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467A - 가변 압축기 유입구를 갖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 압축기 유입구를 갖는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2467A KR20190092467A KR1020197018754A KR20197018754A KR20190092467A KR 20190092467 A KR20190092467 A KR 20190092467A KR 1020197018754 A KR1020197018754 A KR 1020197018754A KR 20197018754 A KR20197018754 A KR 20197018754A KR 20190092467 A KR20190092467 A KR 20190092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or
- diaphragm element
- ring
- adjustment
- cart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6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djusting flow cross-section, otherwise than by using adjustable stator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throttling the volute inlet of radial machines or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22—Control of the pumps by varying cross-section of exhaust passages or air passages, e.g. by throttling turbine inlets or outlets or by varying effective number of guide conduits
- F02B37/225—Control of the pumps by varying cross-section of exhaust passages or air passages, e.g. by throttling turbine inlets or outlets or by varying effective number of guide conduits air pass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3—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a closure member in the form of an iris-diaphrag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1—Inle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 Y02T1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휠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을 갖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압축기 유입구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 압축기 유입구를 갖는 압축기 및 대응하는 압축기를 갖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최근 세대의 차량에는 점점 더 많이 충전 장치가 장착된다. 목표 수요 및 법적 요건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드라이브 트레인의 개발을 촉진하고 개별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이들의 신뢰성 및 효율성에 대하여 시스템 전체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예를 들어 터빈 휠을 갖는 터빈이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흐름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호 샤프트(mutual shaft) 상에 터빈 휠과 배열되는 압축기 휠을 구비한 압축기는 엔진에 흡입된 신선한 공기를 압축한다. 이 수단에 의해, 연소를 위해 엔진에 이용 가능한 공기량 또는 산소량이 증가되어, 종국에는 내연 기관의 출력 향상을 유도한다.
압축기는 또한 배기 가스 터보차저를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압축기에서, 또는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엔진용의 공기 공급과 조합시켜 배기 가스 터보차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공지된 압축기는 압축기 휠이 배치된 압축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신선한 공기는 압축기 유입구에 의해 흡입되고, 압축기 휠에 의해 가속되며, 볼류트를 통해 압축기를 나간다. 각각의 압축기는 압축기 고유의 압축기 특성 맵을 가지며, 압축기의 작동은 서지 한계(surge limit)와 초크 라인(choke line) 사이의 압축기 특성 맵의 범위로 제한된다. 압축기의 크기 및 구성에 따라, 서지 한계가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압축기에 의한 낮은 체적 흐름에서의 작동이 비효율적이거나 더 이상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유용한 압축기 특성 맵을 갖는 보다 효율적인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6에 따른 충전 장치용 압축기, 그리고 청구항 15에 따른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압축기 휠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 및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압축기 유입구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조정기구를 포함한다. 조정기구는 압축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 및 조정 링을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이 가변적으로 변화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유입구는 압축기의 각각의 작동 범위에 대응하여 적합시킬 수 있다. 압축기의 서지 한계가 추가로 좌측으로, 따라서 압축기 특성 맵에서 더 낮은 체적 흐름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더 큰 압축기 특성 맵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단일 압축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 감소는 흐름의 가속을 초래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단면의 협소화로 인하여 압축기 휠의 허브 영역에서의 흐름의 분리가 감소 또는 회피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의 가변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는 압축기의 효율의 증가를 초래하며, 이것은 다음에 하류의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 및/또는 토크 빌드 업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구성에 있어서, 조정기구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압축기 유입구의 최대 단면은 조정기구의 제1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압축기 유입구의 최소 단면은 조정기구의 제2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조정기구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이 최대 단면과 최소 단면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는 조정 링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정 링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의 변위를 일으킨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조정기구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조정기구의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그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 상에, 다이어프램 요소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맞물리는 대응하는 계합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시일은 다이어프램 요소의 측방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2 위치에서 접촉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대 측방 표면과 계합한다. 특히, 시일은 시일 프로파일에 접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형태와 조합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정 링은 압축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조정 링은 압축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압축기 커버의 축 방향 돌출부가 조정 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정 링은 다이어프램 요소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조정 링과 압축기 하우징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조정 링은 압축기 커버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는 샤프트를 통해 압축기 하우징 또는 압축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정 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레버 아암이 다이어프램 요소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레버 아암은 상기 조정 링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 중 하나와 레버 아암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는 각각 샤프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아암은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조정 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는 조정 링과 압축기 하우징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정 링은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조정 링은 다이어프램 요소와 거의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조정기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는 조정 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압축기 하우징에 대해 조정 링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는 다이어프램 요소 중 하나 및/또는 다이어프램 요소 중 하나의 샤프트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하우징에 대해 조정 링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나머지 다이어프램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의 컨트롤러는 조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조정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류 엔진의 속도, 하류 엔진의 토크, 압축기의 속도, 압축기를 통한 체적 흐름, 압축기에서의 압력비, 배기 가스 터빈용 웨이스트게이트의 위치, 배기 가스 터빈의 가변 터빈 기하학적 위치, 및/또는 배기 가스 복귀를 통한 질량 흐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압축기 휠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을 갖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압축기는 압축기 유입구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은 가변적으로 변화 가능하기 때문에, 이는 압축기의 각각의 작동 범위에 대응하여 적합시킬 수 있다. 압축기의 서지 한계가 추가로 좌측으로, 따라서 압축기 특성 맵에서 더 낮은 체적 흐름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더 큰 압축기 특성 맵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단일 압축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 감소는 흐름의 가속을 초래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단면의 협소화로 인하여 압축기 휠의 허브 영역에서의 흐름의 분리가 감소 또는 회피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의 가변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는 압축기의 효율의 증가를 초래하며, 이것은 다음에 하류의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 및/또는 토크 빌드 업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구성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압축기 유입구의 최대 단면은 제1 카트리지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압축기 유입구의 최소 단면은 제2 카트리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이 최대 단면과 최소 단면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베어링 링, 조정 링 및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에 의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의 감소로 인해, 예를 들어 압축기 유입구 영역의 벽을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복귀 흐름은 특히 압축기 특성 맵의 좌측 영역 (따라서 낮은 체적 흐름)에서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베어링 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조정 링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정 링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제1 카트리지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카트리지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는 그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 상에, 다이어프램 요소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맞물리는 대응하는 계합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 계합 기하학적 형상은 카트리지, 특히 카트리지의 다이어프램 영역에 보다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며, 인접한 다이어프램 요소 사이에 더 양호한 시일성을 보장한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시일은 다이어프램 요소의 측방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2 위치에서 접촉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대측면과 계합한다. 