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07344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449A
KR20190073449A KR1020197014178A KR20197014178A KR20190073449A KR 20190073449 A KR20190073449 A KR 20190073449A KR 1020197014178 A KR1020197014178 A KR 1020197014178A KR 20197014178 A KR20197014178 A KR 20197014178A KR 20190073449 A KR20190073449 A KR 2019007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nvex
seat
absorbent artic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750B1 (ko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사토루 사카구치
마사시 우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변이 배출되는 영역의 인입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여,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40)와,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50)를 구비한다.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51) 및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54)를 갖는다. 톱 시트는, 적어도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R1)과,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R2)을 갖는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다. 개구는, 적어도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소변 및 변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자의 소변 및 변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배설물을 인입하기 위한 개구(도액(導液) 오목부)를 톱 시트에 형성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톱 시트에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톱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8996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톱 시트의 볼록부 및 개구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톱 시트의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배열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친 등의 장착 보조자는, 볼록부 및 개구를 모양과 같이 인식하여, 배설물을 인입하기 위한 개구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장착 보조자는, 톱 시트의 체액의 인입성을 파악할 수 없어, 안심하고 흡수성 물품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출원인이 여러 가지 조사를 행한 결과, 장착 보조자는, 변이 배출되는 영역의 인입성을 파악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장착 보조자가, 변이 배출되는 영역의 인입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여,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일회용 기저귀(10))은, 앞 몸통 둘레 영역(앞 몸통 둘레 영역(20)), 뒤 몸통 둘레 영역(뒤 몸통 둘레 영역(30)),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25))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전후 방향(전후 방향(L))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폭 방향(W))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흡수체(40))와,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톱 시트(50))를 구비하고, 상기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시트 볼록부(51)) 및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개구(54))를 갖는다. 상기 톱 시트는, 적어도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제1 영역(R1))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제2 영역(R2))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며,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톱 시트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톱 시트의 제1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7은 톱 시트의 제2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톱 시트 및 흡수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 2에 따른 톱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3에 따른 톱 시트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앞 몸통 둘레 영역, 뒤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적어도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며,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1 영역은, 적어도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고, 변이 배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영역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고, 소변이 배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장착 보조자는,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영역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장착 보조자는,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과,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고, 소변과 변이 적절히 흡수된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제1 영역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시트 볼록부 사이의 개구를 통해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이행한다. 또한, 변은, 시트 볼록부에 의한 벽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일단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변이 피부에 닿은 경우에, 시트 볼록부 사이로부터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
상기 각 입체 개더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는 수축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굽힘 강성은, 상기 제2 영역의 굽힘 강성보다 높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있기 때문에,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이 되는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 근방의 강성이 높아진다.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함으로써, 입체 개더에 의해 톱 시트가 덮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변을 제1 영역 시트 볼록부 사이로 유도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보다 전측(前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축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는, 수축 영역의 수축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수축된다. 수축 영역에 의해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면,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이 변형한다. 제1 영역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변형함으로써, 수축 영역의 수축력이 흡수되어, 제1 영역을 플랫한 상태로 유지하여, 변을 인입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변을 사이에 끼우는 시트 볼록부에 의한 벽을 비교적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변을 사이에 끼우는 시트 볼록부에 의한 벽이 높기 때문에, 일단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변을 벽에 의해 사이에 끼워, 상기 변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수용된 변의 표면에 착용자의 피부가 닿았을 때에, 변을 계속 유지하여,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제1 영역에 있어서 피부와 흡수체의 간극이 커진다. 통기성이 높아지고, 흡수성 물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기 쉬워져, 짓무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변이 수용되기 전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체압이 가해져 시트 볼록부가 찌부러진 상태와, 제1 영역에 체압이 가해지지 않아 시트 볼록부가 기립한 상태로 톱 시트의 두께는 변화한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체압의 유무에 의한 톱 시트의 두께의 변화량이 커지고, 공기가 보다 흐르기 쉬워, 짓무름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한편,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시트 볼록부 사이의 수용 공간이 작아져, 제1 영역에 수용된 변이 제2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변이 개구를 통과하기 쉬워지며, 개구를 통해 흡수체로 유도하는 변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피치가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피치보다 길기 때문에, 제1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변의 수용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시트 상에 배출된 변은,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되고, 시트 볼록부 상에 남기 어려워진다. 착용자의 피부에 변이 계속 닿는 것을 억제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많은 변을 유지할 수 있고, 변의 자중이 증가한다. 섬유를 갖는 톱 시트에 있어서는, 변의 자중이 증가함으로써, 변 내에 포함되는 수분이 섬유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흡수체에 투과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변 내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무른 대변이 피부에 계속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용착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의 가장자리에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의 강도가 높아져, 개구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볼록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볼록부와 개구가 겹쳐지는 영역에서는, 개구와 흡수체의 거리가 짧아, 개구를 통해 인입한 체액을 흡수체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오목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오목부와 개구가 겹쳐지는 영역에서는, 개구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인입한 배설물을 공간 내에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벽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가 제2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크고, 제1 영역의 볼록벽부는, 비교적 급한 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배설물을 사이에 끼워, 상기 변을 유지하고, 일단 수용한 배설물이 시트 볼록부 사이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가 제1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작고, 제2 영역의 볼록벽부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가 된다. 제2 영역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은, 뒤 몸통 둘레 영역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있다. 제2 영역의 볼록벽부가 완만한 경사임으로써, 제2 영역이 피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시트 볼록부에 의한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섬유를 갖고 있고,
