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559A -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와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3559A KR20190073559A KR1020197016128A KR20197016128A KR20190073559A KR 20190073559 A KR20190073559 A KR 20190073559A KR 1020197016128 A KR1020197016128 A KR 1020197016128A KR 20197016128 A KR20197016128 A KR 20197016128A KR 20190073559 A KR20190073559 A KR 20190073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supply circuit
- voltage
- curren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9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r a synchronous freewheeling circui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16—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 H02M1/0022—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the disturbance parameters being input voltage fluctuations
-
- H02M2001/0009—
-
- H02M2001/00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1차 정류 유닛, 변조 유닛, 변압기,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전류 피드백 유닛 및 전류 수집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1차측의 액체 전해 커패시터를 제거하고, 당해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류 값이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전류 피드백 유닛에 이해 출력된 피드백 전압에 따라 출력 전류가 언제에 피크값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 전류의 피크값의 크기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충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 제공 회로는 통상적으로 1차 전환 유닛 및 2차 전환 유닛을 포함한다. 1차 전환 유닛은 일반적으로 1차 정류 유닛 및 1차 필터링 유닛을 포함한다. 1차 필터링 유닛은 통상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대용량 액체 전해 콘덴서(예를 들어 액체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사용하여 1차 정류된 전압에 대해 1차 필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
액체 전해 콘덴서는 수명이 짧고, 쉽게 폭발하는 등 결함을 가지고 있어, 전통적인 전원 제공 회로의 사용 수명이 짧고, 안전하지 못하는 것을 초래한다.
본 출원은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와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전원 제공 회로의 사용 수명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측면은 전원 제공 회로를 제공하고, 입력된 교류 전기를 정류하여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1차 정류 유닛;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유닛; 상기 제2 전압에 따라 제3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압기; 상기 제3 전압을 정류 및 필터링하여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상기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변조 유닛에 피드백 전압을 송신하기 위한 전류 피드백 유닛;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 이하로 한정하기 위한 변조 유닛; 및 상기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기 위한 전류 수집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은 전원 제공 기기를 제공하고, 제1 측면과 같은 전원 제공 회로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은 전원 제공 회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전원 제공 회로는 1차 정류 유닛, 변조 유닛, 변압기,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및 전류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고, 입력된 교류 전기를 정류하여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1차 정류 유닛;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유닛; 상기 제2 전압에 따라 제3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압기; 상기 제3 전압을 정류 및 필터링하여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상기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변조 유닛에 피드백 전압을 송신하기 위한 전류 피드백 유닛;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 이하로 한정하기 위한 변조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는 1차측의 액체 전해 콘덴서를 제거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체적을 줄이고, 전원 제공 회로의 사용 수명과 안전성을 향상한다. 나아가,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전류 피드백 유닛에 의해 출력된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가 언제에 피크값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 전류의 피크값의 크기를 관리하고 제어는데 기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변조할 제1 전압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전통적인 전원 제공 회로의 변조 전후의 전압 파형의 대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전압이 변조되어 취득한 제2 전압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2차 정류 필터링을 거친 출력 전류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전압, 비교기의 출력 신호 및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의 신호 타이밍 관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전압, 삼극관 컬렉터의 전압 신호 및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의 신호 타이밍 관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괘속 충전 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변조할 제1 전압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전통적인 전원 제공 회로의 변조 전후의 전압 파형의 대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전압이 변조되어 취득한 제2 전압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2차 정류 필터링을 거친 출력 전류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전압, 비교기의 출력 신호 및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의 신호 타이밍 관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전압, 삼극관 컬렉터의 전압 신호 및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의 신호 타이밍 관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괘속 충전 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관련 기술에서의 전원 제공 회로의 1차측에는 1차 정류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1차 필터링 유닛도 설치되어 있다. 1차 필터링 유닛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액체 전해 콘덴서를 포함한다. 액체 전해 콘덴서는 커패시터 값이 크고, 필터링 능력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당해 액체 전해 콘덴서의 존재는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이 고정된 직류 전기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액체 전해 콘덴서는 수명이 짧고, 쉽게 폭발하는 등의 특성를 가지기 때문에, 전원 제공 회로의 사용 수명이 짧고, 안전하지 못할 수 있다. 이 외에, 고정된 직류 전기를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를 충전하면 전지의 편극과 리튬 석출 현상을 초래할 수 있어, 당해 전지의 사용 수명을 줄일 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의 사용 수명과 안전성을 향상하고, 전지가 충전 과정에서의 편극과 리튬 석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1차측의 액체 전해 콘덴서를 제거한 전원 제공 회로를 제공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기한 충전 대상 기기는 "통신 단말기”(또는 "단말기”라고 약침함)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유선 선로(예를 들어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을 경유하여 연결하고, 및/또는 다른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를 경유해 연결하거나, 및/또는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네트워크과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amplitude modulation-frequency modulation, AM-FM)라디오 송신기, 및/또는 다른 통신 말단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연결되게 설치하여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는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통신하도록 설치된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말단기”, "무선 말단기” 및/또는 "이동 단말기” 라고 할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실예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바한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단말기를 조합할 수 있다; 무선 전화, 무선 호출기, 인터넷 / 인트라넷 접속, 웹 브라우저, 노트북, 캘린더 및/또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구비한 개인 디지털 보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재래식의 랩톱 및 / 또는팜탑 수신기 또는무선 전화 수신기를 구비한 기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10)는 1차 정류 유닛(11), 변조 유닛(12), 변압기(13) 및 2차 정류 필터링 유닛(14)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전원 제공 회로(10)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1차 정류 유닛(11)은 입력된 교류 전기를 정류하여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입력하는 교류 전기(AC)는 또한 상용전기로 칭할 수 있다. 입력된 교류 전기는 예를 들어 220V의 교류 전기일 수 있고, 110V의 교류 전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제1 전압의 전압 파형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제1 전압의 파형은 펄스 파형일 수 있다. 또는, 당해 제1 전압의 파형은 스팀 브레드 웨이브(Steamed bread wav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1차 정류 유닛(11)의 형식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1차 정류 유닛(11)은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풀 브릿지 정류 회로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하프 브릿지(Half bridge) 정류 회로와 같은 기타 형식의 정류 회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변조 유닛(12)은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변조 유닛(12)은 초퍼(鸞波) 유닛 또는 초퍼(chopper)라고 칭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상황에서, 변조 유닛(12)은 초퍼(截波) 유닛 또는 초퍼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조 유닛(12)의 작동 방식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시로서, 변조 유닛(12)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의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전압에 대해 변조를 할 수 있고, 주파수 변조의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전압에 대해 변조를 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관련 기술에서, 1차 정류 유닛(11)에 의해 출력된 전압(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전압에 대응됨)은 먼저 1차 필터링 유닛(하나 또는 복수의 액체 전해 콘덴서를 포함함)을 거쳐 필터링하여, 고정된 직류 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당해 고정된 직류 전기의 전압 파형은 통상적으로 직선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변조 전의 전압 파형이다. 그 다음, 변조 유닛은 당해 정전압에 대해 변조(초퍼)를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조된 전압을 형성하고, 도 3으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변조 유닛의 처리를 거쳐, 고정된 전압 신호는 많은 작은 진폭 같은 방형파 펄스 신호로 분할된다. 이에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는 1차 필터링을 위한 액체 전해 콘덴서를 제거하고, 직접 1차 정류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에 대해 변조를 한다. 제1 전압의 파형이 도 2에 도시된 파형인 것을 예로 들어, 변조되어 취득한 제2 전압의 파형은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제2 전압은 마찬가지로 많은 작은 펄스 신호를 포함하지만, 이런 펄스 신호의 진폭은 같지 않고,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도 4의 점선은 제2 전압의 펄스 신호의 포락선을 구성한다. 도 2를 대비하여 볼 수 있는 것은, 제2 전압을 구성하는 펄스 신호의 포락선은 제1 전압의 파형과 기본적으로 서로 같다.
