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036142A -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142A
KR20190036142A KR1020170125010A KR20170125010A KR20190036142A KR 20190036142 A KR20190036142 A KR 20190036142A KR 1020170125010 A KR1020170125010 A KR 1020170125010A KR 20170125010 A KR20170125010 A KR 20170125010A KR 20190036142 A KR20190036142 A KR 20190036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riving
gear
p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열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인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인팜
Priority to KR102017012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142A/ko
Publication of KR2019003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1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tarder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구동기계나 일반 원동기에 적용가능한 방향전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직진과 후진시에는 주행용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디퍼렌셜 기어박스 내의 베벨기어 4개로 구현되는 조향기어부만을 구동하여 직진과 후진을 구현하고, 방향전환시에는 스티어링 유압모터를 작동하여 디퍼렌셜 기어박스 내의 링기어와 피니언을 작동하여 동시에 한 쌍의 바퀴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바, 방향전환이 비례적으로 작동하여 기존의 클러치 방식보다 정교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속 주행에도 안정적인 방향전환과 주행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Steering and driving system for an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구동기계나 일반 원동기에 적용가능한 방향전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작업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트랙터의 최근 대형화 및 고사양화 추세에서, 전적인 운전자의 힘으로 조향을 구현하던 종래의 기계식 조향장치 대신 유압을 이용하여 조향핸들(스티어링 휠)의 조작감을 가볍게 하고, 따라서 안정된 조향 성능 및 빠른 조향 응답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를 보편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농작업용으로 구현되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의 원동기의 경우, 바퀴를 장착하고, 클러치를 이용하여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속도와 조작성은 좋지만 험지 주행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무한 궤도 방식의 원동기의 경우, 주행성능은 좋으나 속도가 느리고 조향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18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따르면, 차동기어장치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직진과 후진시에는 주행용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디퍼렌셜 기어박스 내의 베벨기어 4개로 구현되는 조향기어부만을 구동하여 직진과 후진을 구현하고, 방향전환시에는 스티어링 유압모터를 작동하여 디퍼렌셜 기어박스 내의 링기어와 피니언을 작동하여 동시에 한 쌍의 바퀴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바, 방향전환이 비례적으로 작동하여 기존의 클러치 방식보다 정교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속 주행에도 안정적인 방향전환과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원동기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향핸들의 구동동작에 따라 스티어링 작동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유압모터(110)와 스티어링 작동에 따른 구동동작을 제1구동축(150)에 인가하는 제1베벨기어박스(140)을 포함하는 조향유닛(100)과 상기 조향유닛(100)의 구동동작의 방향을 전환하여 하부로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박스(160) 및 제1전달축(190)을 포함하는 제1조향전달유닛(T1);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의 대향하는 방향에 동일한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제1구동축(150)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조향전달유닛(T2); 및 상기 제1 및 제2조향전달유닛(T1, T2)의 제1전달축(190) 및 제2전달축(190B)의 말단과 피니언(222)과 연결되며, 한 쌍의 바퀴(310A, 320B)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상호 연결하는 제2구동축(350)에 연결되며, 주행용 유압모터(31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유닛(300);을 포함하는,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동기어장치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직진과 후진시에는 주행용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디퍼렌셜 기어박스 내의 베벨기어 4개로 구현되는 조향기어부만을 구동하여 직진과 후진을 구현하고, 방향전환시에는 스티어링 유압모터를 작동하여 디퍼렌셜 기어박스 내의 링기어와 피니언을 작동하여 동시에 한 쌍의 바퀴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바, 방향전환이 비례적으로 작동하여 기존의 클러치 방식보다 정교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속 주행에도 안정적인 방향전환과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 하며 결론적으로 항시 동시, 상호작동을 함으로 인해 기존의 주행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험로탈출용 