상기 시트 볼록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벽부에 있어서의 섬유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보다, 상기 톱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를 많이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볼록부가 찌부러지기 어렵고, 시트 볼록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공간을 유지하며, 피부에 대한 접촉이 부드러워지고, 착용자가 푹신푹신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볼록벽부에 의한 섬유는,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볼록벽부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체액을 유도하기 쉽다. 따라서, 시트 볼록부의 높이를 높게 구성한 경우라도, 볼록벽부 내의 체액을 흡수체측으로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보다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의 정상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 내의 배설물은,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방향으로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변을 흡수체측으로 신속하게 유도하고, 변이 피부에 부착되는 면적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둘레 유지부는, 흡수성 물품을 신체에 유지하는 영역이고, 신체에 대해 밀착되기 쉽다. 제1 영역과 몸통 둘레 유지부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가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보다 높은 구성에 있어서는,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가 피부에 밀착되기 어려워,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에 의한 가랑이 영역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홈벽부를 갖고,
상기 개구는, 상기 홈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가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홈벽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톱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흡수체와 개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쉽다. 개구와 흡수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톱 시트를 통과한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거나, 폭 방향으로 연속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변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는 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는 분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오목부 내에 수용된 변이 전후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0.3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 볼록부에 의하면, 시트 볼록부가 지나치게 눈에 띄는 것에 의한 외관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장착 보조자가 안심감을 얻기 쉽다. 또한, 시트 볼록부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볼록부에 의한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시트 및 상기 톱 시트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는, 상기 톱 시트의 섬유 간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보조 시트에 의해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보다 인입성이 높은 보조 시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를 넘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된 배설물을 보조 시트에 의해 흡수체에 인입할 수 있고, 배설물의 누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가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전역에 톱 시트가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는, 톱 시트의 시트 볼록부 및 개구를 시인함으로써,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고 있고, 톱 시트의 배치 영역을 넓게 느껴, 보다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속옷 또는 기저귀에 장착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시트(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입체 개더 및 허리 신축부 등의 신축 부분을 신장시킨 신장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영역(25)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 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 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5)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이라고 부르고,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W)이라고 부르며,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두께 방향(T)이라고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체(40)를 갖는다. 흡수체(40)는, 가랑이 영역(25)을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4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걸쳐 배치된다. 흡수체(40)는, 흡수 코어(40a)와 코어 랩(40b)을 갖고 있다.
흡수체(40)의 가랑이 영역(25)에는,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폭 방향의 외측단)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흡수 코어(40a)의 양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흡수 코어(40a)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는,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전측으로 향함에 따라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주위의 흡수 코어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낮은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절결이다. 한편,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흡수체(40)의 피부 대향면측(T1)에는, 액 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톱 시트(5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고, 착용자에게 접한다. 톱 시트(5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걸쳐 배치된다. 톱 시트(50)는, 섬유를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톱 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체(4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톱 시트(50)에 대해서는, 후술로 상세히 설명한다.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는, 보조 시트(45)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보조 시트(45)의 외측 가장자리는, 톱 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한다. 보조 시트는, 톱 시트(50)보다 폭 방향의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40)의 피부 대향면측을 덮는다. 보조 시트(45)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보조 시트(45)의 섬유 간 거리는, 톱 시트(50)의 섬유 간 거리보다 길다.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보조 시트에 의해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보다 인입성이 높은 보조 시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를 넘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된 변을 보조 시트에 의해 흡수체측으로 인입할 수 있고, 변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시트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보조 시트를 갖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는, 톱 시트가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설치된다.
섬유 간 거리는, 수은 압입법(JIS R 1655)에 준거하여, 수은 포로시미터(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수은 압입법은, 수은을 측정 대상물인 섬유 구조체(톱 시트 및 보조 시트)의 구성 섬유 사이에 압입했을 때의 수은에 가해진 압력과, 섬유 구조체의 구성 섬유 사이의 공간 내에 압입된 수은의 용적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섬유 구조체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구조체의 섬유 간 거리는, 수은 포로시미터를 이용하여 이하의 순서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1) 측정 대상물인 섬유 구조체를 24 ㎜×15 ㎜로 커트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한다. 이 측정용 샘플은, 3장 제작한다.
2) 3장의 측정용 샘플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수은 포로시미터(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샘플 셀에 세트한 후, 수은에 가하는 압력을 서서히 변화시키면서, 섬유 구조체의 구성 섬유 사이의 공간(즉, 세공(細孔)) 내에 압입된 수은의 체적(즉, 세공 용적)을 측정한다. 한편, 측정은, 22℃, 65% RH의 환경하에서 행한다.
3) 하기의 식 (1)에 따라 상기 세공의 구멍 직경 D(㎛)(즉, 섬유 구조체의 섬유 간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구멍 직경 D와 상기 세공 용적의 관계를, 상기 구멍 직경 D의 분포 곡선(미분·적분 곡선)으로서 얻는다. 한편, 하기의 식 (1)에 있어서의 각종 측정 조건은, 수은의 표면 장력이 0.483 N/m, 접촉각이 130°, 수은 압력이 0∼414 ㎫(절대압)이다.
식 (1) D=-4γcosθ/P
(식 중, D는 구멍 직경(섬유 간 거리), γ는 수은의 표면 장력, θ는 접촉각, P는 압력을 나타낸다.)
흡수체(4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는,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백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는, 외장 시트(60)가 구비된다.