변압기(13)는 제2 전압에 따라 제3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변압기(13)는 제2 전압을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커플링하여, 제3 전압을 취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압기(13)는 제2 전압에 대해 변압 관련 조작을 하여, 제3 전압을 취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변압기(13)는 일반적인 변압기일 수 있고, 작동 주파수가 50KHz-2MHz인 고주파 변압기일 수도 있다. 변압기(13)는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13)에서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형식, 및 1차 권선, 2차 권선이 전원 제공 회로(10)에서의 기타 유닛과의 연결 방식은 전원 제공 회로(10)가 이용하는 스위칭 전원의 유형과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공 회로(10)는 플라이백(flyback) 스위칭 전원에 기반한 전원 제공 회로일 수 있고, 순방향(forward) 스위칭 전원에 기반한 전원 제공 회로일 수도 있으며, 푸시 풀(Push-pull) 스위칭 전원에 기반한 전원 제공 회로일 수도 있다. 전원 제공 회로에 기반한 스위칭 전원의 유형이 다름에 따라, 변압기(13)의 1차 권선, 2차 권선의 구체적인 형식과 연결 방식은 상응하게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도 1나타내는 것은 단지 변압기(13)의 가능한 연결 방식이다.
2차 정류 필터링 유닛(14)은 2차 정류 유닛 및 2차 필터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2차 정류 유닛의 정류 방식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일 예시로서, 2차 정류 유닛은 동기화 정류(synchronous rectifier, SR)칩을 사용하여,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의해 감응된 전압(또는 전류)에 대해 동기화 정류를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일 예시로서, 2차 정류 유닛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2차 정류를 할 수 있다. 2차 필터링 유닛은 2차 정류 후의 전압에 대해 2차 필터링을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2차 필터링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솔리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솔리드 커패시터와 일반적인 커패시터(세라믹 커패시터와 같은)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2차 정류 필터링 유닛(14)의 처리를 거쳐,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취득할 수 있다. 도 5에서의 실선은 출력 전류의 파형의 하나의 예시이다.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출력 전류의 파형은 전류 값이 고정된 파형이 아니라,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이며, 이러한 원인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전원 제공 회로(10)의 1차측은 액체 전해 콘덴서를 제거하였기에, 입력 변압기(13)의 제2 전압은 진폭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다수의 작은 펄스 신호에 의해 구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변압기(13)가 2차측으로 전송하는 제3 전압은 또한 진폭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다수의 작은 펄스 신호로 구성된다. 2차 정류 필터링 유닛(14)에는 2차 필터링 커패시터가 설치되어 있지만, 액체 전해 콘덴서와 비교할 때, 2차 필터링 커패시터는 통상적으로 일부 커패시터 값이 비교적 낮은 솔리드 커패시터를 선택할 수 있다. 솔리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터 값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고, 필터링 능력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약하다. 따라서, 2차 필터링 커패시터의 주요 기능은 2차 정류 후에 출력된 다수의 작은 펄스 신호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신호로 필터링하는 것이고, 당해 연속 신호의 파형은 일반적으로 이런 작은 펄스 신호의 포락선과 유사한 파형이다.
나아가,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출력 전류의 파형은 완전한 펄스 파형이 아니고, 출력 전류의 파형의 파봉과 파곡은 모두 펄스 파형(도 5에서의 점선)의 파봉과 파곡에 도달하지 않는다. 출력 전류의 파형의 파봉이 펄스 파형의 파봉에 도달하지 않은 주요 원인은 전원 제공 회로(10)가 일반적으로 자신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출력 전압에 대해 전압을 제한하거나 및/또는 출력 전류에 대해 전류를 제한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 당해 전압을 제한하거나 및/또는 전류를 제한하는 조작은 펄스 파형의 파봉을 미리 설정된 진폭 이하로 제한할 수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리핑 처리를 거친 후의 출력 전류의 파형을 형성한다.
출력 전류의 파형의 파곡이 펄스 파형의 파곡에 도달하지 않은 주요 원인은, 2차 정류 필터링 유닛(14)에서의 2차 필터링 커패시터가 2차측의 급전 선로에서의 전압에 대해 클램핑 작용을 가지고 있기에, 2차측의 급전 선로에서의 전압과 전류가 모두 0점에 도달할 수 없게 한다. 구체적으로, 2차측의 급전 선로에서의 전압이 2차 필터링 커패시터의 전압 값과 같은 값으로 하강할 경우, 2차 필터링 커패시터는 방전 상태에 진입할 수 있어, 급전 선로에서의 전압이 계속 하강하지 않게 하여, 출력 전류의 파형의 파곡을 0보다 큰 어느 수치에 "클램핑”하고, 당해 수치의 구체적인 크기는 2차 필터링 커패시터의 커패시터 값과 관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10)는 1차측의 액체 전해 콘덴서를 제거함으로써, 전원 제공 회로의 체적을 줄이고, 전원 제공 회로의 사용 수명과 안전성을 향상한다.
전지의 충전 과정에서, 경상적으로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의 진폭을 수집하고 조정하여 전지의 각 충전 단계에 매칭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전류값은 주기적으로 변화하므로, 수집할 수요가 있는 것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피크값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류 피드백 유닛(15) 및 전류 수집 제어 유닛(16)을 더 포함할 수 있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후속 제어와 출력 전류의 관리에 조건을 제공한다. 아래에 전류 피드백 유닛(15)과 전류 수집 제어 유닛(16)에 대해 상세히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류 피드백 유닛(15)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에 따라 변조 유닛(12)에 피드백 전압을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변조 유닛(12)은 또한 당해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제1 전압에 대해 변조를 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 이하로 한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아래에 변조 유닛(12)이 PWM제어기에 기반한 변조 유닛인 것을 예로 들어, 변조 유닛(12)이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전원 제공 회로(10)가 금방 작동을 시작할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비교적 작아,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전압은 통상적으로 0보다 큰 전압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변조 유닛(12)은 PWM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부단히 증가하는 방식으로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할 수 있어, 전원 제공 회로(10)가 단위 시간 내에 입력되는 교류 전기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게 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부단히 증가할 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전류 피드백 유닛(15)에 대응되는 전류 제한값에 도달할 경우, 변조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전류 피드백 유닛(15)의 피드백 전압은 저레벨로 변할 수 있다. 이때, 변조 유닛(12)은 PWM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변하지 않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할 수 있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당해 전류 제한값을 초과하지 않게 한다.
전류 피드백 유닛(15)은 직접 변조 유닛(12)과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광 커플러와 변조 유닛(12)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만약 전류 피드백 유닛(15)이 광 커플러와 변조 유닛(12)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면, 전류 피드백 유닛(15)이 변조 유닛에 송신된 피드백 전압은 먼저 광 커플러를 거쳐 광전 변환을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은 전류 피드백 유닛(15)에 대응되는 전류 제한값을 가리킨다. 전류 피드백 유닛(15)이 연산 증폭기에 기반한 전류 피드백 유닛인 것을 예로 들면, 당해 전류 제한값은 당해 연산 증폭기의 참고 전압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피드백 전압은 변조 유닛(12)과 전류 피드백 유닛(15) 사이의 피드백 포인트의 전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피드백 포인트의 위치는 변조 유닛(12) 및 전류 피드백 유닛(15) 사이의 연결 방식과 관련된다. 일 예시로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1차측과 2차측은 격리 유닛(예를 들어, 광 커플러 유닛)을 통해 서로 격리되고, 이때, 피드백 포인트은 변조 유닛(12)과 전류 피드백 유닛(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격리 유닛과 전류 피드백 유닛(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에 전류 피드백 유닛(15)의 가능한 구현 방식이 도시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류 피드백 유닛(15)은 검류계(151), 검류 저항(R1), 저항(R2), 저항(R3), 및 제1 연산 증폭기(OPA1)를 포함할 수 있다.
