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501A -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5501A KR20190035501A KR1020180101943A KR20180101943A KR20190035501A KR 20190035501 A KR20190035501 A KR 20190035501A KR 1020180101943 A KR1020180101943 A KR 1020180101943A KR 20180101943 A KR20180101943 A KR 20180101943A KR 20190035501 A KR20190035501 A KR 201900355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tact
- contact portion
- elastic arm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대 접속체에 대하여 1 개의 단자가 접속 방향에서 2 개의 접촉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및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terminal in which one terminal has two contact portions in the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ve connector.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대 접속체을 향한 접속 방향에서, 1 개의 단자에 2 개의 접촉부를 형성한 전기 커넥터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로 알려져 있다.An electric connector in which two contact portions are formed on one terminal in the connection direction toward the counterpart connector is known as, for example,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단자는, 띠상의 금속판을 절곡 그리고 굴곡시켜 상기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이 되도록 제조되어 있고, 2 개의 탄성 아암부를 갖고 있다. 2 개의 탄성 아암부는, 모두 상기 단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것들의 일부를 기부로 하여 기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선단에 굴곡된 접촉부를 갖고 있다. 2 개의 탄성 아암부는 각각의 기부로부터 선측이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 휨 가능하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도 4 그리고 도 8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기부에서 중첩되도록 절곡됨으로써 2 개의 탄성 아암부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고, 서로의 접촉부끼리가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대 접속체, 예를 들어, 핀상의 상대 단자가 상기 단자를 향하여 상기 접속 방향으로 이동해 오면, 상대 단자는, 상기 2 개의 접촉부에 시간차를 갖고 접촉하고, 2 개의 접촉점을 가짐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The terminal in the electrical connector of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2 개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는, 모두 산형으로 굴곡된 정점으로 형성되는 접촉점끼리가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2 개의 탄성 아암부는 기부에서의 중첩되는 절곡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일방의 탄성 아암부가 탄성 휨을 발생시켰을 때, 그 일방의 탄성 아암부의 일부가 상기 타방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에 맞닿아 간섭을 받는 위치 관계에 있다.However, in
따라서, 상기 일방의 탄성 아암부가, 그 접촉부에서 상대 단자와의 사이의 접압하에서 휘어도, 한정된 양의 휨을 발생시킨 시점에서, 상기 타방의 접촉부와 간섭하여, 휨량이 더 이상 커지지 않아 휨량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상대 단자와의 사이에 충분히 큰 접압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at the time when the one-side elastic arm portion generates a limited amount of warpage even when it bends under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mating terminal, it interferes with the other contact portion and the warpage does not increase further, It can not be largely secured. This means that a sufficiently large contact pressure with the mating terminal can not be obtained.
나아가서는, 특허문헌 1 에서는, 복수의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폭)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개의 탄성 아암부를, 그것들의 기부의 면끼리를 중첩되도록 180°절곡시킴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부의 절곡 가장자리에서는 굽힘 가공도가 매우 커, 단자의 그 절곡 가장자리에서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있다.Further, in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폭 치수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단자의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2 개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끼리가 탄성 휨 상태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충분한 휨량, 즉 상대 접속체와의 사이에 충분한 접압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및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which can secure the strength of a terminal while suppressing the terminal width dimens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hat the contact portions of the two elastic arm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elastic bending state, That is,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capable of ensuring sufficient contact pressure with a relative connector and a terminal.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그리고 그것을 위한 단자에 있어서는,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으로 하는 단자가 그 단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 의해 복수 배열 유지되어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terminal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arrangements are held by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s, which make the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connection member,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
이러한 전기 커넥터 그리고 단자에 있어서, 단자는, 굴곡 상태의 금속판제로 일 부재를 이루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여 병설된 제 1 탄성 아암부와 제 2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가, 각각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압연판면끼리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굴곡 상태로 연결된 기부를 형성하고 있고,In suc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the terminal has a first resilient arm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formed as a bent metal plate single member and adjacent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form base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ent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상기 기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와는 반대 방향이 되는 타방향에 위치하고 도전 조체 (條體) 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onductive rods in the other direc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제 1 탄성 아암부는, 제 1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상부 (直狀部) 와, 그 제 1 직상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와, 