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275A -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 유닛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8275A KR20190048275A KR1020170143079A KR20170143079A KR20190048275A KR 20190048275 A KR20190048275 A KR 20190048275A KR 1020170143079 A KR1020170143079 A KR 1020170143079A KR 20170143079 A KR20170143079 A KR 20170143079A KR 20190048275 A KR20190048275 A KR 201900482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beading
- hollow
- lock cor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에 관한 것으로, 직경 75m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상부를 이루며, 선단부측이 날카로운 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부와,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외주 및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비딩부와, 상부강관의 하부 원주면을 이루며 연결강관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락심부로 구성된 상부강관; 상기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부, 제1비딩부 및 제1락심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하단부, 제3비딩부 및 제3락심부로 구성된 하단강관; 상기 상부 및 하단강관과 접합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3락심부의 단부면이 삽입되면서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락심부를 포함하는 연결강관; 및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외면 및 내면에 모두 밀착 구성되며, 상기 날카로운 단면이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캡 플랜지부가 형성된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 75mm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파이럴 덕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용 금속배관으로 구성된 중공강관의 외주면에 비딩부를 형성하여 중공강관의 중량은 최소화하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압력하중을 견딜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단 및 하단부에 보호캡을 구성하여 중공강관의 날카로운 단부에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부재를 공장에서 선제작한 후 현장에서 설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공법은 현장인건비 절감과 공기단축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하지만, 대형기둥 또는 장주와 같은 중량기둥의 경우 과도한 양중부하로 인해 제작, 운송, 설치 등에 어려움이 따르며, 이로 인해 중량의 기둥, 벽보 및 슬래브 등을 모두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중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 모두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0860호에는, 강관을 중공면에 삽입· 설치하여 콘크리트와 일체화시켜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중공단면 기둥의 내부에서 내측부 콘크리트의 구속력을 발휘하게 하여 일반 중공단면 콘크리트 기둥에서 발휘되지 못하는 3축응력상태를 만듬으로써, 기둥 단면의 감소와 재료비의 감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강관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기둥이 완성된 이후에는 강관의 아치작용을 통해 단면 내측에서 콘크리트 압괴를 지연시킬 수 있으면서 연성능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강관을 삽입한 중공단면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강관의 양측 선단부가 날카롭게 가공된 상태여서 강관의 시공시 날카로운 면에 의해 사용자(작업자)의 손이나 이송중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다치게 하여 안전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관이 외주면이 매끄러운 단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순한 파형으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압력하중의 지지력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직경 75mm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파이럴 덕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용 금속배관으로 구성된 중공강관의 외주면에 비딩부를 형성하여 중공강관의 중량은 최소화하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압력하중을 견딜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 및 하단부에 보호캡을 구성하여 중공강관의 날카로운 단부에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75m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공강관의 상부를 이루며, 선단부측이 날카로운 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부와,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외주 및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비딩부와, 상부강관의 하부 원주면을 이루며 연결강관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락심부로 구성된 상부강관; 상기 중공강관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부, 제1비딩부 및 제1락심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하단부, 제3비딩부 및 제3락심부로 구성된 하단강관; 상기 상부 및 하단강관과 연결되며, 외주면으로 상기 제1비딩부와 동일한 형태의 제2비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3락심부의 단부면이 삽입되면서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락심부를 포함하는 연결강관; 및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외면 및 내면에 모두 밀착 구성되며, 상기 날카로운 단면이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캡 플랜지부가 형성된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3비딩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외부 비딩부와, 상부 및 하부강관의 내주면으로 상기 외부 비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는 한 쌍의 홈으로 형성되는 내부 비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비딩부는, 산의 높이가 1mm ~7mm 이하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 플랜지부에는 외면 중앙부로 소정의 곡률부를 형성하고, 그 단면의 형상이 "V", 또는 "U"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강관은 상기 상부 및 하부강관에 결합되어 중공강관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강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보호캡의 내면을 찢으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며, 내면이 불규칙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면 삽입홈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경 75mm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파이럴 덕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용 금속배관으로 구성된 중공강관의 외주면에 비딩부를 형성하여 중공강관의 중량은 최소화하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압력하중을 