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774A - 세정기 - Google Patents
세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1774A KR20190051774A KR1020180106484A KR20180106484A KR20190051774A KR 20190051774 A KR20190051774 A KR 20190051774A KR 1020180106484 A KR1020180106484 A KR 1020180106484A KR 20180106484 A KR20180106484 A KR 20180106484A KR 20190051774 A KR20190051774 A KR 20190051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cleaning nozzle
- liquid
- jetting
- clea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과제)세정 노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세정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세정조와,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11)가 형성된 세정 노즐(3)을 갖춘다. 세정 노즐(3)은 세정조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3)에는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구(11)가 형성되고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분사구의 구경을 크게 한다.
(해결 수단)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세정조와,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11)가 형성된 세정 노즐(3)을 갖춘다. 세정 노즐(3)은 세정조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정 노즐(3)에는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구(11)가 형성되고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분사구의 구경을 크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세정물에 액체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공개된 바와 같이 분사식의 세정기가 알려져 있다. 해당 문헌의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세정기는 피세정물이 수납되는 세정조(211)와, 피세정물이 재치되는 래크(30)와, 세정수의 분사구(341)가 설치되어 래크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는 세정 노즐(34)을 구비한다. 송수 펌프(221)를 작동시키면 저수조(222)의 세정 수는 세정 노즐(23, 34)로 공급되어 세정 노즐(23, 34)의 분사구(341)로부터 분사됨으로써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동시에 세정 노즐(23, 34)을 회전시킨다.
이 종류의 세정기에서는, 세정 노즐로부터의 액체를 구석구석까지 피세정물에 닿게 하여, 세정 불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세정 노즐은 긴 변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세정 노즐의 중심으로부터 단부에 향해 그저 일정 간격으로 동일한 직경의 분사구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세정 노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피세정물에 닿는 액체의 유량이 감소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정 노즐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둘레방향의 이동 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꿔 말하면, 세정 노즐이 소정의 각도 회전했을 때, 외주 측의 분사구의 이동 거리는 내주 측의 분사구의 이동 거리보다 길어짐), 피세정물의 단위면적당으로의 액체가 닿는 시간이 세정 노즐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짧아진다.
세정력은 피세정물에 닿는 액체의 유량에 좌우되기 때문에 세정 노즐의 외주 측일수록 세정력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세정 노즐의 중심부에서는 액체가 과잉되고 외주부에서는 액체가 부족하여 세정 노즐의 중심부근과 단부에서 세정력의 불균일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정 노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세정조와,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세정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조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유지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口徑)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이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세정 노즐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된다. 때문에, 단지 일정 간격으로 동일한 직경의 분사구를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외주 측에서의 분사 유량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노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의 발명은, 상기 세정 노즐에는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기 분사구의 구경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이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세정 노즐에는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구가 형성되지만,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분사구의 구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세정 노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면의 중심 측의 분사구와 외주 측의 분사구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의 액체분사 유량의 차를 소정량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이다.
청구항3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회전의 중심 측과 외주 측에서 피세정물의 단위면적당으로의 액체의 분사 유량의 차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노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 노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세정기를 나타내는 개략도며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도1의 세정기에 사용되는 세정 노즐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세정 노즐의 개략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세정 노즐의 개략사시도이며,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도1의 세정기에 사용되는 세정 노즐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세정 노즐의 개략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세정 노즐의 개략사시도이며,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세정기(1)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먼저 세정기(1)의 전체 구성과 운전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스트레이너(3)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1에서의 좌우 방향을 세정기(1)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도1에서의 상하 방향을 세정기(1)의 상하 방향으로 하며 도1에서의 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을 세정기(1)의 전후 방향(앞쪽이 전방)으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세정기(1)는 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세정조(2)와, 이 세정조(2)내의 피세정물에 액체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3)과, 세정조(2) 내의 하부에 연결된 액체 저장부(4)와, 액체 저장부(4)로의 급수 수단(5)과, 액체 저장부(4)로부터의 배수 수단(6)과, 액체 저장부(4)로의 약액공급 수단(7)과, 액체 저장부(4)의 액체를 세정 노즐(3)에 공급하는 순환 수단(8)과, 액체 저장부(4)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9)과, 이러한 각 수단 (5)~(9)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피세정물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겸자(鉗子) 등의 의료기구이다. 세정조(2) 내에는, 상하 복수단에 세정 노즐(3)이 설치되지만, 피세정물은 상하의 세정 노즐(3)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피세정물은 격자 형상 또는 망상의 선반(도시하지 않음)에 얹을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은 필요에 의해 바스켓 등에 수용되어도 된다.