특히, 시일은 시일 프로파일에 접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조정 링은 베어링 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베어링 링을 통해 압축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은 제1 카트리지 위치의 베어링 링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는 샤프트를 통해 베어링 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정 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레버 아암이 다이어프램 요소마다 설치될 수 있다. 레버 아암은 상기 조정 링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구성에 있어서, 레버 아암 및 다이어프램 요소는 베어링 링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링의 동일한 측면에 레버 아암 및 다이어프램 요소를 배치하기 때문에, 전체 카트리지의 축 방향 연장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기 하우징 내의 카트리지에 필요한 설치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설치 공간의 절약 가능성에 더하여, 압축기의 중량 감소도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그로부터 발생하는 제조 비용도 절감된다. 다이어프램 요소 중 하나와 레버 아암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는 각각 샤프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전체는 3개의 상이한 부품만, 즉 베어링 링, 조정 링 및 일체형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은 다이어프램 요소, 레버 아암 및 샤프트를 조합시킨다. 이 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조립이 간소화되고 제조시에 비용상의 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버 아암 및 다이어프램 요소는 베어링 링의 상이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샤프트는 베어링 링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는 레버 아암 또는 다이어프램 요소와 원피스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샤프트, 다이어프램 요소 및 레버 아암은 각각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는 상기 샤프트를 통해 상기 레버 아암에 연결된다. 레버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링의 반경 방향 측면의 리세스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이러한 측면으로 카트리지의 최대 축 방향 연장이 베어링 링의 반경 방향 측방 표면의 영역으로부터 리세스부 없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그들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조정 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들과 조합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는 조정 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베어링 링에 대해 조정 링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정 액추에이터의 컨트롤러는 조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카트리지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이 변화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류 엔진의 속도, 하류 엔진의 토크, 압축기의 속도, 압축기를 통한 체적 흐름, 압축기에서의 압력비, 배기 가스 터빈용 웨이스트게이트의 위치, 배기 가스 터빈의 가변 터빈 기하학적 위치, 및/또는 배기 가스 복귀를 통한 질량 흐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압축기를 갖는 충전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충전 장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일 수 있고, 터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전기적으로 지지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일 수 있고,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베어링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는 터빈과 압축기 사이의 베어링 하우징 영역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전기 모터는 압축기 휠의 축 방향 상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압축기 휠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충전 장치는 또한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압축기는 순수하게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또한 이 경우에 압축기 휠의 축 방향 상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정기구는 전기 모터와 압축기 휠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사항 및 특징은 이어서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1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조정기구의 닫힌 위치에서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조정기구의 열린 위치에서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4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조정기구용의 다이어프램 요소의 복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5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제1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0a는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제2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b는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제3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카트리지의 제2 실시형태의 제1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b는 카트리지의 제2 실시형태의 제2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카트리지의 제2 실시형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경방향 내측부의 구성에 대한 다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조정기구의 닫힌 위치에서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조정기구의 열린 위치에서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4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조정기구용의 다이어프램 요소의 복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제5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제1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0a는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제2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b는 카트리지의 제1 실시형태의 제3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카트리지의 제2 실시형태의 제1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b는 카트리지의 제2 실시형태의 제2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카트리지의 제2 실시형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다이어프램 요소의 반경방향 내측부의 구성에 대한 다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0)의 실시형태가 도면에 기초하여 후술될 것이다. 후술되는 모든 상세 및 이점은 압축기(10) 및 대응하는 압축기를 갖는 충전 장치 모두에 적용된다. 본 출원의 범위에서, 반경 방향 표면/평면은 압축기(10)의 회전축(400)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표면/평면을 의미한다.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먼저, 압축기(10)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된다. 다음에, 상이한 실시형태의 특정의 구성상 특징들을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0)는 압축기 휠(200)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압축기(1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조정기구(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정기구(30)는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 및 조정 링(3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6개, 또는 적어도 8개의 다이어프램 요소(31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흐름 방향으로 압축기 휠(200)의 상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은 가변적으로 변화 가능하기 때문에, 압축기(10)의 각각의 작동 범위에 대응하여 적합시킬 수 있다. 압축기(10)의 서지 한계가 추가로 좌측으로, 따라서 압축기 특성 맵에서 더 낮은 체적 흐름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더 큰 압축기 특성 맵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단일 압축기(1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 감소는 흐름의 가속을 초래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단면의 협소화로 인하여 압축기 휠(200)의 허브 영역에서의 흐름의 분리가 감소 또는 회피될 수 있기 때문에, 더 균일한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의 가변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30)는 압축기(10)의 효율의 증가를 초래하며, 이것은 다음에 하류의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 및/또는 토크 빌드 업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기구(3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대 단면은 조정기구(30)의 제1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a 참조),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소 단면은 조정기구(30)의 제2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 참조). 조정기구(3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이 최대 단면과 최소 단면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정기구(30)의 단지 두개의 위치, 즉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대 단면을 갖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 및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소 단면을 갖는 완전히 폐쇄된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조정기구의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도 2a, 도 2b 또는 도 4 참조), 따라서 조정 링(330)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변위를 일으킨다. 기계적 결합은 포지티브 록킹 및/또는 마찰 로킹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지티브 록킹 연결은 변위 시에 사용된다.