견딜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단 및 하단부에 보호캡을 구성하여 중공강관의 날카로운 단부에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배관 연결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강관 배관유닛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배관 연결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강관 배관유닛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배관 연결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강관 배관유닛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은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며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직경이 75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층의 내부에 매립되면서 콘크리트의 사용량은 절감하는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력하중에 대한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파이럴 덕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타 금속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강관(110), 연결강관(120), 하부강관(130) 및 보호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강관(110)은 내부가 관통형성되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연도강판의 절삭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상부 원주면을 이루고, 그 선단부측이 날카로운 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부(112)와, 상부강관(110)의 하부 원주면을 이루며 연결강관(120)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락심부(114)와, 상단부(112) 및 제1락심부(114) 사이에 형성되며,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구조적 강성, 축력 및 모멘트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제1비딩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단부(112)는 선단부에 형성되는 날카로운 단면부에 후술할 보호캡(140)이 결합되어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시공시 상기 단면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보호캡(140)의 결합시 상기 단면부가 보호캡(140)의 내면을 찢으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호캡(140)의 찢어진 부분의 내면이 불규칙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단면부와 보호캡(140)의 내면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호캡(140)의 내면에 상기 단면부가 삽입되는 단부 삽입홈(144)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제1락심부(114)는 상부강관(110)의 하부 원주면을 이루며, 연결강관(120)과 결합되어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락심부(Lock seam)는 상부강관(110) 및 연결강관(120), 또는 하부강관(130) 및 연결강관(12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강관들(110, 120, 13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합 플랜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강관들(110, 120, 130)의 단부들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락심부(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강관(110)의 하부 원주면의 선단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연결강관(120)의 상부에 삽입 및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락심부(114)는 하측부가 상부강관(11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 락심부(230)와, 이 절곡 락심부(230)의 하측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연결강관(120)의 상측부에 구성되는 제2락심부(124)와 접합이 이루어지는 접합 락심부(240)로 구성된다.
이때, 접합 락심부(240)는 절곡 락심부(230)의 선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절곡 락심부(230)의 외주면과 접합 락심부(240)의 내주면 사이에 후술할 제2락심부(124)의 선단부를 이루는 접합부(124a)가 삽입 및 접합되는 접합홈(242)이 형성된다.
이때, 접합 락심부(240)는 제2락심부(124)의 배관 연결홈(124b)에 삽입되면서 밀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제1 및 제2락심부(114, 124)가 서로 삽입 및 접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각각의 배관들의 긴밀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절곡 락심부(230)의 내주면에 대한 직경과, 연결강관(120)의 내주면이 동일한 직경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접합 락심부(240)의 원주면에 대한 직경은 연결강관(120)의 제2락심부(124)에 형성된 배관 연결홈(124b)의 원주면과 동일한 지경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비딩부(116)는 제1락심부(114) 사이, 즉 상부강관(110)의 중앙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부강관(110)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비딩부(116)는 상부강관(1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강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외부 비딩부(210)와 상부강관(110)의 내주면에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 비딩부(220)로 구성된다.
외부 비딩부(2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외부 비딩부(210)는 산의 높이(H1)가 1mm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압력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외부 비딩부(210)의 산 높이(H1)가 최소 1mm ~7mm 이하로 상부강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부 비딩부(210)는 상부강관(110)의 내주면에 함몰되는 소정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되, 외부 비딩부(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비딩부(22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외부 비딩부(21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홈으로 형성되되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부강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부 비딩부(220)의 홈의 깊이(H2)는 0.7mm ~ 6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의 깊이(H2)가 6mm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압력 하중에 의해 제1비딩부(116)가 찢어지면서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압력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홈의 깊이(H2)가 외부 비딩부(210)의 산의 높이(H1) 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다.
연결강관(120)은 상부강관(110) 및 하부강관(130) 사이에 접합되는 것으로,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총 길이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강관(120)은 상측 및 하측 단부에 각각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제2락심부(124)가 형성되고, 중앙측에는 상기 외부 비딩부(210)와 내부 비딩부(220)로 이루어진 제2비딩부(126)가 형성된다.