세정조(2)는 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중공용기이다. 세정조(2)는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구형의 중공 박스 형상이다. 세정조(2)는 도어(door)(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된다. 도어를 엶으로써, 세정조(2)에 대하여 피세정물을 출입시킬 수 있다. 도어는 세정조(2)의 정면에 설치되지만, 세정조(2)의 정면 및 배면의 양쪽에 설치되어도 된다.
세정 노즐(3)은 세정조(2) 내의 피세정물에 액체를 분사한다. 세정 노즐(3)은 세정조(2) 내에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조(2)의 전후 방향 중앙부의 일측부에, 상하 복수단으로 팔(arm) 형상의 지지 부재(10)의 기단부가 설치되고, 각 지지 부재(10)는 세정조(2)의 일측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부로 향해 연신된다. 그리고, 그 연신 선단부에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 중앙부가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상세한 것은 도2~도4에 근거하여 후술하지만, 세정 노즐(3)에는 지지 부재(10) 내를 통하여 공급되는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구(11)(도2~도4)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0)를 통하여 세정 노즐(3) 내에 액체가 공급되면, 그 액체는 세정 노즐(3)의 분사구(11)로부터 분사된다. 이 분류에 의해, 세정 노즐(3)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세정조(2) 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세정 노즐(3)은 하방에만 액체를 분사하고 세정조(2) 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세정 노즐(3)은 상방에만 액체를 분사하며 상하 양단부 이외의 세정 노즐은 상하 양쪽에 액체를 분사한다.
그런데, 도1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2)에 대하여 세정 래크(12)가 출입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도시예에서는, 상하 양단부에 설치되는 세정 노즐(3)은 세정조(2) 자체에 설치되고, 그 이외의 세정 노즐(3)은 세정 래크(12)에 설치되어 있다. 세정 래크(12)에는, 일측부에 배수 부재(13)가 설치되어 있고, 그 배수 부재(13)에 상하 복수단으로 지지 부재(10)가 설치되며, 각 지지 부재(10)에 세정 노즐(3)이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한, 세정 래크(12)에는, 각 세정 노즐(3)의 상부와 세정 래크(12)의 하부에 피세정물의 재치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2) 내에 세정 래크(12)를 격납하면 후술하는 순환 펌프(14)로부터의 배관이 배수 부재(13)에 연결된다.
세정조(2) 내의 하부에는, 액체 저장부(4)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조(2)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된 액체 저장부(4)가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액체 저장부(4)는 세정조(2)의 저면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저면은 액체 저장부(4)의 개구 테두리에 근접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조(2)의 저면은 좌우 양단부가 좌우 방향 내측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2a)으로 형성되며 전후 양단부가 전후 방향 내측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조(2)의 좌우 방향 중앙부 또한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대략 구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액체 저장부(4)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조(2)와 액체 저장부(4)의 사이는 망재(網材) 또는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구획 부재(15)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세정조(2)와 액체 저장부(4)는 금속망 또는 펀칭 메탈로 구성되는 구획 부재(15)로 구획된다. 또한, 액체 저장부(4)에는 구획 부재(15)보다 하방으로 스트레이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이너의 그물눈의 크기는 구획 부재(15)보다 충분히 작은 것이 채용된다.