일회용 기저귀(10)의 폭 방향의 중심보다 폭 방향의 양 외측에는, 한 쌍의 입체 개더(80)가 배치된다. 입체 개더(80)는,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성의 개더이다. 입체 개더(80)는, 사이드 시트(70)와, 탄성 부재로서의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70)의 내측 가장자리측에는,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다. 한 쌍의 입체 개더(80)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거의 선대칭이다. 각 입체 개더(80)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1)를 갖고,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83)와, 기립부(83)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기립부(83)의 기립(상승)의 기점이 되는 제1 고정부(81)와, 기립부(83)보다 전후 방향(L)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기립부(83)의 상승의 기점이 되는 제2 고정부(82)를 갖는다. 기립부(83)의 전단 가장자리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82)의 후단 가장자리에 일치하고, 기립부(83)의 후단 가장자리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81)의 전단 가장자리에 일치한다.
사이드 시트(70)는, 톱 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 및 보조 시트(45)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는다.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사이드 시트(70)의 내측 가장자리)는,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가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전역에 톱 시트가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는, 톱 시트를 시인함으로써,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고 있고, 톱 시트의 배치 영역을 넓게 느껴, 보다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사이드 시트(70)는, 제1 고정부(81) 및 제2 고정부(82)에 있어서, 톱 시트(50) 또는 보조 시트(45) 상에 접합되어 있다. 기립부(83)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8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톱 시트(50)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톱 시트(50) 등으로부터 상승 가능하다. 기립부(83)는, 사이드 탄성 부재가 수축한 상태에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 기립부(83)는,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 기립부(83)는,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수축 영역(84)을 갖는다. 수축 영역(84)은, 일회용 기저귀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신장한 상태로 접합된 영역이다. 수축 영역(84)은, 기립부(83)에 있어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비신장 상태의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접합된 영역을 제외하며, 또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사이드 시트(70)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입체 개더(80)는, 흡수체(40)의 외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T1)으로 상승하는 벽을 형성하여,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방지한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10)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13)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좌우의 다리 둘레 개구부(13)보다 폭 방향 내측에 각각 배치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한 쌍이며,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7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시트(70)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타겟부(95)에 고정하는 고정부(91)를 갖는다. 고정부(91)는, 예컨대, 결합 후크가 설치된 부분이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타겟부(95)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의 고정부(91) 사이의 영역은, 장착 시에 신체에 유지되는 영역이고,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한다.
타겟부(95)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크와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한편, 일회용 기저귀는, 패스닝 테이프(90) 및 타겟부(95)를 갖지 않는 팬츠형의 기저귀여도 좋다. 팬츠형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을 접합하는 사이드 접합부 사이의 영역이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신축부(85)를 갖는다. 허리 신축부(85)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된다. 허리 신축부(85)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 사이를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허리 신축부(85)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2) 톱 시트의 구성
계속해서, 톱 시트(5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톱 시트의 확대 평면도이다. 톱 시트(50)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51)와, 시트 볼록부(51) 사이에 형성된 시트 오목부(52)를 갖는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시트 볼록부(51) 및 시트 오목부(52)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시트 볼록부(51)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하고, 시트 오목부(52)는, 시트 볼록부(51) 사이의 공간이다. 시트 볼록부(51)는, 원뿔 형상이고, 피부 대향면측(T1)으로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시트 볼록부(51)의 정상부는,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시트 볼록부(51)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의 지그재그형이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이다. 시트 볼록부(51)는,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되는 볼록벽부(59)를 갖는다. 볼록벽부(59)는, 시트 볼록부(51)의 정상부로부터 바닥부(53)까지 연장된다.
시트 오목부(52)는, 시트 볼록부(51)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공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오목부(52)는, 볼록벽부(59) 및 바닥부(5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시트 오목부(52)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면은, 바닥부(53)이고, 시트 오목부(52)의 피부 대향면은, 볼록벽부(59)의 정상부끼리를 연결한 가상면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시트 오목부(52)의 영역에 사선을 붙여 나타낸다.
바닥부(53)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연장된다. 시트 볼록부(51) 사이에는, 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4)는, 바닥부(53)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시트 볼록부(51), 시트 오목부(52), 바닥부(53) 및 개구(54)는, 톱 시트(5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시트 볼록부(51), 시트 오목부(52), 바닥부(53), 및 개구(54)는, 톱 시트(50)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톱 시트(50)는,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에 상이한 사선을 붙여 나타낸다. 제1 영역(R1)은, 적어도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영역(R1) 상에는, 주로 변이 배출된다. 제1 영역(R1)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시트 볼록부(51) 사이의 시트 오목부(52)에 수용된다.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보다 전측이고, 적어도 가랑이 영역(25)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영역(R2) 상에는, 주로 소변이 배출된다. 제1 영역(R1) 상에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은, 시트 오목부(52)에 의해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확산되면서, 흡수체(40)로 유도된다. 제2 영역(R2)은, 적어도 제1 영역(R1)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2 영역(R2)은, 톱 시트(50)의 제1 영역(R1) 이외의 영역 전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영역(R1)은, 평면에서 보아 제2 영역(R2)에 둘러싸여 있다.
