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080231A -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 Google Patents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231A
KR20190080231A KR1020170182565A KR20170182565A KR20190080231A KR 20190080231 A KR20190080231 A KR 20190080231A KR 1020170182565 A KR1020170182565 A KR 1020170182565A KR 20170182565 A KR20170182565 A KR 20170182565A KR 20190080231 A KR20190080231 A KR 2019008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ntainer
holder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신환
Original Assignee
윤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신환 filed Critical 윤신환
Priority to KR102017018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231A/en
Publication of KR2019008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23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7/00Kinds or types of packag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67/02Clips or clamps for holding articles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and a holder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n engagement method comprise: a holder having protrusions for fixing a container formed on each of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except for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container enabling a fix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to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One side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can have a corresponding shape to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coupling the protrusions for fixing a container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holder to the fixing groove.

Description

맞물림 방법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a holder,

본 발명은 서로 맞물리는 홈과 돌기를 이용한 탈부착 하는 방식을 적용한 용기와 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a holder to which a detachable attachment method using grooves and projections engaging with each other is applied.

종래에는 벽면에 물건을 걸어 놓거나 올려 놓기 위해서는 선반이나 다양한 형태의 홀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선반은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Conventionally, shelves or various types of holder products are used to hang or place objects on a wall. However, shelv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various in size and shape and occupy a lot of space.

또한, 종래의 홀더 제품의 경우 물건을 걸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홀더가 물건의 둘레를 감싸서 걸어 두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물건이 무게가 높거나 디스펜서 용기와 같이 사용 중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물건이 홀더 제품에서 떨어지는 위험성을 보유하고, 물건의 둘레를 감싸는 방식은 해당 둘레에 맞는 물건만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을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holder product, a method of hanging a product or a method of holding the holde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product is widely used. However, such a method has the risk that when the object is heavy or when the object is compressed by the dispenser container, the object may fall off the holder, and the method of wrapping the object around the object may be used only for the object And has limitations.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50911 호(명칭: 다용도 자석홀더)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50911 (entitled: Multipurpose Magnet Holder)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용기를 걸고 사용하더라도 용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결합 방식이 적용된 용기 및 홀더를 구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and a holder to which a coupling metho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weight of a container is applied even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us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에 있어서 상하면을 제외한 복수의 측면들 각각에 용기 고정용 돌기가 형성된 홀더; 및 측면에 용기 고정용 돌기에 대응되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고, 홀더의 일 측면과 용기의 측면은 홀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용기 고정용 돌기와 고정용 홈의 결합에 의해 홀더의 일 측면과 용기의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and a holder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n engaging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side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container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fixing grooves, And may include corresponding shapes such that the side surfaces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를 사용하면 복수 개의 용기를 한번에 보관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용기를 거치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무게를 견딜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ontainer and a holder which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n engaging manner, a plurality of containers can be stored at one time, and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장착된 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용기 및 홀더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형성되는 다양한 고정 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맞물림 방식을 적용한 용기 및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mounted o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2 is a view of a separate container and hold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fixing grooves formed in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5B illustrate a container and holder to which other engagement schemes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ame scope of the invention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장착된 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mounted o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용기(200)와 이를 고정하는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iner 200 and a holder 100 for fixing the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홀더(100)는 복수의 측면을 가지는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에는 용기(200)가 장착될 수 있다. 모든 면에 용기(200)가 부착될 필요는 없으나, 최소 하나 이상의 용기(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홀더(100)의 4면에 각각 4개의 용기(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으나, 사용 용도에 따라 홀더(100)의 측면을 증가시켜 더 많은 용기(200)가 장착될 수 있게 디자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200)를 장착할 수 있는 숫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holder 10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the contai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container 200 is attached to all side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only if at least one container 200 can be mount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four containers 200 may be mounted on each of four sides of the holder 100. Howev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side of the holder 100 may be increased, Can be designed to be mounted. Thus, the number in which the container 200 can be mounte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홀더(100)의 측면은 용기(200)와 손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용기(200)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기둥의 형태를 지니는 용기(200)에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100)의 측면도 오목한 곡면의 형태를 구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선택적 실시예로 용기(200)의 측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면, 홀더(100)도 평평한 측면을 지닐 수 있다. 그 외 홀더(1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할 도 3을 통해 진행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so as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container 200.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has a curved surface shape so as to be smoothly coupled to the container 200 having a cylindrical shape. However, i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has a flat shape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holder 100 may also have a flat side surface. The holder 100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서의 용기(200)는 외벽을 지닌 물건을 담는 그릇을 뜻한다. 예컨대 컵 또는 병의 형태를 지닌 물건을 뜻할 수 있다. 용기(2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할 도 4를 통해 진행하도록 한다.The contain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ntainer for holding an object having an outer wall. For example, a cup or a bottle. A further description of the container 200 is given in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용기 및 홀더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of a separate container and hold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와 용기(200)는 각각 고정용 돌기(101)와 고정용 홈(20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older 100 and the container 200 may include fixing projections 101 and fixing grooves 201,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용 돌기(101)는 홀더(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용기(200)의 고정용 홈(201)과 결합하여 홀더(100)에 용기(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fixing protrusion 101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and engages with the fixing groove 201 of the container 200 to fix the container 200 to the holder 100.