제 1 기부, 제 1 직상부 그리고 제 1 접촉부의 어느 압연판면도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includes a first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igh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to a free end,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and the rolling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are parallel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는 제 2 접촉부를 통과하는 접속 방향의 직선이 제 1 접촉부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has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toward the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also provid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v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The straight line in the connecting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제 1 기부와 제 2 기부의 기부끼리가 직각의 굴곡 상태이므로, 기부에서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단자 폭 (단자 배열 방향 치수) 이 제 1 탄성 아암의 폭에 제 2 탄성 아암의 판두께를 더한 치수로 억제할 수 있어, 종래의 단자의 경우에 비해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stitution, since the base portions of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are bent at right angles, the terminal width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dimens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late thickness of the two elastic arms to the sum of the thicknesses thereof, which is not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모두 상대 접속체와 단자 폭이 중복되는 위치에 있지만, 단자 길이 방향에서는 다른 위치에 있고, 한편, 제 1 접촉부 그리고 제 2 접촉부 이외의 부위끼리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상이한 위치에 있으므로, 탄성 휨 상태에서 서로 간섭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 1 접촉부 그리고 제 2 접촉부는 아무런 제약도 없이 크게 휠 수 있고, 그 결과, 상대 접속체와의 사이의 접압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locat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terminal widths of the counterpart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but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s and portions other tha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ince they are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elastic bending state. Therefore,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can be made large without any restriction, and as a result, a large contact pressure with the counterpart connection can be secured.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모두, 압연판면을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면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 폭 나아가서는 접촉 면적이 커지고 그리고 접촉이 원활해진다.In bo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ince the rolled plate surface i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the contact width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and thus the contact area becomes larger and the contact becomes smoo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 되는 상기 일방향을 향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may be oriented in the one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thereof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자 소재의 굴곡 전의 평면 형상에서,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를 이루는 부분이 제 2 직상부를 이루는 부분에 대하여, 단자 길이 방향이 아니라 이것에 대하여 직각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소재의 치수가 억제된다. 단자 소재의 재료를 취할 때의 수율은, 상기 단자 길이 방향 치수로 좌우되므로, 제 2 접촉부가 단자 길이 방향이 아니라 이것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수율이 향상되는 한편, 상기 직각 방향에서는, 제 1 탄성 아암부가 단자 길이 방향에서 연장되는 범위보다 선측에 상기 제 2 접촉부를 이루는 부분이 위치하게 되므로, 원래 상기 제 2 접촉부를 위한 스페이스의 여유가 있고, 이 스페이스에 위치하는 소재 부분을 상기 제 2 접촉부를 이루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어, 상기 직각 방향에서도 단자 소재를 제 2 접촉부를 위해 여분으로 필요로 하게 되지 않는다.By doing so, in the plane shape before bending the terminal material,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abutment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is b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straight- And as a result, the dimension of the terminal material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ressed. Since the yield of the material of the terminal material is dependent on the dimens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s not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b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yield, Since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gion where the elastic arm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there is a margin of space f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originally, So that the terminal material does not need to be extra f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even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또,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의 양방 모두, 단자 소재의 일방의 압연판면에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촉면이 오도록 할 수 있다. 단자 소재는, 통상적으로 타발 가공에 의해 형태 부여되므로, 표리의 압연판면의 상방에서는, 타발 가장자리에「새깅」이 발생하고, 타방에는「버」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일방의 면에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의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촉면을「새깅」이 형성된 쪽의 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대 접촉체가「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한 접촉을 할 수 있다.Bo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terminal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Since the terminal material is usually shaped by punching, "sagging" occurs on the punching edge and "burr" occurs on the other side above the rolled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sinc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to the relative connection member can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sagging" is formed, So that smooth contact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 서술한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에 