도 4 및 도 6은 제1 영역(R1)의 톱 시트(5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은 제2 영역(R2)의 톱 시트(5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시트 볼록부(51)는, 제1 영역(R1)의 시트 볼록부(51)인 제1 볼록부(511)와, 제2 영역(R2)의 시트 볼록부(51)인 제2 볼록부(512)를 갖는다. 시트 오목부(52)는, 제1 영역(R1)의 시트 오목부(52)인 제1 오목부(521)와, 제2 영역(R2)의 시트 오목부(52)인 제2 오목부(522)를 갖는다. 바닥부(53)는, 제1 영역(R1)의 바닥부(53)인 제1 바닥부(531)와, 제2 영역(R2)의 바닥부(53)인 제2 바닥부(532)를 갖는다. 개구(54)는, 제1 영역(R1)의 개구(54)인 제1 개구(541)와, 제2 영역(R2)의 개구(54)인 제2 개구(542)를 갖는다. 개구(54)는, 적어도 제1 영역(R1)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제1 영역(R1)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형상은, 제2 영역(R2)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형상과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제1 볼록부(511)의 형상과 제2 볼록부(512)의 형상은, 상이하다. 시트 볼록부(51)의 형상이 상이한 구성이란, 시트 볼록부(51)의 폭 방향의 길이, 시트 볼록부(51)의 전후 방향(L)의 길이, 시트 볼록부(51)의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 시트 볼록부(51)의 피치, 및 시트 볼록부(51)의 평면에서 본 형상(원형·직사각형 등)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의 톱 시트(50)는,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와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가 상이하고, 제1 볼록부(511)의 피치(P1)와 제2 볼록부(512)의 피치(P2)가 상이하다. 제1 볼록부(511)의 형상과 제2 볼록부(512)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제1 영역(R1)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장착 보조자는, 제1 볼록부(511)의 형상과 제2 볼록부(512)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과,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고, 소변과 변이 적절히 흡수된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521)의 형상과 제2 오목부(522)의 형상이 상이해도 좋다. 시트 오목부(52)의 형상이 상이한 구성이란, 시트 오목부(52)의 폭 방향(W)의 길이, 시트 오목부(52)의 전후 방향(L)의 길이, 시트 오목부(52)에 형성된 개구(54)의 형상, 개구(54)의 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구성이다.
제1 영역(R1)의 톱 시트(50)에는, 제1 볼록부(511)와, 제1 오목부(521)와, 중간부(58)와, 제1 바닥부(531)와, 제1 개구(541)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58)는, 인접하는 제1 볼록부(5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58)의 높이는, 제1 볼록부(511)의 높이보다 낮다. 중간부(58)는, 제1 바닥부(531)보다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한다. 중간부(58)의 정상부는,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한다. 중간부(58) 주위에는, 제1 바닥부(531)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부(58)가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4에 도시된 단면)에 있어서, 톱 시트(50)에는, 제1 볼록부(511), 제1 오목부(521), 제1 볼록부(511)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1 오목부(521) 내에 있어서, 제1 바닥부(531), 제1 개구(541), 제1 바닥부(531), 중간부(58), 제1 바닥부(531), 제1 개구(541), 제1 바닥부(531)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부(58)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중간부(58) 대신에 제1 볼록부(511)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영역(R2)의 톱 시트(50)에는, 제2 볼록부(512)와, 제2 오목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톱 시트(50)에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볼록부(512)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단면(도 5에 도시된 단면)에 있어서, 톱 시트(50)에는, 제2 볼록부(512), 제2 오목부(522), 제2 볼록부(512)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오목부(522) 내에 있어서, 제2 바닥부(532), 제2 개구(542), 제2 바닥부(532)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톱 시트(50)에는, 복수의 시트 오목부(52) 및 시트 볼록부(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톱 시트(50)에 의해 인입한 체액을 상기 공간에 인입할 수 있고, 배설물을 신속하게 흡수체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톱 시트 상에 체액이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톱 시트(50)에 있어서, 제1 영역(R1)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의 제1 오목부(521)에 수용된다. 변은, 제1 볼록부(511)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고, 제1 오목부(521) 내에 머무른다. 제1 오목부(521)에 변이 수용됨으로써, 착용자와 변의 접촉 면적이 적어진다. 변은, 제1 볼록부(511)에 의한 벽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일단 제1 볼록부(511) 사이에 수용된 변이 피부에 닿은 경우에, 제1 볼록부 사이로부터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이 피부에 부착되는 면적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볼록부(511) 사이에 중간부(5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볼록부(511) 사이의 공간 내의 배설물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볼록부(511)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제1 오목부(521)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따라 확산되기 어렵다.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무른 대변은, 제1 오목부(521)의 제1 개구(541)를 통해 흡수체(40)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톱 시트(50)에 있어서, 제2 영역(R2) 상에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은, 제2 볼록부(512) 사이의 제2 오목부(522)를 통해, 전후 방향(L)에 대해 경사지고, 또한 폭 방향(W)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 방향으로 확산된다. 소변은, 유동성이 높고, 제2 바닥부(532)를 따라 평면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제2 바닥부(532)에 형성된 제2 개구(542)를 통해 흡수체(40)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제2 영역(R2)에 있어서 소변을 확산시켜, 신속하게 소변을 흡수체로 이행시키고, 또한 제1 영역(R1)에 있어서 무른 대변 및 체액을 흡수체(40)로 이행시키면서, 고형의 변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체액이나 무른 대변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톱 시트의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에 의해, 성질이 상이한 소변과 변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다.