차동잠금장치 또한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의 구성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을 구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을 통해 방향전환을 구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성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을 구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을 통해 방향전환을 구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조향핸들의 구동동작에 따라 스티어링 작동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유압모터(110)와 스티어링 작동에 따른 구동동작을 제1구동축(150)에 인가하는 제1베벨기어박스(140)을 포함하는 조향유닛(100)과 상기 조향유닛(100)의 구동동작의 방향을 전환하여 하부로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박스(160) 및 제1전달축(190)을 포함하는 제1조향전달유닛(T1),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의 대향하는 방향에 동일한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제1구동축(150)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조향전달유닛(T2) 및 상기 제1 및 제2조향전달유닛(T1, T2)의 제1전달축(190) 및 제2전달축(190B)의 말단과 피니언(222)과 연결되며, 한 쌍의 바퀴(310A, 320B)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상호 연결하는 제2구동축(350)에 연결되며, 주행용 유압모터(31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향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티어링 작동을 구현하는 스티어링 유압모터(110)가 배치되며, 상기 유압모터(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동기의 핸들 조작을 통해 방향전환을 구현할 수 있독 하는 구동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스티어링 유압모터(110)의 하부에는 체인커플링(120)이 배치되며, 상기 체인커플링(120)과 연결되는 조향축(130)이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조향축(130)의 말단은 제1베벨기어박스(140) 내의 제1베벨기어(141)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박스(140)의 제1베벨기어(141)의 회전은 제2베벨기어(142)를 회전시켜, 이와 연결되는 제1구동축(150)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구동축(150)은 상기 제1베벨기어박스(140)에 의해 유압모터의 구동방향을 변경하며, 상기 제1구동축(150)의 양단에는 제1조향전달유닛(T1)과 제2조향전달유닛(T2)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과 제2조향전달유닛(T2)은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바, 이하에서는, 제1조향전달유닛(T1)을 기준으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구동축(15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조향전달유닛(T1)은 상기 구동축(150)과 연결되는 제2베벨기어박스(160)이 배치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박스(160)의 내부에는 상기 제1구동축(150)과 직접연결되는 제3베벨기어(161)와, 상기 제3베벨기어(161)과 접촉하는 제4베벨기어(162)가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축(150)의 회전력은 상기 제3베벨기어(161)을 거쳐, 상기 제4베벨기어(16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베벨기어(162)는 제1전달축(19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전달축(190)의 말단은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200A)에 포함되는 피니언(22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200A)는 차동기어장치로 본 시스템에서 한 쌍의 바퀴(310A, 310B)의 전진과 후진, 방향전환을 클러치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시스템에서는, 차동기어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과 제2조향전달유닛(T2)의 제1전달축(190) 및 제2전달축(190B)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는, 좌우 측 모두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일측의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200A)를 기준으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200A)는, 상기 제1전달축(190)의 말단과 연결되는 피니언(221)과 상기 피니언(221)과 맞물리는 링기어(222)와, 상기 링기어(222)의 일면에 접하여 상기 링기어(222)의 회전에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230), 상기 하우징(230) 내측에 마련되는 4개의 조향기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내부에는 제1조향전달유닛(T1)의 제1전달축(190)의 말단과 연결도는 피니언(221)과 상기 피니언(221)과 접촉하여 상호 회동하게 하는 링기어(222)가 배치된다.
상기 링기어(222)의 일표면과는 내부에 조향기어부(24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하우징(230)이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링기어(22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링기어(222)와 밀착하는 하우징(230)이 회전하게 되며, 내부의 조향기어부(240)은 제4조향기어부(244)회전수만큼 가속되어 제2조향기어와 물려있는 바퀴(310)의 제3구동축(36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조향유닛(100)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조향전달유닛(T1)을 비롯한 피니언(221),링기어(222),하우징(230)까지 모두 정지되어있는 상태이다.
링기어(222)는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제2구동축(350)은 링기어(222)에 설치된 베어링 내부로 관통되어 제4조향기어(244)만을 회전시킨다.