즉, 제2비딩부(126)는 제1비딩부(116)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락심부(124)는 연결강관(120)의 상측단부에 형성되어 상부강관(110)과 접합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락심부(250)와, 연결강관(120)의 하측단부에 형성되며, 하부강관(130)의 상측단부와 접합에 의해 연결되는 하부 락심부(2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락심부(250, 260)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90mm~130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락심부(124)는 90mm~130mm의 간격 사이에 제2비딩부(126)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락심부(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단부가 연결강관(120)의 내부로 절곡되면서 접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접합 락심부(240)의 선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접합 락심부(240)와 접합이 이루어지는 접합부(124a)와, 연결강관(120)의 접힘 부분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접합부(124a)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 락심부(240)와 제2락심부(124)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배관 연결홈(124b)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락심부(124)에는 상부 및 하부강관(110, 130)의 제1락심부(114)에 형성된 접합홈(242)에 삽입되면서 각각의 배관들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접힘 강성부(124c)로 구성된다.
접합부(124a)는 배관 연결홈(124b)의 내면 상측 및 접힘 강성부(124c)의 내주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강관(110, 130)에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3락심부(114, 134)와 접합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강관들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접합부(124a)는 외면 및 내면부가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 설치되고, 이후 상기 복수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마찰열과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강관(130)은 상부강관(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 단부가 연결강관(120)과 연결되면서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하측단부를 이루는 것으로,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하단부(132)에 보호캡(140)이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하부강관(130)은 상부강관(110)과 마찬가지로 제1락심부(114)및 제1비딩부(116)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3락심부(134) 및 제3비딩부(136)가 형성되는 것이다.
보호캡(140)은 상부 및 하부강관(110, 130)에 각각 구성되는 상단부(112)와 하단부(132)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112) 및 하단부(114)의 외면 및 내면에 모두 밀착 구성될 수 있도록 접힘 공정이 이루어지는 캡 플랜지부(1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캡 플랜지부(142)는 판형의 보호캡(140)의 내면을 상기 상단부(112) 및 하단부(114)의 외면에 밀착시킨 후 상단부(112) 및 하단부(114)의 내면측으로 접어 날카로운 단면이 캡 플랜지부(142)에 의해 완전이 감싸지도록 하고, 접힘공정이 완료되었을 때, 외면 중앙부가 소정의 곡률부(146)를 형성함으로써,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시공시 상기 날카로운 단면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캡 플랜지부(142)는 접힙공정이 수행될 때 하부강관(130)에 결합되는 보호캡(140)을 기준으로 "V", 또는 "U"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부(112) 및 하단부(114)의 외면 및 내면이 완전하게 밀착되면서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 플랜지부(142)는 접힘공정 후 복수의 롤러 등에 의해 상기 상단부(112) 및 하단부(114)와 접합이 이루어질 때, 날카로운 단면이 캡 플랜지부(142)의 내측을 찢으면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부 삽입홈(144)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캡(140)은 중공강관 배관유닛(100)과 동일한 아연도강판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관통된 내부 공간을 밀폐시켜 콘크리트 매설시 상기 콘크리트가 중공강관 배관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제2강관(27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강관(270)은 각각 상부강관(110) 및 하부강관(130)에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볼트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강관(270)에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관통홀(27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콘크리트의 매설시 상기 관통홀(272)을 통과하면서 제2강관(270)이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공강관 배관유닛(100)과 콘크리트 사이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부강관
112: 상단부
114: 제1락심부 116: 제1비딩부
120: 연결강관 124: 제2락심부
126: 제2비딩부 130: 하부강관
132: 하단부 134: 제3락심부
136: 제3비딩부 140: 보호캡
142: 캡 플랜지부 210: 외부 비딩부
220: 내부 비딩부 230: 절곡 락심부
240: 접합 락심부 250: 상부 락심부
260: 하부 락심부
114: 제1락심부 116: 제1비딩부
120: 연결강관 124: 제2락심부
126: 제2비딩부 130: 하부강관
132: 하단부 134: 제3락심부
136: 제3비딩부 140: 보호캡
142: 캡 플랜지부 210: 외부 비딩부
220: 내부 비딩부 230: 절곡 락심부
240: 접합 락심부 250: 상부 락심부
260: 하부 락심부
Claims (6)
- 직경 75m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상부를 이루며, 선단부측이 날카로운 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부와,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외주 및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비딩부와, 상부강관의 하부 원주면을 이루며 연결강관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1락심부로 구성된 상부강관;