도 2에서 제시된 고정용 돌기(101)는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실용성이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사각형이나 다른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용 돌기(101)의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고정용 돌기(101)가 원형 외 다른 형태를 가진다면, 후술할 고정용 홈(201)도 고정용 돌기(101)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Although the fixing protrusion 101 shown in FIG. 2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 square or another shape may be adopted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ity and aesthetics. Therefore,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101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f the fastening protrusion 101 has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the fastening groove 201 to be described later must also be made to conform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01. [

또한, 고정용 돌기(101)의 외주면 상측은 고정용 홈(201)에 삽입된 후 고정용 홈(201)이 보유한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하측보다 두껍게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rojection 101 can be made thicker than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be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held by the fixing groove 201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01.

고정용 홈(201)은 용기(200)의 옆면에 구비되어 홀더(100)의 고정용 돌기(101)를 걸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ing groove 20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and serves to hang the fixing protrusion 101 of the holder 100.

또한, 고정용 홈(201)의 일측은 고정용 돌기(101)가 삽입되기 위해 고정용 돌기(101)의 외주면 상측 너비보다 넓게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용 홈(201)의 일측에서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일자형 가이드 홈이 더 연장되고, 가이드 홈에는 고정용 돌기(101)의 외주면 상측을 슬라이드 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부를 보유하고 있다.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should be made wid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01 for the fixing protrusion 101 to be inserted. Further, a linear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urther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and the guide groove has a latching portion capable of sliding and fixing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rojection 101. [

고정용 돌기(101)와 고정용 홈(201)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생성될 수 있기에, 해당 개수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나, 원활한 탈부착을 위해 고정용 돌기(101)와 고정용 홈(201)의 위치와 개수가 서로 매핑해야만 한다.Since the number of the fixing projections 101 and the fixing grooves 201 can be formed by one or more than one, the number of the fixing projections 101 and the fixing grooves 201 are not limited, Must be mapped to each other.

홀더(100)에 용기(200)를 부착는 방법은 고정용 돌기(101)가 고정용 홈(201)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용기(200)를 홀더(100)에 밀착시킨 후 홀더(100)의 고정용 돌기(101)가 고정용 홈(201)의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200)를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여기서 선택적 실시예로 용기(200) 및 홀더(100)가 맞닿는 부분이 평평하다면, 용기(200)를 슬라이드 하는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method of attaching the container 200 to the holder 100 is such that the container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100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01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The container 200 is rotated and fixed so that the projection 101 is sli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and fixed. Here, if the portion where the container 200 and the holder 100 contact with each other is flat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ainer 200 can be fixed by a method of sliding.

반대로 홀더(100)에서 용기(200)를 탈착하는 방법은 용기(200)를 부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용 돌기(101)가 고정용 홈(201)의 일측으로 이동 시킨 후 홀더(100)에서 용기(200)를 탈착하게 된다.Conversely, in the method of detaching the container 200 from the holder 100, the fixing protrusion 101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iner 200 is attached so as to move the fixing protrusion 101 to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100 to remove the container 200.

또한, 고정용 홈(201)은 선택적 실시예로 고정용 홈(201)의 타측이 일측보다 아래로 경사가 형성되어 고정용 돌기(101)가 고정용 홈(201)의 타측에 고정 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The fixing groove 201 is an optional embodiment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is inclined downward than one side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201 is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고정용 돌기(101)와 고정용 홈(201)이 앞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형상을 구비하여 결합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후술할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xing projections 101 and the fixing grooves 201 may have different shapes from those described above, and this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는 고정용 홈(101), 손잡이(102), 손잡이 고정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holder 100 may include a fixing groove 101, a handle 102, and a handle fixing part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그림 (a) 및 그림 (b)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다면체 기둥의 형태를 지닐 수 있으며, 옆면은 용기(200)가 밀착될 수 있는 형태를 지닐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 and 1 (b), the holder 100 may have a polyhedral shape and the side surface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ontainer 200 can be closely contacted.