검류계(151)는 검류 저항(R1)을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저항(R2)과 저항(R3)은 검류계(151)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전압 분배하여, 샘플링 전압을 취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당해 샘플링 전압의 전압 값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네거티브 입력단은 저항(R2)과 저항(R3)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취득한 샘플링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포지티브 입력단은 참고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당해 참고 전압은 전원 출력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전류 제한값(즉 출력 전류의 역치)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6은 참고 전압의 선택 가능한 배치 방식을 도시하였다. 즉 전원 제공 회로(10)에서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MCU에 의해 DAC1를 통해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참고 전압을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참고 전압은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고정 값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풀업 유닛(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풀업 유닛(61)은 전류 피드백 유닛(15)과 변조 유닛(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당해 풀업 유닛(61)은 전류 피드백 유닛(15)에서의 연산 증폭기가 포화 상태에 있을 경우, 피드백 전압을 고레벨로 풀업(pull-up)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풀업 유닛(61)의 사용은 피드백 전압의 신호 품질을 개선할 수 있어, 피드백 전압의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고레벨과 저레벨로 나타내게 한다. 피드백 전압과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는 동기적으로 변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 전압과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동기적 관계를 이용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피크값의 나타나는 타이밍에 대해 판단한다. 따라서, 피드백 전압의 고레벨과 저레벨이 나타나는 것이 명백할 수록, 당해 피드백 전압을 이용하여 판단되는 출력 전류의 피크값의 나타나는 타이밍이 더 정확하다. 도 16에 풀업 유닛(61)의 가능한 구현 방식이 도시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당해 풀업 유닛(61)은 풀업 저항(R8)일 수 있다. 풀업 저항(R8)의 일단은 전류 피드백 유닛(15)과 변조 유닛(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풀업 저항(R8)의 타단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VDD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공 회로(10)는 격리 유닛(71) 및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리 유닛(71)은 전류 피드백 유닛(15)과 변조 유닛(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격리 유닛(71)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1차측과 2차측을 서로 격리하여, 1차측과 2차측의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격리 유닛(71)은 예를 들어 광 커플러 유닛일 수 있고, 기타 유형의 격리 유닛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72)는 풀업 유닛(61)과 격리 유닛(7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은 격리 유닛(71)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격리 유닛(71)은 광 커플러(OC)이다. 이 외에, 도 7에서의 다이오드(72)는 도 16에서의 다이오드(D1)에 대응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전류 피드백 유닛(15)은 연산 증폭기에 기반한 전류 피드백 유닛이고, 전원 제공 회로(10)는 연산 증폭기의 보상 유닛(81)(또는 연산 증폭기의 보상 네트워크라고 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 유닛(81)의 입력단은 다이오드(72)의 양극과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보상 유닛(81)의 출력단은 전류 피드백 유닛(15)에서의 입력단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에서, 전류 피드백 유닛(15)이 기반한 연산 증폭기는 제1 연산 증폭기(OPA1)이다. 도 16은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보상 유닛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보상 유닛은 저항(R6)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저항(R6)과 커패시터(C1)에 의해 형성된 회로는 필터링 작용(RC필터링 회로)을 구비한다. 만약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보상 유닛과 피드백 포인트를 모두 다이오드(D1)의 음극의 일측에 설치하면,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보상 유닛은 피드백 전압에 대해 일정한 정도의 필터링을 하여, 피드백 전압의 고레벨과 저레벨이 명백하지 않을 수 있고, 이렇게 되면 피드백 전압에 기반하여 판단된 출력 전류의 피크값의 정확성을 낮출 수 있다. 도 8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배치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보상 유닛과 피드백 포인트는 각각 다이오드의 양측에 위치한다. 다이오드는 격리 작용을 가지고 있어, 제1 연산 증폭기(OPA1)의 보상 유닛이 피드백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피드백 전압에 기반하여 판단된 출력 전류의 피크값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전류 수집 제어 유닛(16)은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고; 피드백 전압에 따라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류 수집 제어 유닛(16)의 구현 방식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아래에 도 9-도 15를 결합하여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수집 제어 유닛(16)은 레벨 판단 유닛(161), 제어 유닛(162) 및 샘플링 유지 유닛(163)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벨 판단 유닛(161)은 피드백 전압을 판단하여 결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어 유닛(162)은 레벨 판단 유닛(161)에 의해 출력된 결과 신호에 따라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샘플링 유지 유닛(163)이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레벨 판단 유닛(161)의 구현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판단 유닛(161)은 비교기(1611)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1611)는 피드백 전압이 고레벨일 경우, 비교기(1611)의 출력 신호가 저레벨이고; 피드백 전압이 저레벨일 경우, 비교기(1611)의 출력 신호가 고레벨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피드백 전압, 비교기(1611)의 출력 신호 및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신호 타이밍 관계도이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비교기(1611)의 출력 신호가 상승 에지에 있을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는 피크값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162)은 비교기(1611)의 출력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할 수 있고, 출력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하였을 경우, 샘플링 유지 유닛(163)이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하나의 일 예시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판단 유닛(161)은 스위칭 유닛(1612) 및 삼극관(16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유닛(1612)은 피드백 전압이 고레벨일 경우, 스위칭 유닛(1612)이 턴온되고; 피드백 전압이 저레벨일 경우, 스위칭 유닛(1612)이 턴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삼극관(1613)은 스위칭 유닛(1612)이 턴온될 경우, 삼극관(1613)이 턴온되고, 삼극관(1613)의 컬렉터가 저레벨에 있으며; 스위칭 유닛(1612)이 턴오프될 경우, 삼극관(1613)이 턴오프되고, 삼극관(1613)의 컬렉터가 고레벨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삼극관(1613)의 컬렉터의 전압 신호가 상승 에지에 있을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는 피크값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162)은 삼극관(1613)의 컬렉터의 전압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하고, 당해 컬렉터의 전압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할 경우, 샘플링 유지 유닛(163)이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스위칭 유닛(1612)의 구현 방식 및 스위칭 유닛(1612)과 삼극관(1613)의 연결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유닛(1612)은 제너 다이오드(ZD1)일 수 있다. 피드백 전압이 고레벨일 경우, 제너 다이오드(ZD1)가 애벌 런치 턴온되어, 삼극관(1613)이 턴온되고, 삼극관의 컬렉터는 저레벨이며; 피드백 전압이 저레벨일 경우, 제너 다이오드(ZD1)가 턴오프되어, 삼극관(1613)이 턴오프되고, 삼극관의 컬렉터는 고레벨이다. 다른 하나의 일 예시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유닛(1612)은 AP432칩일 수 있다. 피드백 전압이 고레벨일 경우, AP432칩이 턴온되고, 삼극관의 컬렉터는 저레벨이며; 피드백 전압이 저레벨일 경우, AP432칩이 턴오프되어, 삼극관(1613)이 턴오프되고, 삼극관의 컬렉터는 고레벨이다.
