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16A -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7416A KR20190037416A KR1020170126703A KR20170126703A KR20190037416A KR 20190037416 A KR20190037416 A KR 20190037416A KR 1020170126703 A KR1020170126703 A KR 1020170126703A KR 20170126703 A KR20170126703 A KR 20170126703A KR 20190037416 A KR20190037416 A KR 20190037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wall
- plate
- sub
- plat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방식으로 설치되는 부벽체 및 이를 기반으로 시공되는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옹벽은 산간 도로 등의 가장 자리에 설치되어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칭한다. 종래 옹벽은 지금까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듯이 기초 시공후 그 위에 합판거푸집을 설치하여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벽체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현장타설공법이 사용되었다.The retaining wall refers to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t the edge of a mountain road to prevent the soil from collapsing. Conventionally, the retaining wall has been constructed by laying the plywood form on the foundation after the foundation construction and laying the wall on the floor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height, as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하지만, 이와 같은 현장타설공법은 작업현장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옹벽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많은 시간이 경과해야 옹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철근조립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미리 제작장 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양생이 완료된 옹벽을 작업현장으로 이동시킨 다음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설치하는 조립식 옹벽이 사용되고 있다(선행특허 1,2 참조).However, since such a cast-in-place method is installed at a work site,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retaining wall to be installed and the concrete to harden, so that it can perform the role of a retaining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For this reason, recently, prefabricated retaining walls have been used which are manufactured in advance in a manufacturing factory or factory, moved to a work site after the curing has been completed, and then assembled and assembled in the field (refer to the
종래 조립식 옹벽은 전면판 지지수단으로서 부벽을 사용하는데, 종래 부벽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부벽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Conventionally,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uses a sub-wall as a front plate supporting means. Conventionally, the conventional sub-wal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tional area of the sub-wall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터파기를 먼저 실시해야하는데, 터파기의 경우 옹벽 저판에서 1m 정도 떨어진 지점부터 토사 경사면을 형성하며 터파기를 실시해야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토사 경사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경사면 상에 건물이 있을 경우 터파기가 불가능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강조치 내지 가시설물 등을 추가로 시공해야 해서 원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a retaining wall, it is necessary to first make a tearing machine. In case of tearing machine, it is necessary to form a slope of the slope from the point about 1m away from the bottom of the retaining wall and to construct the tearing machine safely. However, if a slope is formed on a slope,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a slop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dditional reinforcement measures and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rapidly increases.
한편, 옹벽에 작용하는 힘 중 가장 주요한 인자는 주동압인데, 이 주동압은 벽체의 밑단에서 벽 높이의 대략 1/3 ~ 1/2 영역에 집중된다. 따라서, 옹벽을 지지하는 부벽을 설계함에 있어서, 부벽은 벽체의 하단에서 대략 1/3 ~ 1/2 지점까지는 역구배 구조(즉, 대략 역직각 삼각형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옹벽의 전도 저항력 및 구조적 안정성에 최선으로 적합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역구배 구조로 부벽을 설계하게 되면, 종래 정구배 구조(즉, 직각 삼각형 구조)의 부벽 대비 부벽 전체의 무게중심이 후방(즉, 벽체에서 더 먼 곳)으로 옮겨져 토사압(특히, 주동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factor of the forc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is the main pressure,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about 1/3 to 1/2 of the height of the wall at the bottom of the wall. Therefore, in designing the subwall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wall is formed of a reverse gradient structure (i.e., a substantially inverted triangle structure) from the lower end of the wall to about 1/3 to 1/2 point, It is best suited for stability. This is because, when the sub-wall is designed with the above-described reverse gradient structu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sub-wall of the conventional tread structure (i.e., the right triangle structure) is shifted to the rear (i.e., farther from the wall) (Particularly, the main dynamic pressure) can be improved.
그러나, 종래 부벽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되는 바, 이와 같이 부벽을 역구배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ub-wall, it is manufactured by pouring concrete. Thus, there is a limit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sub-wall in a reverse gradient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의 전도 저항 능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옹벽 시공을 위한 토공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 대비 옹벽 측에 보다 가까운 지점에서 토사 경사면 시작지점을 터파기할 수 있는 부벽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ductive resistanc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a retaining wall,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pockets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to provide a sub-wall unit capable of disposing a starting point of the slope of the slope at a near point an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having the sub-wall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저판; 상기 저판 상에 세워지는 벽체; 및 상기 저판 상에 세워져 상기 벽체를 지지하는 부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벽체는 복수의 부벽 유닛이 옹벽의 높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comprising: a bottom plate; A wall mounted on the bottom plate; And a subwall mounted on the bottom plate to support the wall, wherein the subwall is formed by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wall unit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그리고, 상기 부벽 유닛은 판체; 상기 판체의 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정착레일; 상기 판체의 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정착레일; 상기 판체의 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구근레일; 상기 판체의 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구근레일; 상기 판체의 상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상부레일; 상기 판체의 상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부레일; 상기 판체의 하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하부레일; 및 상기 판체의 하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하부레일;을 포함한다.The sub-wall unit includes a plate body; A first fixing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 front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second fixing rail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first bulb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 rear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second bulb rail protruding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on a right side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plate body; A first upper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n upper end of the plat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A second upper rail protruding from the upper right side surface of the plat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first lower rail protru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on a left side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plate body; And a second lower rail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그리고, 상기 부벽 유닛은 상기 제1 상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1 정착레일 사이에는 제1 상부이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2 정착레일 사이에는 제2 상부이격이 형성되어 있다.The sub-wall unit has a first upp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first fixing rail, and a second upper gap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upper rail and the second fixing rail. A gap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부벽 유닛은 상기 제1 상부레일의 타측 선단과 상기 제1 구근레일 사이에는 제3 이격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상부레일의 타측 선단과 상기 제2 구근레일 사이에는 제4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ub-wall unit may have a third gap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first bulb rail, and a third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pper rail and the second bulb rail. Spacing can be formed.
상기 경우, 부벽 유닛은 일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이 상기 제3 이격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근레일과 상기 제1 상부레일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하부레일 상에 세워져 부벽 유닛의 구근으로 작용하는 구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wall unit has an upper region of one side edge inserted into the third gap to restrict the flow by the first bulb rail and the first upper rail, and is mounted on the first lower rail to be bulged into the bulb of the sub- And may further include a bulbous plate acting thereon.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부벽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옹벽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The subwall unit for retaining wall and the assembled retaining wal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1) 본 발명의 옹벽은 부벽유닛의 구근판 또는 제1,2 구근레일에 의해 토사압 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토사접촉면적을 크게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특히 구근판은 벽체에 토사압이 가해질 시 이에 저항하는 전단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전도 저항 능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1)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earth contact area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arth pressure direction by the bulb plate or the first and second bulb rails of the sub-wall unit, It can act as a shear force to resist the seawater, which greatly enhances the 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to resist conduction.