즉, 방향전환을 위해 조향유닛(100)이 구동하는 경우에는, 조향전달유닛(T1)이 구동하고, 이에 따라 피니언(221)과 링기어(222)가 회동하며, 동시에 내부의 조향기어부(240)도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감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 및 제2조향전달유닛(T2)은, 상기 조향유닛(100)의 스티어링 작동을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각각에 전달하며, 상기 링기어(222)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향기어부(240)가 연동하여 바뀌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200A)의 내부에 하우징(230)에 배치되는 상기 조향기어부(240)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축(250)과 연결되는 제1조향기어(241) 및 제3조향기어(243)와, 상기 한 쌍의 바퀴(310A, 310B)와 연결되는 제3구동축(360)과 연결되는 제2조향기어(242) 및 상기 제2구동축(350)에 연결되는 제4조향기어(2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조향기어는 베벨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기어가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인접하는 상호 베벨기어와 상호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는 4개의 베벨기어가 상호 연동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조향기어(241)은 상기 하우징(23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조향기어(241)의 좌우측에 제2조향기어(242)와 제4조향기어(244)가 배치되며, 상부에는 제2조향기어(242)와 제4조향기어(244)와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제3조향기어(243)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조향기어(241)과 상기 제3조향기어(243)은 관통축(250)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관통축(250)에는 롤러베어링(251)이 구비되어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는,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상호 연결하는 제2구동축(350)에 연결되며, 주행용 유압모터(31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유닛(300)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조향을 위해서는, 상술한 조향유닛(100)을 구동하고, 전진과 후진을 위해서는 상기 전후진제어유닛(300)을 적용하여 전후진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진제어유닛(300)은,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310)을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3베벨기어박스(340)가 작동하고, 상기 제2구동축(350)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구동시키며, 전 후진을 위한 동작으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내의 4개의 조향기어부(240)만이 작동하여 전진과 후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310)의 하부에는 감속을 위해 감속기(320)가 구비되며, 전달축(330)의 말단에는 제3베벨기어박스(340) 내부에 존재하는 제5베벨기어(341)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5베벨기어(341)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제6베벨기어(342)가 회전하게 되며, 제6베벨기어(342)가 회전하는 경우, 제2구동축(3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축(350)은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의 말단과 연결되는 제4조향기어(244)가 회전하게 되며, 이 경우 피니언(221)과 링기어(222)는 작동하지 않고, 4개의 조향기어만이 작동하여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비해 방향전환시에는 상술한 스티어링 유압모터(110)이 작동하게 되며, 방향전환이 비례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기존의 클러치 방식보다 조작이 더욱 정확하게 되며, 빠른 주행속도에도 안정적으로 방향전환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상술한 본 시스템에서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을 구축한 원동기에서 전진과 후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의 전후진제어유닛(300)이 관여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도 2의 구조에서, 상기 전후진제어유닛(300)에서 유압모터(310)가 주행작동을 시작하면, 감속기(320) 하부의 제3구동축(330)이 회전(a1 방향)을 수행하게 되며, 이후 제5베벨기어(341)과 제6베벨기어(342)가 순차로 회전(화살표 방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구동축(350)이 회전(a2 방향)하게 되며, 상기 제2구동축(350)와 연결되는 하우징(230)의 내부의 조향기어부(240)의 제4조향기어(244)가 회전(화살표방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호 인접한 제1조향기어(241)과 제3조향기어(243)이 회전(화살표방향)하며, 최종적으로 제2조향기어(242)가 회전(화살표방향)하게 된다. 제2조향기어(242)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결되는 제3구동축(360)이 회전하여 바퀴가 전진회전(a4 방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시스템을 적용한 원동기에서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방향전환을 위해 핸들을 스티어링하여 스티어링 유압모터(110)가 작동하게 되면, 방향전환을 위한 회전(b1방향)을 수행한다.(본 실시예에서는, b1 방향의 조향과정만을 설명하고, c1 방향의 조향과정의 원리는 이와 동일한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제1베벨기어박스(140) 내부의 제1베벨기어(141) 및 제2베벨기어(142)가 순차로 회전(화살표 방향)하게 되며, 제2베벨기어(142)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축(150)이 회전(b2 방향)하게 된다. 상기 제1구동축(150)의 회전으로 인해, 좌우에 배치되는 제1조향전달유닛(T1) 및 제2조향전달유닛(T2)에 동시에 회전력이 인가된다.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베벨기어박스(160) 내부의 제3 및 제4베벨기어(161, 162)가 순차로 회전(화살표방향)하게 되며, 이후, 제4베벨기어(162)와 연결되는 제1전달축(190)이 회전하며, 제1디퍼렌셜기어박스(200A) 내의 피니언(221)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피니언(221)과 연결되는 링기어(222)를 회전(화살표방향:b4)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링기어(222)와 접촉해 있는 하우징(23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관통축(250)과 연동하는 조향기어(242, 241)가 회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바퀴가 조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반대측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B)에서도 동일한 기작으로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조향유닛