조정기구(30)의 제1 위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1 위치에 대응하며 (도 2a 참조), 조정기구(30)의 제2 위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2 위치에 대응한다 (도 2b 참조). 도 2a 및 도 4에서 매우 명백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그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 (예를 들어, 도 13 참조) 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용 영역에 따라, 또는 압축기(10)의 나머지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또는 압축기(10)의 크기에 따라,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의 흐름 최적화는, 예를 들어, 압축기 휠의 방향으로 점점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경사지거나, 둥글게 되거나,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에 대한 복수의 가능한 구성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312, 314) 상에 대응하는 계합 구조(315)를 추가로 가질 수 있으며 (도 10a 및 도 11a 참조), 상기 계합 기하학적 형상은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치합한다.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에 대한 복수의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단차부 또는 에지부, 대응하는 돌출부, 원추형, 삼각형 또는 둥근 돌출부를 갖는 리세스부, 및 대응하는 리세스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는 조정기구(30)에 더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고, 인접한 다이어프램 요소들(310) 사이에 더욱 양호한 시일성을 보장한다.
마찬가지로,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실시형태 변형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접촉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대 측방 표면(312, 314)과 제2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측방 표면(312, 314)의 적어도 일부분에 시일(316)을 갖는다. 시일(316)은 예를 들어, 시일 프로파일에 접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316)을 계합 기하학적 형상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정 링(330)은 압축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정 링(330)은 예를 들어 압축기 커버 또는 흡기 매니폴드(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커버(120)의 축 방향 돌출부는 조정 링(330) 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는 도 5에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조정 링(330)은 압축기 하우징(100)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은 도 1 내지 도 4의 예에 대하여 가능하다. 조정 링(330)은 압축기 하우징(100) 또는 압축기 커버(120) 내의 반경 방향 외주에 장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조정 링(330)은 압축기 커버(120)의 돌출부 상의 그의 반경 방향 내주에 장착될 수 있다. 구성에 따라, 조정 링(330)의 반경 방향 내주 또는 압축기 커버(12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중 어느 하나는 조정기구(30)의 제1 위치에서의 흐름을 안내한다. 다른 대체형태에서, 조정 링(33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 상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압축기 하우징(100) 또는 압축기 커버(120) 내에는 장착할 수 없음). 도 1 내지 도 5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요소(320)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조정 링(330)의 대응하는 리세스부(332) 내로 돌출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352)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참조)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352) (예를 들어 도 4 참조)를 갖는다. 베어링 링(330)은 상기 헤드(352)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버 아암은, 예를 들어 그의 단부에서 분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기부는 조정 링 상에 배치된 대응하는 핀을 둘러싼다 (이 대체안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도 1, 도 3 및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정 링(330)은 압축기 커버(120)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안내될 수 있다. 구성에 따라, 이것은 압축기 커버(120) (도 5 참조) 또는 압축기 하우징(100)과 조합시킨 압축기 커버(120) (도 1 및 도 3 참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대체안으로, 압축기 하우징(100)의 내벽 상의 돌출부 및/또는 리테이닝 링(미도시)은 조정 링(330)의 축 방향 위치 결정을 위해 압축기 커버(120)와 함께 기능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샤프트(340)를 통해 압축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레버 아암(35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마다 설치되며, 작동적 연결은 전술한 헤드(352)를 통해 확립되며, 레버 아암(350)은 조정 링(330)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전달한다. 또한, 다른 방향으로의 운동의 전달도 가능하다. 이것은 조정기구(30)가 작동되어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가 변위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조정 링(300)은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레버 아암(350)을 통해 회전되고, 조정 링(300)의 회전으로 인해, 나머지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그들의 레버 아암(350)을 통해 작동되어 변위된다. 이러한 유형의 힘 또는 운동 전달을 위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되어 있으며, 결합 부재(500)의 회전 운동은 샤프트(340)를 통해 압축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전달된다.
도 14는 도 1 내지 도 5로부터의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대체 장착을 나타낸다 도 1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는 압축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고, 대신에 압축기 커버 또는 흡기 매니폴드(120)에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정 링(330)의 축방향 안내는 다이어프램 요소(310)와 조합시켜 압축기 커버(120) 상의 칼라(12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축 방향 안내는 칼라(122) 및 베어링 하우징(100)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의 축방향 안내는 압축기 커버(120)와 조합시킨 베어링 하우징(100)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14 참조).