근접하는 방향이 되는 상기 타방향을 향하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is designed so that the free end thereof is directed to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이와 같은 형태로 하면, 제 1 접촉부보다 먼저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의 선단 (상대 접속체와 최초로 접촉을 개시하는 부분) 이 볼록 만곡부를 이루므로, 선단 가장자리가 상대 접속체와 충돌하지는 않고, 볼록 만곡면으로 상대 접속체를 안내하는 것이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시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ip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 portion that first starts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body)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before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s a convex curve, the leading edge does not collide with the counterpart It is ensured and smoothly guided by the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relative connector.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 중 적어도 제 2 기부에 보강용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하에서는, 적어도 제 2 기부에 리브가 형성되면, 그 제 2 기부, 나아가서는 기부 전체가 보강됨과 함께, 리브를 단자 배열 방향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하면, 단자가 상기 기부로 하우징에 유지될 때에는, 그 유지 강도를 향상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at least a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hen the ribs are formed at least on the second base portion,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us the entire base portion are reinforced. When the ribs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 And the holding strength thereof is improved.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과 같이, 단자의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를, 그것들의 소재에 있어서의 압연판면끼리가 직각이 되도록 굴곡시키고,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에서 제 1 접촉부까지 압연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제 1 기부와 제 2 기부 사이의 굴곡시의 가공도도 크지 않아 굴곡 가장자리에서의 국부적인 강도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오히려 굴곡에 의해 양 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치수도, 제 1 기부의 폭에 상기 제 2 기부의 판두께를 더한 치수에 그쳐 전체적으로 작게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제 2 직상부가 제 1 직상부에 대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단자 길이 방향에서 선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탄성 아암부의 탄성 휨 상태에서 제 1 접촉부와 간섭하지 않으므로, 충분한 휨량, 즉, 상대 접속체와의 접압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are bent so that the rolled plate surfaces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elastic arm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the sid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from the first straigh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on the rolled plate surfa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s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strength of both base portions is improved by bending rather than causing a local decrease in strength at the bending edge so that the dimension of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first base 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is shifted from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elastic bending state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so that the sufficient bending amount, that is,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여러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접속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의 하나를 발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parts of the connector of Fig. 1 separated;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of Fig. 1 in a state before connection; Fig.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of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of Fig. 1 taken out.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erminal of Fig. 4 (A).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전기 커넥터 (Ⅰ) (이하「커넥터 (Ⅰ)」)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electrical connector I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nector I ")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넥터 (Ⅰ) 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10) 과, 이것에 끼워 장착되는 금속판제의 실드 케이스 (20) 와, 상기 하우징 (10) 에서 삽입 장착되는 전기 절연재제의 단자 유지체 (30) 와, 그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판제의 단자 (40) 의 여러 부재를 갖고 있다. 도 2 는 이들 여러 부재의 조립 전에 있어서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3 은 여러 부재의 조립 후, 커넥터 (Ⅰ) 로서 완성된 것을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로, 그 상대 커넥터 (Ⅱ) 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The connector I comprises a
본 발명은, 단자 (40) 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 단자 (40) 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단자 (40)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요부를 동일한 형태로 하고 후단 (상대 커넥터 (Ⅱ) 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서의 단부) 에 형성된 접속부의 길이만이 상이한 2 종의 단자 (40A) 와 단자 (40B) 를 갖고 있다. 단자 (40B) 에는, 단자 (40A) 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부위의 부호에서 A 대신에 B 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 종의 단자 (40A) 와 단자 (40B) 는, 교대로 배열되어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유지되어 있고, 이러한 단자 유지체 (30) 는 하우징 (10) 에 대하여, 서로 상하 반전된 자세로 상하 2 단을 이루도록 2 개 조립되어 있고, 이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2 종의 단자 (40A, 40B) 는, 각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가 하우징 (10) 에 조립되었을 때에 (단자 (40A) 의 커넥터 높이 방향 (Z) 으로는 단자 (40B) 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단자 (40A, 40B) 가 각각 지그재그상으로 위치하고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단자 (40A), 단자 (40B) 는 모두 금속판제이며,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도 3 참조) 와의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하고 있고, 이 단자 길이 방향 (X) 에 대하여 직각인 2 방향 중 일방을 단자 배열 방향 (Y), 타방을 커넥터 높이 방향 (Z) (상기 상하로 위치하는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의 그 상하 방향) 으로 하여, 1 개의 단자 유지체 (30) 에 대해서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단자 (40A) 와 단자 (40B) 가 교대로 배열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The