급수 수단(5)은 급수로(16)를 통하여 액체 저장부(4)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로 (16)에는 급수 밸브(167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17)를 엶으로써, 액체 저장부(4)에 급수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세정조(2)에 급수로(16)를 연결함으로써, 급수는 세정조(2)를 통하여 액체 저장부(4)에 공급되지만, 액체 저장부(4)에 급수로(16)를 연결함으로써, 급수는 액체 저장부(4)에 직접 공급되어도 된다. 한편, 급수 수단(5)은 복수종의 물 (예를 들면 수도물, 온수, 막 여과수 등)로부터 선택된 물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배수 수단(6)은 액체 저장부(4)로부터 배수로(18)를 통하여 물을 배출한다. 배수로(18)에는 배수 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 밸브(19)를 엶으로써, 세정조(2)나 액체 저장부(4)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약액공급 수단(7)은 약액 탱크(20)로부터 급액로(21)를 통하여 액체 저장부(4)에 약액을 공급한다. 급액로(21)에는 약액 펌프(22)가 설치되어 있다. 약액 펌프(22)를 작동시킴으로써, 설정량의 약액을 액체 저장부(4)에 공급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액체 저장부(4)에 급액로(21)를 연결함으로써, 약액은 액체 저장부(4)에 직접 공급되지만, 세정조(2)에 급액로(21)를 연결함으로써, 약액은 세정조(2)를 통하여 액체 저장부(4)에 공급되어도 된다. 한편, 약액공급 수단(7)은 복수종의 약액 (예를 들면 알카리성 세제, 효소배합 세제, 윤활방청제, 건조촉진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약액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순환 수단(8)은 액체 저장부(4)의 액체를 세정 노즐(3)에 순환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순환 수단(8)은 순환 배관(23)과 순환 펌프(14)를 구비한다. 순환 배관(23)은 액체 저장부(4)로부터 각 세정 노즐(3)의 지지 부재(10)로의 배관이며, 그 도중에 순환 펌프(1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순환 배관(23)중, 액체 저장부(4)로부터 순환 펌프(14)로의 배관은 상류측에 있어서, 배수로(18)와 공통 관로로 되어 있다. 또한, 순환 배관(23)중, 순환 펌프(14)의 출구측에는 체크 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 펌프(14)를 작동시키면 액체 저장부(4)의 액체를 순환 배관(23)및 지지 부재(10)를 통해 세정 노즐(3)에 공급하여 분사하고 세정조(2)내 하부의 액체 저장부(4)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 수단(9)은 액체 저장부(4)에 설치된 히터(25)로 구성된다. 히터(25)는 도시예에서는 전기 히터이지만, 경우에 의해 증기 히터이어도 된다. 전기 히터의 경우, 전형적으로는 온 오프 제어되지만, 경우에 의해 출력을 조정해도 된다. 한편, 증기 히터의 경우, 증기관 내에 증기가 공급 가능하도록 되어, 증기의 응축수(凝縮水)는 증기 트랩을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그리고, 급증로(給蒸路)에 설치한 급증밸브의 개폐 또는 개도(開度)가 제어된다.
액체 저장부(4)에는 액위(液位)검출기(26)가 설치된다. 액위검출기(26)는 그 구성을 특히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액체 저장부(4)의 저부에 설치한 압력 센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액체 저장부(4)나 세정조(2) 내의 액위에 위해, 수압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액위를 파악한다.
액체 저장부(4)에는 온도 센서(27)가 설치된다. 온도 센서(27)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액체 저장부(4)의 저장액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 외에, 세정기(1)에는 필요에 따라 초음파진동자(28)가 설치된다. 도시예에서는, 세정조(2)의 하부의 좌우의 경사면(2a)에 각각 초음파진동자(28)가 설치되어 있다. 초음파진동자(28)는 초음파발진기에 접속되어 발진이 제어된다. 피세정물을 침적한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자(28)를 작동시킴으로써 피세정물을 초음파 세정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상기 각 수단 (5)~(9) 이외에, 액위검출기(26) 및 온도 센서(27) 등에 연결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밸브(17), 배수 밸브(19), 약액 펌프(22), 순환 펌프(14), 히터(25), 초음파발진기(25), 액위검출기(26) 및 온도 센서(27) 등은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기는 소정의 순서(프로그램)에 따라 세정조(2) 내의 피세정물의 세정을 도모한다. 이 경우, 적어도 후술하는 샤워 세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샤워 세정 동작에서는, 액체 저장부(4) 내에 액체를 저류(貯留)하고 그 액체를 순환 수단(8)에 의해 세정 노즐(3)에 순환 공급하여 세정 노즐(3)로부터 피세정물에 분사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액위검출기(26)가 설정 수위를 검출할 때까지, 급수 수단(5)에 의해 액체 저장부(4)에 급수한다. 그 후에 순환 펌프(14)를 작동시키면 수위가 떨어지기 때문에 초기 급수 시의 설정 수위는 구획 부재(15)보다 상방에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경사면(2a) 상단 테두리 부근까지 급수된다. 이 경우에도 순환 펌프(14)의 작동 중의 수위는 액체 저장부(4) 내로 억제된다.