다이어프램 요소는 각각 대응하는 레버 아암(350)을 갖는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는 각각 샤프트(340) 중 하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대응하는 리세스 /구멍에 배치되거나 또는 압입되는 개별 샤프트(340)가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이어프램 요소(310)에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샤프트(340)는 예를 들어 압축기 하우징(100)에서 미리 조립될 수 있으며, 다음에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다시 대응하는 리세스부/구멍에 의해) 미리 조립된 샤프트(340) 상에 배치된다.
다이어프램 요소와 조정 링을 서로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많은 가능성이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과 압축기 하우징(1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과 압축기 하우징(100)의 반경방향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도 4의 대체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정 링(33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 조정 링(33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와 거의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치로 인하여,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축 방향으로) 절약된다.
조정기구(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정기구(3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변경하기 위해 압축기 하우징(100)에 대해 조정 링(33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정 액추에이터는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 및/또는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의 샤프트(340)과 작동 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하우징(100)에 대해 조정 링(33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머지 다이어프램 요소(310)가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작동에서, 하나의 액추에이터는 하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를 변위시키기 위해 하나의 샤프트(340)에 순수한 회전을 전달하는 데 충분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결합 부재(500)를 통해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샤프트(340)로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부가적인 실시형태를 이후에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정기구(30)는 카트리지(300)로 대체된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도면에 기술되고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축기 휠(200)이 배치되는 압축기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압축기(10)가 다시 도시된다. 압축기는 추가로 카트리지(30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30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다. 이것은 카트리지(300)가 흐름 방향에서 볼 때 압축기 휠(200)의 상류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트리지(300)는 계속해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해서도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300)는 또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대 단면은 제1 카트리지 위치에 제공되며 (도 10a 및 도 11a 참조),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소 단면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카트리지 위치에 제공된다. 카트리지(300)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이 최대 단면과 최소 단면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지 두개의 카트리지 위치, 즉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대 단면을 갖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 및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소 단면을 갖는 완전히 폐쇄된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카트리지(300)의 2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이한 도면을 나타내며, 도 8 내지 도 10b는 카트리지(300)의 제1 예의 다른 도면을 나타내며, 도 11a 내지 도 12는 카트리지(300)의 제2 예의 다른 도면을 나타낸다. 두 가지의 경우에, 카트리지(300)는 베어링 링(320), 조정 링(330) 및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6개, 또는 적어도 8개의 다이어프램 요소(31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2 참조). 또한,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원주 방향으로 베어링 링(320)을 거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조정 링(330)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변위를 일으킨다는 것이 도면에 나타낸 카트리지(300)의 두 가지 실시형태에 적용된다. 이 수단에 의해,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1 카트리지 위치 또는 조정기구(30)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와, 제2 카트리지 위치 또는 조정기구(30)의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의 변위일 수 있다. 도 7, 도 10b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이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카트리지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은 베어링 링(320)에 의해 획정된다.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 (예를 들어, 도 9 참조)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 참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312, 314) 상에,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서로 맞물리는 대응하는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서, 상기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은 서로 오프셋되도록 구성된 단차형의 돌출부로서 구성된다. 도 6에는, 이러한 가능성에 추가하여, 상기 언급된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에 대한 추가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실시형태 변형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접촉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대 측방 표면(312, 314)과 제2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측방 표면(312, 314)의 적어도 일부분에 시일(316)을 갖는다. 시일(316)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다이어프램 요소(310) 및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과 조합될 수 있다.
조정 링(330)은 베어링 링(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카트리지(300)는 베어링 링(320)을 통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압축기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예를 들어 베어링 링(320)을 통하여, 및 압축기(10)의 유입구 영역에서 압축기 커버(120)와 조합시켜, 압축기 커버(120)와 압축기 하우징(100)의 반경 방향 표면 사이에 클램프될 수 있다 (도 7 참조).
다이어프램 요소(310)가 샤프트(340)를 통해 베어링 링(320)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회전 가능성이 촉진된다. 이어서 레버 아암(350)은 각 다이어프램 요소(310)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 아암은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조정 링(330)이 작동되면, 레버 아암(350)은이 실시형태에서 조정 링(330)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또는 그 반대로 전달한다.