샘플링 유지 유닛(163)은 제어 유닛(162)의 제어 하에서 샘플링 상태와 유지 상태에 주기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샘플링 유지 유닛(163)은 일반적으로 주로 커패시터와 스위치 튜브등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커패시터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에 대해 샘플링하고 유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스위치 튜브는 커패시터가 방전하도록 제어하여, 샘플링 유지 회로가 샘플링 상태에 다시 진입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샘플링 유지 유닛(163)은 전통적인 샘플링 유지 유닛의 구조를 참조하여 설계할 수 있고,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6은 제어 유닛(162)가 MCU인 것을 예로 들어, 레벨 판단 유닛(161)과 샘플링 유지 유닛(163)이 MCU를 둘러싼 선택 가능한 배치 방식을 도시하였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류 피드백 유닛(15)을 포함한 외에, 전압 피드백 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6은 전압 피드백 유닛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압 피드백 유닛은 제2 연산 증폭기(OPA2), 저항(R4) 및 저항(R5)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R4)과 저항(R5)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에 대해 샘플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OPA2)는 저항(R4) 및 저항(R5)이 샘플링된 전압 및 MCU가 DAC2를 통해 입력한 참고 전압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에 대해 전압 피드백 제어를 할 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10)에 하드웨어 형식의 전압 피드백 유닛과 전류 피드백 유닛을 동시에 설치하여, 전원 제공 회로(10)가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의 변화에 대한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충전 과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 제공 회로가 언급되어 있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정전압 모드에서 작동한다. 정전압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은 기본적으로 고정으로 유지하며, 예를 들어 5V, 9V, 12V 또는 20V등이다.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은 전지 양단에 직접 인가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바, 먼저 충전 대상 기기내의 변환 회로를 거쳐 변환하여, 충전 대상 기기 내의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얻는다.
변환 회로는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다.
일 실예로서, 변환 회로는 충전 관리 모듈일수 있고, 예를 들어 충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일수 있다. 전지의 충전 과정에서, 전지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하여 관리를 행한다. 변환 회로는 전압 피드백 모듈의 기능을 구비하고, 및/또는, 전류 피드백 모듈의 기능을 구비하여, 전지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한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의 충전 과정은,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 및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에서, 변환 회로는 전류 피드백 고리를 이용하여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지에 들어간 전류가 전지의 예상 충전 전류 크기(예를 들어 제1 충전 전류)를 만족하도록 할수 있다.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변환 회로는 전류 피드백 고리를 이용하여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지에 들어간 전류가 전지의 예상 충전 전류 크기(예를 들어 제2 충전 전류, 제2 충전 전류는 제1 충전 전류보다 클수 있다)를 만족하도록 할수 있다.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변환 회로는 전압 피드백 고리를 이용하여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지 양단에 인가한 전압의 크기가 전지의 예상 충전 전압 크기를 만족하도록 할수 있다.
일 실예로서,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이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보다 클 경우, 변환 회로는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행하여, 강압 전환후 얻은 충전 전압이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예로서,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이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보다 작을 경우, 변환 회로는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행하여, 승압 전환후 얻은 충전 전압이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예로서, 전원 제공 회로가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서, 전지는 단일 셀(리튬 전지 셀을 예로,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4.2V)일 경우, 변환 회로(예를 들어 Buck강압 회로)는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행하여, 강압후 얻은 충전 전압이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예로서, 전원 제공 회로가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서, 전원 제공 회로는 직렬한 두개 및 두개 이상의 단일 셀의 전지(리튬 전지 셀을 예로,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2V)에 충전 할 경우, 변환 회로(예를 들어 Boost승압 회로)는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행하여, 승압후 얻은 충전 전압이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변환 회로는 회로 전환 효률이 낮은 원인에 제한되여, 전환되지 않은 부분의 전기 에너지는 열량의 형식으로 산실된다. 이 부분의 열량은 충전 대상 기기내부에 회집된다. 충전 대상 기기의 설계 공간과 산열 공간은 모두 아주 작아(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물리적인 사이즈가 점점 얇아지고, 동시에 이동 단말기내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조밀 하게 배열하여 이동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한다), 이는 변환 회로의 설계 난이도를 높일 뿐만아니라, 충전 대상 기기내에 회집된 열량이 제때에 제거하기 어렵게 만들어서, 충전 대상 기기의 이상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변환 회로에 회집한 열량은 변환 회로 부근의 전자 소자에 대하여 열간섭을 초래하여, 전자 소자의 공작 이상을 일으킬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변환 회로에 회집한 열량은, 변환 회로 및 부근의 전자 부붐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변환 회로에 회집한 열량은, 전지에 대하여 열간섭을 초래하여, 전지의 충방전에 이상을 초래할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변환 회로에 회집한 열량은, 충전 대상 기기의 온도가 올라감을 초래하여, 사용자가 충전할때의 사용 경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변환 회로에 회집한 열량은, 변환 회로 자신의 단락을 초래할수 있어, 전원 제공 회로가 출력한 전압이 전지 양단에 직접 인가하여 충전 이상을 초래한다. 만일 전지가 긴시간 과전압 충전 상태에 있을 경우, 심지어 전지의 폭발을 일으켜, 사용자의 안전을 위태롭게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제공 회로(10)를 더 제공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10)에서의 제어 유닛(예를 들어 도 16에서의 MCU일 수 있다)은 또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와 서로 매칭되게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는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가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인 것을 예로 들면, 상술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은, 전지의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충전 전압과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인 것을 예로 들면, 상술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은, 전지의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충전 전류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원 제공 회로(1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지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지의 상태 정보는 전지 현재의 전기량 정보 및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10)는 획득한 전지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 자신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요를 만족할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조절된 후 출력하는 전압은 전지 양단에 직접 인가되어 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이하, "직접 충전”이라고 함). 더 나아가, 전지 충전 과정의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원 제공 회로(10)가 조절후 출력한 전압은 전지 양단에 직접 인가하여 전지를 충전시킨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압 피드백 모듈의 기능과 전류 피드백 모듈의 기능을 구비하여, 전지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리를 실현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10)는 획득한 전지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 자신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것은,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지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수 있고, 매번 획득한 전지의 실시간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 자신이 출력한 전압을 조절하여,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10)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지의 상태 정보에 따락 전원 제공 회로(10) 자신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것은, 충전 과정에서 전지 전압이 끊임없이 상승함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과정중 다른 시각에서 전지의 현재 상태 정보를 획득할수 있고, 전지의 현재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 자신의 출력 전압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지의 충전 과정은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 및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에서 제1 충전 전류를 출력하여 전지를 충전하여 전지가 예상하는 충전 전류의 수요를 만족 시킬 수 있다(제1 충전 전류는 고정 직류 전류일 수 있음).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류 피드백 고리를 이용하여,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로부터 출력하여 전지에 들어간 전류가 전지의 예상 충전 전류의 수요를 만족 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충전 전류는 펄스 파형의 전류일 수 있고, 당해 제2 충전 전류는 제1 충전 전류보다 클 수 있으며,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의 펄스 파형의 전류 피크값이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의 고정 직류 전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의 정전류는 펄스 파형의 전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이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압 피드백 고리를 이용하여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로부터 출력하는 충전 대상 기기의 전압(즉 고정 직류 전압 )이 고정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 내의 전지의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 내의 전지의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와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의 제어 기능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내의 추가된 충전 칩에 의해 협동하여 완성될 수 있다.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 비교하여, 전지가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와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접수되는 충전 전력은 비교적 작고, 충전 대상 기기 내부의 충전 칩의 효율 전환 손실과 열량 누적은 허용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 또는 정전류 스테이지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에 대해 제어하는 충전 모드이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완전히 고정으로 유지되어 변하지 않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된 펄스 파형의 전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이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고 유지하거나, 또는 하나의 시간대에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통상적으로 분단 정전류의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분단 정전류 충전 (Multi-stage constant current charging)는 N개 정전류 스테이지를 구비할 수 있다(N는 2이상의 한 정수이다). 분단 정전류 충전은 예정한 충전 전류로 제1 스테이지의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분단 정전류 충전의 N개 정전류 스테이지는 제1 스테이지로부터 제N개 스테이지까지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정전류 스테이지 중의 현재의 정전류 스테이지가 그다음 정전류 스테이지로 넘어간 후, 펄스 파형의 전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은 작아질 수 있다. 전지 전압이 충전 중지 전압 역치에 도달할 경우, 정전류 스테이지 중의 앞의 정전류 스테이지는 그다음 정전류 스테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류 스테이지 사이의 전류 전환 과정은 점차적인 변화일 수 있거나, 단계적인 점프 변화일 수도 있다.