액체 저장부(4)로의 급수 후, 필요에 따라, 약액공급 수단(7)에 의해 액체 저장부(4)에 원하는 약액을 투입한다. 약액공급 수단(7)에 의한 약액은 급수 수단(5)에 의한 급수에 대하여, 설정 농도로 되도록 설정량만큼 투입된다. 또한, 동일하게 필요에 따라 가열 수단(9)에 의해, 액체 저장부(4) 내의 저장물을 설정 온도까지 가열한다. 약액의 투입이나 저장물의 가열은 순환 수단(8)의 작동 전에 제한되지 않고 순환 수단(8)의 작동 중에 실시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액체 저장부(4)에 원하는 량의 액체를 저류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14)를 작동시켜, 저장액을 순환 배관(23) 및 지지 부재(10)를 통해 세정 노즐(3)에 공급하여 분사하고, 세정 노즐(3)을 회전시키면서 피세정물을 세정한다. 그리고, 각 세정 노즐(3)로부터 분사된 액체는 세정조(2) 하부의 액체 저장부(4)에 되돌려진다. 소정의 종료 조건 (예를 들면 설정 시간의 경과)을 만족하면 순환 펌프(14)를 정지하고, 액체 저장부(4) 내의 액체를 배수 수단(6)에 의해 배출한다.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샤워 세정 동작을 반복하여 피세정물을 세정하고 헹군다. 예를 들면, 약액을 투입하지 않은 상온수에 의한 예비세정, 필요에 따라 세제를 투입한 온수에 의한 본세정(전형적으로는 복수회), 필요에 따라 헹굼제를 투입한 온수에 의한 헹굼 세정(전형적으로는 복수회) 등이 순차로 진행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세정기(1)에 사용되는 세정 노즐(3)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도4는 본 실시예의 세정 노즐(3)의 일예를 제시하는 개략도이며, 도2는 평면도, 도3은 정면도, 도4는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이란, 도2에서의 좌우 방향(길이 방향)이고, 세정 노즐(3)의 짧은 변 방향이란, 도2에서의 상하 방향(너비 방향)이다.
세정 노즐(3)은 가늘고 긴 중공부재로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긴 변 방향 중앙부가 지지 부재(10)에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즉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세정 노즐(3)에는 액체의 분사구(11)가 형성된다. 이 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상하면, 짧은 변 방향의 측면 및 긴 변 방향의 단면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세정 노즐(3)에는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11)가 형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11)는 상하 방향 이외로 (즉 바로 위 및 바로 아래 이외로) 액체를 분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그 분사구(11)로부터의 분류로 세정 노즐(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정 노즐(3)은 긴 변 방향 양단부가 폐쇄된 통재(筒材)로 형성된다. 이 통재의 단면은 대략 타원형상 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구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세정 노즐(3)은 거의 구형 단면의 긴 변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짧은 변이 연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세정 노즐(3)에는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11)가 형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 중앙부를 경계로,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의 한쪽 (도2의 왼쪽 절반)에는, 짧은 변 방향 일측면에 분사구(11A)가 형성되고,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의 반대쪽(도2의 오른쪽 절반)에는, 짧은 변 방향 타측면에 분사구(1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세정 노즐(3)의 중심(긴 변 방향 중앙부인 동시에 짧은 변 방향 중앙부)을 경계로, 점대칭이 되도록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의 분사구(11)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 양단면에도 분사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 노즐(3)은 짧은 변 방향의 측면이나 긴 변 방향의 단면이 연직면 (세정 노즐(3)의 상하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어도 되지만, 도시예에서는 경사면(3a, 3b)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경사면(3a)에 분사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정 노즐(3)의 짧은 변 방향 양단부에는 짧은 변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 상하 방향 내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 (3a)에 분사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 양단부에는 긴 변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 상하 방향 내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3b)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3b)에 분사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분사구(11)는 각 경사면(3a, 3b)에 대해 수직으로 열려 있다. 또한, 각 분사구(11)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둥근 구멍이다.