(2) 본 발명의 옹벽에 의하면 역구배 구조가 가능하여 저판의 가로길이를 종래 옹벽의 저판 대비 크게 감소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옹벽 시공을 위한 터파기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바, 옹벽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2) 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compar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the retaining wall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an be greatly reduced.
(3) 본 발명의 옹벽은 가로길이가 상이한 부벽 유닛을 선택적으로 조립하는 방식인 바, 토사압이 집중되는 벽체 높이의 1/3 ~ 1/2 지점에 역구배 구조의 부벽체를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옹벽의 전도 저항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3)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selectively assembling sub-wall unit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sub-wall having a reverse gradient structure at 1/3 to 1/2 point of the wall height at which the earth pressure is concent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ductive resistanc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4) 종래 옹벽의 경우 옹벽 시공 지점과 건물이 가까울 경우 종래에는 터파기가 불가능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옹벽에 의하면 건물에서 벗어난 지점에 토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어 옹벽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4)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past, when the retaining wall is close to the building site, the retaining wall can not be constructed due to the impossibility of using the trowel. However, 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can be formed at a point deviating from the building, Can be improved.
(5) 조립식 옹벽은 공장제작으로 분리되는 형상에 따라 거푸집 제작비, 운반비 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옹벽의 높이가 일률적이지 않음으로 그에 따른 거푸집 제작비가 많이 들어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옹벽은 부벽 및 벽체가 분할 조립되는 구조인 바 소형 거푸집으로 다양한 구조의 옹벽을 소화할 수 있고, 부벽의 어떠한 높이도 탄력적으로 대응 설계할 수 있는 바 옹벽의 제작 대응 및 운반성 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5)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ffects the mold production cost and transportation cost according to the shape which is separated by factory production.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not uniform, and the mold production costs accordingly. However,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xtinguishing the retaining walls of various structures with a small formwork,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ub walls and the wall are partly assembled, and it is possible to flexibly design any height of the sub walls, There are excellent advantages such as.
(6) 본 발명의 옹벽의 시공순서는 전체 옹벽을 조립한 후 뒤채움 되메우기 방식도 가능하나, 현장 여건에따라 1층 조립 구조물 설치후 되메우기 -> 2층 조립 구조물 설치후 되메우기 방식이 가능하여 현장 대응력이 탁월하고, 시공 기간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6) In order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entire retaining wall and then back fill. However,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re- It is excellent in responsiveness and can eliminate the risk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construction period.
(7) 일체형 부벽의 경우 구조적으로 높이가 높을수록 부벽이나 전면판의 두께, 철근량등이 과다해짐에 따라 원가가 급상승하고 건자재의 운반이 어려워지는 반면, 본 발명의 옹벽은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원가의 급상승없이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7) In the case of the integral wall, the cost increases and the transport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becomes difficult due to excessive thickness of the wall, the thickness of the front wall, and the amount of rebar, as the height of the integral wall increases.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without sharp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부벽 유닛의 좌측방향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배면측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정면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판 및 부벽 유닛의 조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1층 조립 구조물의 시공 완성도.
도 9는 도 8의 1층 조립 구조물에 구근판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1층 조립 구조물에 2층 부벽유닛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조립 구조물에 벽체 및 구근판이 설치된 2층 조립 구조물의 시공 완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조립 구조물로 이루어진 조립식 옹벽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의 후방측 사시도.
도 14는 종래 옹벽의 시공 구조 및 터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의 시공 구조 및 터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의 벽체의 변형 실시예.
도 17,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의 벽체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
도 19는 도 17의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조립식 옹벽의 사시도1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ub-wa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lb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a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of a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 bottom plate and a sub-wa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one-story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lbous plat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ne-layered structure of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wo-layer sub-wall uni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one-storey building structure of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two-story building structure in which a wall and a bulbous plate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structure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from a multi-layere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and a tearing machine of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ructure and a tappet of the assembl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modification of the wall of the assembl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still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wall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wall of Figure 17;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above or above "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when a section of an are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 above or above another section ", this applies not only to the case where the other section is "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 connected " or " connected "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부벽 유닛의 좌측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방향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판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lb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옹벽용 부벽 유닛(100)은 옹벽의 부벽체를 구성하는 단위체로서, 복수의 부벽 유닛(100)이 옹벽의 높이방향(즉, 저판 (300)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 고정됨으로써 하나의 부벽체를 형성하게 된다.1 to 3, the retaining wall