그림 (a)를 참조하면, 고정용 돌기(101)는 홀더(100)의 옆면에 위치하고,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경우 용기(200)를 부착 시 서로 고정용 돌기(101)가 서로 간섭 받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fixing protrusions 101 are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and when the containers 200 are attached, the fixing protrusions 101 ar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

홀더(100)의 상단면에는 홀더(100)를 걸거나 손으로 들기 위한 핸들(102)이 존재한다. 핸들(102)은 핸들 고정부(103)에 장착되고 핸들 고정부(103)는 홀더(100)의 상단면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핸들 고정부(103)는 홀더(100)의 상단면과 결합하여 요(yaw)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핸들 고정부(103)에 구비된 핸들(102)은 피치(Pitch)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핸들(102)은 홀더(100)의 바디 부분이 연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핸들(102) 자체가 생략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re is a handle 102 for holding or lifting the holder 100. The handle 102 is attached to the handle fixing portion 103 and the handle fixing portion 103 is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 The handle fixing portion 103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yaw direction by engaging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lder 100 and the handle 102 provided in the handle fixing portion 103 may be rotated in a pitch Pitch) direction. In other alternative embodiments, the handle 102 may be embodied in an extended form of the body portion of the holder 100, and 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handle 102 itself may be omitted.

핸들(102)은 통상적인 사용자의 손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와 굵기로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걸이를 목적으로 제작된다면, 제품을 걸 수 있는 길이와 굵기로 제작될 수 있다. 결국 핸들(102)의 형태나 크기 혹은 구비 여부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이다.The handle 102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and a thickness that can correspond to the size of a conventional user's hand, and may be made of a length and thickness that allows the product to be hooked if it is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hooking. As a result, the shape, size, or the like of the handle 102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형성되는 다양한 고정 홈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fixing grooves formed in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200)는 고정용 홈(201)과 개구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groove 201 and an opening 202.

본 발명에서 용기(200)란 앞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병이나 컵과 같은 외벽을 지닌 물건을 담는 그릇을 뜻한다. 개구부(202)는 용기(200)에서 출입구를 뜻할 수 있고,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덮개나 디스펜서와 같은 부속 부품이 개구부(20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용기는 고정용 홈(201)을 더 포함하는 그릇을 뜻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200 refers to a container for holding an object having an outer wall such as a bottle or a cup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202 may refer to an entrance in the container 200, and an accessory part such as a lid or a dispenser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202,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o be used. In addition, the container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fixing groove 201. [

용기(200)의 옆면에는 고정용 홈(20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용 홈(201)은 일측은 그림 (a)와 같은 원형을 가질 수 있고, 사용 용도나 디자인적인 측면을 위해 그림 (b)와 같은 사각형의 형태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용 홈(201)은 하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될 수 있기에 예컨대 그림 (c)와 같이 그림 (a)나 그림 (b)와 비교하여 더 많은 수의 고정용 홈(201)이 구비될 수 있다.A fixing groove 201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201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a),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b) for purposes of use or design. Since the fixing grooves 20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one or more than two, the fixing grooves 201 may be provided with a larger number of fixing grooves 201 as compared with the drawing (a) or the drawing (b) have.

고정용 홈(201)은 용기(200)와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고정용 홈(201)이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해야만 한다.The fixing grooves 201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container 200. When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01 are provided, the fixing grooves 201 should be formed in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그림 (d)는 용기(200)의 상단면을 간단하게 도식화한 도면으로, 상단에는 개구부(202)가 위치할 수 있다.Figure (d) is a simplified diagram of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and the opening 202 may be located at the top.