세정 노즐(3)에 형성되는 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긴 변 방향 중앙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口?)이 크게 형성되거나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A)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지만 세정 노즐(3)의 외주 측으로 감에 따라 구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혹은, (B)세정 노즐(3)의 긴 변의 치수를 일정 간격으로 (즉,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치수씩 늘어나도록) 복수의 구획으로 구획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각 구획에 형성되는 분사구(11)(일반적으로는 동일 구경의 구멍)의 개수가 세정 노즐(3)의 외주 측의 구획일수록 많아지도록 형성된다. 혹은, (C)분사구(11)는 동일 구경의 구멍이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지만 세정 노즐(3)의 외주 측으로 갈수록 간격(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에 인접하는 분사구(11) 사이의 이격 거리)이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혹은, 세정 노즐(3)의 분사구(11)는 이들 (A)~ (C) 등의 편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요컨대, 세정 노즐(3)에는 외주 측일수록 개구면적이 커지도록 분사구(11)를 형성한다.
도시예에서는, 세정 노즐(3)의 짧은 변의 방향의 측면에 형성되는 분사구(11)에 대해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세정 노즐(3)에는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구(11)가 형성되고 있고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분사구(11)의 구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세정기(1)에 의하면, 세정 노즐(3)에 형성되는 분사구(11)는 회전 중심에서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된다. 때문에, 다만 일정 간격으로 동일한 직경의 분사구(11)를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외주 측에서의 분사 유량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노즐(3)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그런데, 세정 노즐(3)의 회전면의 중심 측과 외주 측에서 단위면적당의 액체분사 유량의 차이를 소정량 이하(바람직하게는 제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정기(1)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세정 노즐(3)의 회전 영역을 관찰했을 경우에 있어서, 세정 노즐(3)의 회전의 중심 측과 외주 측에서, 원형의 회전 영역(나아가 피세정물)의 단위면적당으로의 액체의 분사 유량의 차이를 경감하도록 분사구(11)의 구경, 개수 및 형성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 노즐(3)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의 중심과 외단의 영역(도3의 오른쪽 절반 또는 왼쪽 절반)에 대해 세정 노즐(3)의 긴 변 방향에 따른 치수를 등분 (예를 들면 도3의 오른쪽 절반을 재차 좌우로 등분)하도록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가상 구획으로 구획했다고 한다. 상술한 대로, 세정 노즐(3)의 회전 영역은 상방에서 보아 원형으로 되고 상기 가상 구획 각각은 해당 원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의 분사 영역을 형성한다. 각 가상 구획의 분사구(11)에 의한 분사 영역끼리를 비교했을 경우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으로의 액체의 분사 유량의 차이가 소정량 이하가 되도록 세정 노즐(3)의 분사구(11)가 조정된다. 따라서, 세정 노즐(3)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피세정물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한편, 각 가상 구획에는 분사구(11)가 하나이어도 되고 복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세정기(1)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특히, 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세정조(2)와,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11)가 형성된 세정 노즐(3)을 구비하고, 세정 노즐(3)은 세정조(2)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되며 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기타의 구성은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정 노즐(3)의 짧은 방향의 측면에 분사구(11)를 형성하고 그 분사구(11)의 크기를 조정(긴 변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큰 직경으로 형성)했지만, 세정 노즐(3)의 표면 및/또는 하면에 분사구(11)를 형성하고 그 분사구(11)의 크기를 조정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상술한 대로, 분사구(11)로부터의 분류로 세정 노즐(3)을 회전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11)는 세정 노즐(3)의 짧은 변 방향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 이외로(즉 바로 위 및 바로 아래 이외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분사구(11)의 크기를 조정하는 이외에 개수를 조정해도 되는 것도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세정 노즐(3)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 측에 감에 따라 선단이 가늘게(짧은 변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세정조(2)및/또는 액체 저장부(4)의 평면시 형상은 대략 구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 이외에 구형 이외의 다각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세정 후의 피세정물을 건조 가능하도록 송풍기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 후의 젖은 피세정물은 세정조(2)에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건조를 도모할 수 있다.