구체적으로, 옹벽용 부벽 유닛(100)은 판체(10), 제1 정착레일(20), 제2 정착레일 (21), 제1 구근레일(30), 제2 구근레일(31), 제1 상부레일(40), 제2 상부레일(41), 제1 하부레일(42), 제2 하부레일(43), 제1 상부이격(22) 및 제2 상부이격 (23)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하부이격(24) 및 제2 하부이격(25)을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taining wall
부벽 유닛(100)의 판체(1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향의 판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판체(10)는 제1,2 상부레일(40,41)과 제1,2 하부레일(42,43)에 의해 또 다른 부벽 유닛(100)의 판체들과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부벽체를 형성하게 된다.The
부벽 유닛(100)의 제1 정착레일(20)은 판체(10)의 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좌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 상부이격(22)을 통해 후술할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저판(300) 상에 벽체(400)가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irst fixing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정착레일(20)은 판체(10)의 좌측면 전단부에 판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fixing
참고로, 본 발명의 판체(10)의 좌측면이란 옹벽의 저판(300)과 벽체(40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일측 옆면을 지칭하고, 판체(10)의 우측면은 옹벽의 저판(300)과 벽체(40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타측 옆면으로서 상기 좌측면의 반대면을 지칭한다.The left side surface of the
부벽 유닛(100)의 제2 정착레일(21)은 판체(10)의 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우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2 상부이격(23)을 통해 후술할 벽체(400)의 제2 끼움부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저판(300) 상에 벽체(400)가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정착레일(21)은 판체(10)의 우측면 전단부에 판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2 정착레일(21)은 판체(10)를 기준으로 제1 정착레일(20)과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루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부벽 유닛(100)의 제1 구근레일(30)은 판체(10)의 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좌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부벽 유닛(구체적으로는, 판체(10))의 구근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부벽 유닛(100)에 후술할 구근판(200)이 더 구비될 경우 이 구근판(200)이 제1 하부레일(42) 상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근레일(30)은 판체(10)의 좌측면 후단부에 판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1 구근레일(30)은 제1 정착레일(20)과 상호 평행하며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부벽 유닛(100)의 제2 구근레일(31)은 판체(10)의 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우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부벽 유닛(구체적으로는, 판체(10))의 구근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부벽 유닛(100)에 후술할 구근판(200)이 더 구비될 경우 이 구근판(200)이 제2 하부레일(43) 상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근레일(31)은 판체(10)의 우측면 후단부에 판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수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2 구근레일(31)은 제2 정착레일(21)과 상호 평행하며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한편, 제1,2 구근레일(30,31)이 전술한 "부벽 유닛(100)의 구근으로 작용함"이란 다음과 같음을 의미한다. 벽체(400)에 토사압이 가해지고 그 토사압이 옹벽의 전도 저항력을 초과하면 옹벽이 전도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부벽 유닛(100)은 제1,2 구근레일(30,31)에 의해 토사압 방향의 직교방향으로 토사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이에 의해 제1,2 구근레일(30,31)이 벽체(400)에 가해지는 토사압에 저항하는 전단력으로 작용하여 결국 옹벽의 전도 저항 성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bulb rails 30 and 31 mean the bulb of the
예컨대, 본 발명의 제1,2 구근레일(30,31) 또는 후술할 구근판(200)은 강선을 토사 내부로 매입한 후 모르타르로 굳혀서 인발 저항을 높인 어스 앵커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판체(10)가 어스 앵커의 매입강선에 대응되고 제1,2 구근레일이 어스 앵커의 모르타르 대응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모르타르 등을 주입하지 않고도 전도 저항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ulb rails 30 and 3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그리고, 이와 같은 구근으로서의 작용은 제1,2 구근레일(30,31)에 후술할 구근판(200)이 더 설치될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effect of such a bulb can be maximized when the first and second bulb rails 30 and 31 are provided with a
부벽 유닛(100)의 제1 상부레일(40)은 판체(10)의 상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좌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의 상부영역이 제1 상부이격(22)에 삽입 끼움될 시 제1 정착레일(20)과 함께 상기 제1 끼움부(420)의 전후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더불어 판체(10)에 의해 좌우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벽체(400)의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해당 벽체(400)가 저판(300) 상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irst
또한, 부벽 유닛(제1 부벽유닛)의 제1 상부레일(40)은 또 다른 부벽 유닛(제2 부벽유닛)의 제1 하부레일(42)과 대향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제1 부벽유닛과 제2 부벽유닛이 옹벽의 높이방향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irst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상부레일(40)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5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제1 하부레일(42) 역시 다수 개의 체결공(50)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체결공(50)에 결합되는 체결구(예컨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제1 부벽유닛의 제1 상부레일(40)과 제2 부벽유닛의 제1 하부레일(42)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0 are formed in the first
부벽 유닛(100)의 제2 상부레일(41)은 판체(10)의 상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우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벽체(400)의 제2 끼움부의 상부영역이 제2 상부이격(23)에 삽입될 시 제2 정착레일(21)과 함께 상기 제2 끼움부의 전후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더불어 판체(10)에 의해 좌우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벽체(400)의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해당 벽체(400)가 저판(300) 상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second
또한, 제1 부벽유닛의 제2 상부레일(41)은 제2 부벽유닛의 제2 하부레일(43)과 대향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제1 부벽유닛과 제2 부벽유닛이 옹벽의 높이방향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In addition, the secon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부레일(41)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5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제2 하부레일(43) 역시 다수 개의 체결공(50)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체결공(50)에 결합되는 체결구(예컨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제1 부벽유닛의 제2 상부레일(41)과 제2 부벽유닛의 제2 하부레일(43)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0 are formed in the second
부벽 유닛(100)의 제1 하부레일(42)은 판체(10)의 하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좌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의 하부영역이 제1 하부이격(24)에 삽입될 시 제1 정착레일(20)과 함께 상기 제1 끼움부(420)의 전후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더불어 판체(10)에 의해 좌우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벽체(400)의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벽체(400)가 저판(300) 상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irst
또한, 부벽유닛(100)의 제1 하부레일(42)은 또 다른 하나의 부벽유닛의 제1 상부레일(40)과 대향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부벽유닛(100)이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irst