도 7 내지 도 10b에 나타낸 카트리지(30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버 아암(350) 및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의 상이한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샤프트(340)는 베어링 링(320)을 통해 연장된다. 샤프트(340)는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거나, 레버 아암(350) 또는 다이어프램 요소(310)와 원피스 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모든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샤프트(340)를 통해 레버 아암(350)에 연결된다. 원피스형으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다이어프램 요소(310) 또는 레버 아암(350)은 예를 들어 샤프트(340)에 용접, 나사 결합 또는 리벳 고정되거나 또는 압입을 통해 샤프트(3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340)는 베어링 링(320)의 대응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버 아암(340)의 운동이 샤프트(340)를 통해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전달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카트리지(30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버 아암(350)은 베어링 링(320)의 반경 방향 측방 표면(322)의 리세스부(32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오목한 배치로 인해, 이 측면 상의 카트리지(300)의 최대 축방향 연장은 리세스부(324)가 없는 베어링 링(320)의 반경 방향 측방 표면(322)의 영역으로부터 결정된다. 레버 아암(350) 및 샤프트(340)가 (압축기(10)의 회전축(4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리세스부(324)에 배치되고, 따라서 베어링 링(320)의 측방 표면(322)에 돌출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리세스부(324)를 갖지 않는 측면(322)의 영역은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서의 카트리지(300)의 축 방향 위치 결정 및 고정을 위한 접촉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조정 링(330)은 레버 아암(350)을 통해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 수단에 의해, 조정 링(330)과 베어링 링(320)의 마찰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정 링(330)은 돌출부(326)를 통해 축 방향으로 베어링 링(320) 상에 유지된다 (도 8 참조). 돌출부(326)는 샤프트(340)가 조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 링(320)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 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세스부(324)가 설치되는 경우, 돌출부는 리세스부(324)의 영역에 배치된다. 조정 링(330)은 돌출부(334)를 가지며, 이것은 리세스부(332)의 영역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조정 링(330)을 축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돌출부(326)와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조정 링(330)은 레버 아암(350)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고 낮은 마찰로 장착되며, 조정 링(330)의 돌출부(326) 및 돌출부(334)를 통해 축 방향으로 장착된다.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과 그 결과 생기는 마찰은 비교적 낮다. 반경방향의 마찰은 조정 링(330)을 레버 아암(350)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최소한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레버 아암(350)은 두 가지 기능, 즉 조정 링(330)의 반경 방향 장착과, 조정 링(330)과 다이어프램 요소(310) 사이의 작동적 연결의 발생을 갖는다.
도 11a 내지 도 12에 나타낸 카트리지(30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버 아암(350) 및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베어링 링(320)의 동일한 측면 상에 레버 아암(350) 및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배치로 인해, 카트리지(300) 전체의 축 방향 연장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기 하우징(100) 내의 카트리지(300)에 필요한 설치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설치 공간의 절약 가능성에 더하여, 압축기(10)의 중량 감소도 초래하고, 또한 궁극적으로 그로부터 발생하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카트리지(300)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요소(310) 및 레버 아암(350)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가 설치된다.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는 각각 샤프트(340) 중 하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전체(300)는 3개의 상이한 부품만, 즉 베어링 링(320), 조정 링(330) 및 일체형 구성 요소(360)를 포함하며, 이들은 다이어프램 요소(310), 레버 아암(350) 및 샤프트(340)를 조합시킨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의 제조 및 조립이 단순화되고, 제조시에 비용상의 이점이 생길 수 있다.
카트리지(300)와 함께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0)의 모든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버 아암(350)은 그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어서 레버 아암(350)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조정 링(330)의 대응하는 리세스부(332) 내로 돌출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352)를 갖는다 (도 7 내지 도 9 및 도 11a 내지 도 12 참조).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은, 대신에, 예를 들어 그 단부에서 분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분기부는 조정 링 상에 배치된 대응하는 핀을 둘러싼다 (이 대체안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카트리지(3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카트리지(30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베어링 링(320)에 대해 조정 링(33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본 명세서에서 여러 번 인용되고 모든 실시형태와 조합 가능한 조정 액추에이터를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조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조정기구(30)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이 변화된다.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특정의 제어 변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들 조정 변수는 예를 들어 하류 엔진의 속도, 하류 엔진의 토크, 압축기(10)의 속도, 압축기(10)를 통한 체적 흐름, 압축기(10)에서의 압력비, 배기 가스 터빈용 웨이스트게이트의 위치, 배기 가스 터빈의 가변 터빈 기하학적 위치, 및/또는 배기 가스 복귀를 통한 질량 흐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낮은 온도로 인해, 카트리지(300)를 갖는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조정기구(30)의 모든 또는 개개 구성 요소는 더 낮은 온도를 위한 플라스틱 및/또는 재료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압축기(10)를 갖는 충전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충전 장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일 수 있고, 터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전기적으로 지지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일 수 있고,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베어링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는 터빈과 압축기(10) 사이의 베어링 하우징의 영역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전기 모터는 압축기 휠(200)의 축 방향 상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정기구(30)는 전기 모터와 압축기 휠(2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환언하면, 압축기 휠(200)의 축 방향 상류에 전기 모터를 배치하는 것은 전기 모터가 흐름 방향으로 압축기 휠(200)의 전방/상류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충전 장치도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압축기(10)는 순수하게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또한 이 경우에 압축기 휠(200)의 축 방향 상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정기구(30)는 전기 모터와 압축기 휠(2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이 이상 설명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따라 대안적으로 정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형태 1
충전 장치용 압축기(10)로서,
압축기 휠(200)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100), 및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조정기구(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구(30)는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 및 조정 링(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3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대 단면은 조정기구(30)의 제1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소 단면은 조정기구(30)의 제2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3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이 최대 단면과 최소 단면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조정 링(330)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변위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6
실시형태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기구(30)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조정기구(30)의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7
실시형태 6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그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8
실시형태 6 또는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9
실시형태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312, 314) 상에,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맞물리는 대응하는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0
실시형태 6 내지 9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측방 표면(312, 314)의 적어도 일부분에 시일(316)이 제공되며, 이것은 제2 위치에서 접촉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대 측방 표면(312, 314)과 상호작용하며, 특히, 상기 시일(316)은 시일 프로파일에 접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1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압축기 커버(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특히 상기 압축기 커버(120)의 축 방향 돌출부가 조정 링(33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3
실시형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압축기 커버(120)에 의해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샤프트(340)를 통해 압축기 하우징(100) 또는 압축기 커버(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6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마다 설치되며,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레버 아암(350)은 조정 링(330)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6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와 레버 아암(350)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일체의 원피스(one-piece)형 구성 요소(3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상기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는 각각 샤프트(340)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은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과 압축기 하우징(1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실시형태 21
실시형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특히,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와 거의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3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3
실시형태 22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는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 하우징(100)에 대해 조정 링(33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4
실시형태 22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는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 및/또는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의 샤프트(34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압축기 하우징(100)에 대해 조정 링(33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나머지 다이어프램 요소(31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5
실시형태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의 컨트롤러는 조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조정기구(30)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류 엔진의 속도, 하류 엔진의 토크, 압축기(10)의 속도, 압축기(10)를 통한 체적 흐름, 압축기(10)에서의 압력비, 배기 가스 터빈용 웨이스트게이트의 위치, 배기 가스 터빈의 가변 터빈 기하학적 위치, 및/또는 배기 가스 복귀를 통한 질량 흐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6
충전 장치용 압축기(10)로서,
압축기 휠(200)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100), 및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30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트리지(30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계되는 압축기.