110: 스티어링 유압모터
120: 체인커플링
130: 조향축
140: 제1베벨기어박스
150: 제1구동축
T1: 조향전달유닛
160: 제2베벨기어박스
170: 체인커플링
180: 플랜지 커플링
190: 제1전달축
200: 디퍼렌셜 기어박스
200A: 제1디퍼렌셜 기어박스
200B: 제2디퍼렌셜 기어박스
221: 피니언
222: 링기어
230: 하우징
240: 조향기어부
250: 관통축
300: 전후진제어유닛
310: 주행용 유압모터
320: 감속기
330: 제2전달축
340: 제3베벨기어박스
341: 제5베벨기어
342: 제6베벨기어
350: 제2구동축
360: 제3구동축
310A, 310B: 바퀴

Claims (5)

  1. 조향핸들의 구동동작에 따라 스티어링 작동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유압모터(110)와 스티어링 작동에 따른 구동동작을 제1구동축(150)에 인가하는 제1베벨기어박스(140)을 포함하는 조향유닛(100);과
    상기 조향유닛(100)의 구동동작의 방향을 전환하여 하부로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박스(160) 및 제1전달축(190)을 포함하는 제1조향전달유닛(T1);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의 대향하는 방향에 동일한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제1구동축(150)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조향전달유닛(T2); 및
    상기 제1 및 제2조향전달유닛(T1, T2)의 제1전달축(190) 및 제2전달축(190B)의 말단과 피니언(222)과 연결되며, 한 쌍의 바퀴(310A, 320B)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상호 연결하는 제2구동축(350)에 연결되며, 주행용 유압모터(31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유닛(300);
    을 포함하는,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는,
    상기 제1전달축(190)의 말단과 연결되는 피니언(221)과 상기 피니언(221)과 맞물리는 링기어(222);
    상기 링기어(222)의 일면에 접하여 상기 링기어(222)의 회전에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230);
    상기 하우징(230) 내측에 마련되는 4개의 조향기어부(240);를 포함하는,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조향전달유닛(T1) 및 제2조향전달유닛(T2)은,
    상기 조향유닛(100)의 스티어링 작동을 상기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각각에 전달하며,
    상기 링기어(222)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향기어부(240)가 연동하여 바퀴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동하는,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향기어부(240)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축(250)과 연결되는 제1조향기어(241) 및 제3조향기어(243);와
    상기 한 쌍의 바퀴(310A, 320B)와 연결되는 제3구동축(360)과 연결되는 제2조향기어(242); 및
    상기 제2구동축(350)에 연결되는 제4조향기어(244);를 포함하는,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제어유닛(300)은,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310)을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3베벨기어박스(340)가 작동하고, 상기 제2구동축(350)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를 구동시키며,
    전 후진을 위한 동작으로 한 쌍의 디퍼렌셜 기어박스(200A, 200B) 내의 4개의 조향기어부(240)만이 작동하여 전진과 후진을 구현하는,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KR1020170125010A 2017-09-27 2017-09-27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KR20190036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010A KR20190036142A (ko) 2017-09-27 2017-09-27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010A KR20190036142A (ko) 2017-09-27 2017-09-27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42A true KR20190036142A (ko) 2019-04-04

Family

ID=6610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010A KR20190036142A (ko) 2017-09-27 2017-09-27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4323A (zh) * 2019-11-20 2020-01-10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扫地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836A (ko) 2013-05-31 2014-12-11 대동공업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가 장착된 트랙터 앞차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836A (ko) 2013-05-31 2014-12-11 대동공업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가 장착된 트랙터 앞차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4323A (zh) * 2019-11-20 2020-01-10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扫地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6301A1 (en) Work machine joystick control system
JPH05162552A (ja) 四輪駆動型作業車
JP4795835B2 (ja) 油圧駆動車両
KR20190036142A (ko) 원동기의 구동 및 방향전환시스템
CN112833147B (zh) 一种电控履带车辆转向的变速传动箱
JP2008049965A (ja) 作業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75294A (ja) 走行伝動装置
JPH0659190U (ja) 装軌式車両のギヤード操向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2002172946A (ja) トラクタ
KR20200129572A (ko) 역방향 구동이 가능한 동력인출장치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JP3828529B2 (ja) 農業用トラクタ
KR100497718B1 (ko) 농용 트랙터의 다단변속이 가능한 보조전도장치
RU2667116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бортоповоротным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KR920002210Y1 (ko) 무한궤도 차량의 조향케이스 구조
JP3828528B2 (ja) 農業用トラクタ
KR100506490B1 (ko) 4휠 스티어링 중장비
JPH02138536A (ja) トラクタの伝動装置
JP2007237788A5 (ko)
KR101922431B1 (ko) 기어 변속 장치 및 이를 갖는 관리기
JP4012789B2 (ja) トラクタ
JP3626145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操向装置
KR20020025968A (ko) 산업용 동력 전달장치
JP2007137289A (ja) 作業用車両
KR920002211Y1 (ko) 중장비 차량의 조향장치
KR20170060232A (ko) 중장비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