부벽 유닛(100)의 제2 하부레일(43)은 판체(10)의 하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우측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벽체(400)의 제2 끼움부의 하부영역이 제2 하부이격(25)에 삽입될 시 제2 정착레일(21)과 함께 상기 제2 끼움부의 전후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더불어 판체(10)에 의해 좌우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벽체(400)의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벽체(400)가 저판(300) 상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second
또한, 부벽유닛(100)의 제2 하부레일(43)은 또 다른 하나의 부벽유닛의 제2 상부레일(41)과 대향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부벽유닛(100)이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second
부벽 유닛(100)의 제1 상부이격(22)은 제1 정착레일(20)과 제1 상부레일(4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지칭한다. 즉, 제1 상부레일(40)의 일측 선단은 제1 정착레일(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1 상부레일(40)의 일측 선단과 제1 정착레일(20) 사이에는 요홈 구조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 The first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상부이격(22)은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의 상부영역이 삽입 끼움될 수 있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상부이격(22)의 단면 모양은 제1 끼움부(420)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부벽 유닛(100)의 제2 상부이격(23)은 제2 정착레일(21)과 제2 상부레일(4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지칭한다. 즉, 제2 상부레일(41)의 일측 선단은 제2 정착레일(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상부레일(41)의 일측 선단과 제2 정착레일(21)과 사이에는 요홈 구조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The second
그리고, 이와 같은 제2 상부이격(23)은 벽체(400)의 제2 끼움부의 상부영역이 삽입 끼움될 수 있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상부이격(23)의 단면 모양은 제2 끼움부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벽 유닛(100)은 제1 하부이격(24) 및 제2 하부이격(25)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제1 하부이격(24)은 제1 정착레일(20)과 제1 하부레일(4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지칭한다. 즉, 제1 하부레일(42)의 일측 선단은 제1 정착레일(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1 정착레일(20)과 제1 하부레일(42)의 일측 선단 사이에는 요홈 구조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 The first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하부이격(24)은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의 하부영역이 삽입 끼움될 수 있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하부이격(24)의 단면 모양은 제1 끼움부(420)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부벽 유닛(100)의 제2 하부이격(25)은 제2 정착레일(21)과 제2 하부레일(4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지칭한다. 즉, 제2 하부레일(43)의 일측 선단은 제2 정착레일(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하부레일(43)의 일측 선단과 제2 정착레일(21) 사이에는 요홈 구조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The second
그리고, 이와 같은 제2 하부이격(25)은 벽체(400)의 제2 끼움부의 하부영역이 삽입 끼움될 수 있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하부이격(25)의 단면 모양은 제2 끼움부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상부이격(22)은 제1 하부이격(24)과 동일한 직선 상에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구비되고, 제2 상부이격(23)은 제2 하부이격(25)과 동일한 직선 상에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본 발명의 옹벽용 부벽 유닛(100)은 바람직하게는 구근판(200), 제3 이격 (32) 및 제4 이격(33)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착홈(34), 제2 안착홈(35), 걸림턱(60) 및 걸림홈(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submerged
부벽 유닛(100)의 제3 이격(32)은 제1 구근레일(30)과 제1 상부레일(4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지칭한다. 즉, 제1 상부레일(40)의 타측 선단은 제1 구근레일(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1 상부레일(40)의 타측 선단과 제1 구근레일(30) 사이에는 요홈 구조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The
그리고, 이와 같은 제3 이격(32)은 구근판(200)의 우측 모서리부가 삽입 끼움될 수 있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 이격(32)의 단면 모양은 구근판(200)의 우측 모서리부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부벽 유닛(100)의 제4 이격(33)은 제2 구근레일(31)과 제2 상부레일(4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지칭한다. 즉, 제2 상부레일(41)의 타측 선단은 제2 구근레일(3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상부레일(41)의 타측 선단과 제2 구근레일(31) 사이에는 요홈 구조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The
그리고, 이와 같은 제4 이격(33)은 구근판(200)의 좌측 모서리부가 삽입 끼움될 수 있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4 이격(33)의 단면 모양은 구근판(200)의 좌측 모서리부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부벽 유닛(100)의 구근판(20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향의 판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구근판(200)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부벽 유닛(이하, 제1,2 부벽유닛)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구근판(200)의 우측 모서리부는 제1 부벽유닛의 제3 이격(32)을 통해 제1,2 부벽유닛 사이로 인입되어 제1 하부레일(42) 상에 세워지고, 구근판(200)의 좌측 모서리부는 제2 부벽유닛의 제4 이격(33)을 통해 제1,3 부벽유닛 사이로 인입되어 제2 하부레일(43) 상에 세워지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제1,2 부벽유닛 사이로 구근판(200)을 인입하면, 구근판(200) 우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은 제1 부벽유닛의 제3 이격(32) 내에 삽입 끼움된 상태에 이르게 되고, 좌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은 제2 부벽유닛의 제4 이격(33) 내에 삽입 끼움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When the
이에 의해, 구근판(200) 우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은 제1 부벽유닛의 제1 구근레일(30)과 제1 상부레일(40)에 의해 전후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좌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은 제2 부벽유닛의 제2 구근레일(31)과 제2 상부레일(41)에 의해 전후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판체(10)에 의해 좌우방향 유동이 제한되며, 더불어 구근판(200) 자체의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해당 구근판(200)이 제1 부벽유닛과 제2 부벽유닛 사이에 세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us, the upper region of the right corners of the
이와 같은 구근판(200)은 각각의 부벽 유닛(100)마다 그 후단부에 설치되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옹벽은 다수 개의 구근판(200)이 모여 형성된 커다란 구근판체를 구비하게 된다.Such a
한편, 구근판(200)은 좌측 하단부와 우측 하단부에 각각 단차홈(210,2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단차홈(210,211)은 구근판(200)을 부벽 유닛(100)에 조립시 제1,2 하부레일(42,43)의 후단부 또는 제1,2 안착홈(34,35)에 각각 조립됨으로써 구근판(20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Meanwhile,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벽 유닛(100)은 제1 구근레일(30)과 제2 구근레일(31)이 구근으로 기능하게 되는데, 만약 구근판(200)이 더 설치될 경우 이 구근판(200)이 제1,2 구근레일 대비 더 효과적인 구근으로 작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즉, 구근판(200)은 제1,2 구근레일(30,31) 대비 더 많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적'이란 토사압 방향의 직교방향으로 토사와 접촉되는 면적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구근판(200)은 벽체(400)에 토사압이 가해질 시 이에 저항하는 전단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고, 이 전단력은 제1,2 구근레일(30,31)에 의한 전단력보다 훨씬 더 큰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결국 옹벽의 전도 저항 능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부벽 유닛(100)의 제1 안착홈(34)은 제1 하부레일(42)의 후단부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으로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벽유닛(100) 사이로 제3 이격(32)을 통해 인입되는 구근판(200)의 우측 하단부를 수용하여 안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 안착홈(34)은 구근판(200)의 우측 하단부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부벽 유닛(100)의 제2 안착홈(35)은 제2 하부레일(43)의 후단부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으로서, 이웃하는 한 쌍의 부벽유닛(100) 사이로 제4 이격(33)을 통해 인입되는 구근판(200)의 좌측 하단부를 수용하여 안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2 안착홈(35)은 구근판(200)의 좌측 하단부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부벽 유닛(100)의 걸림턱(60)은 판체(10)의 상측면 상에 판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부벽 유닛(100)의 걸림홈(61)은 판체(10)의 하측면에 오목한 장요홈 모양으로 형성된다.The latching