실시형태 27
실시형태 26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8
실시형태 26 또는 실시형태 27에 있어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대 단면은 제1 카트리지 위치에 제공되며, 압축기 유입구(110)의 최소 단면은 제2 카트리지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29
실시형태 28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는 압축기 유입구의 단면이 최대 단면과 최소 단면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0
실시형태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는 베어링 링(320), 조정 링(330) 및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1
실시형태 30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2
실시형태 30 또는 실시형태 3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조정 링(330)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변위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3
실시형태 30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1 카트리지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카트리지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4
실시형태 33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그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5
실시형태 33 또는 실시형태 34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6
실시형태 30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312, 314) 상에,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맞물리는 대응하는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7
실시형태 30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측방 표면(312, 314)의 적어도 일부분에 시일(316) 이 제공되며, 이것은 제2 위치에서 접촉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대 측방 표면(312, 314)과 상호작용하며, 특히, 상기 시일(316)은 시일 프로파일에 접착된 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8
실시형태 30 내지 37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베어링 링(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39
실시형태 30 내지 38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는 베어링 링(320)을 통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압축기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0
실시형태 30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은 제1 카트리지 위치의 베어링 링(320)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1
실시형태 30 내지 40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샤프트(340)를 통해 베어링 링(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2
실시형태 41에 있어서, 레버 아암(350)이 다이어프램 요소(310)마다 설치되며, 상기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레버 아암(350)은 상기 조정 링(330)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3
실시형태 42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 및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4
실시형태 43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 중 하나와 레버 아암(350)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5
실시형태 44에 있어서, 상기 일체의 원피스형 구성 요소(360)는 각각 샤프트(340)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6
실시형태 42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 및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의 상이한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7
실시형태 46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40)는 베어링 링(320)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8
실시형태 46 또는 실시형태 47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40)는 레버 아암(350) 또는 다이어프램 요소(310)와 원피스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49
실시형태 46 또는 실시형태 47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40),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 및 상기 레버 아암(350)은 각각 별개의 구성 성분이며,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은 샤프트(340)를 통해 레버 아암(3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0
실시형태 46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링(320)의 반경 방향 측방 표면(322)의 리세스부(324)에 배치되며, 따라서 이러한 측면으로 카트리지(300)의 최대 축 방향 연장이 베어링 링(320)의 반경 방향 측면의 영역으로부터 리세스부 없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1
실시형태 30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은 그들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2
실시형태 26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3
실시형태 52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는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베어링 링(320)에 대해 조정 링(33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4
실시형태 52 또는 실시형태 53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의 컨트롤러는 조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카트리지(300)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류 엔진의 속도, 하류 엔진의 토크, 압축기(10)의 속도, 압축기(10)를 통한 체적 흐름, 압축기(10)에서의 압력비, 배기 가스 터빈용 웨이스트게이트의 위치, 배기 가스 터빈의 가변 터빈 기하학적 위치, 및/또는 배기 가스 복귀를 통한 질량 흐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실시형태 55
선행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압축기(10)를 갖는 충전 장치.