단자 (40A) 와 단자 (40B) 를 교대로 위치시켜 유지하고 있는 단자 유지체 (30) 는, 상기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2 단을 이루고, 게다가 서로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대칭이 되는 대향한 자세로, 쌍을 이루도록 2 개 형성되어 있고 이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모두 공통된 1 개의 하우징 (10) 에 장착되어 유지되고 있다. 그 결과, 2 단으로 배열된 2 종의 단자 (40A) 와 단자 (40B)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로, 서로 지그재그상을 이루며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The
도 2 에서는, 상기 2 단의 단자 유지체 (30) 의 각각에서, 2 종의 단자 (40A, 40B)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지만,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단 그리고 하단의 1 개씩의 단자 (40A, 40B) 가 단자 유지체 (30) 로 유지되기 전의 분리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단의 단자 유지체 (30) 는 서로 상하 대칭의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는 이 단자 (40A, 40B) 는 상하로 대칭인 형태를 이루며 서로 대향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2, two kinds of
접속부의 길이만이 상이하고, 타부를 동일 형태로 하는 2 종의 단자 (40A, 40B) 중 일방의 단자 (40A) 에 대해 설명하면, 그 단자 (40A) 는, 단자 소재 (금속판) 의 압연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L 자상을 이루는 기부 (41A) 가 서로 직각인 제 1 기부 (41A-1) 와 제 2 기부 (41A-2) 를 갖고 있다 (도 4(A) 참조). 이러한 단자 (40A) 는, 제 1 기부 (41A-1)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와, 제 2 기부 (41A-2) 로부터 제 1 탄성 아암부 (42A) 와는 독립적이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 (42A) 와 동일하게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탄성 아암부 (43A) 와, 상기 기부 (41A) 에 대하여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타방향에 위치하는 장착부 (44A) 를 갖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타방의 단자 (40B) 는, 그 단자 (40B) 의 장착부 (44B) 가 상기 단자 (40A) 에 비해 그 단자 (40A) 의 장착부 (44A) 보다 길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는 점,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40A) 의 연결부 (45A) 보다 단자 (40B) 의 연결부 (45B) 쪽이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큰 단차를 갖고 있는 점 (도 3 참조) 을 제외하고, 상기 단자 (40A)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단, 도 2 에서는, 상하 대칭인 방향의 자세를 취하고 있으므로, 상하 반전된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 타방의 단자 (40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일방의 단자 (40A) 의 장착부 (44A) 보다 단자 길이 방향에서 길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단자 (40A) 와 상이할 뿐이므로, 이하, 일방의 단자 (40A) 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장착부 (44B) 에서만 상이한 타방의 단자 (40B)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ne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된 도 1 에 있어서의 단자 (40A) 그리고 단자 유지체 (30) 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는 도 2 에 있어서의 단자 (40A) 는, 도 4(A) 에서는 이 도 1 그리고 도 2 에 있어서의 자세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역방향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이 단자 (40A) 에 대해 도 4(A)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The
단자 (40A) 의 제 1 탄성 아암부 (42A) 는,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대 접속체 쪽을 향하는 일방향으로 상기 제 1 기부 (41A-1) 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직상부 (42A-1) 와, 상기 일방향에 위치하는 자유단측에 형성된 제 1 접촉부 (42A-2) 를 갖고 있다. 제 1 직상부 (42A-1) 는, 그 제 1 직상부 (42A-1) 에서 제 1 접촉부 (42A-2) 를 향하여 도 4(A) 에서 상방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 아암부 (42A-3) 를 거쳐 상기 제 1 접촉부 (42A-2) 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42A-2) 는, 상기 경사 아암부 (42A-3) 에 대하여 자유단을 향하여 도 4(A) 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굴곡된 산형 형상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산형 형상부의 정점이 상대 접속체와의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직상부 (42A-1) 와 제 1 접촉부 (42A-2) 는,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는 굴곡되어 있지 않고, 상방에서 본 경우에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일직선상을 이루고 있고, 또 상기 제 1 직상부 (42A-1) 와 제 1 접촉부 (42A-2) 의 상면은, 상기 제 1 기부 (41A-1) 와 동일한 압연판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기부 (41A-1) 에서 제 1 접촉부 (42A-2) 까지의 전체 범위에서 동일 압연면이 상방을 향하고 있다.The first
상기 제 1 기부 (41A-1) 는, 단자 길이 방향 (X) 과 단자 배열 방향 (Y) 으로 확대되는 평면에 압연판면이 위치하고 있는 평판상을 이루고 있지만, 그 일부에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이하에 서술하는 제 2 탄성 아암부 (43A) 쪽으로 돌출되는 측돌출부 (41A-1-1) 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제 1 기부 (41A-1) 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된 제 2 기부 (41A-2) 에는, 측면에서 외측 (제 1 기부 (41A-1)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으로 돌출되는 리브 (41A-2A) 가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부 (41A-2)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탄성 아암부 (43A) 는, 제 2 기부 (41A-2) 에 있어서의 압연판면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상부 (43A-1) 와 그 자유단측에 형성된 제 2 접촉부 (43A-2) 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기부 (41A-2) 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창부 (41A-2-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부 (41A-2-1) 에 상기 제 1 기부 (41A-1) 의 측돌출부 (41A-1-1) 가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기부 (41A-2)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 (10) 에 대한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 돌기 (41A-2B) 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제 2 직상부 (43A-1) 는, 상기 서술한 제 1 탄성 아암부 (42A) 보다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에서 선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2 단 굴곡부 (43A-3) 를 거쳐 제 2 접촉부 (43A-2) 에 연결되어 있다. 그 2 단 굴곡부 (43A-3) 는,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선단의 폭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직상부 (43A-1) 의 압연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42A) 쪽으로 지향된 후, 그 상측 가장자리측이 압연판면에 대하여 굴곡되어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상기 제 2 접촉부 (43A-2) 로 이행하고 있다.