제1 영역(R1)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높이(제1 바닥부(531)로부터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까지의 길이이고,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에 상당함)(R1H)는, 제2 영역(R2)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높이(제2 바닥부(532)로부터 제2 볼록부(512)의 정상부까지의 길이이고,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에 상당함)(R2H)보다 높다. 제1 영역(R1)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제1 영역(R1)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 흡수체(40)를 분리할 수 있고, 흡수체(40)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피부를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제1 볼록부(511)의 높이(제1 바닥부(531)로부터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까지의 길이)(511H)는, 제2 볼록부(512)의 높이(제2 바닥부(532)로부터 제2 볼록부(512)의 정상부까지의 길이)(512H)보다 높다. 제1 영역(R1) 상에 배출된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의 제1 오목부(521)에 수용된다. 이때,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가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보다 높기 때문에, 제1 볼록부(511)에 의한 벽을 비교적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변을 사이에 끼우는 벽이 높기 때문에, 일단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을 제1 볼록부(511)에 의해 유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의 표면에 착용자의 피부가 닿았을 때에, 제1 오목부(521) 내에 변을 계속 유지하여, 제1 오목부(521)로부터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의 높이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제1 영역(R1)에 있어서 피부와 흡수체(40)의 간극이 커진다. 통기성이 높아지고, 기저귀 내부의 공기가 기저귀 외부로 유출되어, 짓무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 사이에 변이 수용되기 전에 있어서, 제1 영역(R1)에 체압이 가해져 제1 볼록부(511)가 찌부러진 상태와, 제1 영역(R1)에 체압이 가해지지 않아 제1 볼록부(511)가 기립한 상태로 톱 시트(50)의 두께는 변화한다. 제1 볼록부(511)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체압의 유무에 의한 톱 시트(50)의 두께차가 커지고, 공기가 보다 흐르기 쉬워져, 짓무름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덧붙여, 제1 볼록부(511) 사이에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변이 개구(54)를 통과하기 쉬워지며, 개구(54)를 통해 흡수체(40)로 유도하는 변의 양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가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보다 낮기 때문에, 제2 영역(R2)에 있어서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랑이 영역(25)은, 착용자의 배설구에 접한다. 가랑이 영역(25)은, 뒤 몸통 둘레 영역(30)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25)에 닿는 제2 영역(R2)의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영역(R2)이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피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제2 볼록부(512)에 의한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촉감이 향상되고, 착용자의 장착감이 향상된다. 이러한 장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2 영역(R2)의 면적은, 제1 영역(R1)의 면적보다 넓어도 좋다. 촉감이 적합한 제2 영역(R2)의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볼록부(512)의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제2 오목부(522)의 수용 공간이 작아져, 제1 영역(R1)에 수용된 변이 제2 영역(R2)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볼록부(511)의 피치(P1)는, 제2 볼록부(512)의 피치(P2)보다 길다. 제1 볼록부(511)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변의 수용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시트(50) 상에 배출된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에 수용되고, 제1 볼록부(511) 상에 남기 어려워진다. 착용자의 피부에 변이 계속 닿는 것을 억제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 사이에 많은 변을 유지할 수 있고, 변의 자중이 증가한다. 섬유를 갖는 톱 시트에 있어서는, 변의 자중이 증가함으로써, 변 내에 포함되는 수분이 섬유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흡수체에 투과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변 내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무른 대변이 피부에 계속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로 소변을 흡수하는 제2 영역은, 매끄러운 촉감으로 할 수 있고, 주로 변을 흡수하는 제1 영역은, 흡수를 확실히 하는 것과 같은 두께가 있는 촉감으로 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1장의 톱 시트에 있어서, 촉감이 상이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는, 피부에 대해 부드러운 기능과, 변을 확실히 흡수하는 기능을 지각할 수 있다.
한편, 제1 볼록부의 피치는, 일정하지 않고,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볼록부 사이의 피치는,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1 볼록부 사이의 피치보다 길다. 가장 긴 제1 볼록부의 피치가, 가장 긴 제2 볼록부의 피치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시트 볼록부(511) 높이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0.4 ㎜ 이상, 6.0 ㎜ 이하이며, 더욱 적합하게는, 0.5 ㎜ 이상, 4.5 ㎜ 이하이다. 시트 볼록부(51)의 피치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0.5 ㎜ 이상, 5.0 ㎜ 이하이며, 더욱 적합하게는, 1.0 ㎜ 이상, 4.5 ㎜ 이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 볼록부(51)에 의하면, 시트 볼록부(51)가 지나치게 눈에 띄는 것에 의한 외관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장착 보조자가 안심감을 얻기 쉽다. 또한, 시트 볼록부(51)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시트 볼록부(51)에 의한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기 쉽다.
개구의 치수는, 1.0 ㎜ 이상, 8.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5.0 ㎜ 이하이다. 개구가 클수록, 변의 투과성은 좋아지는 한편, 흡수 후의 변이 개공부로부터 되돌아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시트 볼록부의 간격 및 폭에 따라, 상기 시트 볼록부의 간격 및 폭에 가까운 사이즈(차가 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볼록부의 간격 및 폭에 가까운 사이즈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와 기능면에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오목부(522)는,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R1F)로부터 톱 시트(50)의 전단 가장자리까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2 오목부(522)가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R1F)로부터 톱 시트(50)의 전단 가장자리까지 체액을 원활히 확산시킬 수 있고, 넓은 면적으로 신속하게 소변을 흡수체(40)로 이행시킬 수 있다.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경계에 있어서, 제1 오목부(521)와 제2 오목부(522)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연속해 있다. 제1 오목부(521) 내의 공간과 제2 오목부(522) 내의 공간은 연통(連通)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 사이에서 배설물을 원활히 확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장착 위치가 어긋나, 제2 영역(R2)에 변이 배출된 경우라도, 상기 변을 제1 영역(R1)으로 유도하여, 제1 영역(R1)에 의해 변을 수용 및 흡수할 수 있다.