실시형태 56
실시형태 55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이고, 추가로 터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실시형태 57
실시형태 56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전기적으로 지지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이고,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실시형태 58
실시형태 57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터보차저는 추가로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모터는 터빈과 압축기 사이의 베어링 하우징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실시형태 59
실시형태 57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압축기 휠(200)의 축 방향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조정기구(30)는 전기 모터와 압축기 휠(2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실시형태 60
실시형태 55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10)는 순수하게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실시형태 61
실시형태 60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압축기 휠(200)의 축 방향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조정기구(30)는 전기 모터와 압축기 휠(2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Claims (15)
- 충전 장치용 압축기(10)로서,
압축기 휠(200)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100), 및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30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트리지(300)는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계되는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는 베어링 링(320), 조정 링(330) 및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조정 링(330)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변위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샤프트(340)를 통해 베어링 링(3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아암(350)이 다이어프램 요소(310)마다 설치되며, 상기 조정 링(3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레버 아암(350)은 상기 조정 링(330)의 운동을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요소(31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50) 및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레버 아암(350) 및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베어링 링(320)의 상이한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340)가 베어링 링(320)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충전 장치용 압축기(10)로서,
압축기 휠(200)이 배치되어 있는 압축기 하우징(100), 및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압축기 유입구(110)의 영역에서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조정기구(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구(30)는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다이어프램 요소(310), 및 조정 링(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조정 링(330)의 운동, 특히 회전이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변위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330)은 압축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특히 상기 조정 링(330)이 압축기 커버(1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조정 링(330)이 다이어프램 요소(310)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조정 링(330)과 압축기 하우징(100)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조정 링(330)은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특히,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와 거의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며, 특히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그들이 함께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원형 단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측벽(318)은 제2 위치에서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을 획정하며, 흐름 최적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요소(310)는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측방 표면(312, 314) 상에, 다이어프램 요소(310)의 제2 위치에서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맞물리는 대응하는 계합 기하학적 형상(3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0) 또는 상기 조정기구(3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의 컨트롤러는 조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결과적으로 카트리지(300) 또는 조정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 유입구(110)의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류 엔진의 속도, 하류 엔진의 토크, 압축기(10)의 속도, 압축기(10)를 통한 체적 흐름, 압축기(10)에서의 압력비, 배기 가스 터빈용 웨이스트게이트의 위치, 배기 가스 터빈의 가변 터빈 기하 위치, 및/또는 배기 가스 복귀를 통한 질량 흐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기(10)를 갖는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6123989.5 | 2016-12-09 | ||
DE102016123989 | 2016-12-09 | ||
DE102017209223 | 2017-05-31 | ||
DE102017209223.8 | 2017-05-31 | ||
PCT/US2017/064580 WO2018106620A1 (en) | 2016-12-09 | 2017-12-05 | Compressor with variable compressor in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467A true KR20190092467A (ko) | 2019-08-07 |
KR102467417B1 KR102467417B1 (ko) | 2022-11-15 |
Family
ID=6093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8754A KR102467417B1 (ko) | 2016-12-09 | 2017-12-05 | 가변 압축기 유입구를 갖는 압축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105218B2 (ko) |
EP (1) | EP3551892B1 (ko) |
JP (1) | JP7078624B2 (ko) |
KR (1) | KR102467417B1 (ko) |
CN (1) | CN109416056B (ko) |
WO (1) | WO20181066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16311A1 (de) | 2017-09-14 | 2019-03-14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Radialverdichter für eine Auflade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Aufladevorrichtung und Lamelle für einen Irisblendenmechanismu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Lamelle |
DE102017216329A1 (de) * | 2017-09-14 | 2019-03-14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Radialverdichter mit einem Irisblendenmechanismus für eine Aufladevorrichtung eines Verbrennungsmotors, Aufladevorrichtung und Lamelle für den Irisblendenmechanismus |
CN209340138U (zh) * | 2018-02-27 | 2019-09-03 | 博格华纳公司 | 调节机构和压缩机 |
CN110439843B (zh) | 2018-05-02 | 2023-02-17 | 博格华纳公司 | 压缩机入口装置 |
US10774677B2 (en) * | 2018-05-29 | 2020-09-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 variable inlet compressor |
US10774676B2 (en) * | 2018-05-29 | 2020-09-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 variable inlet compressor |
DE102018211091A1 (de) * | 2018-07-05 | 2020-01-09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Brennkraftmaschine |
DE102018211094A1 (de) * | 2018-07-05 | 2020-01-09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Brennkraftmaschine und Kraftfahrzeug |
CN210122961U (zh) * | 2018-11-12 | 2020-03-03 | 博格华纳公司 | 操纵装置、调整机构、压缩机和增压装置 |