제1 부벽유닛의 걸림턱(60)은 제1 부벽유닛의 상층에 조립되는 제2 부벽유닛의 걸림홈(61) 내에 삽입됨으로써 부벽유닛(100)의 좌유방향 밀림을 억제하는 전단키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턱(60)과 걸림홈(61)은 동일한 단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삼각형,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등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latch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부벽 유닛을 구비하는 조립식 옹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ed retaining wall having the sub-wal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옹벽은 저판(300), 벽체(400) 및 부벽체를 포함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a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of a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4-6,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옹벽의 저판(300)은 벽체(400)와 부벽체의 밑을 받치며 지면에 안착되는 판형 구조물로서, 판형재(310)의 상면 상에는 걸림턱(320), 다수 개의 체결공(330) 및 밀림 방지턱(34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돌기(35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모서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저판(300)의 걸림턱(320)은 부벽 유닛(100)의 걸림턱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서, 저판(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벽 유닛(100)의 걸림홈(61) 내에 삽입되어 부벽 유닛(100)의 좌유방향 밀림을 억제하는 전단키로 기능하게 된다.The latching
저판(300)의 체결공(330)은 부벽 유닛(100)을 저판(3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저판(300)에 세워지는 부벽 유닛(100)은 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 하부레일(42)과 제2 하부레일(43)의 체결공(50), 그리고 이 체결공(50)을 통해 저판(300)의 체결공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구를 통해 저판(300) 상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The
저판(300)의 밀림 방지턱(340)은 저판(30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토사압에 의한 벽체(400) 하단부의 밀림을 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The pushing
저판(300)의 연결돌기(350)는 이에 이웃 배치되는 또 다른 저판(300)의 연결홈에 삽입되고, 이와 같은 저판(300)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해 다수 개의 저판(300)이 연속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커다란 저판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protrusions 350 of the
옹벽의 벽체(400)는 토사압력 저항하는 판형 구조물로서, 벽체(40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부(420,421)를 통해 부벽 유닛(100)에 결합된다.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400)는 도 5와 같이 판형재(410)의 좌측 모서리부에 '┘' 단면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제1 끼움부(420)와 우측 모서리부에 '└' 단면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제2 끼움부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경우, 제1 끼움부(420)는 판형재(410)의 좌측 모서리부의 배면 상에 판형재 (4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 단면의 레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끼움부는 판형재(410)의 우측 모서리부의 배면 상에 판형재(4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 단면의 레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본 발명의 부벽체는 전술한 부벽 유닛(100)들이 옹벽의 높이방향(즉, 저판 (300)의 연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이와 같은 부벽체가 저판(300) 상 설치된 후 각 부벽체에 벽체(400)가 조립됨으로써 옹벽이 완성된다.The secondary wal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coupling the above-described
이하에서는, 전술한 부벽 유닛(100)을 이용한 옹벽 시공 과정 및 이에 의해 완성된 옹벽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판 및 부벽 유닛의 조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1층 조립 구조물의 시공 완성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 bottom plate and a sub-wa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nstruction view of a single-layer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다수 개의 저판(300)을 병렬 구조로 상호 연결한 후, 각 저판(300)에 1층 부벽유닛(100)을 각각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1층 부벽유닛(100)의 제1,2 하부레일(42,43)의 체결공(50)이 저판(300) 상면의 체결공(330)에 대응하게 위치시킨 후, 이 체결공(50,330)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1층 부벽유닛이 저판(300) 상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First,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저판(300)에 1층 부벽유닛(100)을 하나씩 설치하면 도 7과 같은 조립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In this manner, by installing one single-
저판(300) 및 1층 부벽유닛(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각의 1층 부벽유닛 (100)에 벽체(400)를 조립함으로써 옹벽의 1층 조립 구조물이 완성된다. 구체적으로,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를 1층 제1 부벽유닛의 제1 상부이격(22) 상에 위치시키고, 제2 끼움부(421)를 1층 제2 부벽유닛의 제2 상부이격(23) 상에 위치시킨 후, 수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한다. 여기서, 1층 제2 부벽유닛은 1층 제1 부벽유닛을 마주하며 이웃하는 또 다른 하나의 1층 부벽유닛을 지칭한다.Once the
벽체(400)의 슬라이딩 삽입이 완료되면, 벽체(400)의 제1 끼움부(420)는 1층 제1 부벽유닛의 제1 정착레일(20), 제1 상부레일(40) 및 제1 하부레일(42)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고, 제2 끼움부는 1층 제2 부벽유닛의 제2 정착레일(21), 제2 상부레일(41) 및 제2 하부레일(43)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어 결국 벽체(400)가 부벽 유닛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sliding insertion of the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호 이웃하는 1층 부벽유닛(100)들 사이에 벽체(400)를 하나씩 설치하면 도 8과 같은 1층 조립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In this manner, if one
한편,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가 높거나 옹벽의 전도 저항 능력을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경우 구근판(2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o be installed is high or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conduction resistance of the retaining wall, the
도 9는 도 8의 1층 조립 구조물에 구근판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구근판(200)은 이의 양측 모서리부를 제3,4 이격(32,33) 상에 각각 위치시킨 후 수직 하방향으로 슬라딩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lbous plat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ne-layered structure of FIG. 8. FIG. As shown in FIG. 9, the
구근판(200)의 슬라이딩 삽입이 완료되면, 구근판(200)의 우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은 제3 이격(32)에 삽입되어 제1 구근레일(30)과 제1 상부레일(40)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고, 좌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은 제4 이격(33)에 삽입되어 제2 구근레일(31)과 제2 상부레일(41)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며, 하단부는 제1,2 하부레일 (42,4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부벽 유닛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region of the right corner of the
1층 조립 구조물이 완성되면, 그 위에 2층 조립 구조물이 올려지게 되는데, 2층 조립 구조물의 조립 방식은 1층 조립 구조물의 그것과 동일하다.When the one-storied building structure is completed, a two-storey building structure is mounted on the one-storied building structure. The two-storey building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one-story building structure.