나아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류(펄스 직류 전기와 같은)인 상황에서, 정전류 모드는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류의 피크값 또는 평균값에 대해 제어하는 충전 모드를 가리킬 수 있다. 즉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제어하여 정전류 모드에 대응되는 전류를 초과하지 않게 한다. 이 외에,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교류 전기인 상황에서, 정전류 모드는 교류 전기의 피크값에 대해 제어하는 충전 모드를 가리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1 충전 모드와 제2 충전 모드를 지지하고,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의 전지에 대한 충전 속도는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1 충전 모드에서의 전지에 대한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 다시 말하자면, 제1 충전 모드에서 작동하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비교하면, 제2 충전 모드에서 작동하는 전원 제공 회로(10)가 같은 용량의 전지에 충만하는데 소모한 기간이 더 짧다.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2 충전 통로를 통해 전지를 충전하고,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1 충전 통로를 통해 전지를 충전한다.
제1 충전 모드는 일반 충전 모드일수 있고, 제2 충전 모드는 쾌속 충전 모드일수 있다. 당해 일반 충전 모드는 전원 제공 회로(10)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은 전류값(통상으로 2.5A보다 작다)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은 공률(통상으로 15W보다 작다)로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에 대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일반 충전 모드에서 비교적 큰 용량의 전지(예를 들어 3000밀리암페어의 용량인 전지)를 완전히 충전하는데, 통상으로 몇시간의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하지만 쾌속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큰 전류(통상으로 2.5A보자 크다, 예를 들어 4.5A, 5A 심지어 더 높다)를 출력할수 있고 또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큰 공률 (통상으로 15W이상 이다)로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에 대하여 충전하여, 일반 충전 모드와 비하여, 전원 제공 회로(10)가 쾌속 충전 모드에서 같은 용량의 전지를 완전히 충전하는데 수요되는 시간이 뚜렷이 단축되어, 충전 속도가 더 빠르다.
상기에서 가리키는 것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는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당해 파형은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작동하는 출력 전류의 파형을 가리킬 수 있다. 제1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의 전압 값은 정전압 값일 수 있고, 출력 전류의 파형은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또는 전원 제공 회로(10)에서의 제어 유닛과)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의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을 제어한다(즉 제2 충전 모드에서의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공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충전 대상 기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충전 대상 기기는 충전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터선을 통해 전원 제공 회로(10)와 통신할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가 USB인터페이스인 것을 예로 들면, 데이터선은 USB인터페이스에서의 D+선 및/또는 D-선일 수 있다. 또는, 충전 대상 기기는 또한 전원 제공 회로(1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의 통신 내용에 대하여, 및 충전 대상 기기가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출력하는 제어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전 대상 기기(2)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통신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총전압 및/또는 현재 총전기량을 교호하고, 전지의 현재 총전압 및/또는 현재 총전기량에 근거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충전 대상 기기와 전원 제공 회로(10) 사이의 통신 내용에 대하여, 및 충전 대상 기기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가 출력하는 제어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의 설명은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의 주종성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다시 말하자면,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의 어느 쪽이든 모두 주설비 쪽으로서 양방향 통신 세션을 발기할 수 있으며, 상응하게 다른 한쪽은 종설비쪽으로서 메인 디바이스측에서 발기한 통신에 대하여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한다. 일종 가능한 방식으로서, 통신 과정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측과 충전 대상 기기측이 대지에 대한 레벨의 높고 낮음을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주, 종설비의 신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구체적인 실현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즉,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중의 어느 일방을 주설비로하여 통신 세션을 하든지, 상응하게 다른 한쪽은 종설비쪽으로서 메인 디바이스측에서 발기한 통신에 대하여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하고, 동시에 메인 디바이스측은 상기 종설비쪽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제2 응답을 하며, 주, 종 설비사이에서 한번의 충전 모드의 협상 과정을 완성하였다고 인정한다. 일종 가능한 방식으로서, 주, 종설비쪽사이는 여러 번의 충전 모드의 협상을 완성한후, 주, 종설비사이의 충전 조작을 실행하여, 협상후 충전 과정이 안전하고, 믿음직하게 실행하도록 확보한다.
메인 디바이스측으로서 상기의 종설비쪽이 통신 세션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제2 응답을 하는 일종 방식은, 메인 디바이스측은 상기 종설비쪽에서 통신 세션에 대하여 한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종설비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겨냥성적인 제2 응답을 할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측이 미리 설치한 시간내에 상기 종설비쪽에서 통신 세션에 대한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수신하면, 메인 디바이스측은 상기 종설비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겨냥성적인 제2 응답을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측과 종설비쪽은 한번의 충전 모드의 협상 과정을 완성하고, 메인 디바이스측과 종설비쪽사이는 협상 결과에 따라 제1 충전 모드 또는 제2 충전 모드대로 충전 조작을 진행하고, 즉 전원 제공 회로(10)는 협상 결과에 따라 제1 충전 모드 또는 제2 충전 모드에서 작동하여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한다.