CN111255558A (zh) | 2018-12-03 | 2020-06-09 | 福特全球技术公司 | 具有入口子组件的涡轮增压器 |
GB2597185B (en) * | 2019-04-15 | 2023-05-17 | Wuxi Cummins Turbo Tech Company Ltd | Compressor |
US20200340497A1 (en) * | 2019-04-26 | 2020-10-29 |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 Turbocharger having adjustable-trim centrifugal compressor including air inlet wall having cavities for suppression of noise and flow fluctuations |
CN113994101B (zh) * | 2019-10-09 | 2024-02-23 | 株式会社Ihi | 离心压缩机 |
JP7298703B2 (ja) * | 2019-10-09 | 2023-06-27 | 株式会社Ihi | 遠心圧縮機 |
EP3869020A1 (de) | 2020-02-24 | 2021-08-25 | BMTS Technology GmbH & Co. KG | Verdichter |
WO2022054598A1 (ja) * | 2020-09-09 | 2022-03-17 | 株式会社Ihi | 遠心圧縮機および過給機 |
DE112022000636T5 (de) * | 2021-06-09 | 2023-12-21 | Ihi Corporation | Zentrifugalkompressor und turbolader |
DE112022002106T5 (de) * | 2021-08-12 | 2024-04-11 | Ihi Corporation | Zentrifugalverdichter und Turbolader |
US11555502B1 (en) * | 2021-08-13 | 2023-01-17 | Carrier Corporation | Compressor including inlet guide van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22668A (en) * | 1976-07-22 | 1978-10-3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Iris control for gas turbine engine air brake |
US20140308110A1 (en) * | 2011-11-14 | 2014-10-16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Adjustable compressor trim |
JP2016537565A (ja) * | 2013-11-18 | 2016-12-01 | グリー エレクトリック アプライアンス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ブ チューハイ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 遠心式圧縮機及び遠心式ウォーターチリング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61303A1 (en) | 2003-05-01 | 2006-11-23 | Bishop Innovation Limited | Throttle valve |
DE102004057864A1 (de) * | 2004-11-30 | 2006-06-01 | Borgwarner Inc.(N.D.Ges.D.Staates Delaware), Auburn Hills | Abgasturbolader, Leitapparat für einen Abgasturbolader sowie Schaufelhebel für einen Leitapparat |
EP1719887A1 (de) | 2005-05-04 | 2006-11-08 | ABB Turbo Systems AG | Auflade-Regelung für Verbrennungsmotor |
DE102012011423B3 (de) * | 2012-06-08 | 2013-11-07 | Audi Ag | Verdicht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dichten von Zuluft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eines Fahrzeugs |
JP6588826B2 (ja) * | 2012-11-23 | 2019-10-09 |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 |
US9988975B2 (en) * | 2013-03-11 | 2018-06-05 | Borgwarner Inc. | Exhaust-gas turbocharger |
US20140363278A1 (en) * | 2013-06-11 | 2014-12-11 | Deere & Company |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control system |
BE1022401B1 (nl) * | 2014-09-19 | 2016-03-24 |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 Inlaatklep voor een compressor |
US9845723B2 (en) * | 2014-11-24 | 2017-12-19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Adjustable-trim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having same |
US9708925B2 (en) * | 2014-12-17 | 2017-07-1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Adjustable-trim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having same |
JP6413858B2 (ja) * | 2015-03-17 | 2018-10-31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遠心圧縮機のインペラトリム比可変機構 |
US10465706B2 (en) * | 2016-04-19 | 2019-11-05 |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 Adjustable-trim centrifugal compressor for a turbocharger |
-
2017
- 2017-12-05 JP JP2019530075A patent/JP7078624B2/ja active Active
- 2017-12-05 EP EP17826001.4A patent/EP3551892B1/en active Active
- 2017-12-05 US US16/467,806 patent/US11105218B2/en active Active
- 2017-12-05 CN CN201780018666.1A patent/CN109416056B/zh active Active
- 2017-12-05 WO PCT/US2017/064580 patent/WO2018106620A1/en unknown
- 2017-12-05 KR KR1020197018754A patent/KR1024674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22668A (en) * | 1976-07-22 | 1978-10-3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Iris control for gas turbine engine air brake |
US20140308110A1 (en) * | 2011-11-14 | 2014-10-16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Adjustable compressor trim |
JP2016537565A (ja) * | 2013-11-18 | 2016-12-01 | グリー エレクトリック アプライアンス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ブ チューハイ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 遠心式圧縮機及び遠心式ウォーターチリングユニ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06620A1 (en) | 2018-06-14 |
CN109416056B (zh) | 2022-01-11 |
EP3551892A1 (en) | 2019-10-16 |
US20200011196A1 (en) | 2020-01-09 |
KR102467417B1 (ko) | 2022-11-15 |
US11105218B2 (en) | 2021-08-31 |
JP2019536939A (ja) | 2019-12-19 |
JP7078624B2 (ja) | 2022-05-31 |
CN109416056A (zh) | 2019-03-01 |
EP3551892B1 (en) | 2023-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7417B1 (ko) | 가변 압축기 유입구를 갖는 압축기 | |
US11624315B2 (en) | Valve assembly for multi-channel turbine | |
CN111133199B (zh) | 用于内燃机的增压装置的压缩机、节气门模块和用于内燃机的增压装置 | |
JP2010531957A (ja) | 可変容量ターボチャージャ | |
CN111201379B (zh) | 用于内燃发动机的增压装置的压缩机和用于内燃发动机的增压装置 | |
CN111148903A (zh) | 用于内燃发动机的增压装置的具有虹膜式隔板机构的径流式压缩机、增压装置和虹膜式隔板机构的叶片 | |
US7458764B2 (en) | Nozzle device for a turbocharger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 |
JP5807037B2 (ja) | 可変ノズルターボチャージャ | |
US10900497B2 (en) | Compressor for a charging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harg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WO2013072727A1 (en) | Variable nozzle mechanism | |
JP2009114986A (ja) | 過給機 | |
WO2018200611A1 (en) | Compressor with variable compressor inlet | |
CN210122961U (zh) | 操纵装置、调整机构、压缩机和增压装置 | |
US20130323041A1 (en) | Exhaust-gas turbocharger | |
CN211202113U (zh) | 致动器组件、涡轮机和排气涡轮增压器 | |
US12037916B2 (en) | Turbine housing | |
WO2019168754A1 (en) | Compressor inlet adjustment mechanism | |
CN111033011B (zh) | 涡轮机旁通阀 | |
JP4816481B2 (ja) |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 |
CN219317011U (zh) | 调节环、可变截面涡轮、涡轮机和增压设备 | |
JPH064033Y2 (ja) | 可変容量タ−ボ過給装置 | |
KR101764731B1 (ko) | 터보차저용 액추에이터 | |
KR101509429B1 (ko) |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액추에이터 | |
KR20210063917A (ko) | 베인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갖는 터보 차저 | |
KR101870140B1 (ko) | 복원부재 고정돌기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 터보차져의 전기식 액추에이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