도 10은 도 9의 1층 조립 구조물에 2층 부벽유닛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조립 구조물에 벽체(400) 및 구근판이 설치된 2층 조립 구조물의 시공 완성도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wo-story sub-wall uni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ingle-story building structure of FIG. 9, and FIG. 11 is a construction view of a two-story building structure provided with a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1층 제1 부벽유닛(100) 위에 2층 제1 부벽유닛 (100')을 위치시킨 후 이들의 각 체결공(50)을 통해 볼트 등으로 상호 결합하고, 1층 제2 부벽유닛(100) 위에 2층 제2 부벽유닛(100')을 위치시킨 후 이들의 각 체결공(50)을 통해 볼트 등으로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1층의 n개 부벽유닛(100) 위에 2층의 n개 부벽유닛(100')을 각각 위치시킨 후 상호 결합시킨다.10 and 11, the two-layer first sub-wall unit 100 'is positioned on the first-layer first
전술한 조립 방식을 따르면, 2층 부벽유닛(100')들의 조립이 완료되어 도 10과 같이 1층 부벽유닛(100)과 2층 부벽유닛(100')으로 이루어진 부벽체(500) 다수개가 병렬 구조로 이격 배열된 2층 조립 구조물이 시공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sembly method, the assembly of the two-layer sub-wall units 100 'is completed, and a plurality of
그리고, 1층 조립 구조물의 벽체(400) 및 구근판(200) 조립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10과 같이 조립된 구조물의 상호 이웃하는 2층 부벽유닛(100')들 사이에 벽체(400')와 구근판(200')을 하나씩 조립하면 도 11과 같은 2층 조립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3층, 4층,.., n층 조립 구조물을 시공하면 도 12와 같이 다수 개의 층 조립 구조물로 이루어진 옹벽 시공이 최종 완료된다.When the three-layer, four-layer, ..., n-layer assembly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 assembly structures as shown in FIG. 12 is finally complete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옹벽을 구성하는 1층 부벽유닛, 2층 부벽유닛,...,n층 부벽유닛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ne-walled sub-wall unit, the two-walled sub-wall unit, ..., the n-walled sub-wall unit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의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벽체(500)는 판체(10)의 가로길이(L1,L2,L3)가 상이한 부벽 유닛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우, 부벽체(500)는 역구배 영역(R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구배 영역(R1)'이란 부벽체의 전체 영역 중 대략 역직각 삼각형과 같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역구배 구조를 이루고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Figure 13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역구배 영역(R1)을 형성하는 부벽 유닛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최하층 부벽유닛(도 13의 경우 1층 부벽유닛, 이하 부벽유닛a(100))의 가로길이(L1)는 이의 위층 부벽유닛(도 13의 경우 2층 부벽유닛, 이하 부벽유닛b(100'))의 가로길이(L2)보다 더 짧게 형성되고, 상기 부벽유닛b(100')의 가로길이(L2)는 이의 위층 부벽유닛(도 13의 경우 3층 부벽유닛, 이하 부벽유닛c(100''))의 가로길이(L3)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부벽유닛 a,b,c(100,100', 100'')로 이루어지는 부벽체 영역은 전술한 역구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벽유닛들(100,100', 100'') 간의 '가로길이'의 길고 짧음은 각 부벽유닛의 판체(10)의 가로길이(L1,L2,L3)를 기준으로 할 수 있고, 판체(10)의 가로길이(L1,L2,L3)는 판체(10)의 제1방향 길이, 제2방향 길이 및 높이방향 길이 중 벽체(400)에 수직한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를 지칭한다.The sub-wall unit forming the backward gradient region R1 is constructed as follows. That is, the horizontal length L1 of the lowermost sub-wall unit (the one-storey sub-wall unit in FIG. 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wall unit a 100) And the transverse length L2 of the sub-wall unit b 10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transverse length L2 of the upper-layer sub-wall unit (the three-layer sub-wall unit in Fig. 13, ''), So that the sub-wall region made up of the sub-wall units a, b, c (100, 100 ', 100 ") has a reverse gradien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long and short widths of the
결국, 본 발명의 부벽체(500)는 n+1층의 부벽유닛이 n층의 부벽유닛보다 판체(10)의 가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부벽체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1'층의 부벽유닛이란 n층의 부벽유닛의 상부(즉, 제1,2 상부레일 (40,41))에 결합되어 있는 부벽유닛을 지칭한다.As a result,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n'은 적어도 '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부벽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1층 부벽유닛(100)은 2층 부벽유닛(100')보다 판체(10)의 가로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참고로, 도 13 실시예의 부벽체의 경우, 하단에서 대략 중간 지점까지는 역구배 영역(R1)을 갖도록 구성하고, 중점 지점부터 상단까지는 정구배 영역(R2)(즉, 대략 직각 삼각형 구조)을 갖도록 구성하였다.For the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negative wall in the embodiment of FIG. 13, it is configured to have the reverse gradient region R1 from the lower end to approximately the midpoint, and to have the regular edge region R2 (i.e.,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복수의 부벽 유닛을 조립하여 부벽체(5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술한 역구배 영역(R1)을 설계하면, 옹벽 시공을 위한 터파기량 즉 토공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 대비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이하에서는, 종래 조립식 옹벽 대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만의 특징적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characteristic effects of only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옹벽은 부벽유닛(100)의 구근판(200) 또는 제1,2 구근레일 (30,31)에 의해 토사압 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토사접촉면적을 크게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특히 구근판(200)은 벽체(400)에 토사압이 가해질 시 이에 저항하는 전단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전도 저항 능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oil contact are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il pressure direction by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에 의하면 옹벽 시공을 위한 터파기량 즉 토공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 대비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Next, according to the granula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amount of terra cotta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종래 옹벽의 시공 구조 및 터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의 시공 구조 및 터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and a tearing machine of a retaining wall in the prior art, and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and a tearing machine of the building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와 같이 종래 부벽식 옹벽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부벽(3)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직각 삼각형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리고, 옹벽 시공을 위한 터파기의 경우 저판(5)의 내측 선단에서 1m 정도 떨어진 지점(S1)부터 토사 경사면(K1)을 형성하며 터파기(P1)를 실시해야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토사 경사면(K1)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경사면 상에 건물(1)이 있을 경우 터파기(P1)가 불가능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강조치 내지 가시설물 등을 추가로 시공할 경우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As shown in FIG. 14, the conventional wall retaining wall is generally designed to have a rectangular triangular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b-wall 3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In case of the trowel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it is necessary to form the slope slope K1 from the point S1 located about 1 m from the inner edge of the
그러나, 본 발명의 부벽체는 전술한 역구배 구조(R1)가 가능하여 저판(300)의 가로길이(B2)를 종래 옹벽의 저판 가로길이(B1) 대비 상당량 감소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사 경사면(K2)의 시작 지점(S2)을 종래 옹벽의 시작 지점(S1) 대비 벽체(400) 측에 더 가까운 곳에서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옹벽 대비 전체적인 터파기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도 14,15의 P1,P2 참조), 더 나아가, 특히 옹벽 시공지와 건물이 가까울 경우 종래에는 터파기가 불가능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건물에서 벗어난 지점에 토사 경사면(K2)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옹벽 시공성 및 대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econdary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he above-described reverse gradient structure R1, the lateral length B2 of the
한편, 옹벽에 작용하는 힘 중 가장 주요한 인자는 주동압인데, 이 주동압은 벽체(400)의 밑단에서 벽 높이의 대략 1/3 ~ 1/2 영역에 집중된다. 따라서, 옹벽을 지지하는 부벽을 설계함에 있어서, 부벽은 벽체(400)의 하단에서 대략 1/3 ~ 1/2 지점까지는 역구배 구조(R1)로 구성하는 것이 옹벽의 전도 저항력 및 구조적 안정성에 최선으로 적합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역구배 구조로 부벽을 설계하게 되면, 종래 정구배 구조(즉, 직각 삼각형 구조)의 부벽 대비 부벽 전체의 무게중심이 더 후방(즉, 벽체(400)에서 더 먼 곳)으로 옮겨져 토사압(특히, 주동압)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factor of the forc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is the main dynamic pressure,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about 1/3 to 1/2 of the wall height at the bottom of the
그러나, 종래 부벽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되는 바, 이와 같이 부벽을 역구배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ub-wall, it is manufactured by pouring concrete. Thus, there is a limit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sub-wall in a reverse gradient structure.