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상기 2 단 굴곡부 (43A-3) 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42A) 의 제 1 접촉부 (42A-2) 와 동일하게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을 향하여 굴곡되어 그 일방향에서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접촉부 (43A-2) 는 제 1 접촉부 (42A-2) 와 동일한 산형 형상을 이루고, 그 정점이 상대 접속체와의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상기 서술한 제 2 기부 (41A-2) 그리고 2 단 굴곡부 (43A-3) 에서의 굴곡의 결과, 제 1 접촉부 (42A-2) 와 동일한 측의 압연판면으로 형성된다.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상기 제 1 접촉부 (42A-2) 와 거의 동일 위치에 있고, 또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는, 그 제 2 접촉부 (43A-2) 의 정점과 제 1 접촉부 (42A-2) 의 정점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단자 길이 방향 (X) 을 접속 방향으로 하는 상대 접속체는, 접속 과정에서, 제 2 접촉부 (43A-2) 에 접촉한 후, 접속 이동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1 접촉부 (42A-2) 와도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촉부 (43A-2) 의 단자 폭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치수 폭) 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제 1 접촉부 (42A-2) 와 거의 동일 위치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접촉부 (42A-2) 와 제 2 접촉부 (43A-2) 의 단자 폭끼리가, 상기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중복 범위를 갖고 있으면 된다. 즉,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상대 접속체의 이동 과정에서, 그 상대 접속체가 제 2 접촉부 (43A-2) 와의 접촉 후, 접촉 폭 (단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길이) 의 넓고 좁음에 상관없이, 제 1 접촉부 (42A-2) 와도 접촉하도록, 상기 제 2 접촉부 (43A-2) 와 제 1 접촉부 (42A-2) 가,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위치 관계를 갖고 있으면 된다.The second straight
단자 (40A) 는, 상기 제 1 기부 (41A-1)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타방향 (도 4(A) 에서 우측) 으로 연장되는 장착부 (44A) 가 크랭크상을 이루는 연결부 (45A) 를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장착부 (44A) 는, 도 4(A) 에서, 하면측에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오목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오목 만곡면에 케이블 심선 등의 도전 조체가 배치되어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40A) 에 대하여, 단자 (40B) 는 장착부 (44B) 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장착부 (44A) 보다 길고, 연결부 (45B) 가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연결부 (45A) 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단자 (40A) 와 단자 (40B) 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도, 장착부 (44A) 와 장착부 (44B) 가 충분히 떨어져 위치하므로, 장착부 (44A) 와 장착부 (44B) 에 있어서의 도전 조체의 땜납 접속이 용이해진다.The terminal 40A has a mounting
이러한 단자 (40A) 그리고 단자 (40B)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기부 (41A) 의 부분에서 그 단자 유지체 (30) 와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된다. 이 단자 (40A, 40B) 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체 (30) 를 후술하는 하우징 (10) 에 장착할 때, 그 단자 유지체 (30) 를 2 개 준비하고, 이것들을 도 2 와 같이 상하단을 이루도록 하여, 서로 상하 역방향의 자세로 위치시키면, 이들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된 2 단의 단자 (40A, 40B) 는,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게 된다.The terminal 40A and the terminal 4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by the
상기 단자 유지체 (30) 자체는,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 외형을 갖고, 예를 들어, 도 2 의 상단에 위치하는 단자 유지체 (30) 의 상부 후측 가장자리 (상면측에서 단자 (40A) 의 장착부 (44A) 에 치우친 위치의 가장자리) 에는, 스토퍼 돌출부 (31) 가 단자 배열 방향 (Y) 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측단면에는 하우징 (10) 과의 걸림을 위한 갈고리상의 걸림 돌기 (32) 가 형성되어 있다.The
다음으로, 하우징 (10) 은, 도 2 및 도 3 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각통 (角筒) 을 이루는 전통부 (前筒部) (도 2, 3 에서 좌측의 각통부) (11) 와, 그 전통부 (11) 보다 큰 외형의 후통부 (後筒部) (12) 를 갖고 있다.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기 전통부 (11) 와 후통부 (12) 의 경계 위치에는,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이분하는 중간벽 (13) 이 형성되어 있다.2 and 3, the
전통부 (11)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면이 약간 사다리꼴상을 이루는 각통면으로 되어 있고, 그 전통부 (11) 의 상하 내벽면의 각각에는, 이미 서술한 단자 (40A) 의 제 1 탄성 아암부 (42A)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 (43A) 를 수용하는 단자 홈 (14A) 그리고 단자 (40B) 의 제 1 탄성 아암부 (42B)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 (43B) 를 수용하는 단자 홈 (14B) 이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고 단자 배열 방향 (Y) 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2 종의 단자 홈 (14A, 14B) 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후통부 (12) 에는, 그 후통부 (12) 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고,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격벽 (15) 을 갖고 있다. 그 격벽 (15) 보다 상방의 공간 그리고 하방의 공간은 각각 상하 반전 자세의 상기 단자 유지체 (30) 가 삽입되는 2 개의 삽입부 (16) 를 상하 대칭 형상을 이루며 형성하고 있고, 상기 격벽 (15) 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기 삽입부 (16)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삽입부 (16) 에는, 도 3 에서 지면의 앞측 그리고 내측의 내벽면에, 상기 단자 유지체 (30) 의 걸림 돌기 (32) 와 걸리는 걸림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는, 각각 상하 반전 자세로, 상기 2 개의 삽입부 (16) 에 각각에 삽입되면, 그 단자 유지체 (30) 의 스토퍼 돌출부 (31) 가 하우징 (10) 의 우측단에 맞닿아,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 돌기 (32) 가 하우징의 걸림부와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The
또, 하우징 (10) 의 상기 후통부 (12) 는, 상하 외면에 후술하는 실드 케이스 (20) 와 걸리는 걸림 갈고리 (17) 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양단에는, 상하 방향 그리고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플랜지상의 돌출 가장자리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하우징 (10) 에 끼워 장착되는 실드 케이스 (20) 는, 상기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주면 그리고 후통부 (12) 의 전면 (前面) (전통부 (11) 를 둘러싸는 전면) 과 상하면에 면하는 형상을 이루고, 통부 (21) 와 가로가 U 자상인 프레임부 (22) 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주면에 면하도록 형성된 통부 (21) 는, 그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 (21-1) 가 내측으로 약간 좁혀지고 있어 돌출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전면 외주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 (22) 는 상기 하우징 (10) 의 후통부 (12) 의 전면에 면하는 전판부 (前板部) (22-1) 와 그 후통부 (12) 의 상하면에 면하는 평판부 (22-2) 를 갖고, 그 평판부 (22-2) 에, 상기 하우징 (10) 의 걸림 갈고리 (17) 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걸기 위한 걸림창 (22-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실드 케이스 (20)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끼워 장착되어, 하우징 (10) 내의 단자 (40A, 40B) 에 대하여, 실드의 기능을 갖게 된다.The
