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916A -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4916A KR20190044916A KR1020170137513A KR20170137513A KR20190044916A KR 20190044916 A KR20190044916 A KR 20190044916A KR 1020170137513 A KR1020170137513 A KR 1020170137513A KR 20170137513 A KR20170137513 A KR 20170137513A KR 20190044916 A KR20190044916 A KR 201900449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ist
- support portion
- user
- rail groove
- upper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 손목착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 및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는 시계, 스마트 밴드, 카메라 부착용 밴드, 기타 폰 부착용 부착밴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손목 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착용시 손목 상단이나 손목 하단 쪽에만 장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즉 종래의 손목 착용용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불편함과 상관없이 손목 디바이스의 화면을 보기 위해 팔을 비틀어서 손목 상단이나 하단을 눈에 보이게 해야 볼 수 있게 되고, 볼 때 마다 팔을 비틀어서 보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장치를 보기위해 팔을 움직이는 행위는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와 함께 목, 어깨 관련 질환이나 디스크 등 여러 문제를 동반하게 되고 장시간 이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5-0088454호(발명의 명칭: 케이스를 탈부착할 수 있는 손목 밴드)에서는, 스마트폰이나 단말기를 케이스와 밴드로 신체의 특정부위에 고정하여 손쉽운 보관과 고정상태로 조작을 손쉽게하고 케이스 일부의 탈부착을 통하여 스마트폰이나 단말기의 후면기능을 이용 가능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편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착용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보기 쉬운 각도로 회전 고정 가능한 착용형 장치가 요구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목용 디바이스를 사용을 하는 경우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손목 위치로 이동시켜 손에 착용하고 자유로운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손목으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를 이격시켜 전자파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 손목착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 및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로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자세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물론 증강현실, 가상현실 기반 착용형 보조 장치, 드론 보조 장치, 및 가정 내 유무선 게임 보조 장치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산업 및 생활 전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와 트레일러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와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레일홈과 트레일러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외부 디바이스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와 트레일러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와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레일홈과 트레일러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외부 디바이스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를 탈착할 수 있는 손목 착용 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외부 디바이스란 가전기기, 게임기, 드론, 가상현실 장치, 및 증강현실 장치와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테블릿 PC, 입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100), 손목착용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130) 및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트레일러부(140)를 통해 트레일러부(140)에 부착된 외부 디바이스를 손목 상단에서 손목 측면이나 손목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전거, 오토바이, 싸이클, 자동차 등 이용시 핸들구조에 따라 트레일러부(140)에 부착된 외부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편의 대로 손목 상단에서 손목 측면 또는 손목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100)와 트레일러부(14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1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1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와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레일홈(130)과 트레일러부(140)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손목착용부(100), 레일홈(130), 트레일러부(140) 및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
손목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목의 일 부분을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목 하단 및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손목착용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일홈(130)은 손목착용부(100)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에 대하여 내측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레일홈(130)은 손목착용부(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일홈(130)은 손목착용부(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31a, 131b)을 포함한다.
트레일러부(140)는 외부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받침부(143), 받침부(143)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레일홈(130)에 끼움 결합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142) 및 슬라이딩부(142)의 단부에 형성되되, 걸림홈(131a, 131b)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볼록부(141)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42)는 일단이 레일홈(130)에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딩부와 하부 슬라이딩부의 타단과 받침부(143)의 하면을 수직하게 연장하는 상부 슬라이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슬라이딩부는 손목착용부(100)의 상면과 받침부(143)의 하면을 이격시키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홈(130)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홈(131a)은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에 대하여 레일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42)의 단부에는 걸림홈(131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볼록부(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레일러부(140)는 각 걸림홈(131a)에 볼록부(141a)가 맞물리는 경우 손목착용부(100)의 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홈(130)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홈(131b)은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에 대하여 레일홈(130)의 단부에서 상측 및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42)의 단부에는 걸림홈(131b)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볼록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홈(130)에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딩부(142)는 단부에 형성된 상측 및 하측 볼록부(141b)가 상측 및 하측 걸림홈(131b)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운데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목착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레일러부(140)를 이동시키다가 각 걸림홈(131a, 131b)과 트레일러부(140)의 볼록부(141a, 141b)가 맞물리는 경우 손목착용부(100) 상의 원하는 위치에 트레일러부(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손목착용부(100)는 상부면에 위치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배터리정보, 연결상태정보, 설정정보 등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격부재(120)는 손목착용부(100)의 내주면에 손목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격부재(120)는 사용자의 손목 하단 및 상단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부재(120)는 사용자의 손목과 손목착용부(100)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목착용부(100)에 구비된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발열 및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때 이격부재(120)는 우레탄, 가죽 및 ABS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의 두께에 따라 손목착용부(100)에 나사 및 밴드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죽으로 이루어진 이격부재(120)가 선택될 경우, 가죽으로 이루어진 이격부재(120)의 두께를 고려하여 밴드 결합 방식으로 손목착용부(100)의 각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목착용부(100)에 구비되거나 부착되는 이격부재(120)를 통해 종래의 기존 스마트 밴드나 스마트 워치가 사용자 손목을 감싸며 밀착하여 기기의 발열과 전자파 등이 신체에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격부재(120)는 사용자의 체온, 맥박, 분당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를 포함한다. 생체신호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체신호센서는 손목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이격부재(120)에 구비되어 맥박 또는 사용자의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100)의 가압 구조와 외부 디바이스의 결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100)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손목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101), 상단지지부(101)의 일단과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102) 및 상단지지부(101) 및 하단지지부(102)의 내측면 가운데에 배치되는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
손목착용부(100)는 하단지지부(102)가 상단지지부(101)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103) 및 연결부재(103)와 연결되되 상단지지부(101)의 이격부재(12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150)과 상단지지부(101)의 상부면에 구비된 풀림버튼(160)으로 구성된 버튼부(150, 16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가압버튼(150)을 누를 시 하단지지부(102)는 손목을 가압하도록 오므라지고, 풀림버튼(160)을 누를 시 하단지지부(102)는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손목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101) 및 상단지지부(101)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단부가 각각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제1 하단지지부(102a) 및 제 2 하단지지부(102b) 및 상단지지부(101)의 내측면 가운데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102a, 102b)의 단부에 배치되는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
손목착용부(100)는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102a, 102b)가 상단지지부(101)의 일단 및 타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1 연결부재(103a) 및 제 2 연결부재(103b) 및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03a, 103b)와 각각 연결되되 상단지지부(101)의 이격부재(12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150)과 상단지지부(101)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 1 풀림버튼(160a) 및 제 2 풀림버튼(160b)으로 구성된 버튼부(150, 160a, 160b)를 포함한다.