반면, 본 발명의 옹벽은 가로길이가 상이한 부벽 유닛(100,100',100'')을 선택적으로 조립하는 방식인 바, 전술한 벽체(400) 높이의 1/3 ~ 1/2 지점까지 역구배 구조(R1)의 부벽체(500)를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옹벽의 전도 저항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assembles the
한편, 도 5 실시예의 벽체(400)는 좌우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2 끼움부(420,421)를 통해 부벽 유닛(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제1,2 끼움부(420,421)는 벽체(400)의 중심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즉, 도 16의 변형 실시예와 같이 제1 끼움부(420a)는 '└' 단면 모양으로 절곡된 레일 형태로 구성되고, 제2 끼움부(421a)는 ' ┘' 단면 모양으로 절곡된 레일 형태로 구성되어, 제1 끼움부(420a)와 제2 끼움부(421a)가 벽체(400a) 배면의 중심부에 상호 대칭 구조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That is, as in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16, the first
상기 경우, 제1 끼움부(420a)는 부벽 유닛(100)의 제1 상부이격(22)과 제1 하부이격(24)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제2 끼움부(421a)는 부벽 유닛(100)의 제2 상부이격(23)과 제2 하부이격(25)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조립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벽체(400b,b')는 도 17 또는 도 18과 같은 박스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벽체(400b,b')는 판형재의 전면판(410b) 및 이 전면판의 양측 모서리부에서 상기 전면판(410b)의 내측으로 2단 절곡되어 상호 대칭구조를 갖는 제1 끼움부(420b,b')와 제2 끼움부(421b,b')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박스형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우, 제1 끼움부(420b,b')와 제2 끼움부(421b,b')는 상기 2단 절곡중 1단의 절곡이 전면판(410b)에 대해 직각 이외의 절곡각 즉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되어, 전면판(410b), 제1 끼움부(420b,b') 및 제2 끼움부(421b,b')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단면 모양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벽체(400b,b')를 박스형 구조로 구성하되, 그 단면 모양은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모양을 갖도록 구성하면, 도 19와 같이 곡선형 옹벽 구조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지마다의 다양한 지형 구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When the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판체
20: 제1 정착레일
21: 제2 정착레일
22: 제1 상부이격
23: 제2 상부이격
24: 제1 하부이격
25: 제2 하부이격
30: 제1 구근레일
31: 제2 구근레일
32: 제3 이격
33: 제4 이격
34: 제1 안착홈
35: 제2 안착홈
40: 제1 상부레일
41: 제2 상부레일
42: 제1 하부레일
43: 제2 하부레일
50: 체결공
60: 걸림턱
61: 걸림홈
100: 부벽 유닛
200: 구근판
300: 저판
400: 벽체
420: 제1 끼움부
421: 제2 끼움부
500: 부벽체10: plate body 20: first fixing rail
21: second fixing rail 22: first upper gap
23: second upper gap 24: first lower gap
25: second lower gap 30: first bulb rail
31: second bulb rail 32: third separation
33: fourth separation 34: first seating groove
35: second seating groove 40: first upper rail
41: second upper rail 42: first lower rail
43: second lower rail 50: fastening hole
60: latching jaw 61: latching groove
100: sub-wall unit 200: bulb plate
300: bottom plate 400: wall
420: First fitting part 421: Second fitting part
500: secondary wall
Claims (11)
판체;
상기 판체의 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정착레일;
상기 판체의 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정착레일;
상기 판체의 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구근레일;
상기 판체의 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구근레일;
상기 판체의 상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상부레일;
상기 판체의 상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부레일;
상기 판체의 하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하부레일;
상기 판체의 하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하부레일;
상기 제1 상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1 정착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상부이격; 및
상기 제2 상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2 정착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상부이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부벽 유닛.
A sub-wall unit constituting a sub-wall supporting a retaining wall,
Sheet body;
A first fixing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 front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second fixing rail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first bulb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 rear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second bulb rail protruding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on a right side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plate body;
A first upper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n upper end of the plat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A second upper rail protruding from the upper right side surface of the plat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first lower rail protru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on a left side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plate body;
A second lower rail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A first upp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first fixing rail; And
And a second upp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upper rail and the second fixing rail.
상기 제1 상부레일의 타측 선단과 상기 제1 구근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이격;
상기 제2 상부레일의 타측 선단과 상기 제2 구근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이격; 및
일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이 상기 제3 이격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근레일과 상기 제1 상부레일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하부레일 상에 세워져 상기 부벽 유닛의 구근으로 작용하는 구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부벽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spacing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first bulb rail;
A fourth spacing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pper rail and the second bulb rail; And
An upper region of one side edge portion is inserted in the third gap to restrict flow by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and a bulb plate that is erected on the first lower rail and acts as a bulb of the sub-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s for retaining walls.
상기 제1 하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1 정착레일 사이에는 제1 하부이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2 정착레일 사이에는 제2 하부이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부벽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lower gap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lower rail and the first fixing rail,
And a second lower gap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lower rail and the second fixing rail.
상기 제1 하부레일의 후단부에는 상기 구근판의 우측 하단부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부벽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rst seating groove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lower rail for seating and fixing the right lower end of the bulb plate.