제1 영역(R1)에 있어서, 제1 볼록벽부(591)의 상승 각도(α)(도 4 참조)는, 제2 볼록벽부(592)의 상승 각도(β)(도 5 참조)보다 크다. 제1 볼록벽부(591)의 상승 각도(α)가 제2 볼록벽부(592)의 상승 각도(β)보다 크고, 제1 볼록벽부(591)는, 비교적 급한 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제1 볼록부(511)에 의해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배설물을 유지하기 쉽고, 일단 수용한 배설물이 제1 오목부(52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볼록벽부(592)의 상승 각도(α)가 제1 볼록벽부(591)의 상승 각도(β)보다 작고, 제2 볼록벽부(592)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가 된다. 제2 영역(R2)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25)에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25)은, 뒤 몸통 둘레 영역(30)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볼록벽부가 완만한 경사임으로써, 제2 영역(R2)이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피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제2 볼록부(512)에 의한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한편, 볼록벽부(59)의 상승의 각도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콜드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측정 대상의 시트를 취출하고, 측정 개소의 볼록부와 그 주변을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한다. 절단은, 예리한 날붙이(예컨대, 커터의 면도날)에 의해, 가능한 한 볼록한 곳이 찌부러지지 않도록 행한다. 절단한 시트에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톱 시트를 수평면에 둔 상태에서, 절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20배로 확대하여 단면을 촬영한다. 촬영 단면에 대해, 수평면에 대한 볼록벽부의 피부 대향면측 표면(보풀이 인 섬유를 제외한 표면)의 상승 각도를 측정한다.
제1 볼록벽부(591)에 있어서의 섬유 및 제2 볼록벽부(592)에 있어서의 섬유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보다, 톱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를 많이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시트 볼록부(51)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공간을 유지하기 쉽고, 시트 볼록부(51)의 피부에의 접촉이 부드러워지며, 착용자가 푹신푹신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T)으로 배향된 섬유에 의해, 두께 방향(T)으로 체액을 유도하기 쉽다. 따라서, 시트 볼록부(51)의 높이를 높게 구성한 경우라도, 볼록벽부(59) 내의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볼록벽부의 섬유 배향이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다는 것은, 시트 볼록부 및 시트 오목부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섬유가 두께 방향(시트의 피부면측으로부터 비피부면측의 방향)에 대해, +45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 배향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섬유 배향의 측정은, 가부시키가이샤 기엔스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을 이용하여 행하고,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행하였다. (1) 샘플을 관찰대 상에 볼록벽부 표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세트하고, (2) 불규칙하게 전방으로 튀어나온 섬유를 제외하고 샘플의 가장 전방의 섬유에 렌즈의 핀트를 맞춰, (3) 샘플의 3D 화상을 PC 화면상에 작성. 다음으로 (4) 3D 화상을 2D 화상으로 변환하고, (5) 측정 범위에 있어서 볼록벽부의 두께 방향을 적시 등분하는 평행선을 화면상에 복수 그린다. (6) 평행선을 그려 세분화한 각 셀에 있어서, 각각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섬유 개수를 측정하고, 그리고 (7) 설정 범위 내에 있어서의 전체 섬유 개수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향하는 섬유 배향의 섬유 개수의 비율과,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섬유 배향의 섬유 개수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측정·산출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의 굽힘 강성은, 제2 영역(R2)의 굽힘 강성보다 높다. 굽힘 강성은, 가토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ES FB-2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치수 50 ㎜×100 ㎜가 되는 시험편을 준비하고, 한 쌍의 척의 한쪽에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끼우고, 다른쪽의 척에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타단을 끼운다. 한쪽의 척이 다른쪽의 척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절곡된 시험편의 굽힘 강성을 토크 검출기로 측정한다. 시험편은, 5세트 준비하고, 측정값의 평균값을 굽힘 강성으로 한다.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R1F)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흡수체(40)의 절곡 유도부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절곡 유도부는, 흡수체(40)의 폭 방향을 따르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한 절곡을 유도하는 것이며, 흡수체(40)의 절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엠보스선, 폭 방향(W)을 따라 배치된 엠보스의 집합체를 예시할 수 있고, 상기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흡수체가 절곡되도록 강성차를 마련한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곡 유도부는, 한 쌍의 제1 저단위중량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곡 유도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수축 영역(84)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수축 영역(84)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는, 수축 영역(84)의 수축에 의해 전후 방향(L)으로 수축되기 쉽다. 수축 영역에 의해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면,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이 변형한다. 제1 영역(R1)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변형함으로써, 수축 영역(84)의 수축력이 흡수되어, 제1 영역(R1)을 플랫한 상태로 유지하여, 변을 인입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고정부(8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영역(R1)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1 고정부(81)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81) 사이의 톱 시트(50)의 강성이 높아져, 기립부(83)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립부(83)가 상승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입체 개더(80)에 의해 톱 시트(50)가 덮여지기 어려워지고, 배출된 변을 제1 오목부(521) 내로 유도하기 쉬워진다.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R1R)는, 수축 영역(84)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제1 영역(R1)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수축 영역(84)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배치되어 있다.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이 되는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 근방의 강성은, 높아진다.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립부(83)의 제2 고정부(82)측은, 상승 기점과 가깝기 때문에, 기립부(83)의 전후 방향의 중앙과 비교하여, 상승 높이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수축 영역(84)보다 후측의 영역은,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기립부(83)의 상승 높이를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수축 영역(84)보다 후측에는, 제1 영역(R1)이 배치되고,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82)측의 톱 시트(50)의 강성이 높아진다. 톱 시트(50)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기립부(83)가 상승하기 쉬워지고, 기립부(83)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함으로써, 입체 개더에 의해 톱 시트가 덮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변을 제1 오목부(521) 내로 유도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R1R)는,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몸통 둘레 유지부와 이격되어 있다. 몸통 둘레 유지부는, 한 쌍의 고정부(91) 사이의 영역이다. 몸통 둘레 유지부는, 고정부(91)가 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고정된 장착 상태에서 신체에 대해 밀착되는 영역이다. 한 쌍의 고정부(91) 사이의 영역과 제1 영역(R1)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쉽다.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R1R)는, 허리 신축부(85)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허리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과 이격되어 있다. 허리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은, 장착 상태에서 신체에 대해 밀착되는 영역이다. 제1 영역(R1)과 허리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3) 톱 시트의 제조 방법
계속해서, 톱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톱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제조는, 부직포를 연신하는 부형 가공에 의해 시트 볼록부 및 시트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부형 가공은, 제1 부형 가공과, 제2 부형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제1 부형 가공은, 톱 시트(50)의 폭 방향의 전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2 볼록부(512), 제2 오목부(522),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를 형성한다.