상기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부, 제1비딩부 및 제1락심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하단부, 제3비딩부 및 제3락심부로 구성된 하단강관;
상기 상부 및 하단강관과 연결되며, 외주면으로 상기 제1비딩부와 동일한 형태의 제2비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3락심부의 단부면이 삽입되면서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락심부를 포함하는 연결강관; 및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외면 및 내면에 모두 밀착 구성되며, 상기 날카로운 단면이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캡 플랜지부가 형성된 보호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딩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외부 비딩부와, 상부 및 하부강관의 내주면으로 상기 외부 비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는 한 쌍의 홈으로 형성되는 내부 비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딩부는, 산의 높이가 1mm ~7mm 이하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랜지부에는 외면 중앙부로 소정의 곡률부를 형성하고, 그 단면의 형상이 "V", 또는 "U"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강관 배관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강관에 결합되어 중공강관 배관유닛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강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보호캡의 내면을 찢으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며, 내면이 불규칙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면 삽입홈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079A KR102080150B1 (ko) | 2017-10-31 | 2017-10-3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079A KR102080150B1 (ko) | 2017-10-31 | 2017-10-3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275A true KR20190048275A (ko) | 2019-05-09 |
KR102080150B1 KR102080150B1 (ko) | 2020-02-21 |
Family
ID=6654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3079A KR102080150B1 (ko) | 2017-10-31 | 2017-10-3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15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9228A (ja) * | 1996-11-26 | 1998-06-16 | Kurimoto Ltd |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ワインディングパイプ |
JP2004339824A (ja) * | 2003-05-16 | 2004-12-02 | Shigeru Yaguchi | コンクリートの埋設物、埋設物付きデッキプレート |
KR100620860B1 (ko) | 2004-07-30 | 2006-09-19 | 한택희 | 강관을 삽입한 중공단면 철근콘크리트 기둥 |
JP2013057191A (ja) * | 2011-09-08 | 2013-03-28 | Kurimoto Ltd | ワインディングパイプ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3079A patent/KR1020801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9228A (ja) * | 1996-11-26 | 1998-06-16 | Kurimoto Ltd |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ワインディングパイプ |
JP2004339824A (ja) * | 2003-05-16 | 2004-12-02 | Shigeru Yaguchi | コンクリートの埋設物、埋設物付きデッキプレート |
KR100620860B1 (ko) | 2004-07-30 | 2006-09-19 | 한택희 | 강관을 삽입한 중공단면 철근콘크리트 기둥 |
JP2013057191A (ja) * | 2011-09-08 | 2013-03-28 | Kurimoto Ltd | ワインディングパイプ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150B1 (ko) | 2020-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7314B1 (ko) | 강관기둥 접합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518622B1 (ko) |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 |
KR102020441B1 (ko) | 충전강관기둥 및, 강관기둥구조체 | |
JP5137592B2 (ja) | 鋼管ポールの接合構造及びこれによって接合された鋼管ポール | |
JP4835918B2 (ja) | 杭と柱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工法 | |
JP6027590B2 (ja) | 支圧抵抗金具付き杭頭補強材及び支圧抵抗金具付き杭頭補強材を使用した杭頭接合構造 | |
KR20190048275A (ko) | 콘크리트 구조물용 중공강관 배관 유닛 | |
JP3962320B2 (ja) | 充填型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 | |
JP4386804B2 (ja) | 既設鉄塔の耐震補強構造 | |
JP6541255B2 (ja) | 杭の設計方法および構造物の支持構造 | |
JP2010174557A (ja) | 鉄筋の組立構造および組立方法 | |
KR200477104Y1 (ko) | 중공형 강관 기둥과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 |
JP4192125B2 (ja) | 既設鋼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 |
JP5077865B2 (ja) | 既製杭及び基礎杭構造 | |
JP2010144392A (ja) | 既成杭の杭頭部とフーチング結合材と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 |
JP2003232077A (ja) | 梁補強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梁貫通孔補強構造 | |
KR20130114535A (ko) | 건축물 기둥시공용 콘크리트 충전 튜브러 및 그 제조방법 | |
JP3981688B2 (ja) | 鉄骨梁と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および複合構造物 | |
KR101665792B1 (ko) | 수평부재와 기둥부재의 연결구조 | |
JP6006274B2 (ja) | 支圧板付き折曲げ加工鉄筋 | |
KR20170036949A (ko) |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 |
KR200378366Y1 (ko) | 지주용 보강 파이프 | |
JP7294965B2 (ja) | 鋼製支保工と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との接続部構造 | |
JP5196644B2 (ja) |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用貫通孔補強構造 | |
JP2005023573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と鋼管コンクリートとの接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