상기 제1,2 상부레일 및 상기 제1,2 하부레일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부벽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rail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상기 부벽체는 다수 개의 부벽 유닛이 상기 옹벽의 높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벽 유닛은,
판체; 상기 판체의 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정착레일; 상기 판체의 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정착레일; 상기 판체의 후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구근레일; 상기 판체의 후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구근레일; 상기 판체의 상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상부레일; 상기 판체의 상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부레일; 상기 판체의 하단부 좌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하부레일; 상기 판체의 하단부 우측면 상에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하부레일; 상기 제1 상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1 정착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상부이격; 및 상기 제2 상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2 정착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상부이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Bottom plate; A wall mounted on the bottom plate; And a retaining wall which is erected on the bottom plate and supports the wall,
The subwall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b-wall units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e sub-
Sheet body; A first fixing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 front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second fixing rail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first bulb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 rear end of the plate body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second bulb rail protruding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body on a right side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plate body; A first upper rail protruding from a left side of an upper end of the plat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A second upper rail protruding from the upper right side surface of the plat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A first lower rail protru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on a left side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plate body; A second lower rail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A first upp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first fixing rail; And a second upp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upper rail and the second fixing rail.
상기 제1 상부레일의 타측 선단과 상기 제1 구근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이격;
상기 제2 상부레일의 타측 선단과 상기 제2 구근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이격; 및
일측 모서리부의 상부영역이 상기 제3 이격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근레일과 상기 제1 상부레일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하부레일 상에 세워져 상기 부벽 유닛의 구근으로 작용하는 구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third spacing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first bulb rail;
A fourth spacing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pper rail and the second bulb rail; And
An upper region of one side edge portion is inserted in the third gap to restrict flow by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and a bulb plate that is erected on the first lower rail and acts as a bulb of the sub-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silient retaining walls.
상기 다수 개의 부벽 유닛은 상기 판체의 가로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부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벽체는 역구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역구배 영역은 상기 부벽체의 전체 영역 중 n+1층의 부벽유닛이 n층의 부벽유닛보다 판체의 가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부벽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sub-wall units include a plurality of sub-wall units having different widths of the plate bodies,
The sidewall including a reverse gradient region,
Wherein the backward gradient region includes a subwall reg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n + 1-layer sub-wall unit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sub-wall unit in the n-layer,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ub-wall.
상기 'n'은 적어도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aid 'n' comprises at least '1'.
상기 제1 하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1 정착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하부이격; 상기 제2 하부레일의 일측 선단과 상기 제2 정착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하부이격; 상기 벽체의 배면에 상기 벽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끼움부; 및 상기 벽체의 배면에 상기 제1 끼움부와 대칭구조로 형성되는 제2 끼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끼움부는 상부 영역이 상기 제1 상부이격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정착레일과 상기 제1 상부레일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고, 하부 영역이 상기 제1 하부이격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정착레일과 상기 제1 하부레일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low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lower rail and the first fixing rail; A second lower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lower rail and the second fixing rail; A first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body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fit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itting portion has an upper region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gap to restrict flow by the first fixing rail and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lower reg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gap, And the first lower rail.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상기 벽체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상기 전면판의 내측으로 2단 절곡된 상기 제1 끼움부; 상기 전면판의 타측 모서리부에서 상기 전면판의 내측으로 2단 절곡된 상기 제2 끼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끼움부와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2단 절곡중 1단의 절곡이 상기 전면판에 대해 직각이 아닌 예각 또는 둔각 구조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판, 상기 제1 끼움부 및 상기 제2 끼움부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단면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all comprises:
Front plate; The first fitting portion being bent at two sides from the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front plate to the inside of the front plate;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bent in two steps from the other corn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to the inside of the front plate,
Wherein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are bent in an acute angle or obtuse angle structure in which one of the two-step bending is not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so that the front plate, the first fit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is configured to have a trapezoidal or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6703A KR20190037416A (en) | 2017-09-29 | 2017-09-29 |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6703A KR20190037416A (en) | 2017-09-29 | 2017-09-29 |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416A true KR20190037416A (en) | 2019-04-08 |
Family
ID=6616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6703A KR20190037416A (en) | 2017-09-29 | 2017-09-29 |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3741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95085A (en) * | 2020-04-29 | 2020-07-10 | 中国铁路经济规划研究院有限公司 | Roadbed transition structure |
CN111519655A (en) * | 2020-05-28 | 2020-08-11 | 张延年 | Assembled prestressing force retaining wa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1009B1 (en) | 1989-08-28 | 1996-08-16 | Nippon Paint Co Ltd | Method for painting pretreatment of plastic formings and cleaner for painting pretreatment |
KR100799358B1 (en) | 2007-04-10 | 2008-01-30 |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 Combine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6703A patent/KR2019003741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1009B1 (en) | 1989-08-28 | 1996-08-16 | Nippon Paint Co Ltd | Method for painting pretreatment of plastic formings and cleaner for painting pretreatment |
KR100799358B1 (en) | 2007-04-10 | 2008-01-30 |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 Combine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95085A (en) * | 2020-04-29 | 2020-07-10 | 中国铁路经济规划研究院有限公司 | Roadbed transition structure |
CN111519655A (en) * | 2020-05-28 | 2020-08-11 | 张延年 | Assembled prestressing force retaining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2605B1 (en) | Water storage tank | |
US20110011018A1 (en) |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 |
CN104652671A (en) | Prefabricated assembly-type concrete outer-hanging wallboard fix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 |
WO2012096639A1 (en) |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 |
US20130008125A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 |
CN104763085A (en) | Assembled integral type pre-stress double-T floor framewor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89155B1 (en) |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bath | |
CN104612285A (en) | Energy dissipation shear wall with built-in truss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shear wall | |
KR20190037416A (en) |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
KR101278547B1 (en) | The precast concrete wall for the water-storage construct | |
KR101774952B1 (en) |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for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bath | |
KR100947903B1 (en) | Precast box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US3650079A (en) | Building block and wall construction with grout-receiving lateral cells | |
KR20150135659A (en) |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 |
KR20120131034A (en) | Container Assembled with Precast Members Using Loop Connection | |
KR101952318B1 (en) | 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proof ALC house | |
JP7160357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ucture with wall modules | |
CN220522154U (en) | Assembled rib lattice parking garage and building | |
CN220433898U (en) | Assembled rib lattice building structure and building | |
CN220686894U (en) | Assembled cavity structure parking garage and building | |
CN220184761U (en) | Assembled hollow structure parking garage and building | |
CN220645407U (en) | Assembled dense rib plate parking garage and building | |
KR20190019119A (en) | 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proof ALC house | |
BR112019012133A2 (en) | module for building foundations for a structure, assembly comprising a first foundation module and at least one successive foundation module, structure,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module and a bridge simultaneously | |
JP3176376U (en) | Structure of shear wall without bea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