제2 부형 가공은, 제1 부형 가공 후에 행한다. 제2 부형 가공은, 제1 영역(R1)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1 볼록부(511)를 형성하고, 그 외의 영역에는, 가공을 행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일부의 제2 볼록부(512)를 더욱 연신하여, 제1 볼록부(511)를 형성한다. 제1 부형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 볼록부(512) 중, 제2 부형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제2 볼록부(512)는, 중간부(58)를 구성한다. 제1 부형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 중,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는, 제1 바닥부(531) 및 제1 개구(541)를 구성한다. 즉,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는, 제1 바닥부(531) 및 제1 개구(541)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부형 처리를 행할 때에, 개구의 가장자리에 용착부를 형성해도 좋다. 용착부는,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용착된 부분이다. 개구의 가장자리에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의 강도가 높아져, 개구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그 외의 실시형태
계속해서,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50) 및 흡수체(40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변형예에 따른 흡수체(400)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401)와, 흡수 볼록부(401)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402)를 갖는다. 흡수 오목부(402)는, 흡수 볼록부(401)보다 움푹 들어가 있으면 된다. 흡수 오목부(402)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흡수 볼록부(401)보다 낮은 단위중량이면 되고, 제로여도 좋다.
제1 개구(541)는, 흡수 볼록부(401)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흡수 오목부(402)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 볼록부(401)와 제1 개구(541)가 겹쳐짐으로써, 제1 개구(541)와 흡수체(40)의 거리가 짧아, 제1 개구(541)를 통해 인입한 체액을 흡수체(40)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오목부(402)와 제1 개구(541)가 겹쳐짐으로써, 제1 개구(54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개구(541)를 통해 인입한 배설물을 공간 내에 인입할 수 있다. 한편, 제1 개구(541)는, 흡수 볼록부(401)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 오목부(402)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개구(542)도, 흡수 볼록부(401) 및 흡수 오목부(402)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9는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톱 시트(500)의 단면도이다. 변형예 2에 따른 톱 시트(500)는, 바닥부(53)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홈벽부(55)와, 홈벽부(55)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하고,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바닥부(56)를 갖는다. 개구(54)는, 홈벽부(55)에 형성되어 있다. 홈벽부(55)에 개구(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40)와 개구(5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쉽다. 개구(54)와 흡수체(40) 사이의 공간에 의해, 톱 시트(50)를 통과한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톱 시트(501)의 단면도이다. 변형예 3에 따른 톱 시트(501)는, 제1 볼록부(511), 중간부(58), 및 제1 오목부(52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볼록부(511) 사이에는, 분단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분단부(57)는, 제1 오목부(52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단부(57)의 정상부는,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하고, 중간부(58)의 정상부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오목부(521)의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공간의 피부 대향면측(T1)의 영역(분단부(57)보다 피부 대향면측(T1)의 영역)은, 전후 방향(L)으로 분단되지 않고, 전후 방향(L)으로 연속해 있다. 한편, 제1 오목부(521)의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공간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영역(분단부(57)가 배치된 영역)은, 전후 방향(L)으로 분단되어 있고, 전후 방향(L)으로 비연속이다. 분단부(57)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521)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비연속이다. 제1 영역(R1)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의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다. 제1 오목부(521)가 전후 방향(L)으로 비연속인 부분에 의해,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이 전후 방향(L)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가 분단부(57)의 정상부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오목부(521) 내의 배설물은, 전후 방향(L)을 따라 확산되기 쉽고, 폭 방향(W)을 따라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를 갖는 구성이면 되고,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가 45도 미만이 되도록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적어도 폭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를 갖는 구성이면 되고,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45도 미만이 되도록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한편, 2016년 10월 24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208164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장착 보조자는, 변이 배출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에 대해 인식하여,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0: 일회용 기저귀 20: 앞 몸통 둘레 영역
25: 가랑이 영역 30: 뒤 몸통 둘레 영역
40, 400: 흡수체 401: 흡수 볼록부
402: 흡수 오목부 45: 보조 시트
50, 500, 501: 톱 시트 51: 시트 볼록부
511: 제1 볼록부 512: 제2 볼록부
52: 시트 오목부 521: 제1 오목부
522: 제2 오목부 53: 바닥부
54: 개구 541: 제1 개구
542: 제2 개구 55: 홈벽부
56: 홈바닥부 57: 분단부
58: 중간부 59: 볼록벽부
80: 입체 개더 84: 수축 영역
L: 전후 방향 R1: 제1 영역
R2: 제2 영역 T1: 피부 대향면측
T2: 피부 비대향면측 W: 폭 방향

Claims (18)

  1. 앞 몸통 둘레 영역, 뒤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적어도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며,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
    상기 각 입체 개더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는 수축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굽힘 강성은, 상기 제2 영역의 굽힘 강성보다 높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보다 전측(前側)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보다 긴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용착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볼록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오목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벽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큰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는, 섬유를 갖고 있고,