도면상의 개구부(202)는 용기(200)의 상단면에서의 일정 크기의 작은 사이즈로 표현되었으나, 통상적으로 개구부(202)의 형태나 크기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를 않는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용기(200)가 사용되는 용도에 맞게 구비될 수 있다는 것으로, 예컨대 컵의 용도로 사용한다면, 상단면 전체가 개구부(202)가 될 것이며, 병의 용도나 디스펜서가 장착되면 도면상의 예시와 같이 용기(200) 상단면의 일부만 차지하는 개구부(202)가 형성될 것이다.Although the opening 202 in the drawing is represented by a small size of a certain siz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202 do not usually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container 200 is used for a cup, the entire top surface will be the opening 202. When the bottle 200 is used or the dispenser is mounted, An opening 202 that occupies only a part of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will be formed.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맞물림 방식을 적용한 디스펜서 용기 및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5a-5b illustrate dispenser containers and holders employing other engagement schem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살펴보면, 다른 맞물림 방식이 적용된 용기(200) 및 홀더(100)는 고정용 홈(201), 고정용 돌기(101), 손잡이(1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container 200 and the holder 100 to which another engaging method is applied may include a fixing groove 201, a fixing projection 101, and a handle 102.

홀더(100)에 구비되는 고정용 돌기(101)는 이전의 도면에서 서술한 형태와 다른 ㅗ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홀더(100)의 상단면 모서리부터 고정용 홈(201)을 가이드 하기 위한 종방향의 고정용 돌기(101)가 형성되어 홀더(100)의 하단면 모서리까지 이어지게 되고, 홀더(100)의 하단면 모서리부분에 위치한 고정용 돌기(101)의 일부분은 상단에서 가이드 되어 내려오는 용기(200)를 받치기 위해 고정용 돌기(101)의 상단보다 하단의 폭이 넓게 구비되어 ㅗ자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101 provided in the holder 100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in the previous figures. A longitudinal fixing protrusion 101 for guiding the fixing groove 201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is formed to extend to the edg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holder 100, A por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101 positioned at the lower end edge of the fixing protrusion 101 is provided at a lower width tha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01 so as to support the container 200 guided at the upper end thereof, It can have the shape of a person.

고정용 홈(201)은 앞에서 설명한 고정용 돌기(101)에 대응하여 맞물린 후 슬라이드되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용기(200)의 하단면 모서리부터 상단면 모서리까지 ㅗ자형 고정용 돌기(101)를 장착할 수 있는 형태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201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slidably fitted after being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101 described above. 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oove in the form of being able to mount the tab-shaped fixing projections 101 from the bottom edge of the container 200 to the edge of the top edge.

여기서 고정용 홈(201)은 두 가지 특징을 더 가질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고정용 홈(201)을 고정용 돌기(101)에 손쉽게 장착하기 위해 고정용 홈(201)의 상단과 다르게 하단에 경사각을 형성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용기(200)의 고정용 홈(201) 하단과 고정용 돌기(101) 상단을 맞대었을 때 고정용 홈(201)에 구비된 경사각이 고정용 돌기(101)의 중앙으로 미끄러지듯 가이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the fixing groove 201 may have two other features. First, in order to easily mount the fixing groove 201 to the fixing projection 101, Thereby forming an inclination angle.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touches the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201 of the container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rojection 10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xing groove 201 slides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rojection 101, I can do it.

도 5b를 참조하여 두 번째 특징을 설명하면, 고정용 홈(201)에 구비되는 양쪽 걸림부 표면부에는 보조 돌기(203)가 최소 한쌍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 보조 돌기(203)는 고정용 홈(201)에 장착되는 고정용 돌기(101)를 압박하여 홀더(100)에 용기(200)가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at least one pair of auxiliary protrusions 203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portions of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fixing groove 201. The auxiliary protrusion 203 can press the fixing protrusion 101 mounted on the fixing groove 201 and increase the fixing force so that the container 2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holder 100.

선택적 실시예로, 보조 돌기(203)는 도 4에서 서술한 고정용 홈(201)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때도 고정용 돌기(101)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auxiliary projection 203 may be applied to the fixing groove 201 described in Fig. 4, and at this time, it may also be used for fixing the fixing projection 101. Fig.

도 5a의 맞물림 방식이 적용된 용기(200)를 홀더(100)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용기(200)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용 홈(201)을 홀더(100)의 상단에 위치한 고정용 돌기(101)의 정중에 걸고, 용기(200)를 아래로 슬라이드하여 장착하게 된다. A method of attaching the container 200 to which the engagement method of FIG. 5A is applied to the holder 10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ixing groove 201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00, And the container 200 is slid down to be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101.