본 발명에서는, 단자 (40A) 는, 도 4(A) 와 같은 형태로 하지 않고, 도 5 와 같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 에서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의 제 1 접촉부 (42A-2) 와 제 2 탄성 아암부 (43A) 의 제 2 접촉부 (43A-2) 는, 모두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일방향을 향한 자유단을 갖고 있었지만, 도 5 의 예에서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그리고 그 제 1 접촉부 (42A-2) 는 도 4(A) 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제 2 탄성 아암부 (43A') 의 제 2 접촉부 (43A'-2) 는 그 자유단이 도 4(A) 의 경우와 역방향, 즉,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타방향을 향하여, 제 1 접촉부 (42A-2) 와 대향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40A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5 without being shaped as shown in Fig. 4 (A). 4A, the
도 5 에 있어서의 제 2 탄성 아암부 (43A') 는, 도 4(A) 의 경우와 동일한 제 2 직상부 (43A'-1) 의 선단을 제 2 접촉부 (43A'-2) 에 연결하는 2 단 굴곡부 (43A'-3) 가 도 4(A) 의 경우의 제 2 탄성 아암부 (43A) 에 있어서의 2 단 굴곡부 (43A-3) 와 형태가 상이하다. 도 5 에 있어서의 2 단 굴곡부 (43A'-3) 는, 상기 제 2 직상부 (43A'-1) 의 선단에서 그 제 2 직상부 (43A'-1) 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제 1 기부 (41A-1) 와 평행한 압연판면을 갖는 중간부 (43A'-4) 를 형성하고 나서 그 중간부 (43A'-4) 의 일 가장자리에서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일단측을 이루는 부분을 압연판면에 대하여 굴곡시켜 들어올리고 나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의 타방향을 향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제 2 접촉부 (43A'-2) 를 형성하고,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자유단을 그 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제 1 접촉부 (42A-2) 와는 자유단끼리가 역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제 2 접촉부 (43A'-2) 는, 그 상면이 압연판면이 되지만, 상기 2 단 굴곡부 (43A'-3) 의 굴곡 순서에서 기인하여, 제 1 접촉부 (42A-2) 의 상면과 반대측의 압연판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도 5 의 형태의 제 2 접촉부 (43A'-2) 에 의하면, 제 2 접촉부 (43A'-2) 는,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대 접속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즉, 상대 접속체가 접속 개시시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은, 상대 접속체 쪽을 향하여 볼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상대 접속체는 충돌하려고 해도 바로 제 2 접촉부 (43A'-2) 의 사면에 안내되므로, 충돌에 의한 단자의 손상이 없이 원활하게 접속된다.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 의 예에서는, 장착부 (44A) 는 압접 홈 (44A-1)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압접 홈 (44A-1) 의 대향 내측 가장자리가 압접날을 이루고 있고, 이 압접 홈 (44A-1) 으로 케이블의 심선이 압접 결선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example of Fig. 5, the mounting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커넥터 (Ⅰ) 에 접속되는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에 대해, 도 3 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Next, a mating connector (II) as a mating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I)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 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 (Ⅱ) 는 전기 절연 재료제의 하우징 (50) 에 상대 단자 (60) 와 금속판제의 실드 케이스 (70) 를 유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3, the mating connector II is formed by holding a
하우징 (50) 은, 대략 직방체 외형의 본체부 (51) 와 그 본체부 (51) 로부터 상기 커넥터 (Ⅰ) 쪽을 향하여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고 단자 배열 방향 (Y) 으로 확대되는 중앙판부 (52) 를 갖고 있다. 그 중앙판부 (52) 의 상하면에는, 후술하는 단자 (60) 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홈 (53) 이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단자 홈 (53) 은 상기 본체부 (51) 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50) 에는, 그 바닥면에 회로 기판 (도시 생략) 과의 위치 결정을 위한 단주부 (短柱部) (54) 등이 형성되어 있다.The
단자 (60) 는, 금속 띠상편을 굴곡시켜 제조되어 있고, 대략 L 자상을 이루고 있다. 대략 L 자상을 이루는 그 단자 (60) 는 하우징 (50) 의 바닥면 (도 3 에서 좌측면) 측에 접속부 (61) 그리고 상기 단자 홈 (53) 내에 수용되는 접촉부 (62) 를 갖고, 접촉부 (62) 보다 자유단측이 상기 단자 홈 (53) 의 홈 바닥에 위치하도록 경사 그리고 굴곡된 선단 안내부 (63) 를 형성하고, 그 선단 안내부 (63) 가 그 경사부에서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40B) 를 접촉 개시시에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 (62) 의 대부분은 단자 홈 (53) 내에서 뜬 상태에 있고, 단자 홈 (53) 의 홈 바닥 쪽을 향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61) 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등에 땜납 접속된다. 금속제의 실드 케이스 (70) 는, 하우징 (50) 의 본체부 (51) 의 외주면에서 유지되는 피유지 통부 (71) 와, 그 피유지 통부 (71)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타방향, 즉 커넥터 (Ⅰ) 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부 (空筒部) (72) 를 갖고 있다. 그 공통부 (72) 는, 하우징 (50) 의 본체부 (51) 의 상기 타방향에서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피유지 통부 (71) 에 대하여 단상으로 작은 외형을 이루고 그대로 상기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공통부 (72) 는, 그 내통면이 상기 커넥터 (Ⅰ) 의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측에 끼워져 그 전통부 (11) 를 포위하고, 상하 내면에서 그 전통부 (11) 와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그 공통부 (72) 의 상하 내면에는, 그 공통부 (72) 의 상하벽을 내측으로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팽출시키는 맞닿음 돌출부 (7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맞닿음 돌출부 (72A) 는, 상기 전통부 (11) 의 외측에 끼워졌을 때에 그 전통부 (11) 와의 맞닿음에 의해 공통부 (72) 의 상하벽에 약간의 탄성 휨을 발생시켜, 이 전통부 (11) 와의 맞닿음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The terminal 60 is manufactured by bending the metal strip top piece,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The terminal 60, which is substantially L-shaped, has a connecting
