하부지지대 201...슬라이딩 결합부
241...제1안착홈 242...제2안착홈
250...공간부 300...연결지지대
310...레일부 400...제1수직지지봉
411...높이조절너트 412...고정너트
500...상부받침판 610...제2개방홀
620...상하이동제한부 621...수평끼움편
622...수평끼움홈 623...안내돌기
624...수직끼움홈 630...후방이동제한부
631...걸림턱 632...록킹마개
640...밀착너트 700...제2수직지지봉
800...보조받침판 810...보조연결지지대
900...높이조절블럭 910...돌기

Claims (16)

  1. 컴퓨터 모니터가 놓여지는 하부받침판;
    상기 하부받침판의 양측단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받침판의 후단 중앙으로 끼워져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수직지지봉을 포함하는 책상 정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판의 후단 중앙에는 제1수직지지봉이 후방에서 끼워지도록 후방이 개방된 제1개방홀이 형성된 책상 정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연결지지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 책상 정리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지지대의 후단 중앙에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개방홀;
    상기 제2개방홀에 끼워진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상하이동제한부; 및
    상기 제2개방홀에 끼워진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후방이동제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제한부는 상기 제2개방홀의 전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수평끼움편과, 상기 수평끼움편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끼움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방홀의 바닥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봉이 상기 안내돌기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 수직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이동제한부는 상기 제2개방홀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과,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을 외측으로 감싸는 록킹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대의 양단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레일부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와 마주하는 하부지지대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봉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받침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10. 제 9항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하부받침판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지지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받침판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판의 양측부에는 제2수직지지봉이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측단이 개방된 슬롯홀 형태의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지지봉은 하부받침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봉과 제2수직지지봉의 상부에는, 상부받침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부받침판의 고정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조절너트와, 상부받침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받침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면에는 보조받침판이 안착되고,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면에는 하부받침판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과 보조받침판의 측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홈의 전단과 후단에는 보조받침판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일정높이를 가진 한 쌍의 높이조절블럭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책상 정리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블럭들이 전후로 합치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보관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블럭들은 일측과 합치방향이 개방된 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정리대.
KR1020180055718A 2018-05-16 2018-05-16 책상 정리대 KR20190131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18A KR20190131173A (ko) 2018-05-16 2018-05-16 책상 정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18A KR20190131173A (ko) 2018-05-16 2018-05-16 책상 정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73A true KR20190131173A (ko) 2019-11-26

Family

ID=6873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18A KR20190131173A (ko) 2018-05-16 2018-05-16 책상 정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1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8037A1 (en) Motorized, height adjustable desktop system
US6742307B2 (en) Adjustable cubicle system
KR101725394B1 (ko)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US20050127802A1 (en) Sectional cabinet
JP6838716B2 (ja) 天板昇降式デスク
CN205432678U (zh) 多层式桌子
EP2166170A1 (en) A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190131173A (ko) 책상 정리대
JP7272779B2 (ja) 物品スタンド
JP4244122B2 (ja) スクリーン、簡易テーブル
JP6166885B2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装置
JP2000060647A (ja) 書棚付き机
JP2877009B2 (ja)
JP6899310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什器
KR20100001723U (ko) 받침대에 설치되는 독서대
JP7240849B2 (ja) 電子機器スタンド
JP3248261U (ja) 拡張型モジュールを有するテーブル
JP3561419B2 (ja) 机の棚装置
JP3224886U (ja) 折りたたみデスク
KR200411301Y1 (ko) 키보드 수납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JP2000139581A (ja) パソコン収納家具
CN217185210U (zh) 一种内嵌式书写台
KR102284764B1 (ko) 멀티빔구조를 통한 부속의 결속이 용이한 칸막이
JP3480355B2 (ja) 学習机のシステム机上棚
KR20190027513A (ko) 책상 정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