메인 디바이스측으로서 상기의 종설비쪽이 통신 세션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더 나아가 제2 응답을 하는 일종 방식은, 메인 디바이스측이 미리 설치한 시간내에 상기 종설비쪽에서 통신 세션에 대한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수신하지 않아도, 메인 디바이스측은 상기 종설비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겨냥성적인 제2 응답을 한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측이 미리 설치한 시간내에 상기 종설비쪽에서 통신 세션에 대한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수신하지 않아도, 메인 디바이스측은 상기 종설비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겨냥성적인 제2 응답을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측과 종설비쪽은 한번의 충전 모드의 협상 과정을 완성하고, 메인 디바이스측과 종설비쪽 사이는 제1 충전 모드에 따라 충전 조작을 진행하고, 즉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1 충전 모드에서 공작하여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를 주설비로서 통신 세션을 발기하면, 전원 제공 회로(10)는 종설비로서 메인 디바이스측에서 발기한 통신 세션에 대하여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을 한후, 충전 대상 기기가 전원 제공 회로(10)의 제1 응답 또는 제1 답장에 대하여 겨냥성적인 제2 응답을 할 필요없이, 즉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에서 한번의 충전 모드의 협상 과정을 완성하였다고 인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10)는 협상 결과에 따라 제1 충전 모드 또는 제2 충전 모드로 충전 대상 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것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의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의 충전 모드를 협상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의 충전 모드를 협상하는 것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송신된 제1 명령을 수신하는 것 - 제1 명령은 충전 대상 기기가 제2 충전 모드를 오픈했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것임-;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1 명령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는 것 - 제1 명령의 회답 명령은 충전 대상 기기가 제2 충전 모드를 오픈하는 것을 동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충전 대상 기기가 제2 충전 모드를 오픈하는 것을 동의할 경우,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를 제어하여 제1 충전 통로를 통해 전지를 충전하는 것; 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의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의해 출력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되어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결정하는 것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송신된 제2 명령을 수신하는 것 - 제2 명령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총전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것임-; 및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2 명령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는 것 - 제2 명령의 회답 명령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전지의 현재 총전압과 매칭되거나 또는 높거나 또는 낮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을 포함한다. 교체할 수 있게, 제2 명령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현재 출력 전압이,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되어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전압으로서 적합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것이고, 제2 명령의 회답 명령은 현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적합하거나 또는 높거나 또는 낮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제공 회로(10)의 현재 출력 전압이 전지의 현재 총전압과 매칭되거나 또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현재 출력 전압이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되어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전압으로 적절하다는 것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현재 출력 전압과 전지의 현재 총전압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치한 범위내(통상으로 몇백 밀리볼트의 수량급)에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현재 출력 전압과 전지 현재 총전압이 높은 것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전지의 현재 총전압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높은 것을 포함한다. 현재 출력 전압과 전지 현재 총전압이 낮은 것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전지의 현재 총전압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낮은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되어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되는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것은, 충전 대상 기기가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송신된 제3 명령의 회답 명령을 수신하는 것 - 제3 명령은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를 문의하기 위한 것임- ;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3 명령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는 것 - 제3 명령의 회답 명령은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및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에 기반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는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용량, 셀 시스템 등에 의해 얻을 수 있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이해하여야 하는 바로는, 충전 대상 기기는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에 따라,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방식은 여러가지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를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로 결정할 수 있고,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 및 자신의 전류 출력 능력등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제2 충전 모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조정하는 것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송신된 제4 명령을 수신하는 것 - 제4 명령은 전지의 현재 총전압을 문의하기 위한 것임-;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4 명령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는 것 - 제4 명령의 회답 명령은 전지의 현재 총전압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지의 현재 총전압에 따라,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송신된 제4 명령을 수신하는 것 - 제4 명령은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을 문의하기 위한 것임-;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4 명령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는 것 - 제4 명령의 회답 명령은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이고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에 따라,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충전 대상 기기의 현재 전압의 전압차이가 미리 설치한 전압 역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면, 이때의 전압차이에서 전원 제공 회로(10)가 출력한 현재 전류값을 제하여 얻은 저항은 미리 설치한 저항 역치보다 크다는 것을 표명하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인것을 바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인터페이스의 접촉 불량은 충전 대상 기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6 명령을 송신하고, 제6 명령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을 문의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송신된 제6 명령의 회답 명령을 수신하고, 제6 명령의 회답 명령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대상 기기는 전지의 현재 전압과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에 따라,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충전 대상 기기(2)가 충전 인터페이스의 접촉 불량을 결정한후,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제5 명령을 송신하고, 제5 명령은 충전 인터페이스의 접촉 불량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5 명령을 수신한 후, 제2 충전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17을 결부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의 통신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의할 바로는, 도 17의 예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위한것 일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예의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정경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예시한 도 17의 예에 따라, 다양한 동등 수정 또는 변화를 진행할수 있는 것은 선명한 것이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화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의 통신 흐름(괘속 충전 통신 흐름이라고 한다)은 하기의 5개의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1: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연결한 후, 충전 대상 기기는 데이터선D+, D-에 의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유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10)가 어댑터 등과 같이 충전에 전용되는 전원 제공 회로라는 것을 검출할 경우, 충전 대상 기기가 흡취한 전류는 미리 설치한 전류 역치I2(예를 들어 1A일수 있다)보다 클 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10)가 미리 설치한 시간 길이(예를 들어, 연속저인T1시간일수 있다)내에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I2보다 크거나 작음을 검출할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가 전원 제공 회로의 유형 식별을 이미 완성하였다고 인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사이의 협상 과정을 오픈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1(상술한 제1 명령과 대응된다)을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것을 동의하는지 여부를 충전 대상 기기에 문의한다.
전원 제공 회로(10)가 충전 대상 기기가 송신한 명령1의 회답 명령을 수신하고, 당해 명령1의 회답 명령이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을 충전 대상 기기가 동의하지 않음을 지시할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다시 검출한다.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 미리 설치한 연속 시간 길이내(예를 들어, 연속저인T1시간일수 있다)에서 여전히 I2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는 다시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1을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것을 동의 하는지 여부를 충전 대상 기기에 문의한다.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것을 충전 대상 기기가 동의하거나, 또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가I2이상인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까지 전원 제공 회로(10)는 스테이지1의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을 충전 대상 기기가 동의한 후, 통신 프로세스는 스테이지2에 진입한다.
스테이지2: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2(상술한 제2 명령에 대응된다)를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현재의 출력 전압)이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의 현재 전압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명령2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과 매칭되거나 또는 높거나 또는 낮음을 지시한다. 만일 명령2의 회답 명령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높거나 또는 낮음을 지시하면,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을 낮게 조정하거나 높게 조정하고, 다시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2을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전지의 현재 전압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다시 문의한다. 충전 대상 기기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이 매칭됨을 결정할 때까지 스테이지2의 상기 단계를 반복한 후, 스테이지 3에 진입한다.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의 조정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에 낮은 것으로부터 높은 것으로 복수의 전압 포지션을 설정(조정)할 수 있고, 전압 포지션이 높을 수록,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커지는 것을 표명한다. 만약 명령2의 회답 명령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높음을 가리키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의 전압 포지션을 현재 전압 포지션으로부터 한개 포지션을 낮게 조정할 수 있고; 만약 명령2의 회답 명령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낮음을 가리키면,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의 전압 포지션을 현재 전압 포지션으로부터 한개 포지션을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스테이지 3: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3(상술한 제3 명령에 대응된다)을 송신하여,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를 문의한다.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명령3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여,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를 지시하고, 스테이지4에 진입한다.
스테이지4: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대상 기기가 현재 지원하는 최대 충전 전류에 따라, 제2 충전 모드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에 의해 출력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고, 스테이지5(즉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 진입한다.