이와 같이 형성된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는, 다음의 요령으로 이미 서술한 커넥터 (Ⅰ) 에 접속된다.The counterpart connector II as the counterpart connector thus forme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 already described in the following manner.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Ⅰ) 의 전통부 (11) 와 상대 커넥터 (Ⅱ) 의 공통부 (72) 가 마주보도록 하여,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커넥터 (Ⅰ) 와 상대 커넥터 (Ⅱ) 를 근접 배치한다.The connector I and the mating connector I are arranged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such that the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 (Ⅰ) 의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주면을 덮고 있는 실드 케이스 (20) 의 통부 (21) 의 외주면을 상기 상대 커넥터 (Ⅱ) 의 실드 케이스 (70) 의 공통부 (72) 에 끼워 넣으면,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 40B) 의 제 1 접촉부 (42A-2 ; 42B-2) 와 제 2 접촉부 (43A-2 ; 43B-2) 는, 상기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 60) 의 접촉부 (62 ; 62) 와 탄성력에 의한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 40B) 와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 60) 의 접촉은, 커넥터 (Ⅰ) 에 대한 상대 커넥터 (Ⅱ) 의 외측 끼움 개시 당초에는, 단자 (40A) 의 제 1 접촉부 (42A-2) 와 제 2 접촉부 (43A-2) 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전후하고,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는 동 위치에 있으므로 (단자 (40B) 에 대해서도 동일), 상대 커넥터 (Ⅱ) 에 커넥터 (Ⅰ) 를 끼워 넣는 것이 깊어짐에 따라,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는, 먼저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 40B) 의 제 2 접촉부 (43A-2, 43B-2) 와 접촉한 후, 제 1 접촉부 (42A-2 ; 42B-2) 와도 접촉하게 된다.The contact betwee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 (40A ; 40B) 의 제 1 접촉부 (42A-2 ; 42B-2) 와 제 2 접촉부 (43A-2, 43B-2) 는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는 대략 동 위치에 있지만,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는 상이한 위치에 있어, 상기 제 2 접촉부 (43A-2 ; 43B-2) 가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와 맞닿아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크게 탄성 변형하더라도, 제 2 접촉부 (43A-2, 43B-2) 가 제 1 탄성 아암부 (42A ; 42B) 와 간섭하지 않아, 큰 탄성 변형량, 즉,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와 큰 접압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나,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42A ; 42B) 와 제 2 탄성 아암부 (43A ; 43B) 는, 기부 (41A) 를 단자 소재의 압연판면을 직각으로 굴곡시켜 형성함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위치를 달리 하고 있으므로, 단자 (40A ; 40B) 의 단자 폭 치수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치수) 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 42B) 의 폭 치수에 제 2 탄성 아암부 (43A ; 43B) 의 판두께 치수를 더하기만 한 치수가 되어, 작은 단자 폭 치수로 억제되고, 커넥터 (Ⅰ) 에 있어서, 단자의 고밀도 배열, 즉, 커넥터의 폭 치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The first
10 : 하우징
40 (40A ; 40B) : 단자
41A (41B) : 기부
41A-1 (41B-1) : 제 1 기부
41A-2 (41B-2) : 제 2 기부
42A (42B) : 제 1 탄성 아암부
42A-1 (42B-1) : 제 1 직상부
42A-2 (42B-2) : 제 1 접촉부
43A (43B) : 제 2 탄성 아암부
43A-1 (43B-1) : 제 2 직상부
43A-2 (43B-2) : 제 2 접촉부
44A (44B) : 장착부
Ⅰ : 커넥터
Ⅱ : 상대 접속체 (상대 커넥터)
X : 단자 길이 방향
Y : 단자 배열 방향
Z : 커넥터 높이 방향10: Housing
40 (40A; 40B): terminal
41A (41B): donor
41A-1 (41B-1): First base
41A-2 (41B-2): the second base
42A (42B): a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1 < / RTI > 42B-1:
42A-2 (42B-2): a first contact
43A (43B):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1 < / RTI > 43B-1:
43A-2 (43B-2): The second contact
44A (44B): mounting portion
Ⅰ: Connector
II: Relative connector (relative connector)
X: Terminal length direction
Y: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Z: Connector height direction
Claims (5)
단자는, 굴곡 상태의 금속판제로 일 부재를 이루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여 병설되고, 단자 길이 방향에서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탄성 아암부와 제 2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가, 각각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압연판면끼리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굴곡 상태로 연결된 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와는 반대 방향이 되는 타방향에 위치하고 도전 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
제 1 탄성 아암부는, 제 1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상부와, 그 제 1 직상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와, 제 1 기부, 제 1 직상부 그리고 제 1 접촉부의 어느 압연판면도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Wherei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and held in a terminal array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s, the terminals having a terminal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connector,
The terminal has a first resilient arm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which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extend in one direc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form base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ent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onductiv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toward the free end toward the one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has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toward the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also provid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s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also contacts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connector.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 되는 상기 일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is directed in the one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thereof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에 근접하는 방향이 되는 상기 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is direc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free end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being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 중 적어도 제 2 기부에 보강용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at least a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단자는, 굴곡 상태의 금속판제로 일 부재를 이루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여 병설된 제 1 탄성 아암부와 제 2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가, 각각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압연판면끼리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굴곡 상태로 연결된 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와는 반대 방향이 되는 타방향에 위치하고 도전 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