상기 도면상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고정용 돌기(101)는 용기(200)에, 고정용 홈(201)은 홀더(100)에 구비되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 101 may be provided in the container 200 and the fixing groove 201 may be provided in the holder 100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홀더 200: 용기
101: 고정용 돌기 201: 고정용 홈
102: 핸들 202: 개구부
100: holder 200: container
101: Fixing projection 201: Fixing groove
102: handle 202: opening

Claims (8)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에 있어서
상하면을 제외한 복수의 측면들 각각에 용기 고정용 돌기가 형성된 홀더; 및
측면에 상기 용기 고정용 돌기에 대응되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 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일 측면과 상기 용기의 측면은
상기 홀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용기 고정용 돌기와 상기 고정용 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의 일 측면과 상기 용기의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In containers and holders that are detachably attached in an engaging manner
A holder having a container fix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of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excluding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container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with fix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fixing projections;
Lt; / RTI >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sid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hold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engagement of the container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fix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홈은 일측에서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 후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고정되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groove is slidably fix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fter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홈의 일측은 상기 고정용 돌기의 형상에 매핑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용 돌기가 슬라이드 되어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is mapped to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And the other side has a shap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slidable and can be fixed after being mo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용기가 결합하는 일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용 돌기와 고정용 홈의 위치와 개수가 서로 매핑되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sition and a number of the fixing protrusions and the fixing groov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container are mapped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용 홈은 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홈의 타측이 일측보다 아래로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를 타측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is inclined downward than the one side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is fixed to the other si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상기 용기의 상단 모서리부터 하단 모서리까지 종 방향의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용기의 하단 일측부터 하단 모서리까지 상기 고정용 돌기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 홈의 폭보다 넓은 홈을 가지는 상기 고정용 홈이 대체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고정용 홈에 매핑하는 형태의 상기 고정용 돌기가 대체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ainer has a longitudinal guide groove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to a lower edg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 groove wider than a width of the guide groove for fixing the fixing protrusion from a lower end to a lower edge of the container, Grooves may be provided to be replaced,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that is mapped to the fixing groove, the fixing protrusion being replaceab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홈의 걸림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를 장착 시 상기 고정용 돌기를 압박하여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보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has an auxiliary protrusion for pressing the fixing protrusion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mount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홈의 하단에 위치한 걸림부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가 손쉽게 상기 고정용 홈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를 유도하기 위한 경사각을 상기 고정용 홈 하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물림 방식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has an inclination angle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can be easi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groove, And a holder.
KR1020170182565A 2017-12-28 2017-12-28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Ceased KR201900802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65A KR20190080231A (en) 2017-12-28 2017-12-28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65A KR20190080231A (en) 2017-12-28 2017-12-28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31A true KR20190080231A (en) 2019-07-08

Family

ID=6725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65A Ceased KR20190080231A (en) 2017-12-28 2017-12-28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2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14B1 (en) * 2019-08-28 2020-02-25 박은지 Air freshener device for indoor and car with cartridg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911A (en) 2013-11-01 2015-05-11 김병국 Multipurpose magnetic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911A (en) 2013-11-01 2015-05-11 김병국 Multipurpose magnetic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14B1 (en) * 2019-08-28 2020-02-25 박은지 Air freshener device for indoor and car with cartrid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760B2 (en) Container retaining device
US8317021B2 (en) Tool set package
USD838162S1 (en) Elastic cable holder
USD861482S1 (en) Container holder
US10173808B2 (en) Bucket handle retainer
US10085539B2 (en) Shaving razor tray
AU2017220819B9 (en) System for holding a container
USD905518S1 (en) Handle with hook
US20150158173A1 (en) Tool box
USD902842S1 (en) Bioelectrochemical reactor
USD461288S1 (en) Paint tray with brush holder
USD727712S1 (en) Drawer handle with label indentation
KR20190080231A (en)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USD895317S1 (en) Holder for tape rolls
US9815614B2 (en) Knitting needle storage device
US20160107308A1 (en) Tool bit tray
US10939746B2 (en) Rotatable hook assembly
KR20160070765A (en) Cleaning-tool case, and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KR20180112663A (en) Cleaning device
USD1034464S1 (en) Cable storage container
US20190247086A1 (en) Needle groove body, puncture frame body and puncture frame
KR200472328Y1 (en) Holder for holding a shelf to a rail
KR200481845Y1 (en) Container for kitchen
KR20170004196U (en) Disposable Food Packing Container
USD842650S1 (en) Chicken retrieval 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