스테이지5: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 진입한후, 전원 제공 회로(10)는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4(상술한 제4 명령에 대응된다)를 송신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을 문의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명령4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여, 전지의 현재 전압을 피드백할 수 있다.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지의 현재 전압에 따라, 충전 인터페이스의 접촉이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를 낮추어야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제공 회로(10)는,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하다고 판단될 경우, 충전 대상 기기에 명령5(상술한 제5 명령에 대응된다)를 송신하고,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종료하여, 그후 리셋되어 다시 스테이지 1에 진입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지2에서,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는 것을 충전 대상 기기가 동의한 것으로부터, 전원 제공 회로(10)가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을 적합한 충전 전압으로 조정할 때가지 경과한 시간을 일정한 범위내에 제어할 수 있다. 만일 당해 시간이 예정 범위를 초과하면, 전원 제공 회로(10) 또는 충전 대상 기기는 통신 과정이 이상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리셋하여 다시 스테이지 1에 진입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지2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V(V을 200~500mV로 설정할 수 있다)높을 경우,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에 명령2의 회답 명령을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 전압이 매칭되도록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지4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조정 속도를 일정한 범위내에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하여 조정 속도가 너무 빠름으로 인하여 충전 과정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지5에서,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류의 변화 진폭을 5%이내로 제어할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지5에서, 전원 제공 회로(10)는 실시간으로 충전 통로의 저항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공 회로(10)는 전원 제공 회로(10)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 대상 기기가 피드백한 전지의 현재 전압에 따라, 충전 통로의 저항을 검출할 수 있다. "충전 통로의 저항”>"충전 대상 기기의 통로 저항+충전 케이블의 저항”일 경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이라고 인정할 수 있고,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한 충전을 오픈한 후,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의 통신 시간 간격을 일정한 범위 내에 제어하여, 통신 간격이 지나치게 짧음으로 인하여 통신 과정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과정의 정지(또는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 과정에 대한 정지)는 회복할 수 있는 정지와 회복할 수 없는 정지 두가지로 나눈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가 충만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가 접촉 불량임을 검출할 경우, 충전 과정을 정지하고, 충전 통신 과정을 리셋하며, 충전 과정은 다시 스테이지1에 진입한다. 그 다음,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을 충전 대상 기기가 동의하지 않으면, 통신 프로세스는 스테이지2에 진입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의 충전 과정의 정지를 회복할수 없는 정지로 볼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원 제공 회로(10)와 충전 대상 기기 사이에 통신 이상이 발생할 경우, 충전 과정을 정지하고, 충전 통신 과정을 리셋하며, 충전 과정은 다시 스테이지1에 진입한다. 스테이지1의 요구를 만족한 후,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한 충전을 동의하여 충전 과정을 회복한다. 이런 상황에서의 충전 과정의 정지를 회복할 수 있는 정지로 볼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충전 대상 기기가 전지에 이상이 발생함을 검출할 경우, 충전 과정을 정지하고, 리셋하며, 다시 스테이지1에 진입한다. 그 다음,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는 것을 충전 대상 기기가 동의하지 않는다. 전지가 정상으로 회복되고, 스테이지1의 요구를 만족한 후,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을 동의한다. 이런 상황에서의 쾌속 충전 과정의 정지를 회복할수 있는 정지로 볼 수 있다.
이상은 도 17에 도시한 통신 단계 또는 오퍼레리션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1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전원 제공 회로(10)와 연결한 후, 충전 대상 기기와 전원 제공 회로(10) 사이의 핸드 셰이크 통신은 충전 대상 기기에 의하여 발기할 수도 있고, 즉 충전 대상 기기는 명령1을 송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를 오픈하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충전 대상 기기가 전원 제공 회로(10)의 회답 명령을 수신하고, 전원 제공 회로(10)가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하여 충전하는것을 동의하도록 전원 제공 회로(10)에 지시할 경우, 전원 제공 회로(10)는 제2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에 대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또 예를 들어, 스테이지5후,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5에서, 충전 대상 기기는 제전원 제공 회로(10)에 전지의 현재 전압을 피드백하고, 전지의 현재 전압이 정전압 충전 전압 역치에 도달할 경우, 충전 스테이지는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로부터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 전입한다.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충전 전류는 점점 작아지고, 전류가 어느 역치까지 하강할 경우, 충전 대상 기기의 전지가 이미 충만되였음을 표시하며, 전체 충전 과정을 중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제공 기기를 더 제공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원 제공 기기(1800)는 상기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10)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전원 제공 기기(1800)는 예를 들어 어댑터 또는 보조 배터리(power bank)등 전용 충전의 기기일 수 있고, 컴퓨터등 전원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타 기기일 수도 있다.
위에서 도 1-도 18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와 전원 제공 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도 19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상기에서의 임의의 실시예가 설명하는 전원 제공 회로(10), 전원 제공 회로와 관련된 설명일 수 있고 전문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당해 전원 제공 회로는 1차 정류 유닛, 변조 유닛, 변압기,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및 전류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1차 정류 유닛은 입력된 교류 전기를 정류하여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변조 유닛은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변압기는 제2 전압에 따라 제3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2차 정류 필터링 유닛은 제3 전압을 정류와 필터링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당해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은 주기적으로 변환하는 전류 값이다.
전류 피드백 유닛은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출력 전류에 따라 변조 유닛에 피드백 전압을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변조 유닛은 또한 피드백 전압에 따라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 이하로 한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9의 방법은 단계 1910-19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910에서, 피드백 전압을 수신한다. 단계 1920에서, 피드백 전압에 따라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930에서,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 실시예에서, 도 19의 방법은 또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 실시예로서, 전원 제공 회로(10)가 전지에 대한 충전 스테이지는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일 실시예로서, 상술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단계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은, 전지의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충전 전압과 서로 매칭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일 실시예로서, 상술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단계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것은, 전지의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충전 전류와 서로 매칭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기타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인가되어 실행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프로세스 또는 기능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램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의 방식을 통해 다른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매체에 의해 집적된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고체상태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 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결부하여 설명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수행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수행될 것인지는 기술적 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의 필요 조건에 달려있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본 출원이 제공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인 바,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하나의 로직 기능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되었거나 또는 토론된 상호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며,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체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이 물리적으로 독립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출원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수정 또는 교체를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5)
- 전원 제공 회로에 있어서,
입력된 교류 전기를 정류하여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1차 정류 유닛;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유닛;
상기 제2 전압에 따라 제3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압기;
상기 제3 전압을 정류 및 필터링하여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상기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변조 유닛에 피드백 전압을 송신하기 위한 전류 피드백 유닛;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 이하로 한정하기 위한 상기 변조 유닛; 및
상기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기 위한 전류 수집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은 연산 증폭기에 기반한 전류 피드백 유닛이고,