제 1 탄성 아암부는, 제 1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상부와, 그 제 1 직상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와, 제 1 기부, 제 1 직상부 그리고 제 1 접촉부의 어느 압연판면도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는 제 2 접촉부를 통과하는 접속 방향의 직선이 제 1 접촉부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단자.A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 terminal array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erminal has a first resilient arm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which are juxtaposed and adjacent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The second base portion forms a base connected to the rolling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in a bent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onductiv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toward the free end toward the one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has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toward the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also provid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v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Wherein a straight line in the connecting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83325 | 2017-09-25 | ||
JP2017183325A JP6861603B2 (en) | 2017-09-25 | 2017-09-25 | Electrical connectors and termina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501A true KR20190035501A (en) | 2019-04-03 |
KR102274642B1 KR102274642B1 (en) | 2021-07-07 |
Family
ID=6563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1943A KR102274642B1 (en) | 2017-09-25 | 2018-08-29 |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861603B2 (en) |
KR (1) | KR102274642B1 (en) |
CN (1) | CN109560409B (en) |
DE (1) | DE10201821624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00878A (en) * | 2021-12-02 | 2022-04-08 |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 Terminal, forming method and electric conn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2060U (en) * | 1989-08-09 | 1991-03-28 | ||
JP2005317262A (en) * | 2004-04-27 | 2005-11-10 | Hirose Electric Co Ltd | Connector for card and contact terminal for card to be used for the connector |
JP2015005504A (en) * | 2013-05-24 | 2015-01-08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2016173998A (en) | 2014-08-06 | 2016-09-29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Contact and connector employing the contact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2060Y2 (en) * | 1986-09-27 | 1991-07-08 | ||
CN101645557B (en) * | 2008-08-10 | 2011-09-07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terminal |
CN201285939Y (en) * | 2008-09-04 | 2009-08-0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
JP2012221592A (en) * | 2011-04-04 | 2012-11-12 | Fujitsu Component Ltd | Connector |
KR20140008879A (en) * | 2012-07-12 | 2014-01-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terminal having improved insertion and joint stability |
US10122112B2 (en) * | 2014-02-18 | 2018-11-06 | Iriso Electronics Co., Ltd. | Electric connector |
CN204333352U (en) * | 2014-09-11 | 2015-05-13 | 得意精密电子(苏州)有限公司 | Socket connector |
-
2017
- 2017-09-25 JP JP2017183325A patent/JP6861603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8-29 KR KR1020180101943A patent/KR10227464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1 CN CN201811108018.8A patent/CN109560409B/en active Active
- 2018-09-24 DE DE102018216248.4A patent/DE102018216248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2060U (en) * | 1989-08-09 | 1991-03-28 | ||
JP2005317262A (en) * | 2004-04-27 | 2005-11-10 | Hirose Electric Co Ltd | Connector for card and contact terminal for card to be used for the connector |
JP2015005504A (en) * | 2013-05-24 | 2015-01-08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EP2950397A1 (en) * | 2013-05-24 | 2015-12-02 | Iriso Electronics Co., Ltd. | Connector |
JP2016173998A (en) | 2014-08-06 | 2016-09-29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Contact and connector employing the conta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560409A (en) | 2019-04-02 |
CN109560409B (en) | 2021-07-27 |
JP6861603B2 (en) | 2021-04-21 |
JP2019061770A (en) | 2019-04-18 |
DE102018216248A1 (en) | 2019-03-28 |
KR102274642B1 (en)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46804B2 (en) | connector | |
KR101762556B1 (en) | Connector | |
US10498082B2 (en) | Terminal structure that supports movement between two housings | |
JP7154782B2 (en) | movable connector | |
US6390860B2 (en) | Connector with a terminal deflection preventing mechanism | |
JP7107708B2 (en) | connector | |
JP2014110214A (en) | Female terminal | |
JPH0945404A (en) | Female terminal | |
TWI641186B (en) |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floating connector, and soldering member of floating connector | |
KR20180025187A (en)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
US9887481B2 (en) |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 |
JP2019071184A (en) | connector | |
KR102425767B1 (en) | A contact blade for a socket-shaped connector part, and a socket-shaped connector part | |
US20200169040A1 (en) |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 |
JP2004273154A (en) | Joint connector and terminal | |
KR20190035501A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 |
JP6069541B2 (en) | connector | |
CN108493648B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343029B2 (en) | Board mounting type electrical connector | |
JP2022037547A (en) | Terminal fitting and chain terminal | |
JP6431277B2 (en) | connector | |
US20230246352A1 (en) | Connector | |
JP7407551B2 (en) | terminals and connectors | |
US20230402770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US10727622B2 (en) | Board-mounte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