    상기 시트 볼록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벽부에 있어서의 섬유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보다, 상기 톱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를 많이 갖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보다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의 정상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홈벽부를 갖고,
    상기 개구는, 상기 홈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는 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0.3 ㎜ 이상, 10.0 ㎜ 이하인 흡수성 물품.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시트 및 상기 톱 시트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는, 상기 톱 시트의 섬유 간 거리보다 긴 흡수성 물품.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97014178A 2016-10-24 2017-10-13 흡수성 물품 KR102537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8164A JP6668217B2 (ja) 2016-10-24 2016-10-24 吸収性物品
JPJP-P-2016-208164 2016-10-24
PCT/JP2017/037136 WO2018079302A1 (ja) 2016-10-24 2017-10-13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449A true KR20190073449A (ko) 2019-06-26
KR102537750B1 KR102537750B1 (ko) 2023-05-26

Family

ID=6202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178A KR102537750B1 (ko) 2016-10-24 2017-10-1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68217B2 (ko)
KR (1) KR102537750B1 (ko)
CN (1) CN109862859B (ko)
AU (1) AU2017349535B2 (ko)
WO (1) WO2018079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7870B2 (ja) * 2018-06-27 2024-02-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0162934A (ja) * 2019-03-29 2020-10-08 Jnc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CN117042734A (zh) * 2021-02-05 2023-11-10 宝洁公司 三维非织造物和具有该三维非织造物的吸收制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8162A2 (en) * 1997-10-08 1999-04-1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H11318976A (ja) * 1998-05-08 1999-11-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9089965A (ja) 2007-10-10 2009-04-30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6349A (ja) * 2007-12-03 2009-06-25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445A (ja) * 2007-12-21 2009-07-09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6123653A (ja) * 2014-12-26 2016-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8743B2 (ja) * 1999-10-04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82191B1 (en) * 2000-10-23 2002-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ated topsheet with an elongate slit opening
US20040126519A1 (en) * 2002-12-31 2004-07-01 Odorzynski Thomas W. Solids-entrapping secondary article
US8211078B2 (en) *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JP5497987B2 (ja) * 2007-06-22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90070B2 (ja) * 2007-08-29 2012-08-01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9101091A (ja) * 2007-10-25 2009-05-14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US20130060218A1 (en) * 2010-03-23 2013-03-07 Jun Kudo Absorbent article
JP5780731B2 (ja) * 2010-09-30 2015-09-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2792338B1 (en) * 2011-12-13 2018-10-24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EP2762116A1 (en) * 2013-02-01 2014-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separator sheet
JP6151968B2 (ja) * 2013-05-23 2017-06-21 ピジョン株式会社 おむつ用補助シート
CN105636566B (zh) * 2014-12-26 2017-10-1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用无纺布
JP6087462B1 (ja) * 2016-05-13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919732A (zh) * 2016-05-25 2016-09-07 杭州千芝雅卫生用品有限公司 3d压花婴儿纸尿裤及尿液吸收芯体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8162A2 (en) * 1997-10-08 1999-04-1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H11318976A (ja) * 1998-05-08 1999-11-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9089965A (ja) 2007-10-10 2009-04-30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6349A (ja) * 2007-12-03 2009-06-25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445A (ja) * 2007-12-21 2009-07-09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6123653A (ja) * 2014-12-26 2016-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2859B (zh) 2021-07-20
CN109862859A (zh) 2019-06-07
WO2018079302A1 (ja) 2018-05-03
KR102537750B1 (ko) 2023-05-26
AU2017349535B2 (en) 2023-05-04
JP6668217B2 (ja) 2020-03-18
AU2017349535A1 (en) 2019-05-09
JP2018068382A (ja)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5543B2 (ja) 吸収性物品
KR101579186B1 (ko) 흡수성 물품
AU2011241735B2 (en) Absorbent product
US10888468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484538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2545688B1 (ko) 남성 사용자에게 특히 적합한 일회용 팬티형 흡수 물품
EP3603593A1 (en) Absorbent pad
US9149395B2 (en) Liner for incontinence
KR20190073449A (ko) 흡수성 물품
JP2013255776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0115347A (ja) 吸収性物品
JP2014104147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11491B2 (ja) 吸収性物品
KR20170066509A (ko) 흡수성 물품
WO2020256144A1 (ja) 吸収性物品、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吸収体の製造装置
KR20170062496A (ko) 흡수성 물품
WO2019130910A1 (ja) 着用物品
EP2464323B1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2005192814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113873977B (zh) 内裤型一次性尿布
JP6973160B2 (ja) 吸収性物品
KR101758161B1 (ko) 일회용 기저귀
JP6645818B2 (ja) 吸収パッド
EP4275666A1 (en) Pants-type absorbent article
JP2014104348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