상기 전원 제공 회로는 풀업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풀업 유닛은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과 상기 변조 유닛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에서의 연산 증폭기가 포화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을 고레벨로 풀업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유닛은 일단이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과 상기 변조 유닛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VDD단과 서로 연결되는 풀업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 회로는 격리 유닛 및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 유닛은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과 상기 변조 유닛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1차측과 2차측을 격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는 상기 풀업 유닛과 상기 격리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 회로는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에서의 연산 증폭기의 보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유닛의 입력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양극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보상 유닛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 피드백 유닛에서의 연산 증폭기의 입력단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2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수집 제어 유닛은 레벨 판단 유닛, 제어 유닛 및 샘플링 유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 판단 유닛은 상기 피드백 전압을 판단하여 결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결과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상기 샘플링 유지 유닛이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단 유닛은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피드백 전압이 고레벨일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가 저레벨이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저레벨일 경우, 비교기의 출력 신호가 고레벨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하였을 경우, 상기 샘플링 유지 유닛이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단 유닛은 스위칭 유닛 및 삼극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피드백 전압이 고레벨일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이 턴온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저레벨일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이 턴오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삼극관은 상기 스위칭 유닛이 턴온될 경우, 상기 삼극관이 턴온되고, 상기 삼극관의 컬렉터가 저레벨에 있으며, 상기 스위칭 유닛이 턴오프될 경우, 상기 삼극관이 턴오프되고, 상기 삼극관의 컬렉터가 고레벨에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컬렉터의 전압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하고, 상기 컬렉터의 전압 신호의 상승 에지를 수집하였을 경우, 상기 샘플링 유지 유닛이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제너 다이오드 또는 AP432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 회로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충전 대상 기기에서의 전지가 현재 위치한 충전 스테이지와 서로 매칭되게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 회로가 상기 전지에 대한 충전 스테이지는 트리클 충전 스테이지,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지의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서,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정전압 충전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충전 전압과 서로 매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지의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서,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가 상기 정전류 충전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충전 전류와 서로 매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 - 전원 제공 기기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원 제공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기기. - 전원 제공 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 회로는
입력된 교류 전기를 정류하여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1차 정류 유닛;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유닛;
상기 제2 전압에 따라 제3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변압기;
상기 제3 전압을 정류 및 필터링하여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상기 전원 제공 회로의 출력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2차 정류 필터링 유닛;
상기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변조 유닛에 피드백 전압을 송신하기 위한 전류 피드백 유닛; 및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변조하여 제2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전류 제한값 이하로 한정하기 위한 상기 변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전류의 전류 값이 피크값에 있을 경우, 상기 출력 전류의 피크값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공 회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7/103008 WO2019056318A1 (zh) | 2017-09-22 | 2017-09-22 | 电源提供电路、电源提供设备和控制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3559A true KR20190073559A (ko) | 2019-06-26 |
KR102274224B1 KR102274224B1 (ko) | 2021-07-07 |
Family
ID=6581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6128A KR102274224B1 (ko) | 2017-09-22 | 2017-09-22 |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와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251712B2 (ko) |
EP (1) | EP3557746B1 (ko) |
JP (1) | JP6812550B2 (ko) |
KR (1) | KR102274224B1 (ko) |
CN (1) | CN109804542B (ko) |
TW (1) | TWI674741B (ko) |
WO (1) | WO20190563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7730A1 (zh) * | 2016-01-05 | 2017-07-13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快速充电方法、移动终端和适配器 |
TWI710885B (zh) | 2019-05-07 | 2020-11-21 | 宏碁股份有限公司 | 電源供應器 |
TWI695564B (zh) * | 2019-09-03 | 2020-06-01 | 飛宏科技股份有限公司 | 電池充電器之常溫降流及高溫脈衝充電方法 |
JP7370834B2 (ja) * | 2019-11-29 | 2023-10-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
CN113394862A (zh) * | 2020-03-12 | 2021-09-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源电路及充电设备 |
CN113394989B (zh) * | 2020-03-12 | 2023-08-0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源转换装置及充电控制方法 |
TWI742830B (zh) * | 2020-09-01 | 2021-10-11 | 亞源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數位信號隔離之網路通訊電源供應器 |
TWI741920B (zh) * | 2020-12-23 | 2021-10-01 | 大陸商艾科微電子(深圳)有限公司 | 供電電路及電源供應器 |
TWI740754B (zh) * | 2020-12-23 | 2021-09-21 | 大陸商艾科微電子(深圳)有限公司 | 供電電路及電源供應器 |
CN114188929B (zh) * | 2022-01-21 | 2023-05-16 |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 反激dc/dc变换器的恒压输出过压保护电路、方法及开关电源 |
CN114489027B (zh) * | 2022-03-04 | 2023-11-10 | 江苏海博流体控制有限公司 | 一种用于现场电动执行机构诊断调试的综合诊断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558805A1 (de) * | 1975-12-27 | 1977-07-07 | Teves Gmbh Alfred | Einrichtung zur ueberwachung einer batteriespannung |
US5442274A (en) * | 1992-08-27 | 1995-08-15 | Sanyo Electric Company, Ltd. |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method |
WO2017133382A1 (zh) * | 2016-02-05 | 2017-08-10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适配器和充电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89668A (ja) * | 2002-03-27 | 2003-10-10 | Densei Lambda Kk | 電源装置のフィードバック回路 |
JP4064377B2 (ja) * | 2004-07-20 | 2008-03-1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用半導体装置 |
CN1953311A (zh) * | 2005-10-17 | 2007-04-25 | 力博特公司 | 一种负载电流的控制方法及装置 |
CN100469505C (zh) * | 2007-08-27 | 2009-03-18 | 北京航空航天大学 | 超音频方波直流脉冲弧焊电源装置 |
US8138734B2 (en) * | 2009-04-06 | 2012-03-20 |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 Accurate current limit for peak current mode DC-DC converter |
CN101860236A (zh) * | 2010-05-07 | 2010-10-13 | 马生茂 | 一种开关电源 |
CN101917120B (zh) * | 2010-07-22 | 2012-10-03 | 魏其萃 | 用于开关电源的高精度峰值电感电流的控制装置 |
CN102386773B (zh) * | 2010-09-06 | 2014-01-08 | 炬力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 一种开关电源 |
CN102185481B (zh) * | 2011-04-07 | 2013-09-25 | 马生茂 | 恒流源 |
CN102710148A (zh) * | 2012-07-06 | 2012-10-03 | 聚辰半导体(上海)有限公司 | 交流到直流开关电源转换器 |
JP2014180110A (ja) * | 2013-03-14 | 2014-09-25 | Toshiba Corp | Dc−dcコンバータ |
TWI525979B (zh) * | 2014-12-31 | 2016-03-11 | 萬國半導體(開曼)股份有限公司 | 反激轉換器輸出電流計算電路及計算方法 |
CN105991046A (zh) * | 2015-01-30 | 2016-10-05 |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 开关电源及其开关控制器 |
CN104660054B (zh) * | 2015-02-11 | 2017-01-25 | 东南大学 | 一种适用于原边反馈反激变换器的跳脉冲模式psm控制方法 |
TWI530078B (zh) * | 2015-03-09 | 2016-04-11 | Richtek Technology Corp |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fly - back power converter |
CN205232031U (zh) * | 2015-12-24 | 2016-05-11 | 惠州市盛微电子有限公司 | 一种高频单端开关稳压电路 |
CN106992699B (zh) * | 2016-01-21 | 2019-06-25 | 华润矽威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原边反馈恒流恒压控制电路及方法 |
SG11201700428UA (en) * | 2016-02-05 | 2017-09-28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Charge method, adapter and mobile terminal |
-
2017
- 2017-09-22 JP JP2019527327A patent/JP6812550B2/ja active Active
- 2017-09-22 CN CN201780061430.6A patent/CN109804542B/zh active Active
- 2017-09-22 WO PCT/CN2017/103008 patent/WO2019056318A1/zh unknown
- 2017-09-22 KR KR1020197016128A patent/KR1022742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2 EP EP17926222.5A patent/EP3557746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9-06 TW TW107131354A patent/TWI674741B/zh active
-
2019
- 2019-04-22 US US16/391,129 patent/US1125171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558805A1 (de) * | 1975-12-27 | 1977-07-07 | Teves Gmbh Alfred | Einrichtung zur ueberwachung einer batteriespannung |
US5442274A (en) * | 1992-08-27 | 1995-08-15 | Sanyo Electric Company, Ltd. |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method |
WO2017133382A1 (zh) * | 2016-02-05 | 2017-08-10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适配器和充电控制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4224B1 (ko) | 2021-07-07 |
CN109804542B (zh) | 2021-06-11 |
EP3557746B1 (en) | 2021-04-21 |
EP3557746A4 (en) | 2020-03-11 |
CN109804542A (zh) | 2019-05-24 |
JP6812550B2 (ja) | 2021-01-13 |
TWI674741B (zh) | 2019-10-11 |
US11251712B2 (en) | 2022-02-15 |
WO2019056318A1 (zh) | 2019-03-28 |
TW201916565A (zh) | 2019-04-16 |
JP2019536412A (ja) | 2019-12-12 |
EP3557746A1 (en) | 2019-10-23 |
US20190252983A1 (en) | 2019-08-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3559A (ko) | 전원 제공 회로, 전원 제공 기기와 제어 방법 | |
JP6420498B2 (ja) | アダプター及び充電制御方法 | |
CN107836067B (zh) | 适配器和充电控制方法 | |
CN109804541B (zh) | 电源提供电路、电源提供设备以及控制方法 | |
CN109845082B (zh) | 电源提供电路、电源提供设备以及控制方法 | |
KR102282301B1 (ko) | 전원 공급 회로, 전원 공급 기기 및 제어 방법(power supply circuit,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 |
US11258289B2 (en) | Power supply circuit and adaptor | |
TW201804699A (zh) | 適配器和充電控制方法 | |
KR20190065444A (ko) | 전원 제공 기기 및 충전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