1세정기
2세정조(2a: 경사면)
3세정 노즐 (3a, 3b: 경사면)
4액체 저장부
5급수 수단
6배수 수단
7약액공급 수단
8순환 수단
9가열 수단
10지지 부재
11분사구
12세정 래크
13배수 부재
14순환 펌프
15구획 부재
16급수로
17급수 밸브
18배수로
19배수 밸브
20약액 탱크
21급액로
22약액 펌프
23순환 배관
24체크 밸브
25히터
26액위검출기
27온도 센서
28초음파진동자
2세정조(2a: 경사면)
3세정 노즐 (3a, 3b: 경사면)
4액체 저장부
5급수 수단
6배수 수단
7약액공급 수단
8순환 수단
9가열 수단
10지지 부재
11분사구
12세정 래크
13배수 부재
14순환 펌프
15구획 부재
16급수로
17급수 밸브
18배수로
19배수 밸브
20약액 탱크
21급액로
22약액 펌프
23순환 배관
24체크 밸브
25히터
26액위검출기
27온도 센서
28초음파진동자
Claims (3)
- 피세정물이 수용되는 세정조와,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세정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조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구경을 크게 및/또는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에는 긴 변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기 분사구의 구경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면의 중심 측의 분사구와 외주 측의 분사구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의 액체분사 유량의 차이를 소정량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14026 | 2017-11-06 | ||
JP2017214026A JP2019084488A (ja) | 2017-11-06 | 2017-11-06 | 洗浄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774A true KR20190051774A (ko) | 2019-05-15 |
Family
ID=6640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6484A KR20190051774A (ko) | 2017-11-06 | 2018-09-06 | 세정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9084488A (ko) |
KR (1) | KR20190051774A (ko) |
CN (1) | CN109744976A (ko) |
TW (1) | TW20191829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96753B (zh) * | 2021-10-13 | 2023-07-18 | 九阳股份有限公司 | 一种自清洗食品加工机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9013A (ja) | 2008-12-24 | 2010-07-08 | Nihon Giken Kogyo Kk | 洗浄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6710Y2 (ko) * | 1986-04-25 | 1991-10-02 | ||
JPH0611878U (ja) * | 1992-07-07 | 1994-02-15 | ヤマト科学株式会社 | 回転式洗浄ノズル |
JP3415666B2 (ja) * | 1992-12-17 | 2003-06-09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食器洗浄機における洗浄ノズル |
JP2593971Y2 (ja) * | 1993-01-19 | 1999-04-19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食器洗浄機 |
JP2009089969A (ja) * | 2007-10-10 | 2009-04-30 | Panasonic Corp | 食器洗い機 |
KR101860717B1 (ko) * | 2012-01-06 | 2018-05-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노즐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
-
2017
- 2017-11-06 JP JP2017214026A patent/JP2019084488A/ja active Pending
-
2018
- 2018-08-23 CN CN201810970061.9A patent/CN109744976A/zh active Pending
- 2018-09-06 KR KR1020180106484A patent/KR20190051774A/ko unknown
- 2018-09-11 TW TW107131866A patent/TW201918294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9013A (ja) | 2008-12-24 | 2010-07-08 | Nihon Giken Kogyo Kk | 洗浄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9084488A (ja) | 2019-06-06 |
CN109744976A (zh) | 2019-05-14 |
TW201918294A (zh) | 2019-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9096B1 (ko) |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 |
WO2018008377A1 (ja) | 超音波洗浄器 | |
KR20190051774A (ko) | 세정기 | |
JP6579368B2 (ja) | 洗浄器 | |
JP2017080646A (ja) | 洗浄装置 | |
JP6712409B2 (ja) | 超音波洗浄器 | |
JP2016073908A (ja) | 洗浄器 | |
JP2019098260A (ja) | 洗浄器 | |
JP7012938B2 (ja) | 洗浄器 | |
KR20180132509A (ko) | 세정기 | |
JP2016144784A (ja) | 洗浄器 | |
KR20180127911A (ko) | 세정기 | |
JP2016140677A (ja) | 洗浄器 | |
KR20070083137A (ko) | 초음파 세척기 | |
JP2017023985A (ja) | 洗浄器 | |
JP7205759B2 (ja) | 洗浄器 | |
JP2017070882A (ja) | 洗浄器 | |
JP2019084502A (ja) | 洗浄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JP2016073909A (ja) | 洗浄器 | |
JP2020116523A (ja) | 洗浄器 | |
KR102388393B1 (ko) |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 |
JP6593577B2 (ja) | 洗浄器 | |
US11166615B2 (en) | Dishwasher comprising a hydraulic arrangement for cleaning a filter device | |
JP2020110764A (ja) | 洗浄器 | |
KR20180129615A (ko) | 세정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