가압버튼(150)을 누를 시 제 1 및 제 2하단지지부(102a, 102b)는 손목을 가압하도록 동시에 오므라지고, 제 1 풀림버튼(160a)을 누를 시 제 1 하단지지부(102a)는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고, 제 2 풀림버튼(160b)을 누를 시 제 2 하단지지부(102b)는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
이때 버튼부(150, 160, 160a, 160b)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가압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압 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터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외부 디바이스(145)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145)는 예시적인 것이며, 스마트폰 케이스 또는 스마트폰 자체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외부 디바이스(145)와 같이 장변의 길이가 손목착용부(100)의 폭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팔꿈치와 손목 사이의 팔 중간 부분을 지지하도록 외부 디바이스(145)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보조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지지부(200)는 사용자의 팔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다양한 길이의 외부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손목착용부
110 : 디스플레이부
101: 상단지지부
102: 하단지지부
103: 연결부재
120: 이격부재
130: 레일홈
131a, 131b: 걸림홈
140: 트레일러부
141, 141a, 141b: 볼록부
142: 슬라이딩부
143: 받침부
145: 외부 디바이스
150, 160, 160a, 160b : 버튼부
200: 보조지지부
110 : 디스플레이부
101: 상단지지부
102: 하단지지부
103: 연결부재
120: 이격부재
130: 레일홈
131a, 131b: 걸림홈
140: 트레일러부
141, 141a, 141b: 볼록부
142: 슬라이딩부
143: 받침부
145: 외부 디바이스
150, 160, 160a, 160b : 버튼부
200: 보조지지부
Claims (10)
-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
상기 손목착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손목착용부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사용자의 손목 하단 및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목과 상기 트레일러부에 고정되는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손목착용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레일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 및 하단지지부의 내측면 가운데에 배치되는 상기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상기 하단지지부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상단지지부의 이격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과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된 풀림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버튼을 누를 시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을 가압하도록 오므라지는 것이고, 상기 풀림버튼을 누를 시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단부가 각각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제1 및 제 2 하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내측면 가운데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각각 연결되되 상기 상단지지부의 이격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과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풀림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버튼을 누를 시 상기 제 1 및 제 2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을 가압하도록 동시에 오므라지는 것이고, 상기 제 1 풀림버튼을 누를 시 상기 제 1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고, 상기 제 2 풀림버튼을 누를 시 상기 제 2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사용자의 체온, 맥박, 분당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상부면에 위치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513A KR20190044916A (ko) | 2017-10-23 | 2017-10-23 |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513A KR20190044916A (ko) | 2017-10-23 | 2017-10-23 |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4916A true KR20190044916A (ko) | 2019-05-02 |
Family
ID=6658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7513A KR20190044916A (ko) | 2017-10-23 | 2017-10-23 |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4491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5514B1 (ko) * | 2021-04-08 | 2021-08-05 |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
KR20230027858A (ko) * | 2021-08-20 | 2023-02-28 | 윤병식 | 비닐 장갑 고정 밴드 |
-
2017
- 2017-10-23 KR KR1020170137513A patent/KR20190044916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5514B1 (ko) * | 2021-04-08 | 2021-08-05 |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
KR20230027858A (ko) * | 2021-08-20 | 2023-02-28 | 윤병식 | 비닐 장갑 고정 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56218A1 (en) | Ring-type wearable device | |
KR102428143B1 (ko) | 시계줄의 부착 시스템 | |
JP7245928B2 (ja) | 編組されたストランドを有するウォッチバンド | |
TWI636350B (zh) | 可穿戴電子裝置 | |
US10575741B2 (en) | Wearabl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 |
KR102692443B1 (ko) |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9703322B2 (en) | Wearable device | |
TWI619448B (zh) | 可穿戴裝置及其腕帶 | |
US20190110744A1 (en) | Interchangeable wearable device | |
KR102170512B1 (ko) | 웨어러블 장치의 스트랩 체결장치 | |
CN108024603A (zh) | 手表带条 | |
US11287779B2 (en) | Modular system for watch | |
US11209783B2 (en) | Watch with optical sensor for user input | |
US20150173633A1 (en) |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 |
WO2016063082A1 (en) | A wearable sensing assembly | |
WO2017094962A1 (ko) |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US20170031326A1 (en) | Electronic device | |
KR20190044916A (ko) |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 |
KR20170062864A (ko) | 스마트 와치 | |
CN112545122B (zh) | 具有编织股线的表带 | |
US11576611B2 (en) | Wearable device and sensor device | |
CN203369888U (zh) | 腕带及具有该腕带的检测装置 | |
KR102421849B1 (ko) |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 |
CN114617343B (zh) | 表头、表带、可拆卸机构及可穿戴设备 | |
CN105433903A (zh) | 生理信号感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